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554665B1 -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554665B1
KR100554665B1 KR1020050021263A KR20050021263A KR100554665B1 KR 100554665 B1 KR100554665 B1 KR 100554665B1 KR 1020050021263 A KR1020050021263 A KR 1020050021263A KR 20050021263 A KR20050021263 A KR 20050021263A KR 100554665 B1 KR100554665 B1 KR 1005546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coal
plate
piece
function plate
floor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212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문승규
Original Assignee
일진아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진아트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일진아트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500212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546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46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46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4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 E04F15/041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wood or with a top layer of wood, e.g. with wooden or metal connecting members with a top layer of wood in combination with a lower layer of other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에 유익한 숯을 천연상태 그대로 사용하면서 전체적인 강도가 크게 떨어지지 않도록 한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마루를 이루는 쿠션판(110)과, 쿠션판(110) 상부에 접착 고정되며 숯편(121)과 나무편(122)이 번갈아 가면서 수평상태로 연속하여 접합된 하부 숯기능판(120)과, 하부 숯기능판(120) 위에 접착 고정된 중간 몸체판(130)과, 중간 몸체판(130) 상부에 접착 고정되며 상기 하부 숯기능판(120)의 숯편(121)과 나무편(12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숯편(121)과 나무편(122)이 번갈아 가면서 수평상태로 연속하여 접합된 상부 숯기능판(140)과, 상부 숯기능판(140) 상부에 접착 고정된 상부 몸체판(150)과, 상부 숯기능판(140)과 소정 두께의 중간 몸체판(130) 상부가 일측변으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이루어진 조립돌기부(160)와, 상기 상부 숯기능판(140)과 소정 두께의 중간 몸체판(130) 상부의 타측변이 요부 가공되어 이루어진 조립홈부(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숯, 마루판재, 숯편, 나무편, 조립돌기부

Description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Floor-board for construction using charco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의 정면도.
도 4a 내지 4f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의 제조 과정을 차례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에 요홈과 표면보호층이 형성된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마루판재 110...쿠션판
120...하부 숯기능판 121,141...숯편
122,142...나무편 130...중간 몸체판
140...상부 숯기능판 150...상부 몸체판
160...조립돌기부 170...조립홈부
180...요홈 190...표면보호층
P...숯기능원판 P1...숯원판
P2...중간 몸체원판 P3...나무원판
본 발명은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인체에 유익한 숯을 천연상태 그대로 사용하면서 전체적인 강도가 크게 떨어지지 않도록 한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바닥면 시공에 이용되는 마루판재는 전체가 하나의 몸체판으로 된 구조를 이루고 있지만 대부분은 적정 두께가 되도록 얇은 박판을 여러 겹 접착하고 그 최상층에 무늬판을 접착하여 표면이 매끄럽고 미려하게 보이도록 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최근 소비자들의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는 추세에 따라, 마루판재에 이미 과학적으로 그 효능이 규명된 소재인 숯을 첨가하여 실내공기의 정화 및 습기의 제거에 의한 주변 환경의 쾌적함과 더불어 원적외선 발생에 의한 건강증대 등에 탁월한 효과를 얻도록 한 제품들이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의 일 예로서, 2000년에 국내특허출원되어 2002년에 등록된(등록번호: 10-359459호) "대나무 숯의 제조방법과 이를 이용한 자재"가 알려져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대나무 숯을 이용한 자재는 다수개의 숯쪽(11)과 숯쪽(11)의 강도를 보완하기 위한 지지블럭(12)이 일정간격 이격되어 번갈 아 가면서 길이방향으로 연접형성된 하판(10)과, 이 하판(10) 상부에 접착된 상판(20)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판(20)과 하판(10)이 접착된 상태에서 일측변에는 조립돌기부(13)가 형성되고 타측변에는 조립홈부(14)가 형성되어 다른 자재와의 조립이 용이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대나무 숯을 이용한 자재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첫째, 강도가 약한 재질 특성상, 상기 일측변의 조립돌기부(13)와 타측변의 조립홈부(14)의 숯쪽(11)부분이 시공과정이나 시공 후에 약한 충격에도 쉽게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된다. 특히, 조립돌기부(13a)의 숯쪽(11)부분이 파손되면, 자재 간의 조립상태가 불량해져 조립부위가 들뜨거나 불량해진 조립부위 사이로 파손된 숯가루가 실내로 배출되어 옷이나 신체에 숯이 묻어 검게 만들고 실내를 오염시키게 되며, 들뜬 부위를 밟고 지날 때마다 잡소리와 함께 유동이 발생된다.
