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5345B1 -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 - Google Patents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5345B1
KR101395345B1 KR1020130085194A KR20130085194A KR101395345B1 KR 101395345 B1 KR101395345 B1 KR 101395345B1 KR 1020130085194 A KR1020130085194 A KR 1020130085194A KR 20130085194 A KR20130085194 A KR 20130085194A KR 101395345 B1 KR101395345 B1 KR 101395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er
seq
present
origin
polynucleot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851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87473A (ko
Inventor
황창남
문성필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300851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5345B1/ko
Publication of KR201300874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874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5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5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5/00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DNA or RNA concerning genetic engineering, vectors, e.g. plasmids, or their isolation, preparation or purification; Use of hosts therefor
    • C12N15/09Recombinant DNA-technology
    • C12N15/11DNA or RNA fragments; Modified forms thereof; Non-coding nucleic acids having a biological activity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1/00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 C12Q1/68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involving nucleic acids
    • C12Q1/6844Nucleic acid amplification rea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QMEASURING OR TESTING PROCESSES INVOLVING ENZYMES, NUCLEIC ACIDS OR MICROORGANISMS; COMPOSITIONS OR TEST PAPERS THEREFOR; PROCESSES OF PREPARING SUCH COMPOSITIONS; CONDITION-RESPONSIVE CONTROL IN MICROBIOLOGICAL OR ENZYMOLOGICAL PROCESSES
    • C12Q2565/00Nucleic acid analysis characterised by mode or means of detection
    • C12Q2565/10Detection mode being characterised by the assay principle
    • C12Q2565/125Electrophoretic s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icrob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mmun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Measuring Or Testing Involving Enzyme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귀(blackmouth angler)의 원산지를 판별할 수 있는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에 대한 것으로, 서열번호 1 및 2 또는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사용하는 경우, 아귀의 원산지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Primer for identifying origin of blackmouth angler and Method for identifying origin of blackmouth angler the same}
본 발명은 아귀(blackmouth angler)의 원산지를 판별할 수 있는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에 대한 것으로, 특히 아귀의 원산지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는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분포하는 아귀품종은 아귀목 아귀과에 속하는 약 12과 60속 약 315종이 대륙붕에서 대륙붕사면의 상부 흙모래 바닥 환경에 서식하며, 주로 한국, 일본에서 호주에 이르는 태평양 서부 및 인도, 아프리카 동부를 포함하는 인도양, 대서양 등 세계 전역에 분포한다.
그 중에서도 대서양 서부의 아메리카황 아귀(Lophius americanus)와 동양의 아귀(Lophiomus setigerus)종 등이 주로 식용으로 이용된다. 국내에서는 주로 아귀 찜이나 탕으로 요리되고 있으며, 외국에서도 식용으로 쓰이는데 북미, 유럽 등지에서 머리는 스프의 재료, 담백한 살은 굽거나 쪄서 즐겨 먹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NCBI Nucleoite에 보고되어 있는 Lophius americanus(accession: NC_004380.1)와 Lophiomus setigerus(accession:NC_008125.1)는 약 73%의 유전적 유사도가 나타났고, Miya 등(BMC Evolutionary Biology 2010)의 연구보고에 의하면 Lophiomus종과 Lophius종이 유사종으로 구분되어 있으며, CO유전자를 분석하면 두개 품종이 동일한 유전자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국내에서 주로 유통되는 아귀는 대부분 절단상태로 유통되고, 가격면에서 국내산과 외국산의 차이가 없거나 오히려 외국산이 비싼 경우도 있어서, 원산지 둔갑 및 허위표시 문제가 있는바, 아귀의 원산지 또는 품종을 간단하고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Lophius americanus종과 Lophiomus setigerus을 포함하는 아귀의 원산지를 간단하고 용이하게 판별할 수 있는 유전자 마커를 개발을 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귀의 원산지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는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이나 그에 상보적인(complementary)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이나 그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제2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는,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이나 그에 상보적인(complementary)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이나 그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제2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아귀에서 핵산분자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핵산분자를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라이머로 증폭시킨 증폭 산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은 증폭 산물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귀 원산지 판별 방법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 또는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아귀의 원산지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마커를 선별하기 위하여, 랜덤(random)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한국, 미국, 브라질 아귀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결과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한국, 미국, 브라질 아귀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한국, 미국, 브라질 아귀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로써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한국, 미국, 브라질 아귀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로써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한국, 미국, 브라질 아귀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로써 다범위 적용 프라이머(URP1)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한국, 미국, 브라질 아귀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뉴클레오타이드"는 단일가닥 또는 이중가닥 형태로 존재하는 디옥시리보뉴클레오타이드 또는 리보뉴클레오타이드이며, 다르게 특별하게 언급되어 있지 않은 한 자연의 뉴클레오타이드의 유사체를 포함한다(Scheit, Nucleotide Analogs, John Wiley, New York(1980); Uhlman 및 Peyman, Chemical Reviews, 90:543-584(1990)).
