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787A -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 Google Patents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787A
KR20220010787A KR1020200089314A KR20200089314A KR20220010787A KR 20220010787 A KR20220010787 A KR 20220010787A KR 1020200089314 A KR1020200089314 A KR 1020200089314A KR 20200089314 A KR20200089314 A KR 20200089314A KR 20220010787 A KR20220010787 A KR 202200107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ttached
plywood
cork layer
noise
re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82920B1 (ko
Inventor
황성현
Original Assignee
황성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성현 filed Critical 황성현
Priority to KR102020008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2920B1/ko
Publication of KR202200107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7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2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29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board or ven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animal or vegetable substances, e.g. cork, bamboo, starc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 두께의 합판 상면에 고압수지함침시트(High Pressure Laminate, HPL) 또는 저압수지함침시트(Low Pressure Laminate, LPL)가 부착되고, 판면을 관통하는 개구가 일정한 밀도로 분포하도록 형성되는 타공 코르크층이 상기 합판의 저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마루 바닥재는, 상기 타공 코르크층의 저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마루 바닥면에 부착되되, 상기 타공 코르크층이 상기 개구가 형성되지 않은 저면의 비개구면을 통해 상기 바닥면에 부착 및 고정되고, 상기 합판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저면이 상기 개구에 충진되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상기 바닥면에 부착 및 고정되며, 상기 합판은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세로홈이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코르크층을 가지면서도 합판의 온,습도에 따른 치수변화를 막을 수 있고, 이에 더하여 상기 합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세로홈을 통해 합판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전달되는 소음을 부수는 차음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FLOOR TILE FOR REDUCING FLOOR NOISE}
본 발명은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에 관한 것으로서, 마루 바닥재를 구성하는 합판의 온,습도에 따른 치수변화를 막을 수 있는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일반적으로, 합판으로 이루어진 마루 바닥재는 친환경적이라는 이유로 널리 애용되고 있으며,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바닥면에 직접 부착시켜 고정하는 시공방법에 의함으로써 온도나 습도의 변화에 따라 뒤틀리거나 이웃하는 마루 바닥재 사이의 틈새가 벌어지는 등 변형이 일어나지 못하도록 잡아주어야 한다.
이러한 마루 바닥재를 개량하여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판(30)의 저면에 코르크패널(60)을 형성하여 이를 통해 바닥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층간소음을 저감하고자 한 기술이 소개된 바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은 우리나라 온돌문화의 특성상 상대적으로 밀도가 낮은 코르크패널(60)이 바닥면에 접착되면서 합판(30)이 온도나 습도에 따라 변화하는 치수를 상기 코르크패널(60)이 제대로 잡아주지 못해 이웃하는 바닥재 표면 간의 틈새가 벌어진다거나 단차가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는 잦은 고객 클레임의 원인이 되었고 지금까지 우리나라에 정착하지 못한 이유였다.
[선행기술문헌]
특허등록 제1737404호(등록일자: 2017.05.12.)
