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3405B1 - 염색성이 개선된 스판덱스 섬유 - Google Patents

염색성이 개선된 스판덱스 섬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3405B1
KR101383405B1 KR1020120120909A KR20120120909A KR101383405B1 KR 101383405 B1 KR101383405 B1 KR 101383405B1 KR 1020120120909 A KR1020120120909 A KR 1020120120909A KR 20120120909 A KR20120120909 A KR 20120120909A KR 101383405 B1 KR101383405 B1 KR 1013834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polyurethane
spandex fiber
spinning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09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무주
홍지혜
강연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효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효성
Priority to KR10201201209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340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34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34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5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 D01F6/7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homopolycondensation products from 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0Prepolymer processes involving reaction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in a first reaction ste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5/00Compositions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5/04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DMECHANICAL METHODS OR APPARATU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 D01D5/00Formation of filaments, threads, or the like
    • D01D5/04Dry spinning method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1/00General methods for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 D01F1/02Addition of substances to the spinning solution or to the melt
    • D01F1/10Other agents for modify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FCHEMICAL FEATURES IN THE MANUFACTURE OF ARTIFICIAL FILAMENTS, THREADS, FIBRES, BRISTLES OR RIBBON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F CARBON FILAMENTS
    • D01F6/00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 D01F6/88Monocomponent artificial filaments or the like of synthetic polymers; Manufacture thereof from mixtures of polycondensation products as major constituent with other polymers or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331/0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 D10B2331/10Fibres made from polymer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condensation products polyurethan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1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elastic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14Dyeabilit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상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에 분자량이 5000 이하인 터셔리 부틸 아민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계 염착증진제를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 중합물의 고형분 대비 0.5중량% 내지 3.0중량%로 함유하는 폴리우레탄우레아 방사원액을 방사하여서 제조되는 염색성이 개선된 스판덱스 섬유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터셔리 부틸 아민기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계 염착증진제를 적용함으로써 산성 염료로 스판덱스 섬유를 포함하는 편직물을 염색할 경우 염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염색성이 개선된 스판덱스 섬유{Improved discolored resistant spandex fiber}
본 발명은 염색성이 개선된 스판덱스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분자량 5000 이하인 터셔리 부틸 아민기를 가지는 폴리 우레탄 염착증진제를 적용한 스판덱스 섬유에 관한 것이다.
스판덱스(spandex) 섬유는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총칭으로 신도 및 탄성 회복률이 우수하여 용도에 따라 나일론, 아크릴, 울, 면 등과 같은 다른 여러 가지 섬유와 조합되어 고신축성 편물로 사용되고 있으나, 스판덱스 섬유의 염색성이 미흡한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스판덱스의 염색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일반적인 기술로는 1) 제3급 질소원자를 폴리우레탄 중합쇄 내에 도입하는 방법(일본특허공고 소62-23097호), 2) 유기산 또는 무기산과 제3급 아민과의 염을 폴리우레탄 중합쇄 중에 도입하는 방법(일본특허공고 소50-17520), 3) 폴리우레탄 중합쇄의 말단에 제3급 또는 제4급 질소원자를 도입하는 방법(일본특허공고 소44-16386호), 4) 사슬신장제로서 저분자 디아민을 사용하는 방법(일본 공개특허공보 소59-108021호) 등이 있다.
