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9152B1 - 주퇴복좌식 화포 - Google Patents

주퇴복좌식 화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9152B1
KR101389152B1 KR1020120156087A KR20120156087A KR101389152B1 KR 101389152 B1 KR101389152 B1 KR 101389152B1 KR 1020120156087 A KR1020120156087 A KR 1020120156087A KR 20120156087 A KR20120156087 A KR 20120156087A KR 101389152 B1 KR101389152 B1 KR 1013891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pace
barrel
support
f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6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상배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56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915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91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91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간단한 구조의 기구적 메커니즘으로 포탄 발사 전후의 주퇴복좌 운동 이후에 포신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주퇴복좌식 화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퇴복좌식 화포는 화포 무장 조립체, 화포 무장 조립체에 장착된 포신 및 화포 무장 조립체에 결합되어 포신을 고정하는 포신 고정 기구를 포함한다. 포신 고정 기구는, 화포 무장 조립체에 결합된 하우징; 하우징의 제 1 공간 내에 장착된 피스톤 조립체; 피스톤 조립체에 고정되어 피스톤 조립체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지지대; 하우징의 제 2 공간 내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하는 고정 래치; 하우징의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되되, 한 종단은 지지대의 종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종단은 고정 래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피스톤 조립체에 의한 지지대의 상향 이동에 따라 고정 래치를 상향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포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주퇴복좌식 화포{Gunfire provided with recoil mechanism}
본 발명은 화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간단한 기구학적 메커니즘으로 주퇴복좌식 포신을 고정할 수 있는 화포에 관한 것이다.
화포를 이용한 포탄 발사 과정에서 작용/반작용의 법칙에 따라 포탄에 작용하는 힘과 동일한 크기의 힘이 포신에 작용한다. 이 힘으로 인하여 포신은 포탄의 발사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주퇴), 또 다른 포탄 발사를 위하여 뒤로 밀린 포신은 포탄의 발사 후에 원래의 위치로 돌아갈 수 있어야 한다(복좌).
전방 운동량 발생에 의한 사격 충격력을 저감하는 주퇴복좌 방식은 초기에 일정 거리 만큼 주퇴된 상태로 전방 가속력을 지지하게 된다. 사격 명령이 내려지면 주퇴 운동부를 고정하고 있던 포신 고정 기구가 해제되어 전방 가속 중에 격발이 되어 포탄이 발사된다.
이후에 주퇴 운동부는 전방 운동량과 사격 충격 운동량이 서로 상쇄되고 남은 사격 충격 운동량에 의해 주퇴되어 원래의 고정 위치를 지났다가 복좌해서 초기 위치에 재고정된다. 이 짧은 시간에 주퇴 운동부를 "고정"→"해제"→"(재)고정"시키는, 신뢰성이 높은 선형 운동량 제어 장치가 요구된다.
도 1은 주퇴복좌식 화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화포를 구성하는 화포 무장 조립체(1), 화포 무장 조립체(1)에 장착된 포신(2; 주퇴 운동부) 및 화포 무장 조립체(1)에 결합되어 포신(2)을 고정하는 포신 고정 기구(10)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신 고정 기구(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포신 고정 기구(10)는 하우징(11) 및 하우징(11)의 내부 공간에 수용된 피스톤 조립체(15), 연결기(14) 및 래치 하우징(13)을 포함한다.
피스톤 조립체(15)는 한 종단부가 하우징(11)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래치 하우징(13)은 하우징(11) 내에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한편, 래치 하우징(13) 내에는 고정 래치(11)가 수용되어 있다. 여기서, 포신(2)은 고정 래치(11)에 대응되어 있다.
래치 하우징(13)과 피스톤 조립체(15)는 연결기(1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즉, 연결기(14)의 한 종단부는 피스톤 조립체(15)의 실린더(16)에 제 1 샤프트(S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또다른 종단부는 래치 하우징(13)과 제 2 샤프트(S2)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포탄 발사 후 포신(2)의 이동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포신 고정 기구(10)의 구성 요소의 위치 변화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3a 내지 도 3c에서는 편의상 포신(2)을 박스 형태로 도시하였다.
도 3a의 초기 상태(고정 래치(12)와 포신(2) 간의 래치 상태)에서, 화포에 사격 명령이 떨어지면 고정 래치(12)와 포신(2)의 접촉 상태(래치 상태)가 해제되며, 포신(2)은 전방(포신 고정 기구가 장착된 부분과 반대 방향)으로 가속된다.
