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959B1 -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 - Google Patents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959B1
KR101394959B1 KR1020120075863A KR20120075863A KR101394959B1 KR 101394959 B1 KR101394959 B1 KR 101394959B1 KR 1020120075863 A KR1020120075863 A KR 1020120075863A KR 20120075863 A KR20120075863 A KR 20120075863A KR 101394959 B1 KR101394959 B1 KR 1013949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steam
red ginseng
ginseng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8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8782A (ko
Inventor
김영욱
오재원
Original Assignee
오재원
김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재원, 김영욱 filed Critical 오재원
Priority to KR10201200758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959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7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7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9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9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7/05Tier steam-cookers, i.e. with steam-tight joints between cooking-vessels stacked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조에 저장된 용수를 펌핑하여 열교환기에서 가열 및 증발시키고, 증숙탱크의 내부로 공급하면 곡면형 열 확산판이 복사열을 확산하여 채반에 놓여진 수삼들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구성하여 효율적인 증숙작업이 이루어져 고품질을 홍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증숙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에 채반(20)들이 다단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수조(30)가 장착된 증숙탱크(10); 상기 수조(30)에 그 일단이 접속되어 펌프(31)를 통해 증숙탱크(10)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공급관(40); 상기 공급관(40)에 다단으로 접속되어 노즐(41a)을 통해 증기를 분무하는 분사관(41); 상기 공급관(40)의 중앙부에 접속되며, 나선형으로 권회된 히팅파이프(51)가 히터(52)에 의하여 가열되어 용수(用手)를 증발시키는 열교환기(50)로 구성되어 채반(20)에 놓여진 수삼을 증숙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a fermentation red ginseng extract process}
본 발명은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조에 저장된 용수를 펌핑하여 열교환기에서 가열 및 증발시키고, 증숙탱크의 내부로 공급하면 곡면형 열확산판이 복사열을 확산하여 채반에 놓여진 수삼들에 고르게 전달되도록 구성하여 효율적인 증숙작업이 이루어져 고품질을 홍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증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홍삼(紅蔘)은 4∼6년근 수삼(水蔘)을 쪄서 말린 붉은 인삼으로 중요 성분은 배당체(glycosides)·인삼향성분(panacen)·폴리아세틸렌계 화합물·함질소성분·플라보노이드·비타민(B군)·미량원소·효소·항산화물질과 유기산 및 아미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홍삼은 중추신경에 대해서 진정작용과 흥분작용을 하고, 순환계에 작용하여 고혈압이나 동맥경화의 예방효과가 있으며 조혈작용(造血作用)과 혈당치(血糖値)를 저하시켜 주고, 간을 보호하며, 항염(抗炎) 및 항종양작용(抗腫瘍作用), 방사선에 대한 방어효과 피부를 보호하며 부드럽게 하는 작용을 하며, 홍삼의 효과 중 중요한 것은 어댑토겐(adaptogen:適應素) 효과로서 주위 환경으로부터 오는 각종 유해작용인 누병(淚病), 각종 스트레스 등에 대해 방어능력을 증가시켜 생체가 보다 쉽게 적응하도록 하는 능력이 있음이 과학적으로 입증되고 있다.
홍삼을 제조하기 위한 증숙과정은 깨끗하게 세척된 수삼(水蔘)을 용기에 넣고, 가열된 증기를 부여하여 단순하게 찌는 증삼(蒸蔘) 과정을 거치는 것이므로 수삼(水蔘)을 찌는 과정에서 필요 이상으로 발생되는 고열(高熱)에 의하여 휘발성이 강한 사포닌 성분과 인삼향성분(panacen)이 증발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또한, 증기를 수삼에 직접 쏘이는 경우에는 수삼 전체에 열기를 고르게 전달할 수 없었으므로 증숙작업의 효율을 높여줄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열이 고르게 전달되지 않는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증기의 온도를 높여야하므로 열 효율을 높여줄 수 없었으며, 고열에 의한 문제점을 유발하였다.
