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90780B1 -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90780B1
KR101390780B1 KR1020130108720A KR20130108720A KR101390780B1 KR 101390780 B1 KR101390780 B1 KR 101390780B1 KR 1020130108720 A KR1020130108720 A KR 1020130108720A KR 20130108720 A KR20130108720 A KR 20130108720A KR 101390780 B1 KR101390780 B1 KR 101390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utting
main body
driv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087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연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명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명심 filed Critical 주식회사명심
Priority to KR10201301087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078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0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0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00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1/0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 B63H1/12Propulsive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rotary type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in propulsive direction
    • B63H1/14Propellers
    • B63H1/28Other means for improving propeller efficienc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5/00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 B63H5/07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 B63H5/16Arrangements on vessels of propulsion elements directly acting on water of propellers characterised by being mounted in recesses; with stationary water-guiding elements; Means to prevent fouling of the propeller, e.g. guards, cages or screens
    • B63H5/165Propeller guards, line cutters or other means for protecting propellers or rudd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는, 내부가 빈 긴 관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고정결합되고, 절단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유닛과,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본체의 축방향 왕복운동하며, 선단에 형성된 걸고리에 상기 선박 스크류에 걸린 이물질을 걸어 당기는 텐션유닛과, 상기 텐션유닛에 의해 당겨진 이물질을 회전 또는 왕복운동하는 커터에 의해 이물질을 절단하는 절단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절단유닛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로드로 구성되며, 이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는, 절단장치를 거치하는 거치대와 절단장치를 거치대 위해 안착시키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의 스크류에 걸린 이물질을 잠수 등의 수작업을 통하지 않고 제거할 수 있어, 작업자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쉽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APPARATUS FOR CUTTING TANGLED ROPE AND ASSEMBLY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운항 중에 선박의 스크류에 이물질 특히 로프 등이 감겨 선박의 운항이 어려운 경우에 스크류에 감긴 로프 등을 걸고리유닛으로 팽팽하게 당긴 상태에서 절단유닛으로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는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와 절단장치를 사용 시 절단장치를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반의 후미에는 추진용 스크류가 장착되어 정역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선박을 전방으로 추진시키거나 후방으로 후진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추진용 스크류에는 다수의 회전날개가 부착되어 있고, 추진용 스크류가 고속으로 회전하게 되면, 이들 다수의 회전날개도 함께 회전함으로써 선박의 후미 측으로 추진을 위한 와류를 형성시켜 선박을 움직이도록 되어 있다.
선박이 항해 중에 있을 때에는, 항상 추진용 스크류는 회전상태에 놓여있게 되는데, 해상에는 많은 이물질이 떠다니고 있는 경우가 많아서 선박이 운항 중에 이물질이 추진용 스크류에 빨려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흔히 발생하게 된다. 특히, 이물질 중에 비교적 긴 길이를 갖는 로프, 그물 등이 추진용 스크류 측으로 빨려들어가게 되는 경우가 있는데, 고속으로 회전하는 축에 로프 등이 감기게 되면, 축 및 스크류가 더이상 회전하지 못하고 오작동을 일으키게 된다.
