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0208B1 -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 Google Patents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0208B1
KR101570208B1 KR1020150082125A KR20150082125A KR101570208B1 KR 101570208 B1 KR101570208 B1 KR 101570208B1 KR 1020150082125 A KR1020150082125 A KR 1020150082125A KR 20150082125 A KR20150082125 A KR 20150082125A KR 101570208 B1 KR101570208 B1 KR 1015702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ywood
floor
clip
block structur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2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기
Original Assignee
(주)디엠그랑프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디엠그랑프리 filed Critical (주)디엠그랑프리
Priority to KR10201500821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0208B1/ko
Priority to PCT/KR2015/006050 priority patent/WO2016199969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02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02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05Construction of joints, e.g. dividing stri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6Flooring, e.g. parquet on flexible web, laid as flexible webs; Webs specially adapted for use as flooring; Parquet on flexible we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바닥(10)에 설치되는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변부의 상부단턱(21)과 하부단턱(22)에 의해 종횡으로 맞물리고, 내부에 위치 고정을 위한 고정단턱(23)을 지니는 합판(20); 상기 합판(20)의 저면에 점형패드(31)와 선형패드(32) 중 적어도 하나를 부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30); 및 상기 합판(20)의 고정단턱(23)에 수용되어 바닥(10) 상에서 위치를 유지하는 클립(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체육관과 같은 운동시설의 완충용 마루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 제조원가를 낮추면서 수분과 충격에 대한 저항력을 유지하여 내구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Stacked block assembly for wooden floor}
본 발명은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체육관과 같은 운동시설의 마루바닥을 시공하기 위한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멍애목과 장선목을 이용하여 실내 마루바닥을 시공하는 경우, 내습성을 높이기 위한 방부처리 과정에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 다수 포함될 뿐더러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탄력성이 저하되고 부식과 부패가 진행되므로 전면 교체로 인한 시공비가 소요되는 폐단을 보인다.
이러한 폐단을 해소하기 위한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1은 수분차단재와, 충격완화 패드(DM-PPpad)와, 이중 타공 합판과, 메인 플로어를 포함하는 바닥재; 및 상기 바닥재의 이중 타공 합판 중심부, 각 가장자리 중심부 및 각 모서리에 설치되어 상기 충격완화 패드 및 이중 타공 합판을 콘크리트 슬라브 바닥면에 고정연결시키는 고정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에, 설치 및 시공이 용이하면서 유지/보수 요구 시 해당 블록형 시스템의 신속한 교체 및 유지/보수가 가능하지만, 비교적 제조원가가 높아 수요처가 한정되기 쉬우므로 수요층 확대를 위한 개선의 여지를 보인다.
또 다른 선행기술문헌으로서 하기의 특허문헌 2에 의하면 다수가 서로 이음결합되는 후로링부재가 적층되는 탄성마루바닥재에 있어서, 상기 후로링부재와 상기 합판의 결합은 측면에서 비스듬하게 합판에까지 박히는 못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합판과 상기 탄성부재의 결합은 접착제가 개재되어 이루어져 상기 탄성부재, 합판 및 후로링부재가 일체를 이룬다.
이에, 종래의 장선을 배제하면서 탄성마루바닥재가 꺼지거나 들리지 아니하는 효과를 도모하지만, 수분과 충격에 장기간 노출되는 상태에서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높은 탄성력을 유지하기 미흡하다.
