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354B1 - 이동가능한 측방향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이동가능한 측방향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354B1
KR101392354B1 KR1020127012018A KR20127012018A KR101392354B1 KR 101392354 B1 KR101392354 B1 KR 101392354B1 KR 1020127012018 A KR1020127012018 A KR 1020127012018A KR 20127012018 A KR20127012018 A KR 20127012018A KR 101392354 B1 KR101392354 B1 KR 1013923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 chain
treads
edge portion
drive
panel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12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67369A (ko
Inventor
알렉산더 투렉
베른바르트 엥엘케
알로이스 젠거
게로 그슈벤트너
데트레프 린데마이어
Original Assignee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filed Critical 오티스 엘리베이터 컴파니
Publication of KR20120067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67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3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3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2Driving ge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2Escal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00Kinds or type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1/10Moving walkw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0Component parts of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23/08Carrying surfaces
    • B66B23/12Step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승객 컨베이어(10)는: 무한 트레드 밴드 - 상기 무한 트레드 밴드는 복수의 트레드들(24)을 포함함 - , 적어도 하나의 무한 구동 체인(26) - 상기 구동 체인(26)은 구동부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방향전환 섹션(14)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구동 체인(26)은 복수의 구동 체인 링크들(18)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 각각은 그와 연관되는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30)를 가지며, 연속적인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은 상기 구동 체인 롤러들(30)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트레드들(24)은 상기 구동 체인(26)에 연결됨 - , 및 상기 트레드들(24)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트레드들(24)의 측방향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 중 하나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도록 지지됨 - 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드들(24) 각각은 복수의 연속적인 패널 부재들(12)과 연관된다.

Description

이동가능한 측방향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컨베이어{PASSENGER CONVEYOR WITH MOVABLE LATERAL PANEL MEMBERS}
본 발명은 승객 컨베이어(passenger conveyor)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승객 컨베이어들로는,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moving walkway)가 있다. 에스컬레이터들은, 통상적으로 상이한 높이의 승강장들 사이에서 승객들을 수송하는 승객 컨베이어들이다. 이동 보도들은, 통상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연장된 높이들을 따라 또는 약간의 경사만을 갖는 높이들을 따라 승객들을 수송하는 데 이용된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승객 컨베이어는 프레임, 이동가능한 핸드레일들을 갖는 난간(balustrade), 무한 이송 밴드(endless transportation band) 또는 트레드 밴드(tread band)[예를 들어, 스텝 밴드(step band) 또는 팔레트 밴드(pallet band)] 및 상기 트레드 밴드를 추진시키는 수송 체인(transportation chain) 또는 구동 체인을 포함한다. 구동 체인은 상류 승강장 및 하류 승강장에 각각 배치되는 시브들(sheaves) 또는 스프로켓들(sprockets) 사이의 무한 경로(endless way) 내에서 이동한다. 구동 체인은 복수의 구동 체인 링크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체인 링크 각각은 그와 연관된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를 가지며, 연속적인 구동 체인 링크들은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들을 통해 연결된다. 구동 체인은 프레임에 고정되는 구동 체인 가이드에 의하여 안내된다. 구동 체인 가이드는, 예를 들어 구동 체인 롤러들과 상호작용할 수 있다. 프레임은 프레임의 좌측 및 우측에 트러스 섹션(truss section)을 포함한다. 각각의 트러스 섹션은 경사지거나, 또는 - 이동 보도의 경우에는 - 수평방향의 중간섹션에 의하여 연결되는 승강장들을 형성하는 2 개의 단부 섹션을 갖는다. 흔히, 승강장들 중 하나는 트러스들 사이에 위치되는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 시스템 또는 기계를 하우징한다.
특히, 본 발명은 수 개의 수송 요소들 또는 (예를 들어, 계단 또는 팰릿 형태의) 트레드들로 이루어진 무한 트레드 밴드를 갖는 승객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트레드는 전방 측, 후방 측, 및 2 개의 측방향 측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트레드 면을 포함하며, 예를 들어 구동 체인 축 및 구동 체인 롤러들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구동 체인(통상적으로, 계단 체인 또는 팰릿 체인이라 칭해짐)에 연결된다. 많은 경우에, 무한 경로들을 따라 평행하게 이어지는 2 개의 측방향 이송 체인들이 제공된다.
큰 경사가 없는 상류 승강장과 하류 승강장 사이에서 이동하는 이동 보도의 경우에, 구동 체인은 상류 및 하류 방향전환 섹션(turnaround section) 주위에서 구동된다고 말하는 것이 보다 적절할 수 있다. 에스컬레이터의 경우에는, 방향전환 섹션들이 통상적으로 하부 및 상부 방향전환 섹션들로서 지정된다.
통상적으로, 승객 컨베이어의 구동 시스템은 구동 체인, [예를 들어, 스프로켓 또는 투스 휠(toothed wheel) 형태의] 구동 체인 구동 휠(drive chain drive wheel), 축, 및 구동 모터를 포함한다. 구동 체인은 한 승강장에서 다른 승강장으로, 그리고 역 방향으로 연속적인 폐쇄 루프의 운행으로 이동한다. 구동 체인은, 예를 들어 구동 체인의 구동 체인 롤러들을 지지하는 구동 체인 롤러 축들에 의하여 트레드들 각각을 구동 체인에 의해 피봇가능하게 지지함으로써 트레드들에 구동가능하게 연결된다. 구동 모터는 직접적으로 또는 추가적인 트랜스미션을 통해, 구동 체인과 구동 연결된 구동 시브를 구동한다. 통상적으로, 최종적인 구동은 방향전환 영역에 배치되는 하나 또는 한 쌍의 체인 방향전환 구동 휠로서 실현된다. 구동 휠들은 트레드들 및 구동 체인의 크기를 토대로 하며, 예를 들어 통상적으로 대부분의 에스컬레이터 시스템들에 대해 750 mm의 직경으로 이루어진다. 각각의 구동 휠 주위에서는 구동 체인이 안내되고 구동된다.
또한, 구동 체인(들)의 추진이 방향전환 섹션들 부근에서는 일어나지 않고, 오히려 중간 섹션들[로드 섹션(load section) 또는 리턴 섹션(return section)]에서 일어나는 승객 컨베이어들이 존재한다. 이 타입의 승객 컨베이어들에서는, 구동 체인 롤러들이 방향전환 플레이트 또는 가이드웨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경로를 따르도록 체인 방향전환 휠 대신 방향전환 플레이트 또는 기본적으로 반원형 가이드웨이(semicircular guideway)가 제공될 수 있다. 구동 체인 롤러는 방향전환 플레이트 또는 가이드웨이에서 로드 섹션으로부터 리턴 섹션으로 역전된다(reverse). 이 관점에서, 방향전환 섹션이라는 용어는 모든 타입의 구조물들, 예를 들어 체인 방향전환 휠들, 방향전환 가이드웨이들 또는 방향전환 플레이트들을 포괄하도록 되어 있다.
승객 컨베이어, 예를 들어 에스컬레이터 또는 이동 보도의 트레드들은, 통상적으로 에스컬레이터의 경사진 영역에 노출되며 "라이저(riser)"라 지칭되는 전방 측 및 트레드 면을 갖는 기본적으로 박스 형상의 요소들을 포함한다. 이동 보도의 경우에, 통상적으로 라이저는 승객에게 절대 노출되지 않는다. 또한 에스컬레이터나 이동 보도가 작동하는 동안에는 승객에게 절대 노출되지 않는 박스의 나머지 측방향, 바닥 및 후방 측들도 폐쇄될 수 있으나, 흔히 개방되어 유지된다. 이는, 특히 트레드 면 맞은편에 위치하는 트레드의 하부측 및 계단의 후방측에 적용된다. 구동 체인을 향하여 지향되는 트레드의 측벽들은 통상적으로 구조적인 이유들로 규칙적으로 배치된다. 박스형 트레드의 후방 벽이 전방 측 맞은편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에는, 구동 체인들을 향하여 지향되는 박스의 측 벽들이 바닥을 향하여 테이퍼를 이루는(taper) 삼각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트레드 자체는 전방 측 부근의 트레드 두께와 비교하여 후방측에서 상대적으로 작은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무게 및 재료 요건은 이러한 방법들에 의해 상당히 저감될 수 있다.
트레드들은 통상적으로 구동 체인 롤러 축에 의하여 구동 체인(들)에 체결된다. 통상적으로, 구동 체인 롤러 축은 트레드 몸체를 통해 연장되며, 측방향으로 2 개의 구동 체인들이 배치되는 경우에는 그 자유 단부 둘 모두에서 구동 체인들에 연결된다. 트레드는 승객의 하중을 전달하는 데 필요한 강도를 나타내며 쉽게 처리될 수 있는 재료, 예를 들어 알루미늄, 알루미늄 합금, 또는 플라스틱과 같이 압출(extrude)될 수 있는 재료로 일반적으로 제조된다. 구동 체인 롤러 축은 보다 강한 재료, 예를 들어 철(iron) 또는 강철(steel)로 제조된다.
