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9339B1 -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유저 인증 방법 - Google Patents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유저 인증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9339B1
KR101379339B1 KR1020110034093A KR20110034093A KR101379339B1 KR 101379339 B1 KR101379339 B1 KR 101379339B1 KR 1020110034093 A KR1020110034093 A KR 1020110034093A KR 20110034093 A KR20110034093 A KR 20110034093A KR 101379339 B1 KR101379339 B1 KR 101379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uthentication
user
unit
authentication information
authentication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4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5529A (ko
Inventor
아쓰시 이케다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55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55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60Protecting data
    • G06F21/606Protecting data by securing the transmission between two devices or processes
    • G06F21/608Secure prin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30Authentication, i.e. establishing the identity or authorisation of security principals
    • G06F21/31User authent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2Digital output to print unit, e.g. line printer, chain printer
    • G06F3/1201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 G06F3/1202Dedicated interfaces to print systems specifically adapted to achieve a particular effect
    • G06F3/1222Increasing security of the print jo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eth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llating Specific Patterns (AREA)

Abstract

화상처리장치는, 유저를 인증하기 위한 제1 인증부와, 상기 유저를 인증하기 위한 제2 인증부와, 상기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와, 상기 제1 인증부 또는 상기 제2 인증부가 유저를 인증하고 있는 동안 상기 조작부가 상기 유저로부터 어떠한 조작도 접수하지 않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유저를 인증하고 있지 않는 로그 아웃 상태로 상기 유저를 설정하는 로그 아웃부와, 상기 제1 인증부와 상기 제2 인증부가 상기 유저를 인증하고 있는 동안 상기 제2 인증부가 상기 유저를 인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을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으로 변경하는 변경부를 구비한다.

Description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유저 인증 방법{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USER AUTHENTICATION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장치 또는 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유저 인증을 필요로 하는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유저 인증 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인증된 유저에 상기 장치의 사용을 허가하는 것과,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유저 인증을 실현하기 위한 어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가 알려져 있다. 이후, 장치의 사용을 허가 또는 제한하기 위해서 행해진 유저 인증을 "디바이스 인증"이라고 부른다.
디바이스 인증을 이용하는 일부의 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49417호에 기재된 것처럼, 유저 인증후의 로그인중에 무조작 기간을 계측하고, 유저가 상기 장치를 소정시간 조작하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유저에게 로그 아웃하도록 구성된다. 이후, 이러한 기능을 "오토 로그 아웃"이라고 부른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7-249417호에 의하면, 유저마다 오토 로그 아웃의 기간을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조작 메뉴의 난이도에 따라, 오토 로그 아웃의 기간을 가변할 수 있다.
한편,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 송신 기능이나 프린트 기능 등의 특정한 기능을, 인증된 유저에 사용을 허가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이후, 장치가 구비하는 특정한 기능의 사용을 허가 또는 제한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유저 인증을 "기능 인증"이라고 부른다.
일부의 화상처리장치에는, 디바이스 인증과 기능 인증의 양쪽의 인증 수단이 구비되거나, 복수의 종류의 기능 인증이 구비되어 있다. 이 경우, 유저는, 화상처리장치를 유저가 사용 가능하게 하는 디바이스 인증을 위한 조작을 행하고, 그 후에 특정한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 기능 인증을 위한 조작을 행한다. 종래, 이러한 종류의 장치에는, 터치패널, 키보드등에, 각 인증 전용의 로그 아웃 버튼 등이 구비되어 있다.
그렇지만, 복수의 종류의 인증을 사용하는 종래의 장치는, 유저가 디바이스 인증의 조작과 기능 인증의 조작을 통해서 로그인 상태가 되어 화상처리장치를 사용한 후, 그 디바이스 인증과 기능 인증의 양쪽으로부터 유저가 로그 아웃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예를 들면, 실제로 디바이스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할 작정인 유저는, 잘못하여 기능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하고, 자신의 실수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그 장치를 떠나버린다. 이 경우, 해당 유저가 디바이스 인증된 상태에서 그 장치를 떠나고, 다른 유저가 그 장치를 사용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경우에 의해, 잘못된 아이덴티티(identity)를 사용하여 잡의 실행이 가능하게 되어버린다.
본 발명은, 비공인 유저에 상기 장치 또는 그 장치의 기능이 사용되어버릴 기회를 가능한 많이 감소시킬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대상으로 삼는다. 이 화상처리장치에 의하면, 복수의 종류의 유저 인증의 일부로부터 유저가 아직 로그 아웃하고 있지 않는 상태에서, 별도의 유저에 화상처리장치를 사용할 기회를 가능한 많이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국면에 따른 화상처리장치는,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제1 인증부; 상기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제2 인증부; 상기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 상기 제1 인증부가 상기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있는 동안, 상기 조작부가 상기 유저로부터 어떠한 조작도 접수하지 않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유저를 인증하고 있지 않은 로그 아웃 상태로 상기 유저를 설정하는 로그 아웃부; 및 상기 제1 인증부가 상기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제2 인증부가 상기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있는 동안, 상기 제2 인증부가 상기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을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으로 변경하는 변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변경부에 의해 변경되기 전의 소정의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 및 국면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한 예시적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그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들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나타내고, 이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한다.
도 1은 화상처리장치(MFP)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복합기(Multi Function Peripheral; MFP)(2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3은 MFP(200)에 있어서의 디바이스 인증 및 송신 인증의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는 타임아웃 예외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5는 타임아웃 처리의 일례와 입력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6은 디바이스 인증을 위해 부문ID와 패스워드의 입력을 촉진시키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송신 인증을 위해 유저 이름과 패스워드의 입력을 촉진시키는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DISPLAY(208)에 표시되는 문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PANEL(206) 및 DISPLAY(208)의 개관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10b, 10c는 MFP(200)의 3개의 기능과 각 기능의 처리의 예들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1은 제2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로그 아웃 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2는 제2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타임아웃 예외처리의 일례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3은 제2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문의 화면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예시적 실시예들, 특징들 및 국면들을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제1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화상처리장치(MFP)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의 일례를 도시한 도면이다.
화상처리장치의 일례인 복합기(MFP)(200)는, 근거리 통신망(LAN)(100)을 통하여, 경량 디렉토리 액세스 프로토콜(LDAP) 서버(300)와 접속되어 있다. MFP(200)는, 카피 기능, 프린트 기능 및 송신 기능등의 다수의 기능을 갖춘 복합 화상처리장치다.
MFP(200)는, 정해진 프로토콜(LDAP)하에 LDAP서버(300)와 통신함으로써, 후술하는 유저가 송신기능을 사용할 때의 유저 인증을 실현한다. 이 프로토콜은, 공지의 기술이므로, 여기서는 상세히 설명하지 않겠다. LDAP서버(300)는 인증 서버의 일례다. 이와는 달리, MFP(200)에는, 유저 인증수단이 장착되어도 된다. 이 경우, LDAP서버(300)는 생략되어도 된다.
도 2는, MFP(200)의 하드웨어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럭도다.
