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10208Y1 -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 - Google Patents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10208Y1
KR200410208Y1 KR2020050035063U KR20050035063U KR200410208Y1 KR 200410208 Y1 KR200410208 Y1 KR 200410208Y1 KR 2020050035063 U KR2020050035063 U KR 2020050035063U KR 20050035063 U KR20050035063 U KR 20050035063U KR 200410208 Y1 KR200410208 Y1 KR 20041020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ed
boom
horizontal
horizontal feed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5003506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원한
Original Assignee
김원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원한 filed Critical 김원한
Priority to KR202005003506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1020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1020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1020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4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screw conveyors thereon
    • B60P1/4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screw conveyors thereon mounted on the load-transporting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45Adaptations for loading or unloa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22Tank vehicles
    • B60P3/224Tank vehicles comprising auxiliary devices, e.g. for unloading or level indicating
    • B60P3/226Arrangements of access openings or cover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료탱크에 담겨진 사료를 하역하는 과정에서 최종 배출라인인 가로이송붐의 토출구를 하역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세로이송붐(40)의 끝단에 토출구를 갖는 가로이송붐(50)을 설치하여 상기 가로이송붐을 유압실린더장치(60)에 의해 수평 방향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된 사료 운반차량에 있어서, 제1,2가로이송붐(52)(53)으로 분할 형성되어 이들이 연결관(52b)(53b)에 의해 연통되게 설치된 가로이송붐(50)과, 상기 가로이송붐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사료를 이송시키는 제1,2이송스크류(52a)(53a)와, 상기 제1,2가로이송붐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제1가로이송붐으로부터 제2가로이송붐을 선회시키는 선회부(70)로 구성하여 사료의 하역위치에 따라 제2가로이송붐(53)에 형성된 토출구의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가변시킬 수 있게 되므로 사료의 하역작업이 더욱 편리해지게 된다.
사료 운반차량, 가로이송붐, 세로이송붐, 선회

Description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Boom apparatus for feed truck}
도 1은 종래 사료 운반차량을 나타낸 측면도
도 2는 종래 사료 운반차량을 나타낸 배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평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사료탱크 30 : 이송스크류
40 : 세로이송붐 50 : 가로이송붐
52, 53 : 제1,2가로이송붐 52a, 53a : 제1,2이송스크류
52b, 53b : 연결관 53c, 53d, 80a : 토출구
60 : 유압실린더장치 70 : 선회부
71a, 71b : 플랜지 72 : 연결편
73 : 유압실린더 74 : 커버
76 : 스퍼어기어 80 : 하우징
본 고안은 탱크형태의 적재함에 사료를 담아 운반하는 사료 운반차량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구체적으로는 사료탱크에 담겨진 사료를 하역하는 과정에서 최종 배출라인인 가로이송붐의 토출구를 하역위치에 따라 용이하게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료 운반차량은 사료나 각종 곡물을 사료탱크 내에 자동으로 적재한 다음 소정의 장소로 운반하여 하역할 수 있도록 제작된 특수차량이다.
산업이 발달함에 따라 특수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특수차량이 많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는데, 사료 운반차량은 이러한 특수차량으로서 대량의 사료(또는 곡물)를 사료탱크에 자동으로 적재한 다음 필요한 목적지까지 운반하여 자동으로 하역할 수 있도록 제작된 차량이다.
도 1은 종래의 사료 운반차량을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사료차량을 나타낸 배면도로서, 사료 운반차량(10)의 후방에 사료를 적재할 수 있는 수 개의 저장실로 이루어진 사료탱크(2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사료탱크(20)의 바닥에는 저장실에 저장된 사료를 압송하기 위하여 나사선(31)을 갖는 이송스크류(3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상기 사료탱크(20)의 배면에는 상기 이송스크류(30)에 의해 이송된 사료를 상승시키기 위한 세로이송붐(40)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세로이송붐의 상부 끝단에는 상기 세로이송붐(40)에 의해 수직방향으로 이송된 사료를 사료탑(도시는 생략함) 등으로 운반하는 가로이송붐(50)이 유압실린더장치(60)에 의해 각도 조절 가능 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때, 상기 이송스크류(30)의 끝단과 세로이송붐(40)의 하부, 그리고 세로이송붐(40)의 상단과 가로이송붐(50)의 연결부위는 서로 통하여지게 연결되어 있어 사료의 이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료탱크(20)에 적재된 사료를 소정의 장소로 운반하여 적재된 사료를 하역하고자 할 경우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위치를 경험(숙련도)에 의해 정차시킨 다음 세로이송붐(40)을 세로이송붐 선회장치(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하여 적절한 각도로 선회시킴과 동시에 가로이송붐(50)의 끝단에 형성된 토출구가 하역위치에 도달하도록 유압실린더장치(60)를 이용하여 가로이송붐(50)의 위치를 조절하게 된다.
