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8197B1 -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 - Google Patents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8197B1
KR102468197B1 KR1020200050855A KR20200050855A KR102468197B1 KR 102468197 B1 KR102468197 B1 KR 102468197B1 KR 1020200050855 A KR1020200050855 A KR 1020200050855A KR 20200050855 A KR20200050855 A KR 20200050855A KR 102468197 B1 KR102468197 B1 KR 10246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body
hydrogel
transfer
water
containing g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08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876A (ko
Inventor
우희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to CN202080030016.0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727780B/zh
Priority to BR112021022743A priority patent/BR112021022743A2/pt
Priority to PCT/KR2020/006215 priority patent/WO2021054564A1/ko
Priority to US17/608,030 priority patent/US11975335B2/en
Priority to EP20864628.1A priority patent/EP3939756B1/en
Priority to JP2021562149A priority patent/JP7282438B2/ja
Publication of KR20210033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81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12Making granules characterised by structure or com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2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 B26D5/22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with interrelated action between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having the cutting member and work feed mechanically 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0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 B02C18/1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vertical containers with drive arranged above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2Feed or discharge means
    • B02C18/2225Feed means
    • B02C18/2258Feed means of screw ty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26D7/066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by 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4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 B29B7/42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with screw sections co-operating, e.g. intermeshing, with elements on the wall of the surrounding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4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 B29B7/426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with consecutive casings or screws, e.g. for charging, discharging, mix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582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discharging, e.g.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9/00Making granules
    • B29B9/02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 B29B9/06Making granules by dividing preformed material in the form of filamentary material, e.g. combined with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01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 B29C48/0022Combinations of extrusion moulding with other shaping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4Particle-shap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45Extrusion nozzles comprising two or more adjacently arranged ports, for simultaneously extruding multiple strands, e.g. for pelleti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375Plasticisers, homogenisers or feeders comprising two or more stages
    • B29C48/385Plasticisers, homogenisers or feeders comprising two or more stages using two or more serially arranged screws in separate barr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Abstract

함수겔 세절장치가 개시된다. 함수겔 세절장치는, 내부에 함수겔이 이송되는 제1 이송 공간이 형성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배럴 바디와. 제1 배럴 바디에 설치되어 제1 이송 공간에서 함수겔을 이송하는 제1 이송부와, 제1 배럴 바디의 측면에 설치되며 제1 이송 공간에 연결된 제2 이송 공간이 상기 제1 방향과 엇갈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배럴 바디와, 제2 배럴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 공간에서 상기 함수겔을 이송하는 제2 이송부와, 제2 배럴 바디에 설치되어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함수겔을 분쇄하는 커터부재와, 커터부재에 의해 분쇄된 함수겔 입자를 제2 배럴 바디의 외부로 배출하는 다공판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배럴 바디가 연장 형성된 제2 방향은 제1 배럴 바디의 제1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배럴 바디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MINUTE CUTTING APPARATUS FOR SUPER ABSORBENT POLYMER HYDROUS GEL}
본 발명은 함수겔을 균일하게 세절하는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고흡수성 수지(Super Absorbent Polymer, SAP)란 자체 무게의 5백 내지 1천 배 정도의 수분을 흡수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합성 고분자 물질로서, 개발업체마다 SAM(Super Absorbency Material), AGM(Absorbent Gel Material) 등 각기 다른 이름으로 명명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흡수성 수지는 생리용구로 실용화되기 시작해서, 현재는 어린이용 종이기저귀 등 위생용품 외에 원예용 토양보수제, 토목, 건축용 지수재, 육묘용 시트, 식품유통분야에서의 신선도 유지제, 및 찜질용 등의 재료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고흡수성 수지를 제조하는 방법으로는 역상현탁중합에 의한 방법 또는 수용액 중합에 의한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역상현탁중합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일본 특개소 56-161408, 특개소 57-158209, 및 특개소 57-198714 등에 개시되어 있다. 수용액 중합에 의한 방법으로는 또 다시, 여러 개의 축을 구비한 반죽기 내에서 함수겔상 중합체를 파단, 냉각하면서 중합하는 열중합 방법, 및 고농도 수용액을 벨트상에서 자외선 등을 조사하여 중합과 건조를 동시에 행하는 광중합 방법 등이 알려져 있다.