이때에는, 통상 선박에 타고 있는 선원 등이 물속으로 잠수하여 축에 뒤엉켜 있는 로프를 수작업으로 제거하곤 하나, 이러한 방법으로 제거하는 것은 번거로울 뿐만 아니라 안전사고가 일어날 가능성이 많으며, 특히 로프제거 수작업 중에 오류로 인하여 추진용 스크류가 회전이라도 하게 되면 대형 인명참사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로프 절단기 또는 이물질 제거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선원들이 직접 잠수하여 작업하지 않고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서 긴 막대모양의 절단기의 선단에 낫 등의 절단부를 달아 로프 등의 이물질을 절단하거나, 모터에 의해 절단부를 작동시켜 자동으로 로프를 절단하는 장치들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장치들은 스크류에 강하게 얽혀진 상태인 로프 등을 쉽게 절단하기가 용이하지 못해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2005호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363415호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의 스크류에 감긴 그물, 로프 등의 이물질을 일차적으로 걸고리가 형성된 텐셔너를 구동시켜 로프를 잡아당겨 팽팽하게 만든 후 절단유닛을 가동시켜 로프 등의 이물질을 절단하는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작업의 용이성을 위해 상기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선박에 거치하는 거치대를 포함하는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는,
내부가 빈 긴 관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고정결합되고, 절단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유닛과,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본체의 축방향 왕복운동하며, 선단에 형성된 걸고리에 상기 선박 스크류에 걸린 이물질을 걸어 당기는 텐션유닛과, 상기 텐션유닛에 의해 당겨진 이물질을 회전 또는 왕복운동하는 커터에 의해 이물질을 절단하는 절단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절단유닛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로드를 포함하는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와,
스크류 상부에 위치하고 선박 상판에 형성된 개방부의 프레임에 고정결합되고,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거치대 및 상기 절단장치 본체의 일정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대에 걸려 상기 절단장치의 축방향 하방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텐션유닛은, 선단에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에 연장되고 상기 본체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텐션로드와, 상기 텐션로드를 본체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제2구동유닛 및 상기 본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텐션로드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1구동유닛은 유압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구동로드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유압모터이며,
상기 절단유닛은,
상기 본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구동로드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샤프트와, 상기 구동로드의 선단과 상기 회전샤프트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 및 상기 회전샤프트의 선단에 홀더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회전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형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유닛은 유압에 의해 왕복운동하며, 상기 구동로드에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실린더이고, 상기 절단유닛은 상기 구동로드의 선단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절단날이 형성되는 왕복형 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구동유닛 및 제2구동유닛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밸브가 결합되고, 상기 유압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조작레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는,
내부가 빈 긴 관형의 본체와, 상기 본체의 일단에 고정결합되고, 절단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유닛과,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본체의 축방향 왕복운동하며, 선단에 형성된 걸고리에 상기 선박 스크류에 걸린 이물질을 걸어 당기는 텐션유닛과, 상기 텐션유닛에 의해 당겨진 이물질을 회전 또는 왕복운동하는 커터에 의해 이물질을 절단하는 절단유닛 및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절단유닛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로드를 포함하는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와,
스크류 상부에 위치하고 선박 상판에 형성된 개방부의 프레임에 고정결합되고,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거치대 및 상기 절단장치 본체의 일정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대에 걸려 상기 절단장치의 축방향 하방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박 운행중에 스크류가 부하가 걸리면 선상에서 즉시 스크류에 감긴 로프 또는 그물을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로프 또는 그물을 인장한 상태에서 절단작업을 수행하여 보다 용이하게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절단장치를 안전하게 거치하여 작업을 수행할 수 있어, 작업의 안전성이 보장되고, 보다 효율적인 이물질 제거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조립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절단장치의 절단유닛 조립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나타내는 부분 단면도.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이물질 절단 어셈블리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 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1)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절단유닛(5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1)는, 본체(10), 텐션유닛(40), 절단유닛(50), 구동로드(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긴 관형의 본체(10)는 일단에는 제1구동유닛(20)이 고정결합되고, 타단에는 절단유닛(50)이 결합되며, 측면에는 텐션유닛(40)이 결합된다. 또한, 본체(10)의 내부에는 구동로드(30)가 설치된다.
본체(10)는 긴 관형으로 주로 원형관 형태의 파이프가 사용된다. 선박의 크기에 따라 절단장치의 길이가 조절될 필요가 있으므로 본체(10)는 복수개의 관체로 제작될 수 있다. 각각의 관체는 나사결합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즉 결합되는 양 단부가 한 쪽에는 외주면에 나사면이 형성되고, 다른 쪽에는 내주면에 나사면이 형성되어 서로 결합됨을 의미한다. 다만 다른 형태의 결합방식이 배제되는 것은 아니다. 본체(10)는 주로 금속재질의 관체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견고한 합성수지재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체(10)의 일단에는 제1구동유닛(20)이 결합된다. 제1구동유닛(20)은 유압모터(20a)가 채택될 수 있다. 제1구동유닛(20)의 구동방식을 유압방식을 채택하는 이유는 선박에는 다양한 유압동력전달 방식의 장비가 사용되고 있어, 선박에 장착된 유압공급장치(유압프레서)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기 용이하고, 유압방식이 강한 동력을 전달하기에 적합한 동력방식이기 때문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압모터(20a)는 본체(10)의 일단에 결합되되, 유압모터(20a)의 구동축(회전축,21)은 본체(10)내부로 삽입되도록 설치된다. 유압모터(20a)의 구동축(21)은 구동로드(30)에 회전력을 전달하는데, 구동축(21)과 구동로드는 커플러(25)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커플러(25)의 일단은 구동축(21)에 고정결합되고, 일단은 구동로드(30)에 스플라인 결합될 수 있다. 구동로드의 단부(311)는 스플라인 축을 이루고, 대응되는 커플러의 단부(251)는 스플라인 보스를 이루어 구동로드의 단부(311)가 커플러(25)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로드(30)는 복수개의 로드가 결합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구동로드(30)는 제1구동로드(31), 제2구동로드(32), 제3구동로드(33)가 결합되어 하나의 구동로드(30)가 되는 경우이다. 이 경우 제1구동로드의 일단(311)은 커플러의 선단(251)과 결합하고, 타단(312)은 제2구동로드(32)의 일단(321)과 결합한다. 제2구동로드(32)의 타단(322)은 제3구동로드의 일단(332)과 결합하고, 제3구동로드(33)의 타단(331)은 제1베벨기어(52)와 결합된다. 도 7에 도시된 예는 각 결합이 스플라인 결합인 경우이며, 이 결합은 구동로드(30)가 회전력을 전달할 때 적합하다.