1.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372316호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 (공개일자 : 2014.03.12.) 2.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0959183호 "탄성마루바닥재" (공개일자 : 2010.04.30.)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체육관과 같은 운동시설의 마루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 제조원가를 낮추면서 수분과 충격에 대한 저항력을 유지하여 내구성을 향상하는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바닥에 설치되는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변부의 상부단턱과 하부단턱에 의해 종횡으로 맞물리고, 내부에 위치 고정을 위한 고정단턱을 지니는 합판; 상기 합판의 저면에 점형패드와 선형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부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 및 상기 합판의 고정단턱에 수용되어 바닥 상에서 위치를 유지하는 클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완충재는 이웃하는 합판의 갭에 개재되는 돌출턱 또는 합판과 다지점에서 점접촉하는 요철홈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클립은 합판의 신축운동을 허용하도록 고정단턱과 가변적인 유격을 유지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클립은 플랜지 상에 수직방향 변형을 축소하도록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곡면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합판은 클립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신축운동을 허용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개홈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체육관과 같은 운동시설의 완충용 마루바닥을 시공함에 있어서 제조원가를 낮추면서 수분과 충격에 대한 저항력을 유지하여 내구성을 향상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적층블록 구조체를 시공 상태로 나타내는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적층블록 구조체를 분리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적층블록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적층블록 구조체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변형예에 따른 구조체를 부분 절개하여 나타내는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바닥(10)에 설치되는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에 관하여 제안한다. 바닥(10)은 각종 운동시설의 콘크리트 슬라브를 대상으로 하지만 반드시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통상 콘크리트 슬라브의 바닥(10)에 몰탈(11)을 형성하면서 다수의 세트볼트(12)를 고정한다. 본 발명의 적층블록 구조체는 몰탈(11)과 메인플로어(15) 사이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에 위치 고정을 위한 고정단턱(23)을 지니는 합판(20)이 변부의 상부단턱(21)과 하부단턱(22)에 의해 종횡으로 맞물리는 구조이다. 합판(20)은 타공판을 사용할 수도 있으며 1매로 구성하거나 2매를 겹쳐서 구성한다. 합판(20)의 소재는 원목, MDF, 파티클보드 중에서 선택 가능하며, 다종의 소재를 적층한 코어합판의 적용도 가능하다. 어느 경우에나 4변부에서 두께의 중간을 절단한 형태로 상부단턱(21)과 하부단턱(22)를 형성한다. 도 2의 평면도를 기준으로 하면 상부단턱(21)은 변부의 저면에 은폐 상태로 형성되는 반면 하부단턱(22)은 변부의 상면에 노출 상태로 형성된다. 도 2에서 고정단턱(23)은 직경이 다른 2개의 원형공을 동심으로 타공시킨 형태로 예시한다. 합판(20)의 상부단턱(21)과 하부단턱(22)을 맞물려 접촉시키고 고정단턱(23)에서 세트볼트(12)로 고정하면서 종횡으로 연장하면 마루 중간체가 구성된다. 최종 마루는 합판(20)의 상측으로 메인플로어(15)를 부착시켜 완성된다.
이때, 이웃하는 합판(20)과 합판(20)의 사이에서 상부단턱(21)과 하부단턱(22)을 밀착시키지 않고 갭(26)을 형성하는 것이 좋다. 운동시설의 마루는 목재에 포함된 수분의 영향과 운동과정의 순간적인 충격으로 신축운동이 유발된다. 합판(20) 사이의 갭(26)은 이러한 신축운동을 허용하여 내구성 약화를 방지한다. 갭(26)의 크기는 합판(20)의 제원에 따라 달라지나 5㎜ 내외로 설정한다.
한편, 도시에는 생략하나 합판(20) 사이의 갭(26)을 따라서 다수의 작은 갭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갭(26)에 신축성, 완충성, 내마모성이 높은 소재를 충진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완충재(30)가 상기 합판(20)의 저면에 점형패드(31)와 선형패드(32) 중 적어도 하나를 부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구조이다. 완충재(30)는 폐타이어의 칩과 분말을 주원료로 합성수지, 고무, 유동제, 가교제, 상용성증진제를 혼합하여 형성한다. 경우에 따라 열경화성접착제를 혼합하여 강도를 증대하거나, 발포제를 혼합하여 발포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1에서 점형패드(31)는 소형(예컨대 가로 세로 30㎜)의 점 형태로 나타내고, 선형패드(32)는 합판(20)의 폭과 유사하게 형성된 막대 형태로 나타낸다. 어느 경우에나 완충재(30)는 합판(20)의 변부와 내부를 지지하도록 부착된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완충재(30)는 이웃하는 합판(20)의 갭(26)에 개재되는 돌출턱(34) 또는 합판(20)과 다지점에서 점접촉하는 요철홈(36)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에서 완충재(30)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출턱(34)이 갭(26)에 개재된 상태로 부착됨을 예시한다. 돌출턱(34)은 이웃하는 합판(20)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도 4에서 완충재(30)의 상면에 형성된 요철홈(36)이 합판(20)의 저면에 부착된 상태를 나타낸다. 요철홈(36)은 돌출턱(34)에 비하여 탄성변위를 크게 하는데 유리하다.
물론 하나의 바닥(10)에 대하여 돌출턱(34)과 요철홈(36)을 조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이는 돌출턱(34)과 요철홈(36)을 독립적으로 형성하여 혼용하는 방식 외에 양자의 기능을 하나로 통합하여 새롭게 구성하는 방식도 포함한다.