특허등록 제1067442호(등록일자: 2011.09.19.)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합판의 저면에 코르크층을 가지면서도 상기 합판의 온,습도에 따른 치수변화를 막을 수 있으며 층간소음 방지를 위하여 상기 합판의 형상을 개선한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에 있어서, 소정 두께의 합판 상면에 고압수지함침시트(High Pressure Laminate, HPL) 또는 저압수지함침시트(Low Pressure Laminate, LPL)가 부착되고, 판면을 관통하는 개구가 일정한 밀도로 분포하도록 형성되는 타공 코르크층이 상기 합판의 저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마루 바닥재는, 상기 타공 코르크층의 저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마루 바닥면에 부착되되, 상기 타공 코르크층이 상기 개구가 형성되지 않은 저면의 비개구면을 통해 상기 바닥면에 부착 및 고정되고, 상기 합판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저면이 상기 개구에 충진되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상기 바닥면에 부착 및 고정되고, 상기 합판은,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세로홈이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합판은 상기 세로홈에 직교하는 가로홈이 상기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상기 세로홈은 폭 2~5mm, 깊이 2~3mm이고, 상기 가로홈은 폭 2mm, 깊이 1~1.5mm로서, 상기 세로홈의 폭과 깊이가 상기 가로홈보다 더 큰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개구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타공 코르크층의 전체 면적의 8~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는 상기 합판과 상기 고압수지함침시트 또는 저압수지함침시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부착되는 1차 충격 흡수용 비 타공 코르크층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에 의하면 합판의 저면에 부착되는 타공 코르크층을 통해 바닥면에 부착시킴으로써 층간소음을 저감함은 물론, 상기 타공 코르크층에 분포 형성되는 관통 개구를 통해 상층의 합판이 마루 바닥면에 접착제로 접착 및 고정되도록 할 수 있으므로 온,습도의 변화에 따른 상기 합판의 치수변화까지도 막을 수 있어, 상기 타공 코르크층이 이중의 역할을 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합판의 저면에 형성되는 세로홈을 통해 합판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전달되는 소음을 부수는 차음 효과를 얻을 수 있음은 물론, 상기 공기층의 형성을 통해 온·습도 조절 및 보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의 분해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의 결합된 모습에서 타공 코르크층을 제거한 모습의 저면 부분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합판의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5는 도 2의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의 결합된 모습의 부분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의 결합된 모습의 저면 부분 사시도,
도 7은 도 2의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의 결합 단면도로서 마루 바닥면에 부착된 모습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압수지함침시트(High Pressure Laminate, HPL: 110), 비 타공 코르크층(120), 합판(130) 및 타공 코르크층(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압수지함침시트(110)는 종이를 멜라민수지에 함침하여 건조함으로써 얻어지는 오버레이(overlay, 111), 역시 종이를 멜라민수지에 함침하여 건조함으로써 얻어지는 모양지(112), 그리고 종이를 페놀수지에 함침하여 건조함으로써 얻어지는 크라프트지(kraft pater, 113)를 상부로부터 순차로 적층 및 가열, 가압하여 일체화한 것이다. 이때, 오버레이(111)의 상면은 별도의 이형지(도면 미도시)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용 패턴이 형성될 수도 있다.
비 타공 코르크층(120)은 코르크 재질로서 타공이 형성되지 않은 것이며 상,하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고압수지함침시트(110)와 합판(130) 사이에 개재되어 부착된다. 비 타공 코르크층(120)은 후술하는 타공 코르크층(140)에 앞서 1차적으로 충격을 흡수하는 부가적인 구성요소임과 동시에 이를 통해 마루 바닥재(100)의 표면에 접촉하는 이용자의 발이나 신체부위에 부드러운 촉감을 유발시킬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비 타공 코르크층(120)을 생략할 수도 있다.
합판(130)은 얇은 목재판들이 적층되어 일체화하여 소정의 두께로 이루어지는 판재이다. 합판(130)의 저면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수의 세로홈(131)이 형성된다.
타공 코르크층(140)은 소음저감을 위한 주 구성요소로서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상기 합판(130)의 저면에 부착되며, 판면을 관통하는 개구(141)가 일정하게 분포 형성된다.
상기 합판(1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다수의 세로홈(131), 이에 직교하는 다수의 가로홈(132)이 형성된다. 이들 세로홈(131)과 가로홈(1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판(130)의 가로방향의 휘어짐 및 세로방향의 휘어짐을 방지하여 전체적으로 합판(130)의 뒤틀림을 방지해주는 부수적 기능도 있다.
특히, 가로홈(132)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사이즈의 세로홈(131)을 통해서는 합판(130)의 저면 내부에 공기층을 형성함으로써 바닥재(100)가 깔리는 홀(Hall) 공간으로부터 하방향으로 전달되는 소음이 부서지는 공간을 제공하여 차음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나아가, 세로홈(131)이 형성하는 공기층으로부터 온도 및 습도 조절, 보온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세로홈(131)은 폭(W1) 2~5mm, 깊이(H1) 2~3mm인 것이 바람직하고, 바닥재(100)의 전체 폭(V)이 95mm인 규격 사이즈의 경우 이러한 세로홈(131)은 2~3줄 일정한 간격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상일 경우 합판(130)이 부러질 염려가 있다. 또한, 세로홈(131)이 하나 뿐이거나 상기 사이즈보다 더 작을 경우에는 이에 따른 상기한 효과를 달성하기 어렵다.
