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2061B1 -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 - Google Patents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2061B1
KR101392061B1 KR1020097004068A KR20097004068A KR101392061B1 KR 101392061 B1 KR101392061 B1 KR 101392061B1 KR 1020097004068 A KR1020097004068 A KR 1020097004068A KR 20097004068 A KR20097004068 A KR 20097004068A KR 101392061 B1 KR101392061 B1 KR 1013920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fine particles
coating layer
organic fine
acryl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040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6884A (ko
Inventor
신이치로 오카다
아츠시 오야마츠
Original Assignee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10886A external-priority patent/JP492818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0621088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08036867A/ja
Application filed by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데이진 듀폰 필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468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68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20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20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995/00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 B29K2995/0012Properties of moulding materials, reinforcements, fillers, preformed parts or moulds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29K2995/0017Heat stabl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도포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 도포층은, 바인더 수지 및 유기 미립자로 이루어지고,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20 ∼ 1000㎚ 이고,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도포층 두께의 3 배를 초과하고, 유기 미립자와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차가 0.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에 의해, 고온 환경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도 열 휨이 적고, 고온 환경에서의 내블로킹성을 구비하는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MULTILAYER FILM TO BE USED AS BASE FILM OF LUMINANCE-ENHANCING SHEET}
본 발명은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의 휘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액정 표시 장치 중에 배치되는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에 관한 것이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플랫 패널형 표시 장치의 광학용 부재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 향상 시트 (일반적으로 「프리즘 렌즈 시트」라고 한다) 및 반사 방지 필름의 베이스 필름, 플라즈마 디스플레이의 전자파 차폐 필름의 베이스 필름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최근, 액정 표시 장치의 대화면화와 고휘도화가 진행되고, 광원으로부터 발하여지는 열량이 증대되어, 열에 의한 광학 부재의 변형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해졌다. 특히 차재용 액정 표시 장치는, 염천 (炎天) 하의 차 내에서 높은 온도에서 사용되어, 내부의 광학 부재는 높은 열에 노출된다.
휘도 향상 시트는, 베이스 필름과 그 위에 형성된 프리즘 렌즈층으로 이루어진다. 이 프리즘 렌즈층은, 베이스 필름 상에, 용제를 함유하지 않는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금형에 의해 프리즘 렌즈의 형상으로 형성하고,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 때문에,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은, 프리즘 렌즈층의 형성시에 열에 노출되지 않아, 고온 환경하에서 사용되면 열 휨을 발생시키기 쉽다.
열 휨을 억제하는 기술로서, 필름의 열수축 특성을 어느 일정한 범위로 설정한 광학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고, 이 필름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수지와의 밀착성이 우수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3-201357호). 그러나, 이 필름은 치수 안정성이 불충분하고, 높은 온도하에서 사용하면 큰 열 휨이 발생한다.
필름의 열팽창 계수를 어느 일정한 범위로 설정한 광 확산 필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고, 이 필름은 광 확산층과의 밀착성이 양호하고, 휨이 적은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2-350617호). 그러나, 이 필름은 열수축률이 매우 높아, 60℃ 정도까지의 온도에서는 열 휨을 방지할 수 있지만, 78℃ 정도 이상의 고온 환경에서는 치수 안정성이 매우 불충분하고, 큰 열 휨이 발생한다. 이것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의 유리 전이점이 약 78℃ 에 있고, 이 온도 이상의 온도에서는, 필름의 변형은 열팽창 계수보다 열수축률에 지배되기 때문이다.
필름의 열수축률을 어느 일정한 범위로 설정한 휘도 향상 시트용 필름이 제안되고, 이 필름은 고온하에서의 렌즈층과의 접착성이 향상되고, 열에 의한 변형이 저감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0-141574호). 그러나, 이 필름은, 고온 환경에서 사용하면 블로킹이 매우 일어나기 쉬워 핸들링성이 열등하 다. 또한, 이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길이 방향으로 3 단 또는 4 단의 다단 연신으로 연신할 필요가 있어, 특수한 종(縱)다단 연신의 막 제조 설비가 필요하고, 일반적인 축차 2 축 연신의 막 제조 설비로는 제조가 곤란하다.
도막의 굴절률, 막두께 및 분광 반사율을 일정한 범위로 설정한 2 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제안되고, 이 필름은, 파인 피치화, 연속 생산 및 대면적화에 견딜 수 있는 자외선 투과성과 렌즈층과의 양호한 접착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37046호). 그러나, 이 필름은 종열수축률이 높아 고온 환경에서 사용하면 큰 열 휨이 발생하고, 또한 블로킹이 일어나기 쉬워 핸들링성이 열등하다.
발명의 개시
휘도 향상 시트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2 장 중첩시켜 확산판 등의 다른 부재와 인접하는 위치에 배치하여 사용된다. 종래의 휘도 향상 시트에서는, 예를 들어 차재용 용도에서, 고온 환경에서 사용되면, 휘도 향상 시트의 프리즘 렌즈의 반대면 (프리즘 렌즈층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면) 이 액정 표시 장치를 구성하는 인접 부재와 블로킹된다. 블로킹된 지점은, 표시면이 하얗게 보여 액정 표시 장치의 표시 품질이 저하된다.
