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5879B1 - 플로어링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 - Google Patents

플로어링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5879B1
KR101535879B1 KR1020150021211A KR20150021211A KR101535879B1 KR 101535879 B1 KR101535879 B1 KR 101535879B1 KR 1020150021211 A KR1020150021211 A KR 1020150021211A KR 20150021211 A KR20150021211 A KR 20150021211A KR 101535879 B1 KR101535879 B1 KR 1015358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ing panel
flooring
floor
present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12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태연
Original Assignee
(주)코리아팀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코리아팀버 filed Critical (주)코리아팀버
Priority to KR10201500212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58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58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58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05Floor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 E04C2/32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formed of corrugated or otherwise indented sheet-like material; composed of such layers with or without layers of flat sheet-like material slightly bowed or folded pane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04C2/38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with attached ribs, flanges, or the like, e.g. framed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2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 E04F2201/025Non-undercut connections, e.g.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with tongue and grooves alternating transversally in the direction of the thickness of the panel, e.g. multiple tongue and grooves oriented parallel to each oth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4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 E04F2201/043Other details of tongues or grooves with tongues and grooves being formed by projecting or recessed parts of the panel lay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플로어링 패널은 마루면을 형성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바닥을 지지하는 하면부;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며,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결합홈이 형성된 제2 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면부는, 상기 하면부의 양쪽 말단에 위치하여 바닥면을 지지하는 말단부와 상기 말단부 사이에 위치한 중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말단부에서 상기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연속적으로 높아지는 프로파일을 갖는다.

Description

플로어링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 {Flooring Panel and Flooring Panel System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로어링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루바닥 구조(플로어링 구조)는 양 말단에 결합부가 형성된 복수 개의 플로어링 패널이 상호 결합되는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Flooring Panel System)을 이용하여 플로어링 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은 복수 개의 플로어링 패널을 상호 결합하는 작업만으로 마루면을 형성할 수 있어 시공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어,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교실, 미술관, 전시장, 상업용 매장, 체육관 및 실내경기장 등의 장소에서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상기 플로어링 패널의 재질은 느티나무, 단풍나무, 편백나무, 벚나무, 참나무 및 나왕 등의 목재가 주로 사용되며, 합성수지 등의 재료도 사용된다. 특히, 상기 목재를 원목(또는 솔리드) 형태로 사용하는 경우, 복원력, 반발력 및 충격 흡수력이 우수하고, 내구성 및 질감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체육관용 플로어링 구조는 장선(joist) 위에 합판을 1겹 또는 2겹으로 깔고 그 위에 플로어링 패널을 복수 개 결합하여 설치하는데, 많은 인원이 사용하고, 체육 활동 등의 활동량이 많기 때문에, 콘크리트 바닥상의 완충작용과 체육활동시 체중에 의한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완충성이 요구되며,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 자체도 높은 하중에서도 견딜 수 있는 내구성 있는 플로어링 구조가 필요하며, 일반 가정집 마루 바닥에 사용되는 마루재(약 7.5mm)보다 두께가 두꺼운 솔리드(약 22mm)를 사용한다.