MFP(200)는, 중앙처리장치(CPU)(201), 판독전용 메모리(ROM)(202), 랜덤 액세스 메모리(RAM)(203),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204), 외부입력 콘트롤러(PANELC)(205), 각종 버튼 및 터치패널(PANEL)(206)을 구비하고 있다. MFP(200)는, 디스플레이 콘트롤러(DISPC)(207), 디스플레이(DISPLAY, 표시부)(208), 디스크 콘트롤러(DKC)(209), 하드 디스크(HD)(210), 프린터부(PRINTER)(211), 스캐너부(SCANNER)(212)를 더 구비하고 있다.
CPU(201)는, 시스템 버스(213)에 접속되는 디바이스들을 총괄적으로 제어함과 아울러, ROM(202) 또는 대규모 기억장치인 HD(210)에 기억된 펌웨어(firmware) 모듈을 실행한다. 펌웨어 모듈로서, 적어도 2개의 모듈이 있다. 그 펌웨어 모듈의 갱신은, 모듈마다 개별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CPU(201)는, 제어프로그램으로서의 펌웨어 모듈에 근거해 후술하는 흐름도들에 나타낸 처리를 실행한다. 일부의 경우에는, HD(210)는, 화상의 일시기억 영역으로서도 사용되어도 된다. RAM(203)은, CPU(201)의 주 메모리와 작업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PANELC(205)은, MFP(200)에 구비된 PANEL(206)로부터의 지시 입력을 제어한다. PANEL(206)은, 각종의 버튼, 키나 터치패널 시트(sheet)등을 포함하고, MFP(200)의 조작부를 구성한다.
DISPC(207)는, DISPLAY(208)에 적용된 묘화를 제어한다. DISPLAY(208)는 액정 디스플레이등으로 구성되고, MFP(200)의 조작 화면을 표시한다. PANEL(206)과 DISPLAY(208)에 의해 MFP(200)의 조작부가 구성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작부의 일례를 도 9에 나타낸다.
도 9를 참조하면, ID키(901), START키(902), COPY키(903) 및 SEND키(904)는 PANEL(206)의 일부가 된다. 또한, DISPLAY(208)의 표면에는 터치패널 시트가 장착되어 있다. 그 키들은 아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NIC(204)는, LAN(100)을 통해서 다른 MFP, 파일서버(도면에 나타내지 않는다), 또는, LDAP서버(300)와 데이터의 교환을 행한다. PRINTER(211)는, 전자사진방식으로 기록지에 화상을 형성한다. SCANNER(212)는, 기록지에 인쇄되어 있는 화상의 판독을 행한다. SCANNER(212)에는,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오토 도큐먼트 피더(feeder)가 장착되어 있어서, 복수매의 원고를 자동적으로 판독할 수 있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200)는, 디바이스 인증과, 기능 인증의 일례로서의 송신 인증을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디바이스 인증은, MFP(200)의 HD(210)에, 부문ID와 패스워드로 이루어지는 인증 테이블을 기억하고, 유저가 입력한 부문ID와 패스워드를 테이블에 대해 대조함으로써 실현된다.
송신 인증에 대해서, MFP(200)는, LAN(100)을 통하여, LDAP서버(300)와 통신하여 유저를 인증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 인증에 의해 인증된 유저는, MFP(200)를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기능 인증이 필요하지 않는 MFP(200)의 카피 기능과 프린트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송신 인증에 의해 인증된 유저는, MFP(200)의 송신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디바이스 인증과 송신 인증의 각각에서, 유저가 인증한 후(유저가 로그인 후), 소정의 시간 유저가 PANEL(206)에 대하여 조작을 행하지 않은 경우, 인증된 상태로부터 인증되지 않은 상태(로그 아웃 상태)로 인증 상태가 변경된다.
이 "소정의 시간"은, MFP(200)에 미리 설정되어 있고, 소프트웨어 형태의 타이머(오토 로그아웃 타이머)가 계시한다.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는 하드웨어 형태로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가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것을 검지하면, CPU(201)에 대하여 인터럽트 신호를 발생한다. 그 상세한 것은 후술한다.
다음에,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200)의 처리의 일례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 인증 처리 및 송신 인증처리의 일례를 나타낸 흐름도다.
본 흐름도를 실행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은, HD(210)에 기억되어 있고, MFP(200)에 전원이 공급되면 RAM(203)에 전개되고 나서, CPU(201)에 의해 실행된다. 후술하는 흐름도들의 처리도, 마찬가지로 실현된다.
단계S3-001에서는, DISPLAY(208)에 인증 화면을 표시하여, MFP(200)가 디바이스 인증을 위한 부문ID와 패스워드를 접수 가능한 상태로 한다. DISPLAY(208)에 표시되는 디바이스 인증을 위한 화면의 일례를 도 6에 나타낸다.
계속해서, CPU(201)는 유저가 PANEL(206)에 자신의 부문ID 및 패스워드를 입력하기를 대기하고 나서, 유저가 ID키(901)(도 9)를 눌러, 디바이스 인증의 로그인 요구를 대기한다.
ID키(901)가 눌려지면, CPU(201)는 입력된 부문ID 및 패스워드와, 먼저 설명한 HD(210)에 기억된 인증 테이블을 대조하고, 입력된 부문ID 및 패스워드가 타당한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들이 타당하면, 단계S3-002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3-001을 반복한다.
다음에, 단계S3-002에 있어서, 카피 기능을 위한 조작 화면(카피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유저에 의해 PANEL(206)이 조작되면, 단계S3-003에 진행된다.
단계S3-003에서는, CPU(201)는 송신 기능의 시작 요구가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201)는 유저에 의해 조작된 키가 SEND키(904)(도 9)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유저에 의해 조작된 키가 SEND키(904)이면(단계S3-003에서 YES), 단계S3-004에 진행된다. 유저에 의해 조작된 키가 SEND키(904)가 아니면(단계S3-003에서 NO), 단계S3-002에 돌아가, CPU(201)는 유저의 조작에 따른 처리(카피를 위한 처리등)를 실행하고 나서, 다음의 조작을 기다린다.
단계S3-004에 있어서, CPU(201)는 DISPLAY(208)에, 기능 인증의 일례로서의 송신 인증을 위해, 유저 이름과 패스워드의 입력을 촉진시키는 화면을 표시한다. 이 때, DISPLAY(208)에 표시되는 화면의 예를 도 7에 나타낸다.
계속해서, CPU(201)는, 유저가 PANEL(206)을 조작해서 입력하는 유저 이름 및 패스워드를 접수한다. 한층 더, CPU(201)는 송신 인증의 로그인 요구에 해당하는 로그인 버튼(702)의 유저의 압하를 기다린다. 유저가 로그인 버튼(702)을 누르면, CPU(201)는 LAN(100)을 통하여, LDAP서버(300)에 액세스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201)는, 정해진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LDAP서버(300)에 대하여, 입력된 유저 이름과 패스워드를 송신하여서, 그 인증을 요구한다. 요구를 받은 LDAP서버(300)는, 송신한 유저 이름과 패스워드의 대조를 행하고, 정해진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그 인증 결과를 MFP(200)에 되돌린다. MFP(200)가 인증 결과를 받은 후, 단계S3-005에 진행된다.