이때, 바닥(10)의 몰탈(11)과 합판(20) 사이에 수분차단재(28)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수분차단재(28)는 시트, 블록, 도료 등의 다양한 형태를 복합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시트로 형성하는 경우 몰탈(11)에 부착하거나, 합판(20)의 저면에 부착한다. 블록으로 형성하는 경우 아미노 알키드 수지 등을 사용하여 완충재(30) 사이에 동일한 높이로 부착한다. 도료로 구성하는 경우 자외 경화 성분(아크릴 수지 도료, 우레탄 수지 도료)을 도포하고 자외선을 조사한다.
또, 본 발명에 따르면 클립(40)이 상기 합판(20)의 고정단턱(23)에 수용되어 바닥(10) 상에서 위치를 유지하는 구조이다. 클립(40)은 금속재를 사용하여 상단에 플랜지(41)를 지닌 컵 형태로 형성한다. 클립(40)의 중앙부에는 세트볼트(12)와 결합하기 위한 체결공(45)을 지닌다. 이에 클립(40)을 고정단턱(23)에 수용한 상태로 세트볼트(12)와 결합하면 클립(40)의 플랜지(41)가 고정단턱(23)에 밀착되면서 합판(20)의 위치가 고정된다. 물론 클립(40)의 플랜지(41)에 의한 가압력은 마루의 제원에 따라 다르게 설정된다. 경우에 따라 클립(40)이 고정단턱(23)을 가압하지 않은 자유상태로 둘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세부 구성으로서, 상기 클립(40)은 합판(20)의 신축운동을 허용하도록 고정단턱(23)과 가변적인 유격(43)을 유지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3의 확대도에서 플랜지(41)의 외주면 방향으로 유격(43)이 형성되는 동시에 플랜지(41)의 하방향에도 유격(43)이 형성됨을 나타낸다. 이에 클립(40)은 합판(20)의 신축운동은 물론 3방향 유동을 허용하는 자유상태로 결합된다. 가변적인 유격(43)은 이와 같이 구속이 없는 자유상태를 의미한다. 클립(40)이 원형의 고정단턱(23)에 수용되면 결합 방향이 자유롭게 변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상기 클립(40)은 플랜지(41) 상에 수직방향 변형을 축소하도록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곡면대(4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서 곡면대(47)의 반원형 단면 구조는 합판(20)과 접촉면적을 축소하여 합판(20)의 원활한 신축운동과 유동을 보장한다. 도시에서 곡면대(47)는 클립(40)의 플랜지(41)에 곡선형으로 예시하지만 직선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플랜지(41)에 곡면대(47)가 형성되면 강성이 증가하므로 마루의 내구성 약화를 방지할 수 있다. 곡면대(47)와 더불어 전술한 완충재(30)의 돌출턱(34)도 합판(20)의 위치를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위치 유지는 완전한 고정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고 설정된 범위의 유동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상기 합판(20)은 클립(40)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신축운동을 허용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개홈(2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서 클립(40)의 양측 플랜지(41)를 가로지르는 절개홈(25)을 예시한다. 물론 절개홈(25)은 플랜지(41)의 주변에 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클립(40)의 플랜지(41)가 절개홈(25)을 가압하는 구조는 합판(20)의 신축운동과 유동을 허용한다.
