KR101296847B1 - 곡물 퍼핑 장치 - Google Patents

곡물 퍼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96847B1
KR101296847B1 KR1020110031812A KR20110031812A KR101296847B1 KR 101296847 B1 KR101296847 B1 KR 101296847B1 KR 1020110031812 A KR1020110031812 A KR 1020110031812A KR 20110031812 A KR20110031812 A KR 20110031812A KR 101296847 B1 KR101296847 B1 KR 101296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grain
screw
puffing
outlet c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1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114062A (ko
Inventor
김형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델리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델리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델리스
Priority to KR1020110031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96847B1/ko
Publication of KR20120114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114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96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96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61Puffed cereals, e.g. popcorn or puffed rice
    • A23L7/165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involving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as an intermediate step
    • A23L7/17Preparation of puffed cereals involving preparation of meal or dough as an intermediate step by extrus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30/00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characterised by the process or apparatus
    • A23P30/30Puffing or expanding
    • A23P30/32Puffing or expanding by pressure release, e.g. explosion puffing; by vacuum treatment
    • A23P30/34Puffing or expanding by pressure release, e.g. explosion puffing; by vacuum treatment by extrusion-expansion

Abstract

본 발명은 곡물 퍼핑 장치를 개시한 것으로, 이러한 본 발명은 스크류의 외주면을 감싸는 실린더를 이중의 대칭 구조물로 분할 구성함은 물론, 이중의 대칭 구조물인 실린더의 외주면이 테이퍼지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를 통해 곡물 퍼핑시에는 원통형의 구조를 이루는 반면, 그 분리 작업시에는 이중의 대칭 구조물인 실린더를 하나씩 분리시키도록 하여, 곡물의 압축시 그 압축에 따른 자체 발열로 곡물 찌꺼기가 팽창하면서 스크류의 외주면과 실린더의 내주면에 달라 붙더라도 실린더를 별도의 공구에 의한 타격작업없이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곡물 퍼핑이 이루어진 이후에 곡물 퍼핑 장치에 대한 청소나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거이다.

Description

곡물 퍼핑 장치{Apparatus for puffing grains}
본 발명은 현미, 쌀, 옥수수, 콩 등의 곡물을 별도의 가열장치없이 압출하는 방식으로 퍼핑하는 곡물 퍼핑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린더와 스크류를 통해 곡물을 압축하면서 그 압축으로부터 곡물을 자체 발열시켜 겔 상태로 변화시킨 후 외부로 압출시키는 곡물 퍼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한편, 곡물 퍼핑이 이루어진 이후에는 스크류로부터 실린더를 간편하게 분리시켜 청소 또는 보수 작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곡물 퍼핑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곡물 퍼핑 장치란 현미, 쌀, 옥수수, 콩 등의 곡물을 밀폐된 공간 공기와 함께 투입하여 압력을 높이다가 출구를 개방하여 일시에 팽창시키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으로, 종래 곡물 퍼핑 장치는 대부분 밀폐된 공간에 투입된 곡물에 별도의 열을 가하여 곡물을 익히고, 익혀진 곡물에서 배출되는 수증기에 의해 밀폐된 공간의 내부 압력이 높아진 상태에서 외부로 압출시켜 퍼핑하는 구조를 취하고 있다.
이러한 종래의 곡물 퍼핑 장치의 경우, 곡물이 대략 280℃ 내외로 가열된 상태에서 가공되는데, 일반적으로 곡물은 150℃ 이상으로 가열되면 그 영양소가 파괴되는 문제가 있으므로, 종래의 곡물 퍼핑 장치를 건강용 식품을 제조하는데 사용하는데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종래 곡물 퍼핑 장치의 경우 별도의 열원을 통해 열을 공급해야 하므로 에너지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열원에 의해 장치의 구성이 복잡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곡물을 가공하는 과정에서 각 단계별로 가열해야 하는 정도가 다르므로 온도제어를 위한 별도의 회로가 필수적으로 추가되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도 내포하고 있었다.
이에 열원없이 곡물 퍼핑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가 개발되기에 이르렀으며, 이러한 곡물 퍼핑 장치는 스크류와 실린더를 이용한 것이다.