단계S3-005에서는, CPU(201)는 송신 인증의 인증 결과가 유저가 성공적으로 인증될 수 있는 것을 나타내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인증 결과가 성공적으로 인증되면(단계S3-005에서 YES), 단계S3-006에 진행된다. 그렇지 않으면(단계S3-005에서 NO), 인증 실패를 DISPLAY(208)에 표시하고, 단계S3-004에 돌아간다.
단계S3-006에서는, 송신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조작 화면이 표시된다. 이때, 유저가 도 2에 나타낸 PANEL(206)을 조작하면, 단계S3-007에 진행된다.
단계S3-007에서는, CPU(201)는 조작된 키가 로그 아웃 요구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CPU(201)는 조작된 키가 도 9에 기재된 ID키(901)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그 조작된 키가 ID키(901)이면(단계S3-007에서 YES), 단계S3-008에 진행된다. 그 조작된 키가 ID키(901)가 아니면(단계S3-007에서 NO), 단계S3-006에 돌아가, CPU(201)는 접수한 조작에 따라 송신 기능을 실행하고, 다음 조작을 기다린다.
단계S3-008에서는, CPU(201)는 문의 화면을 표시하는 설정이 MFP(200)에서 선택되었는가 아닌가를 확인한다. MFP(200)가 문의 화면을 표시하는 설정으로 되어 있으면(단계S3-008에서 YES), 단계S3-009에 진행된다.
단계S3-009에서는, CPU(201)는, 유저가 디바이스 인증과 송신 인증의 양쪽을 로그 아웃하기를 원하는지, 또는, 유저가 송신 인증만 로그 아웃하기를 원하는지를 문의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도 8에 DISPLAY(208)에 표시되는 문의 화면의 일례를 나타낸다.
계속하여, CPU(201)는 유저에 의해 PANEL(206)이 조작되는 것을 기다린다. 유저가 PANEL(206)를 조작하면, 단계S3-010에 진행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MFP(200)는, 유저가 복수종의 인증마다 전용의 로그 아웃 버튼 등을 갖지 않고 임의의 인증을 로그 아웃할 수 있게 한다.
단계S3-010에서는, CPU(201)는, 유저에 의한 PANEL(206)의 조작에 의해, 디바이스 인증과 송신 인증의 양쪽의 로그 아웃(도 8에 도시된 "모두" 버튼802)이 선택되었는지, 송신 인증만의 로그 아웃(도 8에 도시된 "송신"버튼804)이 선택되었는지를 판정한다. 만약에 CPU(201)는 유저가 송신 인증만의 로그 아웃을 선택한다고 판정하면(단계S3-010에서 YES), 단계S3-011에 진행된다.
단계S3-011에서는, CPU(201)는 단계S3-004에서 입력된 유저 이름등의 송신 인증 정보를 파기하고(이 처리는 유저가 송신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 상태를 선택하게 한다), 단계S3-012에 진행된다.
단계S3-012에서는, CPU(201)는 오토 로그 아웃의 타이머 값을 미리 설정되어 있는 설정 값t의 절반(1/2)으로 재초기화한다. 그리고, 단계S3-004에 돌아간다.
이 상태에서는, 유저는 송신 인증으로부터는 로그 아웃하지만, 디바이스 인증에 대하여는 로그인한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가령 유저가 디바이스 인증으로부터도 로그 아웃한 것이라고 유저가 잘못 믿고, MFP(200)로부터 떠난 경우에도, 일반적인 오토 로그 아웃 상황까지의 시간보다도 짧은 시간에 디바이스 인증으로부터도 오토 로그 아웃하므로, 다른 유저가 MFP(200)를 사용할 기회를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사람이 잘못된 아이덴티티를 사용하여 요구하는 잡의 발생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유저가 송신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한 뒤, t/2 시간동안 디바이스 인증이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송신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한 후, 유저가 계속해서 기능 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는 다른 기능(예를 들면, 카피 기능)을 이용하기 위한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오토 로그 아웃의 타이머 값인 t를, 2분으로 한다. 그리고, MFP(200)는, 유저나 관리자가 이 타이머 값을 0으로부터 9분까지의 범위내에서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0의 타이머 값은, 오토 로그 아웃을 하지 않도록 설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 경우, 단계S3-012에서 설정된 t/2의 값도 0이 되고, 오토 로그 아웃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타이머 값t의 값은 또 다른 값이어도 되고, 그 변경가능한 범위는 서로 달라도 된다.
한편, 단계S3-008에서는 CPU(201)가 문의 화면을 표시하지 않는 설정이 MFP(200)에서 선택된다고 판정하면(단계S3-008에서 NO), 또는, 단계S3-010에서는 CPU(201)가 디바이스 인증과 송신 인증의 양쪽의 로그 아웃을 유저가 선택한다고 판정하면(단계S3-010에서 NO), 단계S3-013에 진행된다.
단계S3-013에서는, 단계S3-011과 마찬가지로, CPU(201)는, 단계S3-004에서 입력된 유저 이름등의 송신 인증 정보를 파기하고, 단계S3-014에 진행된다.
단계S3-014에서는, CPU(201)는, 단계S3-001에서 입력된 부문ID등의 디바이스 인증 정보를 파기해(이 처리는 유저를 디바이스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 상태로 설정한다), 단계S1-001에 돌아간다.
덧붙여, 단계S3-001, S3-002, S3-004, S3-006, 및 S3-009에 있어서, 오토 로그 아웃의 타임아웃이 발생했을 경우, CPU(201)는, 이하에 설명하는 단계S3-015의 타임아웃 예외처리를 행한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단계S3-015에서 행해진 타임아웃 예외 처리를 나타낸 흐름도다.
단계S4-001에서는, CPU(201)는, MFP(200)가 송신 인증에 의한 유저 인증을 계속하고 있다, 즉 유저가 송신 인증에 대하여 로그인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유저가 송신 인증에 대하여 로그인중이면(단계S4-001에서 YES), 단계S4-002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단계S4-001에서 NO), 단계S4-003에 진행된다.
단계S4-002에서는, CPU(201)는, 단계S3-004에서 입력된 유저 이름등의 송신 인증 정보를 파기해(이 처리는 유저를 송신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 상태로 설정한다), 단계S4-003에 진행된다.
단계S4-003에서는, CPU(201)는, MFP(200)가 디바이스 인증에 의한 유저 인증을 계속하고 있다, 즉 유저가 디바이스 인증에 대하여 로그인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유저가 디바이스 인증에 대하여 로그인중이면(단계S4-003에서 YES), 단계S4-004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단계S4-003에서 NO), 단계S4-005에 진행된다.
단계S4-004에서는, CPU(201)는, 단계S3-001에서 입력된 부문ID등의 디바이스 인증 정보를 파기해(이 처리는 유저를 디바이스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 상태로 설정한다), 단계S4-005에 진행된다.
단계S4-005에서는, CPU(201)는, DISPLAY(208)에 표시된 화면등을 초기화(예를 들면, CPU(201)는, MFP(200)의 전원이 투입된 직후에 표시되는 화면을 표시한다)하고, 본 흐름도를 종료한다. 또한, 이 시점에서 오토 로그 아웃 타이머의 타이머 설정 값이 t/2로 변경된 경우에는, 그 설정 값을 초기값인 t에 재설정한다.
