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1652A - 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1652A
KR20110081652A KR1020100001912A KR20100001912A KR20110081652A KR 20110081652 A KR20110081652 A KR 20110081652A KR 1020100001912 A KR1020100001912 A KR 1020100001912A KR 20100001912 A KR20100001912 A KR 20100001912A KR 20110081652 A KR20110081652 A KR 201100816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llet
fixing
pad
partition wall
elastic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19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45291B1 (ko
Inventor
박수진
김태형
Original Assignee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19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291B1/ko
Publication of KR201100816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16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2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2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22Locking of ammunition in transport contai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42AMMUNITION; BLASTING
    • F42BEXPLOSIVE CHARGES, e.g. FOR BLASTING, FIREWORKS, AMMUNITION
    • F42B39/00Packaging or storage of ammunition or explosive charges; Safety features thereof; Cartridge belts or bags
    • F42B39/26Packages or containers for a plurality of ammunition, e.g. cart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ys (AREA)

Abstract

탄 고정장치가 개시된다. 탄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탄의 하부을 지지하는 지지판. 탄의 수용 공간을 규정하도록 지지판에 형성되고, 탄이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탄의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탄 고정장치는, 탄을 안전하게 정렬하여 수용함으로써 탄의 조립시 탄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1인이 독립적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탄을 결합할 수 있어 탄 발사의 작전 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탄 고정장치{Device for fixing ammunition}
본 발명은 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탄의 조립시 탄을 지지하며 세울 수 있는 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탄약은 탄과 장약을 함께 부르는 용어로서, 포에 따라 탄과 장약이 분리된 상태의 탄약을 사용하거나 탄과 장약이 결합된 상태의 탄약을 사용한다. 전투용 장비의 하나로 사용되는 자주포는 각종 탄약을 적재한 상태로 이용하며, 유사시 적재된 탄약을 추출하여 포내의 장전실로 신속히 삽입하여 목표물에 포탄을 발사하게 된다. 이러한 탄약 등은 외부 충격이 가해지거나 화재가 발생할 경우 폭발의 위험이 있으므로 취급상 특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따라서 탄과 장약을 결합하는 과정은 사용자의 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안전한 장치를 통해서 수행되어야 한다. 또한 전투라는 특수 상황에 적합하도록 신관, 탄, 장약의 결합이 신속하고도 정확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바, 탄 조립시 사용되는 기구는 사용자의 조작에 있어서도 손쉽고 안정적인 조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제작되어야 한다.
기존 자주포의 운용에 있어 원형의 탄통에는 탄과 약협으로 나누어져 삽입되어 있고, 약협에는 장약이 들어있다. 사격 준비작업은 탄통에서 꺼낸 탄과 약협을 작업 가능한 공간에 세워두고, 신관 상자의 신관을 탄과 결합하는 동작으로 구성된다. 포의 사격준비가 완료되면 신관이 조립된 탄과 약협을 결합하여 포에 장전한다. 이때, 탄의 결합작업은 최소 2인 이상으로 진행되며, 준비된 탄은 아무런 지지부가 없이 지면에 세워져 있게 된다. 이 경우 사격시 발생하는 충격력으로 인해 탄이 전복될 가능성이 있어 안정상의 문제점이 발생한다.
본 발명은 지지판과 격벽으로 탄의 수용 공간을 형성함으로써 탄을 지지하며 세울 수 있는 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탄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탄의 하부을 지지하는 지지판. 탄의 수용 공간을 한정하도록 지지판에 형성되고, 탄이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탄의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탄 고정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판에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고정홀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되어 지지판을 외부 구조물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 고정장치는 격벽에 설치되는 고정패드, 고정패드에 대향하여 설치되며 탄이 고정패드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탄을 가압하는 압착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 고정장치는 격벽에 결합되며 압착패드가 탄을 가압하거나 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움직이는 작동레버, 일단부는 작동레버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압착패드에 결합되어 작동레버의 움직임을 압착패드에 전달하는 링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격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링크의 일부와 타부는 가이드 홈을 따라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작동레버는 격벽에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작동레버와 격벽의 결합 부분에는 제1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작동레버는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제1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격벽은 복수 개의 탄의 수용 공간을 한정하고, 복수 개의 탄의 수용 공간은 각각 고정패드, 압착패드 및 링크를 구비하며, 복수 개의 탄 수용 공간의 링크들은 연동축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작동레버에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다.