둘째, 시공할 바닥면이나 하판(10)의 바닥면이 조금이라도 고르지 못한 경우에는 하판(10)이 시공 바닥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바닥이 들뜨게 되면, 자재 간의 조립부위에 전단력이 발생되면서 강도가 취약한 숯편(11)이 파손되는 앞서 서술한 첫번째 문제로 이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문제점들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조립부의 숯편이 쉽게 파손되지 않고, 시공바닥면과의 밀착성이 높아지는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루를 이루는 쿠션판과, 쿠션판 상부에 접착 고정되며 숯편과 나무편이 번갈아 가면서 수평상태로 연속하여 접합된 하부 숯기능판과, 상기 하부 숯기능판 위에 접착 고정된 중간 몸체판과, 중간 몸체판 상부에 접착 고정되며 상기 하부 숯기능판의 숯편과 나무편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숯편과 나무편이 번갈아 가면서 수평상태로 연속적하여 접합된 상부 숯기능판과, 상부 숯기능판 상부에 접착 고정된 상부 몸체판과, 상기 상부 숯기능판과 소정 두께의 중간 몸체판 상부가 일측변으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이루어진 조립돌기부와, 상기 상부 숯기능판과 소정 두께의 중간 몸체판 상부의 타측변이 요부 가공되어 이루어진 조립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쿠션판과 하부숯기능판과 중간 몸체판에는 시공할 바닥면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마루판재에 용이하게 충진될 수 있도록 하부 숯기능판의 숯편과 나무편의 경계부를 따라 요홈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은 동일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숯원판, 중간 몸체원판, 나무원판을 차례로 적층한 후 접착 고정시켜 숯기능원판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숯기능원판을 일정 폭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다수의 숯기능원판들로 분할시키는 단계와, 분할된 각각의 숯기능원판들을 교대로 반전시켜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열한 뒤 접착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볼 때 하부 숯기능판과 중간 몸체판과 상부 숯기능판을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상부숯기능판의 상부와 하부 숯기능판의 하부에 각각 상부 몸체판과 쿠션판을 부착시켜 마루원판을 완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마루원 판을 숯기능원판들의 접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가지도록 절단하여 다수의 마루판재들로 분할시키는 단계와, 분할된 마루판재 간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마루판재의 일측변과 타측변에 각각 조립돌기부와 조립홈부를 형성시키는 단계와, 상기 쿠션판과 하부 숯기능판과 중간 몸체판에는 시공할 마루면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마루판재에 용이하게 충진되도록 하부 숯기능판의 숯편과 나무편의 경계부를 따라 요홈이 가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는 쿠션판(110)이 최하층을 이루며, 이 쿠션판(110)의 상부에 숯편(121)과 나무편(122)이 번갈아 가면서 수평상태로 연속하여 접합되어 이루어진 하부 숯기능판(120)이 위치된다.
상기 하부 숯기능판(120)의 상부에는 목재로 이루어진 중간 몸체판(130)이 접착되며, 중간 몸체판(130)의 상부에는 상부 숯기능판(140)이 위치된다. 이 상부 숯기능판(140)은 하부 숯기능판(120)의 숯편(121)과 나무편(122)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숯편(141)과 나무편(142)이 번갈아 가면서 수평상태로 연속하여 접합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숯기능판(140)의 상부에는 단일 합판으로 이루어진 최상층을 이루는 상부 몸체판(150)이 부착된다.