도 5는, 도 3의 단계S3-001, S3-002, S3-004, S3-006 및 S3-009에 있어서 행해진 타임아웃 처리와 입력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본 흐름도는, 도 3 및 도 4의 흐름도와 병행하여서 CPU(201)가 실행한다.
오토 로그 아웃의 타임아웃 처리는, 주기처리와 입력 처리로 구성된다.
단계S5-001로부터 단계S5-005까지가 주기적으로 실행되는 주기처리를 구성한다. 단계S5-006으로부터 단계S5-008까지가 유저에 의한 PANEL(206)의 조작을 접수하는 입력 처리를 구성한다.
우선, 주기처리를 설명한다. 단계S5-001에서는, CPU(201)는,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의 타이머 값이 유효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만약에 타이머 값이 유효하다고 CPU(201)가 판정하면(단계S5-001에서 YES), 단계S5-002에 진행된다.
단계S5-002에서는, CPU(201)는,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의 타이머 값을 감산하고, 단계S5-003에 진행된다.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의 타이머 값은, 초기값 t(또는 t/2)로부터 시작하여 감산된다.
단계S5-003에서는, CPU(201)는,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의 타이머 값이 타임아웃(타이머 값이 0이다) 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CPU(201)는, 만약에 타이머 값이 타임아웃이라고 판정되면(단계S5-003에서 YES), 단계S5-004에 진행된다.
단계S5-004에서는, CPU(201)는, 주기처리와 병행되어서 실행하고 있는 입력 처리에 대하여, 타임아웃이 발생한 것을 나타내는 시그널을 발행한다.
계속해서, 단계S5-005에서는, CPU(201)는, 오토 로그 아웃의 타이머 처리이외의 주기처리(예를 들면, 소정시간 PANEL(206)에 대하여 어떠한 조작도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에 PANEL(206)에 대하여 선택된 설정 값을 초기값으로 되돌리는 오토 클리어 처리)를 행한다. 그리고, 단계S5-001에 돌아간다.
한편, CPU(201)가 단계S5-001에서, 타이머 값이 무효라고 판정한 경우(단계S5-001에서 NO), 또는, CPU(201)가 단계S5-003에서 타이머 값이 타임아웃에 이르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단계S5-003에서 NO), 단계S5-005에 진행된다.
다음에, 입력 처리에 관하여 설명한다. 입력 처리는, 예를 들면 도 3의 단계S3-001, S3-002, S3-004, S3-006, 및 S3-009에 있어서, CPU(201)가 유저로부터 PANEL(206)이 조작되는 것을 대기할 때 실행된다.
단계S5-006에서는, CPU(201)는, 유저가 PANEL(206)을 조작하기를 기다린다. 유저가 PANEL(206)을 조작하면, 단계S5-007에 진행된다.
단계S5-007에서는, CPU(201)는, 오토 로그 아웃의 타이머 값을 상기 설정 값t로 초기화하고, 단계S5-008에 진행된다. 이것에 의해, 유저가 어떠한 조작도 행하지 않은 시간이 리셋트된다.
단계S5-008에서는, CPU(201)는, 유저의 PANEL(206)에의 입력조작이 완료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단계S3-001에서는, CPU(201)는, 유저가 도 6에서 나타낸 부문ID와 패스워드를 입력하고 도 9에 도시한 ID키(901)를 누르면 입력이 완료했다고 판정한다. CPU(201)가 그 입력이 완료했다고 판정하면(단계S5-008에서 YES), 입력 처리를 종료한다. CPU(201)가 그 입력이 미완료라고 판정하면(단계S5-008에서 NO), 단계S5-006에 돌아간다.
단계S5-006에서는, CPU(201)는, 주기처리의 단계S5-004로부터의 타임아웃을 나타내는 시그널도 동시에 확인한다. 만약 시그널이 송신되면, 도 3의 단계S3-015에 점프하고, 타임아웃의 예외 처리를 실행한다.
도 3 내지 도 5의 흐름도를 실행함으로써, MFP(200)는, 유저가 기능 인증을 로그 아웃한 직후의 화면에 있어서의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의 초기값(예를 들면, 제1 시간인 t)을, 일반적인 상황의 초기값보다 짧은 값(예를 들면, 제2 시간인 t/2)으로 설정한다.
그리고, 짧아진 시간내에서 유저가 어떠한 조작을 행하면,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의 초기값은 다시 t에 되돌아간다. 이에 따라, 기능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한 후에 디바이스 인증의 로그인 상태가 계속되는 동안에 MFP(200)가 조작을 행하지 않은채 있는 시간을 감소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다른 유저가 잘못된 아이덴티티를 사용하여 MFP(200)를 조작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단계S3-009에 있어서 문의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로그 아웃을 위한 하드웨어 형태의 키에 의해 구성된 조작 버튼을 복수의 종류의 인증 각각에 대해서 준비하지 않아도, 유저가 원하는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문의 화면에 있어서, 디바이스 인증과 기능 인증의 양쪽의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하는 것을 유저가 지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므로, 그 복수의 종류의 인증의 각각으로부터 로그 아웃하기 위한 조작이 용이해진다. 아울러, 이 조작에 의해 모든 종류의 인증을 유저가 로그 아웃할 수 있으므로, 디바이스 인증에 대하여 로그인한 채 유저가 MFP(200)로부터 떠나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MFP(200)가 구비하는 복수의 기능 중, 송신 기능이 기능 인증을 필요로 하는 MFP(200)의 예에 의거하여 설명했다. 제2예시적 실시예에서는 송신 기능과 아울러 프린트 기능이 기능 인증을 필요로 하는 MFP(200)의 일례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2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200)의 하드 구성이 제1예시적 실시예의 하드웨어 구성과 같고, 제2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200)를 포함하는 시스템 구성은 제1예시적 실시예의 시스템 구성과도 같다.
도 10a, 10b 및 10c는, 제2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MFP(200)의 3개의 기능과 각각의 기능의 처리의 예들을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10a, 10b 및 10c에 나타낸 3개의 기능을 실행하는데 필요한 프로그램은, HD(210),또는 ROM(202)에 격납된다. MFP(200)의 CPU(201)가 대응한 프로그램을 실행 함으로써, 상기 흐름도들이 실현된다.
도 10a는 카피 기능의 처리를 나타낸다. 카피 기능은, 기능 인증을 필요로 하지 않고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유저는, MFP(200)의 디바이스 인증에 대하여 로그인 함으로써 카피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단계S10-001에서는, CPU(201)는, DISPLAY(208)에, 다수의 카피 부수등의 카피 기능을 실행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유저에게 입력하는 것을 촉진시키는 화면을 표시하고 나서, PANEL(206)에 의한 유저의 입력을 접수한다. 한층 더, CPU(201)는, 유저의 카피 시작 지시(도 9의 START키902의 압하)를 기다린다.
카피 시작의 지시를 받으면, 단계S10-002에 진행되고, SCANNER(212)에 세트된 원고를 SCANNER(212)가 판독한다.
판독이 완료하면, 단계S10-003에 진행되고, 그 판독된 원고의 내용을 PRINTER(211)가 용지에 프린트한다. 프린트가 완료하면, 단계S10-001에 돌아간다.