본 명세서에서 용어 "핵산분자"는 DNA (gDNA 및 cDNA) 그리고 RNA 분자를 포괄적으로 포함하는 의미를 갖으며, 핵산 분자에서 기본 구성 단위인 뉴클레오타이드는 자연의 뉴클레오타이드뿐만 아니라, 당 또는 염기 부위가 변형된 유사체(analogue)도 포함한다(Scheit, Nucleotide Analogs, John Wiley, New York(1980); Uhlman 및 Peyman, ChemicalReviews, 90:543-584(1990)).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프라이머(primer)"는 단일가닥의 올리고뉴클레오타이드로서, 적합한 조건 (4 가지의 상이한 뉴클레오사이드 트리포스페이트 및 DNA 또는 RNA 폴리머라아제와 같은 중합효소의 존재), 적합한 온도 및 적합한 버퍼하에서 주형-지시적 DNA 합성을 개시할 수 있는 개시점으로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는, 서열번호 1의 염기서열이나 그에 상보적인(complementary)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2의 염기서열이나 그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제2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쌍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서열번호 1의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상기 서열번호 2의 제2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 쌍으로 사용하여, 아귀 핵산 분자를 증폭시키면, 그 증폭된 산물은 상기 아귀의 원산지에 따라 다르다는 것을 확인한 후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체예는,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이나 그에 상보적인(complementary)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이나 그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제2 폴리뉴클레오티드;를 쌍으로 포함하는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서열번호 3의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와 상기 서열번호 4의 제2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 쌍으로 사용하여, 아귀 핵산 분자를 증폭시키면, 그 증폭된 산물은 상기 아귀의 원산지가 국내인 경우에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은 서열번호 1 및 2 또는 서열번호 3 및 4의 염기서열을 가지는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러한 프라이머를 이용하면 아귀의 원산지를 정확하고 간단하게 판별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1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정방향 또는 역방향 프라이머이고, 상기 제2폴리뉴클레오티드는 역방향 또는 정방향 프라이머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라이머의 적합한 길이는 사용하고자하는 프라이머의 특성에 의해 결정하지만, 통상적으로 15 내지 30bp의 길이로 사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는 주형의 서열과 정확하게 상보적일 필요는 없지만 주형과 혼성복합체(hybrid-complex)를 형성할 수 있을 정도로 상보적이어야만 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는, 아귀에서 핵산분자를 분리하는 단계(S10); 상기 분리한 핵산분자를 상기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프라이머로 증폭시킨 증폭 산물을 얻는 단계(S20); 및 상기 얻은 증폭 산물을 분석하는 단계(S30);를 포함하는 아귀 원산지 판별 방법이다.
