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1040B1 - 진공오수 시스템 - Google Patents

진공오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1040B1
KR101381040B1 KR1020070031586A KR20070031586A KR101381040B1 KR 101381040 B1 KR101381040 B1 KR 101381040B1 KR 1020070031586 A KR1020070031586 A KR 1020070031586A KR 20070031586 A KR20070031586 A KR 20070031586A KR 101381040 B1 KR101381040 B1 KR 1013810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discharge
discharge valve
vacuum
venting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31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70098724A (ko
Inventor
베사 라파라이넨
군나르 린두르스
카지 뢴블라드
Original Assignee
에박 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박 오이 filed Critical 에박 오이
Publication of KR200700987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987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10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10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 E03F1/006Pneumatic sewage disposal systems;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herefor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11/00Other component parts of water-closets, e.g. noise-reducing means in the flushing system, flushing pipes mounted in the bowl, seals for the bowl outlet, devices preventing overflow of the bowl contents; devices forming a water seal in the bowl after flushing, devices eliminating obstructions in the bowl outlet or preventing backflow of water and excrements from the waterpip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5/00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 E03D5/02Special constructions of flushing devices, e.g. closed flushing system operated mechanically or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also details such as push buttons, levers and pull-card therefor
    • E03D5/024Operated hydraulically or pneumatically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DWATER-CLOSETS OR URINALS WITH FLUSHING DEVICES; FLUSHING VALVES THEREFOR
    • E03D9/00Sanitary or other accessories for lavatories ; Devices for cleaning or disinfecting the toilet room or the toilet bowl; Devices for eliminating smells
    • E03D9/14Noise-reducing means combined with flushing valv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1/00Methods, systems, or installations for draining-off sewage or storm wat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pidemi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 Sink And Installation For Waste Water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 Physical Water Treatments (AREA)
  • Sanitary Device For Flush Toile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수용기(1)와, 배출밸브(2)의 수단에 의하여 그 오수용기(1)에 접속된 오수 배관(3)과, 그 오수배관내에 진공을 발생하기 위한 진공발생수단(4) 및, 그 배출밸브(2)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오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수용기(1)로부터의 오수를 배출한 후에 보다 신속한 배출밸브(2)의 폐쇄를 달성하기 위하여, 진공오수 시스템은 배출밸브(2)와 직접 유통상태로 하는 통기수단(1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어기구(5)는 통기수단(10)을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본 발명은 또한 그러한 진공오수 시스템용의 배출밸브와도 관련된 것이다.

Description

진공오수 시스템 {VACUUM SEWER SYSTEM}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진공오수 시스템을 도시한다.
도 2는 배출 또는 물내림순서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에서 채택된 배출 또는 물내림 순서의 제 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채택된 배출 또는 물내림 순서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에서 채택된 배출 또는 물내림 순서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오수용기 2 : 배출밸브
3 : 오수배관 4 : 진공발생수단
5 : 제어기구 6 : 작동수단
7 : 물공급원 8 : 물밸브
9 : 세정수 노즐 10 : 통기수단
11 : 제 4 도관 21 : 제 2 도관
22 : 밸브 시이트 31 : 제 1 도관
32 : 체크밸브 33 : 지점
51 : 통기밸브 101 : 확장실
102 : 밸브판 103 : 밸브스템
104 : 내부 스프링수단
본 발명은 청구항 1 의 서문에 따른 바와 같이, 오수용기와, 배출밸브의 수단에 의하여 그 오수용기에 접속된 오수 배관과, 그 오수배관내에 진공을 발생하기 위한 진공발생수단 및, 그 배출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오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청구항 11에 따른 바와 같이, 그러한 진공오수 시스템용 배출밸브와도 관련된 것이다.
본 발명의 전체 문맥으로부터, 오수용기는 예를 들면 좌식변기, 소변기, 싱크, 세면대, 샤워등이 될 수 있다. 오수는 예를 들면 좌식변기나 소변기로부터 유래하는 하수나, 싱크, 세면대 샤워등으로부터 유래하는 중수일 수 있다. 세정수 설비는 하수원에 따라 채택될 수 있다.
진공오수 시스템에 있어서, 오수용기의 기능은 유압식으로, 즉 공기/진공에 의하여 통제되며, 진공원은 통상 오수배관이다. 제어기구를 위한 진공이 통상 오수의 유통방향에서 볼 때 배출밸브에 인접한 오수배관의 지점에서 발생하게 된다. 배출밸브가 개방되면, 진공수준은 하수배관으로 들어가는 대기에 의하여 내려가게 된다.
제어기구는 3방향 밸브와 같이 기능함으로써, 배출밸브의 폐쇄는 제어기구를 거쳐서 그의 통기에 의하여 발생하게 된다. 결과적으로, 폐쇄속도는 통기도관의 유체저항에 의존하게 된다.
공지의 진공제어 배출밸브는, 그 배출밸브가 폐쇄될 때, 배출밸브를 통하는 기류의 통로가 급격하게 좁아지거나 또는 조여지기 때문에 매우 높은 소음수준을 가질 수 밖에 없었다.
