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0583B1 - 휴대용 저진동 고스톱 - Google Patents

휴대용 저진동 고스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0583B1
KR102510583B1 KR1020210024828A KR20210024828A KR102510583B1 KR 102510583 B1 KR102510583 B1 KR 102510583B1 KR 1020210024828 A KR1020210024828 A KR 1020210024828A KR 20210024828 A KR20210024828 A KR 20210024828A KR 102510583 B1 KR102510583 B1 KR 1025105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w
rod member
module
straight
vibr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4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0394A (ko
Inventor
류욱현
Original Assignee
류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류욱현 filed Critical 류욱현
Priority to KR1020210024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583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5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58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Other tools for pruning, branching or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5Motor-driven saws for pruning or branch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3/00Cutting imp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horticultural purposes;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Other tools for pruning, branching or delimbing standing trees
    • A01G3/085Motor-driven saws for pruning or branching
    • A01G3/086Chain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57/00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 B23D57/02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not covered by one of the preceding groups B23D45/00 - B23D55/00 with chain sa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PLANING; SLOTTING; SHEARING; BROACHING; SAWING; FILING; SCRAPING; LIKE OPERATIONS FOR WORKING METAL BY REMOVING MATERIAL,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D61/00Tools for sawing machines or sawing devices; Clamping devices for these tools
    • B23D61/12Straight saw blades; Strap saw blad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Ecology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에 관련되며, 이는 경량으로 작업피로도가 현저히 개선되고, 톱날 대비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톱날이 지지되어 피절삭물 사이즈 및 깊이에 간섭없이 절삭 범위가 확장되며, 특히, 톱질에 필요한 직선 왕복 운동력을 전달하는 멀티로드부재가 래크와 피니언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면서 진동을 효과적으로 상쇄할 수 있도록 본체모듈(10), 연장부모듈(20), 말단부모듈(30), 행거모듈(4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Portable low vibration aerial saw}
본 발명은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에 관한 것으로, 경량으로 작업피로도가 현저히 개선되고, 톱날 대비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톱날이 지지되어 피절삭물 사이즈 및 깊이에 간섭없이 절삭 범위가 확장되며, 특히, 톱질에 필요한 직선 왕복 운동력을 전달하는 멀티로드부재가 래크와 피니언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면서 진동을 효과적으로 상쇄할 수 있는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톱은 강철로 된 얇은 톱양에 날카로운 이가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직선 왕복운동력에 의해 날카로운 이가 나무를 포함하는 피절삭물을 절삭하는 장치로서, 주로 과수 가지치기, 가로수 가지정리, 산림 숲 가꾸기 사업을 포함하는 고소 작업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원거리에 피절삭물을 수작업으로 톱질함에 있어 많은 힘이 소요됨과 더불어 장시간 작업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이에 종래에 개시된 특허등록번호 제10-1129771호에서, 동력을 발생하는 동력발생장치 및 전선과 같은 전력전달수단과,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동력발생장치의 전력을 전달받아 구동되는 모터 및 상기 모터와 연동 회전되며 타측에 웜기어를 형성하여 회전을 전달하는 구동축과,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는 편심캠과, 상기 편심캠의 캠부에 결합되어 직선 이송되는 로드부와, 상기 로드부의 끝단에 구비되는 이송기어와,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고정되어 이송기어를 기어 물림 형태로 결합하는 고정랙기어와, 상기 고정랙기어에 수평 이격하게 위치되어 이송기어에 의해 전후 왕복 구동되는 구동체와, 상기 구동체의 전방에 설치되는 톱날로 구성되어 적은 동력에 의해 충분한 칼날의 구동력과, 스트로크를 얻을 수 있도록 구성된 기술이 선 등록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모터 회전력이 편심캠과 로드부에 의해 직선 왕복운동으로 전환되어 톱날이 절삭이송되는 것이나, 톱날과, 톱날을 구동하는 모터 및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는 구동체가 일체형으로 형성되어 지지대 단부에 설치됨에 따라 무게 중심이 톱날이 설치된 지지대 단부로 집중되어 작업자가 지지대 다른 일단을 잡고 고소 톱질작업시, 많은 힘이 소요되면서 피로도가 증가되는 폐단이 따랐다.