또한 탄 고정장치는, 격벽에 설치되며 압착패드가 탄을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 격벽에 설치되며 압착패드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탄성 부재는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패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또한, 탄 고정장치는, 격벽에 설치되며 압착패드가 탄을 가압하는 위치에서 압착패드를 고정시키는 고정노브, 격벽에 설치되며 압착패드가 탄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탄성부재는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패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코일 스프링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격벽은 복수 개의 탄의 수용 공간을 규정하고, 복수 개의 탄의 수용 공간은 각각 고정패드, 압착패드 및 제2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복수 개의 탄의 수용 공간의 압착패드들은 연동되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노브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지지판은 탄에 결합되는 약협을 지지하고, 격벽은 약협의 수용 공간을 한정하며, 약협이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약협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탄을 안전하게 정렬하여 수용함으로써 탄의 조립시 탄이 쓰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1인이 독립적으로 신속하고 안전하게 탄을 결합할 수 있어 탄 발사의 작전 수행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의 탄의 수용 공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의 작동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의 작동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탄 고정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의 탄의 수용 공간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탄(2), 약협(4), 지지판(10), 고정홀(12), 고정핀(14), 격벽(20), 탄의 수용 공간(22), 약협의 수용 공간(24), 가이드 홈(26), 고정패드(30), 압착패드(40), 작동레버(50), 링크(60), 제1 탄성부재(70), 연동축(8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에 탄(2)과 약협(4)을 적재하여 고정시킨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탄과 약협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의 탄 적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는 탄(2) 및 약협(4)을 고정시켜 세울 수 있는 장치로서, 탄의 하부를 지지하는 지지판(10)과 탄의 수용 공간을 형성하는 복수의 격벽(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0)은 탄 또는 약협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넓은 판 형상의 구조가 사용될 수 있으며, 격벽(20)은 탄 또는 약협이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판 위에 탄 또는 약협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여기에서 복수의 격벽이 이루는 수용 공간(22, 24)에 탄 또는 약협 적재되어 고정되는데, 격벽은 탄 또는 약협이 고정된 상태에서 안정감 있게 세워질 수 있도록 탄 또는 약협의 측면을 지지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2와 같이 탄의 수용 공간(22)과 약협의 수용 공간(24)은 다수의 격벽(20)에 의해 일정 구획으로 나뉘어져 한정될 수 있다. 탄의 수용 공간과 약협의 수용 공간을 나누어 형성함으로써 긴박한 전투시에 탄의 조립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탄과 약협의 쓰러짐을 방지하고 각각의 구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탄(2)과 약협(4)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탄의 수용공간에 인접하여 약협의 수용 공간을 옆에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탄과 약협을 세울 수 있는 격벽(20)을 이용하여 탄과 약협의 수용 공간을 전투시에 적합하게 규정할 수 있으며, 탄의 수용 공간과 약협의 수용 공간의 배치는 발명의 실시에 용이한 형태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지지판(10)에는 탄 고정장치를 외부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홀(12)이 형성될 수 있다. 탄 고정장치를 지면 또는 탄 이송 차량의 적재함에 아무런 고정장치 없이 배치할 경우 외부의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탄 고정장치 자체가 전복될 수 있는 위험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부 구조물에 탄 적재장치를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2와 같이 지지판(10)에는 고정홀(12)이 형성되고, 고정홀에는 고정부재(14)가 결합되어 지지판을 외부 구조물에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외부 구조물은 차량 탑재함 또는 평평한 고정판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부재(14)는 고정홀(12)을 관통하여 외부 구조물에 결합되는 형태가 될 수 있으며, 고정홀(12)은 암나사, 고정부재(14)은 수나사에 상응하는 구조 및 부품으로, 고정부재로는 고정핀 또는 볼트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탄(2)에 신관(6) 또는 약협(4)을 용이하게 조립하기 위하여, 탄을 고정하면서 수용할 수 있는 탄의 수용 공간(22)의 구조 및 고정 원리를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도 3은 탄 고정장치의 탄의 수용 공간(22)을 확대하여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탄(2)에 신관(6) 또는 약협(4)을 결합시킬 때에는 탄이 넘어지지 않도록 고정시켜야 하는데, 본 실시예에 따르면 탄의 수용 공간(22)에는 탄을 고정할 수 있는 고정패드(30)와 압착패드(40)가 형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의 수용 공간(22)을 구획하고 형성하는 격벽(20)에 고정패드(30)가 설치될 수 있다. 