한편 솔리드 재질의 패널을 적용한 마루바닥은, 실내 온도 및 습도 변화가 장시간 동안 지속됨에 따라 수축, 팽창 또는 뒤틀림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플로어링 패널의 결합부는, 결합되는 패널이 서로 완전히 밀착되도록 제조하는 것이 불가능하여 결합부위에는 약간의 공간이 발생하는데, 플로어링 패널 말단 결합부의 수축, 팽창 또는 뒤틀림이 발생시 결합되는 플로어링 패널들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게 되며, 특히 체육관 등에서 이러한 단차 발생시 체육활동을 하는 사용자의 부상위험이 크게 증가하게 된다. 이러한 단차 발생시 해당하는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의 일부 또는 전체를 교체해야 하며, 체육관, 교실 등 넓은 면적에 형성된 플로어링 패널을 교체시 많은 비용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대하여 시설마다 온도 및 습도를 관리하는 시설이 설치되고 있으나, 적지 않은 시설 설치 및 가동 비용이 발생하고, 완벽한 관리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0136548호에서는 고강도 쿠션부재와 두께가 다른 2개의 판넬을 상하로 배치하여 충격흡수를 완화하도록 한 플로어 적층 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방법은 고강도 쿠션부재가 다량 필요하여 비용이 많이 들 뿐만 아니라, 하부에 시공되는 판넬은 통풍성이 떨어져 썩는 현상이 일어나 내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86580호에서는 하부구조로 사용되는 받침대, 장선 등을 콘테이너 바닥으로 사용하는 콤비네이션 합판을 사용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체육시설용 마루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마루 구조는 충격 흡수효과가 떨어질 뿐만 아니라, 경제성이 없으며 시공방법이 까다로워 공사기간이 길어지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구성 및 완충성이 우수하며, 이용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플로어링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시공성 및 경제성이 우수한 플로어링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음 발생 방지효과가 우수하고, 치수 변화 및 뒤틀림이 적으며, 통풍성 및 내습성이 우수한 플로어링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플로어링 패널에 관한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플로어링 패널은 마루면을 형성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바닥을 지지하는 하면부;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며,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결합홈이 형성된 제2 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면부는, 상기 하면부의 양쪽 말단에 위치하여 바닥면을 지지하는 말단부와 상기 말단부 사이에 위치한 중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말단부에서 상기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연속적으로 높아지는 프로파일을 갖는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프로파일은 곡선이고, 상기 중심부의 단면이 아치형태를 가지며, 상기 말단부는 바닥면쪽으로 볼록한 곡면형태를 가질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중심부의 최고 높이는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
1mm≤Hmax≤H1
(상기에서, Hmax는 상기 중심부의 최고 높이이고, H1은 바닥으로부터 결합돌기 상면부까지의 높이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연결하는 모서리는 곡면처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플로어링 패널이 복수로 결합된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은 내구성 및 완충성이 우수하고, 소음 발생 방지 효과 및 완충성이 우수하여 보행성이 우수하고, 특히 체육 활동시 이용자의 부상을 방지하며, 시공성이 우수하고, 통풍성 및 내습성이 우수하고, 습기 또는 수분에 대한 플로어링 패널 치수 변화 및 뒤틀림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분에 의한 패널의 치수 변화에도 사용자의 부상 방지효과 및 소음 방지효과가 우수하고, 패널의 수명 및 교체주기가 길어 경제성이 우수하여, 체육관, 교실 등과 같이 높은 하중 및 충격에도 견딜 수 있어 내구성, 내습성 및 통풍성이 요구되는 장소에 설치되기 적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을 나타낸 것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의 결합돌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2(c)는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2(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a)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플로어링 패널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의 플로어링 패널을 나타낸 사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의 플로어링 패널을 24 시간 동안 물에 침지한 직후 치수 변화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및 본 발명에 대한 비교예의 플로어링 패널을 24 시간 동안 물에 침지한 직후 치수변화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9는 상기 도 8의 플로어링 패널들을 건조한 후 치수변화를 비교한 사진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술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을 설명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하나의 관점은 플로어링 패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을 나타낸 것이고, 도 2(a)는 상기 플로어링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1 및 도 2(a)를 참조하면, 플로어링 패널(100)은 마루면을 형성하는 상면부(10); 상면부(10)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바닥을 지지하는 하면부(20); 상면부(10)와 하면부(20)를 연결하며, 결합돌기(31)가 형성된 제1 측면부(30); 및 제1 측면부(31)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결합홈(41)이 형성된 제2 측면부(40);를 구비한다. 상기 하면부(20)는, 하면부(20)의 양쪽 말단에 위치하여 바닥면을 지지하는 말단부와, 말단부 사이에 위치한 중심부로 이루어지고, 말단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연속적으로 높아지는 프로파일(profile)을 갖는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말단부에서 상기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연속적으로 높아지는 프로파일”은, 상기 도 2(a)에서와 같이 말단부에서 중심부까지 높이가 점점 증가하며 단차가 존재하지 않으며, 중심부의 최고 높이(Hmax)는 하나의 정점만을 형성하는 것을 의미한다. 구체예에서, 상기 “하나의 정점”은 하면부(20)의 중심에 위치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프로파일은 상기 도 2(a)에서와 같이 곡선이고, 중심부의 최고 높이(Hmax)는 4mm 내지 32mm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중심부의 단면은 아치 형태(상면부쪽으로 오목한 형태)일 수 있다.
