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70267A -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 Google Patents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70267A
KR20150070267A KR1020157012329A KR20157012329A KR20150070267A KR 20150070267 A KR20150070267 A KR 20150070267A KR 1020157012329 A KR1020157012329 A KR 1020157012329A KR 20157012329 A KR20157012329 A KR 20157012329A KR 20150070267 A KR20150070267 A KR 20150070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motor
cable
housing cover
cab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70123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87877B1 (ko
Inventor
클라우스 퇴퍼
Original Assignee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키커트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50070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0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78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78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02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actuators used
    • E05B81/04Electrical
    • E05B81/06Electrical using rotary mot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1/00Power-actuated vehicle locks
    • E05B81/24Power-actuated vehicle lock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actuator or the power transmission
    • E05B81/25Actuators mounted separately from the lock and controlling the lock functions through mechanical connec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85/00Details of vehicle locks not provided for in groups E05B77/00 - E05B83/00
    • E05B85/02Lock cas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009Dynamoelectric machi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동 유니트, 특히 동력 클로징 메커니즘, 바람직하게는 차량 도어 록을 위한 구동부에 관한 것으로서, 이 구동부는 전기 모터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하우징 부분, 모터 하우징 부분을 덮기 위한 하우징 커버 부분 그리고 모터 하우징 내의 전기 모터의 모터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전환 구역을 포함하는, 전류를 전기적으로 전도하기 위한 케이블을 포함한다. 케이블의 전환 구역은 하우징의 밖에 배치 또는 하우징의 밖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이 방식에서, 하우징이 닫힐 때 조립 동안에 케이블은 과도하게 굽혀지지 않는다.

Description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Drive for an actuating unit}
본 발명은 작동 유니트, 특히 동력 클로징 메커니즘(power closing mechanism), 바람직하게는 청구항 1항의 전제부의 특징을 갖는 차량 록을 위한 구동에 관한 것이다.
작동 유니트를 위한 구동부는 액츄에이터에 영향을 주기 위하여 작동하며 작동 요소에 영향을 주기 위한 연결 요소에 작용한다. 작동 유니트를 위한 이러한 구동부는 작동 요소의 역할을 수행하는 차량 도어 록 그리고 연결 수단으로서의 보덴 케이블을 갖는, 차량 록을 위한 동력 클로징 메커니즘을 개시하고 있는 공보 DE 20 2009 010 787 U1로부터 알려져 있다.
작동 유니트를 위한 구동부는 구동 모터를 보호하고 그리고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하우징은 또한 차랑 도어와 같은 지지 요소에 고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구동부의 설치 동안에 모터는 하우징 내로 삽입된다. 하우징 내의 케이블은 모터를 전기 연결 모듈에 연결하며, 여기서 구동부에 동력을 공급하는 에너지 원은 이후 단계에서 전기 연결 모듈에 연결될 수 있다.
작동 유니트를 위한 일부 구동부에서, 특히 차량 도어 록을 위한 동력 클로징 메커니즘의 경우, 전기 연결 모듈의 연결 콘택트는 하우징과 모터 콘택트를 수용하는 하우징의 하우징 부분 상에 배치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이는 연결 모듈이 하우징 커버 내에 수용될 때의 경우이다. 따라서 모터의 삽입 후, 케이블의 연결 및 설치를 위하여 하우징은 초기에 열린 상태에 남아있다. 그러나 하우징의 닫힘 동안에 전기 케이블은 과다하게 굽혀질 수 있다. 결과는 케이블의 구부러짐 또는 잠재적인 케이블 결함일 수 있다.
아래에서 다르게 특정되지 않는 한, 작동 유니트를 위한 구동부의 위의 특징은 개별적으로 또는 조합 상태로 본 발명의 부분일 수 있다.
위에서 언급된 형태의 작동 유니트를 위한 구동부를 더 개발하는 것이 본 발명의 과제이다.
본 발명은 청구항 1항의 특징을 갖는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를 제공함에 의하여 위의 과제를 해결한다. 유리한 실시예가 종속 청구항에 개시되어 있다. 하나의 종속 청구항은 구동부 설치 방법과 관련이 있다.
