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70029328A - 층간 진동방지판 - Google Patents

층간 진동방지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70029328A
KR20070029328A KR1020050083993A KR20050083993A KR20070029328A KR 20070029328 A KR20070029328 A KR 20070029328A KR 1020050083993 A KR1020050083993 A KR 1020050083993A KR 20050083993 A KR20050083993 A KR 20050083993A KR 20070029328 A KR20070029328 A KR 200700293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ion
floor
interlayer
concrete slab
p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0083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790468B1 (ko
Inventor
김인태
김영태
Original Assignee
김인태
김영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태, 김영태 filed Critical 김인태
Priority to KR1020050083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790468B1/ko
Publication of KR200700293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700293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790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790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4Sectional false floors, e.g. computer floors
    • E04F15/02447Supporting structures
    • E04F15/02458Framework supporting the pane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 진동방지판 및 그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상부측 충격으로 생긴 상하진동을 수직으로 받아 저감 시키고 연질 재질로 인하여 발생되는 중량충격음을 흡수 및 저감 시키는 층간 진동방지판과 그 층간 진동방지판을 저충격 저소음으로 시공하기 위한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층간 진동방지판은,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하드보드 사이에 게재되는 동시에 하드보드와 진동방지 패드 사이의 공백을 형성하면서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다수의 천공구멍을 형성하여 경량충격음을 저감 시키는 연질층과,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하부상에 밀착되어 새로운 단층으로 형성하여 상부측이 충격을 받아 발생되는 저주파 진동을 흡수 및 감쇄 시키는 목재 수평판넬과, 상기 목재 수평판넬을 포함하여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하드보드의 테두리를 형성하여 상부 충격으로 생긴 저주파 진동을 수직으로 받아 진동을 저감 시키는 목재 수직테두리와, 상기 러그가 목재 수평판넬의 표면 상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목재 수평판넬에 형성된 러그 안내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층간 진동방지판 시공공법은,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 표면에는 층간 진동방지판들을 배치하고 벽체 구조물과 접하는 층간 진동방지판의 사이에는 층간 진동방지판을 통한 진동이나 소음이 벽체 구조물로의 전달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층간 진동방지판을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부에 서로 어긋나도록 나란히 배열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배열된 층간 진동방지판의 상호 접촉면을 중심으로 접착재와 결속용 연결클립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여 하나의 바닥재로 구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드보드,진동방지,패드,브래킷,콘크리트

Description

층간 진동방지판 및 그 시공공법{A vibration damping boar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도 1은 종래의 건축 구조물 바닥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시공 단면도
도 2는 종래의 또 다른 건축 구조물 바닥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시공 단면도
도 3은 종래의 건축 구조물 바닥면 시공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4는 종래의 다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층간 진동방지판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층간 진동방지판을 보인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층간 진동방지판의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벽체 구조물에 대한 차페재의 시공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상태를 평면으로 나타낸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0.40a : 층간 진동방지판 41 : 진동방지패드
42 : 가이드홀 43 : 가이드 홀
44 : 하드보드 45 : 러그
46 : 지지브래킷 47 : 목재 수평판넬
48 : 목재 수직테두리 49 : 러그 안내홈
50 : 연질층 51 : 천공구멍
60 : 진동감쇄패드 62 : 접촉면
63 : 부착면 64 : 진동감쇄공간
본 발명은 층간 진동방지판 및 그 시공공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초 콘크리트 위에 진동방지용 시설재를 깔아 소리의 파장대가 하층으로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고 분산시키도록 하는데 있어서, 연질재의 사용으로 압축되거나 내려앉음 현상이 발생 되는 문제점을 개선하고 층간 사이에서 발생 되는 진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도록 하면서도, 간편한 시공성을 보장하고, 평탄도가 낮은 기초 콘크리트의 굴곡면에 대한 평탄도 유지가 가능하고, 안정된 보온성을 갖는 층간 진동방지판 에 관한 것이다. 또한, 상부측 충격으로 생긴 상하진동을 수직으로 받아 저감 시키고 연질 재질로 인하여 발생되는 중량충격음을 흡수 및 저감 시키는 층간 진동방지판과 그 층간 진동방지판을 저충격 저소음으로 시공하기 위한 시공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층간의 바닥에는 충격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된다. 상부로부터 하부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차폐하고 억제하기 위하여 다층 구조물에는 층간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 방지 시설재를 시공한다.
상부층과 하부층을 구분하는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떠림이나 소리로 전달된다. 상부층과 하부층을 구분하는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떨림이나 소리로 전달된다. 진동은 한 물체가 충격을 받았을 때 생긴 파장대에 의해서 생기는 현상으로 떨림이나 소리로 나타나는데 모든 건축물에서는 이러한 진동과 소음을 해결하기 위하여 밀도가 낮은 저밀도의 소재 또는 진동이나 소리 전달 파장대가 완만한 시설재를 바닥면에 깔거나 붙여서 진동을 줄이고 있다.