본 발명의 방법에 있어서, 상기 핵산분자는 아귀의 다양한 소스로부터 얻을 수 있으며, 예컨대, 근육, 표피, 혈액, 뼈, 장기로부터 얻을 수 있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근육 또는 혈액으로부터 얻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서 출발물질이 gDNA인 경우, gDNA의 분리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실시될 수 있다. 출발물질이 mRNA인 경우에는,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의 방법으로 총 RNA를 분리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런 다음에서는, 상기 분리한 핵산분자를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로 증폭시켜서 증폭 산물을 얻는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이용될 수 있는 증폭 기술은 PCR 증폭(참조: Miller, H. I. (WO 89/06700) 및 Davey, C. et al. (EP 329,822)), 리가아제 체인 반응 (LCR, Wu, D.Y. et al., Genomics 4:560 (1989)), 중합효소 리가아제 체인 반응 (Barany, PCR Methods and Applic., 1:5-16(1991)), Gap-LCR (WO 90/01069), 리페어체인 반응 (EP 439,182), 3SR (Kwoh et al., PNAS, USA, 86:1173(1989)) 및 NASBA (U.S. Pat. No. 5,130,238)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PCR 증폭 방법으로 증폭한다. PCR에 의한 증폭 반응의 조건 및 사용되는 시약과 효소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로 증폭시키면, 아귀의 원산지에 따라 다른 크기, 중량 또는 이온량을 가지는 증폭 산물이 산출되는데, 이는 아귀의 원산지에 따른 염기서열의 차이로 인해, 본 발명의 프라이머에 대한 단일-가닥 분자내 염기 결합의 차이를 초래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예상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얻은 증폭 산물을 분석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증폭 산물의 크기, 중량 또는 이온량을 규명하는 데 이용되는 당업계에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응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얻은 증폭 산물을 분석하는 것은 상기 얻은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밴드를 확인하는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이미 알고 있는 아귀 원산지별 전기영동 밴드와 비교하는 것이 적합하다. 아귀 원산지별로 증폭 산물의 크기, 중량 또는 이온량이 다르기 때문에, 이동성이 다른 밴드를 출현하게 하는 데, 그 차이를 통하여 아귀의 원산지 판별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응용될 수 있는 기술은, 형광 인 시투 혼성화 (FISH), 직접적 DNA 서열결정, PFGE 분석, 서던 블롯 분석, 단일-가닥 컨퍼메이션 분석(SSCA, Orita et al., PNAS, USA 86:2776(1989)), RNase 보호 분석(Finkelstein et al., Genomics, 7:167(1990)), 닷트 블롯 분석, 변성 구배 젤 전기영동(DGGE, Wartell et al., Nucl.Acids Res., 18:2699(1990)), 뉴클레오타이드 미스매치를 인식하는 단백질 (예: E. coli의 mutS 단백질)을 이용하는 방법 (Modrich, Ann. Rev. Genet., 25:229-253(1991)), 및 대립형-특이 PCR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더 잘 이해 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을 위한 것이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한정되는 보호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DNA 추출 , PCR 반응 및 sequencing 분석 방법
아귀 원산지별로 꼬리, 몸통 등 가식부위(근육)만을 1cm3 크기로 토막·절단하고, 50ml 튜브에서 개별처리하였다. 처리시료는 장기간 보존을 위해 -70℃의 초저온냉동고에 보관하였다. 개체당 동일하게 0.03g을 계측하여 유전자분석에 이용하였고, 유전자추출은 DNeasy Blood & Tissue kit(Cat. No69506, Qiagen, German)를 이용하였으며, 분리된 유전자는 UV 분광광도계(ND-1000, Nano-drop, USA)로 유전자 농도를 측정하여 30ng/ul만을 정량한 후 유전자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조건의 방법으로 PCR 반응을 DNA Engine(MJ Research사, 미국)에서 시행하였다.
반응조성 반응조건
멸균증류수 11.5ul
10X buffer 5ul
2mM dNTP 4ul
10uM forward 1ul
10uM reverse 1ul
1unit Ex-Taq 0.25ul
정제 DNA 8ul
94℃, 5분 1 cycle
94℃, 30초
55℃, 30초
72℃, 45초
35 cycle
72℃, 15 분 1 cycle
PCR이 끝난 후에는, 자동전기영동장치(Qiaxcel, Qiagen, Germany)를 통해 결과를 PCR 밴드로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얻은 PCR 산물을 지앤시바이오사(대전, 대한민국)에 의뢰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실시예 2: 유전자 마커 선발
국내산, 미국산, 브라질산 등의 아귀를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원산지별로 유전자를 분리하여 유전자마커를 선발하였다.
먼저, 원산지별 아귀에 대하여 랜덤 프라이머를 이용해서 동일한 PCR 조건과 정량된 gDNA유전자로 PCR을 수행했을 때, 원산지에 따라 특이적으로 단일 유전자 밴드(band)나 특이 위치에서 발현되는 20여개의 유전자를 유전자마커 후보군으로 1차 선발 분리하였다. 즉, 랜덤(random) 프라이머인 SUP primer(SRILS Uni- primer kit, Cat. SS4101, SEOULIN Scientific Co. Ltd., Korea)와 MUP primer(MUP strain-typing kit, TK6100, TaKaRa, Japan)를 이용해서 상기 아귀를 대상으로 PCR을 수행하였다. 상기 SUP primer와 MUP primer는 10 여개의 pirmer 들이 혼합된 키트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유전자 마커를 선별하기 위하여, 랜덤(random) 프라이머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한국, 미국, 브라질 아귀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결과 일례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그러면, 다양한 PCR 밴드들이 나오는데 그 PCR 밴드가 3개 나라별 샘플에서 모두 나온 PCR 밴드와, 2개 지역의 샘플에서만 나온 PCR 밴드와, 한국산에서만 나논 PCR 밴드로 구분하였고, 각 PCR 밴드를 겔 추출(gel extraction)한 후 염기서열분석(sequencing)을 실시하였다.