본 발명의 제 1 의 과제는, 고온 환경에서의 내블로킹성을 구비하여,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프리즘 렌즈층과의 높은 밀착성을 얻을 수 있는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제 2 과제는, 고온 환경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도 열 휨이 적고, 고온 환경에서의 내블로킹성을 구비하여,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프리즘 렌즈층과의 높은 밀착성을 얻을 수 있는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즉, 본 발명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도포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
도포층은 바인더 수지 및 유기 미립자로 이루어지고,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20 ∼ 1000㎚ 이고,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도포층 두께의 3 배를 초과하고,
유기 미립자와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차가 0.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폴리에스테르 필름)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2염기산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디올 또는 그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로부터 합성되는 선상 포화 폴리에스테르이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의 구체예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를 예시할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이들 폴리에스테르의 공중합체이어도 되고, 다른 수지와의 블렌드이어도 된다.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폴리에스테르를 주체 (예를 들어 80 몰% 이상의 성분) 로 하고, 공중합 성분 또는 블렌드 성분은 낮은 비율 (예를 들어 20 몰% 이하의 성분)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역학적 물성이나 광학 물성 등의 밸런스가 좋기 때문에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착색제, 대전 방지제, 산화 방지제, 활제, 촉매를 함유해도 되지만, 내첨 (內添) 미립자를 함유하지 않는 것이 투명성 면에서 바람직하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두께는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필요한 강도를 얻기 위해서, 바람직하게는 25 ∼ 350㎛,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 250㎛ 이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150℃ 에서 30 분간 열처리하였을 때의 종방향의 열수축률이 바람직하게는 1.5 ∼ 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0.0%, 특히 바람직하게는 0.5 ∼ 0.0% 의 범위에 있다. 종방향의 열수축률이 1.5% 를 초과하면 열치수 안정성이 열등해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0.0% 를 하회하여 마이너스의 열수축률이 되면 열팽창에 의해 변형을 일으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이하, 유리 전이 온도를 Tg 로 약기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층 필름의 열수축률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열수축률에 지배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적층 필름과 동일한 종방향의 열수축률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적층 필름은 150℃ 에서 30 분간 열처리하였을 때의 횡방향의 열수축률이 바람직하게는 1.0 ∼ -0.5%,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 -0.3% 이다. 1.0% 를 초과하면 열치수 안정성이 열등하고, 열 휨이 악화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0.5% 보다 작으면 열팽창에 의해 변형을 일으키기 쉬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도포층)
본 발명의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은, 상기 폴리에스테르 필름 상에 도포층을 구비한다. 도포층은 일방의 면에 구비해도 되고 양방의 면에 구비해도 되며, 바람직하게는 양방의 면에 구비한다. 그리고, 도포층은 바인더 수지 및 유기 미립자로 이루어진다.
도포층을 구성하는 조성물의 합계 100 중량% 당 바인더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60 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 ∼ 94.9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 89.9 중량% 를 차지한다. 바인더 수지가 60 중량% 미만이면 블로킹성이 열등해지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94.9 중량% 를 초과하면 프리즘 렌즈층과의 접착성이 열등해지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휘도 향상 시트에 있어서 휘도 향상 작용을 하는 프리즘 렌즈층은, 일반적으로 에너지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며, 통상적으로는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형성한다. 이 아크릴 수지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을 얻기 위해서, 도포층의 바인더 수지는 아크릴 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층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20 ∼ 15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40 ∼ 90㎚ 이다. 도포층 두께가 150㎚ 를 초과하면 블로킹이 발생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고, 20㎚ 미만이면 그 위에 형성하는 프리즘 렌즈층과의 밀착성이 열등해지기 쉬워 바람직하지 않다.
(아크릴 수지)
바인더 수지로서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 아크릴 수지의 굴절률은 바람직하게는 1.45 ∼ 1.55, 더욱 바람직하게는 1.46 ∼ 1.53, 특히 바람직하게는 1.48 ∼ 1.51 이다. 아크릴 수지의 굴절률이 1.55 를 초과하면 자외선의 높은 투과율을 얻을 수 없어, 휘도 향상 시트를 제조할 때에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프리즘 렌즈를 형성하기 곤란해지고, 한편, 1.45 미만으로 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곤란하다.