그와 같은 소음을 저감하기 위한 시도의 예는, 미국특허 6,128,789 호에서 찾아볼 수 있으며, 그 발명에서는, 배출밸브를 보다 신속하게 폐쇄하게 되며, 유럽특허 0 436 357 호 및 0 778 432 호에서는, 보조공기가 오수배관내로 도입된다. 이들 해결책들은 다소 복잡하며 매우 제한된 결과만을 제공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배출이나 물내림시의 소음의 수준이 저감된 진공 오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공오수 시스템의 작용을 개선하는 배출밸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들 목적은 청구항 1 에 따른 진공오수 시스템 및 청구항 13에 따른 배출밸브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은, 오수용기로부터 오수를 배출한 후에 배출밸브의 효과적이며 신속한 폐쇄를 제공하는 소위 급속 배기밸브인 통기수단을 진공 오수시스템에 제공함으로써, 소음수준을 저감하는 것이다. 배출밸브의 효과적이며 신속한 폐쇄는 배출밸브로의 직접적인 보조공기를 공급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진공오수 시스템은 배출밸브로의 직접 유통을 제공하도록 배치되는 통기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출밸브를 제어하는 제어기구도 통기수단의 기능을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특히, 배출밸브에는 그러한 통기수단이 마련된다.
통기수단은 배출이나 물내림후에 배출밸브를 급속하게 폐쇄하기 위하여 배출밸브에 공기를 공급하도록 배치된다. 통기수단은 배출이나 물내림시에 배출밸브를 개방하기 위하여 진공이 공급될 때에는 폐쇄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통기수단은 폐쇄시간에 영향을 미치게 되지만, 배출밸브의 개방에는 관여하지 않게 된다.
그러한 통기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유압식으로 또는 전기식으로 제어될 수 있다.
통기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배출밸브에 부착되고 제 4 도관의 수단에 의하여 제어기구에 접속된 배기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은, 폐쇄단계에서 배출밸브의 직접적이고 신속한 통기를 가능하게 하며, 제 4 도관을 통해 제어기구에 의하여 통제될 수 있다. 통기수단에는, 바람직하게는 배출 또는 물내림후에 소정의 지연시간을 두고 통기수단을 폐쇄하기 위한 통기노즐이 마련된다.
통기수단은 바람직하게는 배출밸브와 관련하여 배치되고 제 4 도관의 수단에 의하여 제어기구에 접속된 배기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으며, 그에 의하여 제 4 도관은 통기수단과 배출밸브의 사이에 마련된다. 이러한 구성은 배출밸브의 폐쇄단계에서 배출밸브의 직접적이고 신속한 통기를 제공한다. 통기수단은 배출밸 브에 부착될 수도 있고, 배출밸브와는 별개로 배치될 수도 있다. 통기수단의 개방 및 폐쇄기능은 배출밸브와 직렬로 연결된 제어기구에 의하여 통제된다.
통기수단의 기능은 바람직하게는 전기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이러한 효과를 위하여, 통기수단은 배출밸브에 부착된 배기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그에 의하여 제어수단은 센서장치 및 통기수단에 접속된 자기밸브를 통하여 통기수단을 제어하도록 배치된다. 이러한 구성은 배출밸브의 폐쇄단계에서 직접적이고 신속한 통기를 제공한다. 센서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배출밸브로의 진공이 스위치 온 또는 오프되었는지 및 그에 따라 통기수단을 개방또는 폐쇄하였는지의 여부를 판독하기 위하여 제어수단에 접속된다.
상술한 구성은 제어기구가 마련된 배출밸브의 진공제어에 근거한 통기수단의 기능을 제어하는 용이하고도 신뢰할 수 있는 방식을 제공한다.
배출밸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청구항 13 내지 24에 부여되어 있다.
이하에서, 예시만을 목적으로 한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
도 1은 오수용기(1)와, 배출밸브(2)의 수단에 의하여 그 오수용기(1)에 접속된 오수 배관(3) 및, 그 오수배관(3)내에 진공을 발생하기 위한 진공발생수단(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오수 시스템의 실시예을 일반적인 방식으로 도시한 것이다. 진공오수 시스템에는 배출밸브(2)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5)가 구비된다. 진공오수 시스템은 배출밸브, (물 밸브), 및 제어기구와 관련된 다수개의 오 수용기를 포함할 수도 있으며, 그에 의하여 진공발생기구의 수효가 전체 시스템의 레이아웃 및 규격에 따라 변화될 수 있다.
진공으로 동작되는 배출밸브와, 진공으로 작동되는 물밸브 및 진공제어 기구를 포함하는 진공오수 시스템은 당업계에 공지된 것이며,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하지 않는다.
제어수단(5)은 오수의 흐름방향(화살표 도시방향)으로 배출밸브(2)에 인접한 지점(33)에서, 제 1 배관(31)에 의하여 체크밸브(32)를 통하여 하수배관(3)에 접속된다. 제어수단(5)에는 또한 물내림이나 방출을 위하여 제어기구를 작동시키기 위한 푸쉬버튼 또는 적외선 트리거(trigger)장치와 같은 작동수단(6)이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오수용기(1)는 도시한 바와 같이 변기이며, 여기에는 변기와 관련하여, 공급수원(7), 진공으로 작동되는 물 밸브(8) 및 세정수 노즐(9)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세정수 설비가 마련된다. 제어수단(5)은 또한 물밸브(8)의 작동을 통제하고 제 3 배관(81)에 의하여 물밸브에 접속된다.
오수용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소변기, 싱크, 세면대, 샤워등이 될 수 있다. 세정수 설비는 임의적인 것이며 그의 사용은 하수용기의 방식에 의존되는 것이다.
도 1은 또한 진공오수 시스템에 통기수단(10)이 구비된 것을 일반적인 방식으로 도시하고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급속 배기밸브의 형태로 된 것으로서, 배출밸브(2)와 제어기구(5) 사이의 유통[제 4 도관(11)을 경유한]이 이루어지고 있다. 통기수단(10)의 목적은, 폐쇄밸브(2)의 폐쇄를 가속 또는 증속하는 것으로서, 그에 의하여 기능이 제어기구(5)에 의하여 제어된다. 이는 도 3, 4 및 5와 관련하 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논의한다.