이 과제는 작동 유니트, 특히 동력 클로징 메커니즘을 위한, 바람직하게는 차량 록을 위한 구동부에 의하여 해결되며, 이 구동부는 전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 부분 그리고 모터 하우징 부분을 덮는 하우징 커버 부분을 포함하되, 전기의 전기적 전도를 위한 케이블은 모터 하우징 부분 내의 전기 모터의 모터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케이블은 전환 구역을 포함한다. 케이블의 전환 구역은 하우징의 밖에 배치 또는 하우징의 밖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다.
전환 구역은 설치의 부분으로서 하우징의 닫힘 동안에 구부러지는 케이블 부분이다.
하우징의 외부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 외부에 배치된 케이블의 전환 구역으로 인하여, 특별하게 쉬운 방식으로 케이블의 과도한 굽힘은 방지된다. 그 결과, 케이블의 과도한 굽힘을 방지하기 위한 부가적인 작업 단계 및/또는 요소가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케이블의 전환 구역은 모터 하우징 부분과 하우징 커버 부분의 공통적인 관절 축 주위에, 특히 관절 축에 아주 가깝게 또는 선택적으로 관절 축을 통하여 연장된다.
모터 하우징 부분과 하우징 커버 부분의 공통적인 관절 축은 설치 동안에 열림과 닫힘을 위하여 모터 하우징 부분과 하우징 커버 부분이 서로를 향하여 움직이는 중심인 회전축을 형성한다. 모터 하우징 부분과 하우징 커버 부분이 조인트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된 경우, 관절 축은 조인트의 회전축에 대응한다. 그러나, 양 하우징 부분이 관절 연결부를 갖지 않은 대신에 열림 및 닫힘 운동을 위하여 예를 들어 하우징 커버 부분이 모터 하우징 부분의 에지 영역 상의 외부 에지에 의하여 단지 지지될 때 회전축 또는 관절 축은 또한 존재한다.
공통 관절 축 주변, 특히 관절 축에 인접한 또는 선택적으로 관절 축을 통한 케이블의 전환 구역의 배치는 하우징의 닫힘 동안에 특히 케이블 경로의 작은 변화를 보장하며, 그 결과 어떠한 과도한 케이블 길이 그리고 그에 따라 케이블의 어떠한 과도한 굽힘은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모터 하우징 부분은 전기 모터에서 빗나간 관절 축의 측부 상의 전환 구역 내의 관절 축 주변에서 케이블을 안내하기 위한 만곡부를 포함하며, 만곡부의 반경은 케이블의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크거나 같다.
굽힘 반경은 케이블의 특성에 대한 어떠한 변화 없이 케이블에 의하여 취해질 수 있는 가장 극단적인 곡률을 나타낸다. 케이블의 허용 굽힘 반경은 일반적으로 제조자에 의하여 제공된다.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크거나 같은 반경을 갖는 만곡부에 의하여 관절 축 주변에서 케이블을 안내함에 의하여, 실제 굽힘 반경이 허용 반경에 미치지 못하는 것이 특히 쉽게 방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모터 하우징 부분은 전환 구역의 적어도 한 부분에서의 케이블의 측방향 동작을 제한하기 위한 하나 또는 다수의 리브를 포함한다.
측방향 동작은 케이블 경로의 방향을 가로지르는 지지 표면 상에서의 케이블의 운동의 자유도에 관한 것이다.
리브는 케이블의 특별하게 쉬운 설치를 허용한다. 그 결과, 클램핑 고정구와 같은 케이블 고정 수단 내에 케이블을 삽입하기 위한 어떠한 부가적인 설치 시간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측 방향 리브는 케이블을 위한 보호를 제공하며 그리고 케이블이 끼일 수 있는 어떠한 인접한 에지에 케이블이 도달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케이블의 측방향 동작이 용이해지도록 2개의 리브가 적어도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따라서 2개의 리브 사이의 갭은 케이블의 직경보다 크다.