도 10b는, 기능 인증의 하나인 송신 인증과, 송신 기능의 처리를 나타낸다. 제2예시적 실시예에서의 송신 기능은, 제1예시적 실시예에서의 송신 기능과 같다.
단계S10-004 및 단계S10-005는, 제1예시적 실시예에서의 도 3의 단계S3-004 및 S3-005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유저가 단계S10-005에서 송신 인증에 의해 성공적으로 인증되면(단계S10-005에서 YES), 단계S10-006에 진행된다.
단계S10-006에서는, CPU(201)는, DISPLAY(208)에 유저에게 송신처 등의 입력을 촉진시키는 화면을 표시하고, PANEL(206)을 사용하여 유저의 입력을 접수한다. 한층 더, CPU(201)는, 유저가 송신 시작의 지시를 기다린다(CPU(201)는, 유저의 도 9의 START키902의 압하를 기다린다). 시작 지시를 받으면, 단계S10-007에 진행되고, SCANNER(212)는 SCANNER(212)에 세트된 원고를 판독한다.
판독이 완료하면, 단계S10-008에 진행되어, 그 판독된 원고의 데이터를 지정된 송신처에 송신하고 나서, 단계S10-006에 돌아간다. 단계S10-008에서 송신 처리를 시작한 후, 유저가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해 PANEL(206)을 조작하고 있는 동안, 백그라운드(background)에서 송신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도 10c는, 또 다른 기능 인증인 프린트 인증과, 그 프린트 기능의 처리를 나타낸다. 제2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프린트 기능에 대하여도 기능 인증을 필요로 한다. 이하, 프린트 기능을 유저가 이용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행해지는 기능 인증을 "프린트 인증"이라고 부른다.
단계S10-009에 있어서, CPU(201)는, DISPLAY(208)에, 프린트 인증을 행하기 위해서 필요한 유저 이름과 패스워드의 입력을 유저에게 촉진시키는 화면을 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7에 있어서, CPU(201)는, 도메인 이름의 란(field)이 없는 화면을 표시한다. 계속해서, CPU(201)는, 유저가 PANEL(206)을 조작해서 입력하는 유저 이름 및 패스워드를 접수한다. 한층 더, CPU(201)는, 프린트 인증의 로그인 요구에 해당하는 로그인 버튼(702)의 유저의 압하를 기다린다. 유저가 로그인 버튼(702)을 누르면, 단계S10-010에 진행된다.
단계S10-010에서는, CPU(201)는, 입력된 유저 이름 및 패스워드와, HD(210)에 기억되고 유저 이름과 패스워드로 이루어진 프린트 인증용의 인증 테이블을 대조하여, 입력된 유저 이름 및 패스워드가 타당한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만약 타당하면(단계S10-010에서 YES), 단계S10-011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단계S10-010에서 NO), 단계S10-009를 반복한다.
단계S10-011에서는, CPU(201)는, LAN(100)을 통해서 접속된 도면에 나타내지 않은 클라이언트 퍼스널 컴퓨터(PC)등으로부터 수신한 프린트 잡(print job)으로부터, 프린트 인증에 의해 인증된 유저에 의해 송신된 프린트 잡만을 추출하여, 리스트의 형태로 DISPLAY(208)에 표시한다. 또한, CPU(201)는, 리스트 된 잡중에서 유저가 임의의 잡을 선택하도록 촉진시킨다. 이어서, CPU(201)는, PANEL(206)에 의한 유저의 선택을 접수한다. 한층 더, CPU(201)는, 유저가 프린트 시작의 지시를 기다린다(CPU(201)는 유저의 도 9의 START키902의 압하를 기다린다).
시작 요구를 받으면, 단계S10-012에 진행되어, 선택된 잡을 PRINTER(211)로 프린트한다. 그리고, 단계S10-011에 돌아간다. 단계S10-012에서 프린트 처리의 시작 후, 유저가 다른 기능의 실행을 위해 PANEL(206)을 조작하고 있는 동안, 백그라운드에서 프린트 처리를 계속할 수 있다.
도 9의 COPY키(903)를 누르면, DISPLAY(208)의 표시가, 도 10a의 카피 기능과 연관된 화면으로 바뀐다. SEND키(904)를 누르면, 도 10b의 송신 처리와 연관된 화면으로 DISPLAY(208)의 표시가 바뀐다.
또한, SCAN/OPTIONS키(905)을 누르면, 도 10c의 프린트 처리와 연관된 화면에, DISPLAY(208)의 표시가 바뀐다. 카피 기능의 처리, 송신기능의 처리 및 프린트 기능의 처리는, 처리의 실행 시작이 지시된 후, DISPLAY(208)에 표시된 화면이 그 기능과 관련되지 않은 다른 화면으로 바뀌어도, 백그라운드에서 계속된다. 이 경우에, 화면이 그 기능과 연관된 기능으로 돌아갔을 때, DISPLAY(208)는 백그라운드에서 계속되는 동안 상기 처리가 현재 도달하는 단계에 따라 화면을 표시한다.
또한, 도 10a 내지 10c에 나타내지 않은 단계S10-001, S10-004, S10-006, S10-009, 및 S10-011에 있어서,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에 의한 타임아웃이 발생했을 경우, CPU(201)는, 후술하는 타임아웃 예외 처리를 행한다.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에 의한 타임아웃의 메커니즘은, 도 5에 나타낸 흐름도의 메카니즘과 같다. 시그널은, 현재 화면을 표시하고 유저의 입력을 대기하는 기능에 통지된다.
도 11은, 제2예시적 실시예에서의 로그 아웃 처리의 흐름의 상세내용을 나타낸 흐름도다. 도 11에 나타낸 흐름도를, MFP(200)의 CPU(201)가 실행한다. 도 9의 ID키(901)를 유저가 누르면, CPU(201)는, 예를 들면 도 5의 단계S5-006등에 패널 조작을 대기하는 처리를 인터럽트하고, 도 11에 도시된 로그 아웃 처리를 실행한다.
단계S11-001에서는, CPU(201)는, 유저가 로그인중인 기능 인증이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만약 유저가 로그인중의 기능 인증이 있으면(단계S11-001에서 YES), 단계S11-002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단계S11-001에서 NO), 로그 아웃 처리를 종료한다.
단계S11-002에서는, CPU(201)는 로그인 상태를 확인한다. 유저가 송신 인증만 로그인중이면(단계S11-002에서 송신 인증만), 단계S11-008에 진행된다. 유저가 프린트 인증만 로그인중이면(단계S11-002에서 프린트 인증만) 단계S11-010에 진행된다. 유저가 송신 인증 및 프린트 인증의 양쪽에 로그인중이면(단계S11-002에서 양쪽), 단계S11-003에 진행된다.
단계S11-003에서는, CPU(201)는 송신 인증과 프린트 인증의 양쪽을 유저가 로그 아웃하기를 원하는지, 유저가 송신 인증만 로그 아웃하기를 원하는지, 또는, 유저가 프린트 인증만 로그 아웃하기를 원하는지를 문의하는 화면을 표시한다. 단계S11-003에 있어서 DISPLAY(208)에 표시된 문의 화면의 예를, 도 13에 나타낸다.