포신(2)의 가속 중에 추진제가 점화되어 사격 충격력이 발생하면, 포신의 초기의 전방 가속력과 사격 충격력 간의 운동량 교환이 이루어지며, 이후 여분의 힘(사격 충격력)에 의하여 포신(2)은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포신(2)에 의하여 고정 래치(12)는 포신(2)에 의하여 눌려지면서 래치 하우징(11) 내로 진입하며, 이와 동시에 래치 하우징(13)은 하우징(11) 내로 회전하게 되며, 그 힘에 의하여 연결기(14)도 래치 하우징(13)에 대하여 회전하면서 하향 이동한다. 이 과정에서, 피스톤 조립체(15)의 실린더(16)가 신장되면서 연결기(14)와 래치 하우징(13)의 이동에 의한 길이 연장을 보상한다. 물론, 피스톤 조립체(15) 역시 하우징(11) 내에서 회전한다(도 3b의 상태).
이후, 복좌 운동에 의하여 포신(2)이 초기 위치로 이동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고정 래치 하우징(13)은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토션 스프링(도시되지 않음)에 의해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하고, 연결기(14) 그리고 피스톤 조립체(15)도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도 3c의 상태). 이때, 고정 래치(12)는 포신(2)에 의하여 눌려진 상태이다.
포신(2)이 초기 위치로 완전히 복귀(도 3a)하면, 고정 래치(12)에 작용하는 외력이 완전히 제거되며, 따라서, 고정 래치(12)의 하부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12-1)에 의하여 고정 래치(12) 역시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포신(2)을 다시 래칭한다.
주퇴 운동부인 포신(2)의 위와 같은 주퇴 및 복좌 운동은 매우 짧은 시간에 이루어지며, 따라서 포신 고정 기구(10)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동작은 래치 하우징(13)의 회전, 연결기(14), 피스톤 조립체(15) 그리고 실린더(16)의 초기 위치 복귀 및 고정 래치(12)의 복귀 (상하 이동) 등과 같은 동작들을 수반한다.
위와 같은 다수의 부재의 작동/운동을 수반하는 포신의 주퇴 및 복좌 과정에서 포신이 초기 위치로 정확하게 위치하기 어려우며, 또한 포신(2)에 가해지는 힘(사격 충격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다수의 구성 요소들 중 어느 한 요소가 오동작하는 경우, 포탄 발사 후 포신(2)은 초기 위치에 정확하게 고정될 수 없다.
본 발명은 화포의 포신 고정 기구가 갖고 있는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간단한 구조의 기구적 메커니즘으로 포탄 발사 전후의 주퇴복좌 운동 이후에 포신을 정확하고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는 주퇴복좌식 화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주퇴복좌식 화포는 화포 무장 조립체, 화포 무장 조립체에 장착된 포신 및 화포 무장 조립체에 결합되어 포신을 고정하는 포신 고정 기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가장 큰 구성 요소인 포신 고정 기구는, 화포 무장 조립체에 결합된 하우징; 하우징의 제 1 공간 내에 장착된 피스톤 조립체; 피스톤 조립체에 고정되어 피스톤 조립체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지지대; 하우징의 제 2 공간 내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하는 고정 래치; 하우징의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되되, 한 종단은 지지대의 종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종단은 고정 래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피스톤 조립체에 의한 지지대의 상향 이동에 따라 고정 래치를 상향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포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하우징의 제 1 공간은 선단부에 형성된 상부 공간부이고, 제 2 공간은 상부 공간부 하부에 형성된 하부 공간부이며, 하부 공간부에는 고정 래치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다.
또한, 지지대는 중앙부가 피스톤 조립체의 피스톤에 고정되며, 그 양 측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되, 각 공간부 내에는 스프링이 수용되고, 각 스프링의 종단에는 각 포크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이동 로드가 고정되어 있으며, 양 측부 선단 및 후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벽이 형성되어 있어 각 포크의 상단부에 형성된 2개의 돌출핀이 지지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특히, 하우징은 그 선단부 양 측벽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제 1 및 제 2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포크의 중앙부가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수용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제 1 및 제 2 돌출부의 하부에 대응하는 양 측벽은 돌출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이와 대응하는 제 1 및 제 2 포크의 내측면에는 지지 로드가 각각 고정되어 있어 지지 로드의 종단부가 하우징의 경사면에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의 돌출부에는 커버가 체결되어 있어 하우징의 각 돌출부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각 포크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제 1 및 제 2 포크의 하단부에는 하우징을 향하여 연장된 후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 래치의 양 측부에는 제 1 및 제 2 작동 바가 각각 장착되어 후크부와 작동 바가 결합할 수 있다.
