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2316B1 -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 - Google Patents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2316B1
KR101372316B1 KR1020120158596A KR20120158596A KR101372316B1 KR 101372316 B1 KR101372316 B1 KR 101372316B1 KR 1020120158596 A KR1020120158596 A KR 1020120158596A KR 20120158596 A KR20120158596 A KR 20120158596A KR 101372316 B1 KR101372316 B1 KR 1013723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uble perforated
plywood
floor
perforated plywood
dou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85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기
Original Assignee
(주) 디엠그랑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디엠그랑프리 filed Critical (주) 디엠그랑프리
Priority to KR10201201585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3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3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3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181Insulating layers integrally formed with the flooring or the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5Layered panels only of wood
    • E04F15/046Plywoo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5/00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 F16B5/02Joining sheets or plates, e.g. panels, to one another or to strips or bars parallel to them by means of fastening members using screw-thre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멍애목과 장선목이 요구되지 않아 설치 및 시공이 간편용이하고, 유지/보수 요구 시 해당 시스템 블럭만의 단품 교체가 가능하여 신속한 교체 및 유지/보수가 가능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기술적 특징은, 콘크리스 슬라브 바닥면 상에 수분차단재를 도포하는 단계; 수분차단재가 도포된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 상에 충격완화 패드(DM-PP pad)를 설치하는 단계; 충격완화 패드의 상부면에 이중 타공 합판을 적층설치하는 단계; 이중 타공 합판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에 고정재를 삽입설치하여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이중 타공 합판의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 각 가장자리에 또 다른 충격완화 패드를 각각 배열설치하는 단계; 또 다른 충격완화 패드의 상부면에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을 각각 적층설치하는 단계; 이중 타공 합판과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이 맞닿는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에 고정재를 삽입설치하여 각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각 이중 타공 합판의 상부면에 메인 플로어를 적층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Floor block system and structure using DM-PP pad and double punched type plywood and DM-cap}
본 발명은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실내 마루 바닥 시공 시 충격완화 패드 및 이중 타공 합판에 캡을 설치함과 동시에 수평으로 연결되는 이중 타공 합판들의 가장자리 중심부 및 모서리에 캡을 설치함으로써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이중 타공 합판의 고정이 용이함과 동시에 각 이중 타공 합판의 연결이 용이하고, 각 이중 타공 합판 상에 메인 플로어를 각각 설치함으로써 설치 및 시공이 간편용이하며, 교체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육관, 피트니스 센터(Fitness Center) 및 각종 실내 운동 시설 및 학교 교실,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실내 마루 바닥 시공은, 멍애목과 장선목(長線木) 등을 이용하여 시공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다.
기존의 마루 바닥 시공 공법은, 도 1 내지 도 2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실내의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일정간격 이격되게 멍애목(101)을 설치하고, 상기 멍애목(101)의 상부에 장선목(103)을 일정간격 이격되게 설치하되, 상기 멍애목(101)과 장선목(103)이 격자형태를 이루도록 설치한 후 멍애목(101)과 장선목(103)의 상부면에 합판(105) 및 원목(107) 등을 설치하여 마루 바닥을 시공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멍애목과 장선목을 설치한 후 그 상부에 합판을 설치하되, 상기 멍애목과 장선목이 교차하는 교차부에 앙카, 못 등의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멍애목과 장선목에 합판을 고정하고, 다시 상기 합판의 상부면에 원목 등을 체결부재로 체결하여 실내 마루 바닥을 시공하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바와 같이 멍애목과 장선목을 이용하여 실내 마루 바닥을 시공하는 경우,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과 격자형태로 설치되는 멍애목 및 장선목은 습기에 견디기 위해 멍애목 및 장선목을 방부처리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다수 포함됨으로써 인체에 매우 유해하고,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쉽게 썩거나, 부식 및 부폐한다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자 보수 시 전면 교체로 인해 시공비가 많이 들어 경제성이 저하되고, 공간의 발생으로 인해 실내 마루 바닥의 탄성력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삭제
삭제
이와 같이, 멍애목이나 장선목 및 합판이 썩거나, 부식 및 부패가 발생되어 이를 유지/보수하고자 할 경우, 먼저 원목과 합판을 제거한 다음 썩거나, 부식된 멍애목과 장선목을 제거한 후 새로운 멍애목과 장선목을 설치하고, 다시 합판과 원목을 재시공하는 등 유지/보수가 복잡함과 동시에 많은 비용 및 시간이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멍애목과 장선목 등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기준으로 설치 및 시공된 실내 체육관의 마루 바닥에서 농구 등의 구기 종목을 진행할 경우, 멍애목 및 장선목의 공간으로 인해 공을 바닥면에 튀기기에는 바닥면의 탄성과 보행감이 저하되어 구기 종목의 진행에 어려움이 있었다.