본 발명에서는, 이 아크릴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파장 400㎚ 의 광선 투과율을 90%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한편, 파장 400㎚ 의 광선 투과율이 90% 미만이면 필름이 충분히 자외선을 투과시키지 않아, 프리즘 렌즈층의 형성에 자외선 경화형 수지를 사용하면 경화 불량이 되기 쉬워, 휘도 향상 시트로 가공하기 곤란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포층의 아크릴 수지는, 유리 전이점 (Tg) 이 바람직하게는 20 ∼ 80℃, 더욱 바람직하게는 25 ∼ 70℃ 인 것이다. 유리 전이점이 20℃ 미만이면 내블로킹성이 악화되어 바람직하지 않고, 한편 80℃ 를 초과하면 막 조제성이 나빠지고, 올리고머 석출 밀봉성이 저하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아크릴 수지는, 물에 가용성 또는 분산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아크릴 수지로는, 예를 들어 이하에 예시하는 아크릴 모노머의 중합체나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다. 아크릴 모노머로는, 알킬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 ;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 함유 모노머 ;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말산, 크로톤산 및 그 염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제 3 급 아민염 등) 등의 카르복시기 또는 그 염을 함유하는 모노머 ; 스티렌술폰산 및 그 염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제 3 급 아민염 등) ;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알킬아크릴아미드, N-알킬메타크릴아미드, N,N-디알킬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 N-알콕시아크릴아미드, N-알콕시메타크릴아미드, N,N-디알콕시아크릴아미드, N,N-디알콕시메타크릴아미드 (알콕시기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등), 아크릴로일모르폴린,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페닐아크릴아미드, N-페닐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를 함유하는 모노머 ; 무수 말레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의 모노머 ; 비닐이소시아네이트, 알릴이소시아네이트,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비닐트리알콕시실란, 알킬말레산모노에스테르, 알킬푸말산모노에스테르, 알킬이타콘산모노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염화비닐리덴, 에틸렌, 프로필렌, 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 부타디엔 등의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아크릴 수지는, 예를 들어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37167호의 제조예 1 ∼ 3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제조할 수 있다. 즉, 4 구 플라스크에 계면 활성제로서 라우릴술폰산나트륨 소정량 및 이온 교환수 소정량을 주입하여 질소 기류 중에서 60℃ 까지 승온시키고, 이어서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암모늄 0.5 부, 아질산수소나트륨 0.2 부를 첨가하고, 아크릴 수지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혼합물을 3 시간에 걸쳐 액온이 60 ∼ 70℃ 가 되도록 조정하면서 적하한다. 적하 종료 후에도 동일 온도 범위로 2 시간 유지하면서 교반하에 반응을 계속시키고, 이어서 냉각시켜 아크릴 수지의 수분산체를 얻을 수 있다.
(가교제)
본 발명에 있어서의 도포층은, 가교제를 함유하는 아크릴 수지의 조성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로는, 에폭시, 옥사졸린, 멜라민 및 이소시아네이트 중 어느 1 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1 종류를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에폭시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폴리에폭시 화합물, 디에폭시 화합물, 모노에폭시 화합물, 글리시딜아민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에폭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소르비톨, 폴리글리시딜에테르,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폴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글리시딜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네이트,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디에폭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모노에폭시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알릴글리시딜에테르, 2-에틸헥실글리시딜에테르, 페닐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글리시딜아민 화합물로는, 예를 들어 N,N,N',N'-테트라글리시딜-m-자일릴렌디아민, 1,3-비스(N,N-디글리시딜아미노)시클로헥산을 들 수 있다.
옥사졸린 가교제로는, 옥사졸린기를 함유하는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를 단독으로 중합하여 제조하거나, 다른 모노머와 함께 공중합하여 제조할 수 있다.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로는, 예를 들어 2-비닐-2-옥사졸린, 2-비닐-4-메틸-2-옥사졸린, 2-비닐-5-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4-메틸-2-옥사졸린, 2-이소프로페닐-5-에틸-2-옥사졸린을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2-이소프로페닐-2-옥사졸린이 공업적으로도 입수하기 쉬워 바람직하다.
옥사졸린기 함유 공중합체와의 공중합에 사용하는 다른 모노머로는, 부가 중합성 옥사졸린기 함유 모노머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이면 되고, 예를 들어 알킬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 ;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산, 푸말산, 크로톤산, 스티렌술폰산 및 그 염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제 3 급 아민염 등) 등의 불포화 카르복실산 ;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류 ;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알킬아크릴아미드, N-알킬메타크릴아미드, N,N-디알킬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 등의 불포화 아미드 ; 아세트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의 에스테르부에 폴리알킬렌옥사이드를 부가시킨 것 등의 비닐에스테르 ; 메틸비닐에테르, 에틸비닐에테르 등의 비닐에테르 ; 에틸렌, 프로필렌 등의 α-올레핀 ; 염화비닐, 염화비닐리덴, 불화비닐 등의 함할로겐 α,β-불포화 모노머 ;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의 α,β-불포화 방향족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들 모노머는 1 종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멜라민 가교제로는, 멜라민과 포름알데히드를 축합하여 얻어지는 메틸올멜라민 유도체에, 저급 알코올을 반응시켜 에테르화한 화합물 및 그들의 혼합물이 바람직하다. 저급 알코올로서 예를 들어 메틸알코올, 에틸알코올, 이소프로필알코올을 사용할 수 있다.
메틸올멜라민 유도체로는, 예를 들어 모노메틸올멜라민, 디메틸올멜라민, 트리메틸올멜라민, 테트라메틸올멜라민, 펜타메틸올멜라민, 헥사메틸올멜라민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네이트 가교제로는, 예를 들어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자일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1,6-디이소시아네이트, 1,6-디이소시아네이트헥산,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헥산트리올의 부가물,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와 트리메틸올프로판의 부가물, 폴리올 변성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카르보디이미드 변성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1,5-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3,3'-비톨릴렌-4,4'-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메타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도포층이 가교제를 함유하는 경우, 가교제의 함유량은 도포층의 조성물 100 중량% 당 바람직하게는 5 ∼ 30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 25 중량% 이다. 5 중량% 미만이면 내블로킹성이 악화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30 중량% 를 초과하면 도막이 매우 경화되고, 연신 공정에 있어서 백화 (白化) 되기 쉬워져 투명성이 열등하여 바람직하지 않다.
(유기 미립자)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층은, 고온 환경에서의 내블로킹성을 얻기 위해서 유기 미립자를 함유할 필요가 있다.