특히, 단순하게 홍삼(紅蔘)을 찌는 경우에는 홍삼이 갖는 성분 즉, 사포닌의 함량을 높여주거나 항산화효과를 증진시키고, 체내 흡수력을 높여줄 수 있도록 하는 효과는 기대할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단한 구조의 열교환기에 의한 효율적인 증기 발생이 이루어져 탱크 내부로 공급되고, 증기에서 발산되는 열이 고르게 확산되어 수삼에 전달되어 효과적인 증숙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를 제공함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내부에 채반(20)들이 다단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수조(30)가 장착된 증숙탱크(10); 상기 수조(30)에 그 일단이 접속되어 펌프(31)를 통해 증숙탱크(10)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공급관(40); 상기 공급관(40)에 다단으로 접속되어 노즐(41a)을 통해 증기를 분무하는 분사관(41); 상기 공급관(40)의 중앙부에 접속되는 열교환기(50)로 구성되어 채반(20)에 놓여진 수삼을 증숙시킬 수 있도록 한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50)는 나선형으로 권회된 히팅파이프(51)가 히터(52)에 의하여 가열되어 용수(用手)를 증발시키며, 히팅파이프(51)에는 증기에서 액체를 분리하는 기체막분리기(60)가 접속되고, 기체막 분리기는 케이싱(60)의 상·하부와 일측에는 배출관(61a), 유입관(61b) 및 회수관(61c)이 각각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유입관(61b)을 통해 유입된 증기가 배출관(61a)을 통해 증숙탱크(10) 내부로 공급되고, 케이싱(60)의 내부에 위치한 유입관(61b)의 상단을 통해 낙하되는 액체는 회수관(61c)을 통해 수조(30)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수조(30)에 담겨진 용수(用手)가 펌핑되어 나선형의 히팅파이프(5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히터(52)에 의하여 가열되어 생성(生成)되는 증기가 증숙탱크(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므로 간단한 구조의 열교환기에 의하여 증기의 생성 및 공급이 신속·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수삼(水蔘)에 분무된 후 응결되어 낙하되는 용수는 수조(30)에 회수되어 다시 분무되는 순환을 반복하므로 열효율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증숙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동시에 증숙탱크(10) 내부로 분무된 증기의 열은 반원형 열확산판(11)을 통해 넓게 확산되면서 반사되어 복사열이 수삼(水蔘)에 고르게 전달되어 효율적인 증숙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열이 고르게 전달되지 않을 때 상대적으로 증기의 온도를 높여야하는 등의 종래 문제점들이 완벽하게 해소되어 휘발성이 강한 사포닌 성분과 인삼향성분(panacen)이 증발되는 등의 폐단을 방지할 수 있는 것으로서 사포닌의 함량이 높고 항산화효과가 증진되는 고품질의 홍삼을 제조할 수 있는 대외 경쟁력이 우수한 증숙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증숙장치의 일실예를 예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증숙장치의 내부를 보인 일부 확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기체막분리기의 단면도.
이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는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가 밀폐된 증숙탱크(10)의 내부에는 채반(20)들이 다단으로 설치되어 있고, 증숙탱크(10)의 하부에는 수조(30)가 장착되어 있으며, 채반(20)에는 수삼(21)들이 놓여진다.
상기 수조(30)에는 공급관(40)의 일단이 접속되어 있고, 공급관(40)의 타단은 증숙탱크(10)의 상부에 접속된다.
상기 공급관(40)에는 펌프가 접속되어 있고, 펌프(31)를 통해 수조(30)에 담겨진 용수(用手)를 펌핑하여 가열한 후 증숙탱크(10)의 내부로 증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관(40)에는 분사관(41)들이 다단으로 접속되어 있고, 분사관(41)에 연속 장착된 노즐(41a)들을 통해 증기를 분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공급관(40)의 중앙부에는 열교환기(50)가 접속되어 있고, 열교환기(50)는 나선형으로 권회된 히팅파이프(51)와 히터(52)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 교환시스템은 수조(30)에 담겨진 용수가 펌프(31)에 의하여 펌핑되어 히팅파이프(51)로 공급되면 용수가 나선형을 이루는 히팅파이프(51)를 지체하여 지나면서 히터(52)에 의하여 가열되어 액체가 증기로 증발된 후 증숙탱크(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증숙탱크(10)의 내부로 공급된 증기(蒸氣)는 채반(20)에 놓여진 수삼을 증숙하여 홍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증숙탱크(10)의 내벽에는 열확산판(11)이 장착되어 증기에서 발산되는 열을 반사하는 복사열을 넓게 확산시켜 채반(20)에 놓여진 수삼에 확산된 복사열이 고르게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열확산판(11)은 반원형 곡면을 이루어 볼록하게 돌출된 반사기(11a)들이 연속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은 증숙탱크(10)와 열교환기(50)의 외부에 씌워지는 케이스이고, 2는 증숙탱크(10)에 장착되어 내부 압력을 표시하는 압력계이다.