이와 함께, 고정 래치는 양 측부에 각각 장착되며 제 1 및 제 2 작동 바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포크는 하단부에 하우징을 향하여 연장된 후크부가 각각 포함하여 후크부가 고정 래치의 작동 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도 1은 주퇴복좌식 화포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포신 고정 기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a 내지 도 3c는 포탄 발사 후 포신의 이동에 따른 도 2에 도시된 포신 고정 기구의 구성 요소의 위치 변화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포에 적용된 포신 고정 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를 조립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화포에 적용된 포신 고정 기구의 사시도.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선 A-A 및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
도 7a 및 도 7b, 도 8a 및 도 8b 그리고 도 9a 및 도 9b는 도 7a 및 도 7b의 대응 도면으로서, 포탄 발사 후 포신의 이동에 따른 포신 고정 기구의 구성 요소의 위치 변화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화포, 특히 포신 고정 기구의 구성 및 기능을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주퇴복좌식 화포의 전체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포 무장 조립체, 화포 무장 조립체에 장착된 포신(주퇴 운동부) 및 화포 무장 조립체에 결합되어 포신을 고정하는 포신 고정 기구를 도시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화포는 포신에 대한 포신 고정 기구의 위치 그리고 포신 고정 기구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도 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유사하며, 따라서 이하에서는 포신 고정 기구만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화포에 적용된 포신 고정 기구의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각 구성 요소를 조립한 상태의, 본 발명에 따른 화포에 적용된 포신 고정 기구의 사시도,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도 5의 선 A-A 및 선 B-B를 따라 절취한 상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화포에 적용된 포신 고정 기구(100)는 하우징(110); 하우징(110)의 상부 공간(110-1) 내에 장착된 피스톤 조립체(180); 피스톤 조립체(180)의 상단에 고정된 지지대(190); 하우징(110)의 양 측부에 각각 장착된 제 1 및 제 2 포크(141 및 142); 하우징(110)의 하부 공간(110-2) 내에 수용된 고정 래치(120); 및 고정 래치(120)의 양 측부에 각각 장착된 제 1 및 제 2 작동 바(131 및 142)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다수의 고정 수단(도시되지 않음)에 의하여 화포 무장 조립체(도 1의 1)에 결합되며, 선단부(포신 대응부)에는 상부 공간부(110-1)와 하부 공간부(110-2)가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110)의 상부 공간부(110-1) 내에는 피스톤 조립체(180)가 수용되며, 피스톤 조립체(180)의 피스톤(181)은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된다. 여기서, 하우징(110)의 상부 공간부(110-1)는 덮개(113)에 의하여 밀폐될 수 있으며, 피스톤(181)은 덮개(113)에 형성된 개구를 통하여 연장된다.
피스톤 조립체(180)의 피스톤(181) 상단에는 지지대(190)가 고정된다. 지지대(190)의 양 측부에는 지지대(19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 공간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각 공간부 내에는 스프링(191-1, 191-2)가 수용되어 있다. 또한, 각 스프링(191-1, 191-2)의 종단에는 이동 로드(191, 192)가 고정되어 있다.
이와 함께, 지지대(190)의 양 측부 선단 및 후단에는 지지대(19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벽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지지벽에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10)의 선단부 양 측벽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제 1 및 제 2 돌출부(111, 112)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측벽의 돌출부(예를 들어, 111)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다. 제 1 및 제 2 돌출부(111, 112)의 하부에 대응하는 하우징(110)의 양 측벽은 돌출부(111, 112)를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경사면(111-1, 112-1)으로 구성된다.
하우징(110)의 선단부에 형성된 하부 공간(110-2) 내에는 고정 래치(120)의 일부가 수용된다. 여기서, 고정 래치(120)의 상부에는 스프링(121)이 배치된다. 고정 래치(120)는 그 두께가 전방부에서 후방부(도면 기준)로 갈수록 점차적으로 감소하며, 따라서 하부면(121)은 경사면으로 이루어진다. 고정 래치(120)의 양 측부에는 고정 래치(120)의 폭 방향으로 연장된 수용 공간(도 4에서는 120-1만이 도시됨)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수용 공간(120-1) 내에 제 1 및 제 2 작동 바(131, 132)가 각각 수용, 고정된다.