유기 미립자로서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스티렌 수지, 실리콘 수지, 불소 수지, 벤조구아나민 수지, 페놀 수지, 나일론 수지의 미립자를 들 수 있다. 이들은 1 종류를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사용해도 된다. 아크릴 수지, 불소 수지의 미립자가 바람직하고, 아크릴 수지의 미립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도포층에 있어서의 유기 미립자의 함유량은, 도포층의 조성물 100 중량% 당 바람직하게는 0.1 ∼ 10 중량% 이다. 0.1 중량% 미만이면 충분한 활성 (滑性), 내흠집성이 얻어지지 않아 바람직하지 않고, 한편, 10 중량% 를 초과하면 도막의 응집력이 낮아져 접착성이 악화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도포층에 함유되는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20 ∼ 1000㎚, 바람직하게는 20 ∼ 400㎚,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 35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 ∼ 300㎚, 특히 바람직하게는 180 ∼ 250㎚ 이다. 20㎚ 미만이면 충분한 활성, 내흠집성이 얻어지지 않고, 또한 내블로킹성이 악화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1000㎚ 를 초과하면 유기 미립자의 탈락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고온 환경에서의 내블로킹성을 얻기 위해서,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은 도포층 두께의 3 배를 초과할 필요가 있고, 바람직하게는 3 배를 초과하고 10 배 이하이다. 3 배 이하이면 블로킹성이 열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지 않다. 한편, 10 배를 초과하면 생산 공정 중이나 가공시의 핸들링시에 탈락되기 쉬워져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유기 미립자는 그 평균 입경이 비록 크더라도, 도포층의 조성물 중에 배합되어 필름에 도포된 상태에서는 바인더 성분의 아크릴 수지에 지지되고, 본 발명 범위에서는 실용상 탈락되는 경우는 없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인더 성분으로서 사용하는 아크릴 수지의 굴절률과, 유기 미립자의 굴절률의 차는 0.03 이하이고, 바람직하게는 0.02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 이하이다. 굴절률의 차가 0.03 을 초과하면 도막 중에 있어서의 광 산란이 높아져 헤이즈가 상승하여, 높은 투명성을 유지할 수 없게 된다.
(제조 방법)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2 축 연신 후, 추가로 이완 열처리하여 제조할 수 있다. 이 이완 열처리는, 텐터의 연신 존보다 하류측에서 필름의 양 단부 근방에 칼집을 넣어 필름을 클립 파지부(把持部)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실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동시 2 축 연신법으로 제조할 수도 있다. 이하,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폴리에스테르를 필름상으로 용융 압출하고,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이 미연신 필름을 Tg ∼ (Tg + 60)℃ 에서 종 (길이) 방향으로 1 회 혹은 2 회 이상 합계 배율이 3 배 ∼ 6 배가 되도록 종연신하고, 그 후 Tg ∼ (Tg + 60)℃ 에서 횡 (폭) 방향으로 배율이 3 ∼ 5 배가 되도록 횡연신하고, 축차 2 축 연신 필름으로 한 후, 필요에 따라 추가로 180 ∼ 240℃ 에서 1 ∼ 60 초간 열처리를 텐터 내에서 실시하고, 추가로 열처리 온도보다 10 ∼ 20℃ 낮은 온도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0 ∼ 20% 수축시키면서 이완 열처리를 실시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이 연신 방법에 있어서는, 텐터로서 팬터그래프식 혹은 리니어 모터식 텐터를 사용하여 클립 간격을 종방향으로 좁힘으로써 이완 열처리가 이루어지는데, 클립 간격을 종방향으로 좁힐 수 없는 텐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텐터의 연신 존보다 하류측에서 필름의 양 단부 근방에 칼집을 넣어 필름을 클립 파지부로부터 떼어내고, 인취 롤의 속도를 텐터 내의 클립의 최고 속도보다 0 ∼ 5% 느리게 함으로써 원하는 이완 열처리를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범위의 열수축률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폴리에스테르를 필름상으로 용융 압출하고, 캐스팅 드럼에서 냉각 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이 미연신 필름을 Tg ∼ (Tg + 60)℃ 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을, 동시에 면 배율 6 배 ∼ 25 배, 바람직하게는 10 배 ∼ 20 배가 되도록 동시 2 축 연신하고, 필요에 따라 추가로 180 ∼ 240℃ 에서 1 ∼ 60 초간 열처리를 실시하고, 열처리 온도보다 10 ∼ 20℃ 낮은 온도에서, 텐터와 이것에 이어지는 1 쌍의 인취 롤 사이에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0 ∼ 10% 수축시키면서 이완 열처리를 실시하는 것에 의해서도 얻을 수 있다.
이 방법에서는, 필름이 롤에 접촉하는 경우가 적어지기 때문에, 필름 표면에 미소한 흠집 등이 전술한 방법보다 잘 발생되지 않아, 광학 용도로의 적용에 유리하다.
어떠한 연신 방법에 있어서도, 이완 열처리는, 구체적으로는 텐터의 연신 존보다 하류측에서 필름의 양 단부 근방에 칼집을 넣어 필름을 클립 파지부로부터 떼어내고, 인취 롤의 속도를 텐터 내의 클립의 최고 속도보다 0 ∼ 5% 느리게 함으로써 바람직하게 실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포층의 도포 형성에 사용되는 도포액은, 도포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수용액, 수분산액 혹은 유화액과 같은 수성 도포액의 형태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층을 형성하기 위해서, 필요에 따라 추가로 대전 방지제, 착색제, 계면 활성제, 자외선 흡수제를 배합해도 된다.
