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9534B1 -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 - Google Patents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9534B1
KR101289534B1 KR1020110143659A KR20110143659A KR101289534B1 KR 101289534 B1 KR101289534 B1 KR 101289534B1 KR 1020110143659 A KR1020110143659 A KR 1020110143659A KR 20110143659 A KR20110143659 A KR 20110143659A KR 101289534 B1 KR101289534 B1 KR 101289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assembly
shock absorber
sliding bar
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6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329A (ko
Inventor
김이권
이성환
김영호
Original Assignee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위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위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36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9534B1/ko
Publication of KR20130075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9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1/00Barrels; Gun tubes; Muzzle attachments; Barrel mounting means
    • F41A21/32Muzzle attachments or glands
    • F41A21/36Muzzle attachments or glands for recoil reduction ; Stabilisators; Compensators, e.g. for muzzle climb preven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5/00Gun mountings permitting recoil or return to battery, e.g. gun cradles; Barrel buffers or brakes
    • F41A25/02Fluid-operated syste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25/00Gun mountings permitting recoil or return to battery, e.g. gun cradles; Barrel buffers or brakes
    • F41A25/26Assembling or dismounting recoil elements or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에 삽입되며 내부에 유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피스톤과 연결되며 외부로 돌출 연장되어 타단이 포신 조립체의 포미환 밴드와 대응되는 로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에 볼트로 체결되기 위한 플렌지와, 하우징의 선단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폐쇄하는 덮개로 구성되는 완충기; 및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덮개가 제거된 부분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타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슬라이딩바의 단부에 상기 슬라이딩바의 외경보다 확장된 확장편과, 상기 슬라이딩바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해머링로 구성되는 타격공구;를 포함하는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완충기를 분해 조립시 완충기에 간접 충격을 가하여 완충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 {SEPARATION APPARATUS OF HYDRAULIC ABSORBER FOR RESISTING RECOIL}
본 발명은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퇴복좌기 조립체는 포탄 사격 시의 발사하중을 완화시키고 사격 후 포신 조립체를 사격 발사 위치로 복귀시키는 장치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주퇴복좌기 조립체는 온도경보센서 조립체(1), 폐쇄기 작동 캠(2), 주퇴기(3), 복좌기(4), 엑추에이터뭉치(5), 완충기(6)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온도경보센서 조립체(1)는 추진체의 자연발화 방지를 위해 포열의 온도를 감지하여 과열 시 자동사격통제장치의 전시기를 통하여 경보하게 된다.
상기 폐쇄기 작동 캠(2)은 포열의 주퇴복좌 운동시 직선 운동을 포미장치 조립체(도시 생략)의 크랭크 뭉치에 전달한다.
상기 주퇴기(3)는 사격 시 포신 조립체(도시 생략)의 후퇴력을 흡수하여 사격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복좌기(4)는 포신 조립체를 사격 위치로 복귀시키고 폐쇄기 조립체(도시 생략)를 자동 개방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한다.
이처럼 상기 주퇴기(3)와 상기 복좌기(4)는 포신 조립체가 사격 충격으로 밀리는 것을 지지하며, 다시 상기 포신 조립체가 원상으로 복귀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탄의 발사 시 발사 충격에 의해 포신 조립체가 뒤로 밀리게 되면 주퇴기(3)에서 그 충격력을 흡수하고, 다시 장전 및 사격이 될 수 있도록 상기 복좌기(4)에서 원래로 위치로 포신 조립체를 되돌려주게 된다.
상기 엑추에이터뭉치(5)는 포열의 고저각을 회전력으로 변환하여 주퇴기 조립체의 주퇴력을 조절한다.
한편, 상기 완충기(6)는 포신 조립체가 사격 위치로 복귀하는 속도를 줄이며, 포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주퇴기(3)와 상기 복좌기(4)가 포신 조립체의 충돌로 인한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완충기(6)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도면부호 생략)에 삽입되며 볼트로 체결되는 하우징(6a)과, 상기 하우징(6a)의 내부에 채워진 유압에 의해 이동되는 피스톤(도시 생략)과, 일단이 상기 피스톤과 연결되며 외부로 돌출 연장되는 로드부(6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우징(6a)에는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에 볼트로 체결되기 위한 플렌지(6b)가 구비되며, 선단에 와셔(6d) 및 덮개(6e)를 통해 그 내부가 폐쇄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퇴복좌기 조립체에 의하면, 정비를 위해 분해시, 상기 완충기(6)에 직접적인 충격을 가하면 손상이 될 수 있으며, 오랜 시간 복좌 충격의 흡수 등으로 인하여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과 완전히 고착되어 볼트를 제거한 후에도 큰 힘으로 타격을 가하여 제거하여야 한다. 또한, 조립시에는 중량으로 인해 설치하는데 많은 애로사항이 있다.
