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549B1 -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549B1
KR101393549B1 KR1020120109079A KR20120109079A KR101393549B1 KR 101393549 B1 KR101393549 B1 KR 101393549B1 KR 1020120109079 A KR1020120109079 A KR 1020120109079A KR 20120109079 A KR20120109079 A KR 20120109079A KR 101393549 B1 KR101393549 B1 KR 1013935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tchet
inner panel
module
cha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090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2376A (ko
Inventor
최동욱
곽경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090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549B1/ko
Publication of KR20140042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2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5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5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10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5/00Doors
    • B60J5/04Doors arranged at the vehicle sides
    • B60J5/0412Lower door structure
    • B60J5/0413Inner panel, e.g. characterised by carry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indow Of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이 장착됨으로써 도어 글라스의 래틀을 방지하고 도어 개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은, 전자부품들이 내장되고, 상기 전자부품들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 기능을 수행하며,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되는 모듈 본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일단이 차체와 힌지 연결되는 상기 도어의 타단을 차체에 선택적으로 결속시키는 도어 래칫; 상기 도어 래칫 및 도어 핸들에 연결되어 상기 도어 핸들의 작동을 상기 도어 래칫에 전달하는 도어 핸들 베이스; 및 상기 도어 래칫 및 도어 핸들 베이스의 하측에서 도어 글라스를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 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DOOR SEALED MODULE FOR VEHICLE}
본 발명은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이 장착된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door sealed module)은 자동차의 도어 내에 배치되는 도어 글라스 개폐를 위한 도어 글라스 레귤레이터(door glass regulator), 도어의 개폐에 사용되는 도어 래칫(door ratchet), 도어 핸들(door handle)의 조작을 상기 도어 래칫에 전달하는 도어 핸들 베이스(door handle base) 및 스퍼커 등 다수의 부품이 일체형으로 결합된 모듈형 부품이다. 또한, 도어 실드 모듈은 자동차 외부로부터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한다. 즉, 도어 실드 모듈은 실링(sealing)기능을 수행하도록 자동차의 도어 이너 패널(door inner panel)에 조립된다.
한편, 자동차의 디자인에 따라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door outside handle)의 위치가 변경되면 도어 핸들 베이스 및 도어 래칫의 위치가 변경된다. 특히, 상기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위치가 상향됨에 따라 도어 핸들 베이스 및 도어 래칫의 위치가 상향될 경우, 도어 글라스의 창틀 역할을 함과 동시에 상하 운동을 가이드하는 도어 프레임이 도어 실드 모듈이 장착된 도어의 내부로 깊이 삽입될 수 없다. 즉, 도어 글라스가 하강되면 상기 도어 프레임에 지지되는 부분이 상기 도어 아웃사이드 핸들의 위치가 하향된 경우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아진다. 따라서, 도어 글라스가 하강된 상태가 안정적이지 못하며, 도어 글라스가 하강된 상태에서 도어가 개폐되면 도어 글라스의 래틀(rattle)이 발생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어의 내부에서 상기 도어 핸들 베이스 및 도어 래칫보다 낮은 위치에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door glass lower channel)을 배치시키는 방법을 생각해볼 수 있다.
