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6426A -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 Google Patents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6426A
KR20220036426A KR1020200118109A KR20200118109A KR20220036426A KR 20220036426 A KR20220036426 A KR 20220036426A KR 1020200118109 A KR1020200118109 A KR 1020200118109A KR 20200118109 A KR20200118109 A KR 20200118109A KR 20220036426 A KR20220036426 A KR 202200364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plywood
glass fiber
pvc
pvc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10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04593B1 (ko
Inventor
신기현
Original Assignee
신기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기현 filed Critical 신기현
Priority to KR10202001181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4593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4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4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45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45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in the form of 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2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woo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06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foa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1/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1/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 B32B21/1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wood, e.g. wood board, veneer, wood particle board comprising wood board or vene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18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a layer of foamed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3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3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23/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J123/02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dhesive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J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J1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9J123/0853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2Composition of the impregnated, bonded or embedded layer
    • B32B2260/028Paper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0/00Layered product comprising an impregnated, embedded, or bonded layer wherein the layer comprises an 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Impregnation, embedding, or binder material
    • B32B2260/046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6/00Composition of foam
    • B32B2266/02Organic
    • B32B2266/0214Materials belonging to B32B27/00
    • B32B2266/0221Vinyl resin
    • B32B2266/0235Vinyl halide, e.g. PVC, PVDC, PVF, PVD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rchitectur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질층의 하부에 PVC 발포층을 부착하여 층간소음을 감소시키고 보행감을 개선하며, 목질층과 친환경 PVC 발포층 사이에 유리섬유층을 배치하여 온도변화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이종(異種) 재료간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은, 베니어(veneer)를 접착시켜 만들어진 합판: 합판 상부에 EVA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시킨 표면치장재; 합판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유리섬유층; 제2 유리섬유층 하부에 배치되어 접착되며, PVC를 발포시켜서 제조된 PVC 발포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제2 유리섬유층 및 PVC 발포층을 EVA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판의 하부에 부착시켜 구성된다.

Description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Glass fiber laminated PVC foam sound insulation floorboard}
본 발명은 PVC 발포 차음 마루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마루판의 목질층 하부에 유리섬유가 적층된 친환경 PVC 발포층을 부착하여 층간소음을 감소시키고 보행감을 개선할 수 있는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주택이나 아파트 등 주거용 공간에 사용되는 바닥재로는 원목으로 이루어진 표면층에 UV 도장으로 마감된 원목 마루판, 중밀도 섬유판(MDF)에 무늬목과 모양지를 부착한 다음 표면을 UV 도장하고 저압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LPL) 또는 고압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HPL)로 마감하는 강화 마루판, 천연무늬목에 HPL로 마감하는 무늬목 치장 복합 마루판, 내수합판에 HPL로 마감하여 내마모성과 내구성을 강조한 강마루판 등 다양한 종류가 출현하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이와 같은 치장목질 바닥재는 표면 경도가 높으므로 층간소음이 많을 뿐만 아니라 보행감에 있어서 빨리 피로감을 주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최근 주거형태의 트랜드가 아파트, 다세대주택 등과 같은 공동주택이 대세를 이루면서, 공동주택에서의 실내환경에 대한 요구 수준도 높아지고 층간소음으로 인한 분쟁이 끊임없이 발생하면서 사회문제화 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정부에서도 바닥충격음 기준을 충족하는 표준바닥구조 및 바닥충격음 차단성능 등급을 제정하여 주택건설기준 등에 관한 규정을 고시하였다. 