아파트 등의 거주용 건축물에 권장되는 진동 및 소음은 중량충격에서 50db이하, 경량충격에서 58db이하이다.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고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층간 진동방지재 및 구조재료를 사용한 시설재들이 알려져 있는데, 공통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밀도가 낮고 부드러운 연질성 진동방지용 시설재를 깔아 진동이나 소리의 파장대가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고 분산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밀도가 낮고 부드러운 연질성 시설재는 압축되거나 내려 앉음 현상이 발생하고, 바닥면에 온수 파이프를 설치할 경우 온수 파이프의 열을 직접 전달 받으면 아니 되기 때문에 다시 경량 기포 시멘트로 이중 바닥 슬라브로 시공하게 되고, 그 상부에 온수 파이프와 마감재를 사용하여 시공하게 됨으로서, 다층 구조를 형성하게 되고 그 만큼 공기가 지연되고 시공성은 상대적으로 나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1은 난방 파이프를 기본 사양으로 시공하는 종래의 건축 바닥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시공 단면도 이다.
상기 시공 단면도에 따른 종래의 건축 바닥면은, 구조물의 바닥면 기초를 형성하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와, 상기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상부에 타설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과,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의 상층부에 시공되는 난방 파이프(12) 및 마감 몰탈층(13)그리고 마감 바닥재(15)로 시공 되어 있다.
여기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은 무게 하중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작용하지 않도록 하중이 적은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을 형성한 것으로, 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은 난방 파이프(12)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직접 전달되어 않도록 하여 열화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난방 파이프(12)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물충격 유동으로 인한 진동이나 소음이 직접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상기 구조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의 상부면에 작용하는 난방 파이프(12)의 유체 유동 진동 및 소음과, 또한 상부로부터 마감 몰탈층(13)의 표면 으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진동 및 소음이 그대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을 거쳐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전달되어 하층부로 전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도 2 및 도 3은, 난방 파이프(12) 시공을 기본 사양으로 시공하고 또한 진동 및 방음 차폐 및 저감 구조가 적용된 종래의 건축 바닥면 시공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시공 단면도 이다.
상기 시공 단면도에 따르는 종래의 건축 바닥면 시공 구조의 주요부분은, 도 2 및 도 3과 같이, 구조물의 바닥면 기초를 형성하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와, 상기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상부면에 안착되어 충격으로 인한 진동이나 소음을 흡수 완화 시키는 연질성 층간 진동저감재(14)와, 상기 연질성 층간 진동저감재(14)의 상부에 타설되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과,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의 상부에 시설되는 난방 파이프(12)와, 상기 난방 파이프(12)를 상기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의 상부면에 배열하고 바닥면의 균일한 평탄도를 유지하기 위해 난방 파이프(12)의 주위면에 타설되는 마감 몰탈층(13)과, 상기 바닥면의 표면이 되고 마감 몰탈층(13)의 표면을 가리는 마감 바닥재(15)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은 무게 하중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작용하지 않도록 무게가 적은 기포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을 형성한 것으로, 이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은 난방 파이프(12)로부터 전달되는 열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직접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열 화에 의한 내구성 저하를 방지하고, 또한 난방 파이프(12)를 따라 흐르는 유체의 물충격 유동으로 인한 진동이나 소음이 직접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전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하는 동시에 하부측에 시설되는 연질성 진동저감재(14)에 난방 파이프(12)의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여 연질성 진동저감재(14)의 열 변형이나 수축에 따른 기능 저하를 방지한다.
그리고,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와 경량 기포 큰크리트층(11) 사이에 시설되는 연질성 진동저감재(14)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을 통해 하부측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로 전달되는 각종 진동 및 소음들, 즉 난방 파이프(12)의 유체 유동 진동 및 소음과, 마감 몰탈층(13)의 표면으로 전달되는 충격에 의한 진동 및 소음 등이 그대로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전달되는 현상을 자체 연질성 재질 특성으로 흡수 완화 시키는 작용을 함으로서, 이 같은 연질성 진동저감재(14)는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사이에서 층간 차음과 진동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사이에 시공하는 시설재인 진동저감재(14)는, 가라 앉음이나 열변형 및 기타 뒤틀림 등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구조 재료들을 활용하여 제작되었다.
예를들면, 타이어에서 추출된 다양한 크기의 탄화고무와 접착재를 혼합한 후 타르를 함침시킨 롤 형태로 제작되었는데, 타이어칩과 이면에 아스팔트 함침지를 부착하고 롤 타입으로 성형하였으며, 특히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바닥이 고르지 않은 시공 현장에서도 자체 유연성으로 바닥구조의 영향을 적게 받도록 되었으며, 기능적으로는, 차음성, 흡음성, 시공성, 방수성, 탄성, 균일성, 밀착성 등에서 우수한 성능을 낼 수 있도록 제작되었다.
참고로, 진동저감재(14)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표면에 시공하고 난방 파이프(12)를 시공하는 종래의 건축 구조물 바닥면 시공 순서는, 먼저,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표면에 발포성 고무나 차음매트 등의 진동저감재(14)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바닥에 펼쳐서 깔고, 그 위에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을 시공하며, 그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의 상부에 난방 파이프(12)를 배열하여 시공한 뒤, 몰탈층(13)을 쳐서 난방 파이프(12)를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에 고정하고, 그 최상부에는 마감 바닥재(15)를 깔아 시공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바닥 구조물의 진동 및 소음 차폐를 위해 연질성 진동저감재(14)를 난방 파이프(12)를 기본 사양으로 하여 건축 바닥면을 시공하는 경우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첫째, 시공성이 떨어진다. 즉,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에 롤형 또는 평면의 연질성 진동저감재(14)를 바르게 펴서 깔아야 하는 작업이 필요하기 때문에 반드시 별도의 진동저감재(14)의 시공 작업이 공정의 주요 부분으로 포함되어 그 만큼 작업성이 추가되며, 이는 시공을 복잡하게 하는 원인이 된다.
