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360B1 -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 Google Patents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360B1
KR101389360B1 KR1020130124629A KR20130124629A KR101389360B1 KR 101389360 B1 KR101389360 B1 KR 101389360B1 KR 1020130124629 A KR1020130124629 A KR 1020130124629A KR 20130124629 A KR20130124629 A KR 20130124629A KR 101389360 B1 KR101389360 B1 KR 10138936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bike
rail
power transmission
transmission member
bik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246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유정
손주호
Original Assignee
(주)에스엘인더스트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스엘인더스트리 filed Critical (주)에스엘인더스트리
Priority to KR10201301246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36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36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36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1/00Locomotives or motor railca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ans applying the tractive effort;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running gear other than normal driving wheel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GMERRY-GO-ROUNDS; SWINGS; ROCKING-HORSES; CHUTES; SWITCHBACKS; SIMILAR DEVICES FOR PUBLIC AMUSEMENT
    • A63G25/00Autocar-like self-drivers; Runway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경사구간에서 레일바이크를 견인할 수 있는 레일바이크 견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레일에 설치되어 레일바이크를 견인하는 레일바이크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바이크를 견인할 끝부분의 레일 사이에 위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견인구동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레일바이크가 걸쳐져 상기 레일바이크를 견인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레일바이크를 견인할 시작부분의 레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상기 견인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를 포함하는 견인종동부, 및 상기 레일바이크를 견인할 시작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레일바이크의 진입 시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센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레일바이크가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어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격흡수유닛에 의해 걸림돌기를 밀 때의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연결부싱에 의해 동력전달부재가 휘어질 수 있어 곡선로를 운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레일바이크 견인장치{Rail bike traction device}
본 발명은 경사구간에서 레일바이크를 견인할 수 있는 레일바이크 견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레일바이크는 인력에 의해 저속으로 구동되어 안전하게 주변경치를 즐기기 위해 이용된다.
하지만, 인력에 의해 구동되므로 경사로의 경우 힘이 많이 들고,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098524호(2011. 12. 19 등록)의 "급경사지에서 운행가능한 레일바이크 구조"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급경사지에서 운행가능한 레일바이크 구조는 급경사지에 소정 간격을 유지하여 설치되는 한 쌍의 레일 사이에 길이방향으로 길게 설치되며 상면에 톱니가 형성되는 랙기어; 및 상기 레일 상을 주행하는 레일바이크의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외주에 상기 랙기어의 톱니와 맞물리도록 톱니가 형성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레일바이크가 급경사지를 운행할 때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며, 상기 피니언기어는 상기 레일바이크의 휠을 연결하는 휠축의 외주에 끼워져 고정되어 상기 휠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레일이 안착되는 다수의 침목 상에 설치되되, 각각의 침목 상에 한 쌍이 이격되어 설치고정되는 브래킷을 더 포함하고, 상기 랙기어는 상기 브래킷 사이에 끼워져 상기 브래킷과 체결되며, 상기 브래킷은 상기 침목과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을 갖는 수평부와, 상기 수평부에서 절곡형성되되 상기 랙기어와의 체결을 위한 체결공을 갖는 수직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랙기어는 상기 브래킷과 볼트체결되어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의 종래의 급경사지에서 운행가능한 레일바이크 구조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로 인해 경사로를 오를 때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레일바이크 구조는 랙기어와 피니언기어로 구성되어 곡선로에 적용하기 난해하고, 경사구간에 따라 랙기어의 길이를 늘리거나 줄여 가공해야하기 때문에 설치상의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레일바이크를 견인하기 위해 구동모터를 별도로 제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경사로의 길이에 따라 유연하게 적용할 수 있고, 곡선로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레일바이크의 진입유무에 따라 자동으로 작동하는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는 레일에 설치되어 레일바이크를 견인하는 레일바이크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바이크를 견인할 끝부분의 레일 사이에 위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견인구동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레일바이크가 걸쳐져 상기 레일바이크를 견인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레일바이크를 견인할 시작부분의 레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상기 견인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를 포함하는 견인종동부, 및 상기 레일바이크를 견인할 시작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레일바이크의 진입 시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센서부를 포함한다.