바닥충격음 저감재로 유리면, 스티로폼, 방진고무 또는 폐타이어를 분쇄한 고무칩 등이 다양한 형태로 이용되고 있으나, 바닥충격음 차단기준을 만족하기가 쉽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공개특허 제2005-47509호 "에틸렌비닐아세테이트와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포함하는 바닥충격음 저감재"와 같은 기술이 출현했는데, 상기 특허는 공동주택의 바닥충격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EVA에 폴리우레탄 접착제를 혼합하여 판상(板狀) 또는 롤(roll) 형태로 바닥재를 만든 것이다. 하지만, 상기 특허를 비롯한 대부분의 목질바닥재(마루판)가 층간소음을 줄일 수 있는 바닥충격음 저감 효과 및 보행감이 좋지 않고, 이종(異種) 재료를 접착시켜서 만든 바닥재의 경우에는 온도변화에 따라 재료가 분리되거나 뒤틀리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목질층의 하부에 친환경 PVC 발포층을 부착하여 층간소음을 감소시키고 보행감을 개선하며, 목질층과 PVC 발포층 사이에 유리섬유층을 배치하여 온도변화에 따라 발생하게 되는 이종(異種) 재료간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은, 베니어(veneer)를 접착시켜 만들어진 합판: 합판 상부에 EVA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시킨 표면치장재; 합판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유리섬유층; 제2 유리섬유층 하부에 배치되어 접착되며, PVC를 발포시켜서 제조된 PVC 발포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유리섬유층 및 PVC 발포층을 EVA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판의 하부에 부착시켜 구성되며, 합판과 표면치장재를 합한 두께는 제2 유리섬유층과 PVC 발포층을 합한 두께의 2∼2.5배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표면치장재는, 그림이나 문양 또는 패턴이 인쇄된 전사인쇄층; 전사인쇄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유리섬유층; 전사인쇄층 상부에 배치되는 투명 PVC층; 투명 PVC층 상부에 도포된 UV 코팅층이 일체로 접착되어 구성된 것으로, 제1 유리섬유층이 합판의 상면에 EVA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면서 표면치장재가 합판과 일체로 접착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PVC 발포 차음 마루판의 다른 실시예는, 베니어(veneer)를 접착시켜 만들어진 합판: 합판 상부에 부착시킨 고압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HPL); 합판 하부에 배치되며, PVC를 발포시켜서 제조된 PVC 발포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압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HPL)는, 최상층에 위치하게 되는 멜라민수지 함침 오버레이지(overlay paper); 오버레이지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그림이나 문양이 인쇄된 인쇄지; 인쇄지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크라프트(kraft)지를 적층시키고, 열압을 가하여 멜라민수지가 녹으면서 접착제 역할을 하여 일체로 접착되어 형성된 것이며, 합판과 고압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HPL)를 합한 두께는 PVC 발포층 두께의 2∼2.5배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PVC 발포 차음 마루판은 목질층의 하부에 친환경 PVC 발포층을 부착시킨 구조이기 때문에 발포층으로 인해 충격 흡수율이 높아지게 되므로 소음 저감효과가 있어서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해 주게 되므로 보행감도 개선할 수 있다. 또, PVC 발포층은 바닥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하여 마루판의 수명을 늘려주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목질층과 PVC 발포층 사이에 유리섬유층을 배치하여 접착시켜 놓은 구조이므로, 목질층과 PVC 발포층이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하면서 발생하는 신축율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변형량의 차이를 유리섬유층이 흡수해 주게 되므로 이종(異種) 재료간 뒤틀림이나 변형 또는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차음 마루판의 적층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음 마루판의 실물사진이다.
본 발명에 따른 PVC 발포 차음 마루판의 기술적 특징은, 마루판에 친환경 PVC 발포층을 부착하여 층간소음을 감소시키고, 목질마루판과 PVC 발포층 사이에 유리섬유층을 배치하여 이종(異種) 재료간 뒤틀림이나 변형을 방지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치장목질 마루판이 구조는 합판(10)과, 합판(10)의 상부에 표면치장재(13)가 부착되고, 합판(10)의 하부에 제2 유리섬유층(20)과 충격을 흡수해 주는 PVC 발포층(30)이 부착되어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목질판으로 합판(10)을 사용하고, 내수합판을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내수합판은 일반합판과는 달리 베니어(veneer)를 접착시키는 접착제로 방수용 접착제인 페놀이나 멜라민수지를 사용한 것으로, 일반합판에 비해 내수성(耐水性)과 내구성이 훨씬 강해서 습도의 변화에도 접착강도를 유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합판(10)은 중밀도섬유판(MDF), 고밀도섬유판(HDF), 파티클보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도 합판의 범주에 포함된다는 점을 미리 밝혀둔다.
표면치장재(13)는 합판(10) 상부에 EVA(Ethylene Vinyl Acetate) 접착제(11)를 사용하여 부착시키는데, 표면치장재(13)는 마루판이 실내 바닥재 또는 인테리어 마감재로 사용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성을 부여함은 물론 다양한 무늬나 패턴 등이 인쇄되어 있어서 마루판이 인테리어 소재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해준다.
표면치장재(13)는 상부로부터 UV 코팅층(134), 투명 PVC층(133), 전사인쇄층(132) 및 제1 유리섬유층(131)이 적층되어 일체로 접착되어 이루어지고, 최하부에 위치한 제1 유리섬유층(131)이 EVA 접착제(11)에 의해 내수합판(10)의 상면에 접착되면서 표면치장재(13)가 합판(10)과 일체로 접착되게 된다.
전사인쇄층(132)은 나무의 천연 효과를 창출하기 위해 전사인쇄 기술이 적용되어 참나무, 자작나무, 벚나무, 단풍나무, 호두나무 등 모든 수종의 무늬를 구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각종 그림이나 문양 또는 패턴 등을 구현할 수 있고,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전사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다양한 수종의 무늬를 구현함으로써 마루판이 합판을 사용하지 않은 천연목재를 사용한 것과 같은 느낌을 줄 수 있게 된다.