또한, 진동저감재(14)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시공한 상태에서 그 위에 별도로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을 시공해야 하므로 진동저감재(14)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의 분리 시공에 따른 공기 지연과 열악한 시공성을 갖는다.
둘째,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바닥 고르기에 영향을 받아 부분적 으로 가라앉아 안정된 평탄도를 유지하지 못할 가능성이 크고, 지속적으로 상부에서 작용하는 충격이나 하중에 의해 변형 가능성이 크다.
즉, 진동이나 소음을 진동저감재(14)의 연질성으로 흡수 완화하기 때문에 재료 자체적으로 변형이 쉽게 일어날 수 있고 또한 가라앉음에 대비하기 위하여 내구성이나 물성 등을 조절한 구조 재료를 사용한다고 하더라도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와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 사이에 놓여 수평방향으로의 밀림이나 수직 방향으로의 가라앉음 현상이 나타날 수 있다.
셋째,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 고르기에 적응되는 진동저감재(14)는 연질성이 비교적 양호한 재료일 경우에 한하여 표면 고르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연질성을 줄여 변형 가능성을 줄인 진동저감재(14)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 고르기에 대응하지 못하여 적용에 한계가 따른다.
즉, 변형을 줄이기 위하여 딱딱한 물성의 진동저감재를 사용할 경우 표면 고르기에 영향을 직접 받아 부분적으로 가라앉음 현상이 크게 나타나고, 반대로 연질성이 높은 고 유연성 재료를 진동저감재로 사용하면 열에 의한 변형이나 밀림, 뒤틀림 등의 변형이 많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이 알려져 있다. 본인의 선출원 특허 출원번호 10-2004-0014508호의 층간 진동방지판은 도 4 및 도 5와 같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닿으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 차폐시키고 일정 간격을 유지한 형태로 가이드 홀(24)이 통공된 진동방지 패드(21)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21)의 상부 구조를 이루며 몰탈이 유입되어 컬럼을 형성하는 가 이드 홀(23)이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방지 패드(21)의 가이드 홀(24)과 센터링 되어 형성된 하드보드(22)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21)와 하드보드(22)에 형성된 가이드 홀(23)(24)을 따라 인서트 되어 하부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과 접촉하는 러그(30)와, 상기 러그(30)를 진동방지 패드(21)와 상기 하드보드(23) 사이에 장착하고 고정하는 지지 브래킷(25)으로 구성되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20)에 안착하면 별도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11)과 같은 구조층의 형성이나 별도의 진동저감재(14)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표면에 까는 작업을 하지 않아도 진동 저감 및 방지를 위한 구조층의 시공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층간 진동방지판은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통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에 쉽게 시공할 수 있어 시공성이 양호하고, 보조 콘크리트 타설 시공을 줄여 공기 단축에 효과적이며, 진동저감재를 깔거나 주변 정리 작업 등과 같은 번거로운 작업 불편을 없앨 수 있고, 또한, 진동저감재의 연질성에 관계없이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바닥 고르기에 영향을 받지 않고 시공할 수 있으면서도 변형을 줄여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층간 진동방지판을 통해 바닥의 보온성과 단열성을 구조 재료의 선택으로 쉽게 개선할 수 있었다.
그러나, 구조적으로는 상부 충격으로 발생된 상하진동을 효과적으로 저감 시키기 어려운 구조이며, 중량충격음을 흡수 및 저감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즉 연질재질은 고주파 특징을 가진 경량 충격음의 저감 효과가 있지만, 저주파 진동으로 발생하는 중량충격음에 대해서는 오히려 공진을 발생시켜 중량충격음 저감 효과는 적게 나타난다.