상기와 같은 중합 반응을 거쳐 얻은 함수겔(hydrogel) 또는 함수겔상 중합체(hydrogel polymer)는 일반적으로 건조공정을 거쳐 분쇄한 뒤 분말상의 제품으로 시판된다. 상기와 같은 건조 단계를 효율적으로 진행하기 위해서는 함수겔상 중합체의 표면적을 가능한 크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상기 건조공정 전에 함수겔상 중합체의 표면적을 가능한 크게 하기 위해, 열중합 또는 광중합을 통해 중합된 함수겔상 중합체를 간단히 분쇄하여 건조할 함수겔상 중합체의 표면적을 늘리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함수겔상 중합체의 표면적을 늘리기 위해, 함수겔상 중합체의 중합 후 이를 1차적으로 분쇄하는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함수겔의 1차 분쇄 공정에서 주로 초퍼(chopper)가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초퍼는 함수겔을 이동시키는 스크류와, 나선을 포함하는 배럴과, 함수겔을 자르는 커터날과, 잘려진 함수겔이 배출되는 다공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 초퍼는, 배럴 및 스크류에 투입되는 함수겔 입자의 이동 방향이 수평하다. 따라서 다공판이 배치된 위치에서 함수겔 입자에 걸리는 압이 균일하지 않고 배럴의 하부 위치가 상부 보다 작용 압력이 크게 되어, 다공판에서 균일한 세절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함수겔의 세절된 입자의 크기가 균일하지 않는 경우, 함수겔의 건조 과정에서 입자마다 불균일한 건조가 발생되어 과한 건조 또는 미건조물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함수겔의 과한 건조물은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공정에서 많은 미분을 발생시켜 제조 공정에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또한, 함수겔의 미건조물은 제조된 고흡수성 수지의 물성 뿐만 아니라 분쇄 또는 분급 등의 공정에서 원활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가 어렵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함수겔의 균일한 세절 작업이 가능하여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품질이 향상되는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내부에 함수겔이 이송되는 제1 이송 공간이 형성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배럴 바디와. 제1 배럴 바디에 설치되어 제1 이송 공간에서 함수겔을 이송하는 제1 이송부와, 제1 배럴 바디의 측면에 설치되며 제1 이송 공간에 연결된 제2 이송 공간이 상기 제1 방향과 엇갈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배럴 바디와, 제2 배럴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 공간에서 상기 함수겔을 이송하는 제2 이송부와, 제2 배럴 바디에 설치되어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함수겔을 분쇄하는 커터부재와, 커터부재에 의해 분쇄된 함수겔 입자를 제2 배럴 바디의 외부로 배출하는 다공판을 포함한다.
제2 배럴 바디가 연장 형성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배럴 바디 제1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제2 배럴 바디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럴 바디가 연장 형성된 제2 방향은 제1 배럴 바디의 제1 방향에 대해 예각 범위의 엇갈린 방향으로서, 제2 배럴 바디는 제1 배럴 바디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럴 바디가 연장 형성된 제2 방향은 제1 배럴 바디의 제1 방향에 대해 둔각 범위의 엇갈린 방향으로서, 제2 배럴 바디는 제1 배럴 바디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제2 배럴 바디가 연장 형성된 제2 방향은 중력 방향이고, 제1 배럴 바디가 연장 형성된 제1 방향은 지면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제1 배럴 바디는 제2 배럴 바디에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제1 배럴 바디는, 내부에 함수겔 입자가 이동되는 제1 이동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함수겔 입자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이송부는, 제1 이송 공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함수겔을 이동시키는 제1 스크류부재와, 제1 스크류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럴 바디는, 제1 배럴 바디의 측면에 설치되고 제1 이송 공간에 연통된 제2 이동 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분쇄된 함수겔 입자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이송부는, 제2 이송 공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제1 이송 공간을 통해 유입된 함수겔을 배출부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스크류부재와, 제2 배럴바디에 설치되어 제2 스크류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커터부재는 배출부 위치에서 제2 스크류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모터와 제2 구동모터는 구동축의 회전 속도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커터부재는 제2 스크류부재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제2 배럴 바디는 구동부의 구동 작동에 의해 제1 배럴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구동부는, 제1 배럴 바디에 설치되며 제2 배럴 바디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부재일 수 있다.
