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80042B1 - 탈착식 인서트와 이를 구비한 소재제거공구 - Google Patents

탈착식 인서트와 이를 구비한 소재제거공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80042B1
KR101380042B1 KR1020087028650A KR20087028650A KR101380042B1 KR 101380042 B1 KR101380042 B1 KR 101380042B1 KR 1020087028650 A KR1020087028650 A KR 1020087028650A KR 20087028650 A KR20087028650 A KR 20087028650A KR 101380042 B1 KR101380042 B1 KR 101380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
region
shoulder portion
fastening screw
re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70286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33326A (ko
Inventor
케네스 지. 노글
Original Assignee
발레나이트 엘엘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발레나이트 엘엘씨 filed Critical 발레나이트 엘엘씨
Publication of KR200900333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333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0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0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239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by a clamping member acting almost perpendicular on the cutting face
    • B23C5/2243Securing arrangements fo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with cutting inserts clamped by a clamping member acting almost perpendicular on the cutting face for plate-like cutting inse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5/00Milling-cutters
    • B23C5/16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 B23C5/20Milling-cutters characterised by physical features other than shape with removable cutter bits or teeth or cutting inserts
    • B23C5/202Plate-like cutting inserts with special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00/00Details of milling cutting inserts
    • B23C2200/08Rake or top surfaces
    • B23C2200/086Rake or top surfaces with one or more groo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2210/00Details of milling cutters
    • B23C2210/16Fixation of inserts or cutting bits in the tool
    • B23C2210/165Fixation bol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826Assembling or join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2Face or end mil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08Face or end mill
    • Y10T407/1924Specified tool shap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34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19Rotary cutting tool
    • Y10T407/1906Rotary cutting tool including holder [i.e., head]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1942Peripherally spaced to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2202Plural spaced seats and common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2202Plural spaced seats and common holder
    • Y10T407/2206Simultaneously usabl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 Y10T407/2272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holder having seat for inserted tool with separate means to fasten tool to hold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07/00Cutters, for shaping
    • Y10T407/23Cutters, for shaping including tool having plural alternatively usable cutting e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lling Processes (AREA)
  • Connection Of Plates (AREA)
  • Cutting Tools, Boring Holders, And Turrets (AREA)

Abstract

탈착식 인서트(10,100,140,210,302)는 체결나사(110,150,212,304)의 헤드부 영역을 수용하는 정면(14,144) 또는 후면(16)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오목부926,106,146,322)를 구비한다. 장착될 때, 인서트(10,100,140,210,302)는 인서트 포켓(206,300)의 각각의 지지면(306,308)에 대해서 강제로 밀어부쳐진다. 체결나사(110,150,212,304)는 인서트(10,100,140,210,302)와 맞물리도록 카운터보어를 구비한 탭 구멍(214,310)에 나사체결되고, 인서트 포켓(206,300)에 탈착식 인서트(10,100,140,210,302)를 고정하는 측면 체결력과 죄임력을 만든다. 더욱 특별하기로, 탈착식 인서트(10,100,140,210,302)는 체결나사(110,150,212,304)의 헤드부에 상보적인 형상과 일치하는 형상의 오목부(26,106,146,322)를 갖추고, 안착면(306,308)에 다양한 크기의 탈착식 인서트(10,100,140,210,302)를 고정한다. 소재제거공구(200,400,500)와 탈착식 인서트의 장착방법이 또한 기재된다.

Description

탈착식 인서트와 이를 구비한 소재제거공구 {SIDE LOCKING INSERT AND MATERIAL REMOVAL TOOL WITH SAME}
본 발명은 탈착식 인서트와 이에 병합된 소재제거공구에 관한 것이다. 더욱 특별하기로, 본 발명은 공구에 고정될 수 있는 밀링(milling) 인서트, 터닝(turing) 인서트, 보링(boring) 인서트, 그루빙(grooving) 인서트 또는 파팅(parting) 인서트와 같은 탈착식 인서트와 공구에 인서트를 고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아래의 배경기술에 대한 설명에서, 임의의 구조물 또는 방법에 참조된다. 하지만, 아래의 참조는 이 구조물 및/또는 방법이 종래기술을 구성을 허용하듯이 기술되지 않는다. 출원인은 이러한 구조물 및/또는 방법이 종래기술로 한정되지 않게 명백하게 그 권리를 보유한다.
인서트를 교체할 수 있는 공지된 공구는 공구 본체에 인서트를 장착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을 사용한다. 몇몇 공지된 인서트는 인서트의 중심을 관통하여 지나가는 체결나사로 장착되고 인서트 안착면에 테이프 구멍에 고정된다. 테이프 구멍 의 축은 인서트와 인서트 안착면과 직각을 이루거나 테이프 구멍의 축이 경사진다. 하지만, 밀링 공구에 인서트의 밀도는 인서트 안착면에 체결나사구멍을 테이핑할 때, 그리고 웨지(wedge) 또는 클램프(clamp)의 사용에 필요한 틈새 때문에 제한된다. 덧붙여서, 인서트 자체의 구멍은 인서트의 단면을 줄이는데, 세기와 같은 인서트 성능을 줄일 수 있는바, 특히 질화규소(SiNi) 인서트와 같은 세라믹 인서트로 되어 있다. 몇몇 공지된 인서트는 인서트 안착면의 측면에서 뻗은 나사세트와 장착된다. 나사세트의 끝이 예컨대 인서트의 표면에 오목부와 삽입되거나 접촉하여 나사세트를 안착시켜 인서트 안착면에 대해 인서트를 압착 및 가압한다. 그러나, 이러한 인서트와 공구를 위한 칩실(chip room)이 적합하지 않고 작업도중에 공구에 더러워지게 한다.
인서트가 나사를 사용하여 공구 본체에 장착된 밀링 커터의 실례는 미국특허 제4,963,880호에 도해되어 있다. 인서트가 분리가능한 클램프로 공구 본체에 고정된 밀링 커터의 실례는 미국특허 제3,588,977호에 도해되어 있다. 영국특허 제1,209,181호는 하나 이상의 나사로 슬롯에 고정된 인서트를 갖춘 커터를 기재한다.
세공 및 제작용 인서트는 금속재 구성부재와의 작업 중에 혹독한 상황하에서 실행된다. 통상적으로, 다른 금속재는 다른 작업환경을 갖추므로 다른 인서트가 통상적으로 사용된다. 관심가는 몇몇 금속재는 회주철(gray iron), 구상흑연주철(nodular iron), 고인장 철 및, 강화흑연강(compacted graphite iron)으로 이루어진다. 한 유형의 철보다는 작업적으로 기능성 교차되는 인서트가 바람직하다. 인서트의 다른 고려사항은 (거칠고 마무리된) 표면, 인서트의 용이한 탈착과, 사용된 인서트의 교체시간, 원심력 하에서 인서트의 "플링(fling)"을 최소하도록 확실한 고정, 공구 수명, 단순하고 일반적인 가용한 부속물, 현재 밀링 설비와 하드웨어와의 적용, 고정시트에 신뢰성을 갖고 반복적으로 인서트를 안착시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
탈착식 인서트의 모범적인 실시예는 체결나사의 헤드부의 면을 수용하는 정면과 후면에 하나 이상의 오목부를 갖춘다. 장착될 때, 탈착식 인서트는 인서트 포켓의 각각의 지지면에 대해서 접선방향, 축방향, 방사상방향으로 강제로 밀어부쳐진다. 체결나사는 인장력으로 안착되고 약간 편향되어 외력이 인서트 포켓에서 탈착식 인서트를 고정한다. 더욱 특별하기로, 탈착식 인서트는, 한 실례에서, 오목형상면의 오목부를 구비하는바, 이는 체결나사의 헤드부에 대등하는 볼록면에 일치되고 안착면에 다수의 방향으로 탈착식 인서트를 고정한다.