즉, 미국 등의 선진국에서는 실내 체육관의 마루 바닥 시공 시 마루 바닥에서 진행할 구기 종목에 적합한 마루 바닥의 기준에 따라 시공을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 경기장 코트와 주변 시설에 대한 규격은 있지만, 체육관 바닥에 대한 시공규격은 없는 상태로서, 단순히 멍애목과 장선목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기준으로 설치 및 시공함으로써 구기 종목을 진행하기 부족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렇게 국제 규모의 구기 종목 진행 시 요구되는 체육관의 마루 바닥 탄성 규정 및 기준에 적합하지 않기 때문에, 높은 수준의 국제 규모 구기 종목의 원활한 진행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멍애목과 장선목을 이용하여 마루 바닥을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과 격자형태로 설치되는 멍애목 및 장선목 사이의 빈 공간에서 마루 바닥의 울림, 즉 소음의 발생 우려가 있다. 그리고, 멍애목과 장선목을 방부 처리하는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발생되어 실내에 적합하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체육시설 및 학교 교실, 어린이 집, 유치원 등의 실내 마루 바닥 시공이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에 의해 시공됨으로써 멍애목 및 장선목이 요구되지 않아 설치 및 시공이 간편용이하고, 유지/보수 요구 시 해당 블록형 시스템의 신속한 교체 및 유지/보수가 가능한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멍애목과 장선목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마루 바닥을 시공함으로써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과 마루 바닥 사이에 유격된 공간 및 빈 공간이 발생되지 않고, 이로 인해 마루 바닥면의 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방부처리 등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멍애목과 장선목을 삭제함으로써 친환경적인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멍애목과 장선목을 전혀 사용하지 않고, 공장에서 생산된 자재를 매뉴얼화된 시공법대로 조립하는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은 자재의 사용을 줄일 수 있고, 투입 인력도 줄일 수 있어 자재비와 인건비의 절감이 가능하며, 전체적인 시공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신속용이한 마루 바닥의 시공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시공성(시공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루 바닥의 저상화 및 마루 바닥의 울림, 즉 상명(床鳴)의 발생을 방지하면서 양호한 시공 안정성 확보가 가능한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 상에 도포되는 수분차단재와, 수분차단재 상에 설치되는 충격완화 패드(DM-PP pad)와, 충격완화 패드의 상부면에 적층설치되는 이중 타공 합판과, 이중 타공 합판의 상부면에 적층설치되는 메인 플로어를 포함하는 바닥재; 및 바닥재의 이중 타공 합판 중심부,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충격완화 패드 및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고정연결시키는 고정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중 타공 합판은 그 중심부와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결합공과 1/2 결합공 및 1/4 결합공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각 결합공의 내주연 하부에 내측을 향하여 플랜지부가 돌출형성되며, 고정재는 그 중심부에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는 캡(DM-Cap)과, 캡의 체결공에 결합되는 세트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캡은 각 결합공의 플랜지부에 삽입결합되고, 세트볼트는 캡의 체결공에 결합되어 각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각 이중 타공 합판의 연결을 단단하게 고정시킨다.
그리고, 바닥재의 충격완화 패드는 15 내지 30mm의 두께 범위로 이루어지고, 이중 타공 합판은 13 내지 23mm의 두께 범위로 이루어지며, 메인 플로어는 17 내지 27mm의 두께 범위로 이루어진다.