제1 배럴 바디와 제2 배럴 바디의 연결 위치의 둘레에는 커버부재가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함수겔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중력 방향을 향한 상태에서 배출부 위치에 다공판을 설치하여 함수겔이 다공판에 균일하게 가압된 상태로 세절되도록 하는 바, 함수겔의 균일한 세절 작업이 이루어져 흡수성 수지의 제조 품질 향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함수겔은 중력 방향으로 이송되어 다공판을 통과하여 세절되는 바, 함수겔의 역류를 방지하기 위한 역류방지부재를 설치하지 않은 상태로 안정적인 세절이 작업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함수겔이 배출되는 배출부가 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위치된 상태에서 함수겔이 다공판을 통과하여 세절되도록 하는 바, 함수겔의 이송량에 따라 안정적인 세절 작업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배럴 바디의 내벽면에 배럴 나선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IⅤ-IⅤ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제1 배럴 바디의 내벽면에 배럴 나선이 형성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도면이다. 또한 도 4는 도 2의 IV-IV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100)는, 내부에 함수겔이 이송되는 제1 이송 공간(11)이 형성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제1 배럴 바디(10)와, 제1 배럴 바디(10)에 설치되어 제1 이송 공간(11)에서 함수겔을 이송하는 제1 이송부(20)와, 제1 배럴 바디(10)의 측면에 설치되며 제1 이송 공간(11)에 연결된 제2 이송 공간(31)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방향과 엇갈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배럴 바디(30)와, 제2 배럴 바디(30)에 설치되어 제2 이송 공간(31)에서 함수겔을 이송하는 제2 이송부(40)와, 제2 배럴 바디(30)에 설치되어 제2 이송부(40)에 의해 이송된 함수겔을 분쇄하는 커터부재(50)와, 커터부재(50)에 의해 분쇄된 함수겔 입자를 제2 배럴 바디(30)의 외부로 배출하는 다공판(60)을 포함한다.
제1 배럴 바디(10)는 내부에 함수겔이 이송되는 제1 이송 공간(11)이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상태로 바닥면에 지지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배럴 바디(10)의 상부에는 제1 이송 공간(11)으로 함수겔을 투입하는 투입부(17)가 개구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제1 배럴 바디(10)의 하부에는 바닥면에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지지 베이스부(13)가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제1 배럴 바디(10)는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제1 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은 제1 배럴 바디(10)가 바닥면에 안착된 상태에서 바닥면에 수평한 상태에서 원통형의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럴 바디(10)의 내부에는 배럴 나선(15)이 돌출되는 것도 가능하다.
배럴 나선(15)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배럴 바디(10)의 내벽면에서 제1 스크류부재(21)의 나선 형상에 대응하여 반대 방향으로의 다수의 나선 형상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배럴 나선(15)은 제1 배럴 바디(10)의 내벽면에 돌출 형성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하지만, 이에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미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배럴 나선(15)은 나선 형상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배럴 바디(10)의 내벽면에 동심원상의 띠상 돌기 또는 제1 스크류부재(21)의 나선 위치에 대응하게 돌출되는 구상 또는 각상 돌기 등으로 다양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배럴 나선(15)이 제1 배럴 바디(10)의 내부에 돌출 형성되는 바, 함수겔의 세절 보조 작용과 함께 함수겔이 역류하지 않고 안정적으로 이송되는 것이 가능하다.
함수겔은 투입부(17)를 통해 제1 배럴 바디(10)의 내부로 투입된 상태에서 후술하는 제1 이송부(20)의 이송 작동에 의해 이송될 수 있다.
투입부(17)는 제1 배럴 바디(10)의 상측에 개구된 상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측으로 확관된 상태로 설치되어 함수겔이 내부에 용이하게 투입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수겔은 제1 배럴 바디(10)의 내부에 투입된 상태에서 제1 이송부(20)의 구동력에 의해 제2 배럴 바디(30) 방향으로 이송되어 적절하게 분쇄될 수 있다.