상기 견인구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변환하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에서 변환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스프로킷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바이크가 걸쳐지는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가 세워진 상태로 위치되도록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동력전달부재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1 체인판, 상기 제1 체인판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싱, 상기 제1 체인판의 외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제1 체인판의 끝단에 상기 연결부싱을 관통하는 형태로 체인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인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싱은 상기 체인핀이 상기 연결부싱의 중앙을 중심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싱의 중앙부분에서 양측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장력조절기는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연결되는 종동스프로킷이 구비된 종동축, 상기 종동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종동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장력조절스프링,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종동축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레일바이크는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상기 레일바이크에 걸쳐질 때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충격흡수유닛은 상기 레일바이크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동력전달부가 걸쳐지는 충격부재, 상기 충격부재를 상기 브래킷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충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충격결합부재, 및 상기 충격부재와 상기 브래킷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충격부재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상기 레일바이크가 지나는 레일이 위치된 부분에 결합되는 센서프레임, 상기 레일바이크의 바퀴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센서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를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센서프레임에서 상기 가압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가압부에 상기 바퀴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가압부를 초기위치로 회전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레일바이크가 걸림돌기에 의해 고정되어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격흡수유닛에 의해 걸림돌기를 밀 때의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연결부싱에 의해 동력전달부재가 휘어질 수 있어 곡선로를 운행할 수 있다.
또한, 장력조절기로 장력을 조절하여 동력전달부재가 레일바이크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로 레일바이크의 진입여부를 감지하여 견인구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도시한 우측면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견인구동부의 평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견인구동부의 정면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동력전달부재의 평면도이다.
도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동력전달부재가 휘어지는 것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동력전달부재 및 충격흡수유닛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9는 도8의 A-A선 단면도이다.
도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걸림돌기가 충격흡수유닛에 고정된 것을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견인종동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견인종동부의 정면도이다.
도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센서부의 평면도이다.
도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센서부의 측면도이다.
도1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를 구성하는 센서부가 견인구동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명세서에서 전방은 레일바이크가 주행하는 방향을 의미하며, 후방은 그 반대방향을 의미한다.
도1 내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100)는 견인구동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견인구동부(110)는 레일(250)에서 레일바이크(200)를 견일한 부분의 끝에 부분의 레일의 사이에 위치되어 레일바이크(200)를 견인할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성으로 구동모터(111), 감속기(113), 및 구동스프로킷(115)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모터(111)는 레일바이크(200)를 견인시키는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구동모터(111)는 고정자와 고정자의 내측에 구동축이 구비된 회전자로 구성되어 회전자가 고정자의 내부에서 전기적인 자력에 의해 회전하여 구동축이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구동모터(111)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전기모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기모터는 공지된 구성이므로 더 이상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감속기(113)는 구동모터(111)의 회전력을 정해진 감속비로 감속시켜 구동스프로킷(115)에 전달할 수 있다.
한편, 감속기(113)는 복수 개의 기어가 맞물려 구동모터(111)의 회전력을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구동모터(111)와 감속기(113)는 벨트 또는 체인에 의해 연결되어 구동모터(111)의 동력을 감속기(113)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스프로킷(115)은 종동스프로킷(117)과 동력전달부재(120)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구동스프로킷(115)이 회전하면 종동스프로킷(117)이 함께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구동스프로킷(115)은 감속기(113)의 동력을 벨트 또는 체인으로 전달받아 감속기(113)에서 구동모터(111)의 변환된 동력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도6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100)는 동력전달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동력전달부재(120)는 레일바이크(200)를 견인할 수 있고, 걸림돌기(121), 지지스프링(123), 제1 체인판(125), 제2 체인판(126), 연결부싱(127), 및 체인핀(129)을 포함할 수 있다.
