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13583A - 전동수중절단기 - Google Patents

전동수중절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13583A
KR20200013583A KR1020190079022A KR20190079022A KR20200013583A KR 20200013583 A KR20200013583 A KR 20200013583A KR 1020190079022 A KR1020190079022 A KR 1020190079022A KR 20190079022 A KR20190079022 A KR 20190079022A KR 20200013583 A KR20200013583 A KR 202000135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lanetary pinion
coupled
worm wheel
connecting r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79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순홍
Original Assignee
스리플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리플주식회사 filed Critical 스리플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000135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358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BHAND-HELD CUTTING TOO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6B7/00Hand knives with reciprocating motor-driven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tard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동수중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샤프트를 통해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샤프트에 연동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환부 및 상기 동력전환부에 연동되어 직선 왕복하면서 수중 이물질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수중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환부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에 내설되고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기어 결합되어 회전하는 웜휠; 상기 웜휠의 하측에 구비되고 내주면에 내접기어가 형성된 링기어; 상기 링기어의 내접기어에 내접하는 유성피니언; 상기 웜휠에 편심되게 관통하면서 상기 유성피니언의 중심에 결합되는 크랭크핀; 일단이 상기 크랭크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절단부와 결합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웜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크랭크핀 및 유성피니언이 상기 링기어의 내주 궤도를 따라 자전 및 공전함으로써 상기 커넥팅로드가 직선왕복운동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수중절단기{Electromotive underwater cutsaw}
본 발명은 전동수중절단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선박 운항 과정에서 스크류에 감기거나 고착된 로프나 해초 또는 폐그물과 같은 이물질을 선상에서 절단하여 제거할 수 있는 전동수중절단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의 후미에 형성된 기관실에는 추진력을 발생시키는 엔진이 설치되는데, 이 엔진에는 회전날개를 구비한 스크류가 선체의 외부로 길게 연장, 설치된다.
즉, 상기 엔진의 구동력으로 스크류가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 상기 스크류의 단부에 부착된 회전날개가 회전하면서 추진력을 얻는다.
그런데 선박의 운항 중에 해상에 떠다니는 로프나 해초 또는 폐그물 등 다양한 이물질 등이 표류하다가 회전하는 스크류에 빨려 들어가 감기는 경우가 허다하게 발생한다.
이렇게 감겨버린 이물질은 스크류의 회전을 정지시키거나 오작동의 원인이 되어 선박의 심각한 해상 안전상의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종래 스크류에 감긴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소형 선박에는 낫 또는 긴 막대 끝에 낫을 연결한 도구를 이용하여 수작업으로 제거하는 실정이다.
또 선박을 연안으로 예인하여 들어올린 후 직접 제거하거나 선박이 물에 떠 있는 상태에서 잠수부를 동원하여 제거하는 방법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방법들은 이물질 제거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제거작업을 하는 잠수부들은 항상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이를 극복하고자 아래 선행기술과 같은 다양한 발명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종래 제안된 기술들은 대부분 원형톱날을 사용하는 구조이므로 노출된 이물질은 쉽게 절단할 수 있으나, 협소한 공간에 고착된 이물질은 원형톱의 구조상 쉽게 절단하기 힘들고 절단이 되더라도 절단된 이물질이 회전하는 원형톱날의 축에 감기어 원형톱날의 작동을 멈추게 하는 원인이 되었다.
뿐만 아니라 억지로 절단하다가 오히려 선박의 스크류나 다른 장치들을 손상시킬 위험이 있는 것이다.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9-0029950(2019.3.21.) "보호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7-0047525(2017.5.8.)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656627(2016.9.5) "조명부재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390780(2014.4.24.)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통적인 기계톱 원리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수중 절단작업이 용이한 전동수중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톱날의 직선왕복작동을 위하여 유성피니언와 크랭크핀을 사용함으로써 감속 및 직선왕복거리가 연장되도록 할 수 있는 전동수중절단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 달성을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수중절단기는, 전원공급을 통한 DC모터를 구동하여 샤프트에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샤프트에 연동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환부 및 상기 동력전환부에 연동되어 직선 왕복하면서 수중 이물질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수중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환부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에 내설되고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기어 결합되어 회전하는 웜휠; 상기 웜휠의 하측에 구비되고 내주면에 내접기어가 형성된 링기어; 상기 링기어의 내접기어에 내접하는 유성피니언; 상기 웜휠에 편심되게 관통하면서 상기 유성피니언의 중심에 결합되는 크랭크핀; 일단이 상기 크랭크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절단부와 결합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웜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크랭크핀 및 유성피니언이 상기 링기어의 내주 궤도를 따라 자전 및 공전함으로써 상기 커넥팅로드가 직선왕복운동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크랭크핀의 상단 'ㄱ' 형상으로 절곡된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커텍팅로드의 단부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돌출된 돌기가 상기 장공에 삽입될 수 있다.