작용에 있어서, 체육관의 마루에서 운동자가 뛰거나 넘어지는 경우 메인플로어(15)에 작용하는 충격이 합판(20)과 완충재(30)에 전달되고, 합판(20)과 클립(40)에 의한 탄성변형으로 충격을 흡수하여 파손을 방지한다. 이러한 기능은 합판(20)의 갭(26), 클립(40)의 유격(43), 합판(20)의 절개홈(25) 등을 상호 연계하여 유발된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10: 바닥 11: 몰탈
12: 세트볼트 15: 메인플로어
20: 합판 21: 상부단턱
22: 하부단턱 23: 고정단턱
25: 절개홈 26: 갭
28: 수분차단재 30: 완충재
31: 점형패드 32: 선형패드
34: 돌출턱 36: 요철홈
40: 클립 41: 플랜지
43: 유격 45: 체결공
47: 곡면대

Claims (5)

  1. 바닥(10)에 설치되는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에 있어서:
    변부의 상부단턱(21)과 하부단턱(22)에 의해 종횡으로 맞물리고, 내부에 위치 고정을 위한 고정단턱(23)을 지니는 합판(20);
    상기 합판(20)의 저면에 점형패드(31)와 선형패드(32) 중 적어도 하나를 부착하여 충격을 흡수하는 완충재(30); 및
    상기 합판(20)의 고정단턱(23)에 수용되어 바닥(10) 상에서 위치를 유지하는 클립(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합판(20)의 상부단턱(21)과 하부단턱(22)을 밀착시키지 않고 갭(26)을 형성하며,
    상기 클립(40)은 합판(20)의 신축운동을 허용하도록 고정단턱(23)과 가변적인 유격(43)을 유지하는 구조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완충재(30)는 이웃하는 합판(20)의 갭(26)에 개재되는 돌출턱(34) 또는 합판(20)과 다지점에서 점접촉하는 요철홈(36) 중 적어도 하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40)은 플랜지(41) 상에 수직방향 변형을 축소하도록 반원형 단면으로 형성된 곡면대(47)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합판(20)은 클립(40)과 접촉되는 부분에서 신축운동을 허용하도록 적어도 부분적으로 절개홈(25)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KR1020150082125A 2015-06-10 2015-06-10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KR1015702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25A KR101570208B1 (ko) 2015-06-10 2015-06-10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PCT/KR2015/006050 WO2016199969A1 (ko) 2015-06-10 2015-06-16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2125A KR101570208B1 (ko) 2015-06-10 2015-06-10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70208B1 true KR101570208B1 (ko) 2015-11-18

Family

ID=548392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2125A KR101570208B1 (ko) 2015-06-10 2015-06-10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570208B1 (ko)
WO (1) WO201619996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305Y1 (ko) * 2005-06-09 2005-09-09 주식회사 대호기술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
JP2007218036A (ja) * 2006-02-20 2007-08-30 Sekisui Jushi Co Ltd デッキ材の固定構造
KR101372316B1 (ko) * 2012-12-31 2014-03-12 (주) 디엠그랑프리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5305Y1 (ko) * 2005-06-09 2005-09-09 주식회사 대호기술 건축물의 층간바닥 충격음 차단구조
JP2007218036A (ja) * 2006-02-20 2007-08-30 Sekisui Jushi Co Ltd デッキ材の固定構造
KR101372316B1 (ko) * 2012-12-31 2014-03-12 (주) 디엠그랑프리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6199969A1 (ko) 2016-1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399289T3 (es) Panel con aislamiento acústico al ruido de pasos y con aislamiento acústico al ruido en habitaciones, cubierta de paneles, revestimiento de reducción de sonido, procedimiento para su fabricación y dispositivo para ello
US8622169B2 (en)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rubber pad and method for installing a sound-insulating and vibration-isolating floor using same
KR101260244B1 (ko)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의 시공방법
US11365547B2 (en) Athletic floor and method therefor
CA1125718A (en) Track arrangement for a railroad
US20020189184A1 (en) Athletic flooring substructure
KR101867933B1 (ko) 고무패드 샌드위치 일체형 탄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US11585102B2 (en) Load distribution and absorption underpayment system
KR101570208B1 (ko) 목재 마루용 적층블록 구조체
RU2756929C1 (ru) Подшпальная прокладка и способ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устройство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шпалы с закрепленной в ней подшпальной прокладкой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подшпальной прокладки с железнодорожной шпалой
AU2011254904B2 (en) Base flooring and flooring system
GB2500660A (en) Rail pad
EP1077287A2 (en) Elastic tie plate for railway track
CN208702091U (zh) 一种一字带减震式木地板结构
ES2907006T3 (es) Suelo flotante
JP5047642B2 (ja) 床用緩衝体及びそれを用いた床構造
KR101270980B1 (ko) 탄성을 부여하고 안정성을 향상시킨 데크 연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탄성데크 구조체
JP2008267035A (ja) 床用緩衝体、床構造、及び、補強床敷設方法
US20200378137A1 (en) Subfloor assembly for athletic playing surface
JP2021085177A (ja) 仮設踏切板
JP4271123B2 (ja) 防音床構造、防音床材と際根太の組合せ及び防音床構造の施工方法
KR20150089634A (ko) 충격 진동 흡수 블록
JP4213920B2 (ja) 床用緩衝体及びそれを用いた床構造
KR100981921B1 (ko) 차음 방진용 고무패드 및 이를 이용한 차음 방진용 마루바닥의 설치공법
KR101535879B1 (ko) 플로어링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