제1 이송부(20)는 제1 배럴 바디(10)에 설치되는 것으로 함수겔의 이송을 위한 이송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이송부(20)는, 제1 이송 공간(1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함수겔을 이동시키는 제1 스크류부재(21)와, 제1 스크류부재(21)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모터(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크류부재(21)는, 제1 배럴 바디(10)의 내부에서 제1 이송 공간(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제1 구동모터(23)의 구동 작동에 의해 회전되어 제1 이송 공간(11)에 충진된 함수겔을 제2 배럴 바디(30)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모터(23)는 제1 배럴 바디(10)에 설치되는 것으로 구동축은 제1 스크류부재(21)의 일단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스크류부재(21)를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함수겔이 제1 배럴 바디(10)의 내부에서 적절한 이송 속도를 유지한 상태로 이송되도록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1 구동모터(23)와 제1 스크류부재(21)는 감속기(미도시)를 통해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1 배럴 바디(10)의 측면에는 제2 배럴 바디(3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배럴 바디(30)는 제1 배럴 바디(10)의 측면에서 제1 배럴 바디(10)의 설치된 제1 방향에 엇갈리는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럴 바디(30)가 제1 배럴 바디(10)에 설치되는 제2 방향은, 본 실시예에서 바닥면에 수평한 제1 방향에 직교하여 바닥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제2 배럴 바디(30)의 제2 방향은 제1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1 방향에 대해 예각 또는 둔각의 범위의 엇갈린 각도로 적절하게 변경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제3 실시예 및 제4 실시예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 실시예에서 제2 배럴 바디(30)가 제1 배럴 바디(10)의 측면에서 제1 배럴 바디(1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설치되는 것은, 제1 이송 공간(11)에서 이송되는 함수겔 입자의 유동 방향을 중력 방향으로 변경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함수겔 입자는 제2 배럴 바디(30)의 제2 이송 공간(31)에서 중력 방향으로 이동되는 바, 후술하는 다공판(60)에 균일한 압력으로 공급되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다공판(60)을 설명하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2 배럴 바디(30)에는 제2 이송 공간(31)으로 이송된 함수겔을 배출부(32)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이송부(40)가 설치될 수 있다.
제2 이송부(40)는 제2 이송 공간(3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제2 스크류부재(41)와, 제2 스크류부재(41)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모터(4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크류부재(41)는 제2 이송 공간(31)의 내부에서 제2 배럴 바디(3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갖도록 설치되는 것으로, 제1 이송 공간(11)을 통과하여 제2 이송 공간(31)으로 이송된 함수겔을 배출부(32) 방향으로 이송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구동모터(43)는 제2 배럴 바디(30)의 상측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2 스크류부재(41)의 단부에 구동축이 연결되어 제2 스크류부재(41)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구동모터(43)와 제2 스크류부재(41)는 감속기(미도시)를 통해 회전 구동력이 전달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제2 스크류부재(41)에는 커터부재(50)가 제2 스크류부재(41)의 회전과 함께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커터부재(50)는 제2 스크류부재(41)에서 제2 배럴 바디(30)에 형성된 배출부(32)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바, 제2 스크류부재(41)에 의해 제2 이송 공간(31)에서 이송된 함수겔을 적절하게 분쇄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커터부재(50)는 제2 스크류부재(41)의 단부에 하나로 설치되는 것을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커터부재(50)는 제2 스크류부재(41)의 단부에 하나로 설치되는 것으로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함수겔의 이송량에 대응하여 적어도 2개 이상의 복수개로 설치되는 것으로 적절하게 변경 적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술한 제1 구동모터(23)와 제2 구동모터(43)는 서로간에 회전 속도를 달리한 상태로 구동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제1 구동모터(23)의 구동으로 함수겔이 제1 배럴 바디(10)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이송 속도의 제2 구동모터(43)의 구동으로 함수겔이 제2 배럴 바디(30)의 내부에서 다공판(60) 방향으로 이송되는 속도 조절을 각각 달리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1 구동모터(23)와 제2 구동모터(43)가 함수겔이 중력 방향으로 설치된 다공판(60)에 보다 안정적인 속도로 공급되도록 작동되어 함수겔의 보다 안정적인 이송이 가능하다.
한편, 커터부재(50)에 의해 분쇄된 함수겔은 다공판(60)에 의해 압출 배출될 수 있다.
