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221B1 - 스크류 압축기 - Google Patents

스크류 압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221B1
KR101389221B1 KR1020110124020A KR20110124020A KR101389221B1 KR 101389221 B1 KR101389221 B1 KR 101389221B1 KR 1020110124020 A KR1020110124020 A KR 1020110124020A KR 20110124020 A KR20110124020 A KR 20110124020A KR 101389221 B1 KR101389221 B1 KR 1013892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path
pressure
discharge
space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24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537A (ko
Inventor
노보루 쯔보이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고베 세이코쇼
Publication of KR201200575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5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2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2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9/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4C18/00 - F04C28/00
    • F04C29/12Arrangements for admission or discharge of the working fluid, e.g.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18/00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18/08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 F04C18/12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 F04C18/14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 F04C18/16Rotary-piston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of intermeshing-engagement type, i.e. with engagement of co-operating members similar to that of toothed gearing of other than internal-axis type with toothed rotary pistons with helical teeth, e.g. chevron-shaped, screw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8/0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8/10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 F04C28/16Control of, monitoring of,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mps or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characterised by changing the positions of the inlet or outlet openings with respect to the working chamber using lift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C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C23/00Combinations of two or more pumps, each being of rotary-piston or oscillating-piston type,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Pumping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Multi-stage pumps 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s
    • F04C23/008Hermetic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lications Or Details Of Rotary Compressors (AREA)

Abstract

케이싱 내에 형성된 로터실에 서로 맞물리는 암수 한 쌍의 스크류 로터를 수용하고, 스크류 로터에 의해 흡입 유로로부터 흡입된 기체를 압축하여 토출 유로로부터 토출하는 스크류 압축기에는, 로터실 내의 공간에 있어서, 흡입 유로 및 토출 유로로부터 스크류 로터에 의해 격리될 수 있는 중간 압력부와 토출 유로로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로 개방하는 기능 단부면을 구비하는 기둥 형상 공간과, 기둥 형상 공간 내에 끼움 장착되어 기능 단부면에 접촉함으로써 중간 압력부와 바이패스 유로를 격리하는 피스톤을 갖고, 기둥 형상 공간의 기능 단부(2)와 반대 측의 공간을 토출 유로로 연통시키는 검압 유로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간단한 구조에 의해 기계적 압축비를 변경할 수 있다.

Description

스크류 압축기 {SCREW COMPRESSOR}
본 발명은 스크류 압축기에 관한 것이다.
스크류 압축기의 흡입 유로의 압력 및 토출 유로의 압력은 급기 설비(대기 흡입의 경우에는 대기압) 및 수요 설비에 의해 결정된다. 한편, 스크류 압축기의 로터실로부터 토출 유로로 토출되기 직전의 기체의 압력은 흡입 유로의 압력과 스크류 압축기의 기계적 압축비(용적비)에 의해 결정된다. 로터실로부터 토출되기 직전의 기체 압력이 토출 유로의 압력보다도 높은 경우, 토출 유로로 토출된 순간에 기체는 팽창하여 압력이 저하된다. 따라서, 이 차압 분의 압축에 소요된 동력은 모두 낭비로 되어 버린다.
스크류 압축기에는 예를 들면 일본 특허 출원 공개 평9-317676호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토출 포트의 개방도를 변경하는 슬라이드 밸브를 구비하여 기계적 압축비를 조정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슬라이드 밸브는 구조가 복잡하고 비용이 크게 증가한다. 또한, 슬라이드 밸브는 제어가 복잡해진다는 단점도 있다.
상기 문제점에 감안하여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면서 기계적 압축비를 변경할 수 있는 스크류 압축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의한 스크류 압축기는 케이싱 내에 형성된 로터실에 서로 맞물리는 암수 한 쌍의 스크류 로터를 수용하고, 상기 스크류 로터에 의해 흡입 유로로부터 흡입된 기체를 압축하여 토출 유로로부터 토출하는 스크류 압축기이며, 상기 로터실 내의 공간으로서, 상기 흡입 유로 및 상기 토출 유로로부터 상기 스크류 로터에 의해 격리될 수 있는 중간 압력부와, 상기 중간 압력부로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로 개방하는 기능 단부면을 구비하는 기둥 형상 공간과, 상기 기둥 형상 공간 내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기능 단부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중간 압력부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격리하는 피스톤을 갖고, 상기 기둥 형상 공간의, 상기 피스톤에 대하여 상기 기능 단부면과 반대 측의 공간을 상기 토출 유로로 연통시키는 검압 유로를 설치하고 있다.