유압모터(20a)를 제어하기 위하여 유압모터(20a)에는 유압밸브(201)가 결합되고, 밸브의 조작레버(202)의 조작에 의해 유압모터(20a)의 구동과 정지를 제어한다. 유압밸브(201)는 선박의 유압공급장치(도면미표시)로부터 작동유체를 공급받는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박 스크류 절단장치(1)는 텐션유닛(40)을 포함한다. 텐션유닛(40)은 스크류에 감겨진 로프, 그물 등의 이물질의 절단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이물질을 팽팽하게 당겨주는 역할을 한다. 로프 등의 이물질은 느슨하게 늘어져 있는 경우에는 커터로 절단하기가 어렵고, 스크류에 견고하게 감겨 있는 상태에서 절단작업을 진행하면 커터가 스크류 또는 회전축에 부딛혀 커터 또는 스크류의 손상을 가져올 위험이 있다. 따라서 이물질을 스크류에서 당겨 팽팽하게 유지함과 동시에 스크류에서 일정 거리 이격된 위치에서 절단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텐션유닛(40)으로 이물질을 당겨준다.
텐션유닛(40)은 걸고리(41), 텐션로드(42), 가이드(43), 제2구동유닛(44)을 포함한다. 텐션로드(42)는 본체(10)의 측면에 축방향으로 장착되어 축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 텐션로드(42)를 왕복운동시키기 위하여 텐션로드(42)가 축방향으로만 슬라이딩 운동을 하도록 가이드(43)가 본체(10)에 설치된다. 가이드(43)는 본체(10)에 고정되고 가이드홀(431)이 형성되어 텐션로드(42)가 축방향 운동을 하도록 유도한다. 본체(1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적어도 두개 이상의 가이드(43)가 설치된다.
텐션로드(42)의 일단에는 텐션로드(42)에 연장되어 형성되되, 고리모양으로 구부러지고, 그 끝이 뾰족하게 형성된 걸고리(41)가 형성된다. 걸고리(41)는 이물질을 걸어 당기는 역할을 한다. 텐션로드(42)와 걸고리(41)는 일체로 제작되고, 금속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텐션로드(42)는 제2구동유닛(44)에 의해 구동된다. 제2구동유닛(44)은 유압실린더 또는 유압모터가 선택될 수 있다. 유압실린더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실린더로드에 텐션로드(42)를 결합하여 실린더로드의 왕복에 따라 텐션로드(42)도 왕복운동하게 된다.
유압모터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유압모터의 구동축에 피니언(441)을 결합하고, 텐션로드의 단부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랙(rack,421)을 형성하여 유압모터의 회전에 따라 텐션로드(42)가 왕복운동 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에는 절단유닛(50)이 결합된다. 텐션로드(42)에 의해 당겨진 로프를 절단하는 절단유닛(50)은 회전형 커터 또는 왕복형 커터를 가질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회전형 커터를 채택한 경우이며, 도 4 내지 도 6은 왕복형 커터를 채택한 경우이다. 먼저 회전형 커터를 가지는 경우를 설명한다.
절단유닛(50)은 본체(10)에 결합되는 케이싱(51), 케이싱 내부에 배치되는 회전샤프트(54), 제1베벨기어(52), 제2베벨기어(53), 회전형 커터(55)를 포함한다.