한편,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 상에 수분차단재를 도포하는 단계; 수분차단재가 도포된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 상에 충격완화 패드(DM-PP pad)를 설치하는 단계; 충격완화 패드의 상부면에 이중 타공 합판을 적층설치하는 단계; 이중 타공 합판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에 고정재를 삽입설치하여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이중 타공 합판의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 각 가장자리에 또 다른 충격완화 패드를 각각 배열설치하는 단계; 또 다른 충격완화 패드의 상부면에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을 각각 적층설치하는 단계; 이중 타공 합판과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이 맞닿는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에 고정재를 삽입설치하여 각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단계; 및 각 이중 타공 합판의 상부면에 메인 플로어를 적층설치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이중 타공 합판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에 캡(DM-Cap)을 삽입설치하는 단계; 및 캡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에 세트볼트를 삽입체결하여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각 이중 타공 합판의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관통형성되되, 다수의 1/2 결합공 및 다수의 1/4 결합공이 하나의 결합공 형태로 조합되는 각 결합공에 캡을 삽입설치하는 단계; 및 캡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에 세트볼트를 삽입체결하여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설치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더불어, 이중 타공 합판과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이 맞닿는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에 고정재를 삽입설치하여 각 이중 타공 합판의 연결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단계;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멍애목 및 장선목이 요구되지 않아 설치 및 시공이 간편용이하고, 인건비 및 자재비의 절감을 통하여 전체적인 시공 단가를 현저하게 낮출 수 있으며,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과 마루 바닥 사이에 유격된 공간 및 빈 공간이 발생되지 않으며, 이로 인해 마루 바닥면의 탄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마루 바닥의 저상화 및 마루 바닥의 울림, 즉 상명(床鳴)의 발생을 방지하면서도 양호한 시공 안전성의 확보가 가능하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그리고, 시공 및 유지/보수 시 블록형 시스템의 설치 및 해당 블록형 시스템의 단품 교체가 가능하여 신속한 교체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고, 신속용이한 마루 바닥의 시공이 가능하여 전체적인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또한, 미관적으로 우수함과 동시에 내구성이 우수하며, 방부처리 등으로 인해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다량 함유되어 있는 멍애목과 장선목을 삭제하여 친환경적이라는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마루 바닥 시공 방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A-A'선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B-B'선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에 따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에 따른 구조를 나타내는 흐름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단지 예시로 제시한 것이며, 그 기술적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5는 B-B'선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에 따른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에 따른 구조를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면에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1)은 바닥재(10)와 고정재(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닥재(10)는 사각판형상체로서, 충격완화 패드(DM-PP(Polypropylene) pad : 11)와 이중 타공 합판(13) 및 메인 플로어(17)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충격완화 패드(11)는 실내의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 상에 도포되는 수분차단재(미도시)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충격완화 패드(11)는 합성수지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일반적인 스펀지, 방음 스펀지, 고탄성 스펀지 및 압축 스펀지 등의 스펀지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스티로폼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흡음, 통풍 및 충격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탄력성, 내구성, 공기 투과성 및 흡음성 소재로 이루어진다면 기타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은 상기 충격완화 패드(11)의 상부면에 적층설치되되, 합판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은 적어도 2개 이상이 적층설치되어 합판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나, 합판의 갯수는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중심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14a)이 관통형성되고,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1/2 결합공(14b) 및 1/4 결합공(14c)이 각각 관통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각 가장자리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1/2 결합공(14b)은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각 가장자리에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의 배열설치 시 각 이중 타공 합판(13, 13')의 각 가장자리 중심부에 형성되는 2개의 1/2 결합공(14b)이 상호 맞닿아 1개의 원형의 결합공(14a) 형태로 조합되어 형성되고,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각 모서리에 관통형성되는 1/4 결합공은(14c)은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각 가장자리에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들의 배열설치 시 각 이중 타공 합판(13, 13')들의 각 모서리에 형성되는 4개의 1/4 결합공(14c)이 상호 맞닿아 1개의 원형의 결합공(14a) 형태로 조합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 가장자리에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의 배열설치 시 1/2 결합공(14b) 및 1/4 결합공(14c)은 원형의 결합공(14a) 형태로 조합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중심부와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의 각 결합공(14a, 14b, 14c)이 원형과 1/2 원형 및 1/4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중심부와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의 각 결합공(14a, 14b, 14c)이 사각형과 1/2 사각형 및 1/4 사각형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이중 타공 합판(13)의 배열설치 시 하나의 결합공(14a) 형태로 조합 및 형성이 가능하다면 상기 결합공(14a)이 기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에 다수개의 결합공(14a)이 관통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상기 결합공(14a)의 갯수 또는 위치 등은 변경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각 가장자리가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형성되어 각 이중 타공 합판(13)의 수평방향 결합 시 어느 한 이중 타공 합판(13)의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가 2 이상의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의 가장자리 일부를 덮는 서로 엇맞물린 구조로 이루어져, 각각의 이중 타공 합판(13)을 수평적으로 안정되게 잡아주는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때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모서리에 형성되는 1/2 결합공(14b) 및 1/4 결합공(14c)은 삭제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각 결합공(14a, 14b, 14c)의 내주연 하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플랜지부(15)가 돌출형성된다.