어느 정도의 동작을 허용하는 리브를 이용하여 케이블을 측 방향으로 안내함에 의하여, 케이블이 보상 운동을 통한 다른 점에서의 케이블의 어느 정도의 굽힘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는 것이 특히 확실하게 그리고 어떠한 결함없이 보장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특히 모터 하우징 부분의 리브는 하우징의 열림 동안에 하우징 커버 부분의 회전 이동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부를 포함한다. 회전 운동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부는 설치 동안에 케이블의 과도한 굽힘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설치된 상태에서 전기 모터의 모터 콘택트가 관절 축을 향하는 방식으로 모터 하우징 부분은 설계된다. 모터 콘택트를 관절 축과 나란하게 함에 의하여, 케이블 재료는 절약될 수 있으며 그리고 전기 모터와 케이블이 특히 쉽게 그리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개구가 모터 하우징 부분의 외부에서 관절 축 주변의 만곡부에 접선적으로 접촉하는 방식으로 개구는 모터 하우징 부분 내에 배치된다. 관절 축 주변에서 만곡부와 접선적으로 접촉하는, 모터 하우징 부분의 개구는 모터에 연결된 케이블이 특히 직선으로, 즉 특히 약간의 굽힘을 갖고 개구를 통하여 그리고 모터 하우징 부분 밖으로 연장되고 만곡부에 의하여 관절 축 주변에서 안내될 수 있는 것을 보장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케이블 직경보다 큰 깊이를 갖는, 케이블을 수용하기 위한 U형 채널이 제공된다. 독창적인 채널의 결과로서, 케이블은 매립될 수 있고 따라서 하우징 내의 요소 및 부품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U형 채널은 케이블을 위하여 일부 측 방향 동작을 제공한다. 케이블을 위한 측 방향 동작을 갖는 U형 채널은 보상 운동에 의한 다른 점에서의 케이블의 굽힘을 케이블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어느 정도 범위까지 대응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케이블의 전환 구역 내의 U형 채널은 허용 굽힘 반경을 초과하거나 이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 만곡부를 포함한다.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크거나 이와 동일한 반경을 갖는 만곡부를 구비한 U형 채널 내에 위치하는 케이블의 결과로서, 굽힘 반경이 허용 굽힘 반경 이하가 되지 않는 것이 보장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설치의 부분으로서 하우징의 닫힘 동안에 전환 구역 내의 케이블이 모터 하우징 부분의 만곡부로부터 U형 채널의 만곡부의 개구를 통하여 하우징 커버 부분의 U형 채널 내로 연장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치된 개구를 U형 채널은 갖는다. 독창적인 개구의 결과로서, 전환 구역에서 모터 하우징 부분과 커버 하우징 부분 간의 전이점에서의 특히 작은 만곡부로 케이블의 설치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이 한 실시예에서, U형 케이블은 설치를 위하여 하우징이 열릴 때 하우징 커버 부분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부를 제공한다. 하우징의 열림 동안에 모터 하우징 부분의 리브의 멈춤부와 접촉하는 하우징 커버 부분의 U형 채널의 멈춤부는 설치 동안의 케이블의 과도한 굽힘을 더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커버 부분은 전원을 연결하기 위한 연결 모듈을 제공하며, 이 연결 모듈은 케이블에 의하여 모터 콘택트로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 콘택트를 제공한다. 연결 모듈은 구동부의 특히 간단하고 신속한 설치를 용이하게 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커버 부분의 U형 채널은 연결 모듈의 연결 콘택트의 영역 내에서 끝난다. 연결 콘택트로 직접적으로 이어지는 U형 채널의 독창적인 배치는 케이블을 위한 특히 우수한 보호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하우징 커버 부분의 U형 채널은 U형 채널 내에서 케이블을 고정하기 위한, 예를 들어 클램프 고정부와 같은 케이블 고정 수단을 포함한다. U형 채널 내에 하나 이상의 케이블 고정 수단을 제공함에 의하여, 예를 들어, 하우징의 열림 및 닫힘 동안에 가해지는 중력 또는 원심력의 결과로서 케이블이 U형 채널을 떠나지 않는 것이 보장된다.
