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5654B1 - 다층 구조를 갖는 침구 - Google Patents

다층 구조를 갖는 침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5654B1
KR101375654B1 KR1020120042087A KR20120042087A KR101375654B1 KR 101375654 B1 KR101375654 B1 KR 101375654B1 KR 1020120042087 A KR1020120042087 A KR 1020120042087A KR 20120042087 A KR20120042087 A KR 20120042087A KR 101375654 B1 KR101375654 B1 KR 1013756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ortion
cotton
outer layer
bedding
inner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20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9151A (ko
Inventor
소대성
Original Assignee
소대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대성 filed Critical 소대성
Priority to KR10201200420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5654B1/ko
Publication of KR201301191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91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56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56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07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comprising deodorising, fragrance releasing, therapeutic or disinfect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9/00Bed-covers; Counterpanes; Travelling rugs; Sleeping rugs; Sleeping bags; Pillows
    • A47G9/02Bed linen; Blankets; Counterpanes
    • A47G9/0207Blankets; Duvets

Landscapes

  • Mattresses And Other Support Structures For Chairs And Beds (AREA)
  • Bedding I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침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과, 촉감과 흡습력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외층부 및 형태를 유지하고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외층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내층부가 순차적으로 놓여져 퀼팅되어 결합되는 상부 속통과; 원단과, 촉감과 흡습력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외층부 및 형태를 유지하고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외층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내층부가 순차적으로 놓여져 퀼팅되어 결합되는 하부 속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각 내층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맞대어진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다층 구조를 갖는 침구{A BEDCLOTHES HAVE SEPERATION TYPE}
본 발명은 침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과, 촉감과 흡습력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외층부 및 형태를 유지하고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외층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내층부가 순차적으로 놓여져 퀼팅되어 결합되는 상부 속통과; 원단과, 촉감과 흡습력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외층부 및 형태를 유지하고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외층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내층부가 순차적으로 놓여져 퀼팅되어 결합되는 하부 속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각 내층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맞대어진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이불은 도 1에서와 같이 다양한 무늬가 표면에 프린트되거나 자수로 수놓아진 커버(100)와, 상기 커버(100) 내부에 보온성이 우수한 솜 재질의 이불솜(110)이 삽입되어 이루어진다.
이중에도 사용자가 바닥에 깔고 누울 수 있게 하는 매트형 이불과, 덮고 자는 이불이 있는데, 매트형 이불은 적정의 쿠션을 가지되 내부 솜이 평평한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할 수 있도록 매트 형태의 이불솜을 갖고, 이불은 가볍고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 이불솜을 갖는다.
이때, 이불 커버는 외부에 노출되어 쉽게 오염될 수 있기 때문에 내부의 이불솜과 분리되어 개별 세척되거나 교체될 수 있지만, 내부 이불솜은 세척이 어렵기 때문에 별도의 교체를 하지않는 이상 지속적으로 사용된다.
이 때문에 이불솜은 악취 및 세균 방지에 강한 항균, 탈취 효과가 있는 재료를 선택하여 이불솜의 재료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이불은 낮에는 개어 놓거나 방의 한편에 보관하는 것이 보통인데, 이처럼 이불을 개어 놓으면 내부의 이불솜이 접혀지기 때문에 솜이 수축된 상태로 장시간 유지되고, 지속하여 같은 방향으로 개어지면서 점차 이불솜은 접혀진 부분이 오목하게 수축되어 원형으로 복원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이불의 경우에는 형태에 구애받지 않는 솜이기 때문에 개어졌다가 펼치더라도 접혀진 부분이 자연스럽게 복원되거나 완화될 수 있지만, 매트형 이불은 이불솜에 개어진 방향으로 굴곡이 형성되고, 이러한 굴곡으로 매트가 바닥에 깔릴 때에 불규칙한 면을 형성하기 때문에 사용자는 등이 배기거나 불편함을 느낀다.