하지만, 도어 실드 모듈이 적용된 자동차의 도어에는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을 장착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
자세히 설명하면, 도어 이너 패널에 도어 실드 모듈이 먼저 장착되면, 도어 패널의 내측이 어두워지고,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의 장착을 위한 작업공간이 부족해진다. 한편, 도어 이너 패널에 글라스 로워 채널이 먼저 장착되는 경우에는 래칫을 포함한 도어 실드 모듈에 장착된 부품들과 글라스 로워 채널 사이의 간섭에 의해 도어 이너 패널에 도어 실드 모듈을 장착하는 것이 어려워진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이 장착됨으로써 도어 글라스의 래틀을 방지하고 도어 개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도어 실드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은, 전자부품들이 내장되고, 상기 전자부품들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 기능을 수행하며,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되는 모듈 본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일단이 차체와 힌지 연결되는 상기 도어의 타단을 차체에 선택적으로 결속시키는 도어 래칫; 사용자에 의한 도어 핸들의 조작을 상기 도어 래칫에 전달하도록 상기 도어 래칫 및 도어 핸들에 연결되어 있는 도어 핸들 베이스; 및 상기 도어 래칫 및 도어 핸들 베이스의 하측에서 도어 글라스를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 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은, 상기 모듈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 상기 도어 글라스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도어 이너 패널과 결합되도록 접촉하는 이너 패널 결합부; 를 포함하되,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너 패널 결합부가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 선택적으로 접촉될 수 잇다.
상기 이너 패널 결합부가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 접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이너 패널 결합부와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의 사이에는 상기 모듈 본체를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 조립시키기 위한 작업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모듈 본체에는 상기 회전되는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 턱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은 모듈 결합부재의 결속에 의해 상기 모듈 본체와 결합하고, 상기 모듈 결합부재의 결속에 따라 회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래칫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모듈 본체의 내부에서 인출되어 상기 도어 래칫과 연결되는 래칫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칫 케이블의 일부분은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래칫에 장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모듈 본체의 내부에서 인출되어 상기 도어 래칫과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싸는 와이어 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호스의 일부분은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에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이너 패널에 도어 실드 모듈 및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을 모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어 글라스의 래틀을 방지하고 도어 개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실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차량의 내측에서 바라본 도어 실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차량의 외측에서 바라본 도어 실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이 모듈 본체에 완전히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이 모듈 본체에 완전히 결합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실드 모듈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실드 모듈은 모듈 본체(1), 도어 래칫(4), 도어 핸들 베이스(5) 및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 본체(1)의 내부에는 도어 글라스 개폐를 위한 도어 글라스 레귤레이터(도시하지 않음), 스퍼커(도시하지 않음) 등의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또한, 상기 모듈 본체(1)는 두 개의 패널(panel)이 상기 전자부품들을 감싸면서 결합되고, 상기 두 개의 패널의 결합부에는 실링부재(14)가 장착된다. 나아가, 상기 실링부재(14)는 자동차 외부로부터 모듈 본체(1)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실링(sealing)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모듈 본체(1)의 내부구성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 래칫(4)은 상기 모듈 본체(1)에 장착되고, 상기 도어 핸들 베이스(5)는 상기 도어 래칫(4)과 연결된다. 상기 도어 래칫(4)은 도어의 개폐에 사용되는 장치로서, 통상적으로 일단이 차체와 힌지 연결되는 도어의 타단에 장착되고 도어의 타단을 차체에 선택적으로 결속시킨다. 한편, 상기 도어 핸들 베이스(5)는 사용자에 의한 도어 핸들(door handle)의 조작을 상기 도어 래칫(4)에 전달한다.
도 4 및 도 5을 참조하면, 상기 두 개의 패널로 구성되는 모듈 본체(1)의 일면은 도어 이너 패널(2)에 접촉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래칫(4) 및 상기 도어 핸들 베이스(5)는 상기 모듈 본체(1)의 타면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듈 본체(1)와 일체형으로 구비되는 상기 도어 래칫(4) 및 상기 도어 핸들 베이스(5)의 구성 및 기능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므로 더 이상의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은 상기 모듈 본체(1)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은 하강되는 도어 글라스(door glass)를 가이드(guide)함과 동시에 지지하도록 자동차의 도어에서 상기 도어 래칫(4) 및 상기 도어 핸들 베이스(5)의 하측에 장착된다.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은 힌지부(34), 가이드부(30) 및 이너 패널 결합부(32)를 포함한다.