기본적으로, 각 오수용기에는 배출밸브가 마련되며, 여기에 통기수단이 접속된다. 진공오수 시스템은 통상 하나 이상, 심지어는 다수개의 오수용기와를 포함하여 구성되기 때문에, 배출밸브의 수 및 그에 접속된 시스템내의 통기수단도 그에 따라서 바뀌게 된다. 통기수단을 포함하는 배출밸브는 서비스, 수리 또는 예를 들어 진공오수 시스템의 확장과 관련하여 제거되거나 또는 개별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도 2는 상술한 바와 같은 진공오수 시스템과 관련하여 통상적으로 채택되는 배출 또는 물내림순서를 도시한다. 진공오수 시스템의 기능은 통상 오수배관(3)내에 존재하는 진공에 기초한다. 제어기구(5)는 배출밸브를 개방하기 위하여 배출밸브(2)[및 도 1에서 물밸브(8)]로 진공을 도입 또는 공급한다. 제어기구(5)는 일반적으로 3방향 밸브와 같이 기능하며, 그에 의하여 배출밸브(2)의 통기도 3방향 밸브위치의 스위치에 의하여 제어기구(5)를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대기모드(A)에서, 진공은 배출밸브(2)의 기능을 통제하기 위해 제어기구(5)에 접속된다. 진공은 배출밸브(2)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오수배관(3)의 지점(33)에서 틀게 되어 있으며 체크밸브(32) 및 제 1 도관(31)을 통하여 제어기구(5)에 이르게 된다. 배출밸브(2)는 제 2 도관(21) 및 제어기구(5)내의 통기밸브(51)을 통하여 통기된다.
배출 또는 물내림(B)시에, 제어기구(5)는 작동수단(6)에 의하여 작동된다(검은색 화살표로 도시됨). 이는 3방향 밸브의 위치를 바꾸고, 제 2 도관(21)과, 제 1 도관(31)을 통하여 배출밸브(2)내에 존재하는 진공과의 사이에 접촉이 발생한다. 따라서 진공은 배출밸브(2)를 개방하도록 접속되고, 그에 의하여 배출밸브(2)가 열림에 따라 오수용기(1)(도 1)내에 있는 오수가 배출된다(화살표로 나타낸 오수의 흐름방향).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어기구(5)는 3방향 밸브의 위치를 바꿈으로써 상기 접촉상태를 폐쇄하고, 제 2 도관(21)과 통기밸브(51)사이의 접촉을 재설정하며[대기모드 (A)에 대응함], 그에 의하여 배출밸브(2)가 통기되고 폐쇄된다[통기모드 (C)].
그리고 진공오수 시스템은 다시 새로운 배출 또는 물내림 순서에 대기하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다. 진공오수 시스템의 기능은 오수배관(3)내에 존재하는 진공에 기반을 둔다. 제어기구(5)는 배출밸브를 개방하기 위하여 배출밸브(2)로 진공을 도입 또는 공급한다. 제어기구(5)는 통상 3방향 밸브처럼 동작한다.
본 실시예에서, 진공오수 시스템은, 배출밸브(2)에 직접 부착되고 제 4 도관(11)의 수단에 의하여 제어기구(5)에 접속된 통기수단(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기수단(10)은 배기밸브, 또는 급속 배기밸브의 형태로 된 것이며, 그의 목적은 배출밸브(2)의 폐쇄를 위하여 진공으로 동작되는 배출밸브(2)를 급속하게 배기, 즉 공기를 공급하는 것이다. 통기수단(10)은 배출밸브(2)내의 밸브 시이트(22)를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배치된 밸브판(102)을 가진 확장실(10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부가적으로, 통기수단(10)에는 통기노즐(12)이 마련된다. 통기수단은 유압식으로, 공기/진공에 의하여 제어된다.
대기모드(A)에서, 진공은 제어기구(5)에 접속된다. 진공은 배출밸브(2)의 하류측에 인접하여 오수배관(3)의 지점(33)에서 틀게 되어 있으며 체크밸브(32) 및 제 1 도관(31)을 통하여 제어기구(5)에 이르게 된다. 배출밸브(2)는 그 배출밸브(2)에 이르는 제 2 도관(21)에 통기수단(10)의 통기노즐(12)을 통하여 제어기구(5)의 수단에 의해 접속되는 제 4 도관(11)을 통하여 통기된다. 통기수단(10)은, 통기노즐(12)을 통하여 통기되면서, 이 대기모드(A)내에서 배출밸브(2)에 관하여 폐쇄된다. 이것은 배출밸브(2)내의 밸브 시이트(22)에 대하여 폐쇄되는 밸브판(102)으로 도시되어 있다.
배출 또는 물내림(B)을 위하여, 제어기구(5)는 작동수단(6)에 의하여 작동된다(검은색 화살표로 도시됨). 이는 3방향 밸브 위치를 변환시키고, 제 1 도관(31)을 통하여 제어기구(5)내에 팽배한 진공과 제 2 도관(21) 사이의 접촉을 성립시킨다. 따라서 진공은 배출밸브(2)를 개방하도록 접속되고, 그에 의하여 배출밸브(2)의 개방에 따라 오수용기(1)(도 1)내에 고인 오수가 배출된다. 제어기구(5)는 제 4 도관(11)으로의 접속을 막고, 통기수단(10)은 폐쇄된 채로 통기노즐(12)을 통하여 통기된다.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후, 제어기구(5)는 3방향 밸브위치를 전환함으로써 진공접속을 폐쇄하고 통기수단(10)에 접속된 제 4 도관(11)과 제 2 도관(21) 사이의 접촉을 재설정한다. 이 전환은 배출밸브(2)내의 진공을 제어기구(5)를 통하여 제 2 도관(21)에, 또한 제 4 도관(11)을 통하여 통기수단(10)에 접속토록 하는 것이며, 그에 의하여 통기수단(10)이 개방된다. 진공은 통기수단(10)의 확장실(101)을 수축시키고, 그에 의하여 밸브판(102)은 배출밸브(2)내의 밸브시이트(22)로부터 물러나게 된다.
