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133306A - 박격포용 격발조립체 - Google Patents
박격포용 격발조립체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10133306A KR20110133306A KR1020100052963A KR20100052963A KR20110133306A KR 20110133306 A KR20110133306 A KR 20110133306A KR 1020100052963 A KR1020100052963 A KR 1020100052963A KR 20100052963 A KR20100052963 A KR 20100052963A KR 20110133306 A KR20110133306 A KR 201101333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ammer
- assembly
- trigger
- mortar
- elasticall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41A19/13—Percussion or firing pins, i.e. fixed or slidably-mounted striker elements; Mountings therefo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41A19/15—Modular firing mechanism unit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A—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COMMON TO BOTH SMALLARMS AND ORDNANCE, e.g. CANNONS; MOUNTINGS FOR SMALLARMS OR ORDNANCE
- F41A19/00—Firing or trigger mechanisms; Cocking mechanisms
- F41A19/06—Mechanical firing mechanisms, e.g. counterrecoil firing, recoil actuated firing mechanisms
- F41A19/16—Adjustable firing mechanisms; Trigger mechanisms with adjustable trigger pull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1—WEAPONS
- F41F—APPARATUS FOR LAUNCH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LAUNCHERS FOR ROCKETS OR TORPEDOES; HARPOON GUNS
- F41F1/00—Launching apparatus for projecting projectiles or missiles from barrels, e.g. cannons; Harpoon guns
- F41F1/06—Morta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rtable Nailing Machines And Staplers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포신과, 상기 포신의 후미를 폐쇄할 수 있도록 폐쇄부를 구비하며 이 폐쇄부의 내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포미조립체를 포함하는 박격포용 격발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포미조립체에 일체로 결합되는 격발바디와, 상기 격발바디의 내측에 탄성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며 표면에 절개홈이 형성되는 해머와, 상기 폐쇄부의 관통홀에 탄성 배치되며 상기 해머와 그 일단이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공이로 이루어진 격발부; 및 상기 해머의 절개홈과 대응되어 상기 해머와 공이를 탄성적으로 압축시킨 후 복원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이의 타단은 압축된 상기 해머가 복원될 시 상기 폐쇄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일정 길이만큼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격포용 격발조립체가 제공된다.
이에 의하면, 전기식 자동격발, 기계식 수동 격발 및 기계식 낙하 격발이 복합적으로 가능한 격발조립체를 제공하여 어떠한 운용환경에서도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에 의하면, 전기식 자동격발, 기계식 수동 격발 및 기계식 낙하 격발이 복합적으로 가능한 격발조립체를 제공하여 어떠한 운용환경에서도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포미에 장착되어 포탄의 뇌관을 격발시킬 수 있는 박격포용 격발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박격포는 포신이 짧은 휴대용 화포로서, 직사화기나 곡사화기로는 사격할 수 없는 배사면의 적을 공격하기 위한 포구장전식 무기 중의 하나이다.
종래의 박격포는 탄을 포신의 포구 내부로 삽입하여 낙하 종료하는 것과 동시에 포미에 돌출된 공이와 탄의 뇌관이 충돌하여 폭발을 통한 격발까지 이루어지는 운용방식으로 제작되었다.
그러나, 군전술의 고도화에 따라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격발을 할 수 있는 기능이 필요하게 되었고, 기존의 구조로는 변화된 운용전술을 만족시킬 수 없는 문제가 야기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격발시기를 조절할 수 있는 박격포용 격발조립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박격포용 격발조립체는, 포신과, 상기 포신의 후미를 폐쇄할 수 있도록 폐쇄부를 구비하며 이 폐쇄부의 내측에는 관통홀이 형성된 포미조립체를 포함하는 박격포용 격발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포미조립체에 일체로 결합되는 격발바디와, 상기 격발바디의 내측에 탄성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며 표면에 절개홈이 형성되는 해머와, 상기 폐쇄부의 관통홀에 탄성 배치되며 상기 해머와 그 일단이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공이로 이루어진 격발부; 및 상기 해머의 절개홈과 대응되어 상기 해머와 공이를 탄성적으로 압축시킨 후 복원시키는 가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이의 타단은 압축된 상기 해머가 복원될 시 상기 폐쇄부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일정 길이만큼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포미조립체에 고정결합되는 링크바디와, 상기 링크바디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리거와, 상기 트리거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해머의 절개홈에 걸림되게 배치되는 걸림부와, 상기 링크바디의 내부에 상기 트리거와 접촉되게 삽입되어 상기 트리거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승강로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격발부는, 상기 격발바디의 중심을 지나 배치되되 일단이 나사조립되어 상기 격발바디의 외측으로 드러나게 고정되며, 그 타단이 상기 해머를 관통하여 상기 공이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공이밀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승강로드와 접촉되어 밀어올릴 수 있는 밀대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트리거의 일측에는, 격발끈을 묶을 수 있는 천공홀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박격포용 격발조립체에 의하면, 전기식 자동격발, 기계식 수동 격발 및 기계식 낙하 격발이 복합적으로 가능한 격발조립체를 제공하여 어떠한 운용환경에서도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격포용 격발조립체를 나타내 보인 도면,
도 2는 도 1의 포미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 보인 단면도 및
도 3은 도 2의 가동부를 나타낸 보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포미부분을 확대해서 나타내 보인 단면도 및
도 3은 도 2의 가동부를 나타낸 보인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격포용 격발조립체에 대해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박격포용 격발조립체(100)는 포신(110), 주퇴복좌기(120), 포미조립체(130), 격발부(141), 가동부(143) 및 솔레노이드(150)를 포함한다.