당 기술의 승객 컨베이어의 경우에, 개별 트레드들은 통상적으로 패널 요소들에 의하여 측방향으로 제한되는 "채널" 또는 "스커트 보드(skirt board)들"에서 이동한다. 이들 스커트 보드들은 승객 컨베이어의 프레임에 대해 단단하게(rigidly) 배치되며, 상기 트레드들은 이들 (정지된) 스커트 보드들에 대해 이동한다. (이동하는) 트레드들과 (정지된) 스커트 보드들 사이에 형성되는 갭은, 승객들의 옷이나 물건들이 이 갭 내로 당겨지거나 그 사이에 끼지 않도록 보장하기 위해 안전상의 이유로 매우 작게 유지될 필요가 있다.
매우 좁은 갭을 보장하기 위한 요건은 높은 지출 비용과 연관되어 있다. 특정 예에서, 좁은 갭에 대한 안전상의 요건들을 충족시키는 것은 전적으로 불가능하다. 좁은 갭을 갖도록 하는 것 외에 이러한 위험 잠재성을 낮추기 위한 한 가지 선택은 트레드들에 고정 장착되어 트레드들과 함께 이동하는 바닥 패널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US-A-4,470,497에 이러한 이동가능한 바닥 패널이 개시되어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이러한 바닥 패널들은 에스컬레이터의 수평방향 영역들에서, 예를 들어 입구 지점 또는 출구 지점에서, 트레드의 트레드 면을 넘어 상방향으로 상대적으로 더 많이 돌출되거나, 또는 상대적으로 복잡한 디자인을 갖는다는 단점을 지닌다.
DE 23 46 266 A1은 피봇가능한 측방향 스커트 패널들을 이용하는 다른 접근법을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에스컬레이터의 각각의 계단에 1 쌍의 측방향 스커트 패널들이 장착된다. 스커트 패널들은 각각의 계단 및 그에 인접한 계단들이 계단 체인에 연결되는 계단 체인 롤러 축에 의하여 지지된다. 이에 의하여, 측방향 스커트 패널들은 계단들이 무한 이동 경로의 경사진/수평방향의 섹션들에서 이동할 때 계단 라이저의 상승/하강에 대응하여 각각의 트레드 면에 대한 피봇 움직임을 수행한다. 하지만, 이 구조는 측방향 스커트 패널들 및 계단 체인 링크들 모두가 계단들의 트레드 면들과 같은 길이를 갖도록 할 필요가 있으며, 결과적으로 방향전환 섹션들에서 큰 벤딩 반경들을 초래한다.
US 6 450 316 B1은 각 계단의 트레드 면에 고정 장착되는 원형 바닥 패널들과, 두 연속적인 원형 바닥 패널들 사이에 위치되는 이동가능한 브릿지 부분들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측방향 패널들의 구조를 갖는 에스컬레이터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이동가능한 브릿지 부분들은 계단 체인의 대응되는 링크와 연관되어 있으며 계단 체인이 무한 이동 경로의 상이한 섹션들을 통해 이동할 때 그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된다. 브릿지 부분들 각각은 인접한 바닥 패널들의 원형 에지부들과 연동하는 2 개의 오목한 계면 에지부들을 가져, 에스컬레이터 이동 경로를 따르는 계단들의 각 측방향 측을 따라 연속적인 방벽(barrier)을 제공하도록 연동한다. 또한, 이 구조는 각각의 계단에 대해 각 측방향 측에서 정확하게 하나의 원형 바닥 패널 및 하나의 브릿지 부의 할당을 필요로 하며, 결과적으로 DE 23 46 266 A1과 유사하게 방향전환 섹션들에서 큰 벤딩 반경을 초래한다.
승객 컨베이어의 수송 요소들의 측방향 측들에 형성되는 갭의 충분한 폐쇄를 제공하는 측방향 패널 부재들의 이용가능한 대안적 구조 - 상기 구조는 특히 트레드 밴드의 방향전환 섹션들에서 더 작은 공간을 필요로 하며 실현하기에 효율적임 - 를 갖추는 것이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실시예는 승객 컨베이어를 제공하며, 상기 승객 컨베이어는, 무한 트레드 밴드 - 상기 무한 트레드 밴드는 복수의 트레드들을 포함함 - , 적어도 하나의 무한 구동 체인 - 상기 구동 체인은 구동부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방향전환 섹션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구동 체인은 복수의 구동 체인 링크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각각은 그와 연관되는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를 가지며, 연속적인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은 상기 구동 체인 롤러들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트레드들은, 예를 들어 구동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상기 구동 체인에 연결됨 - , 및 상기 트레드들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트레드들의 측방향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중 하나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도록 지지됨 - 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드들 각각은 복수의 연속적인 패널 부재들과 연관되어 있다.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승객 컨베이어가 제공되며, 상기 승객 컨베이어는, 무한 트레드 밴드 - 상기 무한 트레드 밴드는 복수의 트레드들을 포함함 - , 적어도 하나의 무한 구동 체인 - 상기 구동 체인은 구동부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방향전환 섹션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구동 체인은 복수의 구동 체인 링크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각각은 그와 연관되는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를 가지며, 연속적인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은 상기 구동 체인 롤러들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트레드들은, 예를 들어 구동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상기 구동 체인에 연결됨 - , 및 상기 트레드들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트레드들의 측방향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중 하나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도록 지지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실시예에서, 승객 컨베이어가 제공되며, 상기 승객 컨베이어는, 무한 트레드 밴드 - 상기 무한 트레드 밴드는 복수의 트레드들을 포함함 - , 적어도 하나의 무한 구동 체인 - 상기 구동 체인은 구동부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방향전환 섹션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구동 체인은 복수의 구동 체인 링크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각각은 그와 연관되는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를 가지며, 연속적인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은 상기 구동 체인 롤러들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트레드들은, 예를 들어 구동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상기 구동 체인에 연결됨 - , 및 상기 트레드들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트레드들의 측방향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중 하나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도록 지지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아암부(arm portion) 및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암부는 상기 각각의 구동 체인 링크 및/또는 그와 연관된 구동 체인 롤러들과 연결되는 장착 단부, 및 상기 스커트부와 연결되는 피봇팅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부는 상기 스커트부를 그 피봇팅 축으로부터 소정 변위만큼 변위시키기 위하여 기본적으로 상기 구동 체인 링크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다른 실시예는 승객 컨베이어를 제공하며, 상기 승객 컨베이어는, 무한 트레드 밴드 - 상기 무한 트레드 밴드는 복수의 트레드들을 포함함 - , 적어도 하나의 무한 구동 체인 - 상기 구동 체인은 구동부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방향전환 섹션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구동 체인은 복수의 구동 체인 링크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각각은 그와 연관되는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를 가지며, 연속적인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은 상기 구동 체인 롤러들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트레드들은, 예를 들어 구동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상기 구동 체인에 연결됨 - , 및 상기 트레드들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트레드들의 측방향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중 하나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도록 지지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제 1 계면 에지부 및 상기 제 1 계면 에지부 맞은편의 제 2 계면 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계면 에지부는 오목한 곡률을 가지고, 상기 제 2 계면 에지부는 볼록한 곡률을 갖는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후술될 것이다. 도면들은 다음과 같이 제시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방향전환 섹션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연속적인 측방향 패널 부재들의 배치의 개략적이고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측방향 패널 부재가 계단 체인에 어떻게 장착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하나 걸러 하나의 패널 부재가 생략된 도 1과 유사한 도면;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계단 체인 링크에 부착된 측방향 패널 부재의 도면;
도 4a는: 도 3에서 "후방" 측에서 본, 도 3의 측방향 패널 부재의 사시도;
도 4b는: 도 3에 따른 측방향 패널 부재의 다른 실시예로서, 연관된 계단 체인 링크와 일체로 형성되는 이 실시예의 측방향 패널 부재를 나타낸 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상부 전이 섹션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연속적인 측방향 패널 부재들의 배치를 개략적이고 간략하게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측방향 패널 부재가 계단 체인에 어떻게 장착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하나 걸러 하나의 패널 부재가 생략된 도 5와 유사한 도면;
도 7은: 모든 다른 측방향 패널 부재가 생략된,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하부 전이 섹션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연속적인 측방향 패널 부재의 배치를 "후방" 측에서 본 사시도;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에스컬레이터의 직선 섹션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연속적인 측방향 패널 부재의 배치를 "후방"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8은 에스컬레이터(10) 형태의 실시예의 다양한 예시들을 나타내고 있으며, 다른 실시예들, 예를 들어 이동 보도 형태의 실시예들도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2는, 에스컬레이터(10)의 방향전환 섹션(14)에서 이동하는 측방향 스커트 패널들(12) 형태의 복수의 연속적인 측방향 패널 부재들(12)의 배치를 에스컬레이터의 이송 방향을 따라 개략적이고 간략화된 단면도로 나타내고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에스컬레이터(10)의 상부 전이 섹션(16)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연속적인 측방향 패널 부재들(12)의 배치를 유사한 형태로 나타내고 있다. 도 7 및 도 8은, 에스컬레이터(10)의 하부 전이 섹션(20)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연속적인 측방향 패널 부재들(12)의 배치, 및 직선 섹션(22)에서 이동하는 복수의 연속적인 측방향 패널 부재들(12)의 배치를 "후방" 측에서 본 각각의 사시도들이다.
