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4446B1 - 용융아연도금장치 및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용융아연도금장치 및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4446B1
KR101394446B1 KR1020120076240A KR20120076240A KR101394446B1 KR 101394446 B1 KR101394446 B1 KR 101394446B1 KR 1020120076240 A KR1020120076240 A KR 1020120076240A KR 20120076240 A KR20120076240 A KR 20120076240A KR 101394446 B1 KR101394446 B1 KR 1013944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ing bath
molten zinc
steel sheet
inner plating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6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9718A (ko
Inventor
김재근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20076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4446B1/ko
Publication of KR201400097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7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4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4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4Details related to elements immersed in bath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03Apparatus
    • C23C2/0038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pre-treatment chambers located immediately upstream of the bath or occurring locally before the dipping process
    • C23C2/004Snout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0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material
    • C23C2/06Zinc or cadmium or alloys based thereon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2/00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 C23C2/34Hot-dipping or immersion processes for appl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without affecting the shap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material to be treated
    • C23C2/36Elongated material
    • C23C2/40Plates; Stri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융아연도금장치는 강판을 용융아연으로 도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융아연이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여 상기 강판이 인입되는 입구포트,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여 상기 강판이 인출되는 출구포트를 가지는 내부도금욕조; 및 상기 입구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강판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내부도금욕조로 상기 강판을 안내하는 스나우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용융아연도금장치 및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HOT DIP GALVANIZ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OT DIP GALVANIZED STEEL SHEET}
본 발명은 용융아연도금장치 및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징크포트 내부에 내부도금욕조를 추가 설치하여 내부도금욕조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용융아연 강판에 대한 용융아연 도금공정이 이루어지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융아연도금라인은 냉간압연 강판의 기계적 물성 향상을 위한 열처리 공정, 표면 특성 향상을 위한 아연도금공정 및 기타 하성처리, 방청유의 도포 등을 위한 후처리 공정으로 구분된다. 그 중에서 아연도금공정은 열처리로를 거친 스트립을 460℃ 정도의 아연 도금욕에 통과시켜 아연을 강판의 표면에 도금하는 장치이다. 요융아연도금라인의 열처리로에서 소둔처리된 강판은 스나우트를 통해 도금욕으로 진입하게 되며, 도금욕 안의 싱크 롤을 통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부로 향하게 된다. 도금욕을 통과한 스트립은 아연 도금량 제어를 위해 에어나이프 설비를 통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목표하는 도금 부착량을 가진 용융아연도금강판을 생산한다. 특히, 용융아연도금강판 제조에 있어서 도금 품질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핵심부분은 도금욕 내에서의 아연도금 공정이다.
도금욕 내부의 싱크 롤 상부에는 스테빌라이저 롤 및 콜렉터 롤이 있고, 이롤들은 강판의 전면과 이면을 밀어주면서 싱크 롤과 탑 롤 사이의 텐션에 의한 스트립의 반곡 및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 제철소 용융도금 공정 중 징크포트는 기본적으로 용융아연 도금을 하는 설비로 사용되지만, 징크포트 내부에 수용된 용융아연에 의해 강판의 도금처리를 선택적으로 회피하기 어려웠다. 기존의 징크포트 내부에 수용된 용융아연에 의해 더미(dummy)재(예를 들어, 온도 승온용, 두께 연결재, 기타 모드변경용)에 용융아연도금이 되지 않아 아연원단위를 하락시켜 원가절감으로 수익성을 증대시키는 장치가 필요하다.