고정패드는 탄의 주변부를 감싸며 탄이 밀착되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압착패드(40)는 고정패드(30)와 함께 탄을 고정시키는 것으로, 탄은 압착패드와 고정패드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압착패드는 고정패드(30)에 대향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압착패드는 탄의 고정이 필요할 때, 탄을 가압하여 탄이 고정패드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한다. 즉 도 3 및 도 4와 같이 압착패드는 일측에서 탄을 가압하고 탄의 반대측에서는 고정패드가 탄을 잡아주는 구조이다. 이와 같은 구조로 탄의 수용 공간(22) 내부에서 탄(2)은 고정패드(30)와 압착패드(40)에 의해 안정되게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고정패드와 압착패드는 고정시 탄에 충격을 방지하면서 탄의 표면에서 미끄럼이 발생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고무 또는 플라스틱 등의 재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의 작동 과정 중에서 압착패드(40)가 탄(2)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의 작동 과정 중에서 압착패드가 탄을 가압하여 탄이 고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20)에는 작동레버(50)가 일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고, 작동레버가 움직임에 따라 압착패드(40)는 탄을 가압하거나 탄으로부터 이격되게 된다.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에 결합된 작동레버에는 링크(60)가 결합된다. 그리고 링크(60)는 압착패드(40)에 결합되어 있어, 작동레버(50)가 격벽에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압착패드가 움직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의 일부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작동레버에 연결될 수 있고, 링크의 타부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패드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링크(60)의 일부와 타부는 각각 격벽(20)에 형성된 가이드 홈(26)을 따라 움직이도록 설치된다. 가이드 홈은 링크의 일단부와 작동레버의 결합 부분, 그리고 링크의 타단부와 압착패드의 결합 부분이 이동하는 궤적을 만들도록 격벽에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작동레버(50)가 격벽(20)에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함에 따라 링크(60) 및 링크에 결합된 압착패드(40)는 도 6과 같이 탄(2)에 밀착되어 탄을 가압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5와 같이 작동레버(50)를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 탄을 탄의 수용 공간에 넣거나 뺄 수 있고, 도 6과 같이 탄이 수용된 상태에서 작동레버를 누름으로써 탄(2)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동레버는 사용자가 발로 눌러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전투시와 같은 긴박한 상황에서 탄을 조립하기 위하여 발로 탄을 고정한 상태에서 양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 혼자 탄을 용이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작동레버(50)와 격벽(20)의 결합 부분에는 제1 탄성부재(70)가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탄성부재(70)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작동레버가 회동하는 축의 결합 부분에 비틀림 코일 스프링을 개재함으로써 작동레버(50)는 탄의 고정이 필요하지 상태에는 탄성력에 의해 원래 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결국 작동레버에 연결된 링크(60) 및 압착패드(40) 또한 도 5의 상태로 복귀되어 탄의 수용 공간(22)에서 탄을 인출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에는 복수 개의 탄의 수용 공간(22)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탄의 수용 공간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탄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패드(30), 압착패드(40), 링크(60) 등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보관된 각각의 탄을 고정시킬 수 있는 구조가 도 2 및 도 4와 같이 각 수용 공간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 따르면 이러한 각 수용 공간(22)에 배치되는 압착패드(40)와 링크(60)는 하나의 동작으로 움직일 수 있다. 각 수용 공간의 링크(60)는 모두 연동축(80)에 결합되고, 연동축은 작동레버(50)에 결합됨으로써, 각 링크들은 작동레버에 연결되어 연동될 수 있다. 여기에서 연동축(80)은 작동레버의 동력을 전달할 수 있는 긴 막대 형상의 축이 사용될 수 있다. 즉 작동레버를 작동함으로써 각 링크 및 그것에 결합된 각 압착패드(40)들은 동시에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탄의 수용 공간에 탄을 모두 삽입한 상태에서 작동레버를 발로 밟으면, 모든 탄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작동레버(50)는 도 2 및 도 4와 같이 격벽(20)의 일측에 형성되어 링크 및 압착패드를 연동시킬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격벽의 양측에 모두 형성되어 편리한 방향에서 작동하도록 설치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탄(2)과 약협(4)을 각 수용 공간에 보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발로 작동레버를 동작시킴으로써 사용자 혼자 안정된 상태로 편리하게 탄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탄성부재(290)와 고정노브(292)를 이용하여 탄을 고정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의 작동 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탄 고정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의 수용 공간(22)에 제2 탄성부재(290)에 연결된 압착패드(240)가 고정패드(230)에 대향하여 설치될 수 있다. 