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48694A -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 - Google Patents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48694A
KR20170048694A KR1020150149099A KR20150149099A KR20170048694A KR 20170048694 A KR20170048694 A KR 20170048694A KR 1020150149099 A KR1020150149099 A KR 1020150149099A KR 20150149099 A KR20150149099 A KR 20150149099A KR 20170048694 A KR20170048694 A KR 201700486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eign matter
water jet
unit
user
c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49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차영문
임훈섭
Original Assignee
동강엠텍(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강엠텍(주) filed Critical 동강엠텍(주)
Priority to KR1020150149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048694A/ko
Publication of KR201700486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4869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00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water; Means f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11/52Tool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underwate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B9/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HMARINE PROPULSION OR STEERING
    • B63H11/00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 B63H11/02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 B63H11/04Marine propulsion by water jets the propulsive medium being ambient water by means of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워터제트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로프나 어망 등의 이물질을 워터제트 추진기의 검사창을 통해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사용자가 파지하고, 조작 스위치가 부착된 손잡이부, 손잡이부와 결합 고정되며, 사용 상태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는 길이 조절부, 및 길이 조절부와 결합 고정되며, 워트제트 추진기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워트제트 추진기의 검사창을 통해 사용자가 위치 확인하여 유입된 이물질을 절단하도록 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Waste cutting device for water-jet propulsion system and water-jet propulsion vessel having waste cutting device}
본 발명은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워터제트 유입관으로 유입되는 로프나 어망 등의 이물질을 워터제트 추진기의 검사창을 통해 쉽게 제거할 수 있는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에 관한 것이다.
종래 프로펠러(FPP) 선박과 달리, 근래 들어 선박의 고속화, 향상된 조종성을 위해 프로펠러가 아닌 물 분사를 이용한 워터 제트 추진 방식이 다수 적용되고 있다. 워터 제트 추진기는 펌프 원리를 이용하여 물을 선저에서 흡입하여 선미로 분사시켜 제트 수류에 따른 추진력을 얻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워터 제트 추진기는 기존 프로펠러 추진기 대비 고속 항해시 추진효율이 우수하며, 해군 및 해양경찰의 함정과 특수 목적선에 사용이 증가되는 추세이다.
도 1은 워터 제트 추진 시스템의 개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터 제트 추진 시스템은 선저에서 물을 흡입한 후 선체 내부에 설치된 유도관(430)을 거쳐 노즐을 통해 가속된 물을 선박 뒤쪽으로 분사하면서 선박을 앞으로 밀어주어 추력을 발생시키는 추진 장치다. 선박의 후미에 부착된 일반 프로펠러와는 달리 워터제트의 임펠러는 제트 하우징 내에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물의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수심이 낮은 곳에서도 운항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워터 제트 시스템은 고속 항해시 높은 추진효율, 탁월한 조향성, 정숙성으로 인해 고속선 및 특수 목적의 선박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의 이점으로, 국내외 해상치안기관의 고속 함정 및 여객선 시장 등에서 워터 제트 추진기 운용실적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워터 제트 추진 시 유입관(430)으로 부터 각 종 부유물 및 이물질이 흡입됨에 따라 유체흐름에 지장을 받을 수 있으며, 일부 이물질이 축계(420)에 감기게 되어 축 손상, 더 나아가 워터제트 시스템 전체의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워터제트 추진시스템은 높은 추진 효율과 고속 항해가 가능하지만 유입관(430)으로부터 흡입되는 로프 또는 일부 어망 등 이물질이 축계(420)에 감겨 제대로 속도를 내지 못하거나 작동이 멈추는 경우가 발생하고, 이를 단시간내 제거 가능한 공구가 개발되어 있지 않아 선박 운항에 차질이 생길 우려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54630호(발명의 명칭 :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워터 제트 추진기에 로프, 어망, 부유물 등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한 걸림 현상 발생시 신속한 초동조치를 통해 선박의 정상운항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워터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전용 이물질 제거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들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파지하고, 조작 스위치가 부착된 손잡이부, 손잡이부와 결합 고정되며, 사용 상태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는 길이 조절부, 및 길이 조절부와 결합 고정되며, 워트제트 추진기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워트제트 추진기의 검사창을 통해 사용자가 위치 확인하여 유입된 이물질을 절단하도록 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이물질은 워트제트 추진기의 내부 축계에 걸리며, 길이 조절부는 길이방향으로 길이 연장되며, 절단부는, 손잡이부에 부착된 각도 조절 스위치의 조작 명령 또는 사용자의 외력에 따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축계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수중 작업이 가능하도록 방수된다.