케이블 고정 수단은 특히 바브 아암 및 바브 헤드를 갖는 바브(barb)의 형상을 갖는다. 케이블의 설치 동안의 바브 아암의 탄성 변형은 클램핑 력을 발생시키며, 바브 아암과 U형 채널의 측벽 사이의 케이블을 클램핑한다. 바브 헤드 상의 외부 위상은 케이블 고정 수단 내에서의 케이블의 용이한 삽입을 허용한다. 또한, 유지구역으로 작용하는 바브 헤드의 숄더는 케이블 고정 수단 밖으로의 어떠한 이동 그리고 따라서 U형 채널 밖으로의 이동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는 느슨한 연결을 위하여 관절 축 주변에서 모터 하우징 부분과 하우징 커버 부분 사이의 이동 가능한 연결을 허용하는, 특히 L형 관절 아암 및/또는 O형 힌지 핀을 이용한 조인트가 제공된다. 조인트를 이용한 하우징 부분의 이동 가능한 연결의 결과로서, 구동부는 특히 쉽게 그리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다. L형 관절 아암 및/또는 O형 힌지 핀을 포함하는 조인트는 용이하게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서, L형 관절 아암은 하우징 커버 부분 상에, 그리고 O형 힌지 핀이 모터 하우징 부분 상에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설치 동안에 모터 하우징 부분이 상단에서 모터 하우징 부분 상에 위치됨에 따라, 모터 하우징 부분 상의 O형 힌지 핀은 견고한 지지를 제공하며, 그리고 하우징 커버 부분 상의 L형 관절 아암은 관절 축을 중심으로 하는 부드러운 회전을 보장한다. 제품의 복잡도는 따라서 유리하게 감소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은 작동 유니트, 특히 동력 클로징 메커니즘, 바람직하게는 차량 록을 위한 구동부 설치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구동부는 전기 모터를 수용하는 모터 하우징 부분 그리고 모터 하우징 부분을 덮는 하우징 커버 부분을 포함하되, 전기의 전기적 전도를 위한 케이블은 모터 하우징 부분 내의 전기 모터의 모터 콘택트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케이블은 전환 구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에 따르면, 모터 하우징 부분 내의 전기 모터의 모터 콘택트를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은 모터 하우징 부분 외부로 그리고 그후 모터 하우징 부분과 하우징 커버 부분의 공통 관절 축 둘레로 연장되고, 그리고 최종적으로 하우징 커버 부분으로 들어간다.
본 발명의 방법의 결과로서,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는 특히 쉽게 그리고 신속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따라서 케이블의 과도한 굽힘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열린 하우징을 갖는 구동부의 측면도.
도 2는 열린 하우징을 갖는 구동부의 사시도.
도 3은 모터 하우징 부분의 평면도.
도 4는 커버 하우징 부분의 사시도.
도 5는 열린 하우징을 갖는 구동부의 사시도.
아래의 실시예의 부분으로서 개시된 특징은 개별적으로 또는 어떠한 조합 형태로 청구범위의 대상과 결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전기 모터(3)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하우징 부분(1) 그리고 모터 하우징 부분(1)을 덮기 위한 하우징 커버 부분(2)을 포함하는 차량 록을 위한 동력 클로징 메커니즘을 위한 구동부로 구성된다. 전원을 전기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케이블(5, 21)은 모터 하우징 부분(1) 내의 전기 모터(3)의 2개의 콘택트(4)를 연결 모듈(6) 내의 2개의 연결 콘택트(7)에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케이블(5)과 케이블(21)은 동일한 케이블 루트, 즉, 안내 및 고정 수단에 의하여 그리고 하우징 부분들 사이에서 의도된 케이블의 루트를 따라서 하우징 내에서 설치된다. 케이블(5)과 케이블(21)은 동일한 구조를 가지며 그리고 서로 연결되지도 또는 고정되지 않는다.
설치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하우징 커버 부분(2)과 모터 하우징 부분(1)은 조인트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연결되되, 이 조인트는 모터 하우징 부분(1) 상의 O-형 링(8) 그리고 링 상에 느슨하게 얹혀있는 하우징 커버 부분(2) 상의 L-형 관절 아암(90)으로 이루어지며(도 1) 그리고 관절 축(10)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운동 또는 열림 및 닫힘 운동을 용이하게 한다.