한국등록특허공보 10-0815810호. 2008.03.20.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도금욕조를 이용하여 강판에 대한 용융아연도금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부도금욕조 내부에 수용된 용융아연을 배출하여 더미재의 용융아연도금을 회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융아연도금장치는 강판을 용융아연으로 도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융아연이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여 상기 강판이 인입되는 입구포트,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여 상기 강판이 인출되는 출구포트를 가지는 내부도금욕조; 상기 용융아연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외부도금욕조; 및 상기 입구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강판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내부도금욕조로 상기 강판을 안내하는 스나우트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도금욕조는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입구포트를 통해 인입된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을 상기 출구포트를 향하여 전환하는 싱크롤;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싱크롤을 통과한 상기 강판의 일면 및 타면을 각각 지지하는 콜렉터 롤과 스테빌라이저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아연도금장치는 상기 내부도금욕조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용융아연을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용융아연을 강제로 배출하는 펌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기 내부도금욕조는 상기 외부도금욕조에 수용된 상기 용융아연 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입구 및 상기 출구가 상기 용융아연의 액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용융아연도금장치는 상기 내부도금욕조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용융아연을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용융아연을 강제로 배출하는 펌프; 일측이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액면의 외부에 위치하는 모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아연도금장치는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를 통해 강제 배출된 상기 용융아연이 흐르고, 일단에 상기 용융아연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외부도금욕조에 수용된 상기 용융아연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부도금욕조는 상기 용융아연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내부도금욕조의 외벽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통로 및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통로와 연통되는 가이드홀을 가지는 게이트;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며, 일측이 상기 게이트의 내벽면과 맞닿아 상기 통로를 개폐가능한 차단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차단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차단플레이트와 함께 이동하는 실린더로드; 및 상기 실린더로드를 승강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구포트는 하향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출구포트는 수직배치되되, 상기 게이트는 하향경사진 상기 내부도금욕조의 일측벽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은 용융아연이 내부도금욕조의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도금욕조의 수용공간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용융아연이 기설정된 양만큼 상기 수용공간에 유입되면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내부도금욕조의 입구포트에 연결된 스나우트를 통해 강판을 안내하여 상기 내부도금욕조로 인입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강판에 대한 용융아연도금공정을 수행하고 공정이 완료된 상기 강판을 상기 내부도금욕조의 출구포트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도금욕조는 외부도금욕조에 수용된 상기 용융아연 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용융아연도금공정 이후에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용융아연을 상기 내부도금욕조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도금욕조의 내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융아연의 배출단계 이후에 더미재를 상기 스나우트를 통해 상기 내부도금욕조로 인입한 후 상기 출구포트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내부도금욕조를 통해 강판의 용융아연도금공정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내부도금욕조의 용융아연을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더미재의 용융아연도금을 회피함으로써 아연원단위를 하락시켜 원가절감으로 수익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기존의 용융아연도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부도금욕조가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차단플레이트의 대기위치 및 고정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3에 도시한 용융아연도금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실시예들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 나타난 각 요소의 형상은 보다 분명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하여 과장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언급하는 ‘연결’은 두 개의 구성요소가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다른 매개체를 통해 간접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기존의 용융아연도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는 바와 같이, 강판(1)(특히 냉연강판) 표면에 특정 용융금속 (예를 들어, 용융아연(5)) 들을 도금하는 도금강판(1)은 강판(1)의 내식성 등이 우수하며, 그 외관 또한 미려하다. 특히, 근래에 이와 같은 도금강판(1)은 전자제품이나 자동차용 강판으로 사용되면서 보다 고품질의 도금강판(1) 제조에 대한 기술개발이 집중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용융아연도금라인의 열처리로에서 소둔처리된 강판(1)은 스나우트(70)(snout)를 통해 용융아연(5) 등의 도금액이 충진된 도금욕조(50)를 통과하면서 강판(1)의 도금이 수행된다. 도금욕조(50) 안의 싱크 롤(60)(sink roll)을 통해 방향이 전환되어 상부로 향하게 되며, 도금욕조(50) 내부의 도금롤들을 통과한 강판은 용융아연(5) 탕면직상부에 대향 배치된 가스 와이핑 장치인 에어나이프(80)를 통과하면서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목표하는 도금 부착량을 가진 용융아연 도금강판(1)을 생산한다.