그러나 방법 1)과 방법 2)는 반응 중 겔(Gel)이 되기 쉽고, 방법 3)은 질소 원자의 도입량을 제어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 사슬신장제로서 저분자 디아민을 사용하는 방법 4)는 염색성을 향상시킬 수는 있으나 연질성과 탄성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선출원된 종래의 기술(특허출원번호 제93-9904호, 발명의 명칭 : 염색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 수지 조성물)에서는 유기디이소시아네이트, 고분자디올, 질소를 함유하지 않는 저분자디올, 고분자 트리올, 유기용매에 질소원자를 함유하는 저분자 디올을 함께 투입하여 폴리우레탄을 합성함으로써 상기의 문제점을 어느 정도 보완하기는 했으나, 염색성 향상을 위해 질소원자를 포함하는 저분자 디올을 일정량 이상 투입할 경우 물성저하를 초래하므로 폴리우레탄의 염색성을 충분히 향상시키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분자량 수평균 분자량이 5000 이하인 터셔리 부틸 아민기를 가지는 폴리 우레탄 염착 증진제를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에 적용하는 것에 의해 폴리우레탄의 염색성을 크게 향상시키고자 한 것으로, 염색성이 개선된 스판덱스 섬유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통상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에 분자량이 5000 이하인 터셔리 부틸 아민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계 염착증진제를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 중합물의 고형분 대비 0.5중량% 내지 3.0중량%로 함유하는 폴리우레탄우레아 방사원액을 방사하여서 제조되는 염색성이 개선된 스판덱스 섬유인 것이다.
상기 폴리우레탄계 염착증진제는 비스(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로헥실)메탄과 3-터셔리부틸-3-아자-1,5-펜탄디올의 합성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터셔리 부틸 아민기를 포함하는 폴리우레탄계 염착증진제를 적용함으로써 산성 염료로 스판덱스 섬유를 포함하는 편직물을 염색할 경우 염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한 구현예에 따른 염색성이 개선된 스판덱스 섬유는 통상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에 분자량이 5000 이하인 터셔리 부틸 아민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계 염착 증진제를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 중합물의 고형분 대비 약 0.5중량% 내지 약 3.0중량%로 함유시킨 방사원액을 방사하여 제조된 것이다.
본 발명의 스판덱스 섬유 제조에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체는 당 분야에 공지된 바와 같이 유기디이소시아네이트 및 고분자 디올을 반응시켜 폴리우레탄우레아 프리폴리머를 제조한 후, 이를 유기용매에 용해시킨 후 디아민과 모노아민을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상기 유기 디이소시아네이트로는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부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수소화된 P,P-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이 있으며, 상기 고분자 디올로는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글리콜, 폴리프로필렌글리콜, 폴리카보네이트디올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디아민류는 사슬연장제로서 사용되며, 이의 예로는 에틸렌디아민, 프로필렌디아민, 하이드라진, 1,2-디아미노프로판 등이 있으며, 본 발명에서는 특히 에틸렌디아민과 1,2-디아미노프로판을 약 80몰%와 약 20몰%의 비율로 혼합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모노아민은 사슬종결제로서 사용되며, 이의 예로는 디에틸아민, 모노에탄올아민, 디메틸아민 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자외선, 대기 스모그, 스판덱스 가공 공정 중 열처리 등에서 스판덱스의 변색, 물성 저하를 방지하기 위하여 산화방지제, 무기 내염소제 및 내광제 등을 첨가하여 폴리우레탄우레아 방사원액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산화 방지제는 폴리우레탄우레아 방사원액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1,3,5-트리스 (4-tert-부틸-3-하이드록시-2,6-디메틸벤질)-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3-(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9-비스(2-(3-(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닐옥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 언데칸 6으로부터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터셔리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이중에서 특히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3-(3-ter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가 가장 바람직하며, 폴리우레탄우레아 중합물의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1 내지 약 10중량%를 적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서 적용할 수 있는 무기 내염소제로는 멜라민 화합물이 코팅된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 입자를 사용하며,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 입자는 하기 구조식 (1)로 표시될 수 있다.
M2 + xAlm(OH)y(An-)z (1)
[상기식에서, M2 +는 Mg2 + 또는 Zn2 +이고, An -은 n의 원자가를 갖는 음이온이고, x, y는 적어도 2 이상의 양수값, Z, m은 양수값이다. 상기 An -는 OH-, F-, Cl-, Br-, NO3 -, SO4 2 -, CH3COO-, CO3 2 -, HPO4 2 -, Fe(CN)6 3-, 옥살레이트 이온 및 살리실레이트 이온이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 입자는 하기 구조식 (2) 내지 (6)로 표시되는 화합물에서 선택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중에서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다음 구조식 (5)이다.