또 상기 내접기어와 유성피니언의 기어비는 2:1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커넥팅로드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어박스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팅로드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전통적인 기계톱 원리를 이용하여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수중 절단작업이 용이하다. 따라서, 고장이 적고 유지관리가 쉽다.
그리고 유성피니언와 크랭크핀을 사용함으로써 감속 또는 제어가 용이하고, 연장부와 장공에 의해 커넥팅로드의 직선왕복거리를 연장시킴으로써 절단톱의 절단작업이 매우 효율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전동수중절단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력전환부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력전환부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 5는 도 3,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력전환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
도 6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력전환부의 분해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전동수중절단기의 전체적인 외관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크게,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100), 상기 구동부(100)에서 발생된 회전구동력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환부(200), 상기 동력전환부(200)에 의해 전환된 동력에 의해 수중 이물질을 실제로 절단하는 절단부(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본 발명의 기술적 특징은 동력전환부(200)에 포함된다.
먼저, 상기 구동부(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구동부(100)는 하우징파이프(110), 샤프트(120), 모터케이스(130), 구동모터(미도시), 손잡이(140) 및 모터커넥터(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파이프(110)는 상기 동력전환부(200)와 구동부(100)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상의 부재로서,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샤프트(120)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파이프(110)에 결합된 상기 모터케이스(130) 내부에는 구동모터가 설치된다.
상기 구동모터는 상기 샤프트(120)에 연결되어 회전 구동력을 상기 동력전환부(200)에 전달한다.
이때, 상기 구동모터는 선박에서 공급되는 전압, 구체적으로 DC 24V 전원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또 상기 모터케이스(130)의 일측에 손잡이(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40)에 상기 구동모터를 제어하는 스위치(150)가 부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모터케이스(130) 내에는 상기 스위치(1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어부(미도시)가 있으며 이 제어부는 구동모터의 안정적인 구동 및 과부하에 따른 구동모터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구동모터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하는데,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모터에 전원이 인가됨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의 작동을 ON/OFF 할 뿐만 아니라, 회전센서(미도시)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속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를 통해 상기 구동모터의 속도를 제어함으로써 후술된 절단톱에 의해 제거되는 이물질의 사이즈, 재질 및 특성에 따라 적절한 속도를 제공하여 원활하고 효율적인 절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 내지 6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동력전환부(200)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력전환부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1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력전환부 조립상태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며, 도 5는 도 3, 4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력전환부의 세부구조를 나타내는 조립사시도이고, 도 6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동력전환부의 분해사시도를 나타낸다.
상기 동력전환부(200)는 기어박스(210), 웜기어(220), 웜휠(230), 링기어(240), 유성피니언(250), 크랭크핀(260), 커넥팅로드(27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기어박스(210)는 상기 하우징파이프(110)와 결합되고, 내부에 상기 웜기어(220), 웜휠(230), 링기어(240), 유성피니언(250), 크랭크핀(260), 커넥팅로드(270)를 수용한다.
상기 기어박스(210)는 다수개의 볼트(213)로 커버(211)를 개폐 가능한 구조이며, 상기 커버(211)는 개스킷(212)으로 실링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210)의 일측에 상기 절단부(300)와 연결해주는 커넥팅파이프(214)가 형성되고, 타측에 상기 웜기어(220)가 인입되는 웜홀(215)이 형성된다.
상기 웜기어(220)는 상기 샤프트(120)와 연결되어 상기 샤프트(120)의 회전에 의해 동일한 속도록 회전하게 된다.
상기 웜기어(220)의 일단은 상기 기어박스(210) 내부에 수용되어, 볼베어링(221)에 의해 지지된다.
그리고 상기 웜기어(220)의 타측은 상기 샤프트와 연결되도록 상기 웜홀(215)을 통과하여 외부로 노출되는데, 이때도 상기 웜홀(215)에 볼베어링(221)이 구비되어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노출된 상기 웜기어(220)의 타단은 스플라인소켓(222)에 의해 상기 샤프트(120)와 연결된다. 이를 위해, 상기 샤프트(120)의 단부에는 스플라인 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스플라인소켓(222)과 스플라인 결합된다.