도금욕조(50) 내부의 싱크 롤(60) 상부에는 스테빌라이저 롤(67)(stabilizer roll) 및 콜렉터 롤(63)(corrector roll)이 배치되며, 이 롤들(67,63)은 강판(1)의 전면과 이면을 밀어주면서 싱크롤(60)과 탑롤(도시안함) 사이의 텐션(tension)에 의한 강판(1)의 반곡 및 진동을 억제하는 역할을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내부도금욕조가 설치되는 위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금욕조(50)('내부도금욕조'와 구분하기 쉽게 '외부도금욕조'로 명칭하기로 함)의 내부에 내부도금욕조(10)가 설치된다. 내부도금욕조(10)는 외부도금욕조(50)의 내부와 분리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스나우트(70)와 연결되어 스나우트(70)를 따라 이송되는 강판(1)이 내부도금욕조(10)의 수용공간으로 인입된다. 수용공간에는 싱크롤(60), 스테빌라이저 롤(67) 및 콜렉터 롤(63)이 배치될 수 있으며, 수용공간에 융융아연(5)이 수용된 경우에는 강판(1)에 대한 도금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내부도금욕조(10)가 설치된 용융아연도금장치(100)에 대해 도 3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용융아연도금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외부도금욕조(50)는 용융아연(5)이 저장되는 저장공간을 갖는다. 내부도금욕조(10)는 외부도금욕조(50)의 내부에 설치되며, 외부도금욕조(50)의 저장공간에는 기설정된 양의 용융아연(5)이 저장된다. 내부도금욕조(10)는 용융아연(5)이 수용되는 수용공간을 가지며, 내부도금욕조(10)의 상부면에는 강판(1)이 인입 및 인출되는 입구포트(12)와 출구포트(14)가 형성된다.
또한, 내부도금욕조(10)의 일측면에는 유입구(30)가 형성되어 외부도금욕조(50)에 저장된 용융아연(5)이 내부도금욕조(10)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게이트(35)는 유입구(30)와 연결되어 유입구(30)가 연장되는 연결통로(37)를 가지며, 외부도금욕조(50)를 향해 돌출된 형상일 수 있다. 게이트(35)의 상부면에는 가이드홀(39)이 형성되어, 차단플레이트(15)는 가이드 홀(39)을 따라 이동가능하다. 차단플레이트(15)는 가이드 홀(39)을 따라 이동하여 게이트(35)를 막음으로써 외부도금욕조(50)의 저장공간과 내부도금욕조(10)의 수용공간을 격리시킬 수 있다. 따라서, 차단플레이트(15)가 게이트(35)를 막을 경우 용융아연(5)은 내부도금욕조(10)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되지 않는다.
차단플레이트(15)의 상단부에는 실린더 로드(25)가 연결된다. 실린더 로드(25)는 실린더(20)와 연결되어 실린더(20)의 가압 또는 수축에 따라 길이방향으로 승강 가능하며, 차단플레이트(15) 또한 실린더 로드(25)와 함께 승강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내부도금욕조(10)의 상부면은 강판(1)의 인입 및 인출 가능한 입구포트(12)와 출구포트(14)가 형성된다. 내부도금욕조(10)는 일측면은 용융아연(5)의 액면와 수직배치될 수 있으며, 내부도금욕조(10)의 타측면은 하부를 향해 기울어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내부도금욕조(10)의 하부면에는 배출구(41)가 형성되어 내부도금욕조(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용융아연(5)을 외부도금욕조(50)로 배출할 수 있다. 배출관(43)의 일측은 배출구(41)와 연결되며, 배출관(43)의 타측은 펌프(40)와 연결되어 내부도금욕조(10)의 수용공간의 용융아연(5)을 외부도금욕조(50)의 저장공간으로 배출가능하다. 샤프트(47)는 펌프(40)의 일측과 연결되어 펌프(40)를 구동할 수 있으며, 샤프트(47)의 타측은 모터(48)와 연결될 수 있다. 모터(48)는 외부도금욕조(50)의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용융아연(5)의 액면의 상부에 설치되어 샤프트(47)를 통해 펌프(40)를 구동할 수 있다.