탈착식 인서트의 모범적인 실시예는 다각형상의 정면, 다각형상의 후면, 다각형상의 정면과 다각형상의 후면을 잇는 다수의 가장자리 측면, 가장자리 측면과 선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다각형상의 면과의 교선과 인서트의 코너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가장자리 측면의 교선 및, 다각형상의 정면에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을 위한 수용부로 이루어지는데, 이 수용부는 다수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면을 갖춘 오목부는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에 상보적인 표면을 갖는다.
소재제거공구의 모범적인 실시예는 제1단부에서 다수의 인서트 포켓을 갖춘 헤드부와 제2단부에서 축방향의 확장부를 구비한 공구 본체와, 소정의 직경을 갖는 헤드부 및, 다수의 탈착식 인서트로 이루어지는데, 다수의 탈착식 인서트는 다수의 인서트 포켓에 각각 안착되며, 여기서 다수의 탈착식 인서트는 헤드부의 단위 직경당 약 4개의 인서트를 갖는 밀도로 헤드부에 배열된다.
소재제거공구의 다른 모범적인 실시예는 제1단부에서 다수의 인서트 포켓을 갖춘 본체와, 벽 지지면을 구비한 다수의 인서트 포켓, 균형잡힌 나사산 탭구멍과 수평 지지면, 수평 지지면과 소정의 각도로 방위설정된 중심선을 갖춘 나사산 탭구멍, 다각형상의 정면과 다각형상의 후면 및 다각형상의 정면과 다각형상의 후면을 잇는 다수의 가장자리 측면 구비한 탈착식 인서트, 가장자리 측면과 인서트의 선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다각형상의 면의 교선과 인서트의 코너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가장자리 측면이 교선 및, 다각형상의 정면에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을 위한 수용부로 이루어지는바, 수용부는 다수의 오목부를 갖추고, 탈착식 인서트는 수평 지지면과 접해 있는 다각형상의 후면, 벽 지지면과 접해 있는 다수의 가장자리 측면 중 제1가장자리 측면, 본체의 외부 둘레면을 통과해 방사상으로 뻗어 있는 다수의 가장자리 측면 중 제2가장자리 측면, 나사산 탭 구멍을 위한 체결나사, 나사산부를 구비한 체결나사, 동심숄더부와 경사숄더부, 나사산부와 동심숄더부 사이의 경사숄더부로 이루어지는데, 여기서 나사산을 갖는 탭 구멍으로 삽입될 체결나사는 동심숄더부의 제1영역과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에 대해 경사숄더부의 제1영역과 맞물린다.
소재제거공구에서 탈착식 인서트를 장착하는 모범적인 방법에서, 탈착식 인서트가 다각형상의 정면과, 다각형상의 후면 및, 다각형상의 정면과 다각형상의 후면을 잇는 다수의 가장자리 측면을 구비하고, 가장자리 측면과 다각형상의 면의 교선이 인서트의 선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연속적인 가장자리 측면의 교선이 인서트의 코너 가장자리를 형성하며, 다각형상의 정면에 수용부를 구비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수용부는 다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방법은 소재제거공구의 인서트 포켓의 안착면에 탈착식 인서트를 안착하는 단계와,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에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을 맞물려서 탭 구멍으로 경사숄더부와 동심숄더부를 구비한 체결나사에 나사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다.
전술된 일반적인 설명과 아래에 상세히 기술될 설명은 실례와 설명이며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추가적인 설명을 제공한다.
아랭 기술될 설명은 첨부도면에 연관되어 이해될 것이며, 유사한 부재에는 유사한 번호를 부여한다.
도 1 내지 도 6은 탈착식 인서트의 실시예의 대표적인 실례를 도시한 것으로, 도 4 내지 도 6은 본체를 관통한 보어(bore)를 갖춘 인서트를 도해한다.
도 7은 탈착식 인서트와 체결나사의 모범적인 실시예 사이의 상호 작용을 도해한 것이다.
도 8은 탈착식 인서트와 체결나사의 다른 모범적인 실시예 사이의 상호 작용을 도해한 것이다.
도 9는 소재제거공구의 모범적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탈착식 인서트와 체결나사 및 인서트 포켓의 확대도이다.
도 11 내지 도 13은 탈착식 인서트와 체결나사를 도시한 소재제거공구에 모범적인 인서트 포켓을 도해한 것이다. 도 11은 2개의 가장자리 측면을 도시하고, 도 12는 도 11에서 약간 경사지게 바라본 도면이며, 도 13은 탈착식 인서트와 완전삽입된 체결나사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14 및 도 15는 소재제거공구와 다각형상의 탈착식 인서트에 관련된 탈착식 인서트의 장착방법의 모범적인 실시예를 도해한다.
탈착식 인서트는 가장자리 측벽으로 잇어진 다각형상의 정면과 후면을 갖고 있다. 가장자리 측면과 다각형상의 면의 교선의 적어도 일부는 인서트의 선 가장자리를 형성하고 연속적인 가장자리 측면의 교선의 적어도 일부는 인서트의 코너 가장자리를 형성한다. 선 가장자리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듯이 선형 혹은 비선형일 수 있으며, 코너 가장자리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져 있듯이 원형, 원뿔형 또는 다른 기하학형상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매칭 작업이 실시되어 컷팅이 다각형상의 면의 코너에서 코너 가장자리의 교선으로 형성된 인서트 코너에서 발생되거나 매칭 작업이 실시되어 커팅, 예컨대 밀링이 인서트의 선 가장자리에서 발생한다. 각 경우에, 인서트는 가공품이 회전되어 가공품 표면을 따라 교차할 수 있거나 인서트가 가공품이 회전하고 병진이동하므로 고정될 수 있다. 탈착식 인서트와 가 공품 사이의 상대이동의 다른 조합이 사용될 수도 있다.
탈착식 인서트의 모범적인 실시예는 본체와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을 위한 수용부로 이루어진다. 도 1 내지 도 6은 탈착식 인서트의 대표적인 실례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내지 도 6의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탈착식 인서트(10)는 다각형상의 정면(14)과 다각형상의 후면(16) 및 다각형상의 정면(14)과 다각형상의 후면(16)을 잇는 다수의 가장자리 측면(18)을 구비한 본체(12)로 이루어진다. 가장자리 측면(18)과 다각형상의 면의 교선이 인서트(10)의 선 가장자리(20)를 형성하고, 연속적인 가장자리 측면의 교선이 인서트(10)의 코너 가장자리(22)를 형성한다.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을 위한 수용부(24)는 다각형상의 정면(14)에 위치된다. 수용부는 다수의 오목부(26)를 구비한다. 오목부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예컨대, 오목부는 볼록형상, 오목형상 또는 하나 이상의 편평면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오목부(26)의 갯수는 다각형상의 정면(14)의 측면의 갯수와 동일하다. 그러나 어떤 인서트는 컷팅 가장자리의 갯수와 다른 오목부의 갯수를 갖는다. 덧붙여서, 단일 오목부는 탈착식 인서트의 하나 이상의 컷팅은 예컨대 와이퍼 가장자리 및 거친 가장자리에 위치될 때 인서트 포켓에 탈착식 인서트를 고정하도록 사용된다.
몇몇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선택적인 제2수용부는 본체(12)의 다각형상의 후면(16)에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수용부는 다각형상의 정면(14) 상의 수용부에 대한 설명과 도해된 바와 같을 수 있다. 선택적인 제2수용부는 다각형상의 후면(16)에 병합된 선 가장자리와 코너 가장자리의 사용으로 탈착식 인서트의 장착 을 허용하므로, 임의의 탈착식 인서트를 위해 탈착가능한 위치의 갯수를 증가시킨다.