이 구성에 따르면, 중간 압력부의 압력이 토출 압력보다 높은 경우에는, 피스톤이 기능 단부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중간 압력부와 바이패스 유로가 연통된다. 따라서 중간 압력부로부터 토출 유로로 기체가 유출, 즉 실질적으로 스크류 압축기의 기계적 압축비가 저하된다. 따라서, 과잉 압축 때문에 동력을 소비하는 경우가 없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은 중간 압력부와 토출 유로의 압력차에 의해 피스톤을 이동시키고, 바이패스 유로를 개방(중간 압력부를 토출 유로에 접속)/폐쇄(중간 압력부를 토출 유로로부터 격리)함으로써 기계적 압축비를 변화시키는 것이기 때문에 구동을 위한 동력이나 제어가 불필요하고 그 구조도 간단하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류 압축기는, 상기 기둥 형상 공간의 상기 기능 단부면과 반대 측의 공간을 상기 흡입 유로로 연통시키는 저압 유로를 더 갖고, 상기 검압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검압 유로 밸브와, 상기 저압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저압 유로 밸브를 설치한 것으로 해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검압 유로 밸브를 차단하고 저압 유로 밸브를 개방함으로써, 피스톤을 기능 단부면으로부터 이격시켜서 토출 유로의 압력에 관계 없이, 스크류 압축기의 기계적 압축비를 낮은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중간 압력부의 압력과 토출 유로의 압력이 비슷한 경우에는, 바이패스 유로가 개방 및 폐쇄를 빈번히 반복할 가능성이 있으나, 검압 유로 밸브 및 저압 유로 밸브에 의해 바이패스 유로를 개방 상태로 유지함으로써, 피스톤의 이동에 의한 스크류 압축기의 압축비 변화에 수반하는 토출 유로의 압력 변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스크류 압축기에 있어서, 상기 중간 압력부는, 상기 스크류 로터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는 상기 토출 유로와 연통할 수 있는 부분이어도 된다.
이 구성에 따르면, 바이패스 유로를 개방한 상태에서 바이패스 유로로부터 분리된 후에 작용 공간 내에서 기체를 재압축하지 않으므로 불필요한 압축일을 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스크류 압축기의 축 방향 수직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스크류 압축기의 축 방향 수평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스크류 압축기의 축 직각 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스크류 압축기의 축 직각 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스크류 압축기의 축 방향 수평 단면도.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인 스크류 압축기(1)의 구성을 도시한다. 스크류 압축기(1)는 케이싱(2)에 형성된 로터실(3)에 서로 맞물리는 수형 스크류 로터(4)및 암형 스크류 로터(5)을 수용하고 있으며, 또한 케이싱(2)에 형성된 모터실(6)에 수형 로터(4)을 구동하는 모터의 회전자(7) 및 고정자(8)를 수용하고 있다.