도 4 및 도 5는 도 3에 도시한 차단플레이트의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플레이트(15)의 상단부에 연결된 실린더 로드(25)가 상승되어 게이트(35)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가이드 홀(39)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실린더 로드(25)는 실린더(20)와 연결되어 실린더(20)가 수축될 경우 차단플레이트(15)는 게이트(35)를 개방할 수 있다. 이처럼 차단플레이트(15)가 개방위치에 있을 경우, 용융아연(5)은 개방된 유입구(30)를 통해 내부도금욕조(10)로 유입된다. 따라서, 내부도금욕조(10)의 수용공간은 외부도금욕조(50)의 저장공간과 교류되어 수용공간과 저장공간은 각각 기설정된 양의 용융아연(5)의 레벨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단플레이트가 폐쇄위치로 전환가능하다. 차단플레이트(15)의 상단부에 설치된 실린더 로드(25)는 실린더(20)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차단플레이트(15) 또한 가이드 홀(39)을 따라 함께 이동할 수 있다. 게이트(35)의 하부면에는 차단플레이트(15)의 하부면과 맞물리는 형상의 게이트홈(51)이 형성될 수 있다. 반면, 차단플레이트(15)가 실린더(20)에 의해 차단위치로 전환된 경우, 차단플레이트(15)는 게이트홈(51)에 맞물려 유입구(30)를 폐쇄함으로써 내부도금욕조(10)의 저장공간과 외부도금욕조(50)의 수용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차단플레이트(15)가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에 있을 경우의 효과 및 본 발명의 용융아연도금장치(1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이어지는 도 6 내지 도 9를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내지 도 9는 도 3에 도시한 용융아연도금장치의 작동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은 차단플레이트의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에서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도금욕조(50)에는 기설정된 레벨의 용융아연(5)이 저장되며, 강판(1)은 스나우트(70)에 형성되는 통로를 통해 내부도금욕조(10)의 입구포트(12)와 연결된다. 강판(1)은 입구포트(12)를 통해 내부도금욕조(10)를 향해 인입되며, 인입된 강판(1)은 싱크롤(60)에 맞닿아 출구포트(14)를 향해 이송방향이 전환된다. 또한, 싱크롤(60)을 통과한 강판(1)은 콜렉터 롤(63)과 스테빌라이저롤(67)에 의해 지지되어 출구포트(14)로 이송되며, 내부도금욕조(10)의 출구포트(14)를 빠져나온 강판(1)은 에어나이프(도시안함)에 의해 고압의 공기를 분사하여 목표로 하는 도금 부착량을 얻는다.
차단플레이트(15)가 개방위치에 위치함으로써, 내부도금욕조(10)의 측면에 형성된 유입구(30) 또한 개방되어 외부도금욕조(50)에 저장된 용융아연(5)은 내부도금욕조(10)의 수용공간으로 유입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도금욕조(10)의 수용공간에 기설정된 레벨의 용융아연(5)이 수용된 경우, 차단플레이트(15)는 폐쇄위치로 전환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실린더(20)를 수축하여 실린더(20)와 연결된 실린더 로드(25)가 상승하면, 실린더 로드(25)의 하단부에 연결된 차단플레이트(15)는 개방위치에 놓인다. 반면, 차단플레이트(15)가 폐쇄위치로 전환될 경우, 차단플레이트(15)는 실린더(20)에 의해 실린더(20)는 실린더 로드(25)를 가압하여 실린더 로드(25)가 하강함에 따라 게이트(35)가 차단된다.
따라서, 강판(1)은 내부도금욕조(10)에 수용된 용융아연(5)에 의해 도금공정이 진행된다. 기본적으로 제철소의 용융도금공정의 도금욕조는 용융아연도금을 위해 사용되는 설비이지만, 열처리로의 온도 승온용, 두께 연결재, 또는 기타 모드변경용으로 쓰이는 더미(dummy)재는 아연도금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만약, 이런 더미재에 도금공정을 거치면 더 이상 재사용이 불가해서 원가상승을 초래할 뿐 아니라, 더미재의 재활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그러므로, 내부도금욕조(10)의 수용공간에 수용된 용융아연(5)을 외부도금욕조(50)로 배출하여 더미재의 도금공정을 선택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도 8은 내부도금욕조 내부에 수용된 도금용액을 외부도금욕조로 배출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9는 내부도금욕조 내부에 수용된 도금용액이 완전히 배출되어 더미재의 도금공정을 선택적으로 회피가능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도금욕조(10)의 하부면에는 배출구(41)가 형성된다. 배출구(41)는 배출관(43)과 연결되며, 배출관(43)은 펌프(40)와 연결되어 내부도금욕조(10) 내부의 용융아연(5)을 외부도금욕조(50)의 저장공간으로 배출가능하다. 샤프트(47)는 펌프(40)의 일측과 연결되어 펌프(40)를 구동할 수 있으며, 샤프트(47)의 타측은 모터(48)와 연결될 수 있다. 모터(48)는 외부도금욕조(50)의 저장공간에 저장되는 용융아연(5)의 액면의 외부에 설치되어 샤프트(47)를 통해 펌프(40)를 구동하여 내부도금욕조(10)의 용융아연(5)을 외부도금욕조(50)의 저장공간으로 배출한다.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도금욕조(10)에 수용된 용융아연(5)은 펌프(40)에 의해 외부도금욕조(50)로 완전히 배출된다. 내부도금욕조(10)에는 용융아연(5)이 존재하지 않으며, 더미재는 용융아연(5)과 맞닿지 않아 더미재의 도금을 회피할 수 있다. 따라서, 외부도금욕조(50) 내부에 내부도금욕조(10)를 설치하여 내부도금욕조(10)에서 강판(1)에 대한 도금공정을 선택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즉, 용융아연도금장치(100)의 차단플레이트(15) 및 펌프(40)를 이용하여 내부도금욕조(10)에 용융아연(5)을 선택적으로 유입 및 배출함으로써 강판(1)에 대한 도금공정 및 도금공정 회피가 가능하다.