또한, 절단부는, 조작 스위치에 따라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부,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어 이물질을 커팅하는 커팅부, 모터부가 삽입 배치되며, 커팅부가 고정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복수의 바디부, 및 수중 작업시 이물질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조명을 비추며, 수중 작업을 촬영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조명 및 카메라부를 포함한다.
또한, 손잡이부는, 조명 및 카메라부로부터 전송된 수중 작업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한다.
한편, 본 발명의 목적은 워트제트 추진기의 축계, 축계에 걸린 이물질을 확인하도록 하는 검사창, 및 축계에 걸린 이물질을 검사창을 통해 사용자가 위치 확인하여 이물질을 절단하도록 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파지하고, 조작 스위치가 부착된 손잡이부, 손잡이부 및 절단부와 결합 고정되며, 사용 상태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절단부는, 조작 스위치에 따라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부,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어 이물질을 커팅하는 커팅부, 모터부가 삽입 배치되며, 커팅부가 고정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바디부, 및 수중 작업시 이물질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조명을 비추며, 수중 작업을 촬영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조명 및 카메라부를 포함한다.
또한, 조명 및 카메라부는, 수중 작업 영상을 워트제트 추진 선박의 중앙통제실로 전송함으로써 수중 작업의 진행상황을 통제 요원이 모니터링하도록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이물질의 유입으로 인하여 워터 제트 축계에 이물질 걸림 현상 발생시 워터 제트 검사창을 통해 전용 이물질 제거기를 사용하여 신속한 초동조치를 취함으로써 선박의 정상운항 및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 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 추진기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터제트 추진기 전용 이물질 제거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일실시예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내용을 부당하게 한정하지 않으며, 본 실시 형태에서 설명되는 구성 전체가 본 발명의 해결 수단으로서 필수적이라고는 할 수 없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기는 워터제트 추진 선박의 축계에 걸린 폐 로프, 폐 어망, 또는 축계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부유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기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종래 기술 및 당업자에게 자명한 사항은 설명을 생략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생략된 구성요소(방법) 및 기능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충분히 참조될 수 있을 것이다.
(이물질 제거기의 구성 및 기능 )
워트제트 추진 선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트제트 추진기(400)에 의해 추진된다. 워트제트 추진기(400)는 흡입구(410)를 통해 유입관(420)으로 유입되는 물을 엔진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 축(420, 이하 축계라 함)에 설치된 임펠러의 후방으로 보내 노즐을 통해서 후방으로 분사하여 추진력을 얻도록 구성된다. 이때, 유입관(430)으로 유입되는 물과 함께 이물질이 함께 흡입되는 경우 축계(420)에 이물질이 감김으로써 임펠러 축의 손상 및 더 나아가 워터제트 추진기 전체의 손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축계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제거기는 다음과 같은 구성 및 기능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기(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적으로 손잡이부(100), 길이 조절부(200), 및 절단부(300)로 이루어지며, 필요에 따라 부가적인 구성이 더 추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손잡이부(100)는 이물질 제거기(10)를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손잡이(120)가 형성되어 있으며, 손잡이(120)의 형상은 단면이 "사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꼭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모서리가 라운더지게 형성할 수도 있으며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물질 제거기(10)를 동작시키기 위한 조작 스위치(110)가 손잡이(120)의 외곽 테두리 상단 내측에 버튼타입으로 구비된다. 사용자가 손잡이(120)를 파지하여 조작 스위치(110)를 검지를 포함한 손가락으로 트리거함으로써 이물질 제거기가 동작하게 된다. 다만, 조작 스위치(110)의 타입은 다양한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버튼 타입의 조작 스위치의 구성에 꼭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물질 제거기(10)의 안전 동작을 위해 전원 스위치(도면 미도시)와 조작 스위치(110)를 분리하여 배치함으로써 전원 스위치를 켠 후 조작 스위치(110)를 트리거하여 동작시킬 수도 있다. 손잡이부(100)의 일측은 길이 조절부(200)와 결합 고정된다.