스크류 압축기(1)는 모터실(6)의 단부에 형성된 흡입구(9)로부터 외기를 흡입하여 로터실(3)과 모터실(6)을 접속하는 흡입 유로(10)를 통해 기체를 로터실(3)에 공급한다. 흡입구(9)의 내부에는 급기 필터(11)가 설치되어 있다. 로터실(3)에 공급된 기체는 로터실(3) 내의 수형 스크류 로터(4) 및 암형 스크류 로터(5)에 의해 구획되는 작용 공간 내에서 압축되어 토출 유로(12)을 통하여 토출 공간(13)으로 토출되고, 토출구(14)로부터 원하는 설비로 공급된다. 스크류 로터(3, 4)의 축은 베어링(15 내지 18)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나, 토출측의 베어링(16), (18)은 로터실(3)을 밀봉하는 베어링 블록(19)에 보유 지지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베어링 블록(19)에는 로터실(3)의 토출측 단부의 암형 스크류 로터(5) 측의 외측 테두리부에 개구가 형성되는 기둥 형상 공간(20)이 형성되어 있다. 기둥 형상 공간(20)의 내부에는 피스톤(21)이 끼움 장착되어 있다. 케이싱(2)의 베어링 블록(19)과 밀접한 단부면에는 로터실(3)의 외측이며, 기둥 형상 공간(20)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베어링 블록(19)의 외측까지 연신되는 홈이 형성되어 있고, 기둥 형상 공간(20)과 토출 공간(13)을 연통시키는 바이패스 유로(22)가 구획되어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 형상 공간(20)은 로터실(3) 공간이며, 스크류 로터(4, 5)에 의해 형성되는 작용 공간이 토출 유로(12)로부터 격리될 수 있는 부분인 중간 압축부로 개방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피스톤(21)은 기둥 형상 공간(20)의 로터실(3)측의 단부면[기능 단부면(23)]에 접촉함으로써, 로터실의 중간 압력부와 바이패스 유로(22)를 격리할 수 있다. 또한 기둥 형상 공간(20)의 기능 단부면(23)과 반대 측에는 토출 공간(13)으로 연통되고, 기둥 형상 공간(20)의 기능 단부면(23)과 반대 측의 내부 공간의 압력을 토출 공간(13), 나아가서는 토출 유로(12)와 같은 압력으로 하기 위한 검압 유로(24)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 유로(10)의 압력은 외기의 압력과 동일하고, 토출 공간(13) 및 토출 유로(12)의 압력은 수요 설비의 설정 압력과 동일해진다. 중간 압력부의 압력은 흡입 유로(10)로부터 격리된 순간의 작용 공간의 용적과 기둥 형상 공간(20)으로 개방된 순간의 작용 공간의 용적 비인 용적비(예를 들어 Vi=2.0)와 흡입 유로(10)의 압력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로터실(3) 내에 있어서의 압력은 폴리트로프 변화로서 산출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로터(3) 실내의 중간 압력부의 압력이 토출 공간(13)의 압력보다도 낮을 경우, 바이패스 유로(22) 및 기둥 형상 공간(20)을 통해서 토출 공간(13)으로부터 로터실(3)로 기체가 유입된다. 이 때, 바이패스 유로(22) 및 기둥 형상 공간(20)에 있어서의 압력 손실에 의해 기둥 형상 공간(20)의 기능 단부면(23) 측의 공간 압력은, 피스톤(21)을 사이에 두고 반대 측의 공간보다도 약간 낮아진다. 따라서, 피스톤(21)이 로터실(3) 측으로 이동하여 기능 단부면(23)에 밀접함으로써, 바이패스 유로(22)를 로터실(3)로부터 격리한다. 따라서, 스크류 압축기(1)는, 기둥 형상 공간(20) 및 바이패스 유로(22)가 설치되어있지 않은 통상의 스크류 압축기와 동일 상태로 되고, 흡입 유로(10)로부터 격리된 순간의 작용 공간의 용적과, 토출 유로(12)로 개방된 순간 작용 공간의 용적 비(예를 들어 Vi=3.0)로 기체를 압축한다.
로터(3) 실내의 중간 압력부의 압력이 토출 공간(13)의 압력보다도 높은 경우, 이 압력차에 의해 피스톤(21)이 기능 단부면(23)으로부터 이격되고, 중간 압력부로부터 기둥 형상 공간(20) 및 바이패스 유로(22)을 통하여 토출 공간(13)으로 기체가 유출한다. 스크류 압축기(1)에서는 스크류 로터(4, 5)의 회전에 따라 작용 공간이 이동하나, 작용 공간이 기둥 형상 공간(20)으로 개방되어 있는 동안은 작용 공간의 체적이 감소한 만큼 기체를 토출 공간(13)으로 유출시켜 압축일을 하지 않는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둥 형상 공간(20)으로 연통하는 중간 압력부는, 암형 로터(5)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는 토출 유로(12)와도 연통할 수 있다. 즉, 작용 공간이 한번 기둥 형상 공간(20)으로 개방되면, 작용 공간이 기둥 형상 공간(20)으로부터 격리된 이후에도 압축일은 하지 않아, 쓸데 없는 에너지를 소비하지 않는다. 바꾸어 말하면 피스톤(21)이 기능 단부면(23)으로부터 이격되면 실질적으로 토출 유로(12)가 커지는 것과 같은 효과가 있어 스크류 압축기(1)의 기계적 압축비를 Vi=2.0으로 저하시킨다.