Mg4 .5Al2(OH)13CO3 (2)
Mg6Al2(OH)16CO3 (3)
Mg8Al2(OH)20CO3 (4)
Mg4Al2(OH)12CO3 (5)
또한, 상기 멜라민계 화합물로는 멜라민 화합물, 인(P)이 결합된 멜라민 화합물,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화합물로 치환된 멜라민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화합물로 치환되고 인(P)이 결합된 멜라민 화합물, 카르복실기를 갖는 유기화합물로 치환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을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멜라민 화합물로는 메틸렌 디멜라민, 에틸렌 디멜라민, 트리메틸렌 디멜라민, 테트라메틸렌 디멜라민, 헥사메틸렌 디멜라민, 데카메틸렌 디멜라민, 도데카메틸렌 디멜라민, 1,3-사이클로헥실렌 디멜라민, p-페닐렌 디멜라민, p-크실렌 디멜라민, 디에틸렌 트리멜라민, 트리에틸렌 테트라멜라민, 테트라에틸렌 펜타멜라민과 헥사에틸렌 헵타멜라민, 멜라민 포름알데히드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인이 결합된 멜라민 화합물로는 상기 멜라민 화합물에 포스포릭에시드가 결합되거나, 포스페이트가 결합된 형태이면 상관없으며, 예로는 디멜라민 피로포스페이트, 멜라민 프라이머리 포스페이트, 멜라민 세컨더리 포스페이트,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비스-(펜터어리트리톨 포스페이트) 포스포릭산과 반응된 멜라민염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은 치환되지 않은 멜라민 사아누레이트와 적어도 한 개이상의 치환체가 메틸, 페닐, 카르복시메틸, 2-카르복시에틸, 시아노메틸, 2-시아노에틸 등으로 치환된 멜라민 시아누레이트 화합물을 말한다.
상기 멜라민계 화합물에 카르복실기를 지닌 유기화합물이 포함되는 것이 효과적이다. 카르복실기를 지닌 유기화합물로는 지방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 예를 들면, 카프리릭산(caprylic acid), 운데카노익산, 라우릭산, 트리데카노익산, 미리스틱산, 펜타데카노익산, 헥사데카노익산, 헵타데카노익산, 스테아릭산, 노나데카노익산, 에이코사노익산과 베헤닉산이 사용될 수 있으며,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을 예를 들면, 말로닉산(malonic acid), 숙신익산, 글루타릭산, 아디픽산, 피멜릭산, 수베릭산, 아젤라익산, 세바스산, 1,9-노난디카르복실산, 1,10-데칸디카르복실산, 1,11-운데칸디카르복실산, 1,12-도데칸디카르복실산, 1,13-트리데칸디카르복실산 또는 1,14-테트라데칸디카르복실산이 채용될 수 있고, 방향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 예를 들면, 벤조익산, 페닐아세틱산, 알파-나프토익산, 베타-나프토익산, 신남산, p-아미노히푸릭산(aminohippuric acid) 과 4-(2-티아조일 설파밀)-프탈라니노익산(4-(2-thiazo(l)ylsulfamyl)-phthalaninoic acid)이 채용될 수 있고,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 예를 들면, 테레프탈릭산, 아이소프탈릭산과 프탈릭산, 방향족 트리카르복실산으로 예를들면, 트리멜리틱산(trimellitic acid), 1,3,5-벤젠트리카르복실산과 트리스(2-카르복시에틸) 이소시아누레이트가 채용될 수 있으며, 방향족 테트라카르복실산으로 예를 들면, 피로멜리틱산(pyromellitic acid)과 바이페닐테트카르복실산이 채용될 수 있으며, 지환족 모노카르복실산으로 예를 들면, 사이클로헥산카르복실산, 지환족 디카르복실산으로 예를들면, 1,2-사이클로헥산 디카르복실산등이 채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이드로탈사이트 화합물 입자는 약 0.1중량% 내지 10중량%의 멜라민계 코팅 물질로 코팅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스판덱스 섬유는 상기 성분 외에도 내광제로서 이산화티탄,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과 같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산화티탄은 스판덱스 섬유 총 중량을 기준으로, 