다공판(60)은 제2 배럴 바디(30)의 배출부(32) 위치에 설치되는 것으로 복수개의 세절공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커터부재(50)에 의해 분쇄된 함수겔은 제2 스크류부재(41)의 회전 작동에 의해 발생된 가압력에 의해 제2 배럴 바디(30)의 내부에서 가압 이동되는 바, 다공판(60)의 세절공을 통해 안정적으로 배출될 수 있다.
다공판(60)은 열처리된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바, 함수겔의 이송되는 가압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배럴 바디(30)는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제1 배럴 바디(10)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바, 제2 스크류부재(41)의 회전 작동에 따라 발생된 가압력은 다공판(60)의 표면에 균일하게 작용될 수 있다.
따라서, 함수겔은 제2 배럴 바디(30)의 제2 이송 공간(31)에서 이송되면서 다공판(60)의 표면에 균일하게 가압되는 바, 함수겔은 다공판(60)의 세절공을 통과하면서 균일하게 세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함수겔 세절장치(100)는, 함수겔이 1차적으로 이송되는 제1 배럴 바디(10)와, 제1 배럴 바디(10)의 측면에 배출부(32)가 중력 방향을 향하도록 제2 배럴 바디(30)를 설치한 상태에서, 함수겔이 다공판(60)을 통과하면서 세절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함수겔은 다공판(60)에 균일하게 가압된 상태로 세절되는 바, 함수겔의 균일한 세절 작업이 이루어져 흡수성 수지의 제조 품질 향상이 가능하다.
아울러, 함수겔은 중력 방향으로 설치된 제2 배럴 바디(30)에서 이송되어 다공판(60)을 통과하여 세절되는 바, 별도의 역류방지부재를 설치하지 않아도 안정적인 함수겔의 세절이 가능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함수겔 세절장치(200)의 커터부재(150) 및 다공판(160)은 제2 스크류부재(41)에 복수개로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스크류부재(41)의 회전 작동에 따라 함수겔을 복수개의 커터부재(150)를 이용하여 분쇄하는 것이 가능한 바, 효과적인 함수겔 분쇄 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 가능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함수겔 세절장치(300)의 제1 배럴 바디(30)는 바닥면에 수평한 제1 방항으로 연장되고, 제2 배럴 바디(30)는 제1 배럴 바디(10)의 측면에서 제1 방향에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서, 제2 배럴 바디(30)가 연장 형성된 제2 방향은, 제1 배럴 바디(10)가 연장 형성된 제1 방향에 대해 예각(α)으로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배럴 바디(30)가 제1 배럴 바디(10)에 대해 예각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 함수겔은 제2 배럴 바디(30)의 제2 이송 공간(31에서 경사진 상태로 이송되면서 다공판(60)의 표면에 가압되는 바, 함수겔은 다공판(60)의 세절공을 통과하면서 균일하게 세절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함수겔은 제2 배럴 바디(30)의 예각으로 경사진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되어 다공판(60)에서 세절되는 바, 함수겔의 급격한 하강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안정적인 세절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함수겔 세절장치(300)의 제1 배럴 바디(30)는 바닥면에 수평한 제1 방항으로 연장되고, 제2 배럴 바디(30)는 제1 배럴 바디(10)의 측면에서 제1 방향에 엇갈리는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바닥면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4 실시예에서, 제2 배럴 바디(30)가 연장 형성된 제2 방향은, 제1 배럴 바디(10)가 연장 형성된 제1 방향에 대해 둔각으로 경사지게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함수겔은 제2 배럴 바디(30)의 둔각으로 경사진 내부 공간을 따라 이동되어 다공판(60)에서 세절되는 바, 함수겔의 급격한 하강이 발생되지 않은 상태로 안정적인 세절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과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함수겔 세절장치(500) 제1 배럴 바디(30)가 연장 형성된 제1 방향은 지면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배럴 바디(30)가 연장 형성된 제2 방향은 지면에 연직한 방향으로 긴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배럴 바디(10)는 지면에 방향으로 경사진 상태로 형성되고, 제2 배럴 바디(30)는 지면에 연직한 방향으로 형성되는 바, 제1 배럴 바디(10)와 제2 배럴 바디(30)는 서로간에 경사진 상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배럴 바디(10)가 지면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바, 함수겔의 이동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9의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요부 단면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8와 동일 참조 번호는 동일 또는 유사 기능의 동일 또는 유사부재를 말한다. 이하에서 동일 참조 번호에 대해서는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함수겔 세절장치(600)는, 제2 배럴 바디(30)는 제1 배럴 바디(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제2 배럴 바디(30)는 일부분이 제1 배럴 바디(10)에 힌지(51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배럴 바디(30)와 제1 배럴 바디(10)의 사이에는 플렉시블 재질의 커버부재(520)로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배럴 바디(30)는 설치된 하중을 지지하는 소정의 지지부재로 바닥면에 지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제2 배럴 바디(30)의 회전 각도의 조절은 실린더부재 등의 구동부(530)에 의해 각도의 회전 각도의 조절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제2 배럴 바디(30)가 제1 배럴 바디(10)에 설치된 회전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바, 함수겔의 이송량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이송 각도를 조절하여 원활한 세절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한 도면의 범위 안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당연하다.