그 후, 유압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사료탱크(20)의 바닥에 설치된 이송스크류(30) 그리고 세로이송붐(40) 및 가로이송붐(50)에 설치된 이송스크류(41)(51)를 동시에 회전시키므로서 사료가 가로이송붐(50)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므로 하역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세로이송붐과 가로이송붐은 각 끝단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세로이송붐은 세로이송붐 선회장치에 의해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가로이송붐은 유압실린더장치에 의해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는 구조로 되어 있어 가로이송붐의 토출구를 하역지점에 일치시키는데 많은 어려움이 수반되었다.
즉, 특수차량인 사료 운반차량을 공간이 협소한 하역지점에 정차하는 과정에서 가로이송붐의 토출위치를 운전자의 경험에 의존하는 수밖에는 없어 운전자의 경 험이 부족하여 정확한 위치에 정차를 하지 못할 경우에는 길이가 불변체인 가로이송붐을 가로이송붐 선회정치 및 유압실린더장치에 의해 수직,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더라도 가로이송붐의 토출구를 하역지점에 일치시킬 수 없게 되므로 부득이 공간이 협소한 하역장소에서 길이가 긴 사료 운반차량의 정차위치를 재 조절하여야 되는 불편함이 있었다.
고안은 이와 같은 본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단일체로 형성된 가로이송붐을 굴절(방향전환) 가능하게 분할 형성하여 하역장소에서 차량의 정차위치가 다소 틀리더라도 정차위치를 가변시키지 않고도 가로이송붐의 토출구를 하역위치에 일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형태에 따르면, 세로이송붐의 끝단에 토출구를 갖는 가로이송붐을 설치하여 상기 가로이송붐을 유압실린더장치에 의해 수평 방향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된 사료 운반차량에 있어서, 제1,2가로이송붐으로 분할 형성되어 이들이 연결관에 의해 연통되게 설치된 가로이송붐과, 상기 가로이송붐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사료를 이송시키는 제1,2이송스크류와, 상기 제1,2가로이송붐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제1가로이송붐으로부터 제2가로이송붐을 선회시키는 선회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고안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및 도 4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평면도로서, 본 고안은 세로이송붐(40)의 끝단에 상호 통하여지게 설치되어 유압실린더장치(60)에 의해 수평 방향축을 따라 선회하는 가로이송붐(50)이 제1,2가로이송붐(52)(53)으로 분할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2가로이송붐(52)(53)의 내부에는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사료를 이송시키는 제1,2이송스크류(52a)(53a)가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제1,2가로이송붐(52)(53)은 이들의 연결부위에 고정된 연결관(52b)(53b)에 의해 상호 연통되어 있다.
그리고 제1,2가로이송붐(52)(53)의 연결부위에는 사료의 하역지점에 따라 제1가로이송붐(52)으로부터 제2가로이송붐(53)을 선회시키는 선회부(70)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선회부(70)를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서는 도시한 도 3 및 도 4와 같이 제1,2가로이송붐(52)(53)의 끝단에 상호 통하여지게 고정된 연결관(52b)(53b)의 접속면에 설치된 플랜지(71a)(71b)와, 상기 제2가로이송붐(53)의 플랜지(71b)에 고정된 연결편(72)과, 상기 제1가로이송붐(52)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로드(73a)는 연결편에 힌지 결합된 유압실린더(73)로 구성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회부(70)를 다른 실시예에서는 도 5와 같이 제1가로이송붐(52)의 연결관(52b)에 고정된 플랜지(71a)와, 상기 제2가로이송붐(53)의 입구 측에 설치된 연결관(53b)에 고정되어 플랜지(71a)에 접속되는 커버(74)와, 상기 커버에 고정되어 커버가 플랜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링(75)과, 상기 커버의 둘레 면에 고정된 스퍼어기어(76)와, 상기 제1가로이송붐(52)의 일단에 고정된 구동 수단(77)에 의해 회전하며 스퍼어기어와 맞물리게 설치된 피니언기어(78)로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제2가로이송붐(53)의 끝단에 2개의 토출구(53c)(53d)가 180˚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상기 토출구의 외주면에는 1개의 토출구(80a)를 갖는 하우징(80)이 공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상기 제2가로이송붐(53)의 끝단에 토출구(53c)(53d)를 180˚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하는 이유는 제2가로이송붐(53)의 선회방향에 따라 하우징(80)을 회전시켜 하우징(80)에 형성된 토출구(80a)를 제2가로이송붐(53)에 형성된 2개의 토출구 중 어느 하나의 토출구와 일치하여 사료를 토출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사료탱크(20)에 사료를 담아 운행 중에는 제1,2가로이송붐(52)(53)을 일직선 상태로 유지하여 도 1과 같이 사료 탱크(20)의 상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그러나 사료탱크(20)에 담겨진 사료를 하역하고자 하는 지점에 도달하여 운전자가 차량을 임의의 위치에 정치시키면 세로이송붐(40) 및 가로이송붐(50)의 위치를 조작하여 제2가로이송붐(53)의 끝단에 위치된 토출구 중 어느 하나의 토출구가 하역위치에 일치되도록 조절하여야 된다.