손잡이부(100)의 일측에는 디스플레이부(도면 미도시)가 결합 고정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이물질 제거기의 사용자가 수중 작업 영상을 편리하게 볼 수 있는 곳에 배치된다. 디스플레이부는 후술하는 조명 및 카메라부(320)에서 무선 또는 유선으로 전송된 수중 작업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상호 간에 데이터를 송수하기 위해 무선인 경우에는 블루투스 또는 와이파이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유선의 경우에는 상호간에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조명 및 카메라부(320)에서 디스플레이부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한편, 조명 및 카메라부(320)에서 전송된 수중 작업 영상은 이물질 제거기(10)의 제어부(도면 미도시)에 의해 영상 압축이 해제되고, 제어부에서 디스플레이부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수중 작업 영상을 표시하도록 할 수 있다. 제어부는 이물질 제거기의 손잡이부(100)에 구비될 수도 있고, 또는 다른 영역에 구비될 수도 있다. 제어부는 이물질 제거기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배터리부(도면 미도시)에서 공급되는 전원의 사용량 또는 충전 잔량을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표시하도록 한다. 이물질 제거기(10)는 휴대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워트제트 추진기의 일측에 고정되어 사용될 수 있다. 휴대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리튬이온 등의 배터리를 통해 전기를 소모하는 각 부에 전원을 공급하고 충전부(도면 미도시)에 의해 배터리가 충전될 수 있다. 또한, 고정용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는 워트제트 추진 선박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충전용으로 운용될 수도 있다.
한편, 손잡이부(100)에는 커팅부(310) 또는 제2 바디부(342)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는 각도 조절 스위치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각도 조절 스위치의 조작에 따라 커팅부(310) 또는 제2 바디부(342)의 각도가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조절됨으로써 용이하게 축계(420)에 걸린 이물질을 커팅 또는 절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길이 조절부(200)는 손잡이부(100)와 절단부(300) 사이에 게재되어 절단부(300)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거나 또는 절단부(300)와 손잡이부(100)를 분리하도록 한다. 길이 조절부(200)의 결합부(2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대응되도록 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나사를 통해 서로를 결합 고정할 수 있다. 결합부(210)는 손잡이부(100)와 절단부(300)를 서로 분리하도록 함으로써 손잡이부에 구비된 배터리를 손쉽게 충전하도록 할 수 있다. 길이 조절부(200)는 이물질 제거기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접히도록 하기 위해 2단 이상으로 접철(또는 삽입) 슬라이딩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길이 조절부(200)가 서로 다른 두께를 가지고 2단 이상으로 구성된다. 직경이 작은 제1 길이 조절부가 이보다 직경이 큰 제2 길이 조절부속으로 슬라이딩 접혀(또는 삽입)지거나 또는 슬라이딩 연장되고, 서로 접혀지는 영역에 길이 조절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부를 두어 길이 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고정부는 제1 길이 조절부가 원하는 만큼 제2 길이 조절부속으로 슬라이딩 삽입되거나 연장된 경우 제1 길이 조절부와 제2 길이 조절부를 고정하도록 한다. 