순서대로, 배출밸브(2)는 개방된 밸브 시이트(22) 및 제 1 개구(13)를 통하여 직접 공기(꼬리 2개 달린 화살표로 도시함)을 받아들이고, 급속하게 폐쇄된다(통기모드 C). 통기수단(10)은 통기노즐(12)를 통하여 통기되고 소정의 지연시간 후 폐쇄된다[통기노즐(12)의 규격에 의존함].
본 발명에 따른 통기수단(10)은 상술한 장점과 함께 배출밸브(2)의 급속한 밀폐를 제공한다.
또한 진공 오수시스템은 새로운 배출 또는 물내림을 대기하게 된다.
배출밸브의 급속통기는 많은 방식으로 제공될 수 있다. 선택적인 구성을 이하의 도 4를 참고로 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다. 진공오수 시스템의 기능은 오수배관(3)내에 존재하는 진공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제어기구(5)는 배출밸브(2)를 개방하기 위하여 배출밸브(2)에 진공을 도입 또는 공급한다. 제어기구(5)는 통상 3방향 밸브와 같이 기능한다.
실시예에서, 진공오수 시스템은 통기수단(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통기수단(10)은 배출밸브(2)와 접속되며, 제 4 도관(11)에 의하여 제어기구(5)에 접속된다. 통기수단(10)은 배기밸브, 또는 급속배기밸브의 형태를 취하며, 그의 목적은 배출밸브(2)를 폐쇄하기 위하여 급속 배기, 즉 진공동작하는 배출밸브(2)로 직접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통기수단(10)은 내부 스프링수단(104)을 가지는 확장실(101) 및, 배출밸브(2)내의 밸브 시이트(22)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밸브판(102)을 가지는 밸브 스템(10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기수단은 유압식으로 공기/진공에 의하여 제어된다.
제어기구(5)로부터 배출밸브(2)로의 진공접속은 통기수단(10)을 통하여 이루어지며, 그에 의하여 제 4 도관(11)은 제어기구(5)와 통기수단(10)사이의 접속을, 또한 제 5 도관(14)은 통기수단(10)과 배출밸브(2) 사이의 접속을 제공한다.
대기모드(A)에서, 진공은 제어기구(5)로 접속된다. 진공은 오수배관(3)의, 배출밸브(2)의 근방에서 하류쪽인 지점(33)에서 틀어지며, 체크밸브(32) 및 제 1 도관(31)을 통하여 제어기구(5)로 도출된다. 배출밸브(2)는 제 2 개구(15)를 통하여 통기된다. 통기수단(10)은 제 4 도관(11)을 통하여 통기밸브(51)로, 또한 제 5 도관(14)을 통하여 배출밸브(2)로 통기된다. 이는, 내부 스프링수단(104)에 의하여 바이어스된 통기수단(10)의 확장실(101)을 확장상태로 유지하고, 밸브판(102)을 가지는 밸브스템(103)이 배출밸브(2)내의 밸브 시이트(22)로부터 물러나 있도록 하며,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 2 개구(15)를 통하여 공기의 유입을 허용하게 한다.
배출 또는 물내림(B)에 있어서, 제어기구(5)는 작동수단(6)에 의하여 작동된다(검은 화살표로 표시됨). 이는 3방향 밸브의 위치를 전환시키고, 제 1 도관(31)을 통하여 제어기구(5)내에 팽배한 진공과 제 4 도관(11) 사이의 접촉을 설정하게 한다. 따라서, 진공은 제 4 도관(11)을 통하여 통기수단(10)에 접속되고, 이는 확장실(101)을 내부스프링(104)에 의한 힘에 대하여 수축시키고, 배출밸브(2)내의 밸브시이트(22)를 폐쇄하도록 밸브판(102)을 가진 밸브 스템(103)을 누르게 된다.
동시에 진공은 배출밸브(2)를 개방하도록 제 5 도관(14)을 통하여 배출밸브(2)에도 접속되고, 그에 의하여 배출밸브(2)가 열려서, 오수용기(1)(도 1)내에 고인 오수를 배출한다(화살표로 나타낸 오수의 유통방향으로).
소정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어기구(5)는 3방향 밸브를 전환함으로써 진공접속을 폐쇄하고, 제어기구(5)내의 통기밸브(51)와, 통기기구(10)에 접속된 제 4 도관(11) 사이의 접촉을 재설정하며, 그에 의하여 공기가 통기수단(10)의 내로 유입되어 내부 스프링 수단(104)에 의하여 바이어스된 확장실(101)을 팽창시킨다. 결과적으로 밸브판(102)을 가지는 밸브스템(103)이 배출밸브(2)내의 밸브 시이트(22)로부터 물러나고, 그에 의하여 배출밸브(2)가 공기(꼬리 2개 달린 화살표로 도시됨)를 제 2 개구(15)로 직접 받아들이고(통기모드 C), 개방된 밸브시이트(22)는 배출밸브(2)를 급속하게 폐쇄한다. 배출밸브(2)는 또한 통기수단(10), 제 4 도관(11) 및 제어기구(4)내의 통기밸브(51)를 통하여 제 5 도관(14)으로 통기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수단(10)은 상술한 장점과 함께 배출밸브(2)의 급속한 밀폐를 제공한다. 통기수단(10)은, 예를 들면 급속 배기밸브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배출밸브(2)에 부착되었으나, 별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진공오수 시스템은 다음의 배출 또는 물내림에 대기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나타내며, 여기에서는 통기수단(10)의 기능 이 전기적으로 제어된다.