걸림돌기(121)는 막대형상으로 형성되어 걸림돌기(121)가 레일바이크(200)에 걸처져 레일바이크(200)를 견인할 수 있다.
한편, 걸림돌기(121)는 동력전달부재(120)에서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설치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121)는 동력전달부재(120)의 외부로 돌출되도록 세워진 형태로 동력전달부재(12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걸림돌기(121)는 하기에 설명될 제1 체인판(125) 또는 제2 체인판(126)에서 돌출되도록 세워진 형태로 결합될 수 있으며, 걸림돌기(121)은 동력전달부재(120)가 회전하는 반대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제1 체인판(125) 또는 제2 체인판(126)에 설치될 수 있다.
이때, 걸림돌기(121)는 체인핀(129)가 체인핀(129)이 걸림돌기(121)의 하단부분을 관통하는 형태로 제1 체인판(125) 또는 제2 체인판(126)에 결합되어 제1 체인판(125) 또는 제2 체인판(126)에 설치되고, 제1 체인판(125) 또는 제2 체인판(126)에는 동력전달부재(120)이 회전하는 방향으로 걸림돌기(121)가 눕혀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고정핀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걸림돌기(121)는 걸림돌기(121)이 회전하였을 때, 탄성력에 의해 초기위치로 복귀 즉, 눕혀진 상태에서 다시 세워질 수 있도록 지지스프링(123)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지지스프링(123)은 지지스프링(123)의 일단이 걸림돌기(121)에 결합되며, 지지스프링(123)의 타단은 제1 체인판(125) 또는 제2 체인판(126)의 결합되어 외력에 의해 눕혀지도록 회전된 걸림돌기(121)가 외력이 해제되면 탄성력에 의해 다시 세워지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동력전달부재(120)는 일단은 구동스프로킷(115)에 연결되고 타단은 종동스프로킷(117)에 연결되어 구동스프로킷(115)의 회전력을 종동스프로킷(117)으로 전달할 수 있다.
한편, 동력전달부재(120)는 체인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1 체인판(12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체인판(125)은 제2 체인판(126)과 복수 개가 링 형태로 결합되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체인판(125)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한 쌍이 마주보도록 위치될 수 있고, 제1 체인판(125)의 양단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되고 이 부분에 하기에 설명될 연결부싱(127)이 결합되어 한 쌍의 제1 체인판(125)을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체인판(125)의 양측에는 제2 체인판(126)이 각각 위치될 수 있으며, 제2 체인판(126)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제2 체인판(126)의 양단에는 각각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체인판(125)의 양측에 위치되는 제2 체인판(126)은 연결부싱(127)을 관통하는 체인핀(129)이 한 쌍의 제2 체인판(126)의 일단을 모두 관통하여 리벳팅 되는 형태로 제1 체인판(125)과 제2 체인판(126)이 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연결부싱(127)에는 롤러(128)가 결합되어 구동스프로킷(115) 또는 종동스프로킷(117)이 체인핀(129)의 사이에 끼워질 때, 마모 및 마찰을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연결부싱(127)은 원통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연결부싱(127)에 끼워진 체인핀(129)이 연결부싱(127)의 중앙을 중심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연결부싱(127)의 중앙부분에서 양측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연결부싱(127)에서 체인핀(129)이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에 복수 개의 제1 체인판(125) 및 제2 체인판(126)으로 연결되어 구성된 동력전달부재(120)가 곡선으로 휘어질 수 있으므로, 곡선로에서도 레일바이크(200)을 견인할 수 있다.
도3 또는 도8 내지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100)는 충격흡수유닛(21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충격흡수유닛(210)은 레일바이크(200)에 결합되어 레일바이크(200)를 견인 시 걸림돌기(121)가 레일바이크(200)를 충격하는 충격력을 흡수함으로써, 걸림돌기(121)의 충격력이 레일바이크(200)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충격흡수유닛(210)은 레일바이크(200)의 전방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충격흡수유닛(210)은 브래킷(211), 충격부재(213), 충격결합부재(215), 충격흡수스프링(217)을 포함할 수 있다.