고정부의 단면은 원 형상으로서 일정 길이를 갖으며, 길이 조절부가 2단 이상으로 구성되는 경우 이에 맞는 숫자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절단부(300)는 수중 작업이 가능하도록 방수 타입으로 제작되며, 대략적으로 이물질을 커팅하는 커팅부(310)와 조명 및 카메라부(320), 및 모터부(330)로 구성되며, 이에 더하여 추가적인 구성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더 부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에에 따른 커팅부(310)는 제2 바디부(342)에 결합 고정되며, 커팅 톱니날이 형성되어 커팅 회전축(311)을 중심으로 회전함으로써 이물질을 절단 또는 커팅한다. 커팅 톱니날은 이물질에 접촉되어 이물질이 커팅될 수 있도록 제2 바디부(342)에서 일부 영역이 돌출된다. 따라서 커팅 톱니날의 대부분의 영역(제1 바디부측 방향 영역)은 제2 바디부(342)에 의해 커버되어 보호되며, 나머지 영역(이물질과 대면하는 영역)은 제2 바디부(342)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돌출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명 및 카메라부(32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같이 설명할 뿐 서로 다른 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즉 조명부는 도 2의 제2 바디부(342)의 일측영역에 설치되고, 카메라부는 제2 바디부(342)의 타측영역에 설치될 수도 있다. 조명부는 LED로 구성되어 카메라부가 수중 작업 영상을 촬영하도록 돕거나 또는 사용자가 검사창을 통해 육안으로 확인하며 이물질을 제거할 때 불을 밝힐 수도 있다. 조명부 및 카메라부는 제2 바디부(342)의 외곽 테두리 일 영역에 각각 또는 통합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2 바디부(342)는 커팅부(310)의 대부분 영역이 내측으로 삽입되어 고정되며, 전체적인 단면 형상이 반원 형상으로서 원 내측에 커팅 톱니날이 고정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제2 바디부(342)의 이물질 접촉 영역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 개방되어 커팅 톱니날이 돌출되도록 한다. 제2 바디부(342)는 제1 바디부(341)와 결합 고정된다. 이때, 제2 바디부(342)는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각도조절이 용이하도록 결합 고정된다. 따라서 손잡이부에 구비된 각도 조절 스위치를 통해 각도 조절 제어신호가 제어부로 전송된 경우 제어부는 후술하는 모터부(330)를 구동하여 제2 바디부(342)의 각도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조절하게 된다. 한편, 제2 바디부(342)의 각도 조절은 모터부(330)를 통해 조절할 수도 있으나 기어식에 의해 사용자의 외력에 따라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제1 바디부(341)는 전체 형상이 일정 두께 또는 폭을 갖고 내측이 중공으로 형성되어 제2 바디부(342)를 깨물고 있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제1 바디부(341)는 내측에 모터부(330)가 구비되며, 제2 바디부(342)를 수용하도록 수용홈(342a)이 형성된다. 제2 바디부(342)는 제1 바디부의 수용홈(342a)에 수용 결합된다. 제1 바디부의 제2 바디부(342)가 수용되는 제1 영역은 단면이 대략 반원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절개 개방되어 있으며, 길이 조절부(200)와 결합 고정되는 제2 영역은 봉 또는 바 타입의 길이 조절부(200)와 결합하기 위해 이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제1 영역은 단면이 직사각형에서 제2 바디부(342)가 수용되는 영역만 반원 형상으로 절개되어 있으며, 제2 영역은 제1 영역의 직사각형에서 연장되어 깔때기 모양으로 폭이 좁아진다. 깔때기 모양의 일측 단부는 고정 결합부(350)에 의해 길이 조절부(200)와 결합 고정된다. 다만, 상술한 제1 영역 및 제2 영역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영역을 구분한 것이다. 제1 바디부(341)에 수용 결합되는 제2 바디부(342)는 지지축(도면 미도시)을 중심으로 지지되며, 지지축은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는 샤프트(도면 미도시)가 될 수도 있고, 이에 더하여 제1 바디부(341) 및 제2 바디부(342) 내측으로 지지축이 더 부가될 수도 있다.