10...제1 배럴 바디 11...제1 이송 공간
13...지지 베이스부 15...역류방지부재
17...투입부 20...제1 이송부
21...제1 스크류부재 23...제1 구동모터
30...제2 배럴 바디 31...제2 이송 공간
40...제2 이송부 41...제2 스크류부재
43...제2 구동모터 50, 150...커터부재
60, 160...다공판 510..힌지
520..커버부재 530..구동부, 실린더부재

Claims (15)

  1. 내부에 함수겔이 이송되는 제1 이송 공간이 형성되며 제1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1 배럴 바디;
    상기 제1 배럴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제1 이송 공간에서 상기 함수겔을 이송하는 제1 이송부;
    상기 제1 배럴 바디의 측면에 설치되며 상기 제1 이송 공간에 연결된 제2 이송 공간이 상기 제1 방향과 엇갈린 제2 방향으로 연장 형성된 제2 배럴 바디;
    상기 제2 배럴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 공간에서 상기 함수겔을 이송하는 제2 이송부;
    상기 제2 배럴 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상기 함수겔을 분쇄하는 커터부재; 및
    상기 커터부재에 의해 분쇄된 상기 함수겔 입자를 상기 제2 배럴 바디의 외부로 배출하는 다공판;
    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배럴 바디는 구동부의 구동 작동에 의해 상기 제1 배럴 바디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 배럴 바디와 상기 제2 배럴 바디의 연결 위치의 둘레에는 플렉시블 재질의 커버부재가 설치되는 함수겔 세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럴 바디가 연장 형성된 상기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배럴 바디의 제1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2 배럴 바디는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함수겔 세절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럴 바디가 연장 형성된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배럴 바디의 제1 방향에 대해 예각 범위의 엇갈린 방향으로서, 상기 제2 배럴 바디는 상기 제1 배럴 바디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함수겔 세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럴 바디가 연장 형성된 제2 방향은 상기 제1 배럴 바디의 제1 방향에 대해 둔각 범위의 엇갈린 방향으로서, 상기 제2 배럴 바디는 상기 제1 배럴 바디에 대해 경사지게 연결되는 함수겔 세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럴 바디가 연장 형성된 제2 방향은 중력 방향이고, 상기 제1 배럴 바디가 연장 형성된 제1 방향은 지면 방향으로 경사진 방향으로 상기 제1 배럴 바디는 상기 제2 배럴 바디에 경사지게 연결되는 함수겔 세절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럴 바디는,
    내부에 함수겔 입자가 이동되는 제1 이동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는 함수겔 입자가 투입되는 투입부가 형성되는 함수겔 세절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부는,
    상기 제1 이송 공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함수겔을 이동시키는 제1 스크류부재; 및
    상기 제1 스크류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함수겔 세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럴 바디는,
    상기 제1 배럴 바디의 측면에 설치되고 상기 제1 이송 공간에 연통된 제2 이동 공간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며 하부에는 분쇄된 함수겔 입자가 배출되는 배출부가 형성되는 함수겔 세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이송부는,
    상기 제2 이송 공간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제1 이송 공간을 통해 유입된 상기 함수겔을 상기 배출부 방향으로 이송하는 제2 스크류부재; 및
    상기 제2 배럴바디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스크류부재에 회전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2 구동모터;
    를 포함하는 함수겔 세절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재는 상기 배출부 위치에서 상기 제2 스크류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함수겔 세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모터와 상기 제2 구동모터는 구동축의 회전 속도가 서로 상이한 함수겔 세절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터부재는 상기 제2 스크류부재에 복수개로 설치되는 함수겔 세절장치.