상기 힌지부(34)는 상기 모듈 본체(1)의 타면에 힌지(hinge)연결되는 부분이다. 또한, 상기 힌지부(34)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두 갈래로 분기된다. 나아가, 분기된 하나는 상기 가이드부(30)를 형성하고, 다른 하나는 상기 이너 패널 결합부(32)를 형성한다.
상기 가이드부(30)는 상기 도어 글라스가 하강할 때 상기 도어 글라스(door glass)와 접촉된다. 즉, 상기 도어 글라스는 상기 가이드부(30)에 의해 가이드됨과 동시에 지지된다.
상기 이너 패널 결합부(32)는 상기 도어 이너 패널(2)에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5에는 상기 이너 패널 결합부(32)가 상기 도어 이너 패널(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접촉된 것이 도시되었다.
본 발명의 실시에에 따른 도어 실드 모듈은 래칫 케이블(42) 및 래칫 와이어 호스(44)를 더 포함한다.
상기 래칫 케이블(42)은 상기 도어 래칫(4)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케이블이다. 또한, 상기 래칫 케이블(42)의 일부분은 상기 도어 래칫(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모듈 본체(1) 내부의 제어유닛(도시하지 않음)과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래칫 케이블(42)은 모터(motor)로 상기 도어 래칫(4)의 톱니를 구동시키는 경우 사용된다.
상기 래칫 와이어 호스(44)는 상기 도어 래칫(4)에 장력을 공급하는 와이어(도시하지 않음)를 감싸는 호스이다. 또한, 상기 래칫 와이어 호스(44)의 일부분은 상기 도어 래칫(4)에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모듈 본체(1) 내부의 상기 제어유닛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래칫 케이블(42) 및 상기 래칫 와이어 호스(44)는 당업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래칫 케이블(42) 및 상기 래칫 와이어 호스(44)와 도어 내부의 다른 부품들 사이에서 간섭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간섭은 도어 내부의 부품들의 기능을 저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래칫 케이블(42) 및 상기 래칫 와이어 호스(44)와 도어 내부의 다른 부품들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도록 상기 래칫 케이블(42) 및 상기 래칫 와이어 호스(44)의 일단은 각각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는 상기 래칫 와이어 호스(44)가 호스 고정부재(46)에 의해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과 결합된 것이 도시되었다. 또한, 도 4에는 상기 래칫 케이블(42)이 케이블 고정부재(22)에 의해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과 결합된 것이 도시되었다. 여기서, 상기 호스 고정부재(46) 및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22)는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을 관통하여 체결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호스 고정부재(46) 및 상기 케이블 고정부재(22)는 볼트와 너트의 결합에 의해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에 체결될 수 있다.
도 2는 차량의 내측에서 바라본 도어 실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차량의 외측에서 바라본 도어 실드 모듈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은 가이드 홈(38: 도 4 참조), 힌지축(36), 결합홀(33) 및 모듈 결합부재(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듈 본체(1)는 힌지축 수용부(16) 및 가이드 턱(12: 도 4 참조)을 포함한다.
상기 가이드 홈(38)은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의 가이드부(30)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홈(38)은 상기 도어 글라스의 이동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나아가, 상기 도어 글라스가 하강할 때, 상기 도어 글라스의 일측은 상기 가이드 홈(38)을 따라 슬라이딩된다. 즉, 상기 가이드 홈(38)은 상기 도어 글라스를 지지하면서 상기 도어 글라스의 하강을 가이드한다.
상기 힌지축(36)은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의 힌지부(34) 및 상기 모듈 본체(1)의 타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거나 구비된다. 도 3에는 상기 힌지축(36)은 상기 힌지부(34)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된 것이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은 상기 힌지축(36)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모듈 본체(1)의 타면에 장착된다.