사용자의 외력에 의해 기어식으로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되는 경우에는 각도 조절에 대응하는 기어가 구비되며, 모터부(330)에 의해 각도가 조절되는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기어가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한편, 제2 바디부(342)가 상하 또는 좌우방향으로 각도조절이 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커팅 톱니날이 각도 조절될 수도 있고 또는 후술하는 고정 결합부(350)가 각도 조절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모터부(330)는 전기식 모터로서 배터리부로부터 전기를 공급받아 회전력을 생성하고, 생성된 회전력은 커팅 톱니날을 회전시켜 이물질을 절단한다. 모터부(300)는 제어부로부터 제어신호를 전송받아 동작되며, 제어신호는 길이 조절부(200) 내측으로 유선으로 전송되거나 또는 손잡이부(100)와 절단부(300)에 각각 무선 통신부를 구비하도록 하여 무선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모터부(330)는 모터를 포함하여 모터를 구동할 수 있는 각종 회로부가 구성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200) 내측으로는 배터리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선을 비롯하여 각종 유선 연결선이 지나간다.
길이 조절부(200)도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길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부(342)는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시 수용홈(342a)에 수용되면서 좌우방향으로 각도가 조절된다. 따라서 제2 바디부(342)를 지지하는 지지축이 링크 타입으로 구성되어 각도 조절에 따라 좌우방향 또는 상하방향으로 각도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지지축은 길이가 연장되거나 접혀짐으로써 길이 조절이 가능하며, 길이방향으로 길이 연장되어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될 수도 있다. 손잡이부(100), 길이 조절부(200) 및 절단부(300)의 소재는 어느 한 소재에 한정되지 않고 수중 작업 및 각부 기능에 알맞은 적합한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기(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휴대형으로 운용될 수도 있고, 고정형으로 운용될 수도 있다. 이물질 제거기(10)의 수중 작업 영상은 실시간으로 워트제트 추진 선박의 통제실로 전송되며, 통제 요원은 현재 작업이 어떻게 이루어지고 있는지 실시간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또한, 통제실의 통제 요원은 이물질 제거기(1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제어신호를 유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이물질 제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 통제실과 이물질 제거기(10)간의 통신은 상호간에 기 설정된 프로토콜에 따라 운용되며, 무선통신의 경우에는 각기 대응되는 통신부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이물질 제거 방법)
워트제트 추진기(400)에 이물질이 걸리는 경우 사용자는 검사창(440)을 통해 이물질의 위치를 확인한다. 이물질의 위치를 확인한 경우 사용자는 축계(420)에 걸린 이물질을 검사창(440)으로 육안 확인하거나 또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는 수중 작업 영상을 보면서 확인한 후 이물질 제거기(10)를 동작시켜 이물질을 커팅한다. 이물질 제거기(10)의 커팅 속도는 단계별로 조정 가능하며, 각도 및 길이를 조절하여 이물질을 용이하게 제거하게 된다.
상술한 각부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설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서로 분리하여 설명하였을 뿐 필요에 따라 어느 한 구성 및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로 통합되어 구현되거나, 또는 더 세분화되어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이 이것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양한 변형 및 응용이 가능하다. 즉, 본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한 것을 당업자는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및 그 구성 또는 본 발명의 각 구성에 대한 결합관계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였음에 유의해야 할 것이다.