즉, 곡물 퍼핑 장치는 본체에 제 1 곡물투입구를 가지는 출구케이스가 돌출되도록 구성한 후,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상기 출구케이스로 구동부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를 구성하는 한편, 상기 스크류는 원통형으로서 제 2 곡물투입구를 가지면서 내주면에 상기 스크류의 나선부에 대응하는 나선부를 형성하는 실린더가 감싸도록 구성한 것이다.
이때, 상기 실린더는 상기 출구케이스에 끼움 결합이 이루어지면서, 상기 스크류를 감싸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스크류에 의해 곡물 이송이 이루어질 때,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에 형성되는 나선부와,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선부가 이송되는 곡물을 압축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압축되는 곡물은 그 압축에 의해 자체 발열이 이루어지면서 겔 상태로 변화된 후 외부로의 배출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 곡물 퍼핑장치에 적용되는 실린더는 원통형의 구조인 바, 이를 스크류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상기 출구케이스에 끼움 결합시킨 후 곡물 퍼핑 작업을 종료시킨 상태에서 보수작업이나 청소작업을 위해 실린더를 분리시킬 때 그 분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즉, 실린더의 경우 스크류와 함께 곡물을 압축하여 그 압축에 따른 자체 발열로부터 압축된 곡물을 겔 상태로 변화키게 되는데, 상기 자체 발열에 따른 고열로 인해 상기 실린더가 팽창하게 되고, 이에따라 상기 실린더의 외주면과 출구케이스의 내주면이 달라 붙는 문제가 발생함은 물론, 상기 실린더의 내주면과 스크류의 외주면에 겔 상태로 변화된 곡물 찌꺼기가 달라 붙게 되면서, 상기 실린더의 분리작업이 어려워지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상기 실린더를 분리시키기 위해서는 곡물 퍼핑 장치의 본체내에서 출구케이스의 방향으로 공구(예; 망치 등)를 이용하여 실린더의 일측을 여러번 타격할 수 밖에 없는데, 이 경우 실린더가 파손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곡물 퍼핑 장치가 가지는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스크류의 외주면을 감싸는 실린더를 이중의 대칭 구조물로 분할 구성함으로써, 곡물 퍼핑시에는 원통형의 구조를 이루는 반면, 그 분리 작업시에는 이중의 대칭 구조물인 실린더를 하나씩 분리시키도록 하여, 곡물의 압축시 그 압축에 따른 자체 발열로 곡물 찌꺼기가 팽창하면서 스크류의 외주면과 실린더의 내주면에 달라 붙더라도 실린더를 별도의 공구에 의한 타격작업없이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곡물 퍼핑이 이루어진 이후에 곡물 퍼핑 장치에 대한 청소나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곡물 퍼핑 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중의 대칭 구조물인 실린더의 외주면이 테이퍼지게 구성함으로써, 본체내에서의 접촉 단면적을 줄여 그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 곡물 퍼핑 장치는, 내부에 모터가 구성되고, 일면에 제 1 곡물투입구를 형성한 원통형의 출구케이스를 돌출 구성한 본체; 상기 모터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출구케이스 측으로 연장 구성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곡물을 이송 및 압축시키도록 제 1 나선부를 형성한 스크류; 상기 스크류와 함께 곡물을 압축한 후 그 압축에 의해 상기 곡물을 자체 발열시켜 겔 상태로 변화시키는 실린더; 및, 상기 출구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 및 실린더에 의해 겔 상태로 변화된 곡물을 외부로 급속 분출하여 퍼핑되도록 하는 퍼핑유닛; 을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실린더는 상기 스크류와 상기 출구케이스의 사이에서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 상단을 감싸도록 끼움 결합되면서 제 2 곡물투입구와 제 2 나선부를 형성하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와 대칭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스크류와 상기 출구케이스의 사이에서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 하단을 감싸도록 끼움 결합되면서 내주면에 제 3 나선부를 형성하는 제 2 실린더; 로 분할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제 1,2 실린더는 외주면이 선,후단측의 직경이 서로 다르도록 테이퍼지게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출구케이스에는 끼움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실린더의 선단측 외주면에는 상기 끼움홈에 끼움되어 실린더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결합돌기를 구성한 것이다.