하우징(110)의 양 측부에 각각 장착된 제 1 및 제 2 포크(141 및 142)는 상단부가 지지대(190)에, 중앙부는 하우징(110)의 제 1 및 제 2 돌출부(111, 112)에, 그리고 하단부는 고정 래치(120)에 장착된 제 1 및 제 2 작동 바(131, 132)에 각각 대응한다.
제 1 및 제 2 포크(141 및 142)는 상단부에는 전방면 및 후방면에 소정 길이 연장된 돌출핀(141-1, 142-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돌출핀(141-1, 142-1)은 지지대(190)의 양 측부 선단 및 후단에 형성된 지지벽의 관통공 내에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포크(141 및 142)의 중앙부는 하우징(110)의 선단부 양 측벽에 형성된 각 돌출부(예를 들어, 111)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며, 커버(161, 162)가 돌출부(111, 112)에 체결됨으로써 제 1 및 제 2 포크(141 및 142)는 하우징(110)의 각 돌출부(예를 들어, 111)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한편, 제 1 및 제 2 포크(141 및 142)의 중앙부는 내측면에는 지지 로드(151, 152)가 고정되어 있으며, 이 지지 로드(151, 152)의 종단부는 하우징(110)의 측벽에 형성된 경사면(111-1, 112-1)에 접촉한다. 한편, 각 지지 로드(151, 152)로서, 볼트 부재가 이용될 수 있으며, 따라서 지지 로드(151, 152)는 그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포크(141 및 142)의 하단부에는 하우징(110)을 향하여 연장된 후크부(141-2, 142-2)가 형성되어 있으며, 후크부(141-2, 142-2)는 고정 래치(120)에 장착된 제 1 및 제 2 작동 바(131, 132)에 각각 대응/결합한다.
위와 같이 구성된 포신 고정 기구의 기능을 각 도면을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7a 및 도 7b, 도 8a 및 도 8b 그리고 도 9a 및 도 9b는 도 7a 및 도 7b의 대응 도면으로서, 포탄 발사 후 포신의 이동에 따른 포신 고정 기구의 구성 요소의 위치 변화를 순차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여기서, 도 7a, 도 8a 그리고 도 9a에서는 편의상 포신(2)을 박스 형태로 도시하였다. .
도 7a 및 도 7b의 초기 상태(고정 래치(120)와 포신(2) 간의 래치 상태)에서, 화포에 사격 명령이 떨어지면, 피스톤 조립체(180)에 유압이 공급되고, 이에 따라 피스톤(181)이 상승한다.
피스톤(181)의 상승에 따라 지지대(190), 지지대(190)에 결합된 제 1 및 제 2 포크(141, 142)가 상승하게 되며, 제 1 및 제 2 포크(141 및 142)의 상승력은 하단부의 후크부(141-2, 142-2)에 결합된 제 1 및 제 2 작동 바(131, 132)를 통하여 고정 래치(120)에 전달된다.
따라서, 고정 래치(120)는 하우징(110)의 하부 공간부(110-2) 내에서 상승하여 하부 공간부(110-2) 내로 수용되며, 이 과정에서 하우징(110)의 하부 공간부(110-2) 내에 배치된 스프링(121)은 고정 래치(120)에 의하여 가압된다.
이와 동시에, 제 1 및 제 2 포크(141, 142)의 중앙부 내측면에 장착된 지지 로드(151, 152)는 하우징(110)의 측벽에 형성된 경사면(111-1, 112-1)을 따라 상향 이동하게 되며, 따라서 제 1 및 제 2 포크(141, 142)는 상단부의 돌출핀(141-1, 142-1; 지지대(190)의 양 측부 선단 및 후단에 형성된 지지벽의 관통공 내에 위치)을 중심으로 각각 외측으로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제 1 및 제 2 포크(141, 142)는 상단부는 이동 로드(191, 192)를 통하여 지지대(190)의 양 측부의 공간부 내에 배치된 스프링(191-1, 191-2)을 가압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 즉 고정 래치(120)가 하우징(110) 내로 진입한 상태에서, 포신(2)은 전방으로 가속(도 8a에서 좌측 방향)된다, (도 8a 및 도 8b의 상태). 여기서, 포신(2)이 고정 래치(120)를 지나 전방으로 이동하면, 하우징(110)의 하부 공간부(110-2) 내에 배치된 스프링(121)에 의하여 고정 래치(120)는 하향 이동한다. 물론, 제 1 및 제 2 포크(141, 142)의 상승에 의하여 제 1 및 제 2 포크(141 및 142)의 후크부(141-2, 142-2)와 고정 래치(120)에 장착된 제 1 및 제 2 작동 바(131, 132) 간의 결합은 해제된 상태이다(도 8b 상태).
