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709B1 -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709B1
KR101394709B1 KR1020120051580A KR20120051580A KR101394709B1 KR 101394709 B1 KR101394709 B1 KR 101394709B1 KR 1020120051580 A KR1020120051580 A KR 1020120051580A KR 20120051580 A KR20120051580 A KR 20120051580A KR 101394709 B1 KR101394709 B1 KR 1013947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liner
cover
seat
reclining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15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7799A (ko
Inventor
강승룡
김병혁
박춘호
Original Assignee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지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지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1200515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709B1/ko
Publication of KR20130127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7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트쿠션과 함께 자동차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백을 전,후방으로 각도조절시키는 리클라이닝(reclining)장치의 리클라이너 커버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의 따냄부(C)에 리클라이너 커버와 동일한 재질로서 사출성형된 가림부재를 구비시켜서 자동차 탑승자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는, 자동차의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서로 연결하는 리클라이너의 외측에 구비되는 리클라이너 커버;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에 대해 힌지축을 매개로 폴딩(folding)이 이루어지는 리클라이너 앗세이; 및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에 형성된 따냄부(C)에 구비되어 상기 자동차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키는 가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Recliner cover assembly for vehicles seat}
본 발명은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시트쿠션과 함께 자동차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백을 전,후방으로 각도조절시키는 리클라이닝(reclining)장치의 리클라이너 커버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의 따냄부(C)에 리클라이너 커버와 동일한 재질로서 사출성형된 가림부재를 구비시켜서 자동차 탑승자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키도록 구성된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 시트는 차체에 고정 설치된 시트쿠션(seat cushion)과, 이 시트쿠션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시트백(seat back)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자동차 탑승자의 탑승자세를 유지하여주기 위한 것으로서 운전석과 조수석에 구비되어 한 사람만 착석할 수 있도록 한 세퍼레이터(separator) 타입 시트와, 여러 명이 동시에 착석할 수 있도록 승객실의 후방에 구비되는 벤치(bench) 타입 시트로 구분된다.
이중 세퍼레이터 타입 시트의 경우에는 운전에 적합한 자세를 유지할 수 있도록 운전자 및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또는 탑승자가 휴식을 취할 수 있도록 등받이(시트백)가 전,후방으로 각도조절되도록 하는 리클라이닝(reclining)장치가 더 구비된다.
또한, 3도어 차량이나 쿠페 차량과 같이 리어 도어가 없는 차량이나 3열 이상의 시트를 가지는 레저차량(Recreation Vehicle)의 경우, 후석이나 3열시트로의 승,하차의 용이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전측 시트나 2열시트의 시트백에 대하여 폴딩(folding)과 워커인(warker-in)기능을 가지도록 하고 있다.
후자인 워커인은 시트백을 전방으로 일정한 각도로 회동시킨 후 시트 전체를 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시키도록 하는 것이며, 전자인 폴딩은 시트 전체의 이동은 없으나 시트백이 전방으로 완전하게 접혀지도록 함으로서 후석에 대한 승,하차의 용이성을 제공하도록 하고 있다.
한편, 시트백은 시트쿠션의 후단에서 전술한 리클라이닝장치의 리클라이너(recliner)를 매개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리클라이너에 의하여 전/후방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어 착좌자의 체형이나 편의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며, 리클라이너는 시트의 양측으로 설치되어 시트백의 하단과 시트쿠션의 후단을 서로 연결한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를 나타낸 부분 확대 정면도이고, 도 2는 종래 프로텍터가 설치된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를 나타낸 부분 확대 정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20)에서 리클라이너 커버(22)는 전술한 리클라이너의 외측에 구비되어 스틸 재질을 갖는 리클라이너 앗세이(assay)(24)로부터 사용자의 안전을 위해 적용된 부품으로서, 리클라이너 앗세이(24)가 폴딩되는 조건을 고려하여 리클라이너 커버(22)의 일정 부분을 컷팅하여 따냄부(C)를 형성하고 있는 바, 이 따냄부의 따냄량이 커서 시트백(10)이 폴딩되지 않았을 때(일반적인 사용상태), 손가락이나 볼펜등이 따냄부(C)에 끼어서 안전사고를 유발시킨다.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따냄부(C)에 고무 재질의 프로텍터(protector)(30)를 적용하고 있으나, 상기 시트백(10)의 폴딩 상태가 오래될 경우 프로텍터(30)가 형상이 영구 변형됨으로써 제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등록번호 20-0247183호(2001. 09. 06), 고안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 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410720호(2003. 12. 01),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 기술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0606436호(2006. 07. 21), 발명이 속하는 기술 및 그 분야의 종래 기술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시트백이 폴딩되지 않았을 때 손가락이나 볼펜등이 리클라이너 커버의 따냄부(C)에 끼이는 안전사고를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트백의 폴딩 상태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리클라이너 커버의 따냄부(C)를 가리는 가림부재의 변형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자동차의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서로 연결하는 리클라이너의 외측에 구비되는 리클라이너 커버;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에 대해 힌지축을 매개로 폴딩(folding)이 이루어지는 리클라이너 앗세이; 및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에 형성된 따냄부(C)에 구비되어 상기 자동차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키는 가림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에 의하여 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와 나란하게 구비된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리클라이너 커버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픈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된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리클라이너 커버에 대해 상방향으로 오픈된다.
