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3548B1 -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 - Google Patents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3548B1
KR101393548B1 KR1020120077625A KR20120077625A KR101393548B1 KR 101393548 B1 KR101393548 B1 KR 101393548B1 KR 1020120077625 A KR1020120077625 A KR 1020120077625A KR 20120077625 A KR20120077625 A KR 20120077625A KR 101393548 B1 KR101393548 B1 KR 1013935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frame
fuel cell
module
bracket
modu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7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1058A (ko
Inventor
유승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7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3548B1/ko
Publication of KR20140011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1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35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35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8/00Fuel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8/24Grouping of fuel cells, e.g. stacking of fuel cells
    • H01M8/2465Details of groupings of fuel c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7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fuel cells
    • B60L50/72Constructional details of fuel cell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20Energy converters
    • B60Y2400/202Fuel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50/00Fuel cell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Specific features of fuel cell system
    • H01M2250/20Fuel cells in motive systems, e.g. vehicle, ship, pla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50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uel Cell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For Vehicles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은, 차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모듈프레임, 상기 모듈프레임 위에 장착되는 언더프레임, 상기 언더프레임 위에 장착되는 연료전지스택, 하부면은 상기 언더프레임의 일측상부면과 밀착되고, 측면은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일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연료전지스택을 상기 언더프레임 위에 고정하는 모듈브라켓, 및 상기 언더프레임을 관통해서, 상기 모듈프레임과 상기 모듈브라켓을 서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언더프레임을 관통해서 모듈프레임과 모듈브라켓을 서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 및 언더프레임과 모듈프레임을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통해서 전체적인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VEHICLE HAVING FUEL CELL}
본 발명은 차체에 장착되는 연료전지스택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언더프레임과 모듈프레임의 장착구조를 개선시킨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현재 가장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 전기 자동차의 분야로는 연료전지시스템을 탑재한 차량을 들 수 있다.
알려진 바와 같이, 연료전지시스템이 탑재된 차량에서는 연료로 사용되는 수소를 연료전지스택에 공급하여 전기를 생산하며, 연료전지스택에 의해 생산된 전기로 전기모터를 작동시켜 차량을 구동시킨다.
여기서, 연료전지시스템은 연료가 가지고 있는 화학에너지를 연소에 의해 열로 바꾸지 않고 연료전지스택 내에서 전기화학적으로 직접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일종의 발전시스템이다.
한편, 연료전지 차량에서는 모노코크(monocoque) 보디라고 하는 박스타입 구조의 차체가 사용되었으며, 이는 프레임과 같은 뼈대를 가지지 않은 구조로 되어 있다.
그러나, 연료전지 차량에 탑재되는 가습기 및 연료전지스택 등은 상당한 무게가 나가는 고 중량부품이다. 따라서, 이들의 고 중량부품을 모노코크 보디에 장착할 경우 이들을 지지하는 프레임들의 연결구조가 튼튼해야 한다.
또한 연결구조에 충분한 강도를 주기 위해 차체의 연결구조가 복잡해질 수 있고, 중량이 증가하는 등의 문제를 내포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전지스택을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서 언더프레임과 모듈프레임의 장착구조를 개선시키는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은, 차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모듈프레임, 상기 모듈프레임 위에 장착되는 언더프레임, 상기 언더프레임 위에 장착되는 연료전지스택, 하부면은 상기 언더프레임의 일측상부면과 밀착되고, 측면은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일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연료전지스택을 상기 언더프레임 위에 고정하는 모듈브라켓, 및 상기 언더프레임을 관통해서, 상기 모듈프레임과 상기 모듈브라켓을 서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모듈브라켓과 상기 언더프레임을 서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하부면은 상기 모듈프레임의 일측상부면과 밀착되고, 측면은 상기 언더프레임의 일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언더프레임을 상기 모듈브라켓 위에 고정하는 모듈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마운팅브라켓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모듈브라켓의 반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은, 언더프레임을 관통해서 모듈프레임과 모듈브라켓을 서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 및 언더프레임과 모듈프레임을 고정하는 제2고정부를 통해서 전체적인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의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에서 언더프레임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에서 언더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에서 언더프레임과 모듈프레임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상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에서 모듈브라켓과 모듈프레임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상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의 전체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은 모듈프레임(120), 언더프레임(110), 연료전지스택(130), 정션박스(160), 분배기(170), 모터컨트롤유닛(150), 마운팅브라켓(100), 및 모듈브라켓(140)을 포함한다.
상기 모듈프레임(120)은 차량의 차체에 고정되고, 상기 모듈프레임(120) 위에 상기 언더프레임(110)이 고정된다. 상기 언더프레임(110)은 상기 마운팅브라켓(100)을 통해서 상기 모듈프레임(120)에 고정된다.