더욱이 원래의 형상보다 수축된 두께를 갖기 때문에 보온성이 떨어지게 되어 이불과 매트의 기능적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2006-0013421호에 "침구류 속통"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침구류 속통은 침구류 속통의 상피와 하피를 일정간격으로 봉접한 봉접점이 구성된 침구류 속통에 있어서, 침구류 속통의 상피와 하피가 서로 접합되도록 봉접선으로 봉접하되, 상기 봉접선은 봉접점과 봉접점 사이를 연결 접합하여 침구류 속통의 내부가 구획된 터널형태의 내용물 채움구를 형성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침구류 속통은 타지거나 벌어지더라도 내용물의 일부만 빠져나가기 때문에 수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의 고안은 상기 봉접점을 중심으로 연결된 봉접선과 봉접선과의 각도는 90˚ ~ 180˚ 로 형성되어야 하고, 봉접선과 봉접선과의 간격은 5 ~ 15cm 로 형성되어야 하며, 봉접점과 봉접점을 연결하는 봉접선의 길이는 5 ~ 15cm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등 제조과정이 복잡하고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 이불을 개고 펼 때에 접혀진 자국이 남지 않고 형태의 유지 및 복원력이 우수하며 촉감과 흡습력이 우수한 속통이 구비되는 침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원단과, 촉감과 흡습력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외층부 및 형태를 유지하고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외층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내층부가 순차적으로 놓여져 퀼팅되어 결합되는 상부 속통과; 원단과, 촉감과 흡습력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외층부 및 형태를 유지하고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외층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내층부가 순차적으로 놓여져 퀼팅되어 결합되는 하부 속통;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각 내층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맞대어진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 사이에는 은나노, 숯 또는 황토 등이 함유된 기능성 섬유가 더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소프트한 솜과 하드한 솜은 저융점 섬유의 함량을 달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소프트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외층부를 통해 촉감과 흡습력이 우수하고, 상기 외층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내층부를 통해 형태 유지와 복원력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매트형 이불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속통의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속통의 예시도.
도 4 내지 5는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의 내부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의 예시도.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 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 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은 침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원단(11)과, 촉감과 흡습력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외층부(12) 및 형태를 유지하고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외층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내층부(13)가 순차적으로 놓여져 퀼팅되어 결합되는 상부 속통(10)과; 원단(21)과, 촉감과 흡습력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외층부(22) 및 형태를 유지하고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외층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내층부(23)가 순차적으로 놓여져 퀼팅되어 결합되는 하부 속통(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각 내층부(13, 23)가 서로 마주보도록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맞대어진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1)에 관한 것이다.
상기 상부 속통(10)은 원단(11)과, 소프트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외층부(12) 및 상기 외층부(12)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내층부(13)가 순차적으로 놓여져 퀼팅(QUILTING)되어 결합된다.