고정패드(2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제2 탄성부재(290)에 연결된 압착패드(240)는 탄성력에 의해 탄 쪽으로 밀리는 힘을 받도록 설치될 수 있다. 제2 탄성부재(290)는 압축된 상태에서 탄성 에너지를 갖고 있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압착패드가 압축된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 쪽으로 밀려 탄을 가압함으로써 탄은 고정패드와 압착패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탄의 고정이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압착패드(240)는 뒤쪽으로 당겨져서 고정되어야 하는데, 격벽(20)에는 고정노브(292)가 설치되어 압착패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고정노브는 수나사(스크류) 형태의 고정 부품으로 격벽에는 고정노브에 상응하는 암나사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노브(290)가 격벽의 암나사를 통과하여 압착패드(2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고정노브는 격벽의 일정 위치에서 압착패드를 고정시킴으로써 압착패드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이와는 반대로 제2 탄성부재(290)는 인장된 상태에서 탄성 에너지를 갖고 있는 코일 스프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압착패드(240)는 탄의 고정이 필요하지 않은 상태에서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에 의해 탄의 수용 공간을 넓히며 탄으로부터 이격된다. 즉 압착패드(240)는 고정노브(292)에 의해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탄에 밀착되지 않고 코일 스프링이 인장되지 않은 원래 위치로 복귀된다. 그리고 탄의 고정이 필요한 경우, 탄성부재(290)가 인장되도록 압착패드를 탄에 밀착시켜 가압한 다음에, 고정노브(292)로 압착패드(24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에서 고정노브는 격벽의 일정 위치에서 압착패드를 고정시킴으로써, 압착패드가 인장된 코일 스프링에 의해 탄으로부터 이격되려는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코일 스프링 및 고정노브(292)를 이용하여 탄을 고정하는 구조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에는 다양한 탄성부재와 고정노브를 이용하여 탄을 고정시킬 수 있는 다수의 구조가 폭넓게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 또한 도 8과 같이 복수 개의 탄의 수용 공간(22)이 일정 구획을 나누어 형성되고, 각 탄의 수용 공간에는 각각 고정패드(230), 압착패드(240), 제2 탄성 부재(290)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수용 공간의 압착패드들은 도 8과 같이 연동되도록 모두 결합될 수 있다. 즉 압착패드(240)들이 고정노브(292)에 의해 고정되지 않을 때 각 압착패드들은 동시에 움직일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복수의 탄의 수용 공간에 탄을 모두 삽입한 상태에서 고정노브를 제거하거나 결합하면 모든 탄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고정노브는 격벽(20)에 일측에 형성되어 압착패드의 한쪽에서 고정시킬 수도 있고, 필요에 따라 도 8과 같이 격벽의 양측에 모두 형성되어 압착패드를 양방향에서 고정시킬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복수의 탄(2)과 약협(4)을 각 수용 공간에 보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고정노브(292)만을 조절함으로써 사용자 혼자 안정된 자세로 편리하게 탄을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실시예 외의 많은 실시예들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내에 존재한다.
2: 탄 4: 약협
6: 신관 10: 지지판
12: 고정홀 14: 고정부재
20: 격벽 22: 탄의 수용 공간
24: 약협의 수용 공간 26: 가이드 홈
30, 230: 고정패드 40, 240: 압착패드
50: 작동레버 60: 링크
70: 제1 탄성부재 80: 연동축
290: 제2 탄성부재 292: 고정노브

Claims (14)

  1. 탄을 수용하여 고정시키는 장치로서,
    상기 탄의 하부을 지지하는 지지판; 및
    상기 탄의 수용 공간을 한정하도록 상기 지지판에 형성되고, 상기 탄이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탄의 측면을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격벽을 포함하는 탄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에는 고정홀이 형성되며,
    상기 고정홀에는 고정부재가 결합되어 상기 지지판을 외부 구조물에 고정시키는 탄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설치되는 고정패드;
    상기 고정패드에 대향하여 설치되며, 상기 탄이 상기 고정패드에 밀착되어 고정되도록 상기 탄을 가압하는 압착패드를 더 포함하는 탄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결합되며, 상기 압착패드가 상기 탄을 가압하거나 상기 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움직이는 작동레버;
    일단부는 상기 작동레버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상기 압착패드에 결합되어, 상기 작동레버의 움직임을 상기 압착패드에 전달하는 링크를 더 포함하는 탄 고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링크의 일부와 타부는 상기 가이드 홈을 따라 움직이는 탄 고정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격벽에 결합된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고, 상기 작동레버와 상기 격벽의 결합 부분에는 제1 탄성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작동레버는 상기 제1 탄성부재의 탄성력에 의해 복귀되는 탄 고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탄성부재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인 탄 고정장치.