도 2(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200)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c)를 참조하면, 상기 프로파일은 직선이고, 중심부의 최고 높이(Hmax)는 4mm 내지 32mm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중심부의 단면은 삼각형 형태일 수 있다.
이중, 중심부의 단면은 아치 형태가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아치 형태로 형성시 뒤틀림 현상이 없고, 충격 흡수효과가 우수하여 플로어링 패널의 내구성이 우수하고, 통풍성 및 내습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중심부의 너비(WO)는 3mm 내지 70mm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25mm 내지 60mm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30mm 내지 45mm 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중심부의 최고 높이(Hmax)는 하기 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식 1]
1mm≤Hmax≤H1
(상기 식 1에서, Hmax는 상기 중심부(WO)의 최고 높이이고, H1은 바닥으로부터 결합돌기 상면부까지의 높이이다).
구체예에서 중심부의 최대높이(Hmax)는 1 mm 내지 32mm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충격 흡수효과가 우수하여 플로어링 패널 내구성이 우수하고, 패널과 수분이 접촉시 패널 폭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통풍성 및 내습성이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중심부의 최대 높이(Hmax)는 2mm≤Hmax≤(H1)/2 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중심부의 최대 높이(Hmax)는 1mm 내지 32mm 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바닥으로부터 결합돌기 상면부까지의 높이(H1)는 5mm 내지 50mm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5mm 내지 30mm일 수 있다.
말단부는 제1 말단부 및 제2 말단부로 이루어진다. 상기 도 2(a)를 참조하면, 제1 말단부는 제1 측면부(30)쪽에 형성되며, 제2 말단부는 제2 측면부(40)쪽에 형성된다. 구체예에서 제1 말단부의 너비(W1) 및 제2 말단부의 너비(W2)는 각각 0.5mm 내지 30mm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3mm 내지 15mm 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5mm 내지 15mm 일 수 있다.
상기 말단부는 곡면 또는 평면일 수 있다.
제1 구체예에서 상기 말단부는 곡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d)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d)를 참조하면, 말단부가 곡면(바닥쪽으로 볼록한) 형태인 경우, 제1 측면부와 제1 말단부의 경계점으로부터 최대 깊이(Dt)는 0.1mm 내지 5mm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0.2mm 내지 3mm일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형성시 수분 접촉에 의한 플로어링 패널 두께의 변동에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충격 흡수효과가 우수하고, 삐걱거리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제2 구체예에서 상기 말단부는 평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말단부는 곡면형태일 수 있다. 곡면 형태로 형성시, 플로어링 패널 두께의 변동에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충격 흡수효과가 우수하고, 삐걱거리는 소음을 저감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제1 말단부 및 제2 말단부 너비의 합(W1+W2)과 중심부 너비(WO)간 비율은 (W1+W2) : (WO) = 1:1~5 일 수 있다. 상기 범위로 형성시 플로어링 패널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며, 충격흡수 효과가 우수하고, 뒤틀림 현상이 없으며 균형적 시공이 가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W1+W2) : (WO) =1:1~1:2.5 일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플로어링 패널(500, 600)의 하면부에 방습층(5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4(a)를 참조하면, 방습층(50)은 제1 말단부 및 제2 말단부에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도 4(b)를 참조하면, 다른 구체예에서 방습층(50)은 하면부 전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방습층(50)은 방습성이 우수한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방습층(50)은 플로어링 패널(500, 600)의 하면부에 점착제를 도포하고 방습필름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방습필름은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폴리에틸렌(Polyethylene, PE) 수지 및 고충격폴리스티렌(High impact polystyrene, HIPS) 수지 등을 포함하는 방습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방습층(50)의 두께는 10㎛~2mm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로 형성시 방습효과가 우수하면서 통풍성 및 내구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점착제는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폴리에스테르 수지, 아크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페놀 수지, 멜라민 수지 및 폴리실리콘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접착제는 0.1㎛~300㎛ 두께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0.5㎛~150㎛로 도포될 수 있다.
상기 하면부의 반대편에는 마루면을 형성하는 상면부가 형성된다.
상기 상면부(10)는 평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면부(10)의 너비는 5mm 내지 120mm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31mm 내지 100mm 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40mm 내지 75mm 일 수 있다.