케이싱(51)은 내부에 회전샤프트(54), 베벨기어(52,53)를 수용할 수 있도록 공간부가 형성되고 일측은 본체(10)의 내부와 연통되는 본체 연결부(56)를 가진다.
케이싱(51)에는 본체 연결부(56)와 수직한 방향으로 회전샤프트(54)의 일부가 노출되도록 배치된다. 회전샤프트(54)는 베어링(541,542)에 의해 지지되어 회동 가능하도록 케이싱(51)의 내부에 수용된다. 케이싱의 본체 연결부(56) 쪽에는 구동로드(30)에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베벨기어(52)가 설치된다. 제1베벨기어(52)는 베어링(521)과 스냅링(522)에 의해 회전운동만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제1베벨기어(52)의 몸통부(523)와 구동로드의 선단(331)은 스플라인 결합되어 동력이 전달된다.
회전샤프트(54)에는 제2베벨기어(53)가 고정결합된다. 제2베벨기어(53)는 제1베벨기어(52)와 맞물려 구동로드(3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샤프트(54)를 구동시킨다. 회전샤프트의 선단은 케이싱의 외부로 일부가 노출되고, 여기에는 회전형 커터(55)가 결합된다. 회전형 커터(55)는 원판형에 외주면을 따라 커터날이 형성되어, 회전하면서 이물질을 절단하게 된다.
회전형 커터(55)는 커터의 양 측면에 배치되는 홀더(57)에 의해 지지되고, 회전샤프트(54)의 선단에 결합되는 고정볼트(58)에 의해 고정된다. 회전형 커터(55)가 손상되면 고정볼트(58)를 풀어 교체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제1구동유닛(20)으로 유압실린더(20b)를 채택하고, 절단유닛(50)으로 왕복형 커터(55a)를 채택한 경우이다. 제1구동유닛(20)을 유압모터가 아닌 유압실린더(20b)로 채택하면 제1구동유닛(20)의 구동축(21)은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유압실린더(20b)에는 유압밸브가 결합되고, 유압밸브에는 조작레버가 구비된다. 조작레버의 조작에 따라 유압실린더의 실린더로드(구동축)가 전진 또는 후진하게 된다. 상기에 설명한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구동축의 선단에는 구동로드(30)가 커플러(25)에 의해 결합되고, 구동축의 왕복에 따라 구동로드(30)가 왕복운동을 하게 된다. 구동로드(30)의 선단에는 왕복형 절단유닛(50a)이 결합된다. 왕복형 절단유닛(50a)은 왕복형 커터(55a)와 커터홀더(57a)로 구성된다. 커터홀더(57a)는 일단이 구동로드(30)의 선단에 결합되고, 일부는 본체(10)의 내부에 수용되며 일부는 본체(10) 외부로 돌출된다. 돌출된 부분에는 왕복형 커터가 고정 결합된다. 왕복형 커터는 나무를 자를 때 사용하는 톱의 형상을 가진다. 즉 일측 단부에 길이 방향으로 일정 간격의 커터날(551)이 형성되어 왕복운동 시 이물질과 마찰하여 이물질을 절단한다.
도 5에 도시된 왕복형 커터는 전진할 때 로프 등의 이물질을 절단하는 형태이고, 도 6에 도시된 왕복형 커터는 후진할 때 이물질과 접촉하여 절단하는 형태이다. 도 5에 도시된 왕복형 커터는 커터날(551)이 형성된 단부가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진진할수록 절단하고자 하는 이물질에 힘을 가하는 형태이다. 반면에 도 6에 도시된 왕복형 커터는 고리 형상을 가지되 안쪽 단부를 따라 커터날(551)이 형성되어 후진할때 이물질에 힘을 가하는 형태이다.
상기에 설명된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2)에 대하여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1)가 선박의 상판 개방부(100)에 설치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통상적으로 선박의 스크류가 설치된 위치의 상부에는 선박 상판(5)에 개방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개방부(100)는 스크류에 이상이 발행한 경우에 스크류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고, 스크류에 걸린 이물질 등을 제거하는 작업을 하기 위해 선박의 상판 또는 크기가 큰 선박의 경우에는 선박의 내부에 형성된다.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1)는 자체 무게로 인해 사람이 직접 들고 작업을 수행하기 쉽지 않다. 따라서 절단장치(1)를 개방부(100)에 거치하여 사용하면 보다 절단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개방부의 프레임(101)에는 거치대(110)가 결합된다. 거치대(110)는 프레임(101)에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필요에 따라 탈착이 가능한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치대(110)는 프레임(101)에 결합되는 복수개의 지지레그(111)와 각 지지레그(111)에 결합되고 개방부(10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지지판(11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지지판(112)은 중앙에 절단장치(1)의 본체(10)가 관통할 수 있도록 관통홀(113)이 형성되며, 상부면은 완만하게 오목한 형상을 가진다.