도 3, 4a 및 4b는 패널 부재들(12) 중 하나의 2 가지 상이한 실시예들 및 그와 연관된 계단 체인 링크(18)를 각각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도 4a에서, 패널 부재는 12'로 표시되어 있고, 그와 연관된 계단 체인 링크는 18'로 표시되어 있다. 도 4b에서, 패널 부재는 12"로 표시되어 있고, 그와 연관된 계단 체인 링크는 18"로 표시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도 4a 및 도 4b에 표시된 실시예들 간의 차이들은 다른 도면 1, 2, 5 내지 8에 표시된 바와 같이 디자인에 관한 영향을 갖지 않는다. 그러므로, 이후의 설명에서는 간명히 하기 위해 계단 체인 링크들은 도 4a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계단 체인 링크들(18, 18')로 지칭되든지 또는 도 4b에 표시된 바와 같이 계단 체인 링크들(18, 18")로 지칭되든지와는 무관하게 참조부호 18로 표시된다. 같은 방식으로, 스커트 부재들도 도 4a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 패널(12')로 지칭되든지 또는 도 4b에 표시된 바와 같이 스커트 패널(12")로 지칭되든지와는 무관하게 참조부호 12로 표시된다. 도 4a 및 도 4b 각각의 실시예들의 구체적 특징에 대해 분명히 언급하지 않는 한, 도 1, 도 2, 및 도 5 내지 도 8은 도 4a 및 도 4b의 실시예 모두에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모든 도면을 아울러, 대응되는 요소들 및 특징들은 같은 참조부호들에 의하여 식별된다. 그러므로, 특정 도면과 관련된 설명들은 또한 각각의 다른 도면에도 일반적으로 적용되며 모든 도면에 대해 특별히 반복되지 않는다.
도 1 내지 도 8은 수 개의 상호연결된 계단들(24로 매우 개략적으로 나타냄)로 이루어진 무한 계단 밴드를 갖는 에스컬레이터(10)를 도시하고 있다. 계단들(24)은 수송 또는 계단 체인(26)에 측방향으로 연결된다. 도 1, 도 2, 및 도 5에서는, 단 하나의 계단 체인(26)만을 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대응되는 제 2 계단 체인이 맞은편 측방향 측에 배치되어 에스컬레이터(10)가 계단들(24)의 측방향 측들 각각에 배치되는 2 개의 계단 체인들(26)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계단들(24)에 "측방향으로(laterally)" 연결되는 이라는 용어는 평면도에서 계단 체인들(26)이 계단들(24)에 대해 측방향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실시예들, 및 평면도에서 계단 체인들(26)이 계단(24)의 트레드 면(28) 아래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측방향으로 배치되는 실시예들을 포함한다.
계단 체인들(26) 각각은 일련의 계단 체인 링크들(18)을 포함한다. 계단 체인 링크들(18)은 그들의 맞은편 길이방향 단부들에서 각각의 조인트들을 갖는다. 각각의 2 개의 인접한 계단 체인 링크들(18)은 각각의 조인트들에서 서로 피봇가능하게 연결된다(도면들에서, 이들 조인트들의 피봇팅 축은은 각각 "X" 또는 "X1", "X2"로 표시된다). 또한, 계단 체인 가이드들(32) 사이의 무한 이동 경로를 따라 계단 체인(26)을 안내하는 계단 체인 롤러들(30)도 이들 조인트들에서 지지된다.
에스컬레이터(10)는 체인 링크들(18)의 투싱(toothing)과 맞물리는(meshing with) 구동 스프로켓을 이용하거나 또는 체인 링크들(18)의 투싱과 맞물리는 회전 투스 구동 벨트(revolving toothed drive belt)를 이용하여 실현될 수 있는 구동 유닛(도시 안됨)에 의하여 구동된다.
또한, 도 1은 각각의 계단(24)이 트레드 면(28) 및 전방 측 또는 "라이저"(34)를 포함함을 도시하고 있다. 계단(24)의 후방 측은 전방 측(34) 맞은편의 계단(24) 상에 배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각각의 계단(24)은 계단 체인 축(36)에 의하여 측방향 계단 체인들(26)에 연결되지만, 계단들(24) 중 일부만이 계단 체인 축(36)에 의하여 측방향 계단 체인들(26)에 연결되는 다른 실시예들도 고려할 수 있다. 계단 체인 축(36)은 각 계단(24)의 전방 측(34) 부근에 배치되며 그것이 연결되는 계단 체인 링크들(18)의 대응되는 조인트의 축(X)과 일치한다. 각각의 계단 체인 축(36)은 그것의 각각의 자유 단부에서 1 쌍의 계단 체인 롤러(30)를 지지한다.
또한, 도 1 내지 도 8은 계단들(24)과 함께 이동하는 측방향 패널 부재들 또는 스커트 패널들(12)과, 스커트 패널들(12)의 최상부를 덮으며 상방향으로 계속되는 정지형 난간 패널(stationary balustrade panel; 38)을 도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유리로 된 난간(도시 안됨)이 패널(38)에 배치될 수 있으며, (도시 안된) 핸드 레일이 계단 밴드와 기본적으로 동시에 상기 난간 상에서 회전한다.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가장 잘 볼 수 있듯이, 각각의 계단(24)은 각각의 측방향 측에서 3 개의 스커트 패널들(12)과 각각 연관된다. 각각의 스커트 패널(12)은 계단 체인 링크들(18) 각각과 연관된다. 도 3 및 도 4a에 상세히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커트 패널(12')은 볼트들(46)에 의해 계단 체인 링크(18')에 부착된다. 도 4b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스커트 패널(12")은 연관된 계단 체인 링크(18")와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도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되, 여기서는 스커트 패널들(12) 각각이 그와 연관된 체인 링크(18)로부터 어떻게 연장되는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하나 걸러 하나의 스커트 패널(12')은 생략되어 있다. 스커트 패널들(12')이 도 4a에 따라 계단 체인 링크들(18')에 부착되는지 또는 계단 체인 링크들(18")이 도 4b에 따라 스커트 패널들(12")과 일체로 형성되는지와는 무관하게 동일한 배치가 적용된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상술된 바에 따르면,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들에서 계단들(24) 중 하나를 계단 체인들(26)에 연결하는 계단 체인 축(36)에 의하여 매 세 번째 체인 롤러(30)만이 지지되도록 계단 밴드의 피치는 계단 체인들(26)의 피치의 3 배이다.
계단 당 하나 이상의 스커트 패널이 존재하는 한, 계단(24) 당 다른 수의 스커트 패널(12), 예를 들어, 계단(24) 당 2 개의 스커트 패널(12)이나 계단(24) 당 4 또는 5 개의 패널들(12)이 실현될 수 있는 다른 실시예들도 고려할 수 있다. 계단 당 스커트 패널들의 수는 반드시 정수일 필요는 없다. 또한, 인접한 라이저들(34) 간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트레드 밴드의 피치는 (도 1 내지 도 8에 개시된 실시예에서 실현된 바와 같이) 인접한 계단 체인 롤러들(30)의 축들(X) 간의 거리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이 계단 체인(26) 피치의 3 배이거나, 또는 1 보다 큰 다른 배수일 수 있다. 대부분의 실시예들에서, 하나의 스커트 패널(12)은 계단 체인 링크들(18) 각각과 연관되며, 따라서 계단 체인(26)의 피치는 2 개의 인접한 스커트 패널들(12) 간의 거리에 의하여 정의되는 바와 같이 스커트 패널들(12)의 "피치"와 동일하다.
도 1, 2, 5, 6, 및 7로부터, 이러한 스커트 패널들(12)은 각각의 계단 체인 축(36)이 스커트 패널(12)을 통과할 수 있는 이러한 위치에 배치되는 후퇴부(40)를 갖는다는 점에서 다른 스커트 패널들(12)과는 약간 상이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후퇴부(40)는 계단들이 로드 경로에서 이동할 때에는 항상 계단들의 트레드 면(28) 아래에 있도록 배치된다.