한 구체예에서 플로어링 패널의 상면부(10)에는 자외선 코팅층(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코팅층 형성시 플로어링 패널의 내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자외선 코팅층은 플로어링 패널의 표면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 및 경화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통상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자외선 경화형 수지는 자외선 경화형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우레탄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폴리에스테르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자외선 경화형 폴리올 아크릴레이트계 수지 및 자외선 경화형 에폭시 수지 중에서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자외선 코팅층의 두께는 1㎛~0.5mm일 수 있다. 상기 두께 범위로 형성시 플로어링 패널의 내오염성 및 내스크래치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는 측면부에 의해 연결된다. 이중 결합돌기가 형성된 측면부는 제1 측면부, 결합홈이 형성된 측면부는 제2 측면부로 명명한다.
상기 상면부와 제1 및 제2 측면부 사이는 모서리가 형성되며, 상기 모서리는 곡면 처리될 수 있다. 여기서 곡면처리는 곡률반경이 존재하도록 곡면으로 형성된 것을 말한다.
상기 도 2(d)를 참조하면, 플로어링 패널(300)의 상면부(10)와 제1 측면부(30) 및 제2 측면부를 연결하는 제1 모서리(11) 및 제2 모서리(12)는 곡면 처리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 모서리(11, 12)가 곡면 처리될 경우, 인접하는 플로어링 패널들 사이에 단차가 발생하더라도 사용자의 활동 또는 보행시 단차 발생 부위에 발바닥이 걸리지 않게 되어 부상 방지 효과가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도 2(a)를 참조하면, 제1 및 제2 측면부에는 각각 결합돌기(31)와 결합홈(41)이 형성되며, 이웃하는 플로어링 패널과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결합돌기(31)는 이웃하는 플로어링 패널의 결합홈(41)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도 2(b)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100)의 결합돌기를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2(b)를 참조하면, 결합돌기(31)의 두께(Dp)는 1mm 내지 50mm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구성 및 결합력이 우수할 수 있다. 또한 결합돌기(31)의 너비(Wp)는 1mm 내지 50mm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구성 및 결합력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31)와 대응되는 결합홈(41)은 이웃하는 플로어링 패널의 결합돌기가 삽입되도록 대응되는 크기를 갖는다.
한 구체예에서 제1 측면부(30)에 결합돌기는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측면부(40)의 결합홈은 하나 또는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3을 참조하면 플로어링 패널(400)은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각각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예에서 결합돌기(31, 32) 및 결합홈(41, 42)이 각각 2개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복수 개 형성시 고성성이 우수하고, 통풍성 및 내습성을 유지하면서, 상부 하중 및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플로어링 패널(100)은 느티나무, 단풍나무, 편백나무, 벚나무, 참나무 및 나왕 중에서 하나 이상의 목재를 사용할 수 있다.
한 구체에에서 플로어링 패널(100)의 두께는 5mm 내지 150mm일 수 있다. 예를 들면, 20mm 내지 35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전술한 플로어링 패널이 복수로 결합된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 따른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1000)을 나타낸 것이다. 상기 도 5를 참조하면, 플로어링 패널의 결합방법은 플로어링 패널의 결합돌기(31)를 이웃하는 플로어링 패널의 결합홈(41)에 삽입되어 고정하여 결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관점은 상기 플로어링 패널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 구체예에서 상기 플로어링 패널의 제조방법은 (a) 결합돌기 형성단계; (b) 결합홈 형성단계; 및 (c) 하면부 프로파일 형성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판재의 제1 측면을 회전하는 제1 블레이드에 접촉시켜 판재의 제1 측면을 커팅하여 결합돌기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판재의 제2 측면을 회전하는 제2 블레이드에 접촉시켜 상기 판재의 제2 측면을 커팅하여 결합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양 측면(제1 측면 및 제2 측면)에 결합돌기 및 결합홈이 형성된 판재의 하면을 회전하는 제3 블레이드에 접촉시켜 상기 판재의 하면이 말단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연속적으로 높아지는 프로파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프로파일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높이가 중심부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높아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판재 상면은 연마과정을 추가적으로 거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마기 등을 사용하여 판재 상면을 평탄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마된 