수용부(24)는 일반적으로 탈착식 인서트(10)의 방사상의 중심으로 위치된다. 도 1 내지 도 2와 도 4 내지 도 5에서, 수용부(24)는 서로 인접해 하지 않은 오목부(26)를 갖고 있으나, 다각형상의 정면(14)의 일부로 서로 분리되어져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오목부(26)는 방사상 중심의 일반적인 영역에 위치되며, 보어가 있으면 보어의 주변에 위치된다. 도 3 및 도 6에서, 오목부는 탈착식 인서트(10)의 방사상 중심에 근접해 있는 구조로 연이어서 배치된다. 적어도 2개의 인접한 오목부는 융기선(28) 또는 다른 변이영역으로 분리된다. 몇 실시예에서는, 융기선(28)이 방위설정되어 융기선(28)의 돌출부가 탈착식 인서트(10)의 코너 가장자리(22) 또는 탈착식 인서트(10)의 선 가장자리(20) 중 적어도 하나와 교차한다. 추가로 몇몇 실시예에서, 융기선(28) 또는 전이영역의 갯수는 탈착식 인서트(10)의 코너 가장자리(22)의 갯수와 동일하다. 보어(30)가 인서트 본체의 제작을 돕기 위해 사용될 때, 오목부(26)는 보어(30)의 둘레에 위치된다.
도 1 내지 도 6은 탈착식 인서트(10)의 한정되지 않은 변형예를 도시한 것이다. 일례로, 도 1 내지 도 6의 기하학적 형상은 정사각형, 사각형 또는 6각형을 구비하나 삼각형, 5각형을 구비한 다른 다각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실례에서, 도 1 내지 도 3은 솔리드(solid)형 본체(12)로 이루어진 탈착식 인서트(10)를 도해하는 한편, 도 4 내지 도 6은 본체(12)를 관통하는 보어(30)를 구비한 탈착식 인서트(10)를 도해한다. 일반적으로, 보어(30)는 탈착식 인서트(10)의 방사상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방위설정된다. 수용부(24)의 다수의 오목부(26)는 보어(30)의 주변(32) 둘레에 배열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예컨대 도 5에 도시되었듯이, 보어는 탈착식 인서트(10)의 방사상 중심에서 벗어나서 위치선정된다.
도 1 내지 도 6에 하나 이상의 모범적인 실시예에 도시된 다른 선택적인 특징들은 하나 이상의 칩 스플리터(40;splitter)를 구비하는바, 표면의 각도가 바람직한 소재제거 기능과 코팅(아래에 추가로 기술됨)을 성취한다.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수용부의 오목부의 표면은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의 표면과 상응하여 상보적인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은 탈착식 인서트와 체결나사의 모범적인 실시예 사이의 상호 작용을 도해한다. 비록 도해된 오목형상으로 형성된 오목부와 이에 대응하는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을 볼록하게 형성되었어도, 오목부는 오목형상, 볼록형상 및 평면을 구비한 임의의 형상일 수 있고 대응하는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은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이 오목부에 맞물리 때 오목부에 일치하는 임의의 형상일 수 있다.
도 7에서, 탈착식 인서트(100)는 다각형상의 정면(104)에 수용부(102)를 구비한다. 수용부는 2개의 오목부(106)를 갖추는데, 각 오목부는 탈착식 인서트(100)의 본체에 오목면을 구비한다. 체결나사(110)는 나사산부(112)와 동심숄더부(114) 및 경사숄더부(116)를 구비한다. 경사숄더부(116)는 나사산부(112)와 동심숄더부(114) 사이에 있다. 어떤 실례에서는, 경사숄더부(116)가 나사산부와 동심숄더부(114)의 다른 직경을 위한 변이부로 작동한다. 동심숄더부(114)와 경사숄더부(116)는 볼록면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평면, 오목면 또는 볼록면 또는 임의의 다 른 형상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표면은 오목부의 면과 일치한다. 예컨대, 동심숄더부(114)와 경사숄더부(116)의 볼록부는 수용부(102)에 오목부(106)의 오목면과 대응한다. 체결나사(110)가 완전히 맞물리면, 볼록한 동심숄더부(114)와 경사숄더부(116)는 증가된 면적과 어떤 경우에는 오목한 오목부(106)의 전반전인 면적을 가로질러 오목한 오목부(106)와 일치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면은 면과 일치하지 않고 오목부의 면과 부분적으로 일치한다. 예컨대, 동심숄더부와 경사숄더부의 오목면, 볼록면, 경사 또는 편평도는 오목부의 면의 오목면, 볼록면 또는 편평도와 상이할 수 있다. 또한 면은 인서트에 응력을 줄이는 높은 일치도를 갖춰, 25%, 35%, 40%, 50%, 60%, 66%, 75% 또는 그 이상 일치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나사(110)는 다수의 오목부(106) 중 하나와 맞물린다. 이 실례에서, 오목부(106)는 밀링 인서트용 선 가장자리(120)와 같은 탈착식 인서트(100)의 소재제거 특성에 가장 근접한 오목부이다. 수용부가 재방위설정될 수 있어, 오목부(106)는 다각형상의 면의 코너에서 코너 가장자리의 교선으로 형성된 인서트 코너(122)와 같은 탈착식 인서트(100)의 다른 소재제거 특성에 근접해진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착식 인서트(140)는 다각형상의 정면(144)에 수용부(142)를 갖는다. 수용부는 6개의 오목부(146)를 갖는데, 각 수용부는 탈착식 인서트(140)의 본체에 오목면을 갖는다. 체결나사(150)는 나사산부(152)와 동심숄 더부(154) 및 경사숄더부(156)를 구비한다. 경사숄더부(156)는 나사산부(152)와 동심숄더부(154) 사이에 있다. 몇몇 실례에서, 경사숄더부(156)는 나사산부(152)와 동심숄더부(154)의 다른 직경을 위한 변이부로 작동한다. 동심숄더부(154)와 경사숄더부(156)는 각각 볼록하게 되어 있다. 동심숄더부(154)와 경사숄더부(156)의 볼록면은 수용부(142)에 오목부(146)의 오목면과 대응한다. 체결나사(150)가 완전히 맞물리면, 볼록한 동심숄더부(154)와 경사숄더부(156)는 증가된 면적와 어떤 경우에서는 인접한 오목부(146)를 분리한 2개의 연속적인 융기선(148) 사이에서 오목한 오목부(146)의 전체 면적을 가로질러 오목한 오목부(146)와 일치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나사(150)는 다수의 오목부(146) 중 하나와 맞물린다. 이 실례에서, 오목부(146)가 밀링 인서트와 같은 탈착식 인서트(140)의 소재제거 특성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오목부이다. 수용부가 재방위설정되어, 오목부(146)가 다각형상의 면의 코너에서 코너 가장자리의 교선으로 형성된 인서트 코너(162)와 같은 탈착식 인서트(140)의 다른 소재제거 특성에서 가장 멀리 떨어지게 된다.
탈착식 인서트의 본체는 임의의 적당한 소재로 제작될 수 있다. 예컨대, 본체는 초경합금(cemented carbide) 또는 세라믹으로 제작될 수 있다. 대표적인 초경합금은 텅스텐 카바이드와 코발트로 이루어진 매트릭스 결합재로 구성되되, 약 70~79 중량%의 금속 카바이드와 약 3~30 중량%의 매트릭스 결합재로 구성될 수 있다. 금속 카바이드는 크롬(Cr), 몰리브덴(Mo), 니오븀(Nb), 탄탈륨(Ta), 티탄(Ti), 지르코늄(Zr), 하프늄(Hf) 및, 이들의 혼합물로 선택된 금속 카바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대표적인 세라믹은 질화규소(SiNi)와 같은 알루미나 또는 실리콘을 기본으로 한 세라믹을 구비한다.