그리고, CPU(201)는 유저에 의해 PANEL(206)가 조작되는 것을 기다린다. 유저가 PANEL(206)를 조작하면, 단계S11-004에 진행된다. 이렇게 구성함으로써, MFP(200)는, 복수의 종류의 기능 인증마다 전용의 버튼 등을 형성하지 않고, 유저는 원하는 기능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할 수 있게 된다.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MFP(200)는, 문의를 행할 것인가 아닌가의 설정에 따라 문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제2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MFP(200)는, 항상 문의 화면을 표시하도록 구성되어도 된다.
단계S11-004에서는, CPU(201)는 유저에 의한 PANEL(206)의 조작이, 송신 인증과 프린트 인증의 양쪽의 로그 아웃을 선택하였는지, 송신 인증만의 로그 아웃을 선택하였는지, 또는, 프린트 인증만의 로그 아웃을 선택하였는지를 판정한다.
만약에 유저가 도 13의 "모든" 버튼을 누르면, CPU(201)는 유저가 송신 인증과 프린트 인증의 양쪽의 로그 아웃을 선택하였다고 판정하고(단계S11-004에서 모두), 단계S11-005에 진행된다. 유저가 도 13의 "송신" 버튼을 누르면, CPU(201)는 유저가 송신 인증만 로그 아웃을 선택하였다고 판정하고(단계S11-004에서 송신 인증), 단계S11-007에 진행된다. 유저가 도 13의 "프린트" 버튼을 누르면, CPU(201)는 유저가 프린트 인증만 로그 아웃을 선택하였다고 판정하고(단계S11-004에서 프린트 인증), 단계S11-009에 진행된다.
단계S11-005에서는, CPU(201)는 도 10의 단계S10-004에서 입력된 유저 이름등의 송신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파기한다(이 처리는, 유저를 송신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상태로 한다). 그리고, CPU(201)는 송신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송신 인증으로부터의 로그 아웃을 나타내는 시그널을 송신하고, 단계S11-006에 진행된다.
도 10b의 송신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송신 인증으로부터의 로그 아웃의 시그널을 수신하면, 송신 기능을 위해 PANEL(206)에 표시하는 조작 화면등을 포함한, 송신 기능에 관한 상태를 초기화하고 나서, 단계S10-004에 돌아간다. 로그 아웃의 시그널을 수신한 시점에서 그 프로그램이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는 경우, 그 프로그램은 이 송신을 계속한다.
단계S11-006에서는, CPU(201)는 도 10의 단계S10-009에서 입력된 유저 이름등의 프린트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파기한다(이 처리는 유저를 프린트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상태로 설정한다). 그리고, CPU(201)는 프린트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에 대하여 프린트 인증으로부터의 로그 아웃을 나타내는 시그널을 보내고, 본 흐름도를 종료한다.
도 10c의 프린트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프린트 인증으로부터의 로그 아웃의 시그널을 수신하면, 프린트 처리를 위해 PANEL(206)에 표시하는 조작 화면등을 포함한, 프린트 기능에 관한 상태를 초기화하고, 단계S10-009에 돌아간다. 로그 아웃의 시그널을 수신한 시점에서 그 프로그램이 프린트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 그 프로그램은 그 프린트 처리를 계속한다.
한편, 단계S11-004에서, CPU(201)는 송신 인증만 유저에 의해 로그 아웃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경우에는(단계S11-004에서 송신 인증) 단계S11-007에 진행된다. 단계S11-007에서는, CPU(201)는 미리 설정되어 있는 오토 로그 아웃의 타이머의 설정 값t를, 미리 설정되어 있는 제수n에 의거하여 t/n으로 재초기화한다. 그리고, 단계S11-008에 진행된다.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MFP(200)를, 무조건 상기 설정 값을 그 설정 값의 절반으로 재초기화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나, 제2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MFP(200)를, 제수n을 유저에게 설정시켜, 그 제수에 따라 상기 설정 값을 재초기화하도록 구성한다. 그러므로, 보다 유연한 높은 오토 로그 아웃의 기간 설정을 할 수 있다.
단계S11-008에서는, CPU(201)는 단계S11-005과 같은 처리를 실행하고, 로그 아웃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단계S11-009는, CPU(201)가, 단계S11-004에서, 유저에 의해 프린트 인증만 로그 아웃이 선택되었다고 판정되었을 때 실행된다. 이 단계에서의 처리 내용은, 단계S11-007과 같다.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계속해서, 단계S11-010에 진행된다.
단계S11-010에서는, CPU(201)는 단계S11-006과 같은 처리를 실행하고, 로그 아웃 처리를 종료한다. 여기서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1의 흐름도에 의하면, 예를 들면 유저가 조작 실수로 1종류의 기능 인증만을 잘못하여 로그 아웃해도, 기능 인증에 의한 로그인 상태가 계속되고 있는 다른 기능을 다른 유저가 사용할 기회를 가능한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2는, 제2 예시적 실시예에서의 타임아웃 예외 처리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단계S10-001, S10-004, S10-006, S10-009, 및 S10-011에서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에 의한 타임아웃이 발생했을 경우, CPU(201)는 도 12의 타임아웃 예외 처리의 실행을 시작한다.
단계S12-001에서는, CPU(201)는, 유저가 송신 인증의 로그인중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만약 유저가 로그인중이면(단계S12-001에서 YES), 단계S12-002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단계S12-001에서 N0), 단계S12-003에 진행된다.
단계S12-002에서는, 도 11의 단계S11-005와 마찬가지로, CPU(201)는, 단계S10-004에서 입력된 유저 이름등의 송신 인증 정보를 파기한다. 이 단계에서는, 유저를 송신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CPU(201)는, 송신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송신 인증의 로그 아웃을 나타내는 시그널을 송신한다. 그리고, 단계S12-003에 진행된다.
도 10b의 송신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송신 인증으로부터의 로그 아웃을 나타내는 시그널을 수신하면, 송신 기능을 위해 PANEL(206)에 표시하는 조작 화면등을 포함한, 송신 기능에 관한 상태를 초기화하고, 단계S10-004에 돌아간다. 로그 아웃의 시그널을 수신한 시점에서 상기 프로그램이 화상 데이터를 송신하고 있는 경우, 그 프로그램은 이 송신을 계속한다.
단계S12-003에서는, CPU(201)는, 유저가 프린트 인증의 로그인중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만약 유저가 프린트 인증에 로그인중이면(단계S12-003에서 YES), 단계S12-004에 진행되고, 그렇지 않으면(단계S12-003에서 NO), 단계S12-005에 진행된다.
단계S12-004에서는, 도 11의 단계S11-006과 마찬가지로, CPU(201)는, 단계S10-009에서 입력된 유저 이름등의 프린트 인증 정보를 파기한다. 이 단계에서는, 유저를 프린트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 상태로 설정한다. 또한, CPU(201)는, 프린트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프린트 인증으로부터의 로그 아웃을 나타내는 시그널을 보내고 나서, 단계S12-005에 진행된다.