상기 포신(100)은 포구를 통해 탄이 장입되며, 사격 명령에 의해 탄의 발사시 탄의 진행 방향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사격충격력이 발생하여 후방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또, 상기 주퇴복좌기(120)는 상기 포신(100)에서 발생된 사격충격력을 흡수하여 차량에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포신(110)의 외주에 설치된다.
또, 상기 포미조립체(130)는 상기 포신(110)의 후미를 폐쇄할 수 있도록 폐쇄부(131)를 구비하여 이루어지며, 이 폐쇄부(131)의 내측에는 단차진 관통홀(131a)이 형성이 된다.
한편, 상기 격발부(141)는 상기 포미조립체(130)에 일체로 결합되는 격발바디(141a)와, 상기 격발바디(141a)의 내측에 탄성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는 해머(141b)와, 상기 폐쇄부(131)의 관통홀(131a)에 삽입배치되며 상기 해머(141b)와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공이(141c)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해머(141b)는 격발바디(141a)의 내측에 개재되는 제1스프링(S)에 그 일단이 탄성 지지되어 그 타단이 상기 공이(141c)의 일단과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된다.
이 해머(141b)의 표면에는 후술할 가동부(143)의 걸림부(143c)가 대응되는 절개홈(G)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공이(141c)는 상기 폐쇄부(131)에 형성된 관통홀(131a)과 그 외주면 사이에 제2스프링(S)이 지지되게 설치되어 그 타단이 상기 폐쇄부(131)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일정 길이만큼 탄성적으로 돌출 가능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격발부(141)는 공이밀대(141d)를 더 구비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공이밀대(141d)는 상기 격발바디(141a)의 중심을 지나듯 배치되되 일단이 나사조립되어 상기 격발바디(141a)의 외측으로 드러나게 고정되며, 그 타단이 상기 해머(141b)를 관통하여 상기 공이(141c)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가동부(14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미조립체(130)에 고정결합되는 링크바디(143a)와, 상기 링크바디(143a)와 회전축(P)으로 지지되어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리거(143b)와, 상기 트리거(143b)와 핀(P')에 의해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해머(141b)의 절개홈(G)에 걸림되게 배치되는 걸림부(143c)와, 상기 링크바디(143a)의 내부에 상기 트리거(143b)와 접촉되게 삽입되어 상기 트리거(143b)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승강로드(143d)를 구비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링크바디(143a)의 내부에는 상기 승강로드(143d)를 탄성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제3스프링(S)이 개재된다.
상기 트리거(143b)의 일측에는 수동 격발을 위한 격발끈(도시 생략)을 묶을 수 있는 천공홀(H)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한 포신(110), 포미조립체(130), 격발부(141) 및 가동부(143)는 하나의 조립체(이하, 포신조립체)를 이루어 장전되는 탄을 격발시키게 된다.
상기 주퇴복좌기(120)의 내부에는 이 포신조립체를 지지하여 상기 포신조립체가 주퇴/복좌운동을 할 때 내부에 구성된 유압완충기가 에너지를 흡수하여 사격 시 발생하는 충격을 감소시킨다.
아울러, 상기 솔레노이드(150)는 상기 주퇴복좌기(120) 상에 브라켓(B)에 의해 고정설치되어 외부의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격발부(141) 및 가동부(143)가 작동할 수 있는 구동력을 자기력 원리로 발생시키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솔레노이드(150)는 자기력에 따라 상기 승강로드(143d)와 접촉되어 밀어올릴 수 있도록 일정높이 승강시키는 밀대(151)를 구비하게 된다.