이때, 포탄이 발사되면, 포신(2)의 전방 가속 운동량과 사격 충격 운동량이 서로 상쇄되고 남은 사격 충격량에 의해서 포신(2)이 초기 운동 방향과 반대 방향(도 8a에서 우측 방향)으로 이동한다(도 9a 및 도 9b의 상태).
이 과정에서 포신(2)은 고정 래치(120) 경사면이 하부면(121)을 따라 이동하며, 따라서 도 9a 및 도 9b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포신(2)의 이동이 완료될 때까지 고정 래치(120)는 스프링(121)을 가압하면서 하우징(110)의 하부 공간부(110-2) 내에 위치한다.
포신(2)이 고정 래치(120)를 지난 후에는 스프링(121)에 의하여 고정 래치(120)는 하우징(110)의 외부로 노출되며, 따라서 포신(2)은 고정 래치(120)와 래치되어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피스톤 조립체(180)로 공급되는 유압이 차단되어 피스톤(181)이 하강하며. 피스톤(181)에 연결된 지지대(190) 역시 하강한다. 이와 동시에, 지지대(19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던 제 1 및 제 2 포크(141 및 142)도 하강하게 되며, 이 과정에서
제 1 및 제 2 포크(141, 142)의 지지 로드(151, 152)가 하우징(110)의 측벽에 형성된 경사면(111-1, 112-1)을 따라 하향 이동함으로써 지지대(190)의 양 측부의 공간부 내에 배치된 스프링(191-1, 191-2)의 탄성은 이동 로드(191, 192)를 통하여 제 1 및 제 2 포크(141, 142)에 각각 전달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포크(141, 142)는 상단부의 돌출핀(141-1, 142-1)을 중심으로 각각 내측으로 회전하며, 최종적으로 제 1 및 제 2 포크(141 및 142)의 후크부(141-2, 142-2)와 고정 래치(120)에 장착된 제 1 및 제 2 작동 바(131, 132)는 결합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포신 고정 기구는 도 7a 및 도 7b에 도시된 최초의 상태로 복귀하며, 이후 다음 포탄 발사 과정을 준비, 진행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는 여러 가지 실시 가능한 예들 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일 뿐,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에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부가 및 변경이 가능함 물론, 균등한 다른 실시예의 구현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 및 이하의 청구범위에서는 주퇴복좌식 화포에 장착된 포신 고정 기구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청구하였지만, 동일한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선형 운동하는 대상물을 래칭하고 해제시킬 수 고정 기구는 본 발명과 등가물임이 본 기술 분야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Claims (8)

  1. 화포 무장 조립체, 화포 무장 조립체에 장착된 포신 및 화포 무장 조립체에 결합되어 포신을 고정하는 포신 고정 기구를 포함하되,
    포신 고정 기구는,
    화포 무장 조립체에 결합된 하우징;
    하우징의 제 1 공간 내에 장착된 피스톤 조립체;
    피스톤 조립체에 고정되어 피스톤 조립체의 작동에 따라 상하 이동하는 지지대;
    하우징의 제 2 공간 내에 수용되어 상하 이동하는 고정 래치;
    하우징의 양 측부에 각각 배치되되, 한 종단은 지지대의 종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다른 종단은 고정 래치에 분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피스톤 조립체에 의한 지지대의 상향 이동에 따라 고정 래치를 상향 이동시키는 제 1 및 제 2 포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퇴복좌식 화포.
  2.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의 제 1 공간은 선단부에 형성된 상부 공간부이고, 제 2 공간은 상부 공간부 하부에 형성된 하부 공간부이며, 하부 공간부에는 고정 래치에 탄성력을 가하는 스프링이 장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퇴복좌식 화포.
  3. 제 1 항에 있어서,
    지지대는 중앙부가 피스톤 조립체의 피스톤에 고정되며, 그 양 측부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된 원통형 공간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되, 각 공간부 내에는 스프링이 수용되고, 각 스프링의 종단에는 각 포크의 상단부에 대응하는 이동 로드가 고정되어 있으며, 양 측부 선단 및 후단에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 지지벽이 형성되어 있어 각 포크의 상단부에 형성된 2개의 돌출핀이 지지벽에 회전 가능하게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퇴복좌식 화포.