판재 상면에 자외선 경화 수지를 도포하고 자외선 조사 및 경화하여 자외선 코팅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판재의 상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모서리가 곡면을 갖도록 제4 블레이드에 접촉시킬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서는 상기 하면부 프로파일 형성단계 이후, 방습층 형성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프로파일이 형성된 판재의 하면부에 전술한 점착제를 도포하고 방습필름을 적층하여 형성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방습층은 상기 판재 하면부의 제1 말단부 및 제2 말단부에만 형성하거나, 하면부 전체에 형성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에 기재되지 않은 내용은 이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자이면 충분히 기술적으로 유추할 수 있는 것이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
실시예
단풍나무 원목(솔리드) 판재의 상면을 연마하고, 상기 판재의 상면과 측면을 연결하는 모서리가 곡면을 갖도록 제4 블레이드에 접촉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판재의 제1 측면을 회전하는 제1 블레이드에 접촉시켜 판재의 제1 측면을 커팅하여 결합돌기를 형성하였다. 이후, 상기 판재의 제2 측면을 회전하는 제2 블레이드에 접촉시켜 판재의 제2 측면을 커팅하여 결합홈을 형성하였다. 양 측면에 결합돌기와 결합홈이 형성된 판재의 하면을 회전하는 제3 블레이드에 접촉시켜 판재의 하면부을, 말단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중심부로 갈수록 연속적으로 높아지는 프로파일을 갖도록 형성하여 도 6과 같은 형태의 플로어링 패널을 제조하였다.
이때 바닥으로부터 상기 결합돌기 상면부까지의 높이(H1)는 12mm이고, 프로파일은 곡선이고, 하면부 중심부의 너비(W0)는 35mm, 최대 높이(Hmax)는 2.5mm로 형성하였고, 단면을 아치형태로 형성하였으며, 제1 말단부 너비(W1) 및 제2 말단부 너비(W2)는 각각 12.5mm 이고, 바닥면쪽으로 볼록한 곡면형태를 갖도록 형성하였다.
비교예 1
상기 도 6과 같은 형태의 하면부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플로어링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
상기 도 6과 같은 형태의 하면부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플로어링 패널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
상기 도 6과 같은 형태의 하면부를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 상기 실시예와 동일한 플로어링 패널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수분 접촉에 따른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3의 플로어링 패널의 치수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3의 플로어링 패널을 24 시간 동안 물에 침지하였다. 그 다음에 상기 플로어링 패널을 건져낸 후 건조하여 플로어링 패널의 너비를 상면부, 하면부 및 중앙부(결합홈과 결합돌기가 형성된 부분) 세 부위로 나누어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침수 전 너비(mm) 침수 및 건조 후 너비(mm)
하면부 중앙 상면부 하면부 중앙 상면부
실시예 60 60 60 60 60.2 60.4
비교예 1 60 60 60 64.7 64.8 65.2
비교예 2 60 60 60 64.1 63.9 64.3
비교예 3 60 60 60 64.3 64.4 64.5
도 7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3의 플로어링 패널을 24 시간 동안 물에 침지한 직후 치수 변화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8은 실시예 및 비교예 1~3의 플로어링 패널을 24 시간 동안 물에 침지한 직후 치수변화를 비교한 사진이며, 도 9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1~3의 플로어링 패널들을 건조한 후 치수변화를 비교한 사진이다.
상기 표 1 및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플로어링 패널은 비교예 1~3에 비해 치수 변화가 거의 없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 상면부 20: 하면부
30: 제1 측면부 31, 32: 결합돌기
40: 제2 측면부 41, 42: 결합홈
50: 방습층
100, 200, 300, 400, 500, 600: 플로어링 패널
1000: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
WO: 중심부 너비 W1: 제1 말단부 너비
W2: 제2 말단부 너비 Dp: 결합돌기 두께
Wp: 결합돌기 너비

Claims (5)

  1. 마루면을 형성하는 상면부;
    상기 상면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바닥을 지지하는 하면부;
    상기 상면부와 하면부를 연결하며, 결합돌기가 형성된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1 측면부의 반대편에 형성되며, 결합홈이 형성된 제2 측면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면부는, 상기 하면부의 양쪽 말단에 위치하여 바닥면을 지지하는 말단부와 상기 말단부 사이에 위치한 중심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말단부에서 상기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연속적으로 높아지는 프로파일을 가지며,
    상기 프로파일은 곡선이고, 상기 중심부의 단면이 아치형태를 가지며, 상기 말단부는 바닥면쪽으로 볼록한 곡면형태를 갖는 플로어링 패널.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부의 최고 높이는 하기 식 1을 만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로어링 패널:
    [식 1]
    1mm≤Hmax≤H1
    (상기에서, Hmax는 상기 중심부의 최고 높이이고, H1은 바닥으로부터 결합돌기 상면부까지의 높이이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면부와 상기 제1 측면부 및 제2 측면부를 연결하는 모서리는 곡면처리된 플로어링 패널.