브래킷(211)은 충격흡수유닛(210)을 레일바이크(200)에 결합할 수 있다. 브래킷(211)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서로 이격되도록 한 쌍이 구비되며, 한 쌍의 브래킷(211)의 하단 부분에는 걸림대(212)가 한 쌍의 브래킷(211)을 가로질러 연결하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고, 걸림대(212)는 레일바이크(20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걸림대(212)는 레일바이크(200)가 레일바이크 견인장치(100)에 진입 시 걸림돌기(121)가 충격흡수유닛(210)에 걸쳐질 수 있도록 걸림돌기(121)를 가압하여 눕혀지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작용과 효과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브래킷(211)은 레일바이크(200)의 전방 부분에 걸림대(212)가 레일(250)의 하부로 돌출되도록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한편, 충격부재(213)은 걸림돌기(121)가 걸쳐지는 부분으로 브래킷(211)의 걸림대(212)와 이격되어 걸림대(212)에 후방에 배치되며, 충격부재(213)와 걸림대(212)의 사이에는 충격흡수스프링(217)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충격부재(213)는 걸림대(212)에서 전,후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충격결합부재(215)에 의해 결합될 수 있으며, 충격결합부재(215)는 충격흡수스프링(217)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충격부재(213), 충격흡수스프링(217), 및 걸림대(212)를 모두 관통하는 형태로 충격결합부재(215)를 걸림대(212)에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결합부재(215)는 볼트로 구현될 수 있으며, 볼트는 충격부재(213), 충격흡수스프링(217) 및, 걸림대(212)를 모두 관통하고, 볼트의 끝단에 너트가 체결되어 고정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충격부재(213)와 걸림대(212)의 사이 간격은 볼트에서 너트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위치에 따라 조절할 수 있다
도11 또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100)는 견인종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견인종동부(130)는 레일바이크(200)를 견인할 시작부분의 레일(250) 사이에 위치되어 동력전달부재(120)에 의해 견인구동부(11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견인종동부(130)는 장력조절기(13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장력조절기(131)는 동력전달부재(120)의 장력을 조절할 수 있고, 종동축(133)을 포함할 수 있다. 종동축(133)의 중심에는 종동스프로킷(117)이 구비되어 동력전달부재(120)와 걸쳐지는 형태로 연결될 수 있고, 종동축(133)은 프레임(135)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종동축(133)의 양단에는 종동축(133)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이드(136)가 각각 설치되고, 가이드(136)는 프레임(135)의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프레임(135)에 결합되어 프레임에서 종동축(133)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다.
한편, 프레임(135)에는 장력조절스프링(137)이 설치되어 종동축(133)을 프레임(135)의 후방을 향해 탄성력이 발생하도록 탄성력에 의해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장력조절스프링(137)의 일단은 가이드(136)에 지지되고 타단은 종동축(133)에 지지되며, 종동축(133)의 양측에 위치된 가이드(136)에 각각 장력조절스프링(137)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장력조절스프링(137)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고, 장력조절스프링(137)은 종동축(133)의 양 끝단에 각각 위치되어 종동축(133)을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장력조절기(131)는 거리조절부재(139)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거리조절부재(139)는 프레임(135)에서 종동축(133)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거리조절부재(139)는 볼트로 구현되고, 볼트머리는 종동축(133)에 결합되며, 타단은 프레임(135)의 타단을 통과하여 너트로 조임으로서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도13 내지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100)는 센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센서부(140)는 레일바이크(200)가 레일바이크(200)를 견인할 시작부분에 진입하면 구동모터(111)를 작동시킬 수 있다.
