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8230B1 -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 Google Patents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8230B1
KR101388230B1 KR1020130069767A KR20130069767A KR101388230B1 KR 101388230 B1 KR101388230 B1 KR 101388230B1 KR 1020130069767 A KR1020130069767 A KR 1020130069767A KR 20130069767 A KR20130069767 A KR 20130069767A KR 101388230 B1 KR101388230 B1 KR 1013882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p cover
cowl top
windshield glass
mounting structure
cow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만홍
백호식
김희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성창오토텍
Priority to KR102013006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823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82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8230B1/ko
Priority to PCT/KR2014/004377 priority patent/WO2014204096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0Sealing arrangements
    • B60J10/70Seal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울탑 커버의 절곡부와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하단부 사이에는 완충부재를 착설하여,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하단부가 상기 완충부재와 밀착되는 상태로 지지 고정토록 되며,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일면이 상기 카울탑 커버의 연장부에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카울탑 커버와 윈드 실드글래스와의 결합력과 강성을 증대시키고, 상기 완충부재의 일측면인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 하단부 접촉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가 완충부재의 경사부의 상부를 강하게 압지하는 상태로 가일층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어 상기 윈드 쉴드글래스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분 및 오염물질이 상기 카울탑 커버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차량의 양쪽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 기술적인 구성은, 카울탑 커버(110)의 전방 단부는 수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11)를 개재하여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 하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부(130)가 연장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를 지지 고정토록 설치되며,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연장부(130) 단부에는 원호형으로 지지대(140)가 절곡 형성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를 지지하도록 하며,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절곡부(111)와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의 하단부 사이에는 완충부재(150)가 착설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의 하단부의 기밀유지 및 완충역활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를 지지 고정토록 설치됨은 물론, 상기 완충부재(150)의 하부 일측면에는 지지대(151)가 일체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의 하단부 일면을 지지토록 설치되며,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연장부(130)에는 상기 완충부재(150)의 지지대(151)가 파지되어 밀착 고정되도록 결합 돌기부(160)가 돌출 설치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a mounting structure of cowl top cover}
본 발명은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로는 카울탑 커버의 절곡부와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하단부 사이에는 완충부재를 착설하여,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하단부가 상기 완충부재와 밀착되는 상태로 지지 고정토록 되며,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일면이 상기 카울탑 커버의 연장부에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카울탑 커버와 윈드 실드글래스와의 결합력과 강성을 증대시키고,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상기 카울탑 커버가 이동하지 않고 항상 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카울탑 커버의 제작 및 설치에 따른 원가절감 및 작업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상기 완충부재의 일측면인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 하단부 접촉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가 완충부재의 경사부의 상부를 강하게 압지하는 상태로 가일층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어 상기 윈드 쉴드글래스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분 및 오염물질이 상기 카울탑 커버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차량의 양쪽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카울탑 커버는, 자동차의 후드와 윈드 실드글라스 사이에 마련되어 카울의 상부를 덮는 커버로서, 차량 실내로 외부의 신선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며, 윈드실드 글라스에서 흘러내린 물을 통과시켜 카울탑 커버 아래쪽에 있는 카울의 배수로를 통해 자동차의 양 측면으로 배수될 수 있게 하는 중간 통로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와같은 기술과 관련된 종래의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0570395호에 알려져 있다.
즉, 그 기술적인 구성은 도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차의 카울탑 커버(10)는 그 전방 단부가 윈드 실드글래스(20)에 결합하고, 상기 카울탑 커버(10)의 후방단부는 웨더스트립과 클립을 개재하여 후드 리어패널(30)과 결합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카울탑 커버(10)의 하면은 카울 언더패널(40)에 체결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20)와 후드 리어패널(30)간의 연결부 상부를 구성하고 있다.