탈착식 인서트는 본체의 외부면 상에 선택적으로 코팅재를 구비할 수 있다. 대표적인 코팅재는 티탄을 기본으로 한 층의 적어도 하나의 층 또는 알루미나(Al2O3)층의 적어도 하나의 층을 구비한다. 티탄을 기본으로 한 층의 실례는 TiCxNyOz으로, 여기서 x+y+z=1 이다. Al2O3 층의 실례는 α-Al2O3, κ-Al2O3 또는, 이들의 혼합물로 되어 있다. 코팅재는 최외각 질화티타늄(TiN)층을 선택적으로 구비할 수 있다.
기술된 바와 같이, 탈착식 인서트의 특성은 밀링 공구용 밀링 인서트 또는 터닝 공구와 그루빙 공구 및 파팅 공구용 터닝 인서트, 보링 인서트, 그루빙 인서트 또는 파팅 인서트와 병합될 수 있다.
밀링 공구에서, 고정속도를 위해서 밀도의 증가가 증가된 공급속도, 감소된 주기 및 최종적인 증가된 생산률의 결과를 갖을 수 있다. 기계 동력이 공구를 세공하기에 충분하도록 가능한한 공급되어 높은 밀도를 갖는게 바람직하다. 통상적으로, 공구는 관통하여 지나는 나사세트 또는 나사로 장착된 인서트를 갖추되, 인서트는 공구 헤드부의 직경의 단위인치마다 하나에서 3개의 인서트 포켓의 밀도를 갖는다. 더 높은 밀도는 장착 메카니즘 뿐만 아니라 칩 수용 공간을 수용하는 공구 기하학과 부정적인 결과를 가져오기 때문에 실행중 악영향을 갖게 한다. 일반적으로, 여기서 기술된 탈착식 인서트 상에 체결나사와 수용부는 적어도 일부에서 개방 칩 포켓에 수용된 장착 메카니즘의 감소된 크기에 기인하여 소재제거공구에 장착된 인서트의 밀도를 더 높일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3~4.5보다 큰 밀도, 바람직하게는 약 4(±0.25)보다 큰 밀도가 성취될 수 있다. 밀도를 증가하여서 별도의 하드웨어가 모범적인 탈착식 인서트의 장착과 병합되지 않는다. 웨지 및 클램브 등의 부품은 장착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범적인 실시예는 소재제거공구이다. 소재제거공구(200)는 제1단부에 다수의 인서트 포켓(206)을 갖춘 헤드부(204)와 제2단부에 축방향으로 뻗은 확장부(208)를 구비한 공구 본체(202)로 이루어진다. 헤드부(204)는 직경(D)으로 되어 있고, 다수의 탈착식 인서트(210)를 갖춘다. 각각의 탈착식 인서트(210)는 각각의 인서트 포켓(206)에 안착된다. 다수의 탈착식 인서트(210)는 헤드부의 단위 인치 직경 당 약 4.5개의 인서트 포켓의 밀도로 헤드부(204)에 배열된다.
여기서 사용되는 밀도는 다음과 같이 결정될 수 있다.
밀도 = (인서트 포켓의 갯수)/(공구 헤드부의 직경(단위인치))
탈착식 인서트(210)는 체결나사(212)로 인서트 포켓(206)에 지지된다. 도 10은 탈착식 인서트(210)와 체결나사(212) 및 인서트 포켓(206)의 분해도이다. 탈착식 인서트(210)는 인서트 포켓(206)에 안착되고 체결나사(212)가 탭 구멍(214)에서 나사체결된다. 체결나사가 단단히 죄여지므로, 체결나사(212)의 헤드부(216) 영역 이 탈착식 인서트(210)의 면에 수용부(218) 영역과 접촉한다. 예컨대,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은 경사숄더부일수 있고, 체결나사의 동심숄더부와 수용부 영역은 오목부일 수 있다.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체결나사(212)의 헤드부(216) 영역은 수용부(218) 영역의 오목면과 대응되는 볼록면을 갖는다. 다른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은 수용부 영역의 볼록면과 대응하는 오목면을 갖는다. 또 다른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은 수용부 영역의 편평부(예컨대, 하나 이상의 평면)와 대등하는 편평부(예컨대, 하나 이상의 평면)를 갖는다. 수용부(218)와 이와 병합된 오목부는 도 1 내지 도 8에 실시예에 관해서 본 명세서에서 도해되고 기술될 수 있다.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소재제거공구의 헤드부 직경은 2~20 인치, 바람직하게는 4~10 인치이며, 공구 헤드부에 배열된 인서트의 갯수는 약 4.5 인서트/인치직경의 밀도에서 약 9~90이다.
다른 모범적인 실시예에서, 소재제거공구는 제1단부에서 다수의 인서트 포켓을 갖춘 본체와 탈착식 인서트 및 나사산을 형성한 탭 구멍을 위한 체결나사로 이루어진다. 나사산을 형성한 탭 구멍으로 체결나사가 삽입될 때, 체결나사는 체결나사의 동심숄더부 영역과 체결나사의 경사숄더부 영역이 탈착식 인서트의 수용부의 오목부 중 하나에 맞물린다.
도 11 내지 도 13은 탈착식 인서트(302)와 체결나사(304)를 도시한 소재제거공구에 모범적인 인서트 포켓(300)을 도해한다. 도 11에서는 인서트의 가장자리 측면과 체결나사의 측면을 도해하고, 도 12에서는 도 11을 경사지게 위에서 바라본 도면이며, 도 13은 탈착식 인서트와 완전히 삽입된 체결나사의 단면도이다.
인서트 포켓(300)은 벽 지지면(306), 수평 지지면(308) 및 카운터 보어(311,counterbore)를 갖춘 나사산을 형성한 탭 구멍(310)을 구비한다. 나사산을 형성한 탭 구멍(310)은 수평 지지면(308)에서 각도(θ)로 방위설정된 중심선(312)을 갖는다. 탈착식 인서트(302)는 다각형상의 정면 또는 다각형상의 후면에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을 위해 수용부(320;도 12 및 도 13)를 갖춘 도 1 내지 도 8에 임의의 실시예에 대해서 본 설명에서 도해되고 기술될 수 있는데, 수용부는 다수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오목부는 오목형상, 볼록형상 또는 평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도 11에서, 다각형상의 후면이 수평 지지면(308)과 접촉하고 있고, 다수의 가장자리 측면 중 제1가장자리 측면은 벽 지지면(306)과 접촉하고 있다. 가장자리 측면의 제2가장자리 측면(314)는 본체의 외곽 둘레면(316)을 방사상으로 지나 돌출한다. 도 11은 또한 탭 구멍(310)에 나사체결된 체결나사(304)의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는 동안에 체결나사(304)와 탈착식 인서트(302) 사이에 틈새(318)가 도시된다. 이 틈새(318)는 탭 구멍(310)에 나사체결된 체결나사(304)의 적어도 일부를 유지하는 동안에 인서트 포켓에서 탈착식 인서트를 삽입 및 제거할 수 있다. 이는 탈착식 인서트의 효율적인 탈착 및/또는 교체를 용이하게 한다.
도 12에서, 체결나사(304)는 탭 구멍(310)에 삽입된다. 이와 같이 체결나사(304)의 부분 삽입이 수용부(320)에 체결나사(304)의 헤드부를 안착되는바, 예컨대 헤드부의 일부가 탈착식 인서트(302)와 같은 다각형상의 정면의 평면을 부딪히 며, 반면에 인서트 포켓(300)에 완전히 안착되지 않아, 인서트 포켓(300)에서 제거할 수 없어서, 탈착 또는 교체하는 동안에 손실되거나 떨어져 나갈 위험성이 줄어든다.