본 발명에 사용하는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는, 통상 20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 ∼ 10 중량% 이다. 1 중량% 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젖음성이 부족한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고, 한편, 20 중량% 를 초과하면 도포액의 안정성이나 도포층의 외관이 악화되는 경우가 있어 바람직하지 않다.
도포액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도포는, 임의의 단계에서 실시할 수 있지만,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 과정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배향 결정화가 완료되기 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하여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결정 배향이 완료되기 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이란, 미연신 필름, 미연신 필름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 중 어느 일방으로 배향시킨 1 축 배향 필름, 나아가서는 종방향 및 횡방향의 2 방향으로 저배율 연신 배향시킨 것 (최종적으로 종방향 또한 횡방향으로 재연신시켜 배향 결정화를 완료시키기 전의 2 축 연신 필름) 등을 포함하는 개념이다. 그 중에서도, 미연신 필름 또는 1 방향으로 배향시킨 1 축 연신 필름에 도포액을 도포하고, 그대로 종연신 및/또는 횡연신과 열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미연신 필름에 도포액을 도포하고, 그대로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동시에 연신하고, 추가로 열고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포액을 필름에 도포할 때에는, 도포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예비 처리로서 필름 표면에 코로나 표면 처리, 화염 처리, 플라즈마 처리 등의 물리 처리를 실시하거나, 혹은 도포액에 계면 활성제를 습윤제로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를 도포액에 배합하는 경우, 도포액의 고형분 100 중량% 당 1 ∼ 10 중량%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계면 활성제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도포액, 특히 수성 도포액의 젖음을 촉진시키고, 도포액의 안정성을 향상시킨다. 계면 활성제로서 예를 들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금속 비누, 알킬황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술포숙신산염 등의 아니온형, 노니온형 계면 활성제를 들 수 있다.
도포 방법으로는, 공지된 임의의 도공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 코트법, 그라비아 코트법, 롤 브러시법, 스프레이 코트법, 에어 나이프 코트법, 함침법, 커튼 코트법을 적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적용해도 되고, 조합하여 적용해도 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각종 물성은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 및 평가하였다.
(1) 굴절률
바인더 성분의 굴절률은, 도포제를 90℃ 에서 판상으로 건고 (乾固) 시켜 아베 굴절률계 (나트륨 D 선) 로 측정하였다.
미립자의 굴절률은, 90℃ 에서 건고시킨 미립자를 굴절률이 상이한 여러 가 지의 25℃ 액에 현탁시켜, 현탁액이 가장 투명하게 보이는 액의 굴절률을 아베 굴절률계 (나트륨 D 선) 로 측정하였다.
도포층의 굴절률은, 분광 광도계 (시마즈 제작소 제조 UV-3101PC) 를 사용하여, 스캔 속도 200㎚/분, 슬릿 폭 20㎚, 샘플링 피치 1.0㎚ 의 조건으로 파장 633㎚ 의 분광 반사율을 구하고, 아베 굴절률계 (나트륨 D 선) 를 사용하여 필름의 면 방향 평균 굴절률을 구하고, 및 하기 (5) 의 방법에 따라 구해진 도포층 두께를 사용하여 하기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R = 1 - 4n1 2n0/(n1 2(1 + n0)2 + (1 - n1 2)(n0 2 - n1 2)sin2(2πn1d1/λ))
R : 633㎚ 에 있어서의 필름의 분광 반사율
λ : 파장 (633㎚)
n0 : 필름의 면 방향 평균 굴절률
n1 : 도포층의 굴절률
d1 : 도포층 두께
(2) 열수축률
필름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350㎜, 각각에 폭 50㎜ 의 샘플을 잘라내고, 그 샘플의 양단 근방에 300㎜ 간격의 표점 (標點) 을 찍고, 150℃ 온도로 조정된 오븐에 일단을 고정, 타단을 프리로 하여 30 분간 방치하였다. 이것을 꺼내서 실온으로 방랭시킨 후에 표점간 거리를 측정하고 (이 길이를 S 로 한다), 하기 식에 의해 열수축률을 구하였다.
열수축률 (%) = ((300 - S)/300) × 100
(3) 헤이즈
JIS K7136 에 준하여, 닛폰 덴쇼쿠 공업사 제조의 헤이즈 측정기 NDH-2000 을 사용하여 필름의 헤이즈치를 측정하였다. 또한, 헤이즈치는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헤이즈치 < 1.0% (매우 양호)
○ : 1.0% ≤ 헤이즈치 < 1.2% (양호)
× : 1.2% ≤ 헤이즈치 (불량)
(4) 파장 400㎚ 의 광선 투과율
시마즈 제작소 (주) 제조 분광 광도계 UV-3101PC 를 사용하여, 스캔 속도 200㎚/분, 슬릿 폭 20㎚, 샘플링 피치 1.0㎚ 의 조건으로 파장 400㎚ 의 광선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5) 도포층 두께
필름을 작게 잘라내고, 에폭시 수지로 포매 (包埋) 시키고, 마이크로톰으로 50㎚ 두께로 필름 단면을 얇게 잘랐다. 이것을 2% 오스뮴산으로 60℃, 2 시간 동안 염색하였다. 염색된 필름의 단면을 투과 전자 현미경 (LEM-2000) 으로 20 만배로 관찰하여 도포층 두께를 측정하였다.