즉,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14a)과 각 가장자리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1/2 결합공(14b) 및 각 모서리에 관통형성되는 1/4 결합공(14c)의 내주연 하부에는 내측을 향하여 플랜지부(15)가 돌출형성되어 단턱을 형성한다.
상기 메인 플로어(17)는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상부면에 적층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 플로어(17)는 원목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때로는 합성목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며,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여기서, 상기 바닥재(10)의 충격완화 패드(11)는 15 내지 30mm의 두께 범위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은 13 내지 23mm의 두께 범위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플로어(17)는 17 내지 27mm의 두께 범위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충격완화 패드(11)는 20mm,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은 18mm, 상기 메인 플로어(17)는 22mm로 이루어지나,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상기 고정재(30)는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을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것으로서, 캡(DM-Cap : 31)과 세트볼트(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캡(31)은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각 결합공(14a, 14b, 14c)에 삽입설치되기 위하여 상기 결합공(14a)의 직경 및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되고, 상기 캡(31)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14a)의 플랜지부(15) 상부면에 안착되기 위하여 그 단부(도번 미도시)가 절곡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캡(31)은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플라스틱, 스테인레스 또는 갈바 재질 등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도 3, 도 5, 도 6에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캡(31)의 내주연에 원주방향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보강재(도번 미도시)를 수직되게 설치하여 세트볼트(35)의 체결 시 캡(31)의 강성 및 내구성을 향상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나, 상기 보강재의 형상, 위치 및 갯수는 이에 한정하지 아니한다.
한편, 상기 캡(31)의 중심부에는 체결공(32)이 관통형성된다.
상기 세트볼트(35)는 상기 캡(31)의 체결공(32)에 결합되어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을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체결고정시킨다.
여기서, 상기 세트볼트(35)로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을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체결고정시키기 위하여 상기 세트볼트(35)의 머리부(도번 미도시)는 상기 캡(31)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3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상기 세트볼트(35)의 체결 시 캡(31), 이중 타공 합판(13) 및 충격완화 패드(11)의 이탈이 방지됨과 동시에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이중 타공 합판(13)의 고정을 향상시킨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수분차단재(미도시)를 도포한다(S10).
그리고, 상기 수분차단재 상에 충격완화 패드(DM-PP pad : 11)를 설치한다(S20).
그 다음, 상기 충격완화 패드(11) 상에 이중 타공 합판(13)을 적층설치한다(S30).
삭제
상기한 바와 같이,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수분차단재와 충격완화 패드(11) 및 이중 타공 합판(13)을 적층설치한 후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14a)에 고정재(30)를 삽입설치하여 이중 타공 합판(13)을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고정시킨다(S40).
이때,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14a)에 캡(DM-Cap : 31)을 삽입설치하고(S41), 상기 캡(31)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32)에 세트볼트(35)를 삽입체결하여 이중 타공 합판(13)을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설치한다(S43).