스커트 패널들(12) 각각의 기하학적 구조(geometry) 및 그와 연관된 계단 체인 링크(18)에 대한 스커트 패널(12)의 관계는 도 3, 4a, 및 4b에서 가장 명확히 알 수 있다. 도 3 및 도 4a는 아암부(12a) 및 스커트부(12b)를 포함하는 스커트 패널(12')의 도면을 나타내며, 스커트 패널(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들(46)에 의하여 또는 다른 적합한 부착 수단에 의하여 계단 체인 링크(18')에 부착된다. 도 4b는 스커트 패널(12")과 일체로 형성되는 계단 체인 링크(18")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값들(quantities) R, L, H, d 및 α 간의 기하학적 관계들은 도 4a 및 도 4b에서 같은 참조부호들 R, L, H, d 및 α로 나타낸 바와 같이 이들 도면의 실시예들에도 적용됨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a로부터 알 수 있듯이, 스커트 패널(12')의 아암부(12a)는 2 개의 볼트들(46)에 의하여 계단 체인 링크(18')의 부착 러그(attachment lug; 18a)에 고정되는 장착 단부를 갖는다. 아암부(12a)는 장착 단부 맞은편에 피봇팅 단부를 갖는다. 피봇팅 단부는 스커트 패널(12')의 스커트부(12b)와 맞닿는다. 이 실시예에서, 아암부(12a) 및 스커트부(12b)는 단일 피스로부터 일체로 형성되지만, 다른 실시예들에서 이들 부분들은 (예컨대, 용접에 의해서나 또는 부착가능한 연결부를 통해 통합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함께 결합되는 별개의 피스들로부터 형성될 수도 있다. 도 4a의 실시예에서, 스커트부(12b)는 하나의 피스로 만들어진다. 도 4b의 실시예에서, 스커트부(12b)는 커버 요소(12b2)가 부착된 스커트 몸체부(12b1)에 의하여 형성된다. 두 실시예 모두에서, 스커트부는 제 1 경계 에지(48), 제 2 경계 에지(50), 상부 에지(52), 및 하부 에지(54)에 의하여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경계 에지들(48 및 50)은 만곡되어 있지만, 상부 에지 및 하부 에지들(52 및 54)은 직선형이다.
제 1 경계 에지(48)는 스커트 패널(12)이 연관되는(그에 장착되거나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계단 체인 링크(18)의 일 단부에 배치되는 제 1 조인트의 피봇팅 축(X1)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R)을 갖는 (도 1 및 도 3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원(C)의 세그먼트(S1)의 둘레부(circumference)를 형성한다. 피봇팅 축(X1)은 제 1 계단 체인 롤러(30)의 축과 일치한다. 제 2 경계 에지(50)는 스커트 패널(12)이 연관되는(그에 장착되거나 그와 일체로 형성되는) 계단 체인 링크(18)의 맞은편 단부에서 제 2 조인트의 피봇팅 축(X2)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R)을 갖는 다른 원의 세그먼트(S2)의 둘레부의 일부를 형성한다. 피봇팅 축(X2)은 제 2 계단 체인 롤러(30)의 축과 일치한다. 그러므로, 제 1 경계 에지(48) 및 제 2 경계 에지(50)는 서로로부터의 거리(d)에서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다. 상기 거리(d)는 기본적으로 계단 체인(26)의 피치, 즉 연속적인 계단 체인 롤러들(30)의 축들 간의 거리(L)에 대응된다. 이에 의하여, 계단 체인 링크(18)의 제 1 피봇팅 축(X1)[또는 제 1 계단 체인 롤러(30)의 축]은 계단 체인 링크(18)가 만곡된 섹션에서 이동할 때 스커트부(12b)가 그를 중심으로 피봇되는 스커트 패널(12)의 피봇팅 축을 형성한다. 스커트 패널들(12) 각각에 대해 제 1 경계 에지들(48) 및 제 2 경계 에지들(50)은 동일한 곡률을 갖기 때문에, 스커트 패널들(12)이 장착되는 계단 체인 링크들(18)이 그들의 이동 경로의 만곡된 섹션을 통해 이동할 때, 예를 들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방향전환 섹션들(14)에서 또는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전이 섹션들(16, 20)에서 이동할 때 각각의 스커트 패널(12)의 제 1 경계 에지(48)는 인접한 스커트 패널(12)의 제 2 경계 에지(50)를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이러한 만곡된 섹션들에서, 일반적으로 각각의 아암부들(12a)에 의하여 형성되는 인접한 스커트 패널들(12)의 피봇팅 아암들은 동일한 방향으로 서로 평행하게 배치되기보다는 서로 각을 이루며 배치된다. 편향 각(deviation angle)은 이동 경로의 곡률을 보다 더 크게 증가한다.
스커트 패널들(12) 각각에 대해 제 1 경계 에지(48)와 제 2 경계 에지(50) 간의 거리(d)는 계단 체인(26)의 피치와 같기 때문에, 스커트 패널들(12) 각각의 아암부(12b)를 위해 필요한 공간은 인접한 스커트 패널(12)의 스커트부(12b)에 의하여 완전하게 덮일 수 있다. 그러므로, 연속적인 계단 체인 링크들(18)에 각각 부착되는 스커트 패널들(12)의 연속적인 스커트 패널들은 무한 경로를 따르는 계단 체인 링크들(18)의 이동에 걸쳐 각각 서로 맞닿게 되면서, 트레드 면들(28) 위로 소정 높이에서 끝나는 정지된 난간 패널(38)과 계단들의 트레드 면들(28) 사이에 계단 밴드의 경로를 따라 남겨진 공간(opening)은 스커트 패널들(12)에 의하여 커버된다. 상술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스커트 패널들(12)의 시퀀스는 트레드 면들(28) 아래로 연장되는 정지된 측 패널들에 의하여 또는 계단들(24)에 대해 측방향으로 고정되는 "스커트 보드들"에 의하여 종래에 형성되었던 것과 같이, 측 패널 요소를 형성한다.
도 4a의 실시예에서, 스커트 패널들(12')의 이러한 시퀀스는 각각의 스커트 패널(12')을 계단 체인 링크들(18') 각각에 장착하는 것으로부터 유도된다. 도 4b의 실시예에서, 스커트 패널들(12")의 이러한 시퀀스는 연장부를 갖는 계단 체인 링크들(18") 각각을 형성하는 것으로부터 유도된다. 이 실시예에서, 연장부(extension)는 기본적으로 스커트부(12b)를 포함하며, 계단 체인 링크(18")는 기본적으로 아암부(12a)를 포함한다. 스커트부(12b)는 기본적으로 그 길이방향으로 계단 체인 링크(18")를 연장시킨다.
원들(C)의 직경은 스커트 패널들(12)에 의하여 덮일 수 있는 [상부 에지(52)와 하부 에지(54) 간의 거리에 대응되는] 최대 높이(H)를 결정한다. 통상적으로, H가 반경 R의 2 배와 같거나 그에 약간 못 미치도록[다시 말해, 원 세그먼트들(S1 및 S2)의 각도 α가 180°에 근접하도록), 스커트 패널들(12)은 가능한 한 효율적으로 이 최대 높이를 이용할 수 있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다음의 관계: 1.6 ≤ H ≤ 2R이 유지된다.
도 4b의 실시예에 대하여, "일체로 형성되는"이라는 용어는 계단 체인 링크(18") 및 스커트 패널(12")이 실제로 단일 피스를 형성하도록, 다시 말해 계단 체인 링크(18")가 아암부(12a) 및 스커트부(12b)를 포함하는 형상을 갖도록 이루어짐을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러한 형상의 계단 체인 링크들(18")은 단일 피스를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이러한 피스로부터 매우 효율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2 개 이상의 피스들을 함께 일체로 결합(예를 들어 용접)함으로써 이러한 형상의 계단 체인 링크들(18")을 실현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또한, 도 4b의 실시예에서 스커트부(12b)는 스커트 몸체부(12b1), 및 볼트들이나 다른 적합한 부착 수단에 의하여 스커트 몸체부에 부착되는 커버 요소(12b2)를 포함한다. 도 4b는, 스커트 몸체부(12b1)는 설치된 상태에서는 사용자가 볼 수 없으나 스커트 몸체부(12b1)에 부착되는 커버 요소(12b2)는 승객들이 볼 수 있는, 측방향 패널 부재의 "뒤" 또는 "후방" 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커버부(12b2)는 반드시 스커트 몸체부(12b1)와 같은 재료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며, 상이한 외관, 조직(texture), 또는 미적 특징들을 가질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4b의 실시예에서, 스커트부(12b)의 경계 에지들(48, 50, 52, 및 54)은 커버 요소가 스커트 몸체부(12b1) 위로 연장될 때 커버 요소(12b2)의 에지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커버 요소가 스커트 몸체부(12b1)의 에지들 일부에 걸쳐서만 연장되는 실시예들도 존재할 수 있다는 데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각각의 경계 에지는 상기 에지를 최대한 연장시킴으로써 형성된다. 나아가, 커버 요소(12b2) 에지들의 적어도 일부가 인접한 스커트 패널(12)과 오버랩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들이 존재할 수도 있다는 데 유의하여야 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는, 통상적으로 스커트 몸체부(12b1)의 각각의 에지가 각각의 경계 에지(48, 50, 52, 54)를 형성한다. 예를 들어, 인접한 스커트 패널들(12)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을 줄이기 위해 2 개의 인접한 스커트 패널들(12)에 대해 서로 대향되는 커버 요소들(12b2)의 각각의 전방 및 후방의 만곡된 에지들이 오버랩되도록, 커버 요소(12b2)의 만곡된 에지들은 상대적으로 얇고, 바람직하게는 탄성인 재료로부터 형성된다는 것을 쉽게 생각해볼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에서, 분명히 대응되는 만곡된 경계 에지들(52, 54)은 스커트 몸체부들(12b1)의 각각의 만곡된 에지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한, 도 4a의 실시예에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은 커버 요소가 제공될 수도 있다는 데 유의하여야 하며, 이 경우에 값들 R, L, H, d, 및 α 간의 기하학적 관계는 도 4b에 대하여 상술된 개요에 따라 적용되어야 한다. 이와 유사하게, 도 4b의 실시예는 커버 요소 없이 실현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 값들 R, L, H, d, 및 α 간의 관계들은 도 4a에 대한 개요에 따라 적용된다.