아울러, 상기 완충기(6)의 조립분해시 다른 부품과의 간섭으로 작업공간이 협소하여 분해 및 조립시 상당히 불편하며, 작업자가 상해를 입을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에 고착된 완충기를 보다 용이하게 분해조립할 수 있는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는,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에 삽입되며 내부에 유압을 형성하는 하우징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피스톤과 연결되며 외부로 돌출 연장되어 타단이 포신 조립체의 포미환 밴드와 대응되는 로드부와, 상기 하우징의 외부에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에 볼트로 체결되기 위한 플렌지와, 하우징의 선단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부를 폐쇄하는 덮개로 구성되는 완충기; 및
일측이 상기 하우징의 덮개가 제거된 부분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와, 상기 체결부의 타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바와, 상기 슬라이딩바의 단부에 상기 슬라이딩바의 외경보다 확장된 확장편과, 상기 슬라이딩바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해머링로 구성되는 타격공구;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슬라이딩바는, 내부가 중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타격공구는, 상기 해머링의 외측에 설치되는 걸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에 의하면, 완충기를 분해 조립시 완충기에 간접 충격을 가하여 완충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주퇴복좌기 조립체를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완충기를 분해해서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가 주퇴복좌기 조립체에 결합된 상태를 보인 도면,
도 4는 도 3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를 보인 도면,
도 5는 도 3의 요부 단면도,
도 6은 도 3의 완충기 분해를 위한 제1작동도, 및
도 7은 도 3의 완충기 분해를 위한 제2작동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는 포신조립체(도시 생략)의 사격후 복귀시 주퇴복좌기(3)(4)와 포신조립체의 충격을 방지하는 완충기(6)와, 상기 완충기(6)를 분해 조립하기 위해 상기 완충기(6)에 조립되어 타격을 가할 수 있는 타격공구(7)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완충기(6)는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에 삽입되며 내부에 유압을 형성하는 하우징(6a)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6a)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피스톤(도시 생략)과 연결되며 외부로 돌출 연장되어 타단이 포신 조립체의 포미환 밴드(도시 생략)와 대응되는 로드부(6c)와, 상기 하우징(6a)의 외부에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에 볼트로 체결되기 위한 플렌지(6b)와, 하우징(6a)의 선단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6a)의 내부를 폐쇄하는 와샤(6d) 및 덮개(6e)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상기 완충기(6)는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주퇴복좌기(3)(4)에 지지된 포신 조립체의 포미환 밴드가 복귀시 상기 로드부(6c)와 접촉되면서 유압에 의해 복귀하는 속도를 줄어들게 한다. 따라서, 포열에서의 충격을 흡수하여 상기 주퇴기(3)와 상기 복좌기(4)가 포신 조립체의 충돌로 인한 충격이 완화된다.
한편, 상기 타격공구(7)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상기 하우징(6a)의 와샤(6d) 및 덮개(6e)가 제거된 부분에 치형 결합 가능한 체결부(7a)와, 상기 체결부(7a)의 타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바(7b)와, 상기 슬라이딩바(7b)의 단부에 상기 슬라이딩바(7b)의 외경보다 확장된 확장편(7c)과, 상기 슬라이딩바(7b)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해머링(7d)으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슬라이딩바(7b)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중공 형태로서 상기 체결부(7a)가 상기 완충기(6)의 선단에 체결되면 상기 로드부(6c)를 내부에 수용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상기 타격공구(7)는 상기 해머링(7d)의 외측에 설치되어 체인(C) 결합 가능한 걸쇠(7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설명된 도면부호 '2'는 폐쇄기 작동 캠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 본 발명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의 작용에 대해 살펴본다.
정비 등의 이유로 상기 완충기(6)를 분해할 경우, 상기 완충기(6)의 하우징(6a) 내부에 형성된 유압을 완전히 제거하고,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에 볼트로 체결된 상기 완충기(6)의 플렌지(6b)를 볼트 해체하여 분해 준비를 한다.
이때, 상기 완충기(6)는 통상적으로 상기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에 완전히 고착되어 쉽게 분리가 되지 않는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하우징(6a)의 와샤(6d) 및 덮개(6e)를 제거하고, 상기 타격공구(7)의 체결부(7a)를 상기 하우징(6a)의 선단에 치형 결합시킨다.
이때, 상기 타격공구(7) 및 상기 완충기(6)의 중량을 감안하여 걸쇠에 체인(C)을 연결하여 외부 장치(크레인 등)에 지지하여 둠이 바람직하다.
이후, 상기 해머링(7d)을 도 6의 상태로 뒤로 이동시킨 후, 도 7의 상태와 같이 강하게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해머링(7d)을 확장편(7c)에 충격을 가한다.