도 4에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스크류 압축기(1a)를 도시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중복하는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의 스크류 압축기(1a)는 제1 실시 형태와 같은 배치인 제1의 기둥 형상 공간(20)과 토출 유로(12) 사이에 제2의 피스톤(21a)이 끼움 장착된 제2의 기둥 형상 공간(20a)이 설치되어 있다. 케이싱(2)에는 제2의 기둥 형상 공간(20a)에 대향하는 위치로부터 연신되어 토출 유로(12)로 개방되는 홈이 형성되어 제2의 바이패스 유로(22a)를 구획하고 있다. 제2의 기둥 형상 공간(20a), 피스톤(21a) 및 바이패스 유로(22a)의 작용은 제1 의 기둥 형상 공간(20), 피스톤(21) 및 바이패스 유로(22)와 동일하고, 로터실(3)을 바이패스 유로(22a)에 접속했을 때의 용적비(예를 들어 Vi=2.5)만이 다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3개의 용적비(Vi=3.0, 2.5, 2.0) 중에서 최적인 용적비가 자동적으로 선택되어 스크류 압축기(1a)가 수요 설비가 필요로 하는 압력 이상으로 과도하게 기체를 압축하는 것에 의한 동력 손실을 더욱 효과적으로 저감할 수 있다.
도 5에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스크류 압축기(31)을 도시한다. 본 실시 형태의 스크류 압축기(31)는 케이싱(32)에 형성된 로터실(33)에 서로 맞물리는 수형 스크류 로터(34) 및 암형 스크류 로터(35)을 수용하고 있고, 흡입 유로(36)로부터 흡입한 기체를 토출 유로(37)로 토출한다. 토출 유로(37)는 직접 외부의 토출 배관(38)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케이싱(32)에는 로터실(33)의 토출 측의 단부면에 개방되는, 스크류 로터(34), (35)에 의해 토출 유로(37)로부터 격리될 수 있는 중간 압력부로 연통할 수 있는 기둥 형상 공간(39)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둥 형상 공간(39)은 중간 압력부로 개방하는 기능 단부면(40)이 케이싱(32)의 로터실(33)의 직경 방향 외측에 형성한 바이패스 유로(41)에도 개방되어, 중간 압력부와 바이패스 유로(41)를 간접적으로 접속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기둥 형상 공간(39) 내에는 피스톤(42)이 끼움 장착되어 있으며 피스톤(42)이 기능 단부면(40)에 밀접함으로써 중간 압력부와 바이패스 유로(41)를 분리시킬 수 있다. 바이패스 유로(41)는 케이싱(32)의 외부에 설치한 바이패스 배관(43)을 거쳐 토출 배관(38), 나아가서는 토출 유로(37)로 연통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스크류 압축기(31)는 기둥 형상 공간(39)의 기능 단부면(40)과 반대 측 공간을 토출 배관(38) 및 바이패스 배관(43)을 통하여 토출 유로(37)로 연통시키는 외부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검압 유로(44)와 기둥 형상 공간(39)의 기능 단부면(40)과 반대 측의 공간을 흡입 유로(36)로 연통시키는 외부 배관으로 이루어지는 저압 유로(45)를 갖는다. 검압 유로(44)에는 그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검압 유로 밸브(46)가 설치되고, 저압 유로(45)에는 그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저압 유로 밸브(47)가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검압 유로 밸브(46)을 폐쇄하고 저압 유로 밸브(47)를 개방함으로써, 토출 유로(37)의 압력에 관계없이 기둥 형상 공간(39)의 기능 단부면(40) 측의 압력이 피스톤(42) 반대 측의 내부 공간의 압력보다도 항상 높아지도록 하여 바이패스 유로(41)를 로터실(33)의 중간 압력부로 연통시킨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토출 유로(37)의 압력이 로터실(33)의 중간 압력부의 압력 전후에서 변동할 경우에, 피스톤(42)이 빈번히 이동하여, 중간 압력부를 바이패스 유로(41)에 접속 및 절단하는 것을 반복하여 토출 압력을 변동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운전은 스크류 압축기(31)의 흡입 압력과 토출 압력을 검출하고, 그 비율이 소정의 범위에 있는 경우에 행해지도록 프로그램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스크류 압축기는 냉매가 통하는 순환 유로에 압축기, 응축기, 팽창 수단, 증발기 등이 개재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냉동 장치에 적용되어도 좋다.