(6) 미립자의 평균 입경
도포층 두께의 측정과 동일한 측정을 실시하여 100 개의 미립자의 입자경을 측정하고, 그 평균치를 평균 입경으로 하였다.
(7) 열 휨
프리즘 렌즈의 패턴을 형성한 형에,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를 흘려 넣고, 그 위에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면을 그 수지측으로 하여 밀착시키고, 폴리에스테르 필름면측의 30㎝ 거리로부터 자외선 램프 (조사 강도 80W/㎝, 6.4KW) 를 사용하여 30 초간 조사하여 수지를 경화시키고, 꼭지각 90 도, 피치 50㎛, 높이가 30㎛ 인 프리즘 렌즈층을 형성하여 휘도 향상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휘도 향상 시트를 대각선 길이가 30 인치 (세로 39㎝/가로 64㎝) 가 되도록 시트상으로 잘라내고, 시트의 4 변을 프레임으로 고정시킨 채로, 95℃ 로 가열한 오븐에서 30 분간 처리한 후, 변형 (필름의 열 휨 상태) 을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휨 상태가 관찰되지 않음.
△ : 일부에 경미한 휨이 관찰됨.
× : 휨 부분이 있고, 휨의 요철이 5㎜ 이상의 융기로서 관찰됨.
(8) 고온 환경에서의 내블로킹성 (표에서는 간단히 「내블로킹성」이라고 표기한다)
2 장의 필름을, 도포층 형성면끼리 접하도록 중첩시키고, 이것에 80℃, 80%RH 의 분위기하에서 17 시간에 걸쳐 0.6㎏/㎠ 의 압력을 가해 유지하였다. 그 후에 박리하고, 박리시의 박리력에 의해 내블로킹성을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박리력 < 98mN/5㎝ 폭 (양호)
△ : 98mN/5㎝ 폭 ≤ 박리력 < 196mN/5㎝ 폭 (약간 양호)
× : 196mN/5㎝ 폭 ≤ 박리력 (불량)
(9) 프리즘 렌즈층과의 접착성
프리즘 렌즈의 패턴을 형성한 형에, 하기 조성으로 이루어지는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를 흘려 넣고, 그 위에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도포면을 그 수지측으로 하여 밀착시키고, 폴리에스테르 필름면측의 30㎝ 거리로부터 자외선 램프 (조사 강도 80W/㎝, 6.4KW) 를 사용하여 30 초간 조사하여 수지를 경화시키고, 꼭지각 90 도, 피치 50㎛, 높이가 30㎛ 인 프리즘 렌즈층을 형성하여 휘도 향상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휘도 향상 시트의 가공면에 바둑판 눈금의 크로스컷 (1㎟ 눈금을 100 개) 을 실시하고, 그 위에 24㎜ 폭의 셀로판 테이프 (니치반사 제조) 를 부착시키고, 90°의 박리 각도로 급격하게 박리한 후 박리면을 관찰하여 하기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 : 박리 면적이 5% 이하 (접착력이 양호)
× : 박리 면적이 5% 를 초과함 (접착력이 불량)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
에틸렌옥사이드 변성 비스페놀 A 디메타크릴레이트
(히타치 화성 공업사 제조 FA-321M)
46 중량%
네오펜틸글리콜 변성 트리메틸올프로판디아크릴레이트
(닛폰 가야쿠 화학 공업사 제조 R-604)
25 중량%
페녹시에틸아크릴레이트
(오사카 유기 화학 공업사 제조 비스코트 192)
27 중량%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머크사 제조 Darocur1173)
2 중량%
(10) 도포층의 조성
도포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포액을 조성하는 성분으로서 이하의 것을 사용하였다.
아크릴 수지 :
아크릴 수지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0 몰%/에틸아크릴레이트 30 몰%/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5 몰%/N-메틸올아크릴아미드 5 몰% 로 구성되어 있다 (Tg = 40℃). 이 아크릴 수지는, 일본 공개특허공보 소63-37167호의 제조예 1 ∼ 3 에 기재된 방법에 준하여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즉, 4 구 플라스크에 이온 교환수 302 부를 주입하여 질소 기류 중에서 60℃ 까지 승온시키고, 이어서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암모늄 0.5 부, 아황산수소나트륨 0.2 부를 첨가하고, 아크릴 수지의 모노머의 메틸메타크릴레이트 46.7 부, 에틸아크릴레이트 23.3 부,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4.5 부,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3.4 부의 혼합물을 3 시간에 걸쳐 액온이 60 ∼ 70℃ 가 되도록 조정하면서 적하하였다. 적하 종료 후에 도 동일 온도 범위로 2 시간 유지하면서, 교반하에 반응을 계속시키고, 이어서 냉각시켜 고형분이 25% 인 아크릴 수지의 수분산체를 얻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 :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산 성분이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75 몰%/이소프탈산 20 몰%/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5 몰%, 글리콜 성분이 에틸렌글리콜 90 몰%/디에틸렌글리콜 10 몰% 로 구성되어 있다 (Tg = 80℃, 평균 분자량 15000).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즉,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디메틸 51 부, 이소프탈산디메틸 11 부, 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디메틸 4 부, 에틸렌글리콜 31 부, 디에틸렌글리콜 2 부를 반응기에 주입하고, 이것에 테트라부톡시티탄 0.05 부를 첨가하여 질소 분위기하에서 온도를 230℃ 로 컨트롤하여 가열하고, 생성되는 메탄올을 증류 제거시키고 에스테르 교환 반응을 실시하였다. 이어서 교반기의 모터 토크가 높은 중합 가마에서 반응계의 온도를 서서히 255℃ 까지 상승시키고 계 내를 1mmHg 의 감압으로 하고 중축합 반응을 실시하여, 고유 점도가 0.56 인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얻었다. 이 폴리에스테르 수지 25 부를 테트라히드로푸란 75 부에 용해시키고, 얻어진 용액에 10000 회전/분의 고속 교반하에서 물 75 부를 적하하여 유백색의 분산체를 얻고, 이어서 이 분산체를 20mmHg 의 감압하에서 증류하고,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증류 제거하였다.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수분산체를 얻었다.