전술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은, 수조(30)에 담겨진 용수(用手)가 펌핑되어 나선형의 히팅파이프(51)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지체되고, 히터(52)에 의하여 가열되면서 증기가 생성(生成)되어 증숙탱크(10)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므로 간단한 구조의 열교환기에 의하여 증기의 생성이 신속·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수삼에 분무된 후 응결되어 낙하되는 용수는 수조(30)에 저장되어 다시 분무되는 순환을 반복하므로 열효율 및 증숙작업의 효율을 최대한 높여줄 수 있는 동시에 증숙탱크(10) 내부로 분무된 증기의 열은 반원형 열확산판(11)을 통해 넓게 확산되면서 반사됨에 따라 수삼(水蔘)에는 복사열이 고르게 전달되므로 효율적인 증숙작업이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열이 고르게 전달되지 않을 때 상대적으로 증기의 온도를 높여야하는 등의 종래 제반문제점들이 완벽하게 해소되어 휘발성이 강한 사포닌 성분과 인삼향성분(panacen)이 증발되는 등의 폐단이 방지되는 것이므로 사포닌의 함량이 높고 항산화효과가 증진되는 고품질의 홍삼을 제조할 수 있는 것으로서 대외 경쟁력이 우수한 증숙장치를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히팅파이프(51)에는 기체막분리기(60)를 설치하여 증기에서 액체를 분리한 고 순도의 증기만 증숙탱크(10) 내부로 공급하여 증숙작업의 효율을 더욱 높여줄 수 있다.
상기 기체막 분리기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싱(60)의 상·하부와 일측에는 배출관(61a), 유입관(61b) 및 회수관(61c)이 각각 형성된 구성으로 되어 있고, 히터(52)에 의하여 가열되어 생성된 증기가 하부 유입관(61b)을 통해 케이싱(60) 내부로 유입된 후 상승되면서 상부 배출관(61a)을 통해 증숙탱크(10) 내부로 공급되고, 증기에 포함된 액체는 케이싱(60)의 내부에 위치한 유입관(61b)의 상단을 통해 낙하되어 케이싱(60) 하부에 저장되고, 오버플로우(Overflow)되는 액체는 회수관(61c)을 통해 수조(30)로 배출되어 다시 순환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또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기재된 청구범위 내에 있게 된다.