상기 웜기어(220)의 타단에는 상기 기어박스(210)와 스플라인소켓(222) 사이에 스러스터베어링(223)이 게재되어 축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파이프(110)는 웜기어파이프(224)에 의해 상기 기어박스와 결합되고, 상기 스플라인소켓(222)과 스러스터베어링(223)은 상기 웜기어파이프(224)의 내부에 수용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기어박스(210)의 중앙에는 웜휠(230)이 배치되고, 상기 웜휠(230)에 상기 웜기어(220)가 기어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웜기어(220)가 회전하면 상기 웜휠(230)이 회전하게 된다.
상기 웜휠(230)에는 하나 이상의 크랭크핀(260)이 관통하는 핀홀(231)이 형성된다. 상기 핀홀(231)은 상기 웜휠(230)의 중심을 벗어나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상기 웜휠(230)의 하측에 링기어(240)가 구비된다.
상기 링기어(240)는 내주면에 내접기어(241)가 형성된 원형의 기어로서 중심이 상기 웜휠(230)과 일치되도록 배치된다.
이때, 상기 링기어(240)의 내접기어(241)에는 유성피니언(250)이 연접하여 연동된다.
즉, 상기 유성피니언(250)은 상기 링기어(240)의 내주 궤적을 따라 자전 및 공전하도록 구비된다.
중요한 것은 상기 내접기어(241)와 유성피니언(250)의 기어비는 2:1 이다. 예를 들어, 상기 내접기어(241)의 기어치는 48개이면 상기 유성피니언(250)의 기어치가 24개이다.
이러한 기어비로 이루어지므로, 상기 유성피니언(250)이 상기 내접기어(241) 내에서 1회 공전할 때 1회 자전하게 된다.
상기 유성피니언(250)의 중심에는 크랭크핀(260)이 삽입 및 결합되는데, 상기 크랭크핀(260)은 상기 웜휠(230)에 형성된 핀홀(231)을 관통한다. 이때, 상기 크랭크핀(260)은 상기 웜휠(230)의 중심을 벗어나 편심되게 관통한다.
중요한 것은 상기 크랭크핀(260)의 상단은 직각으로 절곡되는 연장부(261)가 형성되어 대략 'ㄱ'과 같은 형상을 이룬다. 후술하겠지만, 상기 연장부(261)의 길이만큼 상기 절단부(300)의 직선왕복이동거리가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연장부(261)의 단부 상부면에 돌출된 돌기(262)가 형성된다.
상기 커넥팅로드(270)는 상기 크랭크핀(260)과 상기 절단부(300)를 연결하여 상기 크랭크핀(260)의 회전을 상기 절단부(300)의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킨다.
여기서, 상기 커넥팅로드(270)가 상기 크랭크핀(260)과 연결되는 단부에 수직으로 길게 장공(27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장공(271)에 상기 연장부(261)에 형성된 돌기(262)가 삽입된다.
상기 장공(271)의 길이는 마주하는 상기 핀홀(231)의 중심간 거리와 유사하게 형성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상기 돌기(262)는 상기 유성피니언(250)이 상기 내접기어(241)에 내접한 상태로 회전하는 동안 상기 장공(271) 내에서 왕복하도록 설정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유성피니언(250)이 12시 방향에 위치할 때 상기 연장부(261)도 12시 방향을 가리키도록 상기 유성피니언(250)이 세팅되어야 한다.
이렇게 배치되면 상기 유성피니언(250)이 3시 방향에 위치하면 상기 연장부(261)는 9시 방향을 가리키고, 상기 유성피니언(250)이 6시 방향에 위치하면 상기 연장부(261)는 6시 방향, 그리고 상기 유성피니언(250)이 9시 방향에 위치하면 상기 연장부(261)는 3시 방향을 가리킨다.
따라서, 상기 돌기(262)는 상기 장공(271) 내에서 구속되어 왕복하면서 상기 커넥팅로드(270)에 힘을 가하여 전후진 작동시킬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커넥팅로드(270)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272)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기어박스(210)에는 상기 가이드홈(272)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팅로드(270)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핀(216)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커넥팅로드(270)는 좌우로 요동하지 않고 일직선을 따라 정확하게 전후로 왕복 운동할 수 있게 된다.
더불어, 상기 기어박스와 각 구성이 결합되는 부위에는 방수를 위한 실링이 이루어져야 함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다수개의 오링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절단부(300)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절단부(300)는 상기 동력전환부(200)에 의해 전환된 동력에 의해 실제로 수중 이물질을 절단하는 구성으로서, 절단톱(310), 후크파이프(320), 후크(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절단톱(310)은 상기 커넥팅로드(270)와 결합되어 전후로 움직이면서 스크류에 감기거나 고착된 이물질을 절단 및 제거한다.