여기서, 상기 세트볼트(35)는 이중 타공 합판(13)의 하부에 위치하는 충격완화 패드(11)를 관통한 후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인입되어 고정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세트볼트(35)의 체결 시 세트볼트(35)가 충격완화 패드(11)를 관통한 후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인입설치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충격완화 패드(11)에 상기 세트볼트(35)가 삽입되기 위한 별도의 구멍을 관통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세트볼트(35)를 이중 타공 합판(13)의 결합공(14a)에 삽입체결 시 상기 세트볼트(35)의 머리부(도번 미도시)가 상기 캡(31)의 체결공(32)의 외부로 노출되어 이중 타공 합판(13)을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등 상기 세트볼트(35)에 의하여 이중 타공 합판(13) 및 충격완화 패드(11)가 콘크리트 슬라브(3) 상부면에서 이탈되지 않고 고정된다.
이렇게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을 고정재(30)에 의해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고정시킨 후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 각 가장자리에 또 다른 충격완화 패드(11')를 각각 배열설치한다(S50).
이때에도, 상기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수분차단재 등을 도포한 후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 각 가장자리에 또 다른 충격완화 패드(11')를 배열설치한다.
그 다음, 상기 또 다른 충격완화 패드(11')의 상부면에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을 각각 적층설치한다(S60).
그리고,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과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이 맞닿는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14b, 14c)에 고정재(30)를 삽입설치하여 각 이중 타공 합판(13, 13')을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고정시킨다(S70).
이때,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 각 가장자리에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의 배열설치 시 상기 각 이중 타공 합판(13, 13')의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관통형성되는 1/2 결합공(14b) 및 1/4 결합공(14c)은 하나의 결합공(14a) 형태로 조합되고,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 및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의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하나의 결합공(14a) 형태로 조합되는 각 결합공(14b, 14c)에 캡(31)을 삽입설치하며(S71), 상기 캡(31)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32)에 세트볼트(35)를 삽입체결하여 각 이중 타공 합판(13, 13')을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설치한다(S73).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 중심부의 결합공(14a)에 고정재(30)를 고정설치하여 이중 타공 합판(13)을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고정설치한 후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각 가장자리에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을 배열설치하고,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과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의 각 결합공(14b, 14c)에 고정재(30)를 고정설치하도록 이루어져 있으나,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각 가장자리에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을 배열설치한 후 각 결합공(14b, 14c)에 고정재(30)를 고정설치하고, 각 이중 타공 합판(13, 13') 중심부의 결합공(14a)에 고정재(30)를 고정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시공 순서는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기타 다양한 순서 및 방법에 의하여 시공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과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이 맞닿는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14b, 14c)에 고정재(30)의 삽입설치 시 각 이중 타공 합판(13, 13')의 연결이 단단하게 고정된다(S75).
즉,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 각 가장자리에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의 배열설치를 위하여 상기 각 이중 타공 합판(13, 13')의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하나의 결합공(14a) 형태로 형성된 각 결합공(14b, 14c)에 고정재(30)를 삽입설치할 경우, 상호 연결되게 배열설치되는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이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과 단단하게 고정되고, 이러한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전체적으로 각 이중 타공 합판(13, 13')들의 연결 및 고정이 단단해지고, 구조적으로 안정되어진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각 이중 타공 합판(13, 13')을 배열설치한 후 각 이중 타공 합판(13, 13')의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고정재(30)를 설치하고, 상기 각 이중 타공 합판(13, 13')의 상부면에 메인 플로어(17)를 적층설치한다(S80).
이때에도, 상기 각 이중 타공 합판(13, 13')의 상부면에 접착액을 도포한 후 각 메인 플로어(17)를 적층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나, 상기 메인 플로어(17)를 상기 각 이중 타공 합판(13, 13')에 단순히 적층설치함으로써 시공이 완료되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각 가장자리를 계단식으로 단차지게 형성시키고, 어느 한 이중 타공 합판(13)의 가장자리가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들의 가장자리 일부를 덮는 서로 맞물린 구조로 형성시키며,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모서리에 형성되는 1/2 결합공(14b) 및 1/4 결합공(14c)은 삭제시킬 경우, 각 이중 타공 합판(13)의 수평방향 결합 시 어느 한 이중 타공 합판(13)의 하나 이상의 가장자리가 2 이상의 다른 이중 타공 합판(13)의 가장자리 일부를 덮도록 서로 맞물리면서 각 이중 타공 합판(13)들의 연결을 수평적으로 단단하게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고, 이때 상기 이중 타공 합판(13)의 중심부에 다수개의 결합공(14a)을 형성함과 동시에 다수개의 결합공(14a)에 고정재(30)를 삽입설치하여 각 이중 타공 합판(13)들을 콘크리트 슬라브(3) 바닥면에 연결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도 가능하다.