한편, 상기 카울탑 커버(10)와 윈드 실드글래스(20)사이의 연결 구조를 살펴보면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카울탑 커버(10)의 전방 단부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걸림턱(11)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20)의 하면을 지지하며, 상기 카울탑 커버(10)와 윈드 실드 글래스(20)사이의 갭(gap)에는 웨더스트립(12)이 위치하여, 상기 윈드 실드 글래스(20)와 카울탑 커버(10)와의 틈새를 막고 수밀성을 유지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같은 종래의 카울탑 커버 마운팅구조의 경우에는,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20)의 하면을 지지하는 카울탑 커버(10)의 걸림턱(11) 형상이 차체의 전면평면에서 보아 "T"자 방향으로 형성됨으로써,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도면의 화살표방향(F)으로 충격등에 의한 힘이 가해지게 되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20)가 걸림턱(11)에서 쉽게 이탈하게 됨은 물론,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20)의 상부를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카울탑 커버(10)의 단부에 별도의 웨더스트립(12)을 설치해야 함으로 인한 원가가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카울탑 커버(10)의 경우 윈드 실드글래스(20)와 맞물리는 카울탑 커버(10)의 크기를 크게 하므로, 상기 수평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카울탑 커버(10)의 크기를 크게 함으로 인한 생산 단가의 상승을 초래하게 되는등 많은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대한민국특허청 등록특허공보 10-057039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카울탑 커버의 전방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개재하여 윈드 실드글래스 하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부를 연장 설치하고, 상기 카울탑 커버의 절곡부와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하단부 사이에는 완충부재를 착설하여,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하단부가 상기 완충부재와 밀착되는 상태로 지지 고정토록 됨은 물론,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일면이 상기 카울탑 커버의 연장부에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며, 상기 카울탑 커버와 윈드 실드글래스와의 결합력과 강성을 증대시키고,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상기 카울탑 커버가 이동하지 않고 항상 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카울탑 커버 마운팅부(mounting part)의 크기를 별도로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어, 상기 카울탑 커버의 제작 및 설치에 따른 원가절감 및 작업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완충용 고무재로 구성되는 완충부재에 의하여,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상기 완충부재를 통하여 가일층 효과적으로 완충 및 상쇄시켜, 외부의 충격에 따른 카울탑 커버의 이탈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더하여, 본 발명은 상기 완충부재의 일측면인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 하단부 접촉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가 완충부재의 경사부의 상부를 강하게 압지하는 상태로 가일층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어 상기 윈드 쉴드글래스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분 및 오염물질이 상기 카울탑 커버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차량의 양쪽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수단으로서 본 발명은, 전방 단부가 윈드 실드글래스에 결합하고, 후방단부는 웨더스트립과 클립을 개재하여 후드 리어패널과 결합토록 설치되는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울탑 커버의 전방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개재하여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 하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를 지지 고정토록 설치되는 연장부;
상기 카울탑 커버의 연장부 단부에 원호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카울탑 커버의 절곡부와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하단부 사이에 착설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하단부의 기밀유지 및 완충역활을 하면서 지지 고정토록 하부 일측면이 연장된 지지대가 형성되어 윈드 실드글래스 하단부 일면을 지지토록 설치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카울탑 커버의 연장부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완충부재의 지지대가 파지되어 밀착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결합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를 마련함에 의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카울탑 커버의 절곡부와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하단부 사이에 착설되는 완충부재는 완충용 고무재로 구성되며, 상기 완충부재의 윈드 실드글래스 하단부 접촉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더하여, 상기 카울탑 커버의 연장부에 돌출 설치되는 결합 돌기부는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에 의하면, 카울탑 커버의 절곡부와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하단부 사이에는 완충부재를 착설하여,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하단부가 상기 완충부재와 밀착되는 상태로 지지 고정토록 되며,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일면이 상기 카울탑 커버의 연장부에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카울탑 커버와 윈드 실드글래스와의 결합력과 강성을 증대시키고,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상기 카울탑 커버가 이동하지 않고 항상 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카울탑 커버의 제작 및 설치에 따른 원가절감 및 작업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상기 완충부재를 통하여 가일층 효과적으로 완충 및 상쇄시켜, 외부의 충격에 따른 카울탑 커버의 이탈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의 일측면인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 하단부 접촉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가 완충부재의 경사부의 상부를 강하게 압지하는 상태로 가일층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어 상기 윈드 쉴드글래스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분 및 오염물질이 상기 카울탑 커버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차량의 양쪽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마련되는 본 발명의 정신이나 분야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조 및 변화될수 있다는 것을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는 용이하게 알수 있음을 밝혀두고자 한다.