또한, 층간 진동방지판을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에 가지런히 배치하여 시공할 경우 발생된 진동 및 소음이 그대로 벽체에 전달되는 충분한 소음 및 진동 저감 효과를 얻을 수 없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부 충격으로 발생 된 상하진동과 중량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 시킬 수 있는 층간 진동방지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층간 진동방지판의 내부에 새로운 경량충격음 감쇄공간을 형성하여 진동을 저감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에서 횡방향 벽체 구조물로 전달되는 소음 및 진동을 저감시킬 수 있는 시공공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구조물의 층간 진동방지판은,
난방 파이프를 고정하는 몰탈층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측 가진원과 소음원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로 전달되는 것을 흡수 차폐하기 위하여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닿으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 차폐시키고 일정 간격을 유지한 형태로 가이드 홀이 통공된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상부 구조를 이루며 몰탈이 유입되어 컬럼을 형성하는 가이드 홀이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가이드 홀과 센터링 되어 형성된 하드보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하드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인서트 되어 하부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접촉하는 러그와, 상기 러그를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하드보드 사이에 장착하고 고정하는 지지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진동방지판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하부상에 밀착되어 새로운 단층으로 형성하여 상부측이 충격을 받아 발생되는 저주파 진동을 흡수 및 감쇄 시키는 목재 수평판넬과,
상기 목재 수평판넬을 포함하여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하드보드의 테두리를 형성하여 상부 충격으로 생긴 저주파 진동을 수직으로 받아 진동을 저감 시키는 목재 수직테두리와,
상기 러그가 목재 수평판넬의 표면 상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목재 수평판넬에 형성된 러그 안내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바닥 구조물의 층간 진동방지판은,
난방 파이프를 고정하는 몰탈층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측 가진원과 소음원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로 전달되는 것을 흡수 차폐하기 위하여,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닿으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 차폐시키고 일정 간격을 유지한 형태로 가이드 홀이 통공된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상부 구조를 이루며 몰탈이 유입되어 컬럼을 형성하는 가이드 홀이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가이드 홀과 센터링 되어 형성된 하드보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하드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인서트 되어 하부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접촉하는 러그와, 상기 러그를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하드보드 사이에 장착하고 고정하는 지지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진동방지판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하드보드 사이에 게재되는 동시에 하드보드와 진동방지 패드 사이의 공백을 형성하면서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다수의 천공구멍을 형성하여 경량충격음을 저감 시키는 연질층과,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하부상에 밀착되어 새로운 단층으로 형성하여 상부측이 충격을 받아 발생되는 저주파 진동을 흡수 및 감쇄 시키는 목재 수평판넬과,
상기 목재 수평판넬을 포함하여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하드보드의 테두리를 형성하여 상부 충격으로 생긴 저주파 진동을 수직으로 받아 진동을 저감 시키는 목재 수직테두리와,
상기 러그가 목재 수평판넬의 표면 상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목재 수평판넬에 형성된 러그 안내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구조물의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공법은,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부에 층간 진동방지판을 올려 놓고 난방 파이프를 시공한 뒤 난방 파이프의 시공이 완료되면 몰탈을 타설하여 몰탈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면에 마감 바닥재를 깔아서 이루어지는 층간 진동방지판을 적용하는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공법에 있어서,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 표면에는 층간 진동방지판들을 배치하고 벽체 구조물과 접하는 층간 진동방지판의 사이에는 층간 진동방지판을 통한 진동이나 소음이 벽체 구조물로의 전달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층간 진동방지판을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부에 서로 어긋나도록 나란히 배열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배열된 층간 진동방지판의 상호 접촉면을 중심으로 접착재와 결속용 연결클립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여 하나의 바닥재로 구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전체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단면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또 다른 층간 진동방지판을 보인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층간 진동방지판의 연결 상태를 보인 사시도 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로서, 벽체 구조물에 대한 차페재의 시공 상태도 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상태를 평면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20) 및 그 시공의 실시 예는, 도 6 내지 도 11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40)(40a)의 제1구조 및 제2구조는 도 6에 표현된 바와 같다.
제1구조는, 도 7과 같이, 난방 파이프를 고정하는 몰탈층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측 가진원과 소음원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로 전달되는 것을 흡수 차폐하기 위하여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과 닿으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 차폐시키고 일정 간격을 유지한 형태로 가이드 홀(42)이 통공된 진동방지 패드(42)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41)의 상부 구조를 이루며 몰탈이 유입되어 컬럼을 형성하는 가이드 홀(43)이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방지 패드(42)의 가이드 홀(42)과 센터링 되어 형성된 하드보드(44)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41)와 하드보드(44)에 형성된 가이드 홀(42)(43)을 따라 인서트 되어 하부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과 접촉하는 러그(45)와, 상기 러그(45)를 진동방지 패드(41)와 상기 하드보드(44) 사이에 장착하고 고정하는 지지브래킷(46)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진동방지판(40)으로 이루어진다.
주요부분은, 상기 진동방지 패드(41)의 하부상에 밀착되어 새로운 단층으로 형성하여 상부측이 충격을 받아 발생된 저주파 진동을 흡수 및 감쇄 시키는 목재 수평판넬(47)과, 상기 목재 수평판넬(47)을 포함하여 상기 진동방지 패드(41)와 하드보드(44)의 테두리를 형성하여 상부 충격으로 생긴 저주파 진동을 수직으로 받아 진동을 저감 시키는 목재 수직테두리(48)와, 상기 러그(45)가 목재 수평판넬(47)의 표면 상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목재 수평판넬(47)에 형성된 러그 안내홈(49)으로 구성된다.
제2구조는, 도 8과 같이, 난방 파이프를 고정하는 몰탈층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측 가진원과 소음원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로 전달되는 것을 흡수 차폐하기 위하여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의 표면과 닿으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 차폐시키고 일정 간격을 유지한 형태로 가이드 홀(42)이 통공된 진동방지 패드(42)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41)의 상부 구조를 이루며 몰탈이 유입되어 컬럼을 형성하는 가이드 홀(43)이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방지 패드(42)의 가이드 홀(42)과 센터링 되어 형성된 하드보드(44)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41)와 하드보드(44)에 형성된 가이드 홀(42)(43)을 따라 인서트 되어 하부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과 접촉하는 러그(45)와, 상기 러그(45)를 진동방지 패드(41)와 상기 하드보드(44) 사이에 장착하고 고정하는 지지브래킷(46)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진동방지판(40a)으로 이루어진다.