  13. 삭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제1 배럴 바디에 설치되며 상기 제2 배럴 바디의 측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실린더부재인 함수겔 세절장치.
  15. 삭제
KR1020200050855A 2019-09-19 2020-04-27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 KR102468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80030016.0A CN113727780B (zh) 2019-09-19 2020-05-12 超吸收性聚合物水凝胶切碎装置
BR112021022743A BR112021022743A2 (pt) 2019-09-19 2020-05-12 Dispositivo de fragmentação de polímero hidrogel superabsorvente
PCT/KR2020/006215 WO2021054564A1 (ko) 2019-09-19 2020-05-12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
US17/608,030 US11975335B2 (en) 2019-09-19 2020-05-12 Super absorbent polymer hydrogel shredding device
EP20864628.1A EP3939756B1 (en) 2019-09-19 2020-05-12 Fine-cutting device for cutting a super-absorbent polymer hydrogel
JP2021562149A JP7282438B2 (ja) 2019-09-19 2020-05-12 高吸水性樹脂の含水ゲル細切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5487 2019-09-19
KR20190115487 2019-09-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876A KR20210033876A (ko) 2021-03-29
KR102468197B1 true KR102468197B1 (ko) 2022-11-17

Family

ID=75250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0855A KR102468197B1 (ko) 2019-09-19 2020-04-27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81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208Y1 (ko) * 2005-12-13 2006-03-07 김원한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
CN204869324U (zh) * 2015-08-28 2015-12-16 方瑞庭 一种氨基塑料模塑料的无尘制造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0208Y1 (ko) * 2005-12-13 2006-03-07 김원한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
CN204869324U (zh) * 2015-08-28 2015-12-16 方瑞庭 一种氨基塑料模塑料的无尘制造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727780A (zh) 2021-11-30
KR20210033876A (ko) 2021-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282438B2 (ja) 高吸水性樹脂の含水ゲル細切装置
KR101114966B1 (ko) 고흡수성 수지용 분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20210062459A (ko) 고흡수성 함수겔 복합 세절 장치
CN100404223C (zh) 用于制造水凝胶颗粒的方法和用于切割高浓度水凝胶片的方法
KR102500922B1 (ko) 수성 중합체 겔을 건조시키고, 건조 중합체 겔을 분쇄하여 건조 중합체 입자를 제공하기 위한 벨트 건조기 배치 및 수성 중합체 겔을 건조시키고, 건조 중합체 겔을 분쇄하여 건조 중합체 입자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KR101126678B1 (ko) 고흡수성 수지 제조용 중합 반응기 및 이를 이용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JP7334289B2 (ja) 水性ポリマーゲルを乾燥させるため、および乾燥したポリマーゲルを乾燥したポリマー粒子に破砕するためのベルト乾燥装置、ならびに水性ポリマーゲルを乾燥させるため、および乾燥したポリマーゲルを乾燥したポリマー粒子に破砕するための方法
US20150272078A1 (en) Method of producing animal litter
JP7305254B2 (ja) ポンプを利用した高吸水性樹脂含水ゲル細切装置
KR101199932B1 (ko)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468197B1 (ko)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
KR20210046570A (ko) 펌프를 이용한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
US20220339811A1 (en) Superabsorbent polymer hydrogel chopping device
KR102353303B1 (ko) 흡수성 수지의 건조 방법
CN113727780B (zh) 超吸收性聚合物水凝胶切碎装置
KR20210110169A (ko)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
KR102412599B1 (ko) 흡수성 수지 건조기 및 이를 이용한 건조 방법
KR102079337B1 (ko) 고흡수성 수지용 분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KR102079338B1 (ko) 고흡수성 수지용 분쇄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고흡수성 수지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