도 1은 종래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정단면 구조도.
도 2는 도 1의 A부 요부 확대 단면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정단면 구조도.
도 4는 본 발명인 카울탑 커버의 윈드 실드글래스 하단부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의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완충부재의 확대 단면 구조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를 도시한 정단면 구조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인 카울탑 커버의 윈드 실드글래스 하단부에 설치되는 완충부재의 개략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인 완충부재의 확대 단면 구조도로서, 도 1과 연계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는, 카울탑 커버(110)의 전방 단부가 윈드 실드글래스(120)에 결합하고,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후방단부는 웨더스트립과 클립을 개재하여 후드 리어패널(30)과 결합토록 설치된다.
이때,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전방 단부는 수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11)를 개재하여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 하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부(130)가 연장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를 지지 고정토록 설치되며,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연장부(130) 단부에는 원호형으로 지지대(140)가 절곡 형성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를 지지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절곡부(111)와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의 하단부 사이에는 완충부재(150)가 착설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의 하단부의 기밀유지 및 완충역활을 수행하도록 하면서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를 지지 고정토록 설치된다.
또한, 상기 완충부재(150)의 하부 일측면에는 지지대(151)가 일체로 길게 연장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의 하단부 일면을 지지토록 설치되며,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연장부(130)에는 상기 완충부재(150)의 지지대(151)가 파지되어 밀착 고정되도록 구형 결합 돌기부(160)가 돌출 설치된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150)의 윈드 실드글래스(120) 하단부 접촉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경사부(152)가 형성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가 완충부재(150)의 경사부(152)에 가일층 견고하게 밀착되어 기밀을 유지토록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와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자동차의 카울탑 커버(110)는 그 전방 단부가 윈드 실드글래스(120)에 결합하고,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후방단부는 웨더스트립과 클립을 개재하여 자동차의 후드 리어패널(30)과 결합토록 된다.
이때,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전방 단부는 수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111)를 개재하여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 하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부(130)가 길게 연장 설치된 후,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절곡부(111)와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의 하단부 사이에는 완충부재(150)가 착설토록 됨으로써,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의 하단부가 상기 완충부재(150)와 밀착되는 상태로 지지 고정토록 됨은 물론,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의 일면이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연장부(130)에 지지되어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연장부(130) 단부에 절곡 형성되는 원호형의 지지대(140)에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가 지지되어,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상기 카울탑 커버(110)가 이동하지 않고 항상 제 위치를 유지하게 되며,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간단한 구조에 의해, 상기 카울탑 커버(110) 마운팅부(mounting part)의 크기를 별도로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게 되며, 이에따라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제작 및 설치에 따른 원가절감 및 작업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상기 완충부재(150)는 완충용 고무재로 구성되어, 상기와같이 외부의 충격등에 의해 발생되는 힘을 상기 완충부재(150)를 통하여 가일층 효과적으로 완충 및 상쇄시켜, 외부의 충격에 따른 카울탑 커버(110)의 이탈을 미연에 예방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완충부재(150)의 하부 일측면에는 지지대(151)가 일체로 길게 연장되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151)에는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의 하단부 일면이 지지될 수 있게 되며, 이때 상기 카울탑 커버(110)의 연장부(130)에는 구형 결합 돌기부(160)가 돌출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150)의 지지대(151)가 상기 구형 결합 돌기부(160)에 파지되어 밀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완충부재(150)의 일측면인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 하단부 접촉면은 도 5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경사부(152)가 형성토록 됨으로써,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120)가 완충부재(150)의 경사부(152)의 상부를 강하게 압지하는 상태로 가일층 견고하게 밀착 고정되어 기밀을 유지토록 하여, 상기 윈드 쉴드글래스(120)를 통하여 유입되는 수분 및 오염물질이 상기 카울탑 커버(110) 내측으로 유입되지 않고, 차량의 양쪽으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는 것이다.