상기 힌지축 수용부(16)는 상기 모듈 본체(1)의 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축 수용부(16)에는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의 힌지축(36)이 수용되도록 홀(hole)이 형성된다. 즉, 상기 힌지축(36)은 상기 힌지축 수용부(16)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가이드 턱(12)은 상기 모듈 본체(1)의 타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 턱(12)은 상기 힌지축 수용부(16)와 이웃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가이드 턱(12)은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의 상하 유동을 방지한다. 즉, 상기 가이드 턱(12)은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이 상하 유동없이 회전하도록 가이드한다.
한편, 상기 힌지축 수용부(16) 및 상기 가이드 턱(12)은 상기 힌지부(34)로부터 상기 힌지축(36)이 돌출된 방향에 대응되도록 상기 힌지부(34)의 양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홀(33)은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의 이너 패널 결합부(32)에 형성된다. 또한, 상기 결합홀(33)은 볼트 등과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도어 이너 패널(2)을 관통한 볼트가 상기 결합홀에 체결됨으로써 상기 도어 이너 패널(2)과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이 결합될 수 있다. 한편, 도 3에는 두 개의 결합홀(33)이 도시되었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모듈 결합부재(20)는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과 상기 모듈 본체(1)를 결합시킨다. 또한, 상기 모듈 결합부재(20)는 볼트와 너트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모듈 결합부재(20)의 볼트는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 및 상기 모듈 본체(1)의 타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된다. 즉, 상기 모듈 결합부재(20)의 볼트와 너트 중 하나는 도 2와 같이 상기 모듈 본체(1)의 외부에서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의 힌지부(34) 일면에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도 3과 같이 상기 모듈 본체(1)의 내부에 배치된다. 나아가, 상기 힌지부(34)의 일면에 배치된 볼트 또는 너트는 작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조작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이 모듈 본체에 완전히 결합되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결합부재(20)의 볼트 및 너트가 완전히 조여지지 않으면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은 상기 이너 패널 결합부(32)와 상기 도어 이너 패널(2)의 사이에 작업 공간(10)을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작업 공간(10)은 상기 모듈 본체(1)를 상기 도어 이너 패널(2)에 결합시키는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공간이다. 여기서, 상기 모듈 본체(1)는 상기 도어 이너 패널(2)과 볼트 및 너트에 의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모듈 본체(1)와 상기 도어 이너 패널(2)을 결합시키는 볼트 및 너트를 조이기 위한 상기 작업 공간(10)이 필요하다. 즉,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이 상기 작업 공간(10)을 형성하지 않도록 상기 모듈 본체(1)에 장착되면, 상기 모듈 본체(1)을 상기 도어 이너 패널(2)에 결합시키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이 모듈 본체에 완전히 결합된 후의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모듈 결합부재(20)의 볼트 및 너트가 완전히 조여지면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은 상기 힌지축(36)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이너 패널 결합부(32)와 상기 도어 이너 패널(2)이 접촉한다. 즉, 상기 힌지부(34)의 일면에 배치된 볼트 또는 너트의 조작에 의해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가 회전한다. 또한, 상기 이너 패널 결합부(32)와 상기 도어 이너 패널(2)이 접촉되면 상기 도어 이너 패널(2)을 관통한 볼트가 상기 결합홀에 체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도어 이너 패널(2)에 도어 실드 모듈 및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3)을 모두 장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도어 글라스의 래틀을 방지하고 도어 개폐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 모듈 본체 2: 도어 이너 패널
3: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 4: 도어 래칫
5: 도어 핸들 베이스 10: 작업 공간
12: 가이드 턱 14: 실링부재
16: 힌지축 수용부 20: 모듈 결합부재
22: 케이블 고정부재 30: 가이드부
32: 이너 패널 결합부 33: 결합홀
34: 힌지부 36: 힌지축
38: 가이드 홈 42: 래칫 케이블
44: 래칫 와이어 호스 46: 호스 고정부재

Claims (7)

  1. 전자부품들이 내장되고, 상기 전자부품들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링 기능을 수행하며, 도어 이너 패널에 장착되는 모듈 본체;
    도어의 개폐에 따라 일단이 차체와 힌지 연결되는 상기 도어의 타단을 차체에 선택적으로 결속시키는 도어 래칫;