또한, 이러한 본 발명에서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와 동일한 재질로서 사출성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시트백이 폴딩되지 않았을 때(일반적인 사용상태), 가림부재가 리클라이너 커버의 따냄부(C)를 막고 있으므로 손가락이나 볼펜등이 따냄부(C)에 끼어서 유발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둘째, 시트백의 폴딩 상태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상기 가림부재가 리클라이너 커버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림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를 나타낸 부분 확대 정면도,
도 2는 종래 프로텍터가 설치된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를 나타낸 부분 확대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가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도 3의 D부 확대 정면도로서 회전축이 리클라이너 커버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측 방향으로 오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5a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림부재가 회전되기 전의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5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림부재가 회전되기 전의 시트 사용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5c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림부재가 회전후의 도 4의 A-A선 단면도,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림부재가 회전후의 시트 폴딩 상태를 나타낸 측면 개략도,
도 6은 도 3의 D부 확대 정면도로서 회전축이 리클라이너 커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오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
도 7a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림부재가 회전되기 전의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림부재가 회전되기 전의 시트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c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림부재가 회전후의 도 6의 B-B선 단면도,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림부재가 회전후의 시트 폴딩 상태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가 자동차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D부 확대 정면도로서 회전축이 리클라이너 커버와 나란한 방향으로 구비되어 측 방향으로 오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림부재가 측 방향으로 오픈되는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6은 도 3의 D부 확대 정면도로서 회전축이 리클라이너 커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되어 상 방향으로 오픈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a 내지 도 7d는 본 발명에 따른 가림부재가 상 방향으로 오픈되는 작동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110)는 크게, 리클라이너 커버(120), 리클라이너 앗세이(130), 회전축(140), 그리고 가림부재(150)를 포함한다.
리클라이너 커버(120)는 자동차의 시트백(100)과 시트쿠션(102)을 서로 연결해서 시트백(100)이 전,후방으로 각도조절되게 하는 전술한 리클라이닝(reclining)장치의 리클라이너 외측에 돌출되게 구비된다.
리클라이너 앗세이(130)는 스틸 재질로서 리클라이너 커버(120)에 대해 힌지축(도시되지 않음)을 매개로 폴딩(folding)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리클라이너 앗세이(13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축을 매개로 폴딩이 이루어질 때, 리클라이너 커버(120)에 형성된 따냄부(C)로 이동하면서 폴딩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르면 리클라이너 커버(120)에 형성된 따냄부(C)에 구비되어 자동차 사용자(탑승자)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키기 위한 가림부재(150)를 더 포함한다.
이때, 도 5a 및 도 5c, 그리고 도 7a 및 도 7c를 참조하면 가림부재(150)는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되는 구조를 갖는다. 또한, 가림부재(15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따냄부(C)의 따냄량에 매치되게끔 장방 형태로서 바람직하게는 리클라이너 커버(120)와 동일한 재질로서 사출성형되도록 한다.
이러한 가림부재(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클라이너 커버(120)와 나란하게 구비된 회전축(140)을 매개로 하여 리클라이너 커버(120)에 대해 측(側)방향으로 오픈될 수 있다.
즉, 회전축(140) 리클라이너 앗세이(130)를 폴딩시키는 힌지축과 직교되는 방향으로 구비된다.
또한, 가림부재(15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클라이너 커버(12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된 회전축(140)을 매개로 하여 리클라이너 커버(120)에 대해 상(上)방향으로 오픈될 수 있다.
즉, 회전축(140) 리클라이너 앗세이(120)를 폴딩시키는 힌지축과 수평방향 방향으로 구비된다.
삭제
삭제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4 및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100)이 폴딩되지 않았을 때(일반적인 사용상태), 가림부재(150)가 리클라이너 커버(120)의 따냄부(C)를 막고 있으므로 손가락이나 볼펜등이 따냄부(C)에 끼어서 유발되는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시트의 폴딩시 당초 도 5b 상태에서 리클라이너 앗세이(130)가 약 34도 폴딩(도 5d 참조)되면서 가림부재(150)가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도 5c 참조), 이와 연동하여 가림부재(150) 및 리클라이너 앗세이(130)가 함께 리클라이너 커버(120) 외측으로 일정 부위 노출된다.