지지판(112)의 위에는 절단장치 본체(10)의 일정 위치에 결합되고 거치대(110) 위에 놓여지는 지지체(120)가 구비된다. 지지체(120)는 본체(10)에 고정볼트(123)에 의해 결합되는 고정부(122)와 고정부(122)의 아래에 결합되고 하면이 거치대 지지판(112)의 상면과 대응되도록 완만한 볼록한 곡면 형상을 가지는 슬립와셔(12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절단장치(1)의 본체(10)와 개방부 프레임의 사이에는 절단장치(1)를 하방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도록 탄성체(130)가 결합된다. 탄성체(130)는 주로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며, 일단은 프레임에 결합되고, 타단은 절단장치 본체(10)에 형성된 고리(13)에 걸어 고정하며, 쉽게 착탈이 가능한 구조를 가진다.
상기에 설명한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어셈블리를 이용하여 선박 스크류에 감긴 이물질을 제거하는 작업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절단장치(1)를 거치대(110)를 관통하도록 설치하고, 절단장치(1)가 적절하게 위치하도록 조절한 후 지지체(120)의 고정부(122)로 위치를 고정시킨다. 절단장치(1)의 유압밸브(201)에 선박의 유압공급장치에서 제공되는 유압이 공급되도록 유관(203)을 결합한다. 조작레버를 작동시켜 텐션유닛(40)의 걸고리(41)에 이물질이 걸리도록 충분히 전진시킨 후 본체(10)의 상부를 좌우로 움직이면서 걸고리(41)에 이물질을 건다. 이물질이 걸리면 조작레버(202)를 조작하여 텐션유닛(40)의 유압모터를 작동시켜 걸고리(41)를 후진시키면 이물질이 팽팽하게 당겨진다. 다시 조작레버를 작동시켜 제1구동유닛(20)을 작동시키면 구동로드(30)를 통해 절단유닛(50)의 회전형 커터가 회전하거나, 왕복형 커터가 왕복운동한다. 이물질이 팽팽하게 당겨진 상태이므로 커터에 의해 이물질이 쉽게 절단된다. 이러한 동작을 반복하면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1 : 절단장치
2: 어셈블리
10 : 본체
20 : 제1구동유닛
30 : 구동로드
40 : 텐션유닛
50 : 절단유닛
55 : 커터
110 : 거치대
120 : 지지체

Claims (6)

  1. 내부가 빈 긴 관형의 본체,
    상기 본체의 일단에 고정결합되고, 절단유닛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유닛,
    상기 본체에 장착되어 본체의 축방향 왕복운동하며, 선단에 형성된 걸고리에 선박 스크류에 걸린 이물질을 걸어 당기는 텐션유닛과,
    상기 텐션유닛에 의해 당겨진 이물질을 회전 또는 왕복운동하는 커터에 의해 이물질을 절단하는 절단유닛 및
    상기 제1구동유닛의 구동축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절단유닛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로드를 포함하는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와,
    스크류 상부에 위치하고 선박 상판에 형성된 개방부의 프레임에 고정결합되고, 중앙부에 관통홀이 형성되는 거치대 및
    상기 절단장치 본체의 일정 위치에 결합되어 상기 거치대에 걸려 상기 절단장치의 축방향 하방 움직임을 제한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텐션유닛은, 선단에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걸고리와, 상기 걸고리에 연장되고 상기 본체의 축방향을 따라 배치된 텐션로드와, 상기 텐션로드를 본체 축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키는 제2구동유닛 및 상기 본체에 일정 간격 이격되어 결합되고 상기 텐션로드의 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유닛은 유압에 의해 회전력을 생성하고, 상기 구동로드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유압모터이며,
    상기 절단유닛은,
    상기 본체의 타단에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 상기 구동로드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구동로드의 선단과 상기 회전샤프트에 각각 결합되어 회전력을 전달하는 제1베벨기어와 제2베벨기어 및
    상기 회전샤프트의 선단에 홀더와 고정볼트에 의해 고정결합되어 회전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회전형 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유닛은 유압에 의해 왕복운동하며, 상기 구동로드에 동력을 전달하는 유압실린더이고,
    상기 절단유닛은 상기 구동로드의 선단에 결합되고 일측면에 절단날이 형성되는 왕복형 커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구동유닛 및 제2구동유닛에 유압을 공급하는 유압밸브가 결합되고, 상기 유압밸브의 개폐를 제어하는 조작레버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6. 삭제
KR1020130108720A 2013-09-10 2013-09-10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KR101390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720A KR101390780B1 (ko) 2013-09-10 2013-09-10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08720A KR101390780B1 (ko) 2013-09-10 2013-09-10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0780B1 true KR101390780B1 (ko) 2014-04-30

Family