  4. 제 1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그 선단부 양 측벽에는 소정 간격을 두고 배치된 2개의 제 1 및 제 2 돌출부가 각각 형성되어 제 1 및 제 2 포크의 중앙부가 돌출부 사이의 공간에 수용되며,
    하우징의 제 1 및 제 2 돌출부의 하부에 대응하는 양 측벽은 돌출부를 향하여 상향 경사진 경사면으로 구성되고,
    제 1 및 제 2 포크의 내측면에는 지지 로드가 각각 고정되어 있어 지지 로드의 종단부가 하우징의 경사면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퇴복좌식 화포.
  5. 제 4 항에 있어서, 돌출부에는 커버가 체결되어 있어 하우징의 각 돌출부 사이의 공간으로부터 각 포크의 이탈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퇴복좌식 화포.
  6. 제 4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포크의 지지 로드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퇴복좌식 화포.
  7. 제 1 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포크의 하단부에는 하우징을 향하여 연장된 후크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으며, 고정 래치의 양 측부에는 제 1 및 제 2 작동 바가 각각 장착되어 후크부와 작동 바가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퇴복좌식 화포.
  8. 제 1 항에 있어서,
    고정 래치는 양 측부에 각각 장착되며 제 1 및 제 2 작동 바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 포크는 하단부에 하우징을 향하여 연장된 후크부가 각각 포함하여,
    후크부가 고정 래치의 작동 바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퇴복좌식 화포.
KR1020120156087A 2012-12-28 2012-12-28 주퇴복좌식 화포 KR1013891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087A KR101389152B1 (ko) 2012-12-28 2012-12-28 주퇴복좌식 화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6087A KR101389152B1 (ko) 2012-12-28 2012-12-28 주퇴복좌식 화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9152B1 true KR101389152B1 (ko) 2014-04-24

Family

ID=50658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6087A KR101389152B1 (ko) 2012-12-28 2012-12-28 주퇴복좌식 화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915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555B1 (ko) 2017-06-12 2018-10-22 오광석 총포의 주퇴복좌 변위측정장치
KR101913369B1 (ko) 2017-06-12 2018-10-30 오광석 총포의 주퇴복좌 변위측정장치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3306A (ko) * 2010-06-04 2011-12-12 현대위아 주식회사 박격포용 격발조립체
KR20120010909A (ko) * 2010-07-27 2012-02-06 국방과학연구소 래치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장치
KR101200748B1 (ko) 2012-04-16 2012-11-13 국방과학연구소 연식 주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33306A (ko) * 2010-06-04 2011-12-12 현대위아 주식회사 박격포용 격발조립체
KR20120010909A (ko) * 2010-07-27 2012-02-06 국방과학연구소 래치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장치
KR101200748B1 (ko) 2012-04-16 2012-11-13 국방과학연구소 연식 주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10555B1 (ko) 2017-06-12 2018-10-22 오광석 총포의 주퇴복좌 변위측정장치
KR101913369B1 (ko) 2017-06-12 2018-10-30 오광석 총포의 주퇴복좌 변위측정장치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17565B1 (en) Locking and recocking assembly with swivel breech-lock and rotating locking head, particularly for inertially-actuated weapons using the kinetic energy of recoil
EP2525185B1 (en) Pistol with firing mechanism that can easily be adapted to various modes of operation
KR101389152B1 (ko) 주퇴복좌식 화포
US9372047B2 (en) Air gun firing control device
US20120132062A1 (en) Breech drive for a weapon
EP3294691B1 (en) Firing device
US9625226B2 (en) Munitions carrier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9915490B2 (en) Firearm with an improved arming member
EP3276297A1 (en) Multiple bullet firing-type electric gun
US3884119A (en) Loading device for guns
US20190039733A1 (en) Rack
CN100366394C (zh) 用燃料工作的安装工具
KR101222460B1 (ko) 래치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장치
GB1388835A (en) Explosive powder actuated devices
CN110869692B (zh) 枪的弹匣更换装置
CA1151920A (en) Recoil-operated firing pin retractor for electrically- fired guns
ES2611969T3 (es) Atacador de cargas propulsoras, arma y procedimiento para la colocación de cargas propulsoras
CN100387404C (zh) 用燃料工作的安装工具
RU2291821C1 (ru) Андрогинное стык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космических кораблей
US3058399A (en) Receiver with t-slot opening for a slide block
KR101079162B1 (ko) 모터식 리볼버형 최루탄 발사기
KR20110081652A (ko) 탄 고정장치
KR101200748B1 (ko) 연식 주퇴 시스템 및 이를 구비하는 화포
US3095781A (en) Repeater-type cocking firing mechanism for guns
US3907447A (en) Device for locking an actuating ele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