케이블(5, 21)의 전환 구역(11)은 하우징의 외부에 부분적으로 배치되며 그리고 관절 축(10)을 중심으로 전기 모터(3)로부터 벗어난 관절 축(10)의 측부 상의 모터 하우징 부분(1) 상의 만곡부(12)에 의하여 연장된다 (도 2). 만곡부(12)의 반경이 케이블(5, 21)의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큼에 따라 케이블(5, 21)의 과도한 굽힘이 방지될 수 있다. 만곡부(2)의 결과로서 변환 구역(11) 내의 관절 축(10) 주변에서 케이블(5, 21)이 관절 축(10)에 인접하게 연장될 수 있는 방식으로 만곡부(2)는 관절 축(10)에 대하여 오프셋된다(도 3). 결과적으로, 하우징의 닫힘은 특히 케이블 루트의 특히 작은 변화를 야기한다.
모터 하우징 부분(1) 상의 만곡부의 영역에, 만곡부(12) 주변에서 케이블(5, 21)을 안내할 때 케이블(5, 21)의 측방향 동작을 제한하기 위하여 2개의 리브(13)가 제공된다. 케이블(5, 21)이 어느 정도의 측방향 동작을 하도록 리브들(13)은 서로 떨어져 배치된다. 리브(13)는 또한 설치를 위한 하우징의 열림 동안에 하우징 커버 부분(2)의 회전을 제한하기 위한 멈춤부(14)를 포함한다 (도 2).
모터 하우징 부분(1)은 모터 콘택트(4)를 향하는 외부 측부 상의 개구(15)를 포함하며, 이 개구는 모터 하우징(1)의 만곡부(12)와 접선적으로 인접한다. 하우징 커버 부분(2) 내부에 케이블(5, 21)의 보호 시트를 제공하기 위하여 케이블(5, 21)은 관절 축(10) 주변의 만곡부(12)를 따라 모터 콘택트(4)로부터 개구(15)를 통하여 그리고 하우징 커버 부분(2)의 U형 채널(17) 내의 개구(16)를 통하여 연장된다 (도 2). 케이블(5, 21)의 전환 구역(11)에서, U형 채널(17)은 만곡부(18)를 포함한다(도 4). 만곡부(18)의 반경은 케이블(5, 21)의 허용 굽힘 반경을 초과한다.
U형 채널(17)의 폭과 깊이의 횡단면은 케이블(5)과 케이블(21)의 직경의 합보다 크며, 케이블(5, 21)을 위한 측방향 동작을 제공하고 그리고 또한 보호를 위하여 케이블(5, 21)이 U형 채널(17) 내에 매립되는 것을 허용한다 (도 5). U형 채널(17)은 또한 개구(16)를 포함하는 측부 상에 멈춤부(19)를 포함하며, 모터 하우징 부분(1)에 관하여 하우징 커버 부분(2)의 회전 운동을 제한하기 위하여, 설치를 위해 하우징이 열릴 때 이 멈춤부는 리브(13)의 멈춤부(14) 상에 얹힐 수 있다(도 2).
하우징 커버 부분(2)의 U형 채널(17) 내에서, 하우징의 열림 및 닫힘 동안에 가해지는 중력 또는 원심력에 대항하여 케이블(5, 21)은 케이블 고정 수단(20)에 의하여 적절한 위치에 유지되며 그리고 연결 모듈(6)의 연결 콘택트(7)로 연장된다 (도 5).