실시예 3: 프라이머 합성
그런 다음,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염기서열분석 결과로부터 2차 프라이머를 제작하여 원산지 특이적 밴드를 선발하고자 하였다.
즉, 상기 1차 선발된 마커 후보군 유전자 20여 개 중에서 2차 선발을 위하여, 상기 염기서열분석하여 도출된 결과로부터 다음과 같은 2차 프라이머를 제작하였다. 프라이머는 바이오니아사(대한민국)를 통하여 합성하였다.
제1 프라이머 쌍 : 전위 프라이머(9-2-2F) ACTCACTGATCACGACCA(서열번호 1)
후위 프라이머(9-2-2R) GGATCCCTTGAGCTCTGA(서열번호 2)
제2 프라이머 쌍 : 전위 프라이머(10-3-1F) ACACTGATGACACGCTGA(서열번호 3)
후위 프라이머(10-3-1R) GATAACAGGCTCCTTGCA(서열번호 4)
제3 프라이머 쌍 : 전위 프라이머(26-3-1F) TgTcTggggTTcTAgTcA(서열번호 5)
후위 프라이머(26-3-1R) gggTAAgATggATTccA(서열번호 6)
제4 프라이머 쌍 : 전위 프라이머(26-3-2F) TgTcTggggTTcTAgTcA(서열번호 7)
후위 프라이머(26-3-2R) TATcAgcAcgTccTAccA(서열번호 8)
실시예 4: 원산지 판별
상기 실시예 3의 2차 프라이머(제1, 2, 3, 4 프라이머 쌍) 각각으로 다시 아귀에서 추출한 DNA를 증폭시키는 PCR을 수행하였고, 그것을 전기영동하여 원산지별로 구분가능한 단일 밴드가 형성되는 유전자 및 그 조건을 결정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제1 프라이머 쌍)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한국, 미국, 브라질 아귀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라이머 쌍으로 PCR을 수행하면, 국산 아귀는 500bp(서열번호 9), 미국산 아귀는 530bp(서열번호 10)에서 유전자 밴드가 형성되었고 브라질산 아귀는 유전자밴드가 나타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상기 서열번호 1 및 서열번호 2의 프라이머를 이용하면, 국산, 미국산 및 브라질산 아귀를 판별할 수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열번호 3 및 서열번호 4의 프라이머(제2 프라이머 쌍)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한국, 미국, 브라질 아귀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프라이머 쌍으로 PCR을 수행하면, 국산 아귀에서만 특이적으로 발현되는 유전자가 550bp(서열번호 11)에서 형성되는바, 국산 아귀를 판별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비교예로써 서열번호 5 및 서열번호 6의 프라이머(제3 프라이머 쌍)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한국, 미국, 브라질 아귀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로써 서열번호 7 및 서열번호 8의 프라이머(제4 프라이머 쌍)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한국, 미국, 브라질 아귀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로써 다범위 적용 프라이머(URP1)를 이용하여 증폭시킨 한국, 미국, 브라질 아귀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결과를 나타내는 사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부 프라이머나 다범위 적용 프라이머를 이용하면 원산지별 특이유전자 밴드가 나타나지 않고 동일한 원산지내에서도 개체간에 유의적인 결과를 판단할 수 있는 결과를 도출할 수 없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하여, 최종적으로 제1 프라이머 쌍과 제2 프라이머 쌍을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쌍 2개로 선발하였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이나 분야를 이탈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4)

  1. 서열번호 3의 염기서열이나 그에 상보적인(complementary)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제1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서열번호 4의 염기서열이나 그에 상보적인 염기서열을 포함하는 제2 폴리뉴클레오티드;를 포함하는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폴리뉴클레오티드는 정방향 프라이머이고,
    상기 제2폴리뉴클레오티드는 역방향 프라이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3. 아귀에서 핵산분자를 분리하는 단계;
    상기 분리한 핵산분자를 상기 제1항 또는 제2항에 따른 프라이머로 증폭시킨 증폭 산물을 얻는 단계; 및
    상기 얻은 증폭 산물을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아귀 원산지 판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얻은 증폭 산물을 분석하는 것은,
    상기 얻은 증폭 산물의 전기영동 밴드를 확인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아귀 원산지 판별 방법.