도 13에서, 체결나사(304)는 수용부(320)의 오목부(322)와 접촉하는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을 탭 구멍(310)에 안전히 삽입된다. 예컨대, 체결나사(304)는 나사산부(324)와 동심숄더부(326) 및 경사숄더부(328)를 구비하는바, 경사숄더부(328)는 나사산부(324)와 동심숄더부(326) 사이에 있게 된다. 탭 구멍(310)에 삽입될 때, 경사숄더부(328)는 다수의 오목부(322) 중 하나에 대해서 우선 맞물려져, 체결나사(304)의 돌출부를 방향(F)으로 굽혀진다. 추가로 나사체결될 때, 나사체결(304)의 굽힘이 탭 구멍(310)의 카운터 보어(311)의 면(332)에 대해 맞물리는 동심숄더부(326)의 제2영역(330)으로 제한되되, 동심숄더부(326)의 제1영역(334)가 다수의 오목부(322) 중 하나에 대해 맞물리게 한다. 전체적으로 안착될 때, 체결나사(304)는 축(S)를 따라 축방향으로 뻗는다. 또한 안착될 때, 체결나사(304)는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에 맞물리고 카운터 보어의 면은 인서트 포켓의 측벽, 예컨대 인서트 포켓의 측벽(306)과 다른 측벽에 대해서 측면 체결력을 만들고, 인서트 포켓의 수평 지지면(308)에 대해서 죄임력을 만든다. 체결나사(304)는 나사산을 형성한 탭 구멍에 삽입되어 동심숄더부의 제1영역과 경사숄더부의 영역을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에 대해 맞물리게 하고 동심숄더부의 제2영역을 접선방향, 축방향 및 방사상 방향으로 탈착식 인서트에 대해서 외력을 가정하는 카운터 보어의 면에 대해 서 맞물린다. 체결나사(304)로 생성된 외력은 도 13에서 벡터(
Figure 112008080719850-pct00001
)로 도시되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벡터(
Figure 112008080719850-pct00002
)는
Figure 112008080719850-pct00003
Figure 112008080719850-pct00004
의 합력이다.
탈착식 인서트는 소재제거공구에 장착될 수 있다. 인서트의 종류와 소재제거공구의 종류가 한정되지는 않는다. 공지된 소재제거공구의 모범적인 실시예는 밀링 공구일 수 있으며 탈착식 인서트는 밀링 인서트이거나, 공구는 터닝 공구, 그루빙 공구 및 파팅 공구 중 하나 이며 탈착식 인서트는 터닝 인서트, 보링 인서트, 그루빙 인서트 및 파팅 인서트 중 하나이다.
소재제거공구에 탈착식 인서트를 장착하는 모범적인 방법이 기재된다. 탈착식 인서트는 다각형상의 정면과 다각형상의 후면 및 이 다각형상의 정면과 다각형상의 후면을 잇는 다수의 가장자리 측면을 구비한 본체와, 인서트의 선 가장자리를 성하는 가장자리 측면과 다각형상 면의 교선과 인서트의 코너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가장자리 측면의 교선을 구비하고, 다각형상의 정면에 나사체결의 헤드부 영역을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수용부는 다수의 오목부를 구비한다. 탈착식 인서트의 실례가 도 1 내지 도 8에 도시되고 기술된다. 모범적인 방법은 소재제거공구의 인서트 포켓의 안착면에 탈착식 인서트를 위치하는 단계와, 경사숄더부와 동심숄더부를 구비한 체결나사를 경사숄더부의 일부와 동심숄더부의 일부를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에 맞물리도록 탭 구멍에 나사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경사숄더부의 일부와 동심숄더부의 일부를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에 맞물리는 단계는 인서트 포켓에 탈착식 인서트를 안착한다. 예컨대, 경사숄더부의 일부를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에 맞물리는 단계는 체결나사를 굽히고, 경사숄더부의 일부와 동심숄더부의 제1영역을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에 맞물리는 단계와 동심숄더부의 제2영역을 카운터 보어의 면에 맞물리는 단계는 체결나사를 긴장시킨다. 다른 실례에서, 경사숄더부의 일부와 동심숄더부의 제1영역을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에 맞물리는 단계와 동심숄더부의 제2영역을 카운터 보어의 면에 맞물리는 단계는 접선방향, 축방향 및 방사상 방향으로 탈착식 인서트에 대해서 힘을 가한다.
공지된 방법으로 만들어진 인서트에 압착 죄임력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공구소재의 고유 압축성을 이용한다. 여기서 공지된 인서트의 실례는 반복적으로 장착, 탈착 및 분리작업으로 시험된다. 탈착식 인서트는 10,000을 초과한 주기로 성능이 유지된다. 덧붙여서,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과 수용부의 오목부의 상호 작용은 인서트 포켓의 형상, 예컨대 벽면과 수평 지지면 및 카운터 보어의 형상에 따른것으로, 인서트 포켓에 탈착식 인서트를 적당하게 방위설정한다.
6각형인 다각형상의 탈착식 인서트를 도시한 도 9 내지 도 13에 결합하여 도시되고 기술되었어도, 유사한 도면, 내용 및 원리가 다른 다각형상의 탈착식 인서트에 적용할 수 있는바, 도 1 내지 도 2 및 도 4 내지 도 5에 도해된 다각형상에 국한되지 않는다. 도 14 및 도 15는 소재제거공구(400,500)의 모범적인 실시예와 추가된 다각형상의 탈착식 인서트에 관한 탈착식 인서트(402,502)의 장착방법을 도해한다.
비록 바람직한 실시예와 결합하여 기술하였어도,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첨부된 청구범위로 한정된 본 발명의 범주와 범위 내에서 벗어나지 않게 첨가, 삭 제, 변형 및 대체할 수 있다.

Claims (51)

  1. 다각형상의 정면과 다각형상의 후면 및 상기 다각형상의 정면과 다각형상의 후면을 잇는 다수의 가장자리 측면을 구비하고, 인서트의 선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기 가장자리 측면과 다각형상의 면의 교선과 인서트의 코너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가장자리 측면의 교선을 갖춘 본체와;
    상기 다각형상의 정면에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을 위한 수용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용부는 다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각각의 오목부는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에 대하여 상응하는 형상으로 상보적인 면을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오목부는 상기 인서트의 방사상 중심에 근접해 있는 구조로 연이어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은 상기 체결나사의 경사숄더부와 동심숄더부로 되어 있고,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에 접촉되는 상기 수용부의 오목부는 상기 인서트의 소재제거 특성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오목부로 되어 있고,
    상기 경사숄더부와 동심숄더부를 상기 오목부의 상기 면과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그리고 상기 체결나사의 상기 동심숄더부의 영역을 상기 체결나사를 위한 나사산을 형성한 탭 구멍의 카운터 보어에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측면 체결력과 죄임력을 만들도록 되어 있는 탈착식 인서트.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면은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의 볼록면과 대응되는 오목면을 갖춘 탈착식 인서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면은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의 오목면과 대응되는 볼록면을 갖춘 탈착식 인서트.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관통한 보어(bore)를 구비하며, 상기 보어는 방사상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방위설정되고 상기 수용부의 다수의 오목부는 상기 보어의 주변 둘레로 배열되는 탈착식 인서트.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목부의 갯수는 상기 다각형상의 정면의 측면 갯수와 적어도 동일한 탈착식 인서트.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초경합금(cemented carbide)으로 형성되는 탈착식 인서트.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보어를 구비하며, 상기 보어는 방사상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방위설정되고 상기 수용부의 다수의 오목부는 상기 보어의 주변 둘레로 배열되는 탈착식 인서트.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 인서트는 밀링 인서트로 되어 있는 탈착식 인서트.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식 인서트는 터닝 인서트, 보링 인서트, 그루빙 인서트 또는 파팅 인서트 중 하나로 되어 있는 탈착식 인서트.