따라서, 도금공정이 필요한 경우에만 선택적으로 내부도금욕조(10)에 용융아연(5)을 유입시킴으로써 용융아연(5)을 절감할 뿐만 아니라, 더미재의 도금처리를 미적용함으로써 더미재의 재활용이 가능하여 수익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이와 다른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하에 기재된 청구항들의 기술적 사상과 범위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1 : 강판 5 : 용융아연
10 : 내부도금욕조 15 : 차단플레이트
20 : 실린더 25 : 실린더 로드
30 : 유입구 35 : 게이트
39 : 가이드 홀 40 : 펌프
41 : 배출구 45 : 토출구
47 : 샤프트 48 : 모터
50 : 외부도금욕조 60 : 싱크롤
63 : 콜렉터 롤 67 : 스테빌라이저 롤
70 : 스나우트 80 : 에어나이프

Claims (13)

  1. 강판을 용융아연으로 도금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용융아연이 수용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여 상기 강판이 인입되는 입구포트, 그리고 상기 수용공간과 연통하여 상기 강판이 인출되는 출구포트를 가지는 내부도금욕조;
    상기 용융아연이 수용되는 내부공간을 가지는 외부도금욕조; 및
    상기 입구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강판이 이동하는 통로를 제공하며, 상기 내부도금욕조로 상기 강판을 안내하는 스나우트를 포함하되,
    상기 용융아연도금장치는,
    상기 내부도금욕조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용융아연을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용융아연을 강제로 배출하는 펌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금욕조는,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입구포트를 통해 인입된 상기 강판의 이송방향을 상기 출구포트를 향하여 전환하는 싱크롤;
    상기 수용공간에 설치되며, 상기 싱크롤을 통과한 상기 강판의 일면 및 타면을 각각 지지하는 콜렉터 롤과 스테빌라이저롤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장치.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금욕조는 상기 외부도금욕조에 수용된 상기 용융아연 내에 고정설치되어 상기 입구포트의 상단부 및 상기 출구포트의 상단부가 상기 용융아연의 액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아연도금장치는,
    상기 내부도금욕조의 바닥면에 형성된 배출구에 연결되어 상기 용융아연을 배출하는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에 연결되어 상기 용융아연을 강제로 배출하는 펌프;
    일측이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를 구동하는 샤프트; 및
    상기 샤프트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액면의 외부에 위치하는 모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아연도금장치는 상기 펌프에 연결되어 상기 펌프를 통해 강제 배출된 상기 용융아연이 흐르고, 일단에 상기 용융아연을 토출하는 토출구가 형성되는 토출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토출구는 상기 외부도금욕조에 수용된 상기 용융아연 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금욕조는,
    상기 용융아연이 상기 수용공간으로 유입되는 유입구; 및
    상기 유입구를 개폐하는 개폐장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내부도금욕조의 외벽에 설치되며, 상기 유입구와 연통되는 연결통로 및 측벽을 관통하여 상기 통로와 연통되는 가이드홀을 가지는 게이트;
    상기 가이드홀을 관통하여 이동가능하며, 일측이 상기 게이트의 내벽면과 맞닿아 상기 통로를 개폐가능한 차단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장치는 상기 차단플레이트를 이동시키는 이송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이송부는,
    상기 차단플레이트의 타측과 연결되며, 상기 차단플레이트와 함께 이동하는 실린더로드; 및
    상기 실린더로드를 승강하는 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입구포트는 하향경사지도록 배치되며, 상기 출구포트는 수직배치되되,
    상기 게이트는 하향경사진 상기 내부도금욕조의 일측벽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장치.