또한, 상기 출구케이스에는 위치결정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실린더의 선단측 외주면에는 상기 위치결정홀에 대응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며, 상기 위치결정홀을 통해 상기 안착홈부에는 실린더의 결합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돌기가 결합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크류의 종단측에 위치하는 제 1 나선부에는 상기 스크류의 종단측에 대한 열전도도를 증가시키면서 곡물의 퍼핑에 따른 발열량을 높이는 나선연결부를 구성한 것이다.
이와같이 본 발명은 스크류의 외주면을 감싸는 실린더를 이중의 대칭 구조물로 분할 구성함은 물론, 이중의 대칭 구조물인 실린더의 외주면이 테이퍼지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에따라 곡물 퍼핑시에는 원통형의 구조를 이루는 반면, 그 분리 작업시에는 이중의 대칭 구조물인 실린더를 하나씩 분리시키도록 하여, 곡물의 압축시 그 압축에 따른 자체 발열로 곡물 찌꺼기가 팽창하면서 스크류의 외주면과 실린더의 내주면에 달라 붙더라도 실린더를 별도의 공구에 의한 타격작업없이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곡물 퍼핑이 이루어진 이후에 곡물 퍼핑 장치에 대한 청소나 보수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곡물 퍼핑 장치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곡물 퍼핑 장치의 분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곡물 퍼핑 장치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실린더의 분해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곡물 퍼핑 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곡물 퍼핑 장치의 구조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곡물 퍼핑 장치의 분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곡물 퍼핑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실린더의 분해 상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로 곡물 퍼핑 장치의 사용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곡물 퍼핑 장치는 본체(10), 스크류(20), 실린더(30), 퍼핑유닛(40), 그리고 위치결정돌기(50)와 커터(60)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10)는 박스형 구조물로 그 내부에는 상기 스크류(20)에 연결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모터(11)가 구성됨은 물론, 일면에는 제 1 곡물투입구(12)를 형성한 원통형의 출구케이스(13)가 돌출 구성되고, 상기 출구케이스(13)에는 끼움홈(13a)과 위치결정홀(13b)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여기서, 상기 본체(10)의 후면 또는 일측면에는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어패널이 구성되며, 상기 제어패널의 조작으로부터 상기 모터(11)의 구동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스크류(20)는 상기 모터(11)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곡물을 이송 및 압축시키도록 외주면에 제 1 나선부(21)가 형성되며, 상기 모터(11)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출구케이스(13) 측으로 연장 구성되고, 상기 모터(11)와의 연결방향과 반대방향인 종단측의 제 1 나선부(21)에는 상기 스크류(20)의 종단측에 대한 열전도도를 증가시키면서 곡물의 퍼핑에 따른 발열량을 높이게 하는 나선연결부(22)가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나선연결부(22)는 스크류(20)의 종단측에 형성되는 여러라인의 제 1 나선부(21)에 있어, 복수의 제 1 나선부(21)를 연결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실린더(30)는 상기 스크류(20)와 함께 곡물을 압축한 후 그 압축에 의해 상기 곡물을 자체 발열시켜 겔 상태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대칭 구조를 이루는 제 1,2 실린더(31)(32)로 분할 구성되면서 상기 스크류(20)와 상기 출구케이스(13)의 사이에서 상기 스크류(2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이다.
즉, 상기 제 1 실린더(31)는 상기 스크류(20)와 상기 출구케이스(13)의 사이에서 상기 스크류(20)의 외주면 상단을 감싸도록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제 2 곡물투입구(31a)와 제 2 나선부(31b)가 형성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제 2 곡물투입구(31a)는 상기 제 1 실린더(31)의 결합이 이루어질 때, 상기 출구케이스(13)에 형성되는 제 1 곡물투입구(12)와 동일 수직라인에 위치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 1 실린더(31)의 선단측 외주면에는 상기 출구케이스(13)에 형성되는 끼움홈(13a)에 끼움되어 상기 제 1 실린더(31)는 물론 이에 면접촉이 이루어지는 제 2 실린더(32)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결합돌기(31c)가 구성됨은 물론, 상기 위치결정홀(13b)에 대응하는 안착홈부(31d)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에따라, 상기 위치결정홀(13b)을 통해 상기 안착홈부(31d)에 상기 위치결정돌기(50)를 결합시, 상기 위치결정돌기(50)에 의해 상기 실린더(30)를 이루는 제 1,2 실린더(31)(32)의 결합위치를 잡아줄수 있는 것이다.