극, 세로이송붐(40)을 세로이송붐 선회장치(도시는 생략함)를 이용하여 적절한 각도로 선회시킴과 동시에 가로이송붐(50)의 토출구가 하역위치에 도달하도록 유압실린더장치(60)를 이응하여 가로이송붐(50)의 위치를 조절하는데, 상기한 바와 같은 조절작업 과정에서 제2가로이송붐(53)의 토출구가 하역위치와 다르면 선회부 (70)를 이용하여 제1가로이송붐(52)으로부터 제2가로이송붐(53)의 위치를 가변시켜야 된다.
이를 위해, 본 고안의 일 실시예로 도시한 도 3 및 도 4에서는 유압실린더(73)를 작동하여 로드(73a)를 당겨주면 로드가 설정된 범위(약 120˚ 정도) 내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플랜지(71a)(71b)에 의해 접속된 제2가로이송붐(53)이 제1가로이송붐(52)으로부터 선회운동을 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가로이송붐(53)의 끝단에 형성된 토출구의 위치가 임의의 위치로 가변되므로 토출구를 하역위치에 일치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다른 실시예로 나타낸 도 5에서는 제2가로이송붐(53)에 형성된 토출구의 위치를 임의의 위치로 가변시키기 위해 구동수단(77)을 동작시키면 피니언기어(78)가 회전하여 맞물려 있던 스퍼어기어(76)를 회전시키게 되므로 제2가로이송붐(53)이 제1가로이송붐(52)으로부터 선회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가로이송붐(53)의 끝단에 형성된 토출구의 위치가 가변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제1가로이송붐(52)으로부터 제2가로이송붐(53)을 선회시키고 나면 제2가로이송붐(53)의 선회방향에 따라 제2가로이송붐의 끝단에 공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하우징(80)을 회전시켜 하우징에 형성된 토출구(80a)를 어느 하나의 토출구(53c)(53d)와 일치시키므로서, 사료의 하역준비가 완료된다.
그 후, 종래의 사료 운반차량과 마찬가지로 유압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을 작동시켜 사료탱크(20)의 바닥에 설치된 이송스크류(30) 그리고 세로이송붐(40) 및 제1,2가로이송붐(52)(53)에 설치된 이송스크류(52a)(53a)를 동시에 회전시키면 사 로탱크(20) 내의 사료가 제2가로이송붐(53)의 토출구를 통해 토출되므로 하역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가로이송붐을 제1,2가로이송붐으로 분할 형성하여 사료 운반차량의 정차지점에 구애받지 않고 선회부의 구동으로 제1가로이송붐으로부터 제2가로이송붐의 위치를 가변시켜 제2가로이송붐의 끝단에 형성된 토출구를 하역지점에 일치시킬 수 있게 되므로 하역작업 시 토출구의 위치를 조절하는 작업이 수월해지게 되는 효과를 얻는다.