진공오수 시스템의 기능은 오수배관(3)내에 존재하는 진공에 근거하여 이루어진다. 제어기구(5)는 배출밸브(2)를 개방하기 위하여 배출밸브(2)로 진공을 도입 또는 공급한다. 제어기구(5)는 통상 3방향 밸브와 같이 기능한다.
본 실시예에서, 진공오수 시스템은 통기수단(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통기수단(10)은 배출밸브(2)에 직접 부착된다. 통기수단(10)은 배기밸브, 또는 급속배기밸브의 형태를 취하며, 그의 목적은 배출밸브(2)를 폐쇄하기 위하여 급속 배기, 즉 진공동작하는 배출밸브(2)로 직접 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제어기구(5)는 통기밸브(51)과 연결된 센서장치(5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센서장치(52)는 통기밸브(51)의 현재 상태를 판독하고 자기밸브(53)를 제어하며, 자기밸브(530는 통기수단(10)을 제어하게 된다. 통기수단(10)은 배출밸브(2)내의 밸브 시이트(22)에 대하여 개방 또는 폐쇄하도록 배치된다.
대기모드(A)에서 진공은 제어기구(5)로 접속된다. 진공은 호수배관(3)의, 배출밸브92)의 근방 및 하류에서 지점(33)에서 틀어지며, 체크밸브(32) 및 제 1 도관(31)을 통하여 제어기구(5)로 도출된다. 배출밸브(2)는 제 3 개구(16)을 통하여, 또한 제어기구(5)내의 통기밸브(51)를 통하여 제 2 도관(21)으로 통기된다. 센서장치(52)는 통기밸브(51)의 상태를 판독하고, 제 2 도관(21)을 통해 배출밸브(2)로 접속되어, 자기밸브(53)를 아이들 상태로 유지하고, 밸브판(102)을 가지는 밸브스템(103)을 배출밸브(2)내에 밸브시이트(22)로부터 떨어져서 물러난 위치로 유지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 3 개구(16)를 통한 공기의 유입을 허용한다.
배출 또는 물내림(B)을 위하여, 제어기구(5)는 작동수단(6)에 의하여 작동된다. 이는 3방향 밸브위치를 전환하고 제 2 도관(21)과, 제 1 도관(31)를 통한 제어기구(5)내에 팽배한 진공사이의 접촉을 설정하고, 이에 의하여 배출밸브(2)로의 진공접속이 스위치온 된다. 동시에, 센서장치(52)는 제 2 도관(21)과의 접속이 차단된 통기밸브(51)의 상태를 판독하고, 자기밸브(53)로의 전류를 스위치온하여, 밸브판(102)을 가지는 밸브스템(103)을 작동하고 밸브판(102)을 배출밸브(2)내의 밸브시이트(22)에 대하여 페쇄한다. 따라서, 진공은 배출밸브(2)를 개방하도록 배출밸브(2)로 도입되고, 그에 의하여 배출밸브(2)의 개방에 따라 오수용기(1)(도 1)에 고인 오수를 배출한다(검은색 화살표로 도시함).
소정시간의 경과후, 제어기구(5)는 3방향 밸브의 위치를 전환함으로써 배출밸브(2)로의 진공을 스위치 오프하고, 제어기구(5)내의 통기밸브(51)와 제 2 도관(21)을 통한 배출밸브(2)의 사이의 접촉을 재설정한다. 동시에, 센서장치(52)는 통기밸브(51)의 전환된 상태를 판독하고, 즉 제어기구(5)를 통한 배출밸브(2)로의 진공접속이 스위치 오프된 것을 판독하여, 자기밸브(53)로의 전류를 스위치 오프하고, 그에 의하여 밸프판(102)을 가진 밸브스템(103)은 배출밸브(2)내의 밸브 시이트(22)로부터 퇴피한다. 결과적으로, 배출밸브(5)는 제 3 개구(16) 및 개방된 밸브 시이트(22)를 통하여 직접 공기(꼬리 2개 달린 화살표로 도시함)를 받아들이고 급속하게 폐쇄된다(통기모드 C). 공기는 또한 제어기구(5)내의 통기밸브(51)를 통하여 제 2 도관으로도 공급된다.
본 발명에 따른 통기수단(10)은 상술한 장점과 함께 배출밸브(2)의 급속한 밀폐를 제공한다.