상기 제 2 실린더(32)는 상기 제 1 실린더(31)와 대칭 구조를 이루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20)와 상기 출구케이스(13)의 사이에서 상기 스크류(20)의 외주면 하단을 감싸도록 끼움 결합되며, 내주면에 제 3 나선부(32a)가 형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 1,2 실린더(31)(32)는 외주면이 선,후단측의 직경이 서로 다르도록 테이퍼지게 구성한 것이며, 이는 상기 제 1,2 실린더(31)(32)와 상기 출구케이스(13)와의 접촉면적을 줄여, 상기 제 1,2 실린더(31)(32)가 각각 상기 출구케이스(13)와 스크류(20)의 사이에서 그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퍼핑유닛(40)은 상기 출구 케이스(13)의 선단측에 나사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스크류(20) 및 실린더(30)에 의해 겔 상태로 곡물이 변화되었을 때 이를 외부로 급속 분출하여 퍼핑되도록 구성한 것으로 곡물배출구(미도시)가 형성된 것이다.
상기 커터(60)는 상기 퍼핑유닛(40)의 곡물배출구를 통해 배출되는 퍼핑이 완료된 곡물를 자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본체(10)의 일면 외부에 설치되어 일정속도로 회전하여, 상기 퍼핑된 곡물를 소정의 크기로 잘라내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커터(60)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은 모터(61)로서 이는 상기 본체(10)내에 구성되고, 상기 모터(61)의 구동축에 상기 커터(60)가 결합되어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 구성되는 곡물 퍼핑 장치에 대한 작용에 대하여 첨부된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본체(10)의 출구케이스(13)와 그 내부에 위치하는 스크류(20)의 사이에서, 상기 스크류(20)의 외주면 하단 공간으로 실린더(30)에 포함되는 제 2 실린더(32)를 끼움 결합시킨다.
다음으로, 상기 스크류(20)의 외주면 상단 공간으로 실린더(30)에 포함되는 제 1 실린더(31)를 끼움 결합시킨 후, 상기 제 1 실린더(31)에 마련되는 결합돌기(31c)를 상기 출구케이스(13)에 형성되는 끼움홈(13a)에 끼운다.
그러면, 상기 제 1 실린더(31)에 형성된 제 2 곡물투입구(31a)는 상기 출구케이스(13)에 형성되는 제 1 곡물투입구(12)와 동일 수직라인에 위치하게 되고, 이와동시에 상기 제 1 실린더(31)에 형성되는 안착홈부(31d) 또한 상기 출구케이스(13)에 형성되는 위치결정홀(13b)과 동일 수직라인에 위치하게 되면서, 상기 제 1 실린더(31)는 물론, 상기 제 1 실린더(31)에 대응하는 제 2 실린더(32)는 상기 결합돌기(31c)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위치결정홀(13b)을 통해 상기 안착홈부(31d)에 위치결정돌기(50)를 결합시키면, 상기 위치결정돌기(50)에 의해 상기 실린더(30)를 이루는 제 1,2 실린더(31)(32)는 유동되지 않고 정위치로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호퍼(62)를 통해 단위시간당 일정량의 곡물을 출구케이스(13)의 제 1 곡물투입구(12)로 투입시, 상기 곡물은 실린더(30)에 포함되는 제 1 실린더(31)의 제 2 곡물투입구(31a)를 통해, 상기 실린더(30)를 이루는 대칭 구조물인 제 1,2 실린더(31)(32)와 스크류(2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안내된다.
그러면, 상기 스크류(20)는 모터(11)의 구동력에 따라 회전하면서 투입된 곡물을 퍼핑유닛(40)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때 곡물이 퍼핑유닛(40)측으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곡물들끼리 마찰을 하기도 하고, 곡물과 스크류(20)의 외주면, 실린더(30)를 이루는 제 1,2 실린더(31)(32)의 내주면 사이에서 마찰을 하면서 마찰열이 발생된다.