KR 10-1129771 B1 (2012.03.15)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착안 된 것으로서, 경량으로 작업피로도가 현저히 개선되고, 톱날 대비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톱날이 지지되어 피절삭물 사이즈 및 깊이에 간섭없이 절삭 범위가 확장되며, 특히, 톱질에 필요한 직선 왕복 운동력을 전달하는 멀티로드부재가 래크와 피니언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면서 진동을 효과적으로 상쇄할 수 있는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을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특징은,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이 설치되는 고소톱의 말단관체(32) 단부에 설치되어 피절삭물에 거치되는 행거모듈(40)이 구비되고,
상기 행거모듈(40)은,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대비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블레이드(42)와, 블레이드(42) 단부에 설치되어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후방영역을 수용 지지하는 가이드부재(4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44)는, 블레이드(42) 일면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폭 대비 확장되어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측면을 구속하면서 피절삭물(1)에 거치되는 제 1가이드편(44a)과, 제 1가이드편(44a)과 대향하도록 블레이드(42) 다른 일면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폭 대비 확장되거나 짧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측면을 구속하는 제 2가이드편(4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직선톱(S1)이 적용되는 고소톱은,
모터(M) 회전 운동력이 직선 왕복 운동력으로 전환되어 메인로드부재(12)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구비되는 본체모듈(10);
상기 본체모듈(10)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클램프(22a)가 설치되는 연장관체(22)와, 연장관체(22) 내에 설치되고 메인로드부재(12)와 연계되어 직선 왕복 운동되는 멀티로드부재(24)를 포함하는 연장부모듈(20);
상기 연장관체(22)의 클램프(22a)에 일단이 체결되는 말단관체(32)와, 말단관체(32) 내에 수용되고, 멀티로드부재(24)와 연계되어 직선 왕복운동되며, 단부에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이 설치되는 홀더(34a)가 구비되는 말단로드부재(34)를 포함하는 말단부모듈(30);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멀티로드부재(24)는 2분할되어 제 1, 2멀티로드(24a)(24a')를 형성하고, 제 1, 2멀티로드(24a)(24a')는 양단부에 한 쌍의 제 1, 2래크(24b)(24b')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며, 제 1, 2래크(24b)(24b')는 연장관체(22)에 설치되는 지지축(24d)을 중심으로 회전운동되는 피니언(24c)과 치합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2래크(24b)(24b')와 피니언(24c)에 의해 제 1, 2멀티로드(24a)(24a')가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면서 메인로드부재(12)의 일방향 직선 왕복 운동력에 의한 진동이 상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장관체(22)는 내주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의 레일홈(22a)이 형성되고, 한 쌍의 레일홈(22a)을 타고 제 1, 2멀티로드(24a)(24a') 및 제 1, 2래크(24b)(24b')가 직선 왕복 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메인로드부재(12), 멀티로드부재(24), 말단로드부재(34)는 암, 수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체결부(60)에 의해 회전식으로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의 구성 및 작용에 의하면, 본 발명은 경량으로 작업피로도가 현저히 개선되고, 톱날 대비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톱날이 지지되어 피절삭물 사이즈 및 깊이에 간섭없이 절삭 범위가 확장되며, 특히, 톱질에 필요한 직선 왕복 운동력을 전달하는 멀티로드부재가 래크와 피니언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면서 진동을 효과적으로 상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의 행거모듈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의 행거모듈 가이드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의 직선톱이 적용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을 모듈별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의 제 1, 2래크와 피니언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의 행거모듈을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의 행거모듈 가이드부재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의 직선톱이 적용된 상태를 전체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을 모듈별로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이며, 도 5는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의 제 1, 2래크와 피니언 조립구조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에 관련되며, 이는 경량으로 작업피로도가 현저히 개선되고, 톱날 대비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블레이드에 의해 톱날이 지지되어 피절삭물 사이즈 및 깊이에 간섭없이 절삭 범위가 확장되며, 특히, 톱질에 필요한 직선 왕복 운동력을 전달하는 멀티로드부재가 래크와 피니언에 의해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면서 진동을 효과적으로 상쇄할 수 있도록 본체모듈(10), 연장부모듈(20), 말단부모듈(30), 행거모듈(40)을 포함하여 주요구성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은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이 설치되는 고소톱의 말단관체(32) 단부에 설치되어 피절삭물에 거치되는 행거모듈(40)이 구비된다. 도 1 (a)는 말단관체(32) 단부에 직선톱(S1)이 적용된 상태를 도시하고, 1 (b)는 말단관체(32) 단부에 체인톱(S2)이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다.
상기 행거모듈(40)은,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대비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블레이드(42)와, 블레이드(42) 단부에 설치되어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후방영역을 수용 지지하는 가이드부재(44)를 포함한다.