아울러, 상기 상부 숯기능판(140)과 소정 두께의 중간 몸체판(130) 상부의 일측변에는 상기 상부 숯기능판(140)과 소정 두께의 중간 몸체판(130)의 상부가 수평연장되어 이루어진 조립돌기부(160)가 형성되며, 상기 조립돌기부(160)에 대응되도록 상기 상부 숯기능판(140)과 소정 두께의 중간 몸체판(130) 상부의 타측변에는 조립홈부(170)가 형성된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시공시 시공바닥면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마루판재(100)에 용이하게 충진될 수 있도록 상기 쿠션판(110)과 하부 숯기능판(120)과 중간 몸체판(130)에는 하부 숯기능판(120)의 숯편(121)과 나무편(122)의 경계부를 따라 요홈(18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몸체판(150)의 상부는 마루시공시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이 되는데, 상기 상부 몸체판(150)의 표면에는 보호하도록 UV코팅제가 코팅되어 이루어진 표면보호층(190)이 별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는 다음과 같은 과정에 의해서 제조된다.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동일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단일의 숯원판(P1), 중간 몸체원판(P2), 나무원판(P3)을 차례로 적층한 후 접착 고정시켜 숯기능 원판(P)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숯기능원판(P)을 일정 폭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다수의 숯기능원판들(P')로 분할시킨 다음,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각각의 숯기능원판들(P')을 교대로 반전시켜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열한 뒤 접착시킨다. 이렇게 하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볼 때 숯편과 나무편이 교대로 배열되어 이루어진 하부 숯기능판(120)과 상부 숯기능판(140)이 형성되며 하부 숯기능판(120)과 상부 숯기능판(140) 사이에 중간 몸체판(1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상부 숯기능판(120)의 상부와 하부 숯기능판(120)의 하부에 각각 상부 몸체판(150)과 쿠션판(110)을 부착시킨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치게 되면 단일의 마루원판(B)이 완성된다.
마루원판(B)이 완성되면, 도 4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루원판(B)을 숯기능원판들의 접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절단하여 다수의 마루판재들(B')로 분할시킨다.
그리고 도 4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마루판재 간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마루판재의 일측변과 타측변에 각각 조립돌기부(160)와 조립홈부(170)를 형성시킨 다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루 시공시 시공바닥면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마루판재(100)의 마루면에 충진되어 접착력이 향상되도록 상기 마루판재(100)의 쿠션판(110)과, 하부 숯기능판(120)과, 중간 몸체판(130)에 상기 하부 숯기능판(120)의 숯편(121)과 나무편(122)의 경계부를 따라 요홈(180)을 가공시키면 본 발명의 마루판재(100)가 완성된다.
한편, 상기 상부 몸체판(150)의 상부에 UV코팅제를 도포하여 표면보호층(190)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더 거칠 수도 있다.