투명 PVC층(133)은 전사인쇄층(132) 상부에 배치되어, 전사인쇄층(132)에 인쇄된 무늬, 문양, 패턴 등이 잘 보이도록 하면서 상부에 가해지는 충격 등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또한, UV 코팅층(134)은 열경화성 도료인 UV 도료가 투명 PVC층(133) 상부에 도포되어 마루판의 표면에 발생하는 스크래치를 방지하여 내마모성 강화와 이물질에 의한 내오염성 등을 강화할 수 있다. UV 코팅층(134)의 재질로는 우레탄 아크릴레이트, 실리콘 아크릴레이트, 에폭시 아크릴레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유리섬유층(131)은 전사인쇄층(132)의 하부에 배치되는데, 목질로 제작된 합판(10)과 수지로 제작된 표면치장재(13)는 온도변화에 따라 수축과 팽창을 하면서 재질의 차이로 인하여 발생하는 변형량의 차이가 발생할 수밖에 없지만, 이들 사이에 유리섬유층을 배치함으로써 유리섬유층이 변형량의 차이를 흡수해 주게 되므로 표면치장재(13)가 합판(10)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해 줄 수 있다.
PVC 발포층(30)은 PVC를 발포시켜서 3.5∼4.5㎜ 정도의 두께로 제조된 것으로, 마루판의 최하부에 배치되게 되는데, PVC를 발포시킴으로써 탄성을 갖게 되어 충격 흡수율을 높여서 소음 저감효과가 있으므로 층간소음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행시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해 주므로 보행감도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PVC 발포층(30)은 바닥에서 올라오는 습기를 차단하여 마루판의 수명을 늘려주는 기능도 하게 된다.
PVC 발포층(30)의 상부에는 제2 유리섬유층(20)이 접착되고, 제2 유리섬유층(20) 및 PVC 발포층(30)을 EVA 접착제(11')를 사용하여 합판(10)의 하부에 부착시켜 구성된다. 제2 유리섬유층(20)의 하부에는 PVC 발포층(30)과의 접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PVC 레진이 코팅되며, 유리섬유(131)의 상부에는 합판(10과의 접착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프라이머를 코팅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유리섬유는 단위무게가 60∼70g/㎡의 것을 사용한다.
일반적으로 유리섬유는 30g/㎡ 정도를 사용하는 반면, 본 발명에서는 60g/㎡ 이상의 것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상부에 위치하는 합판(10) 및 하부에 위치하는 PVC 발포층(30)의 두께와 강성 및 팽창계수 등을 고려한 것으로, 유리섬유가 60g/㎡ 이상이 되었을 때 상·하부에 위치하는 이종 재료 간에 발생하는 수축 및 팽창을 완벽히 제어할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에서 30g/㎡의 유리섬유를 사용할 경우, 상부에 위치하는 목질층인 합판(10)이 하부에 위치하는 PVC 발포층(30)보다 더욱 줄어들거나 팽창하는 문제가 발생했을 때, 유리섬유가 이종 재료 간의 수축 및 팽창을 완벽히 제어할 수 없게 된다.
PVC 발포층(30)이 너무 얇으면 충격흡수 기능이 미미하므로 PVC 발포층(30)의 두께를 3.5∼4.5㎜ 정도로 형성하고, 합판(10)과 표면치장재(13)를 합한 두께는 제2 유리섬유층(20)과 PVC 발포층(30)을 합한 두께의 2∼2.5배 두께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에 따른 마루판의 다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에서 표면치장재(13) 대신 고압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High pressure melamine laminate; HPL)을 사용한 것인데, 고압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HPL)에 대하여만 설명하면, 고압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HPL)는 최상층에 위치하게 되는 멜라민수지 함침 오버레이지, 오버레이지 하부에 위치하며 그림이나 문양이 인쇄된 인쇄지, 인쇄지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크라프트지를 적층시켜서 열압을 가하여 멜라민수지가 녹으면서 접착제 역할을 하여 일체로 접착되어 형성된 것이다.
오버레이지(overlay paper)는 고압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HPL)의 최상층에 위치하게 되는데, 오버레이지는 셀룰로오스지에 내마모 실리카 또는 알루미나를 분포시켜 성형하고 열경화성 수지인 멜라민수지에 함침시킨 후 건조시킨 것이다. 내열, 내수, 내산, 내알칼리성이 뛰어난 열경화성수지인 멜라민수지를 함침시킨 멜라민수지 함침 오버레이지는 습자지나 기름종이와 같이 반투명한 상태가 된다.