무한 경로의 각각의 섹션에서 계단들(24)의 트레드 면들(28)의 정확한 수평방향 위치를 제어하기 위하여, 계단들(24) 각각은 계단들(24)이 계단 밴드의 무한 경로를 따라 이동할 때 계단 롤러 가이드(44)에 의하여 안내되는 계단 롤러(42)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계단 롤러(42)는 계단(24)으로부터 무한 계단 밴드에 의하여 형성되는 폐쇄 루프의 내부를 향하여 돌출되는 부착 아암(도시 안됨)에 연결된다.
도 5에서, 로드 경로의 방향전환 섹션(14)에 인접한 최상부 단부 섹션들에 배치되는 계단 밴드 계단들(24)의 트레드 면들(28)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평면(E)에 놓인다. 하지만, 경사를 갖는 에스컬레이터(10)의 섹션들에서는 인접한 계단들(24)의 트레드 면들(28) 간에 높이 차(h)가 존재함을 알 수 있다. 이 높이 차(h)는 일정한 경사를 갖는 에스컬레이터의 중간섹션에서 최대가 된다. 스텝 롤러들(42)은, 에스컬레이터(10)의 작동 동안 계단들 모두의 트레드 면들(28)이 기본적으로 하나의 평면 내에 놓이는 위치로부터 트레드 면들(28)이 서로에 대해 높이 h만큼 오프셋되는 위치까지 계단(24)이 인접한 계단(24)에 대해 변위되는 한편, 그럼에도 트레드 면들(28)은 수평방향으로 유지되는 방식으로 계단 롤러 가이드(44)에 의하여 안내된다. 스커트 패널들(12)의 높이(H)를 적어도 연속적인 트레드 면들(28) 간에 최대 높이 차(h)가 되도록 선택하는 것은 정지된 난간 패널(38)의 바닥 에지와 트레드 면들(28) 사이에 개방되어 남아 있는 여하한의 수직방향 공간이 완전히 덮이도록 한다. 통상적으로, 스커트 패널들(12)의 높이(H)는 트레드 면들(28)의 최대 높이 차(h)보다 아주 약간 더 크다. 중간섹션들에서 경사 각(β)(도 5 참조)을 갖는 에스컬레이터에 대하여, 다음의 관계: H ≥ hㆍcosβ가 유도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특히 트레드 밴드의 방향전환 섹션들에서 공간을 덜 필요로 하며 실현하기에 효율적인 패널 부재들에 의하여 트레드들의 측방향 측들에 형성되는 갭을 충분히 폐쇄시킬 수 있는 승객 컨베이어의 측방향 패널 부재들의 구조를 제공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실시예에서는, 승객 컨베이어가 제공되며, 상기 승객 컨베이어는, 무한 트레드 밴드 - 상기 무한 트레드 밴드는 복수의 트레드들을 포함함 - , 적어도 하나의 무한 구동 체인 - 상기 구동 체인은 구동부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방향전환 섹션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구동 체인은 복수의 구동 체인 링크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각각은 그와 연관되는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를 가지며, 연속적인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은 상기 구동 체인 롤러들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트레드들은, 예를 들어 구동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상기 구동 체인에 연결됨 - , 및 상기 트레드들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트레드들의 측방향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중 하나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도록 지지됨 - 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드들 각각은 복수의 연속적인 패널 부재들과 연관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 따르면, 측방향 패널 부재들은 트레드들과 유사할 수 있다. 이는 특히 승객 컨베이어의 이동 방향에 의하여 정의되는 바와 같이 길이 방향으로의 이러한 측방향 패널 부재들의 치수(이를 "깊이"라 칭하기도 함)에 적용된다. 일 예로서, 각각의 트레드와 연관된 n 개의 측방향 패널 부재들을 갖는 실시예들에 대하여, 측방향 패널 부재들 중 하나의 깊이는 각 트레드의 깊이의 1/n 배에 불과하다(여기서, n은 1 보다 큰 어떠한 수도 될 수 있으며 반듯이 정수일 필요는 없다는 데 유의하여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측방향 패널 부재들은 측방향 패널 부재들 각각이 항상 동일한 트레드와 연관되도록 트레드 밴드의 무한 이동 경로를 따라 트레드들과 함께 이동한다. 그러므로, 트레드들에 측방향으로 연결되어 그에 대해 피봇가능한 종래의 스커트 패널들과 유사하게, 트레드 면들과 측방향 패널 부재들 사이에서 트레드들의 측방향 측들에 형성되는 갭은 물건들, 예컨대 옷이 이 갭 내로 당겨져 그 안에 끼는 것을 안전하게 방지하도록 충분히 작게 만들어질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측방향 패널 부재들의 보다 작은 치수는, 측방향 패널 부재들의 간섭들이 효율적으로 억제되기 때문에, 무한 경로의 만곡된 섹션, 특히 방향전환 섹션들에서 구동 체인 및 트레드들의 보다 작은 최소 벤딩 반경을 가능하게 한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구동 체인 링크들 중 하나에 부착된다. 이러한 구동 체인 링크들에 대한 유일한 요건은 측방향 패널 부재를 부착하기 위한 수단(예를 들어, 각각의 볼트들을 삽입하기 위한 홀들)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므로, 이 실시예에서는 다소간 종래의 구동 체인 링크들이 이용될 수 있다. 특히, 패널 부재는 구동 체인 링크에 고정 부착될 수 있으며, 구동 체인 링크로부터 탈착가능한 방식으로 부착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구동 체인 링크들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연속적인 패널 부재들의 시퀀스는 연장부를 갖는 구동 체인 링크들 각각 또는 그 하위집단(subset)(예를 들어, 여하한의 제 2 구동 체인 링크)을 형성하는 것으로부터 유도되며, 상기 연장부는 기본적으로 작동시 측방향 패널 부재를 형성한다. 통상적으로 구동 체인 링크와 연관된 구동 체인 축 및 인접한 구동 체인 링크의 구동 체인 축에 부착되는 구동 체인 링크 자체는 측방향 패널 부재를 위한 아암부를 제공하는 데 이용된다. "일체로 형성되는"이란 말은 구동 체인 링크 및 그와 연관된 측방향 패널 부재가 단일 피스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구동 체인 링크가 구동 체인에 부착되는 아암부, 및 작동시 대응되는 트레드의 트레드 면 위에서 연장되는 측방향 패널부 둘 모두를 포함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고 말할 수도 있다. 이러한 형상의 구동 체인 링크들은 단일 피스를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예를 들어 시트 금속의 롤 포밍(roll forming) 및 커팅에 의하여 이러한 피스로부터 매우 효율적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2 개 이상의 피스들을 함께 일체로 결합(예를 들어, 용접)함으로써 이러한 형상의 구동 체인 링크들을 실현하는 것도 생각해 볼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에서의 측방향 패널 부재들은 기본적으로 그와 연관된 각각의 구동 체인 링크의 길이방향 축의 방향을 따라 연장된다.
승객 컨베이어 수송 요소들의 측방향 측들에 형성되는 갭의 충분한 폐쇄를 가능하게 하는 측방향 패널 부재들의 효율적으로 실현가능한 구조를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구동 체인 링크들과 일체로 측방향 부재들을 형성하는 개념은 그 자체로서 고려해 볼만한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본 명세서에서 상술된 다른 방법들 중 여하한의 방법과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적으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실시예가 제공된다: 승객 컨베이어는, 무한 트레드 밴드 - 상기 무한 트레드 밴드는 복수의 트레드들을 포함함 - , 적어도 하나의 무한 구동 체인 - 상기 구동 체인은 구동부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방향전환 섹션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구동 체인은 복수의 구동 체인 링크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각각은 그와 연관되는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를 가지며, 연속적인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은 상기 구동 체인 롤러들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트레드들은, 예를 들어 구동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상기 구동 체인에 연결됨 - , 및 상기 트레드들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트레드들의 측방향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중 하나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도록 지지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된다.