  8.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복수 개의 탄의 수용 공간을 한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탄의 수용 공간은 각각 상기 고정패드, 상기 압착패드 및 상기 링크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탄 수용 공간의 상기 링크들은 연동축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에 연결되어 연동되는 탄 고정장치.
  9.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설치되며, 상기 압착패드가 상기 탄을 가압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
    상기 격벽에 설치되며, 상기 압착패드의 위치를 고정시키는 고정노브를 더 포함하는 탄 고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압축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패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 고정장치.
  11.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에 설치되며, 상기 압착패드가 상기 탄을 가압하는 위치에서 상기 압착패드를 고정시키는 고정노브;
    상기 격벽에 설치되며, 상기 압착패드가 상기 탄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2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탄 고정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인장된 상태에서 상기 압착패드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탄 고정장치.
  13. 제9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은 복수 개의 탄의 수용 공간을 규정하고,
    상기 복수 개의 탄의 수용 공간은 각각 상기 고정패드, 상기 압착패드 및 상기 제2 탄성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복수 개의 탄의 수용 공간의 상기 압착패드들은 연동되며, 적어도 하나의 고정노브에 의해 고정되는 탄 고정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은 상기 탄에 결합되는 약협을 지지하고,
    상기 격벽은 상기 약협의 수용 공간을 한정하며, 상기 약협이 세워져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약협의 측면을 지지하는 탄 고정장치.
KR1020100001912A 2010-01-08 2010-01-08 탄 고정장치 KR1015452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912A KR101545291B1 (ko) 2010-01-08 2010-01-08 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1912A KR101545291B1 (ko) 2010-01-08 2010-01-08 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1652A true KR20110081652A (ko) 2011-07-14
KR101545291B1 KR101545291B1 (ko) 2015-08-18

Family

ID=449201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1912A KR101545291B1 (ko) 2010-01-08 2010-01-08 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529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816B1 (ko) * 2013-09-24 2014-03-11 김인영 105밀리 포병탄약 약협 수납케이스
KR101878886B1 (ko) * 2017-07-18 2018-07-16 세진밸브공업 주식회사 레이어 구조를 가지는 폭발물 저장용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3357B1 (ko) 2018-12-26 2020-06-16 주식회사 풍산 발사체의 조립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816B1 (ko) * 2013-09-24 2014-03-11 김인영 105밀리 포병탄약 약협 수납케이스
KR101878886B1 (ko) * 2017-07-18 2018-07-16 세진밸브공업 주식회사 레이어 구조를 가지는 폭발물 저장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5291B1 (ko) 201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12859B1 (en) Self-raising magazine loader
US9618288B2 (en) Firearm trigger assembly
US7481146B2 (en) Device for disrupting improvised explosive devices (IEDS)
KR102364948B1 (ko) 모듈식 무기
WO2018049173A2 (en) Pistol magazine loader
US7836872B2 (en) Pneumatic toy gun
KR101967309B1 (ko) 탄약의 이중 안전 장전 장치
US20130047481A1 (en) Ammunition Magazine Having Two or More Supply Ports
KR20110081652A (ko) 탄 고정장치
US10942012B2 (en) Conducted electrical weapon
KR101548253B1 (ko) 완구총
US20170191790A1 (en) Device adapted for toy launcher projectile and toy gun
US20190025029A1 (en) Device and method for simulating the weight of a loaded gun magazine
TWM615344U (zh) 玩具槍
KR101493755B1 (ko) 적층식 단위케이스와 단면 마운트 구조의 회로기판을 구비한 내충격형 포탄비행제어장치
KR200488286Y1 (ko) 화약을 이용한 그물 발사 기구
US9354020B1 (en) Dual compression spring projectile launcher
CN114322643A (zh) 模块化组合式弹匣结构
KR101389152B1 (ko) 주퇴복좌식 화포
KR20110133306A (ko) 박격포용 격발조립체
US3412641A (en) Pistol for firing a miniature ballistic rocket
KR101124044B1 (ko) 휴대형 최루탄 발사장치
KR20110113338A (ko) 탄환 장전 장치
KR20120010909A (ko) 래치기구 및 이를 구비하는 발사장치
US20110036338A1 (en) Toy gun having safe mechanism for blank ammuni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