  15. 제1단부에서 다수의 인서트 포켓을 갖춘 헤드부와 제2단부에서 축방향으로 뻗은 확장부를 구비하며, 상기 헤드부는 소정의 직경을 갖춘 공구 본체와;
    다수의 탈착식 인서트;로 이루어지며, 상기 다수의 탈착식 인서트는 각각 상기 다수의 인서트 포켓 중 하나에 안착되며,
    상기 다수의 탈착식 인서트는 상기 헤드부의 직경의 단위 인치마다 4개 또는 그 이상의 밀도로 인서트가 구비되어 상기 헤드부에 배열되고,
    상기 탈착식 인서트는 하나의 면에 있는 수용부와, 다수의 컷팅 가장자리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다수의 영역을 구비하며, 상기 탈착식 인서트의 다수의 컷팅 가장자리 중의 각각은 상기 다수의 영역 중 하나에 상관되어 있고,
    상기 탈착식 인서트는 체결나사로 상기 인서트 포켓에 지지되며,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은 상기 컷팅 가장자리에 상관된 수용부 영역과 접촉하며,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은 상기 수용부 영역의 면과 상응하면서 상보적인 형상으로 된 면을 구비하고,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은 상기 체결나사의 경사숄더부와 동심숄더부로 되어 있고,
    상기 다수의 오목부는 상기 인서트의 방사상 중심에 근접해 있는 구조로 연이어서 배치되어 있고,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에 접촉되는 상기 수용부의 오목부는 상기 인서트의 소재제거 특성에서 가장 멀리 떨어져 있는 오목부로 되어 있고,
    상기 경사숄더부와 동심숄더부를 상기 오목부의 상기 면과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그리고 상기 체결나사의 상기 동심숄더부의 영역을 상기 체결나사를 위한 나사산을 형성한 탭 구멍의 카운터 보어에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측면 체결력과 죄임력을 만들도록 되어 있는 소재제거공구.
  16. 삭제
  17.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은 상기 수용부 영역의 오목면과 대응하는 볼록면을 구비한 소재제거공구.
  1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은 상기 수용부 영역의 볼록면과 대응하는 오목면을 구비한 소재제거공구.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제거공구는 밀링 공구로 되어 있고 상기 탈착식 인서트는 밀링 인서트로 되어 있는 소재제거공구.
  29.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제거공구는 터닝 공구, 그루빙 공구 및 파팅 공구 중 하나로 되어 있고, 상기 탈착식 인서트는 터닝 인서트, 보링 인서트, 그루빙 인서트 및 파팅 인서트 중 하나로 되어 있는 소재제거공구.
  30. 제1단부에 벽 지지면과, 수평 지지면 및, 카운터 보어를 갖추며 상기 수평 지지면에서 소정의 각도로 방위설정된 중심선을 갖는 나사산을 형성한 탭 구멍을 갖춘 다수의 인서트 포켓을 구비한 본체와;
    다각형상의 정면과 다각형상의 후면 및 이 다각형상의 정면과 다각형상의 후면을 잇는 다수의 가장자리 측면을 구비하고, 인서트의 선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기 가장자리 측면과 다각형상 면의 교선과 인서트의 코너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가장자리 측면의 교선을 구비하며, 상기 다각형상의 정면에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을 위한 수용부를 구비하는데, 상기 수용부는 다수의 오목부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 지지면과 접촉하는 상기 다각형상의 후면에 상기 인서트 포켓에 안착되고, 상기 다수의 가장자리 측면 중 제1가장자리 측면은 상기 벽 지지면과 접촉하고 상기 다수의 가장자리 측면 중 제2가장자리 측면은 상기 본체의 외곽 둘레면을 지나 방사상으로 돌출하는, 탈착식 인서트 및;
    상기 나사산을 형성한 탭 구멍용으로, 나사산부와 동심숄더부 및 경사숄더부를 구비하며, 상기 경사숄더부는 상기 나사산부와 동심숄더부 사이에 위치하는, 체결나사;로 이루어지며,
    상기 나사산을 형성한 탭 구멍에 삽입된 상기 체결나사는 상기 동심숄더부의 제1영역과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에 대해 상기 경사숄더부의 제1영역에 맞물리고,
    상기 나사산을 형성한 탭 구멍에 삽입된 상기 체결나사가 상기 나사산을 형성한 탭 구멍의 카운터보어의 면에 대해서 상기 동심숄더부의 제2영역에 맞물리고,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에 접촉된 상기 수용부의 오목부는 상기 탈착식 인서트의 소재제거특성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오목부로 되어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탈착식 인서트의 방사상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는 소재제거공구.
  31. 삭제
  32.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에 맞물리는 상기 동심숄더부의 제1영역과 상기 경사숄더부의 제1영역과, 상기 카운더보어의 면에 대해서 맞물리는 상기 동심숄더부의 제2영역이 상기 인서트 포켓의 측벽에 대해 측면 체결력을 발생하고 상기 인서트 포켓의 수평 지지면에 대해서 죄임력을 발생하는 소재제거공구.
  3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가 상기 나사산을 형성한 탭 구멍에 삽입되어 상기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에 대해 상기 동심숄더부의 제1영역과 상기 경사숄더부의 제1영역에 맞물리고, 접선방향, 축방향 및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탈착식 인서트에 대해 외력을 가하는 상기 카운터보어의 면에 대해 상기 동심숄더부의 제2영역에 맞물리는 소재제거공구.
  3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숄더부의 제1영역과 상기 경사숄더부의 제1영역은 상기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의 오목면에 대응하는 볼록면을 구비한 소재제거공구.
  35.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동심숄더부의 제1영역과 상기 경사숄더부의 제1영역은 상기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의 볼록면에 대응하는 오목면을 구비한 소재제거공구.
  36. 삭제
  37. 삭제
  38. 삭제
  39. 삭제
  40.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관통한 보어를 구비하며, 상기 보어는 방사상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방위설정되고 상기 수용부의 다수의 오목부는 상기 보어의 주변 둘레로 배열되는 소재제거공구.
  4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초경합금으로 형성되는 소재제거공구.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를 관통하는 보어를 구비하며, 상기 보어는 방사상 중심에서 축방향으로 방위설정되고 상기 수용부의 다수의 오목부는 상기 보어의 주변 둘레로 배열되는 소재제거공구.
  43.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제거공구는 밀링 공구로 되어 있고 상기 탈착식 인서트는 밀링 인서트로 되어 있는 소재제거공구.
  44.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소재제거공구는 터닝 공구, 그루빙 공구 및 파팅 공구 중 하나로 되어 있고, 상기 탈착식 인서트는 터닝 인서트, 보링 인서트, 그루빙 인서트 및 파팅 인서트 중 하나로 되어 있는 소재제거공구.