이처럼 상기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이 장착되는 말단부모듈(30)의 경량화로 작업 피로도가 현저히 개선되고, 또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대비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블레이드(42)에 의해 가이드부재(44)가 가이드되어 피절삭물 사이즈에 간섭없이 절삭 가능하여 작업 영역이 확장된다.
이때, 상기 가이드부재(44)는, 블레이드(42) 일면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폭 대비 확장되어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측면을 구속하면서 피절삭물(1)에 거치되는 제 1가이드편(44a)과, 제 1가이드편(44a)과 대향하도록 블레이드(42) 다른 일면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폭 대비 확장되거나 짧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측면을 구속하는 제 2가이드편(44b)을 포함한다.
도 2 (a) 및 도 3 (a)는 제 1, 2가이드편(44a)(44b)이 동일한 사이즈로 형성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도 2 (b) 및 도 2 (b)는 제 2가이드편(44b)이 짧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측면을 구속하는바, 이때 제 1, 2가이드편(44a)(44b)은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후방영역에서 국부적으로 수용하도록 내측 영역 좁고, 외측 영역은 비교적 확장 형성되어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의 날부분과 비접촉상태를 유지한다.
도 4에서, 상기 직선톱(S1)이 적용되는 고소톱은, 모터(M) 회전 운동력이 직선 왕복 운동력으로 전환되어 메인로드부재(12)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구비되는 본체모듈(10); 상기 본체모듈(10)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클램프(22a)가 설치되는 연장관체(22)와, 연장관체(22) 내에 설치되고 메인로드부재(12)와 연계되어 직선 왕복 운동되는 멀티로드부재(24)를 포함하는 연장부모듈(20); 상기 연장관체(22)의 클램프(22a)에 일단이 체결되는 말단관체(32)와, 말단관체(32) 내에 수용되고, 멀티로드부재(24)와 연계되어 직선 왕복운동되며, 단부에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이 설치되는 홀더(34a)가 구비되는 말단로드부재(34)를 포함하는 말단부모듈(3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본체모듈(10)은 모터(M) 회전 운동력이 직선 왕복 운동력으로 전환되어 메인로드부재(12)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본체모듈(10)은 내부에 모터(M)의 회전운동을 직선 왕복 운동력으로 전환하는 동력전환수단이 설치되고, 상기 모터(M)는 20,000 RPM 이상의 고속 모터를 이용하여 감속 출력하도록 설계하여 모터(M) 경량화를 도모한다.
한편, 상기 동력전환수단은 본 출원이 출원한 고소톱 관련 기술은 물론 통상의 방식으로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연장부모듈(20)은 상기 본체모듈(10)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클램프(22a)가 설치되는 연장관체(22)와, 연장관체(22) 내에 설치되고 메인로드부재(12)와 연계되어 직선 왕복 운동되는 멀티로드부재(24)를 포함한다.
도 5에서, 상기 연장부모듈(20)은 클램프(22a)에 의해 적어도 1개 이상을 연결 가능하도록 구비되고, 고소작업 높이에 따라 연장부모듈(20) 연결개수를 조절하여 본체모듈(10)과 후술하는 말단부모듈(30) 사이 거리를 결정하게 된다.
도 6에서, 상기 멀티로드부재(24)는 2분할되어 제 1, 2멀티로드(24a)(24a')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 1, 2멀티로드(24a)(24a')는 양단부에 한 쌍의 제 1, 2래크(24b)(24b')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며, 제 1, 2래크(24b)(24b')는 연장관체(22)에 설치되는 지지축(24d)을 중심으로 회전운동되는 피니언(24c)과 치합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지지축(24d)과 대응하는 연장관체(22) 외주면에 보강관체가 설치되어 제 1, 2래크(24b)(24b')와 피니언(24c) 치합 영역을 보강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처럼 상기 제 1, 2래크(24b)(24b')와 피니언(24c)에 의해 제 1, 2멀티로드(24a)(24a')가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면서 메인로드부재(12)의 일방향 직선 왕복 운동력에 의한 진동이 상쇄된다.
즉, 상기 모터(M)에 의해 메인로드부재(12)가 전진 이송시, 제 1멀티로드(24a)는 전진 이송되고, 제 2멀티로드(24a')는 제 1, 2래크(24b)(24b')와 피니언(24c)에 의해 후진 이송되므로, 직선 왕복 운동력이 반복되는 중에 발생되는 작동 진동(체터링)이 상쇄되고, 이로 인해 작업피로도가 효과적으로 개선된다.