스판덱스의 백색 정도에 따라 약 0.1중량% 내지 약 5 중량%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는 스판덱스 섬유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1 내지 약 2 중량%의 범위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스판덱스의 해사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부가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한 구현예에 의하면, 추가로 염색성 향상을 위해 폴리우레탄계 염착 증진제로서 비스(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과 3-터셔리부틸-3-아자-1,5-펜탄디올을 약 0.5중량% 내지 약 3.0중량%를 이용하여 합성물을 적용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 폴리우레탄계 염착 증진제의 분자량은 5000 미만이 바람직하지만, 만일 5000를 초과할 경우에는 스판덱스 섬유를 제조할 때 편직물의 염색성 개선 효과가 부족하게 되고, 5000 이하의 분자량을 가질 경우에는 염색성 개선 효과가 상당히 크게 나타난다. 이는 분자량이 5000을 초과할 경우 염료와 반응한 염착 증진제가 섬유 표면으로의 이동이 어려우나 5000 이하일 경우에는 표면으로의 이동이 용이하여 염색성을 보다 효과적으로 향상시킨다고 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한 구현예에 의하면, 상기 염착 증진제를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의 중합물 고형분 대비해서 스판덱스 섬유 내에 약 0.5중량% 미만으로 함유시킬 경우에는 염색 불균일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반대로 약 3.0중량%를 초과하여 함유시킬 경우에는 편직 시 스컴 발생 등의 문제가 야기될 수 있으므로 상기한 범위로 함유되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다음의 실시예는 단지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이 특히 여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55.2g과 폴리테트라메틸렌에테르 글리콜(PTMG, 분자량 1800) 1926g을, 질소가스기류 중에서 90℃, 180분간 교반하면서 반응시켜 양말단에 이소시아네이트를 지닌 폴리우레탄우레아 예비중합체(prepolymer)를 제조하였다. 상기 예비중합체를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용매로서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4485.3g을 가하여 폴리우레탄우레아 예비중합체(prepolymer) 용액을 얻었다.
이어서 사슬연장제로서 에틸렌디아민 36.0g(0.6몰), 1,2-디아미노프로판 11.1g(0.15몰), 사슬종결제로서 디에틸아민 4.4g을 디메틸아세트아마이드 684g에 용해하고 10℃ 이하에서 상기 예비중합체 용액에 첨가하여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을 얻었다. 상기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에 분자량이 2000 내지 4000 정도인 터셔리부틸아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염착증진제로서 비스(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과 3-터셔리부틸-3-아자-1,5-펜탄디올을 이용하여 합성물을 24.3g(1중량%)를 투입하여 45℃에서 60분간 믹싱하였다.
추가로,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에 산화방지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3-(3-터셔리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36.5g(1.5중량%)와 무기내염소제로서 멜라민 폴리포스페이트 1중량%가 코팅된 하이드로탈사이트 Mg4Al2(OH)12CO3·3H2O를 97.3g(4.0중량%), 내광제로서 이산화티탄 12.16g(0.5중량%)를 혼합하여 폴리우레탄우레아 방사 원액을 조제하였다.