이때, 상기 마찰열에 의해 곡물은 퍼핑유닛(40)측으로 이동될 때 겔 상태로 변하게 되고, 그러면 곡물의 내부에 있던 수분이 증발하면서 스크류(20)와 실린더(30)에 의해 형성된 공간(이하 '퍼핑공간'이라함)의 압력도 함께 올라가게 되며, 이러한 고온, 고압의 상태에서 곡물은 계속해서 퍼핑유닛(40)측으로 이동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퍼핑공간을 거쳐 퍼핑유닛(40)측으로 이송된 곡물은 본체(10)에 마련된 곡물배출구(미도시)를 통해 외부로 나오게 되는데, 이때 퍼핑공간내의 압력에 비해 대기압이 상대적으로 낮으므로 상기 곡물은 팽창을 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퍼핑된 곡물이 곡물배출구을 통해 배출되어 팽창하게 되면, 이를 상품화 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크기로 잘라 포장이 용이하게 해야 하므로, 구동부인 모터(61)를 이용하여 커터(60)를 회전시킴으로써 일정한 크기로 잘라내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와 같이 곡물에 대한 퍼핑작업이 완료된 상태에서, 상기 실린더(30)를 이루는 제 1,2 실린더(31)(32)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 상기 제 1,2 실린더(31)(32)는 별도의 공구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작업자에 의해 손쉽게 그 분리가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상기 실린더(30)가 대칭구조를 이루는 제 1,2 실린더(31)(32)로 분할 구성되면서, 상기 제 1,2 실린더(31)(32)의 외주면은 그 양끝단이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지도록 테이퍼져 있는 것인 바,
상기 제 1,2 실린더(31)(32)가 곡물의 자체 발열에 따른 고열로 인해 팽창하더라도, 상기 제 1,2 실린더(31)(32)의 외주면과 출구케이스(13)의 내주면 사이의 접촉 면적은 축소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 1,2 실린더(31)(32)의 외주면과 출구케이스(13)의 내주면이 달라 붙게 되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음은 물론, 상기 제 1,2 실린더(31)(32)의 내주면과 스크류(20)의 외주면에 겔 상태로 변화된 곡물 찌꺼기가 달라 붙더라도, 우선적으로 위치결정돌기(50)를 분리시킨 후 상기 분리형 구조물인 제 1 실린더(31)를 잡아 당기면, 상기 제 1 실린더(31)는 손쉽게 분리될 수 있고, 더불어 대칭 구조를 이루는 제 2 실린더(32) 또한 잡아당김에 의해 그 분리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즉, 원통형의 실린더는 상기 곡물찌꺼기의 영향을 받아 그 분리작업시 걸림현상이 발생할 수 있지만, 상기 분리형 구조물인 상기 제 1,2 실린더(31)(32)는 곡물찌거기의 영향을 받지 않고 그 분리가 순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0; 본체 11; 모터
12; 제 1 곡물투입구 13; 출구케이스
13a; 끼움홈 13b; 위치결정홀
20; 스크류 21; 제 1 나선부
22; 나선연결부 30; 실린더
31; 제 1 실린더 31a; 제 2 곡물투입구
31b; 제 2 나선부 31d; 안착홈부
40; 퍼핑유닛 50; 위치결정돌기
60; 커터

Claims (5)

  1. 내부에 모터가 구성되고, 일면에 제 1 곡물투입구를 형성한 원통형의 출구케이스를 돌출 구성한 본체; 상기 모터에 일단이 연결되면서 상기 출구케이스 측으로 연장 구성되고, 상기 모터의 구동에 따라 회전하면서 곡물을 이송 및 압축시키도록 제 1 나선부를 형성한 스크류; 상기 스크류와 함께 곡물을 압축한 후 그 압축에 의해 상기 곡물을 자체 발열시켜 겔 상태로 변화시키는 실린더; 및, 상기 출구 케이스에 결합되고, 상기 스크류 및 실린더에 의해 겔 상태로 변화된 곡물을 외부로 급속 분출하여 퍼핑되도록 하는 퍼핑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실린더는 상기 스크류와 상기 출구케이스의 사이에서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 상단을 감싸도록 끼움 결합되면서 제 2 곡물투입구와 제 2 나선부를 형성하는 제 1 실린더와, 상기 제 1 실린더와 대칭 구조를 이루면서 상기 스크류와 상기 출구케이스의 사이에서 상기 스크류의 외주면 하단을 감싸도록 끼움 결합되면서 내주면에 제 3 나선부를 형성하는 제 2 실린더;로 분할 구성되고,
    상기 출구케이스에 끼움홈 및 위치결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실린더의 선단측 외주면에 상기 끼움홈에 끼움되어 실린더의 회전을 방지시키는 결합돌기 및 상기 위치결정홀에 대응하는 안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위치결정홀을 거쳐 상기 안착홈부로 상기 실린더의 결합위치를 결정하는 위치결정돌기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퍼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2 실린더는 외주면이 선,후단측의 직경이 서로 다르도록 테이퍼지게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퍼핑 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의 종단측에 위치하는 제 1 나선부에는 상기 스크류의 종단측에 대한 열전도도를 증가시키면서 곡물의 퍼핑에 따른 발열량을 높이는 나선연결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곡물 퍼핑 장치.