또한, 상기 연장관체(22)는 내주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의 레일홈(22a)이 형성되고, 한 쌍의 레일홈(22a)을 타고 제 1, 2멀티로드(24a)(24a') 및 제 1, 2래크(24b)(24b')가 직선 왕복 운동되도록 구비된다.
즉, 상기 연장관체(22)는 경량화를 위해 알루미늄 압출물로 형성되고, 내주면에 길이방향으로 한 쌍의 레일홈(22a)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2멀티로드(24a)(24a') 및 제 1, 2래크(24b)(24b')가 레일홈(22a)에 수용되어 직선 왕복 운동이 가이드됨에 따라 제 1, 2래크(24b)(24b')와 피니언(24c)이 정위치에 치합되어 구동력이 정확하게 전달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말단부모듈(30)은 상기 연장관체(22)의 클램프(22a)에 일단이 체결되는 말단관체(32)와, 말단관체(32) 내에 수용되고, 멀티로드부재(24)와 연계되어 직선 왕복운동되며, 단부에 직선톱(S1)이 설치되는 홀더(34a)가 구비되는 말단로드부재(34)를 포함한다.
상기 말단부모듈(30)의 말단관체(32)는 상기 연장관체(22)와 동일한 구조로 형성되고, 단부에 복수의 가이드롤러가 설치되어 말단로드부재(34)의 직선 이동을 안내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메인로드부재(12), 멀티로드부재(24), 말단로드부재(34)는 암, 수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체결부(60)에 의해 회전식으로 결속되도록 구비된다.
이에 상기 본체모듈(10), 연장부모듈(20), 말단부모듈(30)의 단부를 맞댄 상태로 회전시키면 체결부(60)에 의해 메인로드부재(12), 멀티로드부재(24), 말단로드부재(34)이 나사결합되고, 이후 클램프(22a)를 이용하여 연장관체(22), 말단관체(32)를 결속하면 조립이 간단하게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클램프(22a)는 관체로 형성되어 일단이 연장관체(22), 말단관체(32) 일측 단부에 고정설치되고, 다른 일단은 조임볼트에 의해 내경이 수축되도록 구비되어 다른 일측 연장관체(22), 말단관체(32)을 체결한 상태로 조임볼트를 조여서 체결됨에 따라 누구나 손쉽게 분해조립됨과 더불어 장시간 사용 중에도 유격이 방지된다.
10: 본체모듈 20: 연장부모듈
30: 말단부모듈 40: 행거모듈

Claims (6)

  1.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이 설치되는 고소톱의 말단관체(32) 단부에 설치되어 피절삭물에 거치되는 행거모듈(40)이 구비되고, 상기 행거모듈(40)은,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고,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대비 얇은 두께로 형성되는 블레이드(42)와, 블레이드(42) 단부에 설치되어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후방영역을 수용 지지하는 가이드부재(44)를 포함하며,
    상기 직선톱(S1)이 적용되는 고소톱은, 모터(M) 회전 운동력이 직선 왕복 운동력으로 전환되어 메인로드부재(12)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구비되는 본체모듈(10); 상기 본체모듈(10)에 일단이 연결되고, 다른 일단에 클램프(22a)가 설치되는 연장관체(22)와, 연장관체(22) 내에 설치되고 메인로드부재(12)와 연계되어 직선 왕복 운동되는 멀티로드부재(24)를 포함하는 연장부모듈(20); 및 상기 연장관체(22)의 클램프(22a)에 일단이 체결되는 말단관체(32)와, 말단관체(32) 내에 수용되고, 멀티로드부재(24)와 연계되어 직선 왕복운동되며, 단부에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이 설치되는 홀더(34a)가 구비되는 말단로드부재(34)를 포함하는 말단부모듈(30);로 이루어지고,
    상기 멀티로드부재(24)는 2분할되어 제 1, 2멀티로드(24a)(24a')를 형성하고, 제 1, 2멀티로드(24a)(24a')는 양단부에 한 쌍의 제 1, 2래크(24b)(24b')가 서로 대향하게 배치되며, 제 1, 2래크(24b)(24b')는 연장관체(22)에 설치되는 지지축(24d)을 중심으로 회전운동되는 피니언(24c)과 치합되어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도록 구비되며, 상기 제 1, 2래크(24b)(24b')와 피니언(24c)에 의해 제 1, 2멀티로드(24a)(24a')가 상호 역방향으로 직선 왕복 운동되면서 메인로드부재(12)의 일방향 직선 왕복 운동력에 의한 진동이 상쇄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44)는, 블레이드(42) 일면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폭 대비 확장되어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측면을 구속하면서 피절삭물(1)에 거치되는 제 1가이드편(44a)과, 제 1가이드편(44a)과 대향하도록 블레이드(42) 다른 일면에 일단이 체결되고, 다른 일단은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폭 대비 확장되거나 짧은 사이즈로 형성되어 직선톱(S1)이나 체인톱(S2) 측면을 구속하는 제 2가이드편(44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관체(22)는 내주면에 서로 대향하도록 한 쌍의 레일홈(22a)이 형성되고, 한 쌍의 레일홈(22a)을 타고 제 1, 2멀티로드(24a)(24a') 및 제 1, 2래크(24b)(24b')가 직선 왕복 운동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로드부재(12), 멀티로드부재(24), 말단로드부재(34)는 암, 수 나사부로 이루어지는 체결부(60)에 의해 회전식으로 결속되도록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저진동 고소톱.