가교제 :
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테르 (나가세 켐텍스사 제조 상품명 데나코르 EX- 313)
습윤제 :
폴리옥시에틸렌 (n = 7) 라우릴에테르 (산요 화성사 제조 상품명 나로아크티 N-70)
미립자 1 :
아크릴 필러 (평균 입경 : 220㎚)
(닛폰 촉매사 제조 상품명 MX-200W)
미립자 2 :
아크릴 필러 (평균 입경 : 130㎚)
(닛폰 촉매사 제조 상품명 MX-100W)
미립자 3 :
실리카 필러 (평균 입경 : 40㎚)
(닛산 화학사 제조 상품명 스노테크스 OL)
미립자 4 :
실리카 필러 (평균 입경 : 120㎚)
(쇼쿠바이 화성사 제조 상품명 SI-120P)
미립자 5 :
실시카 필러 (평균 입경 : 200㎚)
(닛산 화학사 제조 상품명 MP-2040)
미립자 6 :
실리카 필러 (평균 입경 : 500㎚)
(닛폰 촉매사 제조 상품명 KE-W50)
실시예 1
용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η] = 0.62㎗/g, Tg = 78℃) 를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냉각 드럼에서 냉각시켜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이어서 종방향으로 3.2 배로 연신한 후, 그 양면에 표 1 에 나타내는 도포제의 농도 4 중량% 인 수성 도포액을 롤 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또한, 용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에는, 활제로서의 미립자를 함유하고 있지 않은 것을 사용하였다.
도막을 형성한 필름을 계속해서 110℃ 에서 건조시키고, 횡방향으로 140℃ 에서 3.6 배로 연신하고, 235℃ 에서 열고정시킨 후에, 180℃ 부터 90℃ 까지 단계적으로 필름을 냉각시키면서, 텐터 내에서 횡방향으로 3% 이완 열처리를 실시하여, 두께 125㎛, 도포층 두께 60㎚ 인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적층 필름에,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프리즘 렌즈층을 형성하여 휘도 향상 시트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2
표 1 에 기재된 도포제를 사용하여 도막을 형성하고, 225℃ 에서 열고정시킨 후에, 텐터 중에서 필름의 양 단부 근방에 칼집을 넣어 필름을 클립 파지부로부터 떼어내고, 인취 롤의 속도를 텐터 내의 클립 속도보다 2.5% 느리게 하고 185℃ 에서 이완 열처리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두께 125㎛, 도포층 두 께 60㎚ 인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적층 필름에,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프리즘 렌즈층을 형성하여 휘도 향상 시트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용융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η] = 0.61㎗/g, Tg = 78℃) 를 다이로부터 압출하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냉각 드럼에서 냉각시켜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이어서 그 양면에 표 1 에 나타내는 도포제의 농도 6 중량% 인 수성 도포액을 롤 코터로 균일하게 도포하였다. 이 도포 필름을 계속해서 95℃ 에서 건조시키고, 110℃ 에서 동시에 종방향으로 3.4 배, 횡방향으로 3.6 배로 연신하고, 225℃ 에서 열고정시킨 후, 190℃ 에서 종방향 및 폭 방향으로 각각 2.5% 이완 열처리하여, 두께 100㎛, 도포층 두께 60㎚ 인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적층 필름에,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프리즘 렌즈층을 형성하여 휘도 향상 시트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4 및 비교예 1 ∼ 6
표 1 에 기재된 도포제를 사용하여 소정 두께의 도포층을 형성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또한, 얻어진 적층 필름에,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프리즘 렌즈층을 형성하여 휘도 향상 시트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비교예 4 의 적층 필름에서는, 미립자가 지나치게 커서 도막을 유지할 수 없고, 필름의 핸들링시에 탈락되어 버려, 적층 필름의 내블로킹성이 매우 나쁜 것이었다.
실시예 5
표 1 에 기재된 도포제를 사용하여 도포층을 형성하고, 필름의 두께를 188㎛ 로 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2 와 동일하게 하여 적층 필름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적층 필름에,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프리즘 렌즈층을 형성하여 휘도 향상 시트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비교예 7
도포층을 형성하지 않는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얻어진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하고, 이 위에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 수지를 사용하여 프리즘 렌즈층을 형성하여 휘도 향상 시트를 얻었다. 평가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얻어진 휘도 향상 시트는, 베이스 필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과 프리즘 렌즈층의 밀착성이 나빠, 휘도 향상 시트로서 만족스럽게 사용할 수 없는 것이었다.