110...카울탑 커버 111...절곡부
120...윈드 실드글래스 130...연장부
140...지지대 150...완충부재
151...지지대 152...경사부
160...결합 돌기부

Claims (4)

  1. 전방 단부가 윈드 실드글래스에 결합하고, 후방단부는 웨더스트립과 클립을 개재하여 후드 리어패널과 결합토록 설치되는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에 있어서,
    상기 카울탑 커버의 전방 단부에 수직으로 절곡되는 절곡부를 개재하여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 하면과 실질적으로 평행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를 지지 고정토록 설치되는 연장부;
    상기 카울탑 커버의 연장부 단부에 원호형으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를 지지하는 지지대;
    상기 카울탑 커버의 절곡부와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하단부 사이에 착설되어,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하단부의 기밀유지 및 완충역활을 하면서 지지 고정토록 하부 일측면이 연장된 지지대가 형성되어 윈드 실드글래스 하단부 일면을 지지토록 설치되는 완충부재; 및
    상기 카울탑 커버의 연장부에 돌출 설치되어, 상기 완충부재의 지지대가 파지되어 밀착 고정되도록 설치되는 결합 돌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울탑 커버의 절곡부와 상기 윈드 실드글래스의 하단부 사이에 착설되는 완충부재는 완충용 고무재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3. 제 1항 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의 윈드 실드글래스 하단부 접촉면은,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경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4. 제 1항 에 있어서, 상기 카울탑 커버의 연장부에 돌출 설치되는 결합 돌기부는 구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KR1020130069767A 2013-06-18 2013-06-18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KR1013882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767A KR101388230B1 (ko) 2013-06-18 2013-06-18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PCT/KR2014/004377 WO2014204096A1 (ko) 2013-06-18 2014-05-16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9767A KR101388230B1 (ko) 2013-06-18 2013-06-18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8230B1 true KR101388230B1 (ko) 2014-04-23

Family

ID=506584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767A KR101388230B1 (ko) 2013-06-18 2013-06-18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388230B1 (ko)
WO (1) WO2014204096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006Y1 (ko) * 1997-04-30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프론트글라스 조립구조
JP2006281922A (ja) * 2005-03-31 2006-10-19 Nippon Plast Co Ltd カウルトップカバーの取付構造
KR100882499B1 (ko) * 2007-12-14 2009-02-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카울 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873266B2 (ja) * 2011-08-01 2016-03-01 日本プラスト株式会社 カウルトップカバーの取付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9006Y1 (ko) * 1997-04-30 1999-06-15 양재신 자동차의 프론트글라스 조립구조
JP2006281922A (ja) * 2005-03-31 2006-10-19 Nippon Plast Co Ltd カウルトップカバーの取付構造
KR100882499B1 (ko) * 2007-12-14 2009-02-0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카울 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4204096A1 (ko) 2014-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10809B2 (ja) 自動車のサンルーフ構造
JP4728906B2 (ja) 車両のスポイラ構造
US11148732B2 (en) Industrial vehicle cab comprising a step lighting system, a body component with a lighting system, and associated industrial vehicle
JP2010111374A (ja) サンルーフ車両のルーフラック締結装置
JP2017024432A (ja) サンルーフ装置のウエザストリップ
US9566847B2 (en) Structure for rear part of vehicle
JP4306505B2 (ja) ドアサッシュ補強構造
KR101388230B1 (ko) 카울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JP6459038B2 (ja) バッテリ端子の被水防止構造
JP2017043185A (ja) 車両ランプ設置構造
JP6331120B2 (ja) 車体側部構造
WO2016152793A1 (ja) ステアリング支持部材構造
JP2014201277A (ja) 電気自動車などに使用するバッテリー搭載構造
KR101371728B1 (ko) 버스용 광고장치
KR20090020801A (ko) 차량의 선루프 프레임구조
KR101758480B1 (ko) 자동차용 도어
JP2015174622A (ja) 乗用車のフロントガラス周縁構造
KR20140044515A (ko) 차량용 후드의 구조
KR100882499B1 (ko) 카울 탑 커버의 마운팅구조
JP2010221867A (ja) カウルトップガーニッシュのシール構造
RU2016133169A (ru) Боковое облицов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автомобиля промышленного назначения
KR102006635B1 (ko) 자동차 도어의 더스트 웨더스트립 씰링 구조
JP2012081850A (ja) 車両のフェンダパネル固定構造
WO2014196747A1 (ko) 자동차용 카울탑 커버
US1454585A (en) Storm shiel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7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