이에 비하여, 가로홈(132)은 세로홈(131)보다 작은 폭(W2) 2mm, 깊이(H2) 1~1.5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일체화하여 얻어지는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이 고압수지함침시트(110)를 이루고,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이 타공 코르크층(140)을 이룬다. 개구(141)는 타공 코르크층(140)의 판면을 따라 동일한 크기와 일정한 간격으로 유지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일정한 밀도로 분포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타공 코르크층(140)으로 이루어지는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100)의 저면이, 도포되는 접착제를 매개로 마루 바닥면(1)에 부착되는 모습은 도 7와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타공 코르크층(140)은 개구(141)가 형성되지 않은 비개구면(142, 도 6 참조)을 통해 접착제(151)를 매개로 하여 마루 바닥면(1)에 부착 및 고정된다. 이와 동시에 개구(141)로 유입되어 채워지는 접착제(152)를 매개로 하여 타공 코르크층(140) 상의 합판(130) 역시 마루 바닥면(1)에 부착 및 고정된다.
이에 따라, 온돌마루인 마루 바닥면(1)의 온도 변화나 실내의 습도변화에 의한 경우에도 합판(130)은 개구(141)를 통해 마루 바닥면(1)에 부착 및 고정되어 있으므로 그 신축이나 뒤틀림이 방지될 수 있다.
개구(141)를 다 채우고도 남는 잉여 접착제(152)에 대하여는 합판(130) 저면에 형성된 세로홈(131)과 가로홈(도 3의 132)이 침투할 수 있는 여유공간을 제공한다.
도 6에서, 개구(141)가 차지하는 전체 면적은 타공 코르크층(140)의 전체 면적의 8~50%인 것이 바람직하다. 50%가 넘을 경우에는 타공 코르크층(140)에 의한 소음저감 효과가 떨어지게 되며, 8% 미만일 경우에는 이를 통한 합판(130)의 마루 바닥면(도 5의 1)에 대한 부착 및 고정 효과가 떨어진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고압수지함침시트(도 2의 110)가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100)의 최상층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어 상기 고압수지함침시트(110) 대신에 저압수지함침시트(Low Pressure Laminate, LPL; 도면 미도시)가 최상층을 이루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저압수지함침시트(LPL)는 오버레이(도 2의 111 참조)와 모양지(112)가 적층되어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일체화하여 얻어지는 구성으로서, 이때에도 상기 오버레이의 상면에 별도의 이형지(도면 미도시)를 적층시킨 상태에서 가열 및 가압함으로써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진 미끄럼방지용 패턴을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서 개구(도 6의 141)는 원형인 것으로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모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개구는 사각형 기타 다각형 내지 특수 문양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상에서 설명된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100)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후술하는 청구범위 내지 그 균등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지 기술적 범위는 상기 설명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110: 고압수지함침시트
111: 오버레이
112: 모양지
113: 크라프트지
120: 비 타공 코르크층
130: 합판
131: 세로홈
132: 가로홈
140: 타공 코르크층
141: 개구
142: 비개구면
151, 152: 접착제

Claims (5)

  1.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에 있어서,
    소정 두께의 합판 상면에 고압수지함침시트(High Pressure Laminate, HPL) 또는 저압수지함침시트(Low Pressure Laminate, LPL)가 부착되고, 판면을 관통하는 개구가 일정한 밀도로 분포하도록 형성되는 타공 코르크층이 상기 합판의 저면에 부착됨으로써,
    상기 마루 바닥재는,
    상기 타공 코르크층의 저면에 도포되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마루 바닥면에 부착되되, 상기 타공 코르크층이 상기 개구가 형성되지 않은 저면의 비개구면을 통해 상기 바닥면에 부착 및 고정되고, 상기 합판은 상기 개구를 통해 노출되는 저면이 상기 개구에 충진되는 접착제를 매개로 하여 상기 바닥면에 부착 및 고정되고,
    상기 합판은
    저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세로홈이 가로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판은
    상기 세로홈에 직교하는 가로홈이 상기 길이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다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로홈은 폭 2~5mm, 깊이 2~3mm이고,