KR1020130085194A 2013-07-19 2013-07-19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 KR101395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194A KR101395345B1 (ko) 2013-07-19 2013-07-19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85194A KR101395345B1 (ko) 2013-07-19 2013-07-19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1073A Division KR101395346B1 (ko) 2011-11-18 2011-11-18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473A KR20130087473A (ko) 2013-08-06
KR101395345B1 true KR101395345B1 (ko) 2014-05-15

Family

ID=492142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85194A KR101395345B1 (ko) 2013-07-19 2013-07-19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5345B1 (ko)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ontserrat Espi?eira 등.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 56, No. 22, 페이지 10594-10599 (2008.)
Montserrat Espineira 등.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od Chemistry. Vol. 56, No. 22, 페이지 10594-10599 (2008.) *
R. Castilho 등. Journal of Fish Biology. Vol. 70, supplement C, 페이지 346-358 (2007.)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87473A (ko) 2013-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0674B1 (en) A sex-specific marker for shrimps and prawns
KR20180097350A (ko) 표고버섯 품종 천장 3호 감별용 caps 마커 및 이의 용도
KR101796306B1 (ko) 말전복 탐지용 마이크로새틀라이트 마커 및 이를 이용한 말전복 탐지 방법
KR102311743B1 (ko) 유전자 마커를 이용한 참전복 삼배체 판별방법
KR102039309B1 (ko) 재래닭 개체 식별용 초위성체 마커 및 이를 이용한 재래닭의 개체 식별 방법
KR101395345B1 (ko)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
KR101843432B1 (ko) 소 미토콘드리아 dna의 단일염기다형성 마커를 포함하는 소 개체 및 품종 식별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는 소의 식별 방법
KR101767420B1 (ko) 식품 내 어육 검출용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어육 검출 방법
KR101510238B1 (ko) 제주 흑우 판별방법 및 제주 흑우 판별용 키트
KR101534271B1 (ko) 옥돔과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이를 이용한 옥돔 원산지 판별방법 및 옥돔과 품종 판별에 유용한 폴리뉴클레오티드
KR101412058B1 (ko) 아귀 원산지 판별용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
KR101412062B1 (ko) 아귀 원산지 판별용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
KR101412064B1 (ko) 아귀 원산지 판별용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
KR101395346B1 (ko) 아귀 원산지 판별용 프라이머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
KR101845711B1 (ko) Ociad2 유전자 유래의 유전체 각인 판별용 snp 마커 및 이를 이용한 판별 방법
KR20160110593A (ko) 붉바리, 자바리, 능성어 종 동시 판별용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붉바리, 자바리, 능성어 종 동시 판별 방법
KR101355914B1 (ko) 한우 및 수입우 판별에 유용한 단일염기다형성마커 및 이의 용도
KR100532592B1 (ko) 일당증체량, 등지방두께, 등심단면적이 우수한 돼지 조기선발 분석 기법
KR101540725B1 (ko) 아귀 원산지 판별용 폴리뉴클레오티드 및 이를 이용한 아귀 원산지 판별방법
KR101955072B1 (ko) 무 판별용 snp 마커
KR20200063566A (ko) Epsps 유전자가 도입된 유전자 변형 옥수수 검출용 프라이머 세트, 조성물, 키트 및 이를 이용한 검출 방법
KR20160110594A (ko) 붉바리 종 판별용 pcr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붉바리 종 판별 방법
KR101671499B1 (ko) 화이트 레그혼 닭 품종 분별용 단일염기다형성 마커 및 그의 용도
KR101673293B1 (ko) 벼 또는 쌀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이를 이용한 벼 또는 쌀 품종 판별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키트
KR101764629B1 (ko) 케나프 품종 판별용 프라이머 세트 및 이를 이용한 케나프 품종 판별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