상기 외층부(12)는 촉감과 흡습력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한(부드러운) 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층부(13)는 형태 유지와 복원력을 위해 상기 외층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단단한) 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상부 속통(10)은 원단(11)과, 외층부(12) 및 내층부(13)를 퀼팅(누빔)처리하기 때문에 장시간 침구를 개어 놓더라도 솜이 죽거나 울지 않으며 형상이 오래도록 지속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하부 속통(20)은 원단(21)과, 소프트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외층부(22) 및 상기 외층부(22)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내층부(23)가 순차적으로 놓여져 퀼팅(QUILTING)되어 결합되며, 상기 상부 속통(10)과 마찬가지로 상기 외층부(22)는 촉감과 흡습력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한(부드러운) 솜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내층부(23)는 형태 유지와 복원력을 위해 상기 외층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단단한) 솜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하부 속통(20)은 상부 속통(10)과 마찬가지로 원단(21)과, 외층부(22) 및 내층부(23)를 퀼팅(누빔)처리하기 때문에 형상이 오래도록 지속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1)는 속통(10)과 하부 속통(20)의 내층부(13,23)끼리 서로 마주보도록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맞대어진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을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다층구조로 이루어지는 본 발명은 부드러운 솜으로 이루어지는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각 외층부(12,22)가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각 내층부(13,23)를 감싸는 형태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누웠을 때 부드러운 촉감을 느낄 수 있고 부드러운 솜을 통해 쿠션 효과와 같은 편안함을 느낄 수 있다.
또한, 상기 침구(1)의 중심부에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각 내층부(13,23)가 위치하므로 침구가 장기간 개어졌다가 펼쳐지더라도 신속하게 형상 및 두께가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상부 속통(10)과 하부 속통(20)은 각각의 내층부(13,23)를 중심으로 상하 대칭을 이루도록 구성됨으로써 위·아래의 위치에 관계없이 침구를 깔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소프트한 솜과 하드한 솜은 저융점 섬유의 함량을 달리하여 상대적으로 부드럽게 형성하거나 단단하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외층부(12,22)는 부드러운 촉감과 완충작용과 같은 쿠션 역할을 위해 굵기가 가는 PE 재질로 이루어지는 솜에 저융점 섬유 10~20%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외층부를 이루는 솜은 굵기가 3데니아(denior)이하인 것을 의미하며, 상기 저융점 섬유의 함량이 10% 미만일 경우에는 촉감이 부드럽지 못하고 부직물로서의 형태를 이루지 못하고 완충작용을 할 수 없을 정도로 부드러워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그 이상일 경우 외층부가 필요 이상으로 단단해져 사용자가 누웠을 때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상기 외층부(12,22)는 필요에 따라 상기 솜에 실리콘을 도포한 다음 부직물 형태로 형성하여 부드러운 촉감과 쿠션 효과를 높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내층부(13,23)는 형상을 유지하고 복원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굵기가 굵은 PE 재질로 이루어지는 솜에 저융점 섬유 30~40%를 혼합하여 형성된다.
여기에서, 상기 내층부를 이루는 솜은 굵기가 7~8데니아(denior)이상인 것을 의미하며, 상기 저융점 섬유의 함량이 30% 미만일 경우에는 이불을 개었다가 펼 때 또는 사용자가 누웠을 때 형상이 그대로 유지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40% 초과일 경우에는 너무 단단해져 불편함을 느끼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속통(10)과 하부 속통(20) 사이의 공간에 은나노, 숯 또는 황토 등이 함유된 기능성 섬유(30)를 더 삽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기능성 섬유(30)로는 동·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원적외선을 다량 방출하는 황토가 함유된 황토원단을 들 수 있으며, 사용자가 침구 위에 눕거나 앉게 되면 사용자의 체중이 상기 기능성 섬유에 전달되면서 몸에 좋은 향이나 음이온 등이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속통(10)과 하부 속통(20) 사이에 전열장치나 산소 발생장치 또는 냉·온풍 발생장치와 같은 기능성 제품을 내장하고 전기가 인가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속통(10)과 하부 속통(20)의 가장자리를 제외한 내부는 서로 결합되지 않으므로 그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위와 같은 기능성 섬유나 기능성 제품을 삽입하여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속통(10)과 하부 속통(20)을 그 내층부가 서로 마주보도록 맞댄 후 가장자리를 따라 바느질 등으로 결합하여 마감처리 하므로, 상부 속통(10)과 하부 속통(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을 통해 제품자체가 유동성을 갖게 되므로 커버의 크고 작음에 둔감하게 되어 충전재로써의 역할을 충실히 수행할 수 있고, 어느 방향으로든지 쉽게 접고 펼 수 있으며, 형태 복원력이 우수하며, 상부 속통(10)과 하부 속통(20) 사이에 공기층을 형성하여 에어쿠션으로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을 커버(2)에 넣어서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교체나 세척 작업이 용이하도록 그 가장자리를 따라 지퍼를 결합하거나 단추와 같은 체결수단을 형성하여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을 서로 결합할 수도 있다.
1 : 다칭구조를 갖는 침구 2 : 커버
10 : 상부 속통 11 : 원단
12 : 외층부 13 : 내층부
20 : 하부 속통 21 : 원단
22 : 외층부 23 : 내층부
30 : 기능성 섬유