UV코팅제를 도포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부 몸체판(150)의 표면을 샌딩처리하여 매끄럽게 한 다음 샌딩된 표면에 UV코팅제를 롤코팅에 의해 수회 도포하고 일정시간 동안 건조과정을 거친다. 이렇게 하면, 상부 몸체판(150)의 표면에는 일정두께로 표면보호층(190)이 형성되게 되는데, 상기 표면보호층(190)은 상부 몸체판(150)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홈을 UV코팅제가 메우도록 함으로써 사용과정에서 외부로 노출되는 표면을 보호함과 함께 시각적으로 매끄럽고 평탄하게 보이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마루판재(100)를 시공하는 과정에서는 물론 시공 후 사용하는 과정에서 하부 숯기능판(120)을 이루는 숯편(121) 및 상부 숯기능판(140)을 이루는 숯편(141)이 약한 강도로 인해 쪼개지려고 하거나, 상기 하부 숯기능판(120)을 기준으로 쿠션판(110) 및 중간 몸체판(130)이 서로 분리되려고 하거나, 상부 숯기능판(140)을 기준으로 중간 몸체판(130) 및 상부 몸체판(150)이 서로 분리되려고 하더라도 상기 하부 숯기능판(120)을 이루는 나무편(122)의 양면이 각각 하부 몸체판과 중간 몸체판(130)에 견고하게 접착 고정되어 있음은 물론 상부 숯기능판(140)을 이루는 나무편(142)의 양면이 중간 몸체판(130)과 상부 몸체판(150)에 견고하게 접착 고정되어 있어 상기 숯편(121,141)의 약한 강도를 나무편(122,142)이 보강시켜 주는 역할을 함에 따라 결국 하부 숯기능판(120) 및 상부 숯기능판(140)의 강도가 전체적으로 강해지면서 쉽게 쪼게지거나 하지는 않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마루판재(100)는 일측변과 타측변에 형성된 조립돌기부(160)와 조립홈부(170)를 이용하여 다른 마루판재(100)와 용이하게 조립된 상태로 시공되는데, 조립돌기부(160)가 상부 숯기능판(140)과 소정 두께의 중간 몸체판(130) 상부에 의해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조립돌기부(160)를 이루는 숯편(141)이 외력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시공과정에서 조립돌기부(160)의 하방으로 외력이 인가될 경우, 조립돌기부(160)를 이루는 상부 숯기능판(140)의 숯편(141)은 하부에 위치된 소정두께의 중간 몸체판(130)에 의해 지지가 되므로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조립돌기부(160)의 상방으로 외력이 인가될 경우, 상부 숯기능판(140)의 숯편(141)은 소정두께의 중간 몸체판(130)에 의해 외력이 전달되지 않게 되므로 손상되지 않는다.
조립돌기부(160)의 손상이 방지되면, 종래와 같이 마루판재(100)간의 조립상태가 불량해져 조립부위가 들떠 조립상태가 불량해지거나 불량해진 조립부위 사이로 파손된 숯가루가 실내로 배출되어 옷이나 신체에 숯이 묻어 검게 만들고 실내를 오염시키는 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또한, 본 발명의 마루판재(100)의 쿠션판(110)은 시공할 바닥면과 마루판재(100)간의 발생하는 단차를 흡수하므로 시공할 바닥면이 고르지 못한 경우, 마루판재(100)가 시공할 바닥면에 밀착되지 못하고 들뜨게 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에 의하면, 조립돌기부가 상부 숯기능판과 소정 두께의 중간 몸체판 상부에 의해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종래와 같이 상기 조립돌기부를 이루는 숯편이 외력에 의해 손상되지 않으며, 마루판재의 하부에 쿠션판을 부착하여 시공바닥면과의 밀착성을 높임으로써 마루판재 간의 조립신뢰도를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바닥을 이루는 쿠션판과,
    쿠션판 상부에 접착 고정되며 숯편과 나무편이 번갈아 가면서 수평상태로 연속하여 접합된 하부 숯기능판과,
    하부 숯기능판 위에 접착 고정된 중간 몸체판과,
    중간 몸체판 상부에 접착 고정되며 상기 하부 숯기능판의 숯편과 나무편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서로 엇갈리도록 숯편과 나무편이 번갈아 가면서 수평상태로 연속하여 접합된 상부 숯기능판과,
    상부 숯기능판 상부에 접착 고정된 상부 몸체판과,
    상부 숯기능판과 소정 두께의 중간 몸체판 상부가 일측변으로부터 수평연장되어 이루어진 조립돌기부와,
    상부 숯기능판과 소정 두께의 중간 몸체판 상부의 타측변이 요부 가공되어 이루어진 조립홈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2. 제 1항에 있어서,
    쿠션판과 하부숯기능판과 중간 몸체판에는 시공할 바닥면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마루판재에 용이하게 충진될 수 있도록 하부 숯기능판의 숯편과 나무편의 경계부를 따라 요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3. 동일한 두께와 면적을 갖는 숯원판, 중간 몸체원판, 나무원판을 차례로 적층한 후 접착 고정시켜 숯기능원판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숯기능원판을 일정 폭과 일정 길이로 절단하여 다수의 숯기능원판들로 분할시키는 단계;
    분할된 각각의 숯기능원판들을 교대로 반전시켜 수평방향으로 연속 배열한 뒤 접착시킴으로써 전체적으로 볼 때 하부 숯기능판과 중간 몸체판과 상부 숯기능판을 형성시키는 단계;