이하, 상술한 본 발명의 박격포용 격발조립체(100)의 3가지 격발 방식에 대해 살펴본다.
첫째, 전기식 자동 격발 방식이다.
탄이 포신(110) 내부에 장입된 상태로 사용자가 격발버튼을 누르면 솔레노이드(150)에 전류가 인가되고 발생된 자기력에 의해 밀대(151)를 상승시키게 된다.
상승된 밀대(151)는 가동부(143)의 승강로드(143d)를 밀어올리고 트리거(143b)가 회전축(P)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143c)가 햄머(141b)의 절개홈(G)에 걸려 트리거(143b)와 일체로 회전하게 되어 햄머(141b)를 후방(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스프링(S)를 압축시키고, 이때 공이(141c)도 제2스프링(S)에 의해 후방(좌측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트리거(143b)가 회전하게 되면 걸림부(143c)가 햄머(141b)의 절개홈(G)에서 이탈되고 햄머(141b)는 제1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원됨으로써 전방으로 가속이 된다.
따라서, 전방으로 가속된 햄머(141b)는 그 단부가 공이(141c)를 가격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장전된 탄의 뇌관을 공이(141c)가 타격함으로써 격발이 이루어진다.
둘째, 기계식 수동 격발 방식이다.
단선, 전기 장치의 고장 등 유사시 사용자가 트리거(143b)의 천공홀(H)에 격발끈을 연결하여 후방으로 당기면 트리거(143b)가 회전축(P)을 기준으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걸림부(143c)가 햄머(141b)의 절개홈(G)에 걸려 햄머(141b)를 후방(좌측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제1스프링(S)를 압축시키고, 이때 공이(141c)도 제2스프링(S)에 의해 후방(좌측방향)으로 이동이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트리거(143b)가 회전하게 되면 걸림부(143c)가 햄머(141b)의 절개홈(G)에서 이탈되고 햄머(141b)는 제1스프링(S)의 탄성력에 의해 원상 복원됨으로써 전방으로 가속이 된다.
따라서, 전방으로 가속된 햄머(141b)는 그 단부가 공이(141c)를 가격하여 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장전된 탄의 뇌관을 공이(141c)가 타격함으로써 격발이 이루어진다.
셋째, 낙하식 수동 격발 방식이다.
사용자가 공이밀대(141d)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나사 조립된 공이밀대(141d)가 전방(우측방향)으로 전진하여 공이(141c)를 강제로 전방 이동시키게 되어 공이(141c)가 폐쇄부(131)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일정 길이만큼 돌출된 상태가 된다.
이때 포구에서 탄을 장전 낙하시키면 돌출된 공이(141c)가 탄의 뇌관과 충돌하여 격발이 이루어지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박격포용 격발조립체에 따르면, 전기식 자동격발, 기계식 수동 격발 및 기계식 낙하 격발이 복합적으로 가능한 격발조립체를 제공하여 어떠한 운용환경에서도 대응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5)
- 포신(110)과, 상기 포신(110)의 후미를 폐쇄할 수 있도록 폐쇄부(131)를 구비하며 이 폐쇄부(131)의 내측에는 관통홀(131a)이 형성된 포미조립체(130)를 포함하는 박격포용 격발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포미조립체(130)에 일체로 결합되는 격발바디(141a)와, 상기 격발바디(141a)의 내측에 탄성이동가능하게 삽입배치되며 표면에 절개홈(G)이 형성되는 해머(141b)와, 상기 폐쇄부(131)의 관통홀(131a)에 탄성 배치되며 상기 해머(141b)와 그 일단이 탄성적으로 접촉되는 공이(141c)로 이루어진 격발부(141); 및
상기 해머(141b)의 절개홈(G)과 대응되어 상기 해머(141b)와 공이(141c)를 탄성적으로 압축시킨 후 복원시키는 가동부(143);를 포함하며,
상기 공이(141c)의 타단은 압축된 상기 해머(141b)가 복원될 시 상기 폐쇄부(131)의 바닥면을 기준으로 일정 길이만큼 탄성적으로 돌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격포용 격발조립체(100).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143)는,
상기 포미조립체(130)에 고정결합되는 링크바디(143a)와, 상기 링크바디(143a)에 축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트리거(143b)와, 상기 트리거(143b)와 일체로 결합되어 상기 해머(141b)의 절개홈(G)에 걸림되게 배치되는 걸림부(143c)와, 상기 링크바디(143a)의 내부에 상기 트리거(143b)와 접촉되게 삽입되어 상기 트리거(143b)를 선택적으로 회전시키는 승강로드(143d)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격포용 격발조립체(100).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격발부(141)는,
상기 격발바디(141a)의 중심을 지나 배치되되 일단이 나사조립되어 상기 격발바디(141a)의 외측으로 드러나게 고정되며, 그 타단이 상기 해머(141b)를 관통하여 상기 공이(141c)의 일단과 선택적으로 접촉 가능하게 배치되는 공이밀대(141d)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격포용 격발조립체(100). - 제 2항에 있어서,
전기적 신호에 의해 상기 승강로드(143d)와 접촉되어 밀어올릴 수 있는 밀대(151)를 구비하는 솔레노이드(15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격포용 격발조립체(100).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143b)의 일측에는,