한편, 센서부(140)는 센서프레임(141)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프레임(141)은 판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일단은 레일바이크(200)의 바퀴(205)에 의해 가압될 수 있도록 상측으로 돌출된 바퀴가압부(142)와 결합될 수 있으며, 타단에는 가압연장부(14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프레임(141)의 하부에는 힌지를 결합할 수 있는 힌지결합부(149)가 형성될 수 있으며, 하기에 설명될 복귀스프링(147)을 고정할 수 있는 제1 복귀스프링고정부(14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센서프레임(141)의 외측에는 이격부(150)가 형성되어 센서프레임(141)을 바닥에서 이격시키고, 힌지결합부(147)에 힌지를 관통시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40)는 가압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가압부(143)는 가압연장부(144)의 끝단을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고, 레일바이크(200)의 바퀴(205)에 의해 센서프레임(141)이 가압되면 센서프레임(141)이 회전하여 가압부(143)가 스위치부(145)를 가압할 수 있으며, 스위치부(145)는 가압부(143)에 의해 구동모터(111)를 온 또는 오프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부(140)는 복귀스프링(147)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복귀스프링(147)은 센서프레임(141)에서 가압부(143)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복귀스프링(147)은 압축 코일 스프링으로 구현되어 일단과 센서프레임(141)의 하부에 위치한 제1 복귀스프링고정부(146)에 지지될 수 있고, 타단은 도상에 돌출되어 형성된 제2 복귀스프링고정부(148)에 지지되어 센서프레임(141)에서 가압부(143)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즉, 레일바이크(200)의 바퀴(205)가 바퀴가압부(142)를 눌러 센서프레임(141)의 일단이 가압되면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 타단은 상측으로 올라가서 가압부(143)가 회전되므로 스위치부(145)를 가압하고, 레일바이크(200)의 바퀴(205)가 지나가면 복귀스프링(147)에 의해 센서프레임(141)이 원상태로 복귀하면서 가압부(143)는 초기위치로 회전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레일바이크 견인장치(100)는 레일바이크(200)를 견인할 시작부분에 레일바이크(200)가 진입하면, 레일바이크(200)의 바퀴(205)가 센서프레임(141)을 가압하고, 가압부(143)는 스위치부(145)를 눌러 구동모터(111)를 작동시킨다.
구동모터(111)가 작동되면, 구동모터(111)와 연결된 감속기(113)는 회전수를 감속시켜 출력되고, 구동스프로킷(115)이 회전한다. 구동스프로킷(115)이 회전하면 종동스프로킷(117)과 동력전달부재(120)도 함께 회전하게 되며, 레일바이크(200)에 결합된 충격흡수유닛(210)의 브래킷(211)에 의해 걸림돌기(121)가 하부로 회전했다가 지지스프링(123)에 의해 탄성적으로 원상태로 복귀하고, 걸림돌기(121)는 충격부재(213)에 의해 고정되어 견인된다. 그 후, 레일바이크(200)가 견인할 끝부분에 진입하면 레일바이크(200)는 계속 이동하고, 동력전달부재(120)는 종동스프로킷(117)에 의해 회전하므로 동력전달부재(120)의 걸림돌기(121)는 레일바이크(200) 하단에 위치한 충격흡수유닛(210)에서 빠져나오게 된다.
여기서, 레일바이크(200)를 견인할 시간부분에서 레일바이크(200)를 견인할 끝부분이 곡선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연결부싱(127)이 중앙부분에서 양측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되어 동력전달부재(120)가 곡선로를 따라 휘어질 수 있으므로 레일바이크(200)를 견인할 수 있다.
이때, 동력전달부재(120)의 장력이 맞지 않으면, 장력조절기(131)의 거리조절부재(139)의 너트를 풀러 프레임(135)에 연결된 종동축(133)을 좌우로 슬라이딩하여 길이를 조절한 후 너트를 조인다.