도 10c의 프린트 처리를 실행하는 프로그램은, 프린트 인증으로부터의 로그 아웃을 나타내는 시그널을 수신하면, 프린트 처리를 위해 PANEL(206)에 표시하는 조작 화면등을 포함한, 프린트 기능에 관한 상태를 초기화하고 나서, 단계S10-009에 돌아간다. 상기 프로그램이 로그 아웃의 시그널을 수신한 시점에서 프린트 처리를 실행하고 있는 경우, 그 프로그램은 프린트 처리를 계속한다.
단계S12-005에서는, CPU(201)는, 카피 처리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에 타임아웃의 시그널을 보내고, 타임아웃 예외처리를 종료한다. 도 10a의 처리를 실행중에 타임아웃의 시그널을 받은 카피 처리의 프로그램은, 카피 처리를 위해 PANEL(206)에 표시하는 조작 화면등을 포함한, 카피 기능에 관한 상태를 초기화하고, 단계S10-001에 돌아간다.
상술한 것과 같은 제2예시적 실시예에 의하면, MFP(200)는, 한쪽의 기능 인증만을 유저가 로그 아웃한 직후의 화면에 있어서의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만이 t/n로 설정되도록 구성된다. 유저가 그 화면에서 어떠한 조작을 행하면,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는 설정 값t에 돌아가게 된다.
이에 따라, 기능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한 후에 디바이스 인증의 로그인 상태가 계속된 상태에서 MFP(200)가 조작이 행해지지 않고 방치되어 있는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유저가 잘못된 아이덴티티를 사용하여 MFP(200)를 조작하는 것을 어렵게 할 수 있다.
또한, 단계S11-003에 있어서 문의 화면을 표시함으로써 로그 아웃을 위한 하드웨어 형태의 키로 구성된 조작 버튼을 복수의 종류의 인증마다 준비하지 않고, 유저가 원하는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유저는, 문의 화면에 있어서, 디바이스 인증과 기능 인증의 양쪽의 인증으로부터 로그 아웃하는 것을 지시할 수 있어, 그 복수의 종류의 인증의 각각으로부터 로그 아웃하기 위한 조작이 용이해진다.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기능 인증에 의해 이용 가능하게 되는 기능이 MFP(200)의 송신 기능인 것을 전제로 하여서 설명했다. 그렇지만, 기능 인증에 의해 이용 가능하게 되는 기능은, MFP(200)에 구비된 다른 특정한 기능이어도 된다.
상기 제1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부문ID에 의한 디바이스 인증의 일례에 의거하여 설명했다. 그렇지만, 디바이스 인증은, 부문ID를 사용한 인증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예시적 실시예에서의 프린트 인증과 마찬가지로, 그 디바이스 인증은, 유저 이름 및/또는 유저ID를 사용한 인증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HD(210)에 기억된 인증 테이블을 사용하는 인증 방법과, LDAP서버(300)를 사용하는 인증 방법의 일례에 의거하여 설명하였다. 그렇지만, 그 인증 방법은 이것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인증 방법은, 예를 들면, 생체인증이나 집적회로(IC)카드(접촉식 또는 비접촉식)등을 사용한 유저 인증으로 구현되어도 된다. 또한, 유저 인증 방법은, LDAP서버(300)와 같은 서버를 사용한 인증 방법이나, MFP(200) 내에서 처리된 인증 방법으로 구현되어도 된다.
또한, 제1 예시적 실시예는 기능 인증을 로그 아웃한 직후의 화면에 있어서의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만이 1/2로 설정되도록 구성되었다. 제2 예시적 실시예는 한쪽의 기능 인증만을 로그 아웃한 직후의 화면에 있어서의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만이 1/n로 설정되도록 구성되었다. 그렇지만, 상기 설정 값을 결정하는 방법은, 제산에 의거한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유저는, t가 일반적인 오토 로그아웃 타이머값을 나타내는 것에 대해, t>t2를 만족하도록 설정 값t2를 선택하거나, 관리자등이 미리 MFP(200)에 그 설정 값 t2를 설정해두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예시적 실시예에서는 항상 오토 로그 아웃이 기능하고 있는 구성의 일례에 의거하여 설명했다. 그렇지만, 항상 오토 로그 아웃이 기능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단계S3-012, S11-007, 및 S11-009에서만, 미리 설정된 타이머 값t3에 의거하여 오토 로그 아웃 기능을 동작시켜, 단계S5-007에서 오토 로그 아웃 기능을 정지시켜도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도 상기 제1 및 제2 예시적 실시예의 효과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이러한 경우에, 상기 시스템이나 장치, 및 프로그램이 격납된 기록매체는, 본 발명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서 포함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Claims (13)

  1.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제1 인증부;
    상기 유저에 의해 입력되는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기 위한 제2 인증부;
    상기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
    상기 제1 인증부가 상기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있는 동안, 상기 조작부가 상기 유저로부터 어떠한 조작도 접수하지 않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유저를 인증하고 있지 않는 로그 아웃 상태로 상기 유저를 설정하는 로그 아웃부; 및
    상기 제1 인증부가 상기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제2 인증부가 상기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있는 동안, 상기 제2 인증부가 상기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을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으로 변경하는 변경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변경부에 의해 변경되기 전의 소정의 시간인, 화상처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가 상기 소정의 시간을 상기 제2 시간으로 변경한 후, 상기 제2 시간이 경과하기 전에 상기 조작부에 대하여 유저로부터의 어떠한 조작을 접수했을 경우, 상기 변경부는 상기 소정의 시간을 상기 제1 시간으로 변경하는, 화상처리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부가 상기 소정의 시간을 상기 제2 시간으로 변경한 후, 상기 조작부에 대하여 상기 유저로부터의 어떠한 조작을 접수하지 않고 상기 제2 시간이 경과했을 경우, 상기 로그 아웃부는 상기 제1 인증부가 상기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지 않게 하는, 화상처리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조작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부와, 상기 인증부가 현재 인증된 인증정보를 인증하지 않게 하기 위한 로그 아웃 버튼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인증부가 상기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제2 인증부가 상기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있는 동안, 상기 로그 아웃 버튼이 눌린 경우, 상기 조작부는 상기 표시부에, 상기 유저를 인증하지 않는 상기 인증부를 선택하라는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조작 화면을 표시하고,
    상기 제1 인증부 및 상기 제2 인증부 중, 상기 조작 화면에 내려진 유저의 지시에 의해 선택된 상기 인증부는, 상기 유저를 인증하지 않는, 화상처리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가 표시하여 상기 유저를 인증하지 않는 상기 인증부를 선택하라는 상기 지시를 접수하기 위한 조작 화면에 대하여, 상기 유저로부터 상기 제1 인증부와 상기 제2 인증부를 선택하라는 지시를 상기 조작부가 접수했을 경우, 상기 제1 인증부가 상기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지 않고, 상기 제2 인증부가 상기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지 않는, 화상처리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증부에 의한 상기 제 1 인증정보의 인증에 의해 상기 유저가 상기 화상처리장치를 사용할 수 있고, 상기 제2 인증부에 의한 상기 제 2 인증정보의 인증에 의해 상기 유저가 상기 화상처리장치에 구비된 특정한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화상처리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부는, 상기 제1 인증부가 상기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여 상기 화상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 후, 상기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는, 화상처리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로그 아웃부는, 상기 제1 인증부가 상기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제2 인증부가 상기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는 동안에, 상기 조작부가 유저로부터의 어떠한 조작을 접수하지 않고 상기 소정의 시간이 경과해도, 상기 제 2 인증정보를 상기 제2 인증부가 인증하지 않게 하지 않는, 화상처리장치.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기능은, 화상을 송신하는 기능인, 화상처리장치.