추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측방향 패널 부재는 아암부 및 스커트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아암부는 각각의 구동 체인 링크 및/또는 그와 연관된 구동 체인 롤러들과 연결되는 장착 단부, 및 상기 스커트부와 연결되는 피봇팅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부는 상기 스커트부를 그 피봇팅 축으로부터 소정 변위만큼 변위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 체인 링크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특히 트레드 밴드의 방향전환 섹션들에서 공간을 덜 필요로 하는 패널 부재들에 의하여 승객 컨베이어의 수송 요소들의 측방향 측에 형성되는 충분히 줄어든 간격을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상술된 개념은 그 자체로 고려해 볼만한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술된 다른 방법들 중 여하한의 방법과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적으로 제 3 실시형태에 따른 실시예가 제공된다: 승객 컨베이어는, 무한 트레드 밴드 - 상기 무한 트레드 밴드는 복수의 트레드들을 포함함 - , 적어도 하나의 무한 구동 체인 - 상기 구동 체인은 구동부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방향전환 섹션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구동 체인은 복수의 구동 체인 링크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각각은 그와 연관되는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를 가지며, 연속적인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은 상기 구동 체인 롤러들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트레드들은, 예를 들어 구동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상기 구동 체인에 연결됨 - , 및 상기 트레드들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트레드들의 측방향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중 하나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도록 지지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아암부 및 스커트부를 포함하고, 상기 아암부는 상기 각각의 구동 체인 링크 및/또는 그와 연관된 구동 체인 롤러들과 연결되는 장착 단부, 및 상기 스커트부와 연결되는 피봇팅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부는 상기 스커트부를 그 피봇팅 축으로부터 소정 변위만큼 변위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 체인 링크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아암부는, 여하한의 방향들 중에서 적어도 구동 체인 링크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장착 단부는 구동 체인 링크에 대해 정지되도록 간접적으로 지지되거나(예를 들어, 구동 체인 롤러들의 축에 의하여 지지되거나), 또는 직접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예를 들어, 구동 체인 링크에 고정 장착되거나 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구동 체인 링크를 인접한 구동 체인 링크들에 연결하는 2 개의 구동 체인 롤러들 중 하나는 패널 부재가 그를 중심으로 피봇되는 피봇팅 축을 형성할 수 있다.
아암부는, 인접한 패널 부재의 스커트부들이 서로 간섭하지 않고 상기 스커트부들이 서로에 대해 충분히 큰 피봇 각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도록 하는 충분한 길이로 된 피봇 아암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실시예는 트레드들 및 구동 체인 링크들이 그들의 무한 이동 경로의 만곡된 섹션, 특히 통상적으로 최대 곡률을 갖는 방향전환 섹션들에서 이동할 때 측방향 패널 부재들의 간섭들을 효율적으로 억제할 수 있게 한다.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실시예와 유사하게, 이는 방향전환 섹션들에서 보다 작은 최소 벤딩 반경이 실현될 수 있게 한다.
상술된 제 1 실시형태에 따른 실시예들과 유사하게, 측방향 패널 부재들은 항상 동일한 트레드와 연관되며, 트레드 밴드의 무한 이동 경로를 따라 상기 트레와 함께 이동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상기 트레드에 대해 피봇가능하다. 그러므로, 제 3 실시형태의 실시예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따른 실시예들과 같은 방식으로 트레드 면들과 측방향 패널 부재들 사이에서 트레드들의 측방향 측들에 형성되는 갭은 물건들, 예컨대 옷이 이 갭 내로 당겨져 그 안에 끼는 것을 안전하게 방지하도록 충분히 작게 만들어질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에스컬레이터들에 대해서는, 충분한 길이의 피봇팅 아암의 제공은 추가적인 중요한 장점을 제공한다: 피봇팅 아암이 길어질수록, 만곡된 섹션에서의 측방향 부재들의 피봇팅 움직임의 반경이 커진다. 이러한 피봇팅 움직임의 반경은 패널 부재들의 최대 높이를 제한하기 때문에, 패널 부재들은 에스컬레이터의 경사진 중간 섹션에서 이동하는 경우에도 인접한 계단들의 트레드 면들 간의 높이 차를 넘어서 연장되도록 충분히 높게 만들어질 수 있다.
승객 컨베이어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제 1 계면 에지부 및 상기 제 1 계면 에지부 맞은편의 제 2 계면 에지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계면 에지부는 오목한 곡률을 갖는다. 오목한 곡률을 갖는 에지부를 가진 스커트부에 대하여, 만곡된 에지부에서의 2 개의 지점들을 연결하는 직선은 통상적으로 스커트부 외측에서 연장된다. 제 1 및 제 2 계면 에지부들은 그들 사이에 스커트부를 형성한다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특히, 제 2 계면 에지부는 볼록한 곡률을 가질 수도 있다. 볼록한 곡률을 갖는 제 2 계면 에지부를 가진 스커트부에 대하여, 만곡된 섹션에서의 2 개의 지점들을 연결하는 선은 통상적으로 스커트부 내측에서 연장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스커트부는 낫(sickle)의 형상을 갖는 것으로 언급될 수 있다.
특히 트레드 밴드의 방향전환 섹션들에서 공간을 덜 필요로 하는 패널 부재들에 의하여 승객 컨베이어의 수송 요소들의 측방향 측에 형성되는 갭의 충분한 폐쇄를 제공한다는 관점에서, 상술된 개념은 그 자체로 고려해 볼만한 가치가 있다. 그러므로, 본 명세서에서 상술된 다른 방법들 중 여하한의 방법과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적으로 제 4 실시형태에 따른 실시예가 제공된다: 승객 컨베이어는, 무한 트레드 밴드 - 상기 무한 트레드 밴드는 복수의 트레드들을 포함함 - , 적어도 하나의 무한 구동 체인 - 상기 구동 체인은 구동부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방향전환 섹션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구동 체인은 복수의 구동 체인 링크들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각각은 그와 연관되는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를 가지며, 연속적인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은 상기 구동 체인 롤러들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트레드들은, 예를 들어 구동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상기 구동 체인에 연결됨 - , 및 상기 트레드들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트레드들의 측방향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 중 하나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도록 지지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는 제 1 계면 에지부 및 상기 제 1 계면 에지부 맞은편의 제 2 계면 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계면 에지부는 오목한 곡률을 가지고, 상기 제 2 계면 에지부는 볼록한 곡률을 갖는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 1 및 제 2 계면 에지부들은 제 1 계면 에지부에서의 각각의 지점이 제 2 계면 에지부에서의 대응되는 지점과 같은 거리를 갖는다는 점에서 서로 평행할 수 있다. 특히, 제 1 및 제 2 경계부들은 같은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 2 경계부는 제 1 경계부를 선형으로 대략 거리 d만큼 변위시킴으로써 유도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 1 계면 에지부는 원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원은 반드시 완전한 원의 주변부가 아니라, 원의 섹터(sector)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섹터는 최대 180°까지의 각을 포함하도록 선택될 수도 있다.
일 예로서, 제 1 계면 에지부는 패널 부재가 장착되거나 또는 패널 부재와 연관된 구동 체인 링크에 인접한 구동 체인 롤러들 중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반경(R)을 갖는 제 1 원의 둘레부의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러한 구동 체인 롤러의 구동 체인 롤러 축은 패널 부재를 위한 피봇팅 축을 형성한다. 따라서, 패널 부재의 제 1 계면 에지부는 반경(R)을 갖는 이러한 제 1 원의 주변부를 따라 구동 체인 링크들과 함께 피봇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제 1 원의 반경(R)은 인접한 구동 체인 롤러들 간의 거리와 동일하거나, 또는 다시 말해 제 1 원의 반경(R)이 구동 체인의 피치와 같을 수 있다.
또한, 제 2 계면 에지부는 원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위와 마찬가지로, 원의 형상은 반드시 완전한 원의 주변부가 아닌 원의 섹터의 주변부를 나타내는 것을 의미한다. 섹터는 최대 180°까지의 섹터를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이 실시예에서, 제 2 계면 에지부는 패널 부재와 연관된 구동 체인 링크에 인접한 구동 체인 롤러들 중 다른 롤러를 중심으로 제 2 원의 둘레부의 일부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 2 원은 제 1 원으로부터 구동 체인의 피치만큼 변위된다. 제 2 원은 제 2 원과 같은 반경(R)을 가질 수 있다.