1 : 케이스 2 : 압력계
10 : 증숙탱크 11 : 열확산판
11a : 반사기 20 : 채반
21 : 수삼 30 : 수조
31 : 펌프 40 : 공급관
41 : 분사관 41a : 노즐
50 : 열교환기 51 : 히팅파이프
52 : 히터 60 : 기체막분리기
61 : 케이싱 61a : 배출관
61b : 유입관 61c : 회수관

Claims (3)

  1. 내부에 채반(20)들이 다단으로 설치되고, 하부에는 수조(30)가 장착된 증숙탱크(10); 상기 수조(30)에 그 일단이 접속되어 펌프(31)를 통해 증숙탱크(10) 내부로 증기를 공급하는 공급관(40); 상기 공급관(40)에 다단으로 접속되어 노즐(41a)을 통해 증기를 분무하는 분사관(41); 상기 공급관(40)의 중앙부에 접속되는 열교환기(50)로 구성되어 채반(20)에 놓여진 수삼을 증숙시킬 수 있도록 한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50)는 나선형으로 권회된 히팅파이프(51)가 히터(52)에 의하여 가열되어 용수(用手)를 증발시키며, 히팅파이프(51)에는 증기에서 액체를 분리하는 기체막분리기(60)가 접속되고, 기체막 분리기는 케이싱(60)의 상·하부와 일측에는 배출관(61a), 유입관(61b) 및 회수관(61c)이 각각 형성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유입관(61b)을 통해 유입된 증기가 배출관(61a)을 통해 증숙탱크(10) 내부로 공급되고, 케이싱(60)의 내부에 위치한 유입관(61b)의 상단을 통해 낙하되는 액체는 회수관(61c)을 통해 수조(30)로 배출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20075863A 2012-07-12 2012-07-12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 KR1013949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863A KR101394959B1 (ko) 2012-07-12 2012-07-12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863A KR101394959B1 (ko) 2012-07-12 2012-07-12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782A KR20140008782A (ko) 2014-01-22
KR101394959B1 true KR101394959B1 (ko) 2014-05-14

Family

ID=50142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863A KR101394959B1 (ko) 2012-07-12 2012-07-12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95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044B1 (ko) * 2016-01-13 2017-02-13 박석하 고온/고압을 이용한 홍삼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N108236355B (zh) * 2018-02-08 2020-11-06 河南三元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高效节能型电蒸柜
KR102060356B1 (ko) 2018-04-12 2019-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KR102105087B1 (ko) * 2018-08-02 2020-04-28 유한회사 정가네 감자탕 제조 장치 및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038A (ko) * 1998-11-02 2000-06-05 송인수 하부에서 증기가 공급되는 증숙기
KR200411043Y1 (ko) 2005-12-28 2006-03-15 보아기계공업 주식회사 홍삼제조용 증삼건조기
KR20090100092A (ko) * 2008-03-19 2009-09-23 송화수 인삼 증삼기 및 증삼방법
KR20110031124A (ko) * 2009-09-18 2011-03-24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증기 발생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1038A (ko) * 1998-11-02 2000-06-05 송인수 하부에서 증기가 공급되는 증숙기
KR200411043Y1 (ko) 2005-12-28 2006-03-15 보아기계공업 주식회사 홍삼제조용 증삼건조기
KR20090100092A (ko) * 2008-03-19 2009-09-23 송화수 인삼 증삼기 및 증삼방법
KR20110031124A (ko) * 2009-09-18 2011-03-24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증기 발생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782A (ko) 2014-0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4959B1 (ko) 홍삼 제조용 증숙장치
US8604394B2 (en) Grilling device
CN105902154B (zh) 一种节能蒸柜
CN209331752U (zh) 蒸汽发生模块及具有蒸汽烹饪功能的烹饪电器
CN104643904A (zh) 防串味蒸锅
CN101443440A (zh) 具有外部煮器的麦芽汁煮沸锅
JP3182088U (ja) 電熱式蒸煮装置
CN107007130B (zh) 一种蒸汽烹饪设备
CN106901592A (zh) 压力烹饪器具
CN107028487B (zh) 压力烹饪器具
CN108523639A (zh) 蒸汽喷嘴和蒸汽烹饪装置
TWI556779B (zh) A delayed drip-type steam generator and a food-making device based on the generator
CN204635979U (zh) 酒店食堂专用电蒸柜
CN208388404U (zh) 蒸汽发生装置、高温补炊组件和电饭煲
CN115192453A (zh) 一种循环式煎药机及其循环煎药方法
TW201628541A (zh) 蒸汽鍋具
CN209235743U (zh) 蒸汽炉
CN208905535U (zh) 蒸汽喷嘴和蒸汽烹饪装置
CN104531408B (zh) 一种麦芽汁煮沸设备
CN106889877B (zh) 压力烹饪器具
CN209047972U (zh) 杯盖组件以及具有其的破壁机
KR101066786B1 (ko) 증기 취사기
CN110250901A (zh) 用于蒸汽烹饪装置的快速蒸汽发生器及其蒸汽烹饪装置
CN107374335B (zh) 一种电蒸锅
ES2385689T3 (es) Procedimiento y dispositivo para la cocción del most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0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