인쇄지는 오버레이지의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그림이나 문양 또는 문자 등이 인쇄된 종이인데, 고압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HPL)에서 외부로 표출되는 무늬가 인쇄된 종이이다. 크라프트지(kraft paper)는 표백되지 않은 크라프트 펄프를 주원료로 하여 만든 갈색 종이이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합판 11, 11' : EVA계 접착제
13 : 표면치장재 131 : 제1 유리섬유층
132 : 전사인쇄층 133 : 투명 PVC층
134 : UV 코팅층
20 : 제2 유리섬유층
30 : PVC 발포층

Claims (3)

  1. 베니어(veneer)를 접착시켜 만들어진 합판:
    상기 합판 상부에 EVA 접착제를 사용하여 부착시킨 표면치장재;
    상기 합판 하부에 배치되는 제2 유리섬유층;
    상기 제2 유리섬유층 하부에 배치되어 접착되며, PVC를 발포시켜서 제조된 PVC 발포층;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2 유리섬유층 및 PVC 발포층을 EVA 접착제를 사용하여 합판의 하부에 부착시켜 구성되며,
    상기 합판과 표면치장재를 합한 두께는 제2 유리섬유층과 PVC 발포층을 합한 두께의 2∼2.5배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면치장재는,
    그림이나 문양 또는 패턴이 인쇄된 전사인쇄층;
    상기 전사인쇄층의 하부에 배치되는 제1 유리섬유층;
    상기 전사인쇄층 상부에 배치되는 투명 PVC층;
    상기 투명 PVC층 상부에 도포된 UV 코팅층;
    이 일체로 접착되어 구성된 것으로,
    상기 제1 유리섬유층이 합판의 상면에 EVA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면서 표면치장재가 합판과 일체로 접착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3. 베니어(veneer)를 접착시켜 만들어진 합판:
    상기 합판 상부에 부착시킨 고압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HPL);
    상기 합판 하부에 배치되며, PVC를 발포시켜서 제조된 PVC 발포층;
    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고압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HPL)는,
    최상층에 위치하게 되는 멜라민수지 함침 오버레이지(overlay paper);
    상기 오버레이지 하부에 위치하게 되며, 그림이나 문양이 인쇄된 인쇄지;
    상기 인쇄지 하부에 위치하게 되는 크라프트(kraft)지;
    를 적층시키고, 열압을 가하여 멜라민수지가 녹으면서 접착제 역할을 하여 일체로 접착되어 형성된 것이며,
    상기 합판과 고압 열경화성 수지 함침지(HPL)를 합한 두께는 PVC 발포층 두께의 2∼2.5배 두께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KR1020200118109A 2020-09-15 2020-09-15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KR1024045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109A KR102404593B1 (ko) 2020-09-15 2020-09-15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109A KR102404593B1 (ko) 2020-09-15 2020-09-15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426A true KR20220036426A (ko) 2022-03-23
KR102404593B1 KR102404593B1 (ko) 2022-06-02

Family

ID=809634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109A KR102404593B1 (ko) 2020-09-15 2020-09-15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459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209Y1 (ko) * 2001-06-30 2001-11-16 동화기업 주식회사 치장목질 복합마루판
KR200330114Y1 (ko) * 2003-08-01 2003-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흡음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목질 판재
KR20080049433A (ko) * 2006-11-30 2008-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격흡수 기능을 가진 평활한 바닥재
KR20170092761A (ko) * 2016-02-04 2017-08-14 (주)엘지하우시스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0209Y1 (ko) * 2001-06-30 2001-11-16 동화기업 주식회사 치장목질 복합마루판
KR200330114Y1 (ko) * 2003-08-01 2003-10-11 주식회사 엘지화학 흡음 및 치수안정성이 우수한 목질 판재
KR20080049433A (ko) * 2006-11-30 2008-06-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충격흡수 기능을 가진 평활한 바닥재
KR20170092761A (ko) * 2016-02-04 2017-08-14 (주)엘지하우시스 실내 내장재용 보드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이 보드를 이용한 실내 내장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04593B1 (ko) 2022-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324217A1 (en) Wood fibre based panel with a surface layer
US10828881B2 (en) Veneered element and method of producing such a veneered element
US8484920B2 (en) Floor panel and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RU2307219C2 (ru) Доски настила для пола
US6440538B1 (en) Abrasion resistant laminate
US5879781A (en) Flooring laminate having noise reduction properties
KR102157287B1 (ko) 친환경 마루 바닥재
KR102404593B1 (ko) 유리섬유가 적층된 pvc 발포 차음 마루판
CN211775436U (zh) 一种轻质消音复合实木地板
CN114555305B (zh) 建筑镶板和生产这种建筑镶板的方法
KR102631048B1 (ko) Lpl 성형 다용도 보드 제조방법 및 다용도 보드
US20240167290A1 (en) Covering element
KR100997151B1 (ko) 마루바닥재용 표면재 및 이를 구비한 마루 바닥재
US20240009974A1 (en) A building panel and a method to produce such a building panel
EP3908721A1 (en) Panel suitable for assembling a floor covering
CZ2010658A3 (cs) Vícevrstvá podlahová krytin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