Figure 112009012046994-pct00001
Figure 112009012046994-pct00002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 환경에서의 내블로킹성을 구비하여,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프리즘 렌즈층과의 높은 밀착성을 얻을 수 있는,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온 환경에서의 사용에 있어서도 열 휨이 적고, 고온 환경에서의 내블로킹성을 구비하여, 높은 투명성을 유지하면서, 프리즘 렌즈층과의 높은 밀착성을 얻을 수 있는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에 사용하는 적층 필름은, 도포층 상에 프리즘 렌즈층을 형성하여 휘도 향상 시트로 할 수 있다. 이것은, 특히 대화면, 고휘도의 액정 표시 장치나, 차재용 액정 표시 장치로서 고온 환경에서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Claims (12)

  1.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 적어도 편면에 형성된 도포층을 포함하는 적층 필름에 있어서,
    도포층은 바인더 수지 및 유기 미립자로 이루어지고,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20 ∼ 1000㎚ 이고,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도포층 두께의 3 배를 초과하고, 3.7 배 이하이고,
    유기 미립자와 바인더 수지의 굴절률차가 0.03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바인더 수지가 아크릴 수지인 적층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의 굴절률이 1.45 ∼ 1.55 인 적층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미립자가 아크릴 수지의 미립자인 적층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미립자의 평균 입경이 20 ∼ 400㎚ 인 적층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유기 미립자의 함유량이, 도포층의 조성물 100 중량% 당 0.1 ∼ 10 중량% 인 적층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150℃ 에서 30 분간 열처리하였을 때의 종방향의 열수축률이 1.5 ∼ 0.0% 인 적층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150℃ 에서 30 분간 열처리하였을 때의 횡방향의 열수축률이 1.0 ∼ -0.5% 인 적층 필름.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적층 필름의 도포층 상에 프리즘 렌즈층을 형성한 휘도 향상 시트.
  10.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2 축 연신 후, 추가로 이완 열처리된 2 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인 적층 필름.
  11. 제 10 항에 있어서,
    이완 열처리가 텐터의 연신 존보다 하류측에서 필름의 양 단부 근방에 칼집을 넣어 필름을 클립 파지부(把持部)로부터 떼어냄으로써 실시되는 적층 필름.
  12. 제 10 항에 있어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2 축 연신이 동시 2 축 연신법으로 실시되는 적층 필름.
KR1020097004068A 2006-08-02 2007-08-01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 KR1013920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6-210886 2006-08-02
JPJP-P-2006-210885 2006-08-02
JP2006210886A JP4928188B2 (ja) 2006-08-02 2006-08-02 輝度向上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6210885A JP2008036867A (ja) 2006-08-02 2006-08-02 輝度向上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6884A KR20090046884A (ko) 2009-05-11
KR101392061B1 true KR101392061B1 (ko) 2014-05-07

Family

ID=389973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04068A KR101392061B1 (ko) 2006-08-02 2007-08-01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92061B1 (ko)
WO (1) WO2008016173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8510B2 (en) 2013-10-08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nocrystal polymer composites and production methods thereof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50188A4 (en) * 2009-07-01 2013-03-20 Mitsubishi Plastics Inc LAMINATED POLYESTER FILM
US9523000B2 (en) 2011-10-19 2016-12-20 Mitsubishi Plastics, Inc. Polyester film
JP6747072B2 (ja) * 2016-06-08 2020-08-26 東レ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
KR20200062162A (ko) * 2017-10-20 2020-06-03 린텍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배리어 필름용 기재, 가스 배리어 필름, 전자 디바이스용 부재, 및 전자 디바이스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1776A (ja) 2002-03-04 2003-09-0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Ito膜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9990B2 (ja) * 1998-11-18 2011-09-07 東レ株式会社 レンズシート用フィルム
JP4052021B2 (ja) * 2002-06-04 2008-02-27 帝人デュポンフィルム株式会社 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およびそれを用いた積層フィルム
JP4774720B2 (ja) * 2004-11-11 2011-09-14 東レ株式会社 レンズシート用積層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51776A (ja) 2002-03-04 2003-09-09 Teijin Dupont Films Japan Ltd Ito膜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778510B2 (en) 2013-10-08 2017-10-03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nocrystal polymer composites and production methods thereof
US10001671B2 (en) 2013-10-08 2018-06-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Nanocrystal polymer composites and production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8016173A1 (fr) 2008-02-07
KR20090046884A (ko) 2009-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28188B2 (ja) 輝度向上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516030B1 (ko) 휘도 향상 시트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7055217A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8036867A (ja) 輝度向上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US7659006B2 (en) Laminated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process thereof
JP2008169277A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392061B1 (ko) 휘도 향상 시트의 베이스 필름으로서 사용되는 적층 필름
WO2011122209A1 (ja) 積層フィルム
JP2005089622A (ja) 光学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0247481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9084803A (ja) 離型フィルム
US20150191621A1 (en) Laminated polyester film
JP5123648B2 (ja) 光学用易接着性フィルム
JP5415682B2 (ja) 光学用易接着性フィルム
JP5123647B2 (ja) 光学用易接着性フィルム
KR20140018194A (ko) 도포 필름
JP5173205B2 (ja) 輝度向上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6060566B2 (ja) 積層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134304B2 (ja) 輝度向上シート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4046570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11189623A (ja) 光学用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ロール
JP2004300379A (ja) 光学用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1519132B1 (ko) 반사판용 백색 폴리에스테르 필름
JP5629139B2 (ja) インモールド転写用フィルム
JP2010165511A (ja) タッチパネル用フィルムおよびそのロー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