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8764B1 -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 - Google Patents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8764B1
KR101378764B1 KR1020120046598A KR20120046598A KR101378764B1 KR 101378764 B1 KR101378764 B1 KR 101378764B1 KR 1020120046598 A KR1020120046598 A KR 1020120046598A KR 20120046598 A KR20120046598 A KR 20120046598A KR 101378764 B1 KR101378764 B1 KR 1013787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ding
bottle
protrusion
cap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65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23273A (ko
Inventor
박성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이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이엔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이엔피
Priority to KR10201200465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8764B1/ko
Publication of KR201301232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232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87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87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32Caps or cap-like covers with lines of weakness, tearing-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e.g. to facilitate formation of pouring openings
    • B65D41/3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provided with tamper elements formed in, or attached to, the closure skir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는, 내면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어 병에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되는 마개몸체(121); 및 상기 마개몸체(121)의 측면에서 옆으로 돌출되어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에 고리형태를 하는 돌출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122)는 높이를 갖는 벽이 돌출되어 측벽을 이루고, 상기 돌출부(122)의 윗면이 가로판(123)에 의하여 막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로판(123)과 상기 돌출부(122)의 측벽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122)가 손의 걸림턱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손에 땀이나 물기가 있어 병마개에서 손이 미끄러지기 쉬운 경우라 할지라도 손쉽게 병을 열 수 있게 된다. 또한 병마개가 과도하게 꽉 끼어서 열리지 않는 경우라도 병마개를 돌리는 힘을 강하게 줄 수 있기 때문에 노약자나 여자라도 손쉽게 병을 열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Projected screw type bootle cap}
본 발명은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손에 땀이나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도 손쉽게 돌려서 열 수 있는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스크류 병마개는 손에 땀이 나거나 물기가 있는 상태에서 돌려서 열고자 할 때에 미끄러움 때문에 쉽지 않은 경우가 많다. 이는 병 내부에 있는 공기의 부피가 줄어들어 흡입력이 생기는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경우 천 등으로 병마개를 감싸 쥐고 열게 되는데, 이 때 천이 마찰력을 제대로 부여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별다른 도리가 없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류 병마개(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도 1a는 스크류 병마개(20)가 병(10)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b는 스크류 병마개(20)의 측면도이며, 도 1c는 도 1b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크류 병마개(20)는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에 원형이기 때문에 손으로 스크류 병마개(20)를 잡고 회전시킬 때에 스크류 병마개(20)에서 손이 미끄러지기 쉽다. 이러한 상황은 손에 땀이 나거나 물기가 있을 때에, 또는 병 내부에 있는 공기의 부피가 줄어들어 병 내부로의 흡입력에 의해 스크류 병마개(20)가 병(10)의 주둥이에 과도하게 밀착되어 있는 경우에 더욱 그러하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손에 땀이 나거나 물기가 있는 경우 또는 병 내부로의 흡입력에 의해 병마개가 과도하게 병 주둥이에 밀착되어 있는 경우 등에도 병마개를 쉽게 회전시켜 돌릴 수 있도록 병마개의 측면에 돌출부를 형성시켜 상술한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예에 따른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는,
내면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어 병의 주둥이에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되는 마개몸체; 및
상기 마개몸체의 측면에서 옆으로 돌출되어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에 고리형태를 하는 돌출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부는 높이를 갖는 벽이 돌출되어 측벽을 이루고, 상기 돌출부의 윗면이 가로판에 의하여 막히도록 형성되며, 상기 가로판과 상기 돌출부의 측벽이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는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에 상기 마개몸체쪽이 그 바깥쪽인 돌출 끝단부보다 간극이 더 큰 고리 형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돌출부의 측벽 높이는 상기 마개몸체의 높이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는,
내면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어 병의 주둥이에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되며, 외측면에 복수개의 골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개몸체; 및
상기 마개몸체가 끼워지도록 링 형상을 하며 외측면에 돌출부가 옆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마개몸체의 골에 합치되어 끼워지도록 내측면에 세로돌기가 형성되는 돌출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돌출링의 돌출부는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 고리 형태로 돌출되되 상기 고리 형태의 내부가 가로벽에 의해 막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가 손의 걸림턱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손에 땀이나 물기가 있어 병마개에서 손이 미끄러지기 쉬운 경우라 할지라도 손쉽게 병을 열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산음료와 같은 패트병의 병마개가 과도하게 꽉 끼어서 열리지 않는 경우라도 병마개를 돌리는 힘을 강하게 줄 수 있기 때문에 노약자나 여자라도 손쉽게 병을 열 수 있으며, 남은 탄산음료 등을 보관 시에도 견고하게 닫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의 스크류 병마개(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2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이해하기 위해 제시된 것일 뿐이며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많은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돼서는 안 된다.