1: 모터 하우징 부분
2: 하우징 커버 부분
3: 전기 모터
4: 모터 콘택트
5: 케이블
6: 연결 모듈
7: 연결 콘택트
8: 힌지 핀
9: 관절 아암
10: 관절 축
11: 전환 구역
12: 만곡부(모터 하우징 부분)
13: 리브
14: 멈춤부 (모터 하우징 부분)
15: 개구(모터 하우징 부분)
16: 개구(하우징 커버 부분)
17: U-형 채널
18: 만곡부(하우징 커버 부분)
19: 멈춤부(하우징 커버 부분)
20: 케이블 고정 수단
21: 케이블

Claims (15)

  1. 전기 모터(3)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하우징 부분(1) 그리고 모터 하우징 부분(1)을 덮기 위한 하우징 커버 부분(2)을 포함하며, 전류를 전기적으로 전도하기 위한 케이블(5, 21)이 모터 하우징 부분(1) 내의 전기 모터(3)의 모터 콘택트(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케이블(5, 21)은 전환 구역(11)을 포함하되, 케이블(5, 21)의 전환 구역(11)은 하우징(1, 2)의 외부에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우징의 외부에 배치된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니트, 특히 동력 클로징 메커니즘, 바람직하게는 차량 도어 록을 위한 구동부.
  2. 제1항에 있어서, 전환 구역(11)이 모터 하우징 부분(1) 그리고 하우징 커버 부분(2)의 공통 관절 축(10) 주변에서, 특히 관절 축(10)에 인접하거나 선택적으로 관절 축(10)을 통하여 연장된 방식으로 케이블(5, 21)의 전환 구역(11)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케이블(5, 21)이 관절 축(10) 주변의 전환 구역(11) 내의 전기 모터(3)에서 빗나간 관절 축(10)의 측부 상에서 연장된 방식으로 모터 하우징 부분(1) 상의 만곡부(12) 또는 하우징 커버 부분(2) 상의 만곡부(18)가 구성되며 그리고/또는 만곡부들이 케이블(5, 21)의 허용 굽힘 반경보다 크거나 동일한 반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환 구역(11)의 적어도 부분 내에서 케이블(5, 21)의 측방향 동작을 제한하기 위하여 하나 또는 다수의 리브(13)가 모터 하우징 부분(1)에 제공되며, 특히 적어도 2개의 리브, 바람직하게는 정확하게 2개의 리브가 케이블(5, 21)의 케이블 직경과 동일한 간격 또는 바람직하게는 케이블 직경보다 큰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 부분(1)의 리브(13)는 설치를 위하여 하우징(1, 2)이 열릴 때 하우징 커버 부분(2)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한 멈춤부(1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기 모터(3)의 모터 콘택트(4)는 관절 축(10)을 향하며 그리고/또는 모터 하우징 부분(1)의 외부의 개구(15)가 모터 하우징 부분(1)의 만곡부(12) 상에 접선적으로 얹혀 있는 방식으로 개구(15)가 모터 하우징 부분(1) 내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5, 21)을 안내하기 위하여 U형 채널(17)이 하우징 커버 부분(2) 상에 형성되며, 특히 U형 채널(17)은 케이블(5, 21)의 직경보다 선택적으로 동일한 또는 바람직하게는 케이블의 직경보다 큰 깊이 및/또는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8. 제7항에 있어서, 관절 축(10)을 향하는 U형 채널(17)의 종단은 U형 채널(17) 내에서의 케이블(5, 21)의 진입을 위한 개구 및/또는 하우징 커버 부분(2)의 만곡부(1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설치를 위하여 하우징(1, 2)을 열 때 모터 하우징 부분(1)과 하우징 커버 부분(2) 사이의 회전을 억제하기 위하여 멈춤부(19)가 하우징 커버 부분(2) 상에 형성되고, 이 멈춤부는 특히 U형 채널(17) 상에 또는 바람직하게는 하우징 커버 부분(2)의 만곡부(18)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전원으로의 연결을 위한 연결 모듈(6)은 특히 케이블(5, 21)에 의한 전기 모터(3)의 모터 콘택트(4)로의 전기적 연결을 위한 연결 콘택트(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한 항에 있어서, U형 채널(17)이 관절 축(19)에서 빗나간 종단으로 연결 모듈(6), 특히 연결 모듈(6)의 연결 콘택트(7)로 이어지는 방식으로 하우징 커버 부분(2)의 U형 채널(17)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한 항에 있어서, 케이블(5, 21)을 고정하기 위한 케이블 고정 수단(20)이 특히 U형 채널(17)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한 항에 있어서, 모터 하우징 부분(1)과 하우징 커버 부분(2)을 연결하기 위한 힌지(9, 10)를 구비하여 특히 L형 관절 아암(9) 및/또는 O형 힌지 핀(8)을 이용하여 모터 하우징 부분과 하우징 커버 부분은 바람직하게는 느슨한 연결을 위하여 관절 축(10)을 중심으로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한 항에 있어서, 힌지 아암(9)은 하우징 커버 부분(2) 상에 배치되고 그리고/또는 힌지 핀(8)은 모터 하우징 부분(1) 상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15. 