ID=5065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08720A KR101390780B1 (ko) 2013-09-10 2013-09-10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0780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60B1 (ko) * 2018-05-17 2019-08-28 스리플주식회사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KR20200013583A (ko) 2018-07-30 2020-02-07 스리플주식회사 전동수중절단기
KR102163923B1 (ko) * 2020-01-08 2020-10-12 조수동 공압모터를 이용한 선박의 장애물 제거 장치
KR20220120394A (ko) * 2021-02-23 2022-08-30 류욱현 휴대용 저진동 고스톱
KR102548647B1 (ko) 2022-08-10 2023-06-28 한광종 선박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3496A (en) * 1982-11-01 1984-08-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eep submergence vehicle (DSV) lightweight cable cutter
JPH05276851A (ja) * 1992-04-02 1993-10-26 Furuno Electric Co Ltd 網掛かり切断機
KR200303627Y1 (ko) * 2002-11-11 2003-02-12 성달수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5199357A (ja) 2004-01-13 2005-07-28 Hitachi Ltd 水中ロープ切断機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63496A (en) * 1982-11-01 1984-08-07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Deep submergence vehicle (DSV) lightweight cable cutter
JPH05276851A (ja) * 1992-04-02 1993-10-26 Furuno Electric Co Ltd 網掛かり切断機
KR200303627Y1 (ko) * 2002-11-11 2003-02-12 성달수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5199357A (ja) 2004-01-13 2005-07-28 Hitachi Ltd 水中ロープ切断機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7560B1 (ko) * 2018-05-17 2019-08-28 스리플주식회사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KR20200013583A (ko) 2018-07-30 2020-02-07 스리플주식회사 전동수중절단기
KR102163923B1 (ko) * 2020-01-08 2020-10-12 조수동 공압모터를 이용한 선박의 장애물 제거 장치
KR20220120394A (ko) * 2021-02-23 2022-08-30 류욱현 휴대용 저진동 고스톱
KR102510583B1 (ko) 2021-02-23 2023-03-15 류욱현 휴대용 저진동 고스톱
KR102548647B1 (ko) 2022-08-10 2023-06-28 한광종 선박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0780B1 (ko)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US2697457A (en) Manually portable brush cutting power tool
US3715805A (en) Improvement in a tree pruning saw
US3147513A (en) Dressing tool for poultry or the like
DE3410966C2 (ko)
KR200303627Y1 (ko)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CN112937824A (zh) 一种螺旋桨缠绕物切除装置
US20100071630A1 (en) Mechanized collector of juvenile lobsters
KR101879959B1 (ko) 수중 그라인더
KR102003599B1 (ko) 보호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548647B1 (ko) 선박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
US9751604B1 (en) Cutting device for water vessel
KR101977560B1 (ko)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KR200326946Y1 (ko) 선박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커터기
KR102093078B1 (ko) 선박용 그물 로프 양망장치
US2672114A (en) Injector-ejector attachment for outboard motors
KR20170048694A (ko)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
JP2007082535A (ja) 回転式自動魚釣り機、及び、釣針作動装置。
CA2774217A1 (en) Automatic fishing apparatus
JP2011193757A (ja) 大型クラゲ排出駆除機
KR20050005000A (ko) 선박의 부유물을 제거하기 위한 커터기
KR20160016237A (ko) 스크루 이물질 해체 장치
DE840326C (de) Einrichtung an einem Motormaeher zum Gebrauch fuer andere Arbeitszwecke
CN214690112U (zh) 一种船舶用双向推进装置
US4974290A (en) Mechanical loin knif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9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