    상기 상부숯기능판의 상부와 하부 숯기능판의 하부에 각각 상부 몸체판과 쿠션판을 부착시켜 마루원판을 완성시키는 단계;
    상기 마루원판을 숯기능원판들의 접합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일정 폭을 가지도록 절단하여 다수의 마루판재들로 분할시키는 단계;
    분할된 마루판재 간의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마루판재의 일측변과 타측변에 각각 조립돌기부와 조립홈부를 형성시키는 단계; 및
    쿠션판과 하부 숯기능판과 중간 몸체판에는 시공바닥면에 도포되는 접착제가 마루판재에 용이하게 충진되도록 하부 숯기능판의 숯편과 나무편의 경계부를 따라 요홈이 가공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의 제조방법.
KR1020050021263A 2005-03-15 2005-03-15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055466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263A KR100554665B1 (ko) 2005-03-15 2005-03-15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21263A KR100554665B1 (ko) 2005-03-15 2005-03-15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4665B1 true KR100554665B1 (ko) 2006-02-24

Family

ID=371791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21263A KR100554665B1 (ko) 2005-03-15 2005-03-15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54665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404B1 (ko) * 2016-10-11 2017-05-19 (주)아도니스글로벌 층간소음저감온돌마루
US10920370B2 (en) 2019-01-09 2021-02-16 Interface, Inc. Surface coverings including carbon sequestering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KR20220010787A (ko) * 2020-07-20 2022-01-27 황성현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US11851813B2 (en) 2019-01-09 2023-12-26 Interface, Inc. Surface coverings including carbon sequestering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37404B1 (ko) * 2016-10-11 2017-05-19 (주)아도니스글로벌 층간소음저감온돌마루
US10920370B2 (en) 2019-01-09 2021-02-16 Interface, Inc. Surface coverings including carbon sequestering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US11851813B2 (en) 2019-01-09 2023-12-26 Interface, Inc. Surface coverings including carbon sequestering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KR20220010787A (ko) * 2020-07-20 2022-01-27 황성현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KR102382920B1 (ko) * 2020-07-20 2022-04-04 황성현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696514T3 (es)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a placa sándwich
KR100554665B1 (ko)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2011110939A (ja) ベニヤ強化原木床及びその製造方法
EP2644478B1 (en) Plywood Panel
ES2317065T3 (es) Tablero chapado.
FI126845B (fi) Komposiittilevy, menetelmä sen valmistamiseksi sekä komposiittilevy-yhdistelmä
JP2017124554A (ja) ラッピング化粧板及びその製造方法
JP2008115642A (ja) 建築用板材
JPH0771106A (ja) 化粧床材
JP5324032B2 (ja) 床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717917B2 (ja) 木質系防音床材
JP5188341B2 (ja) 無垢遮音床材
JP5056457B2 (ja) 防湿合板の製造方法および該防湿合板を用いた床板
JP2004324401A (ja) 木質床材
JPH11333811A (ja) 塗装建築板
KR100615584B1 (ko) 숯을 이용한 건축용 판재 및 그 제조방법
JP2003276009A (ja) 床 材
JP5180804B2 (ja) 木質床材
JP4903450B2 (ja) 複合板
JP2602459B2 (ja) 遮音性木質系床材
KR200281865Y1 (ko) 돗자리용 목편
JP2001129810A (ja) 木質材
JPS6039214Y2 (ja) 木質構造部材
JPH0420913Y2 (ko)
JPH1136509A (ja) パネル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