주요부분은, 상기 진동방지 패드(41)와 상기 하드보드(44) 사이에 게재되는 동시에 하드보드(44)와 진동방지 패드(41) 사이의 공백을 형성하면서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다수의 천공구멍(51)을 형성하여 경량충격음을 저감 시키는 연질층(50)과, 상기 진동방지 패드(41)의 하부상에 밀착되어 새로운 단층으로 형성하여 상부측이 충격을 받아 발생된 저주파 진동을 흡수 및 감쇄 시키는 목재 수평판넬(47)과, 상기 목재 수평판넬(47)을 포함하여 상기 진동방지 패드(41)와 하드보드(44)의 테두리를 형성하여 상부 충격으로 생긴 저주파 진동을 수직으로 받아 진동을 저감 시키는 목재 수직테두리(48)와, 상기 러그(45)가 목재 수평판넬(47)의 표면 상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목재 수평판넬(47)에 형성된 러그 안내홈(49)으로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연질층(50)을 다층으로 하는 경우 각 연질층(50)에 형성되는 천 공구멍(51)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고, 연질층(50)은 스치로폼 판넬에 다수의 천공구멍을 형성하는 것으로 완성될 수 있다.
한편, 층간 진동방지판(40)(40a)의 제1.2구조에서 다음과 같은 구조가 적용될 수 있다.
러그(45)는, 연질성 루버가 적당하다. 러그(45)를 지지 브래킷(46)에 지지하기 위해 러그(45)에 수직 방향으로 핑거(45a)가 있고, 그 핑거(45a))가 지지 브래킷(46)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팁(45b)을 구비한다. 여기서, 팁(45b)은 너트와 같은 체결용 부재가 될 수 있으며, 핑거(45a)는 볼트와 같은 체결용 부재를 사용할 수 있다.
지지 브래킷(46)은, 러그(45)에 결합된 핑거(45a)가 삽입되는 삽입홀을 구비하고, 그 삽입홀을 중심으로 외곽 방향으로는 몰탈이 흘러 경화되면 컬럼으로 형성될 수 있는 컬럼 공간(46a)을 구비하며, 그 컬럼 공간의 외곽 방향으로는 상기 진동방지 패드(41)와 상기 하드보드(44) 사이 또는 연질층(50)과 밀착되어 고정되는 플랜지윙(46b)을 구비하는 형상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바닥 구조물의 층간 진동방지판(40)(40a)의 시공공법은, 도 9 내지 도 11과 같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상부에 층간 진동방지판(40)(40a)을 올려 놓고 난방 파이프를 시공한 뒤 난방 파이프의 시공이 완료되면 몰탈을 타설하여 몰탈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면에 마감 바닥재를 깔아 층간 진동방지판(40)(40a)을 시공한다.
또한,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표면에는 층간 진동방지판(40)(40a)들 을 배치하고 벽체 구조물(10a)과 접하는 층간 진동방지판(40)(40a)의 사이에는 층간 진동방지판을 통한 진동이나 소음이 벽체 구조물(10a)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재(60)를 배치하는 단계, 층간 진동방지판(40)(40a)을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상부에 서로 어긋나도록 나란히 배열하는 단계, 배열된 층간 진동방지판(40)(40a)의 상호 접촉면을 중심으로 접착재와 결속용 연결클립(61)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여 하나의 바닥재로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차폐재는, 연질성 합성수지재로서, 벽체 구조물(10a)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격리된 다수의 접촉면(62)이 있고, 그 접촉면(62)을 서로 연결하여 층간 진동방진판의 측면과 밀착되는 부착면(63)이 있으며, 그 부착면(63)을 기준으로 접촉면(62)이 일정한 진동감쇄공간(64)을 유지하는 진동감쇄 패드(6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 및 그 시공공법은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안착하면 별도의 경량 기포 콘크리트층과 같은 구조층의 형성이나 별도의 진동저감재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표면에 까는 작업 없이도 진동 저감 및 방지를 위한 모든 구조층의 시공이 가능하다.
특히, 구조적으로는 상부충격으로 생긴 상하진동을 수직으로 받아 저감시키고, 중량충격음을 흡수하며, 연질재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공진을 흡수하고 저감시킨다. 또한 전체적으로 목재, 스치로폼과 같은 연질층, 방수석고보드와 같은 보드층 및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로 부터 러그를 통해 일정간격 뜬 구조를 나타냄으로서, 온수파이프를 통하여 발생한 바닥 난방열기가 하부로 전달되어 콘크리트 슬라 브 층으로 전달되어 냉각되는 열손실을 줄여 난방용으로서 보온 효과도 크다.