따라서, 진공오수 시스템은 다음의 배출 또는 물내림에 대기한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 및 상세한 설명은 발명의 기본적인 개념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제어수단용 진공이나, 상술한 바와는 다른 동력원이나 오수배관의 다른 위치에서 취해진 배출밸브를 제어하는 것등에 대하여는 매우 다양하게 가변적이기 때문에, 제어기구로부터 통기수단으로의 상이한 유압 또는 전기접속이,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급속 배기밸브인 통기수단을 진공 오수시스템에 제공함으로써, 오수용기로부터 오수를 배출한 후에 배출밸브의 효과적이며 신속한 폐쇄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24)

  1. 오수용기(1)와, 통기수단(10)이 구비된 배출밸브(2)에 의하여 상기 오수용기(1)에 접속된 오수 배관(3)과, 상기 오수배관내에 진공을 발생하기 위한 진공발생수단(4) 및, 상기 배출밸브(2) 및 상기 통기수단(1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5)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진공 오수시스템으로서,
    상기 통기수단(10)은, 상기 배출밸브(2)내의 밸브시이트(22)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장착된 밸브판(102)을 포함하고, 배출 또는 물내림(B)후에 배출밸브(2)를 급속하게 폐쇄하기 위하여 보조공기가 열린 밸브 시이트(22)를 통해 배출밸브(2)로 바로 공급되도록, 상기 밸브판(102)이 밸브 시이트(22)로부터 제거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배출 또는 물내림(B)시에는 배출밸브를 개방하기 위하여 배출밸브(2)에 진공이 공급될 때, 상기 밸브판(102)이 밸브 시이트(22)를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오수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의 기능이 유압식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오수 시스템.
  3. 제 1 항에 있어서,통기수단(10)의 기능이 전기식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오수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배기 밸브의 형태로 밸브판(102)을 포함하고, 배출밸브(2)에 부착되며, 또한 통기수단(10)은 제 4 도관(11)에 의하여 제어기구(5)에 접속되고, 통기노즐(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오수 시스템.
  5. 제 4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상기 밸브판(102)가 바로 부착되는 확장실(101)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실(101)에 상기 제 4 도관(11)과 상기 통기노즐(12)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오수 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배출 또는 물내림(B) 후에 배출밸브(2)를 급속하게 폐쇄하도록 배출밸브(2)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통기수단(10)은, 배출밸브(2)로부터 상기 배출밸브(2)와 상기 제어기구(5)를 연결하는 제 2 도관(21)을 경유하여 상기 제어기구(5)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제어기구(5)와 상기 통기수단(10)을 연결하는 제 4 도관(11)을 통과하여 상기 통기수단(10)에 이르기까지 공급되는 진공에 의해 개방되도록 배치되며, 또한 통기수단(10)은, 상기 배출 또는 물내림(B)후 주어진 시간이 경과하면 통기노즐(12)을 통하여 제공되는 공기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오수 시스템.
  7. 제 2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배기 밸브의 형태로 밸브판(102)을 포함하고, 배출밸브(2)에 부착되며, 또한 통기수단(10)은 제 4 도관(11)에 의하여 제어기구(5)에 연결되고, 상기 통기수단(10)과 배출밸브(2)사이에 제 5 도관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오수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내부 스프링수단(104)을 구비하고, 밸브 스템(103)에 의해 밸브판(102)에 부착되는 확장실(101)을 포함하며, 상기 확장실(101)에 상기 제 4 도관(11)과 상기 제 5 도관(1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오수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배출 또는 물내림(B) 후에 배출밸브(2)를 급속하게 폐쇄하도록 배출밸브(2)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어기구(5)내의 통기밸브(51)을 통하여 제 4 도관(11)을 거쳐 마련되는 공기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배치되며, 또한 통기수단(10)은 상기 제 4 도관(11)을 거쳐 제어기구(5)내에 팽배한 진공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오수 시스템.
  10. 제 3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배기 밸브의 형태로 밸브판(102)을 포함하고, 배출밸브(2)에 부착되며, 또한 제어기구(5)는 통기수단(10)에 접속된 자기밸브(53)와 센서장치(52)에 의하여 통기수단(10)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오수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상기 자기밸브(53)에 부착되는 밸브스템(103)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스템(103)에 밸브판(102)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오수 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배출 또는 물내림(B) 후에 배출밸브(2)를 급속하게 폐쇄하도록 배출밸브(2)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어기구(5)를 통한 배출밸브(2)로의 진공접속이 스위치오프 된 것을 센서장치(52)가 판독하였을 때, 자기밸브(53)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배치되며, 또한 통기수단(10)은, 센서장치(52)가 제어기구(5)를 통한 배출밸브(2)로의 진공접속이 스위치온 된 것을 판독하였을 때에는 폐쇄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공오수 시스템.
  13. 오수용기(1)와, 오수 배관(3) 및, 그 오수배관내에 진공을 발생하기 위한 진공발생수단(4)을 포함하고, 상기 오수용기(1)와 상기 오수 배관(3)의 사이에 배출밸브(2)가 배치되고 상기 배출밸브(2)는 통기수단(10)을 구비하며, 상기 배출밸브(2)와 통기수단(10)은 제어기구(5)에 의하여 제어되는 진공오수 시스템용 배출밸브로서, 상기 통기수단(10)은, 상기 배출밸브(2)내의 밸브시이트(22)를 개방하거나 폐쇄하도록 장착된 밸브판(102)을 포함하고, 배출 또는 물내림(B)후에 배출밸브(2)를 급속하게 폐쇄하기 위하여 보조공기가 열린 밸브 시이트(22)를 통해 배출밸브(2)로 바로 공급되도록, 상기 밸브판(102)이 밸브 시이트(22)로부터 제거되도록 배치되고, 또한 배출 또는 물내림(B)시에는 배출밸브를 개방하기 위하여 배출밸브(2)에 진공이 공급될 때, 상기 밸브판(102)이 밸브 시이트(22)를 폐쇄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밸브.
  14. 제 13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의 기능이 유압식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밸브.
  15. 제 13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의 기능이 전기식으로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밸브.
  16. 제 14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배기 밸브의 형태로 밸브판(102)을 포함하고, 배출밸브(2)에 부착되며, 또한 통기수단(10)은 제 4 도관(11)에 의하여 제어기구(5)에 접속되고, 통기노즐(12)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밸브.