10 : 이물질 제거기
100 : 손잡이부
110 : 조작 스위치
120 : 손잡이
200 : 길이 조절부
210 : 결합부
300 : 절단부
310 : 커팅부
311 : 커팅 회전축
320 : 조명 및 카메라부
330 : 모터부
341 : 제1 바디부
342 : 제2 바디부
342a : 수용홈
350 : 고정 결합부
400 : 워트제트 추진기
410 : 흡입구
420 : 임펠러 축(축계)
430 : 유입관
440 : 검사창

Claims (8)

  1. 사용자가 파지하고, 조작 스위치가 부착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와 결합 고정되며, 사용 상태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는 길이 조절부, 및
    상기 길이 조절부와 결합 고정되며, 워트제트 추진기의 내부로 유입된 이물질을 워트제트 추진기의 검사창을 통해 사용자가 위치 확인하여 유입된 상기 이물질을 절단하도록 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은 상기 워트제트 추진기의 내부 축계에 걸리며,
    상기 길이 조절부는 길이방향으로 길이 연장되며,
    상기 절단부는,
    손잡이부에 부착된 각도 조절 스위치의 조작 명령 또는 사용자의 외력에 따라 상하방향 또는 좌우방향으로 각도 조절이 가능하며, 상기 축계에 걸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수중 작업이 가능하도록 방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조작 스위치에 따라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이물질을 커팅하는 커팅부,
    상기 모터부가 삽입 배치되며, 상기 커팅부가 고정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복수의 바디부, 및
    수중 작업시 이물질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조명을 비추며, 수중 작업을 촬영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조명 및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손잡이부는,
    상기 조명 및 카메라부로부터 전송된 수중 작업 영상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5. 워트제트 추진기의 축계,
    상기 축계에 걸린 이물질을 확인하도록 하는 검사창, 및
    상기 축계에 걸린 이물질을 상기 검사창을 통해 사용자가 위치 확인하여 상기 이물질을 절단하도록 하는 절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
  6. 제 5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파지하고, 조작 스위치가 부착된 손잡이부,
    상기 손잡이부 및 상기 절단부와 결합 고정되며, 사용 상태에 따라 길이가 연장되는 길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조작 스위치에 따라 회전력을 생성하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의해 회전되어 상기 이물질을 커팅하는 커팅부,
    상기 모터부가 삽입 배치되며, 상기 커팅부가 고정되어 회전하도록 하는 바디부, 및
    수중 작업시 이물질을 용이하게 확인하도록 조명을 비추며, 수중 작업을 촬영하여 무선 또는 유선으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조명 및 카메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및 카메라부는,
    수중 작업 영상을 워트제트 추진 선박의 중앙통제실로 전송함으로써 수중 작업의 진행상황을 통제 요원이 모니터링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제거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
KR1020150149099A 2015-10-27 2015-10-27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 KR2017004869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099A KR20170048694A (ko) 2015-10-27 2015-10-27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49099A KR20170048694A (ko) 2015-10-27 2015-10-27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48694A true KR20170048694A (ko) 2017-05-10

Family

ID=58743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49099A KR20170048694A (ko) 2015-10-27 2015-10-27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04869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647B1 (ko) * 2022-08-10 2023-06-28 한광종 선박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48647B1 (ko) * 2022-08-10 2023-06-28 한광종 선박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89418T3 (es) Controlador remoto inalambrico para yates.
EP3247472B1 (en) Propulsion system for use by a swimmer
CA2493050A1 (en) Outboard trolling motor deployment and control system
US9630690B2 (en) Motorized watercraft
CN111674526A (zh) 一种危险水域救援水下机器人
CN110712733A (zh) 海洋管道水下作业装置及其作业方法
KR20170048694A (ko) 워트제트 추진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물질 제거 장치가 구비된 워트제트 추진 선박
CN106882348B (zh) 高海况下完成事故船与救援船对接的系统
CN112032468A (zh) 一种水下管道检测装置
CN204587279U (zh) 一种船舶螺旋桨缠绕物切割装置
KR101053176B1 (ko) 수중추진장치
KR101390780B1 (ko)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CN108189994B (zh) 一种双面吸水的喷水推进泵
KR102003599B1 (ko) 보호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CN104743089B (zh) 一种船舶螺旋桨缠绕物切割装置
JP2008280019A (ja) 動力式船舶の推進システム
KR101879959B1 (ko) 수중 그라인더
KR101977560B1 (ko)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KR102163923B1 (ko) 공압모터를 이용한 선박의 장애물 제거 장치
US8790145B2 (en) Emergency drive unit for water vessel
KR200303627Y1 (ko)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JP2006306127A (ja) 船外機
KR20210007349A (ko) 선박 스크류의 이물질 제거 장치
KR200412990Y1 (ko) 선박용 수면하부 위험물 관측/탐지장치
KR102052701B1 (ko) 보호 지그 및 이를 구비한 다용도 롱 커팅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