또한 충격 소음과 진동 소음 전달을 완화하는 연질층을 통한 공간을 형성하여 소음을 저감 시키며, 시공에 있어서 층간 진동방지판의 연속 배열과 별도의 차폐재 적용을 통해 진동파장으로 생긴 파장 흐름을 벽체 구조물 근처에서 흡수하여 공진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제1구조의 층간 진동방지판(40)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목재 수평판넬(47)은 진동방지 패드(41)의 하부상에 밀착되어 새로운 단층으로 형성되어 상부측이 충격을 받아 발생되는 저주파 진동을 흡수 및 감쇄 시키는데, 목재는 다른 소재에 비해 공진으로 발생하는 진동을 흡수 및 저감시켜 저주파 파장의 중량충격음을 저감 시키는데 효과적이다.
목재 수직 테두리(48)는, 진동방지 패드(41)와 하드보드(44)의 테두리를 형성하여 상부 충격으로 생긴 저주파 진동을 수직으로 받아 진동을 저감 시키는데, 상부의 충격으로 생긴 저주파 특성의 진동이 상하로 전달할 때 진동이나 힘을 수직으로 받아 진동을 저감시키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러그(45)는 목재 수평판넬(47)의 러그 안내홈(49)을 따라 노출되어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와 직접 접촉됨으로서 전체적으로 층간 진동방지판(40)이 바닥면으로부터 뜬 구조를 형성하여 바닥으로 열이 전달되어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제2구조의 층간 진동방지판(40a)을 나타낸 단면도 이다.
제1구조의 층간 진동방지판(40)과 마찬가지로 목재 수평판넬(47)과 목재 수 직테두리(48)가 적용되었다. 진동방지 패드(41)와 하드보드(44) 사이에는 연질층(50)을 두고 그 연질층(50)의 천공구멍(51)을 통해 하드보드(44)와 진동방지 패드(41) 사이의 공백을 형성함으로서, 경량충격음을 저감 시킨다. 즉 물체가 바닥에 낙하했을때 나타나는 고주파특성인 경량충격음이 천공구멍(51)을 갖는 별도의 연질층(50)을 통해 저감된다.
연질층(50)을 다층으로 하는 경우 각 연질층(50)에 형성되는 천공구멍(51)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면 경량충격음 저감에 효과적이다. 연질층(50)은 천공구멍(51)을 형성하는데 유리한 스치로폼 판넬이 적당하다.
도 9 내지 도 11은 층간 진동방지판(40)(40a)의 시공 예이다.
먼저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상부에 층간 진동방지판(40)(40a)을 올려 놓고 난방 파이프를 시공한 뒤 난방 파이프의 시공이 완료되면 몰탈을 타설하여 몰탈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면에 마감 바닥재를 깔아 층간 진동방지판(40)(40a)을 시공한다.
그리고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표면에는 층간 진동방지판(40)(40a)들을 배치하고 벽체 구조물(10a)과 접하는 층간 진동방지판(40)(40a)의 사이에는 층간 진동방지판을 통한 진동이나 소음이 벽체 구조물(10a)로 전달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재(60)를 배치한다.
또한 층간 진동방지판(40)(40a)을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상부에 서로 어긋나도록 나란히 배열하는데, 엇갈리는 어긋난 배열은 규칙 배열에 비해 결속력이 큰 장점이 있다. 그 연결은 층간 진동방지판(40)(40a)의 상호 접촉면을 중 심으로 접착재와 결속용 연결클립(61)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여 하나의 바닥재로 배열한다.
여기서, 차폐재는, 연질성 합성수지재로서, 벽체 구조물(10a)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격리된 다수의 접촉면(62)이 있고, 그 접촉면(62)을 서로 연결하여 층간 진동방진판의 측면과 밀착되는 부착면(63)이 있으며, 그 부착면(63)을 기준으로 접촉면(62)이 일정한 진동감쇄공간(64)을 유지하는 진동감쇄 패드(60)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진동감쇄 패드(60)는, 연질성 재료 자체적으로 횡방향 충격과 소음 전달을 줄이고, 구조물에서 발생한 소음이 진동감쇄공간(64)을 통해 소거되어 다른 구조물인 벽체에 전달되지 못하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편,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다수의 러그(45) 들이 노출형으로 배열된 목재 수평판넬(47))의 면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면과 마주 보도록 올려 놓으면 먼저 러그(45)의 머리면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과 닿아 접촉하면서 이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 브래킷(46)을 중심으로 하중에 의해 핑거(45a)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성을 갖는다. 즉, 지지 브래킷(46)은 플랜지윙(46b)을 통해 진동방지 패드(41)와 하드보드(44) 사이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먼저 러그(45)의 머리 면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과 닿으면 하드보드(44)의 하중에 의해 러그(45)는 상부 방향으로 이동성을 나타낸다. 이로 인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표면 고르기가 일정하지 않고 굴곡이 있어도 러그(45)의 이동성 때문에 특정 부분이 기울어지거나 평행도가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하드보드(44)를 하나의 셋트로 연질성 진동방지 패드(41)에 구비하더라도 바닥 기 초 콘크리트 슬라브(10)의 평탄도와 관계없이 수평을 맞추는데 장애가 생기지 않는다.
지지 브래킷(46)의 상부 방향으로는 컬럼 공간(46a)이 형성되는데 이 부분은 몰탈층을 형성하기 위해 몰탈을 타설하면, 상부측 하드보드(44)의 가이드 홀을 통과하여 흐르는 몰탈이 채워져 몰탈 컬럼을 형성하는 부분이 된다.