따라서, 레일바이크(200)가 걸림돌기(121)에 의해 고정되어 후방으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충격흡수유닛(210)에 의해 걸림돌기(121)를 밀 때의 충격을 흡수하여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으며, 연결부싱(127)에 의해 동력전달부재(200)가 휘어질 수 있어 곡선로를 운행할 수 있다.
또한, 장력조절기(131)로 장력을 조절하여 동력전달부재(120)가 레일바이크(200)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40)로 레일바이크(200)의 진입여부를 감지하여 견인구동부(110)의 작동을 제어하므로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110 : 견인구동부
111 : 구성모터 113 : 감속기
115 : 구동스프로킷 117 : 종동스프로킷
120 : 동력전달부재 121 : 걸림돌기
123 : 지지스프링 125 : 제1 체인판
126 : 제 2 체인판 127 : 연결부싱
128 : 롤러 129 : 체인핀
130 : 견인종동부 131 : 장력조절기
133 : 종동축 135 : 프레임
136 : 가이드 137 : 장력조절스프링
139 : 거리조절부재 140 : 센서부
141 : 센서프레임 142 : 바퀴가압부
143 : 가압부 144 : 가압연장부
145 : 스위치부 146 : 제1 복귀스프링고정부
147 : 복귀스프링 148 : 제2 복귀스프링고정부
149 : 힌지결합부 200 : 레일바이크
205 : 바퀴 210 : 충격흡수유닛
211 : 브래킷 212 : 걸림대
213 : 충격부재 214 : 길이조절공
215 : 충격결합부재 217 : 충격흡수스프링
250 : 레일

Claims (8)

  1. 레일에 설치되어 레일바이크를 견인하는 레일바이크 견인장치에 있어서,
    상기 레일바이크를 견인할 끝부분의 레일 사이에 위치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견인구동부,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레일바이크가 걸쳐져 상기 레일바이크를 견인하는 동력전달부재,
    상기 레일바이크를 견인할 시작부분의 레일 사이에 위치되어 상기 동력전달부재에 의해 상기 견인구동부와 연결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장력을 조절하는 장력조절기를 포함하는 견인종동부, 및
    상기 레일바이크를 견인할 시작부분에 위치되어 상기 레일바이크의 진입 시 상기 구동모터를 작동시키는 센서부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한 쌍이 마주보도록 위치되는 제1 체인판,
    상기 제1 체인판의 양단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싱,
    상기 제1 체인판의 외측면에 각각 위치되어 상기 제1 체인판의 끝단에 상기 연결부싱을 관통하는 형태로 체인핀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체인판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싱은
    상기 체인핀이 상기 연결부싱의 중앙을 중심으로 기울어질 수 있도록 상기 연결부싱의 중앙부분에서 양측단으로 갈수록 직경이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견인구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력을 변환하는 감속기, 및
    상기 감속기에서 변환된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동력전달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스프로킷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서로 이격되도록 복수 개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상기 레일바이크가 걸쳐지는 걸림돌기, 및
    상기 걸림돌기가 세워진 상태로 위치되도록 상기 걸림돌기를 상기 동력전달부재에서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지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조절기는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연결되는 종동스프로킷이 구비된 종동축,
    상기 종동축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종동축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장력조절스프링, 및
    상기 프레임에서 상기 종동축의 사이 거리를 조절하는 거리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바이크는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상기 레일바이크에 걸쳐질 때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흡수유닛은
    상기 레일바이크에 고정되는 브래킷,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걸쳐지는 충격부재,
    상기 충격부재를 상기 브래킷에서 상기 동력전달부재가 충격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충격결합부재, 및
    상기 충격부재와 상기 브래킷의 사이에 삽입되어 상기 충격부재의 충격을 흡수하는 충격흡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상기 레일바이크가 지나는 레일이 위치된 부분에 결합되는 센서프레임,
    상기 레일바이크의 바퀴에 의해 가압되어 회전하도록 상기 센서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가압부,