상기 언더프레임(110) 위에 상기 연료전지스택(130)이 고정되고, 상기 연료전지스택(130)의 일측면에 상기 분배기(170)가 장착되고, 상기 연료전지스택(130)의 상부에 정션박스(160)가 장착된다. 상기 연료전지스택(130)은 상기 모듈브라켓(140)을 통해서 상기 언더프레임(110)에 고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에서 언더프레임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에서 언더프레임의 정면도이다.
도 2는 상기 언더프레임(110) 위에 장착된 상기 연료전지스택(130)을 제거한 상태를 보여주고 있으며, 상기 언더프레임(110)은 상기 마운팅브라켓(100)을 통해서 상기 모듈프레임(120)에 고정된다. 여기서, 상기 마운팅브라켓(100)은 일측에 두 개가 배치되고, 타측에는 한 개가 배치된다.
상기 언더프레임(110)의 타측에는 상기 모듈브라켓(140)이 두 개가 배치되고, 상기 모듈브라켓(140)은 상기 연료전지스택(130)을 상기 언더프레임(110) 위에 고정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모듈프레임(120) 위에 상기 언더프레임(110)이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100)의 하부면은 상기 모듈프레임(120)의 상부면과 밀착되어 고정되고, 일측면은 상기 언더프레임(110)의 일측면과 밀착되어 고정된다.
아울러, 제1고정부(310)는 상기 모듈프레임(120), 상기 언더프레임(110), 및 상기 모듈브라켓(140)을 관통해서 상기 모듈프레임(120)과 상기 모듈브라켓(140)을 서로 고정한다.
여기서, 상기 제1고정부(310)는 상기 언더프레임(110)을 관통하되, 이들 사이에 응력은 발생되지 않는다.
제2고정부(300)는 상기 모듈프레임(120)과 상기 언더프레임(110)을 관통해서 상기 모듈프레임(120)과 상기 모듈브라켓(140)을 서로 고정한다.
상기 제2고정부(300)는 상기 마운팅브라켓(100)이 2개 설치된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1고정부(310)는 상기 마운팅브라켓(100)과 대응해서 타측에 배치된다. 즉, 이들은 서로 반대 방향에 설치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에서 언더프레임과 모듈프레임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상세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에서 모듈브라켓과 모듈프레임의 고정구조를 보여주는 일부 상세 단면도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제1고정부(310)는 제1볼트(500a), 및 제1너트(500b)를 포함하고, 상기 모듈브라켓(140)은 제1부재(140a), 제2부재(140b), 및 리브(140c)를 포함한다.
상기 제1부재(140a)는 상기 연료전지스택(130)의 측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2부재(140b)는 상기 언더프레임(110)의 상부면에 밀착되고, 상기 제1부재(140a)와 상기 제2부재(140b)는 수직하게 절곡되어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리브(140c)는 상기 제1부재(140a)와 상기 제2부재(140b)를 일체로 연결하여 상기 모듈브라켓(140)의 강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제1볼트(500a)는 상부에서 하부로 상기 제2부재(140b), 상기 언더프레임(110), 및 상기 모듈프레임(120)을 관통해서 배치되고, 상기 제1너트(500b)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1고정부(310)는 상기 모듈브라켓(140)을 상기 모듈프레임(120)에 고정하고, 상기 언더프레임(110)이 상기 모듈프레임(12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모듈브라켓(140)에 고정되는 상기 연료전지스택(130)이 상기 언더프레임(110)에 고정되는 동시에 상기 모듈프레임(120)에도 고정되어, 이들 사이의 고정구조를 튼튼하게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2고정부(300)는 제2볼트(400a), 및 제2너트(400b)를 포함하고, 상기 제2볼트(400a)는 상기 언더프레임(110)과 상기 모듈프레임(120)을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해서 배치되고, 그 하단부가 상기 제2너트(400b)와 체결된다.
상기 제2고정부(300)는 상기 언더프레임(110)과 상기 모듈프레임(120) 사이의 고정구조를 튼튼하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1고정부(310)와 상기 제2고정부(300)는 볼트와 너트 구조이나, 이 외에 너트 대신에 용접을 이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볼트(500a)와 상기 제2볼트(400a)의 하단부는 상기 모듈프레임(120)과 접합될 수 있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한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하다고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을 포함한다.