또한, 지지 브래킷(46)의 하부 방향으로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면과 일정한 유격으로 공간이 형성하도록 되어 있어 러그(45)의 상하 움직임이 가능하여 위와 같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러그(45)가 상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으므로 층간 진동방지판이 기울어진다거나 특정 부분이 튀어오르는 현상 등이 나타나지 않는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의 대표적인 시공 예를 나타낸 시공도로서,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에 안착되는 층간 진동방지판은 러그(45)의 이동성을 통해 바닥면이 고르지 않더라도 특정 부분에서의 기울어짐이 나타나지 않고 러그(45)의 이동성으로 보상하여 평탄도가 유지되고, 바닥과 뜬 상태로 시공된다.
바닥 기초 큰크리트 슬라브(10) 위에 층간 진동방지판을 올려 놓은 상태에서 난방 파이프를 시공한다. 난방 파이프의 시공이 완료되면 몰탈을 타설하여 몰탈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면에 마감 바닥재를 깔면 진동방지 구조를 적용한 바닥면의 시공이 완료된다.
여기서,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 상태를 보면, 단순히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10) 위에 층간 진동방지판을 올려 놓고 연결과 차폐재를 시공하는 것으로 모든 진동방지 시공이 완성된다. 층간 진동방지판의 상부구조를 이루는 하드보드는 석고 보드와 같은 단열재를 사용함으로서, 그 하부구조를 이루는 연질성 진동방지 패드(41) 및 목재 수평판넬(47)에 난방 파이프의 열이 전달되지 않도록 하며, 동시에 별도의 기포 콘크리트 타설과 같은 열전달 차폐 목적의 구조층의 시공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층간 진동방지판 및 그 시공공법에 따르면, 구조적으로는 상부충격으로 생긴 상하진동을 수직으로 받아 저감시키고, 중량충격음을 흡수하며, 연질재질로 인하여 발생하는 공진을 흡수하고 저감시킨다. 또한 전체적으로 목재, 스치로폼과 같은 연질층, 방수석고보드와 같은 보드층 및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로 부터 러그를 통해 일정간격 뜬 구조를 나타냄으로서, 온수파이프를 통하여 발생한 바닥 난방열기가 하부로 전달되어 콘크리트 슬라브 층으로 전달되어 냉각되는 열손실을 줄여 난방용으로서 보온 효과도 크다.
또한 충격 소음과 진동 소음 전달을 완화하는 연질층을 통한 공간을 형성하여 소음을 저감 시키며, 시공에 있어서 층간 진동방지판의 연속 배열과 별도의 차폐재 적용을 통해 진동파장으로 생긴 파장 흐름을 벽체 구조물 근처에서 흡수하여 공진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난방 파이프를 고정하는 몰탈층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측 가진원과 소음원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로 전달되는 것을 흡수 차폐하기 위하여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닿으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 차폐시키고 일정 간격을 유지한 형태로 가이드 홀이 통공된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상부 구조를 이루며 몰탈이 유입되어 컬럼을 형성하는 가이드 홀이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가이드 홀과 센터링 되어 형성된 하드보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하드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인서트 되어 하부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접촉하는 러그와, 상기 러그를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하드보드 사이에 장착하고 고정하는 지지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진동방지판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하부상에 밀착되어 새로운 단층으로 형성하여 상부측이 충격을 받아 발생되는 저주파 진동을 흡수 및 감쇄 시키는 목재 수평판넬과,
    상기 목재 수평판넬을 포함하여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하드보드의 테두리를 형성하여 상부 충격으로 생긴 저주파 진동을 수직으로 받아 진동을 저감 시키는 목재 수직테두리와,
    상기 러그가 목재 수평판넬의 표면 상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목재 수평판넬에 형성된 러그 안내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방지판.
  2. 난방 파이프를 고정하는 몰탈층과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 사이에 설치되어 상부측 가진원과 소음원이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로 전달되는 것을 흡수 차폐하기 위하여,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닿으며 상부로부터 전달되는 진동과 소음을 흡수 차폐시키고 일정 간격을 유지한 형태로 가이드 홀이 통공된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상부 구조를 이루며 몰탈이 유입되어 컬럼을 형성하는 가이드 홀이 일정 간격으로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가이드 홀과 센터링 되어 형성된 하드보드와,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하드보드에 형성된 가이드 홀을 따라 인서트 되어 하부는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표면과 접촉하는 러그와, 상기 러그를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하드보드 사이에 장착하고 고정하는 지지브래킷으로 이루어지는 층간 진동방지판에 있어서,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상기 하드보드 사이에 게재되는 동시에 하드보드와 진동방지 패드 사이의 공백을 형성하면서 하중을 지탱하기 위해 다수의 천공구멍을 형성하여 경량충격음을 저감 시키는 연질층과,
    상기 진동방지 패드의 하부상에 밀착되어 새로운 단층으로 형성하여 상부측이 충격을 받아 발생되는 저주파 진동을 흡수 및 감쇄 시키는 목재 수평판넬과,
    상기 목재 수평판넬을 포함하여 상기 진동방지 패드와 하드보드의 테두리를 형성하여 상부 충격으로 생긴 저주파 진동을 수직으로 받아 진동을 저감 시키는 목재 수직테두리와,
    상기 러그가 목재 수평판넬의 표면 상으로 돌출되어 노출될 수 있도록 목재 수평판넬에 형성된 러그 안내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방지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을 다층으로 하는 경우 각 연질층에 형성되는 천공구멍은 서로 엇갈리도록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방지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질층은 스치로폼 판넬에 다수의 천공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방지판.