    상기 가압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구동모터를 온 또는 오프하는 스위치부, 및
    상기 센서프레임에서 상기 가압부를 탄성적으로 지지하여 상기 가압부에 상기 바퀴에 의한 가압력이 해제되면 상기 가압부를 초기위치로 회전시키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KR1020130124629A 2013-10-18 2013-10-18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KR10138936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629A KR101389360B1 (ko) 2013-10-18 2013-10-18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24629A KR101389360B1 (ko) 2013-10-18 2013-10-18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360B1 true KR101389360B1 (ko) 2014-04-29

Family

ID=50658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24629A KR101389360B1 (ko) 2013-10-18 2013-10-18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36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99A1 (ko) * 2017-03-14 2018-09-20 주식회사 세진아이지비 가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구동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43A (ja) * 1994-07-11 1996-01-30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の張力設定装置
KR20060033902A (ko) * 2003-07-07 2006-04-20 센요 기코 가부시키가이샤 반송 시스템
KR200453025Y1 (ko) * 2010-12-24 2011-03-31 (주)대천리조트 레일바이크
KR200460936Y1 (ko) * 2009-06-29 2012-06-14 (주)한국에이앤지 레일바이크의 전력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6443A (ja) * 1994-07-11 1996-01-30 Tsubakimoto Chain Co チェーンの張力設定装置
KR20060033902A (ko) * 2003-07-07 2006-04-20 센요 기코 가부시키가이샤 반송 시스템
KR200460936Y1 (ko) * 2009-06-29 2012-06-14 (주)한국에이앤지 레일바이크의 전력 공급장치
KR200453025Y1 (ko) * 2010-12-24 2011-03-31 (주)대천리조트 레일바이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69199A1 (ko) * 2017-03-14 2018-09-20 주식회사 세진아이지비 가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구동장치
KR101904117B1 (ko) * 2017-03-14 2018-10-04 주식회사 세진아이지비 가이드 모듈 및 그를 구비하는 구동장치
CN109476429A (zh) * 2017-03-14 2019-03-15 世进 Igb 株式会社 引导模块及具备该引导模块的驱动装置
US11208119B2 (en) 2017-03-14 2021-12-28 Sejin-iGB Co., Ltd. Guide module and driving device hav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15654B1 (en) Linear to rotary drive system for bicycles and similar vehicles
CN202214152U (zh) 桥式起重机小车行走牵引机构
CN107054403B (zh) 一种机车车辆防溜装置
KR101098524B1 (ko) 급경사지에서 운행가능한 레일바이크 구조
KR101389360B1 (ko) 레일바이크 견인장치
CN107758245B (zh) 一种丘陵山区自走式电动双轨运输机
CN204342282U (zh) 用于架桥机的多功能纵移驱动装置
CN104512802B (zh) 用于架桥机的多功能纵移驱动装置
CN205890872U (zh) 一种自动调节张力架空人车
KR102007332B1 (ko) 견인프레임 수납 기능을 가진 카라반
CN102913021B (zh) 一种横移运动一机多板的升降横移式停车设备
CN209814014U (zh) 一种铁路货车用手制动装置
CN104895364A (zh) 可左右旋转的无避让立体停车设备
CN113059966B (zh) 一种汽车外置绞盘
CN211766150U (zh) 漂流筏助力装置
CN101386393A (zh) 可移动式自动扶梯下端张紧装置
CN204701628U (zh) S型弯道绳式推车机
CN204983796U (zh) 可左右旋转的无避让立体停车设备
JP2014098246A (ja) セグメント台車の移送装置と移送方法
KR101478338B1 (ko) 견인차량용 무게중심 가변장치
CN201457679U (zh) 链条涨紧器
CN201343033Y (zh) 一种小车行走机构
RU250967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становки на путь и перемещения сошедшего с рельсов подвижного состава
CN107200093B (zh) 单前轮车用竖直升降式前支撑脚装置
CN218616605U (zh) 一种防滑坡的可锁定转向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4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