Claims (4)

  1. 세로이송붐의 끝단에 토출구를 갖는 가로이송붐을 설치하여 상기 가로이송붐을 유압실린더장치에 의해 수평 방향축을 중심으로 회동시키도록 구성된 사료 운반차량에 있어서, 제1,2가로이송붐으로 분할 형성되어 이들이 연결관에 의해 연통되게 설치된 가로이송붐과, 상기 가로이송붐의 내부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면서 사료를 이송시키는 제1,2이송스크류와, 상기 제1,2가로이송붐의 연결부위에 설치되어 제1가로이송붐으로부터 제2가로이송붐을 선회시키는 선회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는
    상기 제1,2가로이송붐의 끝단에 상호 통하여지게 고정된 연결관의 접속면에 설치된 플랜지와, 상기 제2가로이송붐의 플랜지에 고정된 연결편과, 상기 제1가로이송붐의 일단에 힌지 결합되고, 로드는 연결편에 힌지 결합된 유압실린더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선회부는
    제1가로이송붐의 연결관에 고정된 플랜지와, 상기 제2가로이송붐의 입구 측에 설치된 연결관에 고정되어 플랜지에 접속되는 커버와, 상기 커버에 고정되어 커버가 플랜지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지지링과, 상기 커버의 둘레 면에 고정된 스퍼어기어와, 상기 제1가로이송붐의 일단에 고정된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며 스퍼어기어와 맞물리게 설치된 피니언기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가로이송붐의 끝단에 2개의 토출구를 180˚ 위상차를 갖도록 형성하고 상기 토출구의 외주면에는 1개의 토출구를 갖는 하우징을 공 회전 가능하게 결합하여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
KR2020050035063U 2005-12-13 2005-12-13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 KR20041020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063U KR200410208Y1 (ko) 2005-12-13 2005-12-13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50035063U KR200410208Y1 (ko) 2005-12-13 2005-12-13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10208Y1 true KR200410208Y1 (ko) 2006-03-07

Family

ID=417605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35063U KR200410208Y1 (ko) 2005-12-13 2005-12-13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10208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564A1 (ko) * 2019-09-19 2021-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
KR20210033876A (ko) *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
CN113727780B (zh) * 2019-09-19 2024-06-04 株式会社Lg化学 超吸收性聚合物水凝胶切碎装置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54564A1 (ko) * 2019-09-19 2021-03-25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
KR20210033876A (ko) * 2019-09-19 2021-03-29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
CN113727780A (zh) * 2019-09-19 2021-11-30 株式会社Lg化学 超吸收性聚合物水凝胶切碎装置
KR102468197B1 (ko) * 2019-09-19 2022-11-17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흡수성 수지 함수겔 세절장치
US11975335B2 (en) 2019-09-19 2024-05-07 Lg Chem, Ltd. Super absorbent polymer hydrogel shredding device
CN113727780B (zh) * 2019-09-19 2024-06-04 株式会社Lg化学 超吸收性聚合物水凝胶切碎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85472B2 (en) Combination dump and spreader apparatus
US2883076A (en) Material handling system
KR200410208Y1 (ko) 사료 운반차량의 가로이송붐 굴절장치
US3456769A (en) Transit mixer discharge chute
USRE24920E (en) Material handling system
US2877914A (en) Feed mixing apparatus
US3439819A (en) Device for filling grain drills and the like
KR101883501B1 (ko) 삼방향 덤프 운반차
KR100967828B1 (ko) 컨베이어 각도조절장치
US6422803B1 (en) Discharge system with dual doors and intermediate auger
US20100303597A1 (en) Seed cart
KR200365414Y1 (ko) 사료 운반차량용 사료 반송장치
JPH022203Y2 (ko)
US2239256A (en) Mobile conveyer-elevator
CA2555004A1 (en) Combination dump and spreader apparatus
JP4786823B2 (ja) コンバイン
JPH0759454A (ja) グレンタンクの穀粒排出装置
JPS5827355Y2 (ja) 籾乾燥機における循環、排出および移送切替装置
CA2827356C (en) Transportable drive-over conveyor system
JPH0620368Y2 (ja) 増量タンクの開閉装置を兼ねる穀物搬出装置の回動装置
JPS6170921A (ja) 穀粒搬送筒の左右回動操作装置
JP2588830Y2 (ja) 移動脱穀機のグレンタンクのアンローダ構造
JPH01320933A (ja) コンバイン等の揚穀装置
JPH04356130A (ja) コンバインの穀粒タンクにおける穀粒排出筒制御装置
JPH0662072B2 (ja) 穀粒運搬車における穀粒ホツパ−のダンプ回動用の荷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21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4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