  45. 소재제거장치에 탈착식 인서트를 장착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탈착식 인서트는 다각형상의 정면과 다각형상의 후면 및 이 다각형상의 정면과 다각형상의 후면을 잇는 다수의 가장자리 측면을 갖춘 본체와, 상기 인서트의 선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상기 가장자리 측면과 다각형상 면의 교선과 상기 인서트의 코너 가장자리를 형성하는 연속적인 가장자리 측면의 교선을 구비하며, 상기 다각형상의 정면에 수용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용부는 다수의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다수의 오목부는 상기 인서트의 방사상 중심에 근접해 있는 구조로 연이어서 배치되어 있고, 상기 탈착식 인서트의 방사상 중심에 대하여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소재제거공구의 인서트 포켓의 안착면에 상기 탈착식 인서트를 안착시키는 단계와;
    경사숄더부와 동심숄더부를 구비한 체결나사를 상기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에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에 맞물리게 탭 구멍에 나사체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은 상기 체결나사의 경사숄더부의 제1영역과 동심숄더부의 제1영역으로 되어 있고,
    상기 경사숄더부의 제1 영역과 상기 동심숄더부의 제1 영역를 상기 오목부의 상기 면과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그리고 상기 체결나사의 상기 동심숄더부의 제2 영역을 상기 탭 구멍의 카운터 보어에 체결시키는 것에 의해 측면 체결력과 죄임력을 만들도록 되어 있는, 소재제거장치에 탈착식 인서트의 장착방법.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는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의 면에 대응하는 면을 갖춘, 소재제거장치에 탈착식 인서트의 장착방법.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면은 상기 경사숄더부의 제1부와 상기 동심숄더부의 제1부의 볼록면에 대응하는 오목면을 갖추고 있는, 소재제거장치에 탈착식 인서트의 장착방법.
  48.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면은 상기 경사숄더부의 제1영역과 상기 동심숄더부의 제1영역의 오목면에 대응하는 볼록면을 갖추고 있는, 소재제거장치에 탈착식 인서트의 장착방법.
  49. 삭제
  50. 삭제
  51.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나사의 헤드부 영역을 상기 다수의 오목부 중 하나와 맞물리는 단계는 접선방향, 축방향 및 방사상 방향으로 상기 탈착식 인서트에 대해 외력을 가하는, 탈착식 인서트의 장착방법.
KR1020087028650A 2006-04-24 2007-04-18 탈착식 인서트와 이를 구비한 소재제거공구 KR10138004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409,089 US7607868B2 (en) 2006-04-24 2006-04-24 Side locking insert and material removal tool with same
US11/409,089 2006-04-24
PCT/US2007/009412 WO2007127109A2 (en) 2006-04-24 2007-04-18 Side locking insert and material removal tool with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33326A KR20090033326A (ko) 2009-04-02
KR101380042B1 true KR101380042B1 (ko) 2014-04-01

Family

ID=386180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7028650A KR101380042B1 (ko) 2006-04-24 2007-04-18 탈착식 인서트와 이를 구비한 소재제거공구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7607868B2 (ko)
EP (1) EP2015893B1 (ko)
JP (1) JP5231396B2 (ko)
KR (1) KR101380042B1 (ko)
CN (1) CN101495259B (ko)
ES (1) ES2489642T3 (ko)
WO (1) WO200712710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29311C2 (sv) * 2005-12-05 2007-07-03 Seco Tools Ab Ett verktyg för spånavskiljande bearbetning där gängförbandet är anordnat att tillåta vickning av låsskruven
SE529312C2 (sv) * 2006-02-15 2007-07-03 Seco Tools Ab Skär och skärverktyg där skärets monteringshål har två kontaktpunkter mot ett spänndon
US7815403B2 (en) * 2007-03-14 2010-10-19 Valenite Llc Material removal tool stiffened with spacers arranged along a length
US7510352B2 (en) * 2007-08-03 2009-03-31 Kennametal Inc. Integral cutting insert clamping mechanism
FR2928284B1 (fr) 2008-03-10 2010-06-04 Safety Production "plaquette de coupe a deflecteur de copeaux"
WO2010009226A1 (en) * 2008-07-18 2010-01-21 Valenite Llc Backbore tool with coolant actuation
DE102008037915B3 (de) * 2008-08-14 2009-08-13 Kennametal Inc. Wendeschneidplatte
EP2328705B1 (en) * 2008-08-29 2015-06-17 Sandvik, Inc. Flip cartridges and material removal tool with same
US9623493B2 (en) 2008-11-19 2017-04-18 Kennametal Inc. Double-sided ball end mill cutting insert and tool therefor
DE102008064543B4 (de) * 2008-12-19 2015-02-26 MAPAL Fabrik für Präzisionswerkzeuge Dr. Kress KG Reibahle und Messerplatten
JP5334668B2 (ja) * 2009-04-27 2013-11-06 京セラ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ならびにそれらを用いた被削加工物の製造方法
US9586264B2 (en) 2009-04-28 2017-03-07 Kennametal Inc. Double-sided cutting insert for drilling tool
KR101105058B1 (ko) * 2009-05-07 2012-01-13 대구텍 유한회사 절삭 공구 및 절삭 공구용 인서트
KR101107444B1 (ko) * 2009-06-10 2012-01-19 대구텍 유한회사 절삭 공구 및 절삭 공구용 인서트
KR101606935B1 (ko) * 2009-07-09 2016-03-28 대구텍 유한회사 양면 인덱서블 절삭 인서트와 보강재의 조립체
US8858126B2 (en) * 2009-09-25 2014-10-14 Kennametal Inc. Cutting tool with error proofing feature
US8573903B2 (en) 2009-11-03 2013-11-05 Kennametal Inc. Round cutting insert with anti-rotation feature
US9016985B2 (en) 2009-12-22 2015-04-28 Ceramtec Gmbh Clamping system
KR101154704B1 (ko) * 2010-02-19 2012-06-08 대구텍 유한회사 홈에 의해 분할된 절삭날을 갖는 절삭 인서트 및 이를 구비한 밀링 커터
SE534832C2 (sv) * 2010-05-10 2012-01-17 Sandvik Intellectual Property Indexerbart skär för fräsverktyg
US8561509B2 (en) 2010-06-15 2013-10-22 Kennametal Inc. Mechanical-activated ID grooving tool
EP2420340B1 (en) * 2010-08-20 2014-04-16 VARGUS Ltd. Thread-milling insert and thread-milling cutter
US8657539B2 (en) 2011-03-28 2014-02-25 Kennametal Inc. Round cutting insert with reverse anti-rotation feature
US8573904B2 (en) 2011-06-14 2013-11-05 Kennametal Inc. Grooving insert
US8858130B2 (en) 2012-04-24 2014-10-14 Kennametal Inc. Indexable circular cutting insert
USD709110S1 (en) 2012-04-24 2014-07-15 Kennametal Inc. Cutting insert
US9283626B2 (en) * 2012-09-25 2016-03-15 Kennametal Inc. Double-sided cutting inserts with anti-rotation features
US9011049B2 (en) 2012-09-25 2015-04-21 Kennametal Inc. Double-sided cutting inserts with anti-rotation features
US9511421B2 (en) 2013-06-14 2016-12-06 Kennametal Inc. Cutting tool assembly having clamp assembly comprising a clamp and a coolant plate
JP6253093B2 (ja) * 2014-01-24 2017-12-27 住友電工ハードメタル株式会社 切削インサートと刃先交換式切削工具
US11241747B2 (en) 2017-10-16 2022-02-08 Iscar, Ltd. Cutting tool and undersized bore-less indexable insert therefor
JP6761604B2 (ja) * 2018-09-14 2020-09-30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US11306543B2 (en) 2020-02-20 2022-04-19 Saudi Arabian Oil Company Drill bit cutter fitted with a threaded member
JP7299936B2 (ja) * 2021-02-19 2023-06-28 株式会社タンガロイ 切削工具、切削インサート及び保持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514A (ja) * 1992-08-28 1994-03-22 Mitsubishi Materials Corp 転削工具
JPH10263917A (ja) * 1997-03-21 1998-10-06 Ngk Spark Plug Co Ltd スローアウェイ切削工具用ホルダ及びこれを含むスローアウェイ切削工具

Family Cites Families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RE21068E (en) * 1939-05-02 Rotary cutter
US867725A (en) * 1907-05-16 1907-10-08 Byron A Hemenway Lathe tool and holder.