격발끈을 묶을 수 있는 천공홀(H)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격포용 격발조립체(100).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2963A KR101216260B1 (ko) | 2010-06-04 | 2010-06-04 | 박격포용 격발조립체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00052963A KR101216260B1 (ko) | 2010-06-04 | 2010-06-04 | 박격포용 격발조립체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133306A true KR20110133306A (ko) | 2011-12-12 |
KR101216260B1 KR101216260B1 (ko) | 2012-12-28 |
Family
ID=455010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00052963A KR101216260B1 (ko) | 2010-06-04 | 2010-06-04 | 박격포용 격발조립체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21626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9534B1 (ko) * | 2011-12-27 | 2013-07-24 | 현대위아 주식회사 |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 |
KR101389152B1 (ko) * | 2012-12-28 | 2014-04-24 | 현대위아 주식회사 | 주퇴복좌식 화포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07951B1 (ko) | 2016-05-13 | 2017-12-11 | 현대위아 주식회사 | 박격포 포신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9901268A1 (de) | 1999-01-15 | 2000-07-20 | Hilti Ag | Pulverkraftbetriebenes Setzgerät |
-
2010
- 2010-06-04 KR KR1020100052963A patent/KR10121626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289534B1 (ko) * | 2011-12-27 | 2013-07-24 | 현대위아 주식회사 | 주퇴복좌기 조립체의 완충기 조립분해 장치 |
KR101389152B1 (ko) * | 2012-12-28 | 2014-04-24 | 현대위아 주식회사 | 주퇴복좌식 화포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216260B1 (ko) | 2012-1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942012B2 (en) | Conducted electrical weapon | |
US6910404B2 (en) | Gun bolt locking mechanism | |
JP5739569B1 (ja) | 銃火器の弾丸発射時における銃反動低減装置 | |
WO2009025575A1 (fr) | Arme de poing à électrochocs à cartouches multiples, fonctionnant par contact et à distance, et cartouche standard pour cette arme | |
KR101216260B1 (ko) | 박격포용 격발조립체 | |
US20220282947A1 (en) | Fire control / trigger mechanism | |
EP3364143B1 (en) | Bolt stop shock absorber for gun | |
CN101261101B (zh) | 一种用枪发射的电击弹 | |
US2363675A (en) | Portable mortar | |
CN110243230B (zh) | 轻型低后坐力自动武器 | |
KR20220162602A (ko) | Ct40 대포를 위한 밸브 슬리브 | |
EP2653822B1 (en) | Soft recoil system and cannon having the same | |
RU2389960C2 (ru) | Автоматическое огнестрельное оружие | |
US8276301B2 (en) | Link type percussion lock | |
US9546840B1 (en) | Bi-directional recoil containment and double strike prevention system | |
US4291611A (en) | Automatic loading device | |
KR101374918B1 (ko) | 포미장치 | |
RU2558162C2 (ru) | Многоствольный стрельбовой модуль | |
KR100685460B1 (ko) | 총기의 격발인식 장치 | |
KR101222463B1 (ko) | 탄자 및 파편 충격시험용 전기식 격발장치 및 구동방법 | |
US3021763A (en) | Mechanism for converting a rifle from semi-automatic to automatic firing | |
US10830549B1 (en) | Handle and firing mechanism assembly | |
RU2597031C1 (ru) | Оружие самообороны | |
WO2018164650A1 (ru) | Универсальный ударно - спусковой механизм для огнестрельного оружия | |
RU2390716C2 (ru) | Гранатомет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1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61116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71114 Year of fee payment: 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113 Year of fee payment: 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11 Year of fee payment: 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