전기 모터(3)를 수용하기 위한 모터 하우징 부분(1) 그리고 모터 하우징 부분(1)을 덮기 위한 하우징 커버 부분(2)을 갖는, 작동 유니트, 특히 동력 클로징 메커니즘을 위한, 바람직하게는 차량 도어 록을 위한 구동부를 설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전류를 전기적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케이블(5, 21)이 모터 하우징 부분(1) 내의 전기 모터(3)의 모터 콘택트(4)에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그리고 케이블(5, 21)은 전환 구역(11)을 포함하며, 케이블(5, 21)은 특히 모터 하우징 부분(1) 내의 개구(15)를 통하여 그리고 그후 모터 하우징 부분(1)과 하우징 커버 부분(2)의 공통 관절 축(10) 주변에서 모터 하우징 부분(1)의 밖으로 연장되며, 그리고 최종적으로 특히 하우징 커버 부분(2) 내의 개구(10)를 통하여 하우징 커버 부분(2) 내로 들어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157012329A 2012-10-12 2013-09-27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KR1020878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8651.4A DE102012218651A1 (de) 2012-10-12 2012-10-12 Antrieb für eine Stelleinheit
DE102012218651.4 2012-10-12
PCT/DE2013/000553 WO2014056471A2 (de) 2012-10-12 2013-09-27 Antrieb für eine stelleinhe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0267A true KR20150070267A (ko) 2015-06-24
KR102087877B1 KR102087877B1 (ko) 2020-03-12

Family

ID=49758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12329A KR102087877B1 (ko) 2012-10-12 2013-09-27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9882448B2 (ko)
EP (1) EP2906764B1 (ko)
JP (1) JP6273556B2 (ko)
KR (1) KR102087877B1 (ko)
CN (1) CN104884719B (ko)
BR (1) BR112015008103A2 (ko)
CA (1) CA2891197A1 (ko)
DE (1) DE102012218651A1 (ko)
IN (1) IN2015DN03266A (ko)
MX (1) MX2015004408A (ko)
RU (1) RU2636031C2 (ko)
WO (1) WO2014056471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2218651A1 (de) * 2012-10-12 2014-04-30 Kiekert Ag Antrieb für eine Stelleinhei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8394A1 (de) * 1988-04-19 1989-10-25 SWF Auto-Electric GmbH Elektromotor, insbesondere Wischermotor zum Antrieb einer Scheibenwischeranlage in einem Kraftfahrzeug
DE4419615A1 (de) * 1993-06-04 1994-12-08 Aisin Seiki Fahrzeugtürverriegel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38394C (de) 1916-11-28 1921-06-20 Stokes & Smith Company Schachtelbeklebemaschine
DE1159064B (de) * 1960-12-31 1963-12-12 Bosch Gmbh Robert Steckeraufnahme fuer elektrische Verbindungen, insbesondere fuer Elektromotoren zum Antrieb von Scheibenwischern
DE3041938A1 (de) * 1980-11-06 1982-06-03 Bunker Ramo Corp., 60521 Oak Brook, Ill. Gehaeuse fuer steckverbinder
FR2517129A1 (fr) * 1981-11-26 1983-05-27 Ducellier & Cie Connecteur
US4476404A (en) * 1983-09-23 1984-10-09 Tandon Corporation Flexible conductor for supplying current to a pivotally movable electrical element