제 1 구동 체인 링크와 연관된 제 1 패널 부재의 제 1 계면 에지부, 및 제 2 구동 체인 링크와 연관된 인접한 제 2 패널 부재의 제 2 계면 에지부가 같은 곡률을 가질 경우, 제 1 및 제 2 계면 에지부들은 무한 경로의 상이한 섹션들에서 패널 부재들이 이동하는 동안 서로를 따라 쉽게 슬라이딩될 수 있으며, 이들 섹션들은 직선형 섹션들로부터 만곡된 섹션들(예를 들어, 전이 또는 방향전환 섹션들)로 변한다. 이러한 슬라이딩 움직임은, 예를 들어 대응되는 홈 부분들 내로 피팅되는 텅 부들(tongue portions) 형태 또는 두께 방향으로 서로에 대해 상보적으로 형성되는 후퇴부들의 형태의 계면 에지부들의 작은 오버랩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부 에지부와 상기 상부 에지부 맞은편의 하부 에지부 사이에 스커트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에지부들은 직선형이고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부 및 하부 직선형 에지부들은 제 1 및 제 2 계면 에지부들과 상호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서, 상부 에지부 및 하부 에지부는 서로에 대해 거리 H를 가질 수 있으며, 여기서 다음의 관계: 1.6R ≤ H ≤ 2R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하부 입구 지점에서 상부 출구 지점까지 상방향으로 에스컬레이터를 수송하는 과정에 걸친 에스컬레이터에서의 계단의 이동 경로에서, 계단들은 기본적으로 수평 위치에서의 입구 지점에 있는 콤 플레이트(comb plate) 아래에서 나타나며, 개별 계단들의 트레드 면들은 기본적으로 하나의 평면 내에 배치된다. 이 수평방향 섹션으로부터, 계단들의 이동 경로는 하부 전이 섹션 및 경사진 섹션에서 경사진 이동 경로로 점진적으로 변형된다. 상부 전이 섹션에서는, 계단들이 최종적으로 출구 지점에 있는 콤 플레이트 아래로 사라질 때까지 이동 경로가 수평방향 이동 경로로 역으로 변형된다. 개별 계단들의 트레드 면들은 이 전체 노출된 이동 경로에 걸쳐 수평방향 위치를 유지한다. 인접한 계단들의 트레드 면들 간의 수직방향 거리(h)만이 시작시 0에서부터 이동 경로 중 경사진 영역에서의 최대 거리까지 증가된 다음, 다시 기본적으로 0이 될때까지 감소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승객 컨베이어는 경사진 섹션을 갖는 에스컬레이터일 수 있다. 트레드들은 경사진 섹션에서 이동할 때 계단 높이(h)를 갖는 계단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 배치에서, 패널 부재의 상부 에지부와 하부 에지부 간의 거리(H)는 경사진 섹션에서의 계단들의 계단 높이(h)와 기본적으로 같거나 또는 그보다 약간 더 크도록 선택될 수 있다. 보다 정확하게는, 다음의 관계: H ≥ hㆍcosβ가 유지되며, 여기서 β는 수평방향에 대해 측정하였을 때의 에스컬레이터의 경사각이다. H ≤ 2R의 관계(앞의 내용 참조)와 함께, 다음의 관계: R ≥ 0.5hㆍcosβ가 유도된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부 에지부 및 하부 에지부 각각은 연속적인 구동 체인 롤러들 간의 거리(L)와 실질적으로 같은 길이(d)를 가질 수 있으며, 다시 말해 구동 체인의 피치와 실질적으로 같을 수 있다.
특히, 구동 체인 롤러들은 구동 체인 롤러 가이드에 의하여 안내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트레드가 구동 체인(들)에 대해 지지되는 구동 체인 롤러 축이 트레드의 전방 측 부근에 배치될 수 있다. 트레드들 각각은 전방 측, 후방 측, 및 2 개의 측방향 측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트레드 면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복수의 제 1 및 제 2 패널 부재들은 트레드들의 측방향 측들 각각에서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수송 채널이 측방향 패널 부재들 사이에서 이동하는 트레드들에 의하여 형성되도록, 복수의 연속적인 제 1 패널 부재들은 트레드들의 하나의 측방향 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복수의 연속적인 제 2 패널 부재들은 트레드들의 맞은편 측방향 측에 배치될 수 있다.
승객 컨베이어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트레드들의 이동 경로를 따르는 트레드들의 측방향 측에서 연장되는 개방된 수직방향 공간은 패널 부재들의 시퀀스에 의하여 덮이는 방식으로 복수의 패널 부재들이 연속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승객 컨베이어는 평행하게 이어지고 트레드들의 각각의 측방향 측에 배치되는 제 1 및 제 2 구동 체인들을 더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구동 체인들 각각은 제 1 및 제 2 방향전환 섹션 주위에서 구동된다.
트레드들 각각은 (공통) 구동 체인 롤러 축을 통해 제 1 및 제 2 구동 체인들에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패널 부재들 각각은 그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도록 구동 체인 링크들 중 하나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추가 실시예에서, 구동 체인 링크들 각각은 패널 부재들 중 하나와 연관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 체인 링크는 각각의 측방향 패널 부재를 직접적으로 지지하거나, 또는 예를 들어 구동 체인 링크를 그와 인접한 링크들과 연결하는 구동 체인 롤러들을 통해 각각의 측방향 패널 부재를 간접적으로 지지하며, 이 경우 패널 부재는 이러한 구동 체인 롤러들에 의하여 직접적으로 지지된다.
특히, 연속적인 구동 체인 롤러들 간의 거리(즉, 연속적인 구동 체인 링크들 또는 구동 체인 롤러들의 거리들에 의하여 정의되는 구동 체인의 피치)는 트레드들의 피치 자체보다 작을 수 있다. 이러한 배치에서는, n번째 구동 체인롤러만이 구동 체인 롤러 축을 통해 트레드들 중 하나에 연결된다.
각각의 구동 체인 링크 및/또는 그와 연관된 구동 체인 롤러들이 측방향 패널 부재들 중 하나를 지지하는 또 다른 실시예에서는, 패널 부재들이 구동 체인 링크에 고정되거나 또는 그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Claims (22)

  1. 승객 컨베이어(10)에 있어서,
    무한 트레드 밴드 - 상기 무한 트레드 밴드는 복수의 트레드들(24)을 포함함 - ,
    적어도 하나의 무한 구동 체인(26) - 상기 구동 체인(26)은 구동부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방향전환 섹션(14)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구동 체인(26)은 복수의 구동 체인 링크들(18)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 각각은 그와 연관되는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30)를 가지며, 연속적인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은 상기 구동 체인 롤러들(30)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트레드들(24)은 상기 구동 체인(26)에 연결됨 - , 및
    상기 트레드들(24)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트레드들(24)의 측방향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 중 하나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도록 지지됨 - 를 포함하며,
    상기 트레드들(24) 각각은 복수의 연속적인 패널 부재들(12)과 연관되어 있는 승객 컨베이어.
  2.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는 구동 체인 링크들(18') 중 하나에 부착되는 승객 컨베이어.
  3. 제 1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는 구동 체인 링크들(18")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는 승객 컨베이어.
  4. 승객 컨베이어(10)에 있어서,
    무한 트레드 밴드 - 상기 무한 트레드 밴드는 복수의 트레드들(24)을 포함함 - ,
    적어도 하나의 무한 구동 체인(26) - 상기 구동 체인(26)은 구동부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방향전환 섹션(14)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구동 체인(26)은 복수의 구동 체인 링크들(18)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 각각은 그와 연관되는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30)를 가지며, 연속적인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은 상기 구동 체인 롤러들(30)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트레드들(24)은 상기 구동 체인(26)에 연결됨 - , 및
    상기 트레드들(24)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트레드들(24)의 측방향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 중 하나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도록 지지됨 - 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는 구동 체인 링크들(18") 중 하나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트레드들(24) 각각은 복수의 연속적인 패널 부재들(12)과 연관되어 있는 승객 컨베이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는 아암부(12a) 및 스커트부(12b)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부(12a)는 상기 각각의 구동 체인 링크(18) 및 그와 연관된 구동 체인 롤러들(3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장착 단부, 및 상기 스커트부(12b)와 연결되는 피봇팅 단부(pivoting end)를 포함하고,
    상기 아암부(12a)는 상기 스커트부(12b)를 그 피봇팅 축(X)으로부터 소정 거리(L)만큼 변위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 체인 링크(18)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승객 컨베이어.
  6. 승객 컨베이어(10)에 있어서,
    무한 트레드 밴드 - 상기 무한 트레드 밴드는 복수의 트레드들(24)을 포함함 - ,
    적어도 하나의 무한 구동 체인(26) - 상기 구동 체인(26)은 구동부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방향전환 섹션(14)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구동 체인(26)은 복수의 구동 체인 링크들(18)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 각각은 그와 연관되는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30)를 가지며, 연속적인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은 상기 구동 체인 롤러들(30)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트레드들(24)은 상기 구동 체인(26)에 연결됨 - , 및
    상기 트레드들(24)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트레드들(24)의 측방향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 중 하나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도록 지지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는 아암부(12a) 및 스커트부(12b)를 포함하고, 상기 아암부(12a)는 상기 각각의 구동 체인 링크(18) 및 그와 연관된 구동 체인 롤러들(30)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되는 장착 단부, 및 상기 스커트부(12b)와 연결되는 피봇팅 단부를 포함하며, 상기 아암부(12a)는 상기 스커트부(12b)를 그 피봇팅 축(X)으로부터 소정 거리(L)만큼 변위시키기 위하여 상기 구동 체인 링크(18)의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트레드들(24) 각각은 복수의 연속적인 패널 부재들(12)과 연관되어 있는 승객 컨베이어.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는 제 1 계면 에지부(48) 및 상기 제 1 계면 에지부(48) 맞은편의 제 2 계면 에지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계면 에지부(48)는 오목한 곡률을 갖는 승객 컨베이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계면 에지부(50)는 볼록한 곡률을 갖는 승객 컨베이어.
  9. 승객 컨베이어(10)에 있어서,
    무한 트레드 밴드 - 상기 무한 트레드 밴드는 복수의 트레드들(24)을 포함함 - ,
    적어도 하나의 무한 구동 체인(26) - 상기 구동 체인(26)은 구동부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방향전환 섹션(14) 주위에서 구동되고, 상기 구동 체인(26)은 복수의 구동 체인 링크들(18)을 포함하며,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 각각은 그와 연관되는 각각의 구동 체인 롤러(30)를 가지며, 연속적인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은 상기 구동 체인 롤러들(30)을 통해 연결되고, 복수의 트레드들(24)은 상기 구동 체인(26)에 연결됨 - , 및
    상기 트레드들(24)에 대해 이동가능하도록 상기 트레드들(24)의 측방향 측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 중 하나에 대해 정지되어 유지되도록 지지됨 - 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는 제 1 계면 에지부(48) 및 상기 제 1 계면 에지부(48) 맞은편의 제 2 계면 에지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계면 에지부(48)는 오목한 곡률을 가지고, 상기 제 2 계면 에지부(50)는 볼록한 곡률을 갖고,
    상기 트레드들(24) 각각은 복수의 연속적인 패널 부재들(12)과 연관되어 있는 승객 컨베이어.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계면 에지부(48)는 원의 형상을 갖는 승객 컨베이어.