  5. 제1항, 제3항 및 제4항중 어느 한 항의 플로어링 패널이 복수로 결합된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
KR1020150021211A 2015-02-11 2015-02-11 플로어링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 KR1015358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211A KR101535879B1 (ko) 2015-02-11 2015-02-11 플로어링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1211A KR101535879B1 (ko) 2015-02-11 2015-02-11 플로어링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5879B1 true KR101535879B1 (ko) 2015-07-14

Family

ID=53793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1211A KR101535879B1 (ko) 2015-02-11 2015-02-11 플로어링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587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9021A (zh) * 2017-11-06 2018-05-11 安徽枫帆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带扣合部的pvc地板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742Y1 (ko) * 1995-06-08 1999-04-01 이인석 개량 플로어링 보드
JP2003166306A (ja) * 2001-11-30 2003-06-13 Misawa Homes Co Ltd 床 材
JP2005256390A (ja) * 2004-03-11 2005-09-22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材とその施工構造
KR20120019363A (ko) * 2010-08-24 2012-03-06 (주)휴그린하이테크 발코니용 데크 구조물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1742Y1 (ko) * 1995-06-08 1999-04-01 이인석 개량 플로어링 보드
JP2003166306A (ja) * 2001-11-30 2003-06-13 Misawa Homes Co Ltd 床 材
JP2005256390A (ja) * 2004-03-11 2005-09-22 Toppan Printing Co Ltd 化粧材とその施工構造
KR20120019363A (ko) * 2010-08-24 2012-03-06 (주)휴그린하이테크 발코니용 데크 구조물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019021A (zh) * 2017-11-06 2018-05-11 安徽枫帆轨道装备有限公司 一种带扣合部的pvc地板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60136292A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JP4415381B2 (ja) 弾性フロアのためのフロアボードとフロアカバリング
KR20080092588A (ko) 양마보드와 섬유판을 포함하는 복합기재 구조를 적용한마루바닥재
TWM459265U (zh) 石材高架地板
KR101535879B1 (ko) 플로어링 패널 및 이를 포함한 플로어링 패널 시스템
ES2439260T3 (es) Placa de compuesto de madera
US20060174974A1 (en) Floorboard and floor convering for resilient floor
DK172290B1 (da) Fremgangsmåde til fremstilling af en krum træfiberplade, møbelplade til brug ved udøvelse af fremgangsmåden og træfiberplade fremstillet ved fremgangsmåden.
US20060177633A1 (en) Back grooved wood flooring composed of hpl, waterproof plywood and soundproof layer, and method of manufactruing the same
KR101867933B1 (ko) 고무패드 샌드위치 일체형 탄성목재 및 그 제조방법
JP5660541B2 (ja) クリック式合板床材
KR100554665B1 (ko)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067442B1 (ko) 휨 방지 기능을 가진 친환경 마루
KR200443146Y1 (ko) 마루 구조
KR200494666Y1 (ko) 조립식 매트리스 받침대
JP2008240416A (ja) 防音床材
KR101481524B1 (ko) 복합 빔 데크
KR200399608Y1 (ko) 조립식 마루 바닥재
JPH03166462A (ja) 木質床材
CN208064774U (zh) 一种抗变形的桌面结构
EP1627580B1 (en) An article of furniture obtained using panels
CN211900242U (zh) 一种抗变形防裂环保木质垭口门套板
JP5047642B2 (ja) 床用緩衝体及びそれを用いた床構造
KR100967051B1 (ko) 조립식 마루판
CN210459872U (zh) 一种复式结构三层实木复合地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8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