100: 마운팅브라켓 110: 언더프레임
120: 모듈프레임 130: 연료전지스택
140: 모듈브라켓 140a: 제1부재
140b: 제2부재 140c: 리브
150: 모터컨트롤유닛 160: 정션박스
170: 분배기 310: 제1고정부
300: 제2고정부 500a: 제1볼트
500b: 제1너트 400a: 제2볼트
400b: 제2너트

Claims (6)

  1. 차체에 장착되어 고정되는 모듈프레임 위에 장착되는 언더프레임;
    상기 언더프레임 위에 장착되는 연료전지스택;
    하부면은 상기 언더프레임의 일측상부면과 밀착되고, 측면은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일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연료전지스택을 상기 언더프레임 위에 고정하는 모듈브라켓;
    상기 언더프레임을 관통해서, 상기 모듈프레임과 상기 모듈브라켓을 서로 고정하는 제1고정부;
    상기 제1고정부와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모듈브라켓과 상기 언더프레임을 서로 고정하는 제2고정부; 및
    하부면은 상기 언더프레임의 일측상부면과 밀착되고, 측면은 상기 연료전지스택의 일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연료전지스택을 상기 언더프레임 위에 고정하는 모듈브라켓;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
  2. 제1항에서,
    상기 제1고정부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
  3. 삭제
  4. 제1항에서,
    상기 제2고정부는 볼트와 너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
  5. 삭제
  6. 제1항에서,
    측면은 상기 언더프레임의 측면에 밀착되고, 하부면은 상기 모듈프레임의 상부면에 밀착되어 상기 언더프레임을 상기 모듈프레임에 고정하는 마운팅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마운팅브라켓과 인접하여 배치되고,
    상기 마운팅브라켓은 상기 모듈브라켓의 반대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
KR1020120077625A 2012-07-17 2012-07-17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 KR1013935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625A KR101393548B1 (ko) 2012-07-17 2012-07-17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7625A KR101393548B1 (ko) 2012-07-17 2012-07-17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058A KR20140011058A (ko) 2014-01-28
KR101393548B1 true KR101393548B1 (ko) 2014-05-09

Family

ID=5014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7625A KR101393548B1 (ko) 2012-07-17 2012-07-17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354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33217A (ko) 2020-09-09 2022-03-16 (주)엘엑스하우시스 일체형 인서트 하드웨어 및 연료 전지용 스택 프레임
KR20220033218A (ko) 2020-09-09 2022-03-16 (주)엘엑스하우시스 연료 전지용 스택 프레임 및 스택 프레임의 제조 방법
KR20220033219A (ko) 2020-09-09 2022-03-16 (주)엘엑스하우시스 연료 전지용 스택 프레임
KR20220033216A (ko) 2020-09-09 2022-03-16 (주)엘엑스하우시스 인서트 하드웨어 및 연료 전지용 스택 프레임
WO2023120819A1 (ko) * 2021-12-24 2023-06-29 에스아이에스 주식회사 수소연료전지가 탑재된 무인운반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771A (ja) 1999-07-16 2001-02-06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燃料電池の支持装置
JP2002235801A (ja) 2001-02-09 2002-08-23 Tokai Rubber Ind Ltd 自動車用燃料電池の組付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30771A (ja) 1999-07-16 2001-02-06 Nissan Motor Co Ltd 車両用燃料電池の支持装置
JP2002235801A (ja) 2001-02-09 2002-08-23 Tokai Rubber Ind Ltd 自動車用燃料電池の組付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1058A (ko) 2014-0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3548B1 (ko) 연료전지를 구비한 차량
JP4306783B2 (ja) 電気自動車のバッテリユニット取付構造
JP5880086B2 (ja) 電池容器
JP4917631B2 (ja) 車両用電池モジュールの車両搭載用フレーム構造体
JP5212086B2 (ja) 電気自動車用バッテリケース
JP2017193299A (ja)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6450966B2 (ja) 電池パック
JP2016103491A (ja) 電池容器
CN107878647B (zh) 跨骑型车辆
CN104553717A (zh) 电动车辆
JP2010285058A (ja) 車体の後部構造
JP5706967B2 (ja) 車両駆動用バッテリの搭載構造
JP6284041B2 (ja) 車両のバッテリ搭載構造
JP2018073543A (ja) バッテリモジュール固定構造
KR101856240B1 (ko) 쇽업쇼버 하우징 및 그의 체결구조
KR101543004B1 (ko) 차량용 배터리 마운팅 유닛
CN107901992B (zh) 电动汽车地板组件、电池和电动汽车
JP2012041025A (ja) バッテリ搭載構造
JP5622045B2 (ja) パワートレインの支持装置
CN110748247A (zh) 一种多功能背门锁加强件、背门及汽车
JP2014201277A (ja) 電気自動車などに使用するバッテリー搭載構造
CN206307137U (zh) 一种汽车前机舱水箱框架总成结构
JP6200762B2 (ja) 電動車両
JP6053630B2 (ja) 電池モジュール搭載用構造体
JP2015039890A (ja) バッテリ搭載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