  11. 용융아연이 내부도금욕조의 유입구를 통해 상기 내부도금욕조의 수용공간에 공급하는 단계;
    상기 용융아연이 기설정된 양만큼 상기 수용공간에 유입되면 상기 유입구를 폐쇄하는 단계;
    상기 내부도금욕조의 입구포트에 연결된 스나우트를 통해 강판을 안내하여 상기 내부도금욕조로 인입하는 단계; 및
    상기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강판에 대한 용융아연도금공정을 수행하고 공정이 완료된 상기 강판을 상기 내부도금욕조의 출구포트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내부도금욕조는 외부도금욕조에 수용된 상기 용융아연 내에 고정설치되며,
    상기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은,
    상기 용융아연도금공정 이후에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상기 용융아연을 상기 내부도금욕조에 형성된 배출구를 통해 상기 외부도금욕조의 내부로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융아연의 배출단계 이후에 더미재를 상기 스나우트를 통해 상기 내부도금욕조로 인입한 후 상기 출구포트를 통해 배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20120076240A 2012-07-12 2012-07-12 용융아연도금장치 및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1394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40A KR101394446B1 (ko) 2012-07-12 2012-07-12 용융아연도금장치 및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240A KR101394446B1 (ko) 2012-07-12 2012-07-12 용융아연도금장치 및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718A KR20140009718A (ko) 2014-01-23
KR101394446B1 true KR101394446B1 (ko) 2014-05-14

Family

ID=50142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6240A KR101394446B1 (ko) 2012-07-12 2012-07-12 용융아연도금장치 및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4446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353U (ja) * 1992-12-09 1994-06-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連続焼鈍・溶融メッキ兼用処理設備
JP2001342551A (ja) * 2000-06-02 2001-12-14 Nkk Corp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装置および方法
JP2008095207A (ja) * 1998-04-01 2008-04-24 Jfe Steel Kk 溶融亜鉛系めっき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7353U (ja) * 1992-12-09 1994-06-28 新日本製鐵株式会社 連続焼鈍・溶融メッキ兼用処理設備
JP2008095207A (ja) * 1998-04-01 2008-04-24 Jfe Steel Kk 溶融亜鉛系めっき方法およびそのための装置
JP2001342551A (ja) * 2000-06-02 2001-12-14 Nkk Corp 溶融金属めっき鋼帯の製造装置および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718A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926066A1 (en) Device for removing foreign material from molten metal surface in steel sheet hot-dip galvanizing process
EP1760167B1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steel tub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RU2667186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стальной полосы
CN111886355A (zh) 用于对金属带进行浸涂的方法
RU2237743C2 (ru)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оверхности протяженного изделия, ли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JP2008024981A (ja) 表面処理鋼板製造設備
US9249489B2 (en) Method and system for manufacturing metal-plated steel pipe
KR101394446B1 (ko) 용융아연도금장치 및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EP2829625B1 (en) Device for applying a coating to an extended article
RU2672963C2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стальной полосы и стальная полоса
US20070104885A1 (en) Method for hot dip coating a metal bar and method for hot dip coating
RU2082819C1 (ru) Способ многослойного покрытия длинномерн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101394445B1 (ko) 용융아연도금장치 및 용융아연도금방법
CN108396272B (zh) 一种无沉没辊热镀锌系统
CN103890217A (zh) 用于细长制品上涂覆涂层的装置
KR101493863B1 (ko) 강판 도금장치 및 강판 도금방법
KR101431018B1 (ko) 용융아연도금장치 및 용융아연도금강판의 제조방법
KR101842166B1 (ko) 도금조용 커버장치
KR101192513B1 (ko) 강판의 용융아연 도금코팅 장치 및 방법
KR101753597B1 (ko) 무산화 가스 와이핑 장치
JP7363760B2 (ja) 溶融亜鉛めっき鋼板の製造方法
KR20240010922A (ko) 도금장치 및 도금방법
KR101493857B1 (ko) 용융금속 공급장치
KR20090068039A (ko) 강판의 연속 도금장치 및 방법
KR20190077908A (ko) 강판 냉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