Claims (3)

  1. 케이싱 내에 형성된 로터실에 서로 맞물리는 암수 한 쌍의 스크류 로터를 수용하고, 상기 스크류 로터에 의해 흡입 유로로부터 흡입된 기체를 압축하여 토출 유로로부터 토출하는 스크류 압축기이며,
    상기 로터실 내의 공간으로서, 상기 흡입 유로 및 상기 토출 유로로부터 상기 스크류 로터에 의해 격리될 수 있는 중간 압력부와, 상기 토출 유로로 연통하는 바이패스 유로로 개방하는 기능 단부면을 구비하는 기둥 형상 공간과,
    상기 기둥 형상 공간 내에 끼움 장착되어 상기 기능 단부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중간 압력부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격리하는 피스톤을 갖고,
    상기 기둥 형상 공간의, 상기 피스톤에 대하여 상기 기능 단부면과 반대 측의 공간을 상기 토출 유로로 연통시키는 검압 유로를 설치하고 있고,
    상기 중간 압력부의 기체의 압력이 상기 토출 유로의 기체의 압력보다도 낮은 경우, 당해 압력차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기능 단부면에 접촉함으로써 상기 중간 압력부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격리하고, 상기 중간 압력부의 기체의 압력이 상기 토출 유로의 기체의 압력보다도 높은 경우, 당해 압력차에 의해 상기 피스톤이 상기 기능 단부면으로부터 이격됨으로써 상기 중간 압력부의 기체가 상기 바이패스 유로를 통해 토출 유로로 유출하는, 스크류 압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둥 형상 공간의 상기 기능 단부면과 반대 측의 공간을 상기 흡입 유로로 연통시키는 저압 유로를 더 갖고,
    상기 검압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검압 유로 밸브와, 상기 저압 유로를 차단할 수 있는 저압 유로 밸브를 설치하고 있는, 스크류 압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압력부는 상기 스크류 로터의 회전 위치에 따라서는 상기 토출 유로와 연통할 수 있는 부분인, 스크류 압축기.
KR1020110124020A 2010-11-26 2011-11-25 스크류 압축기 KR10138922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263343 2010-11-26
JP2010263343A JP5383632B2 (ja) 2010-11-26 2010-11-26 スクリュ圧縮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537A KR20120057537A (ko) 2012-06-05
KR101389221B1 true KR101389221B1 (ko) 2014-04-24

Family

ID=449253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4020A KR101389221B1 (ko) 2010-11-26 2011-11-25 스크류 압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622725B2 (ko)
EP (1) EP2458215B1 (ko)
JP (1) JP5383632B2 (ko)
KR (1) KR101389221B1 (ko)
CN (1) CN1024779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411677B1 (en) * 2009-03-26 2019-09-11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Compressor with a bypass port
JP5715111B2 (ja) * 2012-12-12 2015-05-07 株式会社神戸製鋼所 発電装置及び発電システム
JP5527396B1 (ja) * 2012-12-17 2014-06-18 ダイキン工業株式会社 スクリュー圧縮機
BE1023392B1 (nl) * 2015-08-31 2017-03-01 Atlas Copco Airpower Naamloze Vennootschap Werkwijze voor het regelen van het toerental van een compressor in functie van het beschikbaar gasdebiet van een bron en sturing en compressor daarbij toegepast.