KR1020110031812A 2011-04-06 2011-04-06 곡물 퍼핑 장치 KR101296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812A KR101296847B1 (ko) 2011-04-06 2011-04-06 곡물 퍼핑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31812A KR101296847B1 (ko) 2011-04-06 2011-04-06 곡물 퍼핑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062A KR20120114062A (ko) 2012-10-16
KR101296847B1 true KR101296847B1 (ko) 2013-08-14

Family

ID=47283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1812A KR101296847B1 (ko) 2011-04-06 2011-04-06 곡물 퍼핑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9684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1987B1 (ko) * 2018-11-29 2021-07-02 박성원 면 또는 떡 제조 장치의 결합 구조
KR102468197B1 (ko) * 2019-09-19 2022-1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
JP7282438B2 (ja) 2019-09-19 2023-05-29 エルジー・ケム・リミテッド 高吸水性樹脂の含水ゲル細切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520A (ko) * 2005-10-25 2007-04-30 구본 곡물 퍼핑 장치
KR100807527B1 (ko) * 2007-04-10 2008-02-26 최기홍 곡물 퍼핑 장치
KR100896008B1 (ko) * 2008-05-06 2009-05-07 신진호 떡 제조장치
KR20100031399A (ko) * 2008-09-12 2010-03-22 최기홍 곡물 퍼핑 스낵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4520A (ko) * 2005-10-25 2007-04-30 구본 곡물 퍼핑 장치
KR100807527B1 (ko) * 2007-04-10 2008-02-26 최기홍 곡물 퍼핑 장치
KR100896008B1 (ko) * 2008-05-06 2009-05-07 신진호 떡 제조장치
KR20100031399A (ko) * 2008-09-12 2010-03-22 최기홍 곡물 퍼핑 스낵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114062A (ko) 2012-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96847B1 (ko) 곡물 퍼핑 장치
JP2005232453A5 (ko)
KR101282315B1 (ko) 착즙기
TWI716466B (zh) 複合材料加工裝置、工序及複合板
KR100716615B1 (ko) 곡물 퍼핑 장치
KR101396423B1 (ko) 곡물스낵 제조용 퍼핑장치
KR20180027401A (ko) 육류 함량이 많은 식품 또는 사료 제품을 가공하는 장치 및 방법
JP5149374B2 (ja) 穀物膨化機
CN104266474A (zh) 振动干燥处理装置
KR101383346B1 (ko) 곡물 퍼핑 장치
KR101814928B1 (ko) 착즙 효율을 높인 농산물 분쇄 및 착즙 장치
KR101384599B1 (ko) 곡물 퍼핑 장치
KR20080081718A (ko) 스낵제조용 퍼핑장치
KR101998206B1 (ko) 곡물 과자 성형장치용 배출캡
KR102212437B1 (ko) 곡물 퍼핑장치
CN114080909A (zh) 一种干燥粉碎一体机
CN211153698U (zh) 一种自动碧根果脱壳机
CN206980948U (zh) 一种红薯粉碎装置
KR20150004180U (ko) 곡물스낵 퍼핑기의 냉각장치
KR101010912B1 (ko) 전기녹즙기
KR20160057279A (ko) 떡 제조장치
KR20160072594A (ko) 펠릿 성형 장치
CN107712962A (zh) 一种高效的瓜籽烘干装置
CN215198233U (zh) 风选机
CN116493106B (zh) 一种佐料研磨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