[실시예1]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120)가 병(10)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120)의 측면도이며, 도 2c는 도 1b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2d는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120)의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120)는 마개몸체(121)의 측면에서 돌출부(122)가 옆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개몸체(121)는 내면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어서 병(10)의 주둥이에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된다.
돌출부(122)는 높이 h를 갖는 벽이 돌출되어 측벽을 이루고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에 고리형태를 한다. 그리고 돌출부(122)는 윗면이나 아랫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이 가로판(123)에 의해서 막히도록 형성된다. 가로판(123)이 고리의 아랫면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돌출부(122)에 아래로 오목한 부분이 생기게 되어 여기에 먼지 등이 쌓일 수 있으므로 가로판(123)은 고리의 윗면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2에서는 후자의 경우가 도시되었다.
병마개(120)를 열기 위해서는 수평방향(가로방향)으로 돌리는 힘의 성분이 필요한데, 돌출부(122)가 단순히 봉 형태로 돌출된 상태라면 병마개(120)를 열 때에 작용하는 힘에 의하여 봉이 부러지기 쉽기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특징부로서 돌출부(122)가 이와 같이 위에서 봤을 때에 고리형태를 하도록 하고, 수평방향으로 돌리는 힘에 의해 부서지지 않도록 강도를 부여하기 위한 가로판(123)을 형성하는 것이다.
돌출부(122)는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에 마개몸체(121)쪽이 그 바깥쪽인 돌출 끝단부보다 간극(D)이 더 큰 고리형태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마개몸체(121)의 간극(D)이 작게 되면 이 부분에서의 가로판(123)의 가로폭도 작아지게 되어 수평방향(가로방향)으로 돌리는 힘을 버티지 못하고 돌출부(122)가 마개몸체(121)에서 떨어져 나가기 쉽기 때문이다.
돌출부(122)의 측벽과 가로판(123)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왜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는 틀을 사용하여 주로 주조방식으로 제조될 것이기 때문이다.
[실시예2]
도 3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1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의 경우에는 돌출부(122)의 측벽 높이(h)가 마개몸체(121)보다 작았으나, 도 3의 경우는 돌출부(122)의 측벽 높이(h)가 마개몸체(121)와 같다. 따라서 제2실시예의 경우는 가로판(123)이 마개몸체(121)의 윗면과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실시예 2와 같이 하는 이유는 경우에 따라서 마개몸체(121)의 높이가 매우 낮을 수 있는데, 이 경우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돌출부(122)의 측벽 높이(h)를 작게 하면 힘의 분산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돌출부(122)가 부서질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실시예 2의 경우가 구조상으로 볼 때 간단하여 제조가 용이하기 때문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돌출부(122)가 손의 걸림턱 역할을 하기 때문에 손에 땀이나 물기가 있어 병마개에서 손이 미끄러지기 쉬운 경우라 할지라도 손쉽게 병을 열 수 있게 된다. 또한 탄산음료와 같은 패트병의 병마개가 과도하게 꽉 끼어서 열리지 않는 경우라도 병마개를 돌리는 힘을 강하게 줄 수 있기 때문에 노약자나 여자라도 손쉽게 병을 열 수 있으며, 남은 탄산음료 등을 보관 시에도 견고하게 닫을 수 있다.