US1376972A (en) * 1919-03-13 1921-05-03 Richard W Runde Surface milling-cutter
US1778260A (en) * 1926-02-01 1930-10-14 Kearney & Trecker Corp Milling cutter
US1866570A (en) * 1929-06-18 1932-07-12 Babcock & Wilcox Co Tube support
US2255737A (en) * 1939-06-27 1941-09-09 Apex Tool & Cutter Company Inc Tool bit and toolholder therefor
US2343709A (en) * 1942-12-22 1944-03-07 William L Rudaitis Inserted blade milling cutter
US2395288A (en) * 1943-06-30 1946-02-19 Frank W Thomas Inserted blade cutter
US2499994A (en) * 1946-11-27 1950-03-07 Frank A Hart Double wedge lock for inserted blade cutters
US2787823A (en) * 1952-06-23 1957-04-09 Kennametal Inc Tool holder
US2743917A (en) * 1952-11-04 1956-05-01 Cincinnati Mine Machinery Co Socket-mounted cutter bit and set screw arrangement
US2985119A (en) 1953-04-27 1961-05-23 Chace D Gilmore Process of making thoroughly cooked doughnuts having more than three holes
US2958119A (en) * 1957-12-03 1960-11-01 Carney Stansfield Co Cutting tool
GB1209181A (en) 1967-01-02 1970-10-21 Davy & United Eng Co Ltd Rolling mills
US3588977A (en) * 1968-08-06 1971-06-29 Valeron Corp Insert geometry
US3509612A (en) * 1969-06-16 1970-05-05 Borite Mfg Corp Milling cutter and blade assembly
SE342565B (ko) 1970-06-03 1972-02-14 Fagersta Bruks Ab
US3765496A (en) * 1971-12-27 1973-10-16 M Flores Drill head unit with throwaway insert holders
SE435251B (sv) * 1979-05-10 1984-09-17 Waco Maskinfab Verktyg for spanskerande bearbetning
US4400117A (en) * 1981-05-04 1983-08-23 Milling Specialties, Inc. Insert type milling cutter
US4517954A (en) * 1983-01-03 1985-05-21 Gran-Quartz Trading, Inc. Removable mount for cutting means
DE3410284A1 (de) * 1984-03-21 1985-09-26 Leistritz Fertigungstechnik GmbH, 8500 Nürnberg Flachformklemmwerkzeug
JPS6265116U (ko) * 1985-10-15 1987-04-22
FR2589765B1 (fr) * 1985-11-08 1989-09-08 Sicerm Dispositif de blocage des couteaux d'une fraise a couteaux rapportes.
CH678027A5 (ko) * 1988-09-02 1991-07-31 Krupp Widia Schweiz Ag
US4934880A (en) * 1988-12-27 1990-06-19 Gte Valenite Corporation End mill cutting tool
IT230444Y1 (it) * 1993-10-01 1999-06-07 Omus S P A In Amministrazione Inserto tagliente perfezionato per alesatori
ES2152014T3 (es) * 1995-06-06 2001-01-16 Kennametal Inc Fresa tipo cartucho, de alta velocidad.
US5827016A (en) * 1996-06-20 1998-10-27 Seco Tools Ab Octagonal milling insert with anti-rattle configuration and strengthened cutting edges
JP4436985B2 (ja) * 1999-04-26 2010-03-24 サンドビ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ー アクティエボラーグ 切削インサートを保持するための工具ホルダおよび締付け板
TW505551B (en) * 1999-04-29 2002-10-11 Iscar Ltd Cutting tool assembly and cutting insert therefor
JP3700478B2 (ja) * 1999-06-14 2005-09-28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スローアウェイ式リーマ
SE517447C2 (sv) * 1999-06-29 2002-06-04 Seco Tools Ab Gängfräs med därför avsett skär
SE515635C2 (sv) * 2000-01-27 2001-09-17 Sandvik Ab Skivfräs jämte skär härför
US6449917B1 (en) * 2000-02-02 2002-09-17 Sullivan Research & Development Llc Suspended acoustical ceiling system
US6508612B1 (en) * 2000-09-05 2003-01-21 Kennametal Inc. Milling cutter capable of using inserts of various geometrical shapes
JP3356163B2 (ja) * 2000-10-10 2002-12-09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回転切削工具
US6427791B1 (en) * 2001-01-19 2002-08-06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Energy Drill bit assembly for releasably retaining a drill bit cutter
US6503028B1 (en) * 2001-06-15 2003-01-07 Sandvik Aktiebolag Sintered cutting insert having center hole for clamp screw
FR2838361B1 (fr) 2002-04-11 2004-12-17 Safety Fabrique De Carbure De Dispositif de bridage d'une plaquette de coupe amovible et outil support d'un tel dispositif
JP2005205527A (ja) * 2004-01-22 2005-08-04 Ngk Spark Plug Co Ltd 切削工具
DE202004010630U1 (de) * 2004-07-06 2005-11-17 Kennametal Inc. Fräswerkzeug
US7040843B1 (en) * 2005-03-17 2006-05-09 Great Lakes Custom Tool Mfg., Inc. Flooring hollow back relief cutting tool and method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9514A (ja) * 1992-08-28 1994-03-22 Mitsubishi Materials Corp 転削工具
JPH10263917A (ja) * 1997-03-21 1998-10-06 Ngk Spark Plug Co Ltd スローアウェイ切削工具用ホルダ及びこれを含むスローアウェイ切削工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5231396B2 (ja) 2013-07-10
US8033764B2 (en) 2011-10-11
CN101495259A (zh) 2009-07-29
WO2007127109A2 (en) 2007-11-08
US7607868B2 (en) 2009-10-27
JP2009534210A (ja) 2009-09-24
EP2015893B1 (en) 2014-06-11
CN101495259B (zh) 2013-01-23
ES2489642T3 (es) 2014-09-02
EP2015893A4 (en) 2012-05-02
EP2015893A2 (en) 2009-01-21
US20090290943A1 (en) 2009-11-26
WO2007127109A3 (en) 2009-04-09
US20070245535A1 (en) 2007-10-25
KR20090033326A (ko) 2009-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0042B1 (ko) 탈착식 인서트와 이를 구비한 소재제거공구
EP1485222B1 (en) Tool and cutting insert for chip removing machining with connecting surfaces between holder and insert with ridge and grooves in shape of curves
US7086812B2 (en) Cutting tool
EP1954430B1 (en) A tool and a cutting body for chip removing machining with a resilient male/female coupling between the cutting body and basic body
US20100092253A1 (en) Cutting Insert and Cutting Tool, and Cutting Method Using the Same
PL177379B1 (pl) Oprawka narzędziowa wkładki tnącej obejmująca powierzchnię mocującą z wypustami
JP2008018515A (ja) 切削インサート及び切削工具
JP2008512260A (ja) 切削インサートおよび切削工具
US20210252615A1 (en) Double-sided tangential milling cutting insert
KR20120026070A (ko) 절삭 공구 및 절삭 공구용 인서트 홀더
JP6470405B2 (ja)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及びこれを用いた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2000280106A (ja) 切削工具及びこれに用いるセラミック製スローアウェイチップ
WO2016098775A1 (ja) 切削インサート、切削工具及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7045460B2 (ja) 切削工具及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H08309604A (ja) 交換可能の工具支持体
US20200206827A1 (en) Cutting insert, cutting tool, and method of producing machined product
CN113474110A (zh) 车削刀具及切削加工物的制造方法
WO2023176441A1 (ja) 切削工具及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7223773B2 (ja) 回転工具及び切削加工物の製造方法
JP3235000U (ja) チップブレーカ付き切削工具
WO2018198929A1 (ja) スロットミル用インサート及びスロットミル
CN115213442A (zh) 切削刀片及切削工具
JP2003011015A (ja) スローアウェイ式正面フラ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