US6683396B2 (en) * 1999-07-02 2004-01-27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Portable motor powered device
JP4020675B2 (ja) * 2002-03-25 2007-12-12 株式会社ミツバ 減速機構付き電動モータのターミナル接続部構造
US6851509B2 (en) * 2002-08-09 2005-02-08 Denso Corporation Easy-to-assemble structure of electric power steering device
DE202009004984U1 (de) * 2009-07-03 2009-08-27 Kiekert Ag Kraftfahrzeugschloss bestehend aus mechanischen und elektrischen, elektromotorischen und/oder elektronischen Bauteilen
EP2454430A2 (de) * 2009-07-15 2012-05-23 Johnson Controls GmbH Antriebsvorrich für einen bowdenzug
DE202009010787U1 (de) 2009-08-10 2010-12-23 Kiekert Ag Stelleinheit zur Beaufschlagung von Kraftfahrzeug-Stellelementen
JP5495163B2 (ja) * 2011-03-02 2014-05-21 三井金属アクト株式会社 自動車用ドアロック装置
JP2013079599A (ja) * 2011-10-04 2013-05-02 Denso Corp スタータ
JP5768642B2 (ja) * 2011-10-04 2015-08-26 株式会社デンソー スタータ
DE102012218651A1 (de) * 2012-10-12 2014-04-30 Kiekert Ag Antrieb für eine Stelleinheit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38394A1 (de) * 1988-04-19 1989-10-25 SWF Auto-Electric GmbH Elektromotor, insbesondere Wischermotor zum Antrieb einer Scheibenwischeranlage in einem Kraftfahrzeug
DE4419615A1 (de) * 1993-06-04 1994-12-08 Aisin Seiki Fahrzeugtürverriegelungs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91197A1 (en) 2014-04-17
EP2906764B1 (de) 2018-03-28
CN104884719A (zh) 2015-09-02
MX2015004408A (es) 2015-10-15
EP2906764A2 (de) 2015-08-19
WO2014056471A3 (de) 2014-07-17
US20150263584A1 (en) 2015-09-17
BR112015008103A2 (pt) 2017-07-04
RU2636031C2 (ru) 2017-11-17
DE102012218651A1 (de) 2014-04-30
US9882448B2 (en) 2018-01-30
IN2015DN03266A (ko) 2015-10-09
WO2014056471A2 (de) 2014-04-17
RU2015112837A (ru) 2016-10-27
KR102087877B1 (ko) 2020-03-12
JP2015534617A (ja) 2015-12-03
JP6273556B2 (ja) 2018-02-07
CN104884719B (zh) 2017-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89934B2 (ja) ハーネス弛み吸収装置
JP4445588B2 (ja) 扉自体に電気接続を備えた電気キャビネット
RU2740638C2 (ru) Соединительная клемма для провода
US6933439B2 (en) Waterproof grommet
KR101727641B1 (ko) 와이어 하니스의 고정 구조
US10562381B2 (en) Sliding door drive of a motor vehicle
WO2012046744A1 (ja) 電源回路遮断装置
US6927522B2 (en) Power supply unit
JP2009065814A (ja) スライド構造体用の給電装置
KR102087877B1 (ko) 작동 유니트용 구동부
JP5517282B2 (ja) ワイヤハーネスの配索構造
KR200406010Y1 (ko) 와이어 하네스 고정용 방수클립
GB2417457A (en) Electric tool with internal component fastening element
JP6848924B2 (ja) リレー
KR20100002373A (ko) 와이어하네스의 프로텍터.
JP4593511B2 (ja) スライドドア用給電装置の保護構造
EP3885200B1 (en) Wire harness installation structure
KR200409063Y1 (ko) 휴즈 릴레이 박스의 전선인출부 구조
JP5587394B2 (ja) バッテリ直付けヒュージブルリンクユニットの保護カバー取付構造
KR20140042376A (ko) 자동차의 도어 실드 모듈
JP2008223662A (ja) 圧縮機の電装品保護装置
KR20240052358A (ko) 커넥터 연결용 프로텍터
KR20230151401A (ko) 와이어링 고정용 클립
KR101610396B1 (ko) 고정 브라킷 겸용 배터리 터미널
JP2023157923A (ja) ハーネス保護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