  5.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부에 층간 진동방지판을 올려 놓고 난방 파이프를 시공한 뒤 난방 파이프의 시공이 완료되면 몰탈을 타설하여 몰탈층을 형성하고 그 상부면에 마감 바닥재를 깔아서 이루어지는 층간 진동방지판을 적용하는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공법에 있어서,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 표면에는 층간 진동방지판들을 배치하고 벽체 구조물과 접하는 층간 진동방지판의 사이에는 층간 진동방지판을 통한 진동이나 소음이 벽체 구조물로의 전달되지 않도록 차폐하는 차폐재를 배치하는 단계와,
    층간 진동방지판을 바닥 기초 콘크리트 슬라브의 상부에 서로 어긋나도록 나란히 배열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로부터 배열된 층간 진동방지판의 상호 접촉면을 중심으로 접착재와 결속용 연결클립으로 분리되지 않도록 연결하여 하나의 바닥재로 구성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공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재의 배치에 사용되는 차폐재는, 연질성 합성수지재로서, 벽체 구조물에 접촉될 수 있도록 일정 간격으로 격리된 다수의 접촉면이 있고, 그 접촉면을 서로 연결하여 층간 진동방진판의 측면에 부착되는 부착면이 있으며, 그 부착면을 기준으로 접촉면이 일정한 진동감쇄공간을 유지하는 진동감쇄 패드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층간 진동방지판의 시공공법.
KR1020050083993A 2005-09-09 2005-09-09 층간 진동방지판 KR1007904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993A KR100790468B1 (ko) 2005-09-09 2005-09-09 층간 진동방지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50083993A KR100790468B1 (ko) 2005-09-09 2005-09-09 층간 진동방지판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5-0026035U Division KR200403174Y1 (ko) 2005-09-09 2005-09-09 층간 진동방지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70029328A true KR20070029328A (ko) 2007-03-14
KR100790468B1 KR100790468B1 (ko) 2008-01-03

Family

ID=38101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0083993A KR100790468B1 (ko) 2005-09-09 2005-09-09 층간 진동방지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7904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316B1 (ko) * 2012-12-31 2014-03-12 (주) 디엠그랑프리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9389B1 (ko) 2010-08-25 2010-12-09 주식회사 한스종합건축사사무소 온돌 기능을 가지는 방진 방음 패널 및 그의 제조 방법
KR101902211B1 (ko) * 2016-07-14 2018-11-22 (주)지엘월드텍씨엔에스 개량형 층간소음방진구 및 이를 이용한 방진구조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41922A (en) 1977-06-06 1979-01-09 Eidai Co Ltd Floor board
KR200308569Y1 (ko) 2003-01-07 2003-03-28 이증환 바닥재
JP2004293068A (ja) 2003-03-26 2004-10-21 Ohki Corp 浮床構造の構築方法
KR100567561B1 (ko) 2004-03-04 2006-04-07 김인태 층간 진동방지판
KR200378483Y1 (ko) 2004-12-07 2005-03-11 홍석표 건물의 층간 소음방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316B1 (ko) * 2012-12-31 2014-03-12 (주) 디엠그랑프리 충격완화 패드와 이중 타공 합판 및 캡을 이용한 마루 바닥 블록형 시스템 및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790468B1 (ko) 2008-01-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90015988A (ko) 차음 바닥 밑판 시스템
KR102083062B1 (ko)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20180070938A (ko) 건물의 층간흡음장치
KR2017008714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1128873B1 (ko) 건축물의 바닥충격음 차단구조
KR101269110B1 (ko) 바닥충격음 저감 패널과 이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101462969B1 (ko) 층간 충격소음 저감을 위한 중공 이중 뜬 바닥 구조
KR100790468B1 (ko) 층간 진동방지판
KR200311493Y1 (ko) 방진 및 방음 패널
KR100695613B1 (ko) 층간의 소음방지를 위한 건축물의 바닥구조
KR101828708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0852791B1 (ko) 바닥 충격음 저감용 패널 및 이를 이용한 바닥 구조
KR101351755B1 (ko)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200403174Y1 (ko) 층간 진동방지판
KR102361502B1 (ko) 층간 차음용 단독 패널
KR101979346B1 (ko) 철근콘크리트 공동주택의 층간소음 저감 구조물
KR100567561B1 (ko) 층간 진동방지판
JP2001146811A (ja) 防音床構造
KR200351374Y1 (ko) 층간 진동방지판
KR200374808Y1 (ko)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공동주택의 바닥구조
KR100920200B1 (ko) 제진합판을 사용한 플라이우드패널 방식의 이중바닥 시스템
JP2003147947A (ja) 建築物の防振断熱床構造
KR100778659B1 (ko) 건축물의 방음, 방진 바닥재
KR200438177Y1 (ko) 층간 소음 저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