상기 절단톱(310)의 하단부에 톱날(311)이 형성되는데, 상기 톱날(311)은 일방향으로 날이 형성될 수도 있고, 서로 대칭되도록 양방향으로 형성되어 상기 절단톱(310)이 전후방으로 이동할 때마다 절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후크파이프(320)는 상기 커넥팅파이프(214)에 결합되는 것으로 내부에 상기 절단톱(310)과 상기 커넥팅로드(270)가 결합되는 결합부를 수용한다.
그리고 상기 후크파이프(320)의 단부에 후크(330)가 결합된다.
상기 후크(330)는 절단된 이물질을 걸어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ㄷ'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일단이 상기 후크파이프(320)에 결합되고, 타단을 상기 절단톱(310)이 관통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 7을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이다.
상기 구동부(100)에서 발생된 회전 구동력은 상기 샤프트(120)를 회전시키고, 상기 샤프트(120)에 연결된 상기 웜기어(220)를 회전시킨다.
상기 웜기어(220)가 회전하면 상기 웜휠(230)이 회전하게 되는데, 이로 인해 상기 웜휠(230)에 편심 장착된 크랭크핀(260)이 원의 궤적을 따라 회전한다.
상기 크랭크핀(260)이 이동하게 되면 상기 크랭크핀(260)에 결합된 상기 유성피니언(250)도 공전하게 된다. 이때, 상기 유성피니언(250)은 상기 링기어(240)에 내접한 상태이므로 상기 유성피니언(250)은 상기 링기어(240) 내에서 자전하면서 공전한다.
결국, 상기 유성피니언(250)의 공전으로 상기 크랭크핀(260)도 공전하게 되고, 상기 유성피니언(250)의 자전으로 상기 연장부(261)도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해 상기 장공(271)에 의해 상기 커넥팅로드(270)에 걸린 상기 돌기(262)가 상기 커넥팅로드(270)에 힘을 가하여 전후진시킬 수 있다. 즉, 직선왕복운동 가능하게 한다.
좀 더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유성피니언(250)이 시계방향으로 공전하고,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한다고 가정할 때, 도 7(a)는 상기 유성피니언(250)이 12시 방향에 위치하는 경우이다.
이때, 상기 연장부(261)는 12시 방향을 가리키므로 상기 돌기(262)는 상기 장공(271)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커넥팅로드(270)를 최대로 전진시킨다.
도 7(b)와 같이 상기 유성피니언(250)이 3시 방향에 도달하면, 상기 연장부(261)는 9시 방향을 가리키므로 상기 돌기(262)는 상기 장공(271)의 좌측으로 치우치면서 상기 커넥팅로드(270)를 상기 웜휠(230)의 중심위치까지 후진시킨다.
도 7(c)와 같이 상기 유성피니언(250)이 6시 방향에 도달하면, 상기 연장부(261)는 6시 방향을 가리키므로 상기 돌기(262)는 상기 장공(271)의 중간에 위치하면서 상기 커넥팅로드(270)를 최대로 후진시킨다.
도 7(d)와 같이 상기 유성피니언(250)이 9시 방향에 도달하면, 상기 연장부(261)는 3시 방향을 가리키므로 상기 돌기(262)는 상기 장공(271)의 우측으로 치우치면서 상기 커넥팅로드(270)를 상기 웜휠(230)의 중심위치까지 전진시킨다.