  10.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한 기능은 프린트 기능인, 화상처리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증정보는 상기 제 2 인증정보와 다른, 화상처리장치.
  12. 제1 인증부에 의해 유저가 입력한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제2 인증부에 의해 상기 유저가 입력한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증부가 상기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는 동안, 상기 유저로부터의 어떠한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조작부가 상기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받지 않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유저를 인증하고 있지 않는 로그 아웃 상태로 상기 유저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증부가 상기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제2 인증부가 상기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는 동안, 상기 제 2 인증부가 상기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을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제 2 시간으로 변경되기 전의 소정의 시간인, 화상처리장치의 유저 인증방법.
  13. 화상처리장치에게 유저 인증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이 격납된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일시적 기억매체로서, 상기 방법은,
    제1 인증부에 의해 유저가 입력한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제2 인증부에 의해 상기 유저가 입력한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는 단계;
    상기 제1 인증부가 상기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는 동안, 상기 유저로부터의 어떠한 조작을 접수하기 위한 조작부가 상기 유저로부터의 조작을 받지 않고 소정의 시간이 경과한 경우, 상기 유저를 인증하고 있지 않는 로그 아웃 상태로 상기 유저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인증부가 상기 제 1 인증정보를 인증하고 상기 제2 인증부가 상기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는 동안, 상기 제 2 인증부가 상기 제 2 인증정보를 인증하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시간을 제1 시간보다 짧은 제2 시간으로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시간은, 상기 제 2 시간으로 변경되기 전의 소정의 시간인, 컴퓨터 판독가능한 비일시적 기억매체.
KR1020110034093A 2010-04-15 2011-04-13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유저 인증 방법 KR10137933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094079A JP5546331B2 (ja) 2010-04-15 2010-04-15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におけるユーザ認証方法
JPJP-P-2010-094079 2010-04-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5529A KR20110115529A (ko) 2011-10-21
KR101379339B1 true KR101379339B1 (ko) 2014-03-31

Family

ID=44320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4093A KR101379339B1 (ko) 2010-04-15 2011-04-13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유저 인증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881262B2 (ko)
EP (1) EP2378457B1 (ko)
JP (1) JP5546331B2 (ko)
KR (1) KR101379339B1 (ko)
CN (1) CN10230002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71138A (ko) * 2011-12-20 2013-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정보를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JP5862282B2 (ja) * 2011-12-26 2016-02-16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5950691B2 (ja) * 2012-02-09 2016-07-13 シャープ株式会社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通信接続方法
JP6379953B2 (ja) * 2014-10-01 2018-08-29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処理装置、処理システム、権限設定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04133A (ja) * 2015-06-08 2017-01-05 株式会社リコー サービス提供システム、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サービス提供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0228889B2 (en) * 2015-08-19 2019-03-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for executing job control so that copy job is not left in suspended state when user logs out while copy job is suspended by user operation, control method for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JP6520652B2 (ja) * 2015-11-06 2019-05-29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操作システムおよび操作方法
JP6926781B2 (ja) * 2017-07-28 2021-08-25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CN107730443B (zh) * 2017-10-27 2021-09-14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及用户设备
JP2018186554A (ja) * 2018-07-19 2018-11-22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77012B2 (ja) * 2018-07-19 2021-12-08 キヤノ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7259400B2 (ja) * 2019-02-26 2023-04-18 京セラドキュメントソリューション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7383984B2 (ja) * 2019-10-30 2023-11-21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子機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1966A (ja) * 2005-08-04 2007-02-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デバイス管理用プログラム及びデバイス管理装置
JP2009271751A (ja) * 2008-05-08 2009-11-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62459B2 (ja) * 1999-11-30 200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周辺機器制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及び方法
JP2002351831A (ja) * 2001-05-29 2002-12-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情報処理装置、画像情報処理装置及びこれらの装置を備えたシステム
FI20030922A (fi) * 2003-06-19 2004-12-20 Elisa Oyj Käyttäjän tunnistus
JP2005141549A (ja) * 2003-11-07 2005-06-02 Canon Inc ログオフ装置、ログオフ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7478421B2 (en) * 2004-02-04 2009-01-13 Toshib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role based access control of a document processing device
JP2006031064A (ja) * 2004-07-12 2006-02-02 Hitachi Ltd セッション管理システム及び管理方法
JP4095639B2 (ja) * 2004-12-22 2008-06-04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
JP2007174062A (ja) * 2005-12-20 2007-07-05 Canon Inc データ通信装置、データ通信システム、データ通信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JP4871598B2 (ja) * 2006-01-19 2012-02-08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装置の起動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7249417A (ja) 2006-03-14 2007-09-27 Ricoh Co Ltd 情報処理装置
JP2008129956A (ja) * 2006-11-22 2008-06-0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における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JP4929070B2 (ja) * 2007-06-18 2012-05-09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5046816B2 (ja) * 2007-09-13 2012-10-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処理装置,セッション管理方法及びセッション管理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41966A (ja) * 2005-08-04 2007-02-15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デバイス管理用プログラム及びデバイス管理装置
JP2009271751A (ja) * 2008-05-08 2009-11-19 Konica Minolta Business Technologies Inc 画像形成装置、サーバおよび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227564A (ja) 2011-11-10
KR20110115529A (ko) 2011-10-21
CN102300020B (zh) 2014-07-16
EP2378457A2 (en) 2011-10-19
JP5546331B2 (ja) 2014-07-09
EP2378457B1 (en) 2018-03-21
CN102300020A (zh) 2011-12-28
US8881262B2 (en) 2014-11-04
US20110258697A1 (en) 2011-10-20
EP2378457A3 (en) 2011-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9339B1 (ko) 화상처리장치, 및 화상처리장치에 있어서의 유저 인증 방법
KR101424626B1 (ko) 화상송신장치 및 화상송신장치에 있어서의 인증 방법
JP5595106B2 (ja)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装置の制御方法
JP2011233031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EP291651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control method, program, and storage medium storing program
JP2019155610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認証方法、プログラム、及びプリントシステム
US9756216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users in a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or image processing system
JP5409164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5658852B2 (ja) 印刷システム
JP2014089493A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6993910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2009143082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プログラム
JP7216793B2 (ja) 情報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5591388B2 (ja) 画像送信装置、画像送信装置の認証方法
JP7415705B2 (ja) 画像形成装置、画像形成方法、画像形成プログラムおよび画像形成システム
JP2016029443A (ja) 画像形成装置
JP5601110B2 (ja) 画像形成装置、認証装置、画像形成システム、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9127016A (ja) 情報処理装置と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8061265A (ja) 印刷装置、画像読取形成装置、及びそれら装置の制御方法
JP2013041434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