CN105240053B (zh) * 2015-11-04 2018-07-13 江西宝象科技有限公司 螺杆膨胀机
US10677246B2 (en) 2016-07-18 2020-06-09 Johnson Controls Technology Company Variable volume ratio compressor
CN108150425B (zh) * 2017-12-21 2023-10-20 珠海格力电器股份有限公司 压缩机及空气调节设备
JP7025227B2 (ja) * 2018-01-25 2022-02-24 コベルコ・コンプレッサ株式会社 冷凍装置
CN108757450B (zh) * 2018-05-14 2020-04-28 西安交通大学 一种采用滑动轴承的螺杆压缩机
TWI703269B (zh) * 2019-03-21 2020-09-01 亞台富士精機股份有限公司 適用於幫浦機台的排氣結構及幫浦機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13078A (ko) * 1997-07-31 1999-02-25 원윤희 스크류 압축기용 리프트밸브
KR100284151B1 (ko) 1997-01-06 2001-03-02 윌리엄 더블유. 하벨트 스크루압축기용복합밸브
JP2001336489A (ja) * 2000-05-29 2001-12-07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用リショルム圧縮機
JP2003003976A (ja) * 2001-06-26 2003-01-08 Kobe Steel Ltd スクリュ圧縮機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9833Y2 (ja) * 1980-04-21 1984-06-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全域リリ−フ弁付きスクリユ−型圧縮機
US5195881A (en) * 1991-04-09 1993-03-23 George Jr Leslie C Screw-type compressor/expander with valves at each axial end of rotors
US5207568A (en) * 1991-05-15 1993-05-04 Vilter Manufacturing Corporation Rotary screw compressor and method for providing thrust bearing force compensation
JP3593365B2 (ja) * 1994-08-19 2004-11-24 大亜真空株式会社 ねじれ角可変型歯車
JPH09317676A (ja) 1996-05-23 1997-12-09 Hitachi Ltd スクリュー圧縮機の容量制御装置
JP3499110B2 (ja) 1997-08-11 2004-02-23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油冷式スクリュ圧縮機
TW533275B (en) 1997-09-10 2003-05-21 Kobe Steel Ltd Screw compressor
DE60132518T2 (de) 2000-06-23 2009-02-19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Kobe Steel, Ltd.), Kobe Schraubenkompressor für ein Kältegerät
JP3796210B2 (ja) 2002-11-01 2006-07-12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クリュ圧縮機
JP4431184B2 (ja) * 2008-06-13 2010-03-1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スクリュ圧縮装置
US8801395B2 (en) * 2008-06-16 2014-08-12 Gardner Denver, Inc. Startup bypass system for a screw compressor
JP2010077897A (ja) * 2008-09-26 2010-04-08 Hitachi Appliances Inc スクリュー圧縮機
US8082747B2 (en) * 2008-12-09 2011-12-27 Thermo King Corporation Temperature control through pulse width modulation
CN101705941B (zh) * 2009-11-16 2011-10-05 南通市红星空压机配件制造有限公司 螺杆式空压机进气阀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84151B1 (ko) 1997-01-06 2001-03-02 윌리엄 더블유. 하벨트 스크루압축기용복합밸브
KR19990013078A (ko) * 1997-07-31 1999-02-25 원윤희 스크류 압축기용 리프트밸브
JP2001336489A (ja) * 2000-05-29 2001-12-07 Nissan Motor Co Ltd 燃料電池用リショルム圧縮機
JP2003003976A (ja) * 2001-06-26 2003-01-08 Kobe Steel Ltd スクリュ圧縮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458215B1 (en) 2020-06-24
JP2012112338A (ja) 2012-06-14
EP2458215A3 (en) 2016-10-05
US20120134866A1 (en) 2012-05-31
CN102477980B (zh) 2014-12-31
JP5383632B2 (ja) 2014-01-08
KR20120057537A (ko) 2012-06-05
US8622725B2 (en) 2014-01-07
EP2458215A2 (en) 2012-05-30
CN102477980A (zh) 201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9221B1 (ko) 스크류 압축기
US8337183B2 (en) Oil return valve for a scroll compressor
US9638191B2 (en) Capacity modulated scroll compressor
US9169840B2 (en) Piston operated bypass valve for a screw compressor
US8651842B2 (en) Scroll compressor with opening/closing mechanism for the back pressure space
US7891957B2 (en) Capacity variable type rotary compressor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20080085207A1 (en) Oil-flooded screw compressor with axial-thrust balancing device
US20170248353A1 (en) High pressure compressor and refrigerating machine having a high pressure compressor
US10145374B2 (en) Screw compressor
KR101909606B1 (ko) 스크롤 압축기
KR102126815B1 (ko) 냉동 장치
US6217302B1 (en) Floating seal bias for reverse fun protection in scroll compressor
US6418740B1 (en) External high pressure to low pressure valve for scroll compressor
KR100578662B1 (ko) 스크롤압축기의 진공방지장치
KR101330332B1 (ko) 2단 스크류 압축식 냉동 장치
KR102649533B1 (ko) 압축기
JP4048768B2 (ja) 気体圧縮機
CA2545394A1 (en) Seal member for scroll compressors
JP2016102438A (ja) 気体圧縮機
JP2008144670A (ja) ロータリ圧縮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30902

Effective date: 20140122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