위와 같이 수득한 방사 원액을 건식 방사 (방사 온도: 260℃)에 의해 900m/min 속도로 방사하여 40 데니아 3 필라멘트의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와 폴리아미드 원사를 사용하여 교직물(탄성사 함량: 30중량%)을 제조한 후, 산성 염료(C.I. Acid Blue 40)로 염색하고, 오염포로 폴리아미드 직포를 사용하여 상기 교직물의 일광 및 세탁 견뢰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터셔리 부틸아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염착증진제 60.8g(2.5중량%)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와 폴리아미드 원사를 사용하여 교직물(탄성사 함량: 30중량%)을 제조한 후, 산성 염료(C.I. Acid Blue 40)로 염색하고, 오염포로 폴리아미드 직포를 사용하여 상기 교직물의 일광 및 세탁 견뢰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1
상기 실시예 1에서 터셔리 부틸아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염착증진제를 투입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와 폴리아미드 원사를 사용하여 교직물(탄성사 함량: 30중량%)을 제조한 후, 산성 염료(C.I. Acid Blue 40)로 염색하고, 오염포로 폴리아미드 직포를 사용하여 상기 교직물의 일광 및 세탁 견뢰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2
상기 실시예 1에서 터셔리 부틸아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염착증진제의 분자량이 5000 이상인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와 폴리아미드 원사를 사용하여 교직물(탄성사 함량: 30중량%)을 제조한 후, 산성 염료(C.I. Acid Blue 40)로 염색하고, 오염포로 폴리아미드 직포를 사용하여 상기 교직물의 일광 및 세탁 견뢰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상기 실시예 1에서 터셔리 부틸아민을 포함하는 폴리우레탄 염착증진제 0.3중량%를 투입하는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를 제조하였다.
상기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와 폴리아미드 원사를 사용하여 교직물(탄성사 함량: 30중량%)을 제조한 후, 산성 염료(C.I. Acid Blue 40)로 염색하고, 오염포로 폴리아미드 직포를 사용하여 상기 교직물의 일광 및 세탁 견뢰도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염색성 L치 76.67 85.44 40.21 50.76 55.4
일광견뢰도(급) 3.5급 3.5급 3.5급 3급 3.5급
세탁견뢰도(급) 3.5급 3.5급 3급 3.5급 3.5급
염색균일성 양호 양호 양호 양호 불균염
원사특성 인장강도(g/d) 1.32 1.30 1.28 1.25 1.33
신도(%) 555 543 538 550 533
모듈러스 6.5 6.9 6.3 7.1 7
<평가방법>
1. 원사의 인장강도, 신도 및 modulus는 KSK 0219에 준하여 평가하였다.
2. 세탁견뢰도 : KSK 0430 AI법으로 측정하였다.
3. 일광견뢰도 : AATCC 16E-1982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4. L치(심색도), 색도 좌표상 a*치 및 b*치: 분광광도계를 사용하여 원사의 반사율을 측정한 후, 이를 CIE 76 CIE Lab 색차식의 계산식을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에 대해 어느 정도 특정적으로 설명했지만, 이것들에 대해 여러 가지의 변경을 할 수 있는 것은 당연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 및 정신으로부터 이탈하는 일 없이, 본 명세서 중에서 특정적으로 기재된 모양과는 다른 모양으로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은 당연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Claims (2)

  1. 통상의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에 수평균 분자량이 5000 이하인 터셔리 부틸 아민기를 가지는 폴리우레탄계 염착증진제를 폴리우레탄우레아 용액 중합물의 고형분 대비 0.5중량% 내지 3.0중량%로 함유하는 폴리우레탄우레아 방사원액을 방사하여서 제조하되 상기 폴리우레탄계 염착증진제는 비스(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로헥실)메탄과 3-터셔리부틸-3-아자-1,5-펜탄디올의 합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염색성이 개선된 스판덱스 섬유.