[실시예3]
도 4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22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는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220)가 병(10)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420)의 분해도이다. 그리고 도 4c는 돌출링(225)의 측면도이고, 도 4d는 도 4c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220)는 마개몸체(221)와 돌출링(225)이 분리가능하게 체결되어 이루어진다. 마개몸체(221)는 병(10)의 주둥이에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되고, 통상의 병마개와 같이 둥근형상을 하며, 외측면에는 세로방향으로 복수개의 골(230a)이 형성된다. 돌출링(225)은 마개몸체(221)가 가운데에 끼워지도록 링 형상을 하며 외측면에 돌출부(222)가 옆으로 돌출 형성된다. 돌출링(225)이 마개몸체(221)에 대해 겉돌지 않고 끼워지도록 돌출링(225)의 내측면에는 마개몸체(221)의 골(230a)이 합치되어 끼워지는 복수개의 세로돌기(230b)가 형성된다.
돌출부(222)를 지지대로 하여 손가락으로 돌출링(225)을 돌리면 돌출링(225)과 마개몸체(221)는 겉돌지 않는 상태이기 때문에 마개몸체(221)가 회전하면서 함께 돌아가게 되어 병마개(220)가 쉽게 열리게 된다.
10: 병
20, 120, 220: 병마개
121, 221: 마개몸체
122, 222: 돌출부
123: 가로판
225: 돌출링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내면에 스크류가 형성되어 있어 병의 주둥이에 스크류 방식으로 체결되며, 외측면에 복수개의 골이 세로방향으로 형성되는 마개몸체; 및
    상기 마개몸체가 끼워지도록 링 형상을 하며 외측면에는 돌출부가 옆으로 돌출 형성되고, 내측면에는 상기 마개몸체의 골에 합치되어 끼워지도록 세로돌기가 형성되는 돌출링;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돌출부는, 위에서 내려다 보았을 때에 상기 마개몸체쪽이 그 바깥쪽인 돌출끝단부보다 간극이 더 큰 고리 형태를 하는 측벽을 가지며, 상기 측벽에 의해 개방된 윗 입구는 상기 측벽에 일체형으로 연결 형성되는 가로판에 의해 막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
  6. 삭제
  7. 삭제
KR1020120046598A 2012-05-02 2012-05-02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 KR1013787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598A KR101378764B1 (ko) 2012-05-02 2012-05-02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6598A KR101378764B1 (ko) 2012-05-02 2012-05-02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273A KR20130123273A (ko) 2013-11-12
KR101378764B1 true KR101378764B1 (ko) 2014-03-27

Family

ID=498526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6598A KR101378764B1 (ko) 2012-05-02 2012-05-02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876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767A (ko) 2017-12-18 2019-06-26 박소현 컷팅기가 달린 페트병 뚜껑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005A (ja) * 2001-12-28 2003-07-09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JP2006232385A (ja) * 2005-02-21 2006-09-07 Yoshiyuki Hagiwara 突起物付きペットボトルキャップ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92005A (ja) * 2001-12-28 2003-07-09 Yoshino Kogyosho Co Ltd 合成樹脂製容器
JP2006232385A (ja) * 2005-02-21 2006-09-07 Yoshiyuki Hagiwara 突起物付きペットボトルキャップ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767A (ko) 2017-12-18 2019-06-26 박소현 컷팅기가 달린 페트병 뚜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23273A (ko) 2013-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9069B1 (ko) 측면 가압식 안전캡
KR200467603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US9187202B2 (en) Synthetic resin bottle
KR200463638Y1 (ko) 스포이드형 화장품 용기
JP6290613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4998768B2 (ja) 合成樹脂製角型壜体
KR101378764B1 (ko) 돌출형 스크류 병마개
WO2013190723A1 (ja) 安全キャップ
JP4994157B2 (ja) 樹脂製容器
JP2012126429A (ja) キャップ付き容器
JP4936242B2 (ja) 合成樹脂製ボトル
US20110198364A1 (en) Container
EP3715278A1 (en) Container cover
JP4753806B2 (ja) 合成樹脂製キャップ
JP5071864B2 (ja) ピンチグリップ式ボトル型容器
JP2018184206A (ja) 容器
KR101425894B1 (ko) 액체용기 뚜껑
JP2009051515A (ja) 耐衝撃性容器
JP4332009B2 (ja) パウダー容器
JP3200739U (ja) 飲料用容器の栓体
JP2008308181A (ja) 密閉キャップ付き容器
JP5191853B2 (ja) ガス抜き容器
KR100807949B1 (ko) 용기와 용기뚜껑의 체결구조.
KR200444245Y1 (ko) 용기뚜껑
JP3142315U (ja) 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