    사용자에 의한 도어 핸들의 조작을 상기 도어 래칫에 전달하도록 상기 도어 래칫 및 도어 핸들에 연결되어 있는 도어 핸들 베이스; 및
    상기 도어 래칫 및 도어 핸들 베이스의 하측에서 도어 글라스를 지지하면서 가이드하는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
    을 포함하되,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은,
    상기 모듈 본체에 힌지 결합되는 힌지부;
    상기 도어 글라스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 및
    상기 도어 이너 패널과 결합되도록 접촉하는 이너 패널 결합부;
    를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를 기준으로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이너 패널 결합부가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패널 결합부가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 접촉되지 않을 경우,
    상기 이너 패널 결합부와 상기 도어 이너 패널의 사이에는 상기 모듈 본체를 상기 도어 이너 패널에 조립시키기 위한 작업 공간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듈 본체에는 상기 회전되는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의 상하 유동을 방지하는 가이드 턱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은 모듈 결합부재의 결속에 의해 상기 모듈 본체와 결합하고,
    상기 모듈 결합부재의 결속에 따라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칫에 전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모듈 본체의 내부에서 인출되어 상기 도어 래칫과 연결되는 래칫 케이블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래칫 케이블의 일부분은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래칫에 장력을 공급하도록 상기 모듈 본체의 내부에서 인출되어 상기 도어 래칫과 연결되는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를 감싸는 와이어 호스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호스의 일부분은 상기 도어 글라스 로워 채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
KR1020120109079A 2012-09-28 2012-09-28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 KR1013935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079A KR101393549B1 (ko) 2012-09-28 2012-09-28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09079A KR101393549B1 (ko) 2012-09-28 2012-09-28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376A KR20140042376A (ko) 2014-04-07
KR101393549B1 true KR101393549B1 (ko) 2014-05-09

Family

ID=50651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09079A KR101393549B1 (ko) 2012-09-28 2012-09-28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54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4293B1 (ko) * 2015-11-25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도어 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2376A (ko) 2014-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00331B2 (en) Self-driving closure device
US9579956B2 (en) Sliding window for vehicle, and trim board fixing method
JP4423612B2 (ja) ドアガードバーの取付構造
US20150360628A1 (en) Protection structure for spring portion of power supply device
MXPA04010389A (es) Modulo portante con cierre estanco para puertas de vehiculo y procedimiento de montaje de dicho modulo.
US20100031575A1 (en) Window regulator and jig
KR101393549B1 (ko)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
JP6266277B2 (ja) ドアハーネスの取付構造
JP6446173B2 (ja) 車両のスライド窓及び給電装置
CN108116208B (zh) 车顶封闭组件和组装车顶封闭组件的方法
KR101405767B1 (ko) 슬라이딩 도어의 와이어링 하네스 체인-도어 연결장치
CN108808991B (zh) 用于车窗调节器的水密组件
KR20120059990A (ko) 자동차용 도어의 로워 채널 조립체
EP2034580B1 (en) Electric power-feeding structure
JP2011174337A (ja) ウインドレギュレータ装置の取付構造
US20040139657A1 (en) Opening movement control device of a sliding door for a vehicle
JP5332553B2 (ja) パワースライドドア装置及びプーリユニット
JP2013151214A (ja) 車両用ドアの止水構造
KR20080042974A (ko) 자동차용 도어 윈도우 레귤레이터의 캐리어 구동수단결합구조
KR101766060B1 (ko) 자동차의 도어 글라스 레귤레이터 모듈
CN202359903U (zh) 防止非正常开启的汽车门电动门锁
JP2006347282A (ja) グロメットの固定構造
ATE310145T1 (de) Elektrischer fensterheber
KR20150070267A (ko)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JP3232011B2 (ja) 車両の配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