이렇게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을 반복함으로써 체육관, 피트니스 센터(Fitness Center) 등의 각종 실내 운동 시설 및 학교교실, 어린이집, 유치원 등의 실내 마루 바닥 전체를 시공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의한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를 통하여 간편용이하게 시공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지만, 첨부 특허청구의 범위에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하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 :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3 : 콘크리트 슬라브, 10 : 바닥재,
11, 11' : 충격완화 패드(DM-PP pad), 13, 13' : 이중 타공 합판,
14a : 결합공, 14b : 1/2 결합공,
14c : 1/4 결합공, 15 : 플랜지부,
17 : 메인 플로어, 30 : 고정재,
31 : 캡(DM-Cap), 32 : 체결공,
35 : 세트볼트.

Claims (7)

  1.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 상에 도포되는 수분차단재와, 상기 수분차단재 상에 설치되는 충격완화 패드(DM-PP pad)와, 상기 충격완화 패드의 상부면에 적층설치되는 이중 타공 합판과, 상기 이중 타공 합판의 상부면에 적층설치되는 메인 플로어를 포함하는 바닥재; 및
    상기 바닥재의 이중 타공 합판 중심부,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충격완화 패드 및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고정연결시키는 고정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중 타공 합판은 그 중심부와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결합공과 1/2 결합공 및 1/4 결합공이 각각 관통형성되고, 상기 각 결합공의 내주연 하부에 내측을 향하여 플랜지부가 돌출형성되며, 상기 고정재는 그 중심부에 체결공이 관통형성되는 캡(DM-Cap)과, 상기 캡의 체결공에 결합되는 세트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캡은 상기 각 결합공의 플랜지부에 삽입결합되고, 상기 세트볼트는 캡의 체결공에 결합되어 상기 각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고정시킴과 동시에 각 이중 타공 합판의 연결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바닥재의 충격완화 패드는 15 내지 30mm의 두께 범위로 이루어지고, 상기 이중 타공 합판은 13 내지 23mm의 두께 범위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 플로어는 17 내지 27mm의 두께 범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4.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 상에 수분차단재를 도포하는 단계(S10);
    상기 수분차단재가 도포된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 상에 충격완화 패드(DM-PP pad)를 설치하는 단계(S20);
    상기 충격완화 패드의 상부면에 이중 타공 합판을 적층설치하는 단계(S30);
    상기 이중 타공 합판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에 고정재를 삽입설치하여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단계(S40);
    상기 이중 타공 합판의 길이방향 및 너비방향 각 가장자리에 또 다른 충격완화 패드를 각각 배열설치하는 단계(S50);
    상기 또 다른 충격완화 패드의 상부면에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을 각각 적층설치하는 단계(S60);
    상기 이중 타공 합판과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이 맞닿는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에 고정재를 삽입설치하여 각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고정시키는 단계(S70); 및
    상기 각 이중 타공 합판의 상부면에 메인 플로어를 적층설치하는 단계(S8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의 구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중 타공 합판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에 캡(DM-Cap)을 삽입설치하는 단계(S41); 및
    상기 캡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에 세트볼트를 삽입체결하여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설치하는 단계(S43);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의 구조.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각 이중 타공 합판의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관통형성되되, 다수의 1/2 결합공 및 다수의 1/4 결합공이 하나의 결합공 형태로 조합되는 각 결합공에 캡을 삽입설치하는 단계(S71); 및
    상기 캡의 중심부에 관통형성되는 체결공에 세트볼트를 삽입체결하여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설치하는 단계(S73);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의 구조.