이와 같이 상기 해머링(7d)이 상기 확장편(7c)에 충격을 가하게 되면, 상기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에 완전히 고착된 완충기(6)는 상기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으로부터 고착 해제되면서 분리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완충기(6)의 조립은 상기 타격공구(7)의 체결부(7a)를 상기 하우징(6a)의 선단에 치형 결합한 후, 상기 해머링(7d)을 도 6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빠른 속도로 슬라이딩시키면서 상기 해머링(7d)을 상기 체결부(7a)에 충격을 가하여 쉽게 조립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에 의하면, 완충기를 분해 조립시 완충기에 간접 충격을 가하여 완충기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공간을 확보하여 다른 부품과의 간섭을 피하면서 보다 용이하게 분해 조립할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

  1.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에 삽입되며 내부에 유압을 형성하는 하우징(6a)과, 일단이 상기 하우징(6a)의 내부에서 이동되는 피스톤과 연결되며 외부로 돌출 연장되어 타단이 포신 조립체의 포미환 밴드와 대응되는 로드부(6c)와, 상기 하우징(6a)의 외부에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하우징에 볼트로 체결되기 위한 플렌지(6b)와, 하우징(6a)의 선단에 체결되어 상기 하우징(6a)의 내부를 폐쇄하는 덮개(6e)로 구성되는 완충기(6); 및
    일측이 상기 하우징(6a)의 덮개(6e)가 제거된 부분에 체결 가능한 체결부(7a)와, 상기 체결부(7a)의 타측에 일체로 연결되어 외측으로 연장되는 슬라이딩바(7b)와, 상기 슬라이딩바(7b)의 단부에 상기 슬라이딩바(7b)의 외경보다 확장된 확장편(7c)과, 상기 슬라이딩바(7b)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해머링(7d)로 구성되는 타격공구(7);
    를 포함하는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바(7b)는,
    내부가 중공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공구(7)는,
    상기 해머링(7d)의 외측에 설치되는 걸쇠(7e)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
KR1020110143659A 2011-12-27 2011-12-27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 KR101289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659A KR101289534B1 (ko) 2011-12-27 2011-12-27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659A KR101289534B1 (ko) 2011-12-27 2011-12-27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329A KR20130075329A (ko) 2013-07-05
KR101289534B1 true KR101289534B1 (ko) 2013-07-24

Family

ID=489892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659A KR101289534B1 (ko) 2011-12-27 2011-12-27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9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62257B1 (ko) * 2022-09-07 2022-11-03 (주)한국항공기술 항공기 랜딩기어 범퍼스토퍼 어셈블리의 분해 및 조립용 치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297A (ja) * 1997-05-30 1998-12-15 Japan Steel Works Ltd:The 火砲の駐退装置の制御方法及び火砲の駐退装置
JP2001272200A (ja) 2000-03-27 2001-10-05 Japan Steel Works Ltd:The 機関砲の駐退復座装置
JP2002537541A (ja) 1999-02-16 2002-11-05 テー・デー・アー・アルムマン・エス・アー・エス 制動機、制動機補正器および復座機をもつ反動防止装置
KR20110133306A (ko) * 2010-06-04 2011-12-12 현대위아 주식회사 박격포용 격발조립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332297A (ja) * 1997-05-30 1998-12-15 Japan Steel Works Ltd:The 火砲の駐退装置の制御方法及び火砲の駐退装置
JP2002537541A (ja) 1999-02-16 2002-11-05 テー・デー・アー・アルムマン・エス・アー・エス 制動機、制動機補正器および復座機をもつ反動防止装置
JP2001272200A (ja) 2000-03-27 2001-10-05 Japan Steel Works Ltd:The 機関砲の駐退復座装置
KR20110133306A (ko) * 2010-06-04 2011-12-12 현대위아 주식회사 박격포용 격발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329A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42056B2 (en) Safety device for lifting a bonnet of a motor vehicle in the event of a collision
US11667018B2 (en) Nailers with jamming-alleviating mechanisms
CA1287699C (en) Indirect firing fastener driving tool
US8485274B2 (en) Impact tool
US20080118375A1 (en) Axially Driven Piston-Cylinder Unit
JP2009041902A (ja) 旋回せん子および回転ロックヘッドを有するロックおよび再撃鉄起しアセンブリ、特に反跳の運動エネルギーを使用する慣性作動武器のためのアセンブリ
KR101289534B1 (ko)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
TW201411087A (zh) 玩具槍仿拋殼動作的機構
CN109940559A (zh) 轴向射钉器用击发组件结构
US20190224825A1 (en) Gas spring and impacting and driving apparatus with gas spring
KR102291932B1 (ko) 댐핑 기능이 향상된 전동 해머드릴
JP5431488B2 (ja) 安全システム用トリガー型ストロークアクチュエータ
CN205043730U (zh) 轴向击发射钉器
CN109514501B (zh) 一种水泥射钉枪
JP2008194762A (ja) 衝撃式作業工具
CN207495409U (zh) 一种螺杆减震的射钉装置
CN106737423B (zh) 安全射钉器
WO2022011631A1 (en) Fastening tool with a crank transmission
WO2017127776A3 (en) Dual purpose latch
CN209413448U (zh) 打桩机构以及打桩机
CN208005594U (zh) 一种射钉器的自动击发机构
KR100388096B1 (ko) 차량의 보행자 머리충격 보호용 가동후드 힌지 시스템
EP1800084A1 (en) Hunting and sporting firearm
US6138773A (en) Foundry deceleration apparatus
KR101365253B1 (ko) 도어 개폐용 충격완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2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