  17. 제 16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상기 밸브판(102)가 바로 부착되는 확장실(101)을 포함하고, 상기 확장실(101)에 상기 제 4 도관(11)과 상기 통기노즐(12)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밸브.
  18. 제 17 항에 있어서, 배출 또는 물내림(B) 후에 배출밸브(2)를 급속하게 폐쇄하도록 배출밸브(2)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통기수단(10)은, 배출밸브(2)로부터 상기 배출밸브(2)와 상기 제어기구(5)를 연결하는 제 2 도관(21)을 경유하여 상기 제어기구(5)를 통과하고, 또한 상기 제어기구(5)와 상기 통기수단(10)을 연결하는 제 4 도관(11)을 통과하여 상기 통기수단(10)에 이르기까지 공급되는 진공에 의해 개방되도록 배치되며, 또한 통기수단(10)은, 상기 배출 또는 물내림(B)후 주어진 시간이 경과하면 통기노즐(12)을 통하여 제공되는 공기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밸브.
  19. 제 14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배출밸브(2)와 관련하여 배치되고 제 4 도관(11)의 수단에 의하여 제어기구(5)에 접속되는 배기 밸브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 5 도관이 통기수단(10)과 배출밸브(2)의 사이에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밸브.
  20. 제 19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내부 스프링수단(104)을 구비하고, 밸브 스템(103)에 의해 밸브판(102)에 부착되는 확장실(101)을 포함하며, 상기 확장실(101)에 상기 제 4 도관(11)과 상기 제 5 도관(14)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밸브.
  21. 제 20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배출 또는 물내림(B) 후에 배출밸브(2)를 급속하게 폐쇄하도록 배출밸브(2)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어기구(5)내의 통기밸브(51)을 통하여 제 4 도관(11)을 거쳐 마련되는 공기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배치되며, 또한 통기수단(10)은 상기 제 4 도관(11)을 거쳐 제어기구(5)내에 팽배한 진공에 의하여 폐쇄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밸브.
  22. 제 15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배기 밸브의 형태로 밸브판(102)을 포함하고, 배출밸브(2)에 부착되며, 또한 제어기구(5)는 통기수단(10)에 접속된 자기밸브(53)와 센서장치(52)에 의하여 통기수단(10)을 제어하도록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밸브.
  23. 제 22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상기 자기밸브(53)에 부착되는 밸브스템(103)을 포함하고, 상기 밸브스템(103)에 밸브판(102)이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밸브.
  24. 제 23 항에 있어서, 통기수단(10)은 배출 또는 물내림(B) 후에 배출밸브(2)를 급속하게 폐쇄하도록 배출밸브(2)로 공기를 공급하기 위하여, 제어기구(5)를 통한 배출밸브(2)로의 진공접속이 스위치오프 된 것을 센서장치(52)가 판독하였을 때, 자기밸브(53)에 의하여 개방되도록 배치되며, 또한 통기수단(10)은, 센서장치(52)가 제어기구(5)를 통한 배출밸브(2)로의 진공접속이 스위치온 된 것을 판독하였을 때에는 폐쇄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출밸브.
KR1020070031586A 2006-03-31 2007-03-30 진공오수 시스템 KR1013810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I20065209 2006-03-31
FI20065209A FI118232B (fi) 2006-03-31 2006-03-31 Alipaineviemärijärjestelm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98724A KR20070098724A (ko) 2007-10-05
KR101381040B1 true KR101381040B1 (ko) 2014-04-04

Family

ID=361920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31586A KR101381040B1 (ko) 2006-03-31 2007-03-30 진공오수 시스템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7770241B2 (ko)
EP (1) EP1840282B1 (ko)
JP (1) JP4914269B2 (ko)
KR (1) KR101381040B1 (ko)
CN (1) CN101046105B (ko)
AU (1) AU2007201349B2 (ko)
CA (1) CA2578675C (ko)
FI (1) FI118232B (ko)
NO (1) NO339995B1 (ko)
SG (1) SG1360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I118232B (fi) 2006-03-31 2007-08-31 Evac Int Oy Alipaineviemärijärjestelmä
RU2507124C2 (ru) 2008-10-03 2014-02-20 Б/Е Аэроспейс, Инк. Сливной клапан и вакуумный генератор для вакуумной сточной системы
CN201512849U (zh) * 2009-09-24 2010-06-23 山东华腾环保科技有限公司 真空辅助便器
WO2013025888A1 (en) 2011-08-16 2013-02-21 Flow Control Llc. Toilet with ball valve mechanism and secondary aerobic chamber
DE202014003059U1 (de) * 2014-04-10 2015-07-31 Evac Gmbh Pneumatische Kompakt-Vakuumtoilette
DE202014005775U1 (de) * 2014-07-17 2015-10-20 Evac Gmbh Elektropneumatische Vorsteuereinheit
KR101514930B1 (ko) * 2014-11-10 2015-04-24 주식회사 호두 안전성이 강화된 진공변기시스템용 자동배출장치
DE102014119613A1 (de) * 2014-12-23 2016-06-23 Bilfinger Water Technologies Gmbh Unterdruckabwassereinrichtung
US10041241B2 (en) 2015-03-30 2018-08-07 B/E Aerospace,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installation of a toilet system on an aircraft
EP3078783A1 (en) * 2015-04-09 2016-10-12 Alte Technologies S.L.U. Vacuum waste evacuation system for a toilet module i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and toilet module in a public transportation vehicle comprising said evacuation system