KR1020210024828A 2021-02-23 2021-02-23 휴대용 저진동 고스톱 KR10251058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828A KR102510583B1 (ko) 2021-02-23 2021-02-23 휴대용 저진동 고스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4828A KR102510583B1 (ko) 2021-02-23 2021-02-23 휴대용 저진동 고스톱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394A KR20220120394A (ko) 2022-08-30
KR102510583B1 true KR102510583B1 (ko) 2023-03-15

Family

ID=831143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4828A KR102510583B1 (ko) 2021-02-23 2021-02-23 휴대용 저진동 고스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058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511B2 (ja) * 1991-01-25 2000-07-1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式キャッシュレジスタ
JP2000236747A (ja) 1998-12-25 2000-09-05 Yukio Takahashi 枝切断具及び往復動枝切断機
KR101390780B1 (ko) 2013-09-10 2014-04-30 주식회사명심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KR102088591B1 (ko) 2019-02-25 2020-03-12 류욱현 무부하 전동 톱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511U (ja) * 1999-03-26 1999-10-08 正彦 三浦 高所枝切り機
KR101129771B1 (ko) 2009-12-24 2012-03-23 김원태 가지치기 전동톱
KR101878952B1 (ko) * 2016-11-22 2018-07-17 김근혜 캠 롤러타입 고소작업용 톱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511B2 (ja) * 1991-01-25 2000-07-10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子式キャッシュレジスタ
JP2000236747A (ja) 1998-12-25 2000-09-05 Yukio Takahashi 枝切断具及び往復動枝切断機
KR101390780B1 (ko) 2013-09-10 2014-04-30 주식회사명심 선박 스크류 이물질 절단장치를 포함하는 어셈블리
KR102088591B1 (ko) 2019-02-25 2020-03-12 류욱현 무부하 전동 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394A (ko) 2022-08-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388728A (en) Portable power tools
US5940977A (en) Reciprocating saw with an angular blade drive and rotatable blade holder
US9700949B2 (en) Reciprocating drive mechanism and power tool including the same
KR101129771B1 (ko) 가지치기 전동톱
CN1266763A (zh) 刀锯的切割机构
DE112009005440B4 (de) Stichsäge
CN112157189B (zh) 一种钢筋加工用校直装置
DE102014006530B4 (de) Schneidewerkzeug der hin- und herbewegenden Art
KR101878952B1 (ko) 캠 롤러타입 고소작업용 톱
CN103347633A (zh) 具有往复从动主轴的工具机
KR102510583B1 (ko) 휴대용 저진동 고스톱
KR102132117B1 (ko) 타원형 내접기어를 이용한 톱
KR102088591B1 (ko) 무부하 전동 톱
KR101972418B1 (ko) 타원형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US5369887A (en) Powered coping saw
KR102132119B1 (ko) 크랭크암의 굴절운동을 이용한 톱
CN220006433U (zh) 一种龙门式钢结构切割工作台夹持结构
KR100644375B1 (ko) 휴대용 경량 강관 절단기
CN108290310B (zh) 横切圆锯装置和通过圆锯装置横切物体的方法
KR102375308B1 (ko) 진동 상쇄 구조를 가진 고소톱
KR100538256B1 (ko) 철근 단부 나사 가공장치
US5950513A (en) Apparatus for converting rotary motion into linear motion for use with a cut-off machine
US782101A (en) Sawing-machine.
JP2001009632A (ja) 往復運動機構を用いた電動工具
KR101931282B1 (ko) 가변 편심궤적을 이용한 고소작업 가지정리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