Claims (3)

  1. 원단(11)과, 촉감과 흡습력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외층부(12) 및 형태를 유지하고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외층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내층부(13)가 순차적으로 놓여져 퀼팅되어 결합되는 상부 속통(10)과;
    원단(21)과, 촉감과 흡습력을 높이기 위해 소프트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외층부(22) 및 형태를 유지하고 복원력을 높이기 위해 상기 외층부보다 상대적으로 하드한 솜으로 이루어지는 내층부(23)가 순차적으로 놓여져 퀼팅되어 결합되는 하부 속통(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각 내층부(13, 23)가 서로 마주보도록 놓여진 상태에서, 상기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의 맞대어진 가장자리를 따라 상부 속통과 하부 속통을 결합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속통(10)과 하부 속통(20) 사이에는 은나노, 숯 또는 황토가 함유된 기능성 섬유(30)가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프트한 솜과 하드한 솜은 저융점 섬유의 함량을 달리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구조를 갖는 침구.
KR1020120042087A 2012-04-23 2012-04-23 다층 구조를 갖는 침구 KR1013756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087A KR101375654B1 (ko) 2012-04-23 2012-04-23 다층 구조를 갖는 침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2087A KR101375654B1 (ko) 2012-04-23 2012-04-23 다층 구조를 갖는 침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151A KR20130119151A (ko) 2013-10-31
KR101375654B1 true KR101375654B1 (ko) 2014-03-18

Family

ID=4963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2087A KR101375654B1 (ko) 2012-04-23 2012-04-23 다층 구조를 갖는 침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565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839U (ja) * 1991-09-17 1993-04-06 ハラシマ工業株式会社 布団等の圧縮袋
JPH0581294U (ja) * 1992-01-21 1993-11-05 サン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不織布
KR19980060769U (ko) * 1997-03-17 1998-11-05 조영자 이불
KR20020046936A (ko) * 2000-12-09 2002-06-21 (주)소프니 종이 이불 및 그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6839U (ja) * 1991-09-17 1993-04-06 ハラシマ工業株式会社 布団等の圧縮袋
JPH0581294U (ja) * 1992-01-21 1993-11-05 サンケミカル株式会社 積層不織布
KR19980060769U (ko) * 1997-03-17 1998-11-05 조영자 이불
KR20020046936A (ko) * 2000-12-09 2002-06-21 (주)소프니 종이 이불 및 그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9151A (ko)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498544B2 (ja) 水洗い可能な長繊維布団
TWI595139B (zh) Warm filling material
WO2017142041A1 (ja) 保温材充填用袋体を有する構造体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寝具および被服
KR101375654B1 (ko) 다층 구조를 갖는 침구
KR20110022811A (ko) 탄력이 향상된 이불솜 및 그 제조방법
CN104771028A (zh) 一种新型毛毯被
KR101292237B1 (ko) 기능성 라텍스 이불
JP3178448U (ja) 水洗い可能な長繊維布団
CN102764010A (zh) 一种被子
JP3168319U (ja) 清涼感を得られる敷きパッド
CN214484086U (zh) 一种吸湿发热蓄热被子
CN202222875U (zh) 一种蚕丝被
JP3170210U (ja) 羽毛布団
JP7430951B1 (ja) 上掛け用寝具
JP3225546U (ja) 2層掛け布団の製造法
TWM485679U (zh) 毛毯被套構造改良
KR101050325B1 (ko) 라텍스 매트리스용 커버 및 이를 포함하는 라텍스 매트리스, 라텍스 소재용 커버
JP3185781U (ja) 掛布団
JP2012105932A (ja) コタツ布団
JP2012010824A (ja) フィット性を感じる掛布団
JP3114605U (ja) リバーシブル毛布
US20060099868A1 (en) Underquilt with multiple layered wool fill
JP3151108U (ja) 湯たんぽ収納袋
JP3079261U (ja) ウール寝具
JP3142906U (ja) ソファーになる布団カバ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