  7.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이중 타공 합판과 또 다른 이중 타공 합판이 맞닿는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관통형성되는 결합공에 고정재를 삽입설치하여 각 이중 타공 합판의 연결을 단단하게 고정시키는 단계(S75);
    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의 구조.
KR1020120158596A 2012-12-31 2012-12-31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 KR1013723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596A KR101372316B1 (ko) 2012-12-31 2012-12-31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8596A KR101372316B1 (ko) 2012-12-31 2012-12-31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2316B1 true KR101372316B1 (ko) 2014-03-12

Family

ID=506481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8596A KR101372316B1 (ko) 2012-12-31 2012-12-31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23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208B1 (ko) * 2015-06-10 2015-11-18 (주)디엠그랑프리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KR102182799B1 (ko) 2020-02-11 2020-11-25 이준기 무앵커방식의 마루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시공방법
KR102268331B1 (ko) * 2020-01-15 2021-06-24 (주)티에이치엘네트웍스 단열 성능을 구비한 슬래브 일체형 층간소음 저감구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835Y1 (ko) 2004-02-24 2004-05-08 주식회사 엔에스프리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KR20070029328A (ko) * 2005-09-09 2007-03-14 김인태 층간 진동방지판
KR100719868B1 (ko) 2006-05-02 2007-05-18 주식회사 삼우에이엔씨 단열기능을 겸한 바닥충격음 방지패널
KR20080108893A (ko) * 2007-06-11 2008-12-16 안승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49835Y1 (ko) 2004-02-24 2004-05-08 주식회사 엔에스프리 건축물의 층간 차음구조
KR20070029328A (ko) * 2005-09-09 2007-03-14 김인태 층간 진동방지판
KR100719868B1 (ko) 2006-05-02 2007-05-18 주식회사 삼우에이엔씨 단열기능을 겸한 바닥충격음 방지패널
KR20080108893A (ko) * 2007-06-11 2008-12-16 안승한 건축물의 바닥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0208B1 (ko) * 2015-06-10 2015-11-18 (주)디엠그랑프리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WO2016199969A1 (ko) * 2015-06-10 2016-12-15 (주) 디엠그랑프리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KR102268331B1 (ko) * 2020-01-15 2021-06-24 (주)티에이치엘네트웍스 단열 성능을 구비한 슬래브 일체형 층간소음 저감구조
KR102182799B1 (ko) 2020-02-11 2020-11-25 이준기 무앵커방식의 마루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시공방법
KR20210102018A (ko) 2020-02-11 2021-08-19 이준기 무앵커방식의 마루바닥 블록형 시스템의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316B1 (ko)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
CA2750726C (en) Pocket assemblies for sports flooring sub-floor systems
US10584498B2 (en) Floor panels
US8622169B2 (en)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rubber pad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floor using same
JP2003056171A (ja) 無垢木材における防音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JP2012180655A (ja) 床構造及び建物
ES2637995T3 (es) Subestructura para soportar un solado y sistema de solado que comprende la misma
EP1611930B1 (en) Gymnastics exercise floor
KR200443146Y1 (ko) 마루 구조
KR101109576B1 (ko) 경기장 바닥 시공구조
JP5554633B2 (ja) 二重床用支持脚及びそれを用いた二重床構造並びにその構築方法
JP6813412B2 (ja) 土間用床材
JP2018017077A (ja) 二重床用支持脚及びそれを用いた二重床構造並びにその構築方法
KR200399608Y1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JP2008266942A (ja) 遮音性床構造
KR100490804B1 (ko) 마루 바닥재
KR20110035615A (ko) 습기 배출 마루판 및 이 마루판의 시공방법
JP2004332377A (ja) 耐力壁
KR102207134B1 (ko) 배수판 및 그 공사 방법
JP2016020559A (ja) 防振台座及び支持脚、並びに二重床構造
CN208618720U (zh) 一种功能型地板组件
JP4099082B2 (ja) フローリング材とそれを用いた遮音性床構造
KR200287073Y1 (ko) 마루 바닥재
JP5279999B2 (ja) 住宅建築工法
KR200394076Y1 (ko) 체육관용 마루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