  2. 삭제
KR1020120120909A 2012-10-30 2012-10-30 염색성이 개선된 스판덱스 섬유 KR1013834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909A KR101383405B1 (ko) 2012-10-30 2012-10-30 염색성이 개선된 스판덱스 섬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0909A KR101383405B1 (ko) 2012-10-30 2012-10-30 염색성이 개선된 스판덱스 섬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3405B1 true KR101383405B1 (ko) 2014-04-08

Family

ID=506571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0909A KR101383405B1 (ko) 2012-10-30 2012-10-30 염색성이 개선된 스판덱스 섬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340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043A (ko) 2014-12-17 2016-06-28 주식회사 효성 염색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KR101684872B1 (ko) * 2015-11-20 2016-12-12 주식회사 효성 염색성과 열세트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227500A (zh) * 2016-03-25 2017-10-03 泰光产业株式会社 耐热性及耐氯性优异的聚氨酯脲弹性纤维
KR20190049897A (ko) * 2016-10-05 2019-05-09 산코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733B1 (ko) * 1996-08-23 1999-01-15 한형수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JP2002332271A (ja) * 2001-03-05 2002-11-22 Asahi Kasei Corp 新しい発色剤および記録材料
KR100397469B1 (ko) * 2001-06-20 2003-09-13 임대준 폴리우레탄 섬유 및 합성피혁의 염색성을 향상시킨염색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9377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효성 염색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8733B1 (ko) * 1996-08-23 1999-01-15 한형수 폴리우레탄 탄성섬유의 제조방법
JP2002332271A (ja) * 2001-03-05 2002-11-22 Asahi Kasei Corp 新しい発色剤および記録材料
KR100397469B1 (ko) * 2001-06-20 2003-09-13 임대준 폴리우레탄 섬유 및 합성피혁의 염색성을 향상시킨염색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9377A (ko) * 2009-12-31 2011-07-07 주식회사 효성 염색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74043A (ko) 2014-12-17 2016-06-28 주식회사 효성 염색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KR101684872B1 (ko) * 2015-11-20 2016-12-12 주식회사 효성 염색성과 열세트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227500A (zh) * 2016-03-25 2017-10-03 泰光产业株式会社 耐热性及耐氯性优异的聚氨酯脲弹性纤维
CN107227500B (zh) * 2016-03-25 2021-06-25 泰光产业株式会社 耐热性及耐氯性优异的聚氨酯脲弹性纤维
KR20190049897A (ko) * 2016-10-05 2019-05-09 산코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제조 방법
KR102076103B1 (ko) 2016-10-05 2020-02-11 산코 가부시키가이샤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623950B2 (en) High heat and chlorine resistant polyurethaneurea elastic fiber and preparation of thereof
KR101383405B1 (ko) 염색성이 개선된 스판덱스 섬유
KR101130510B1 (ko) 내염소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KR101549276B1 (ko) 폴리우레탄 탄성사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766269B1 (ko) 내열성 및 항염소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KR100437988B1 (ko) 내염소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섬유 및 그제조방법
KR101440693B1 (ko) 염색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JP7030525B2 (ja) 共重合体ポリオールを含むポリウレタン繊維
WO2011081447A2 (ko) 고속방사용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방법
KR20160078842A (ko) 염색성을 향상시킨 스판덱스 섬유
KR101807362B1 (ko) 염색성이 개선된 폴리우레탄 또는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57328B1 (ko) 내염소성 및 내변색성이 향상된 스판덱스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5187995A (ja) ポリウレタン弾性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KR101407153B1 (ko) 내염소성 및 내변색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섬유 및 그의 제조방법
US11629437B2 (en) Polyurethane urea elastic yarn having improved dyeabilit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KR101429383B1 (ko) 내변색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섬유 및 그 제조방법
KR20110079377A (ko) 염색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의 제조방법
KR101396107B1 (ko) 열세트성이 향상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사 및 그 제조 방법
KR101913354B1 (ko) 생산성 및 작업성이 우수한 폴리우레탄우레아 탄성섬유
CN107849747B (zh) 具有良好的耐氯性的氨纶纤维
JP4613802B2 (ja) ポリウレタン系弾性繊維、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2003504521A (ja) ポリウレタンウレア弾性繊維およびその製造方法
CN110079888A (zh) 一种具有阻燃功能的聚氨酯弹性纤维及其制备方法
KR100519595B1 (ko) 내염소성 및 내열성이 우수한 스판덱스 섬유 및 그 제조방법
JP4968648B2 (ja) ポリウレタン弾性糸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