다시 상기 유성피니언(250)이 12시 방향에 도달하면, 도 7(a)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서 상기 커넥팅로드(270)는 전후진 직선왕복운동하게 되며, 이것은 상기 절단톱(310)을 직선왕복이동시킴으로써 절단작업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연장부(261)로 인해 상기 커넥팅로드(270)의 최대 전후진 왕복이동거리가 증가하므로 더 효율적인 절단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유성피니언(250)을 사용하므로 감속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이물질의 종류에 따라 절단톱(310)의 속도 제어가 용이하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구동부
110 : 하우징파이프 120 : 샤프트
130 : 모터케이스 140 : 손잡이
150 : 스위치 160 : 모터커넥터
200 : 동력전환부 210 : 기어박스
211 : 커버 212 : 개스킷
213 : 볼트 214 : 커넥팅파이프
215 : 웜홀 216 : 가이드핀
220 : 웜기어 221 : 볼베어링
222 : 스플라인소켓 223 : 스러스트베어링
224 : 웜기어파이프 230 : 웜휠
231 : 핀홀 240 : 링기어
241 : 내접기어 250 : 유성피니언
260 : 크랭크핀 261 : 연장부
262 : 돌기 270 : 커넥팅로드
271 : 장공 272 : 가이드홈
300 : 절단부
310 : 절단톱 311 : 톱날
320 : 후크파이프 330 : 후크

Claims (5)

  1. 샤프트를 통해 회전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부와, 상기 샤프트에 연동되어 회전운동을 직선왕복운동으로 전환시키는 동력전환부 및 상기 동력전환부에 연동되어 직선 왕복하면서 수중 이물질을 절단하는 절단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전동수중절단기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환부는,
    기어박스;
    상기 기어박스에 내설되고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웜기어;
    상기 웜기어에 기어 결합되어 회전하는 웜휠;
    상기 웜휠의 하측에 구비되고 내주면에 내접기어가 형성된 링기어;
    상기 링기어의 내접기어에 내접하는 유성피니언;
    상기 웜휠에 편심되게 관통하면서 상기 유성피니언의 중심에 결합되는 크랭크핀;
    일단이 상기 크랭크핀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절단부와 결합되는 커넥팅로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웜휠의 회전에 의해 상기 크랭크핀 및 유성피니언이 상기 링기어의 내주 궤도를 따라 자전 및 공전함으로써 상기 커넥팅로드가 직선왕복운동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수중절단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크랭크핀의 상단 'ㄱ' 형상으로 절곡된 연장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수중절단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텍팅로드의 단부에는 장공이 형성되고, 상기 연장부의 상단에 돌출된 돌기가 상기 장공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수중절단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내접기어와 유성피니언의 기어비는 2: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수중절단기.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팅로드의 일측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고, 상기 기어박스에는 상기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상기 커넥팅로드의 직선왕복운동을 가이드하는 가이드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수중절단기.
KR1020190079022A 2018-07-30 2019-07-01 전동수중절단기 KR2020001358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088856 2018-07-30
KR1020180088856 2018-07-3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3583A true KR20200013583A (ko) 2020-02-07

Family

ID=695703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79022A KR20200013583A (ko) 2018-07-30 2019-07-01 전동수중절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01358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718A (ko) * 2021-01-25 2022-08-02 류욱현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780B1 (ko) 2013-09-10 2014-04-30 주식회사명심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KR101656627B1 (ko) 2015-10-01 2016-09-09 김영원 조명부재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제거장치
KR20170047525A (ko) 2015-10-23 2017-05-08 김영원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제거장치
KR20190029950A (ko) 2017-09-13 2019-03-21 황민선 보호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0780B1 (ko) 2013-09-10 2014-04-30 주식회사명심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KR101656627B1 (ko) 2015-10-01 2016-09-09 김영원 조명부재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제거장치
KR20170047525A (ko) 2015-10-23 2017-05-08 김영원 카메라 및 디스플레이장치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제거장치
KR20190029950A (ko) 2017-09-13 2019-03-21 황민선 보호 지그 및 이를 구비한 선박용 스크류 이물질 제거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7718A (ko) * 2021-01-25 2022-08-02 류욱현 무진동 고소작업용 톱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58060B2 (ja) 手持式電動工具
WO2005110653A2 (en) A rotary to reciprocating motion conversion attachment for a power rotary hand tool
CN113232807A (zh) 一种多推进模式的仿生机器鱼
JP2006314278A5 (ko)
KR20200013583A (ko) 전동수중절단기
CN114954865A (zh) 适用于水下检测的水下机器人
CN213566417U (zh) 一种水下机器人推进装置
CN112492998A (zh) 剪切工具
CN102358410B (zh) 潜水器用三维矢量推进装置
US4004543A (en) Manually operated propelling apparatus for a boat
KR102163923B1 (ko) 공압모터를 이용한 선박의 장애물 제거 장치
GB1591246A (en) Machine for cleaning underwater surfaces
CN220974515U (zh) 一种水下机器人推进装置
CN111528188A (zh) 一种利用风能捕鱼的夜晚照明灯站
CN112027012A (zh) 一种用于船底清理的水下机器人
KR101185408B1 (ko) 터널 추진기
CN203623957U (zh) 水下机器人的摆动推进器
KR20160028184A (ko) 수중 추진장치
SU91993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одводной очистки корпусов судов
CN209858998U (zh) 一种电动挖取油墨的挖墨铲刀和电动挖墨装置
CN214015125U (zh) 剪切工具
CN220096617U (zh) 一种稳定使用的推进器
CN215036362U (zh) 小间距阀门螺栓除锈装置
CN113581430B (zh) 一种双功能深潜器推进系统
KR20030044734A (ko) 목재와 철재 겸용 전동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