JP6951352B2 (ja) * 2016-02-16 2021-10-20 エバック オサケ ユキチュア トイレ装置
KR200484580Y1 (ko) 2016-03-18 2017-09-27 제트코리아 주식회사 진공변기 시스템의 이물질여과 겸용 오물파쇄장치
FI127077B (en) * 2016-04-19 2017-10-31 Evac Oy A method for checking a vacuum waste system and a vacuum waste system
DE102016108360A1 (de) * 2016-05-04 2017-11-09 Airbus Operations Gmbh System und Verfahren zur Entsorgung von Fluid aus einer Küchenspüle
CN107747342A (zh) * 2017-11-09 2018-03-02 新疆巨盛龙环保设备有限公司 一种真空排污电路控制系统
DE102018006919A1 (de) * 2018-08-31 2020-03-05 ACO Severin Ahlmann GmbH & Co Kommanditgesellschaft Vakuum-Abwasservorrichtung, Verfahren und elektronische Steuereinheit zur Steuerung einer Vakuum-Abwasservorrichtung
CN109138114B (zh) * 2018-08-31 2020-12-22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马桶微控按钮控制系统
CN109267619B (zh) * 2018-08-31 2021-06-29 杭州电子科技大学 一种马桶手控远程按钮控制系统
KR200489496Y1 (ko) 2018-12-13 2019-06-26 제트코리아 주식회사 진공 화장실 시스템
DE102021002000B3 (de) 2021-04-16 2022-07-21 Energietechnik Spreter GmbH Trenntoilette mit Absaugleitung
CN114277901B (zh) * 2021-11-20 2024-04-09 杭州智笙生物技术有限公司 一种真空便器的纯机械气动控制逻辑执行器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49534A (en) 1983-11-08 1985-06-12 Cowells Sewerage Systems Limit Liquid level control system
KR0148792B1 (ko) * 1990-01-02 1998-10-15 아르네 발췌프스키 진공하수도 구조
US5983414A (en) * 1993-04-19 1999-11-16 Evac Ab Electrical control device
JP2004530819A (ja) 2001-06-21 2004-10-07 エバ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オサケ ユキチュア 真空下水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78017A (ja) 1995-12-08 1997-07-11 Hofusesu Orabu 弁、ことに真空排水系統用の弁
NO972695D0 (no) 1997-06-11 1997-06-11 Olav Hofseth Metode for styring av spylevann og avlöpsventil for toalett i et vakuum avlöpssystem
FI117298B (fi) * 2005-01-25 2006-08-31 Evac Int Oy Alipaineviemärijärjestelmä
US7380568B2 (en) * 2005-03-28 2008-06-03 John Tiwet Water flow controller
FI118232B (fi) * 2006-03-31 2007-08-31 Evac Int Oy Alipaineviemärijärjestelm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149534A (en) 1983-11-08 1985-06-12 Cowells Sewerage Systems Limit Liquid level control system
KR0148792B1 (ko) * 1990-01-02 1998-10-15 아르네 발췌프스키 진공하수도 구조
US5983414A (en) * 1993-04-19 1999-11-16 Evac Ab Electrical control device
JP2004530819A (ja) 2001-06-21 2004-10-07 エバク インターナショナル オサケ ユキチュア 真空下水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RE45688E1 (en) 2015-09-29
JP4914269B2 (ja) 2012-04-11
CA2578675A1 (en) 2007-09-30
US20070226887A1 (en) 2007-10-04
EP1840282A2 (en) 2007-10-03
CN101046105B (zh) 2011-06-08
NO20071691L (no) 2007-10-01
KR20070098724A (ko) 2007-10-05
AU2007201349A1 (en) 2007-10-18
JP2007270612A (ja) 2007-10-18
FI118232B (fi) 2007-08-31
CA2578675C (en) 2013-10-01
SG136037A1 (en) 2007-10-29
EP1840282A3 (en) 2012-12-05
EP1840282B1 (en) 2015-04-29
US7770241B2 (en) 2010-08-10
FI20065209A0 (fi) 2006-03-31
CN101046105A (zh) 2007-10-03
NO339995B1 (no) 2017-02-27
AU2007201349B2 (en) 2012-0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1040B1 (ko) 진공오수 시스템
KR101343638B1 (ko) 진공하수 시스템
CN106460380B (zh) 气动紧凑型真空厕所
CN109072598B (zh) 控制真空废物系统的方法和真空废物系统
RU2009144126A (ru) Система предотвращения запаха из унитаза
US20060037127A1 (en) Ventilation system for a toilet
CN201106201Y (zh) 空气节水式除臭坐便器
KR101506847B1 (ko) 진공변기의 진공식환기장치
JP2017061775A (ja) 水洗大便器
KR20170096247A (ko) 진공·수압식오수배출밸브
KR200401106Y1 (ko) 양변기 세척수 절수 시스템
JP2020105885A (ja) 水洗大便器
KR20010013299A (ko) 진공 배출식 변기 시스템
US11408161B2 (en) Vacuum-assisted toilet system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JPH08270042A (ja) 真空式トイレ装置
KR200220460Y1 (ko) 좌변기용 환기장치
JP2869696B2 (ja) 真空式下水収集システムの空気取込装置
JP2002285613A (ja) 衛生洗浄装置における入水圧異常対応装置
JP2008285838A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5072065B2 (ja) 衛生洗浄装置及びトイレ装置
JP2004137857A (ja) 便器洗浄装置
KR20000013937U (ko) 철도차량용 급수시스템의 관배수장치
JPH06299582A (ja) 便器脱臭装置
JPH0687484U (ja) 水封切れ防止装置及び便器脱臭装置
KR20100004175A (ko) 양변기용 수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1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