    상기 가로홈은 폭 2mm, 깊이 1~1.5mm로서,
    상기 세로홈의 폭과 깊이가 상기 가로홈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가 차지하는 면적은 상기 타공 코르크층의 전체 면적의 8~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합판과 상기 고압수지함침시트 또는 저압수지함침시트의 사이에 개재되어 부착되는 1차 충격 흡수용 비 타공 코르크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KR1020200089314A 2020-07-20 2020-07-20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KR102382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314A KR102382920B1 (ko) 2020-07-20 2020-07-20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314A KR102382920B1 (ko) 2020-07-20 2020-07-20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787A true KR20220010787A (ko) 2022-01-27
KR102382920B1 KR102382920B1 (ko) 2022-04-04

Family

ID=80049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314A KR102382920B1 (ko) 2020-07-20 2020-07-20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292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401A (ja) * 2003-04-09 2004-11-18 Eidai Co Ltd 木質床材
KR100554665B1 (ko) * 2005-03-15 2006-02-24 일진아트산업 주식회사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737404B1 (ko) * 2016-10-11 2017-05-19 (주)아도니스글로벌 층간소음저감온돌마루
KR20170095074A (ko) * 2016-02-12 2017-08-22 (주)경동월드와이드 이면에 홈이 형성된 마루바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24401A (ja) * 2003-04-09 2004-11-18 Eidai Co Ltd 木質床材
KR100554665B1 (ko) * 2005-03-15 2006-02-24 일진아트산업 주식회사 숯을 이용한 마루판재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95074A (ko) * 2016-02-12 2017-08-22 (주)경동월드와이드 이면에 홈이 형성된 마루바닥재
KR101737404B1 (ko) * 2016-10-11 2017-05-19 (주)아도니스글로벌 층간소음저감온돌마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2920B1 (ko) 2022-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34829B2 (en) Floor panel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U2018228716B2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waterproof floor or wall covering, method of producing a panel
US20060024465A1 (en) Laminate flooring members
US20090269522A1 (en) Water Resistant Wide Flooring Boards
EP2035222B1 (en) A decorative, low noise laminate equipped with a patterned balance layer formed by compression
KR101722537B1 (ko) 방수 및 흡음이 가능한 다기능 마루 바닥재
KR20160027660A (ko) 치수안정성이 개선된 폴리염화비닐수지 바닥재
KR101755075B1 (ko) 복합 hpl을 이용한 바닥장식재
KR102382920B1 (ko)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JP3068380B2 (ja) 化粧床材
KR101326369B1 (ko) 폭 방향 변형에 강한 합판마루
KR20220050340A (ko) 층간소음 저감용 마루 바닥재
KR20090006503A (ko) 변형 방지 천연무늬목 표면 합성수지 시트
JP4925194B2 (ja) 合板とこれを用いた建築板および木質防音床材並びに合板の製造方法
KR100475210B1 (ko) 방음성 바닥재
JP2002086420A (ja) フロア−用台板合板
KR102016720B1 (ko) 바닥 시공용 목재 마루판
KR20220036426A (ko)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KR102623179B1 (ko) 층간소음 완화형 바닥재 구조
KR200305869Y1 (ko) 마루판
WO2020144112A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floor covering
KR20230000826A (ko) 강마루 시스템
KR20090117018A (ko) 마루바닥재용 표면재 및 이를 구비한 마루 바닥재
JP2009293329A (ja) 床材
JPH10121707A (ja) 床板用複合基材及び床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