또한,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도 6 및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백(100)이 폴딩되지 않았을 때(일반적인 사용상태), 가림부재(150)가 리클라이너 커버(120)의 따냄부(C)를 막고 있어서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시트의 폴딩시 당초 도 7b 상태에서 리클라이너 커버(120)가 시트쿠션(102)에 대해 약 46도 폴딩(도 7d 참조)되면서 가림부재(150)가 회전축(140)을 중심으로 회동하며(도 7c 참조), 이와 연동하여 가림부재(150)가 리클라이너 커버(120) 외측으로 일정 부위 노출된다.
또한, 시트백(100)의 폴딩 상태가 오래 지속되더라도 가림부재(150)가 리클라이너 커버(120)와 동일한 재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가림부재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를 예시된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은 한정되지 않으며 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100 : 시트백 102 : 시트쿠션
104 : 헤드레스트 110 :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
120 : 리클라이너 커버 130 : 리클라이너 앗세이
140 : 회전축 150 : 가림부재

Claims (7)

  1. 삭제
  2. 자동차의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서로 연결하는 리클라이너의 외측에 구비되는 리클라이너 커버;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에 대해 힌지축을 매개로 폴딩(folding)이 이루어지는 리클라이너 앗세이; 및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에 형성된 따냄부(C)에 구비되어 상기 자동차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키는 가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와 나란하게 구비된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리클라이너 커버에 대해 측방향으로 오픈되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
  3. 자동차의 시트백과 시트쿠션을 서로 연결하는 리클라이너의 외측에 구비되는 리클라이너 커버;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에 대해 힌지축을 매개로 폴딩(folding)이 이루어지는 리클라이너 앗세이; 및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에 형성된 따냄부(C)에 구비되어 상기 자동차 사용자의 안전사고를 감소시키는 가림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구비된 회전축을 매개로 하여 리클라이너 커버에 대해 상방향으로 오픈되는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
  4. 제 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가림부재는,
    상기 리클라이너 커버와 동일한 재질로서 사출성형된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51580A 2012-05-15 2012-05-15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 KR101394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580A KR101394709B1 (ko) 2012-05-15 2012-05-15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1580A KR101394709B1 (ko) 2012-05-15 2012-05-15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99A KR20130127799A (ko) 2013-11-25
KR101394709B1 true KR101394709B1 (ko) 2014-05-30

Family

ID=49855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1580A KR101394709B1 (ko) 2012-05-15 2012-05-15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70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377A (ja) 2001-06-11 2002-12-17 T S Tec Kk 操作レバー
JP2005074007A (ja) 2003-09-01 2005-03-24 Toyota Boshoku Corp リクライニング装置用シールドおよびこのシールド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KR20060032551A (ko) * 2004-10-12 2006-04-17 비스티온 인테리어스 코리아 주식회사 슬라이딩 커버를 갖는 자동차용 컵홀더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60377A (ja) 2001-06-11 2002-12-17 T S Tec Kk 操作レバー
JP2005074007A (ja) 2003-09-01 2005-03-24 Toyota Boshoku Corp リクライニング装置用シールドおよびこのシールド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KR20060032551A (ko) * 2004-10-12 2006-04-17 비스티온 인테리어스 코리아 주식회사 슬라이딩 커버를 갖는 자동차용 컵홀더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7799A (ko) 2013-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92933B2 (en) Integrated vehicle seat with active head restraint system
US7845724B2 (en) Automotive seating configuration
US20200023801A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KR101388985B1 (ko) 차량용 더블 폴딩 시트 구조
JP2019166860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US8905482B2 (en) Hidden rear seat head restraints for improved visibility
US10202055B2 (en) Seat device
KR101674573B1 (ko) 차량 시트
KR20200070717A (ko) 자동차용 시트백
JP4012028B2 (ja) 自動車用シート
GB2415616A (en) Vehicle seat assembly including a backrest mounted pivotal headrest for support of the side of a head of an occupant of the assembly
JP5360986B2 (ja) アームレストの支持構造
KR101394709B1 (ko) 자동차용 시트의 리클라이너 커버 조립체
US7396063B2 (en) Integrated closeout flap for reclining rear seat assemblies
CN204340781U (zh) 一种座椅和具有该座椅的汽车
JP5545057B2 (ja) 車両用シート
CN204340780U (zh) 一种汽车座椅
JP6737165B2 (ja) 車両用乗員拘束装置
GB2514925A (en) Seat for a vehicle, in particular a passenger vehicle
JP6808861B1 (ja) 車両用シート
KR20100132401A (ko) 자동차용 3단 접이식 시트
JP6907844B2 (ja) 乗物用シート
KR0128698Y1 (ko) 자동차의 아암 레스트구조
JP6376097B2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101226244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