  11.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계면 에지부(48)는 상기 패널 부재(12)와 연관된 상기 구동 체인 링크(18)에 인접한 구동 체인 롤러들(30) 중 하나의 축(X1)을 중심으로 하는 반경(R)을 갖는 제 1 원(C)의 둘레부의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승객 컨베이어.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원(C)의 반경(R)은 인접한 구동 체인 롤러들 간의 거리와 같은 승객 컨베이어.
  13.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계면 에지부(50)는 원의 형상을 갖는 승객 컨베이어.
  14.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계면 에지부(50)는 상기 패널 부재와 연관된 상기 구동 체인 링크(18)에 인접한 상기 구동 체인 롤러들(30) 중 다른 하나를 중심으로 제 2 원의 둘레부 일부를 따라 연장되는 승객 컨베이어.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원은 상기 제 1 원(C)과 같은 반경(R)을 갖는 승객 컨베이어.
  16. 제 5 항 또는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스커트부(12b)는 상부 에지부(52)와 상기 상부 에지부(52) 맞은편의 하부 에지부(54)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상부 에지부(52) 및 상기 하부 에지부(54)는 직선형이고 서로 평행한 승객 컨베이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는 제 1 계면 에지부(48) 및 상기 제 1 계면 에지부(48) 맞은편의 제 2 계면 에지부(50)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계면 에지부(48)는 반경(R)을 갖는 제 1 원(C)의 둘레부의 일부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상부 에지부(52) 및 상기 하부 에지부(54)는 상기 제 1 원(C)의 직경보다 더 작은 서로에 대한 거리(H)를 갖는 승객 컨베이어.
  18.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객 컨베이어(10)는 경사진 섹션을 갖는 에스컬레이터이며,
    상기 트레드들(24)은 상기 경사진 섹션에서 이동할 때 계단 높이(h)를 갖는 계단들을 형성하고,
    상기 패널 부재(12)의 상기 상부 에지부(52)와 상기 하부 에지부(54) 간의 거리(H)는 상기 계단 높이(h)와 기본적으로 같거나 또는 더 큰 승객 컨베이어.
  19.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에지부(18) 및 상기 하부 에지부(54) 각각은 연속적인 구동 체인 롤러들(30) 간의 거리(L)와 같은 길이(d)를 갖는 승객 컨베이어.
  2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 각각은 상기 패널 부재들(12) 중 하나와 연관되는 승객 컨베이어.
  2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패널 부재(12)는 상기 구동 체인 링크들(18) 중 하나에 의하여 고정적으로 지지되는 승객 컨베이어.
  22.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패널 부재들(12)은, 상기 패널 부재들(12)의 시퀀스가 정지된 측 패널 요소들(38)의 하부 에지들과 상기 트레드들(24)의 트레드 면들(28) 사이의 상기 트레드들(24)의 측방향 측에서 연장되는 개방 공간을 덮는 방식으로 연속적으로 배치되는 승객 컨베이어.
KR1020127012018A 2009-10-16 2009-10-16 이동가능한 측방향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컨베이어 KR1013923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09/007144 WO2011045626A1 (en) 2009-10-16 2009-10-16 Passenger conveyor with movable lateral panel membe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67369A KR20120067369A (ko) 2012-06-25
KR101392354B1 true KR101392354B1 (ko) 2014-05-07

Family

ID=438758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12018A KR101392354B1 (ko) 2009-10-16 2009-10-16 이동가능한 측방향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컨베이어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2) US8701861B2 (ko)
JP (1) JP5648060B2 (ko)
KR (1) KR101392354B1 (ko)
CN (1) CN102574667B (ko)
DE (1) DE112009005321B4 (ko)
HK (1) HK1172599A1 (ko)
IN (1) IN2012DN02407A (ko)
WO (1) WO201104562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401206B1 (es) * 2012-12-27 2013-12-19 Thyssenkrupp Elevator Innovation Center, S. A. Sistema de volteo para sistema de transporte por banda
US9938732B1 (en) * 2015-03-12 2018-04-10 Boston Whaler, Inc. Articulating staging system for manufacturing
EP3292068B1 (en) 2015-05-06 2019-05-01 Otis Elevator Company Tread element for people conveyor comprising a cantilever arm
EP3231761B1 (en) * 2016-04-15 2019-02-20 Otis Elevator Company Pallet conveyor
US20190330034A1 (en) * 2018-04-27 2019-10-31 California Manufacturing & Engineering Company, Llc Work platform with extension deck and work step
EP3569554B1 (en) 2018-05-16 2021-02-24 Otis Elevator Company Drive system for a people conveyor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325A (ja) 1999-06-30 2001-01-23 Nkk Corp コンベヤ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67A (en) 1933-07-10 1935-06-18 Otis Elevator Co Moving stairway
US4470497A (en) 1982-02-26 1984-09-11 Westinghouse Electric Corp. Escalator
ES2100088T3 (es) 1993-10-09 1997-06-01 O & K Rolltreppen Gmbh Sistema de accionamiento para escalera automatica curvada.
JP3402155B2 (ja) 1997-10-08 2003-04-28 日本鋼管株式会社 乗客コンベヤ装置
US6213278B1 (en) * 1999-04-22 2001-04-10 Otis Elevator Company Man-conveyor step
JPH11343090A (ja) 1998-06-03 1999-12-14 Otis Elevator Co 人移送装置のステップ
JP4290791B2 (ja) 1998-12-28 2009-07-08 石川島運搬機械株式会社 動く歩道
KR100445362B1 (ko) 1999-04-26 2004-08-21 가부시끼가이샤 히다치 세이사꾸쇼 에스컬레이터장치
JP2001019327A (ja) 1999-07-05 2001-01-23 Nkk Corp コンベア装置
JP4101987B2 (ja) 1999-10-04 2008-06-18 積水化学工業株式会社 ユニット建物の上下階接合構造
US6450316B1 (en) * 2000-11-28 2002-09-17 Otis Elevator Company Escalator with step flange
US7222713B2 (en) * 2001-05-25 2007-05-29 Otis Elevator Company Step attachment on the step chain of an escalator
US6640957B2 (en) * 2001-12-21 2003-11-04 Otis Elevator Company Racetrack style passenger conveyor
AU2003218648A1 (en) * 2003-02-07 2004-08-30 Otis Elevator Company Moving flange fastening for passenger conveyors
JP2006513948A (ja) * 2003-02-07 2006-04-2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欄干固定構造
ES2265293B1 (es) * 2005-07-28 2008-02-16 Thyssenkrupp Norte, S.A. Pasillo movil.
US8931614B2 (en) * 2010-10-08 2015-01-13 Otis Elevator Company Passenger conveyor with movable lateral panel memb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19325A (ja) 1999-06-30 2001-01-23 Nkk Corp コンベヤ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12009005321B4 (de) 2019-05-02
JP2013508238A (ja) 2013-03-07
US20140251753A1 (en) 2014-09-11
IN2012DN02407A (ko) 2015-08-21
US9227818B2 (en) 2016-01-05
WO2011045626A1 (en) 2011-04-21
US8701861B2 (en) 2014-04-22
CN102574667A (zh) 2012-07-11
US20120181144A1 (en) 2012-07-19
CN102574667B (zh) 2015-11-25
HK1172599A1 (zh) 2013-04-26
KR20120067369A (ko) 2012-06-25
JP5648060B2 (ja) 2015-01-07
DE112009005321T5 (de) 2012-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9383B1 (ko) 이동가능한 측면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수송기
KR101392354B1 (ko) 이동가능한 측방향 패널 부재들을 갖는 승객 컨베이어
CN107580584B (zh) 包括悬臂的用于人员输送机的踏板元件
KR100831837B1 (ko) 에스컬레이터의 계단 체인 위의 계단 부착물
EP3257804B1 (en) Belt-driven people conveyor
KR101953400B1 (ko) 사람 운송 장치
US20160176681A1 (en) Pallet of a moving walkway
KR20060108646A (ko) 컨베이어용 회전 장치
US20150259177A1 (en) Passenger Conveyor Systems with Separate Chain and Pallet Tracks
US10647549B2 (en) Chain drive for a people conveyor
JP4848327B2 (ja) 乗客コンベア
US20180222725A1 (en) People conveyor, conveying band and conveying element of a people conveyor
JP7315906B1 (ja) 乗客コンベア
EP3569554B1 (en) Drive system for a people conveyor
EP3617126A1 (en) Endless chain for a handrail of a moving walk, handrail and moving walk
CN107618968B (zh) 人输送机的运输元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