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83062B1 -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 Google Patents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83062B1
KR102083062B1 KR1020170084748A KR20170084748A KR102083062B1 KR 102083062 B1 KR102083062 B1 KR 102083062B1 KR 1020170084748 A KR1020170084748 A KR 1020170084748A KR 20170084748 A KR20170084748 A KR 20170084748A KR 102083062 B1 KR102083062 B1 KR 1020830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unit
wire
lower support
noise reduction
interlayer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47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4480A (ko
Inventor
김인태
김영태
김성태
Original Assignee
김인태
김영태
김성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인태, 김영태, 김성태 filed Critical 김인태
Priority to KR10201700847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830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44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44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830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830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E04F15/20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for sound insulation
    • E04F15/203Separately-laid layers for sound insul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22Resiliently-mounted floors, e.g. sprung fl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1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nois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 E04F2290/044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insulation or surface protection, e.g. against noise, impact or fire against impa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loor Finish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의 바닥면에 다수로 분포하도록 설치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완충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하부지지유닛; 상기 다수의 하부지지유닛 상에 지지되도록 수평되게 고정되고, 동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의 망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하부지지유닛 각각으로 분산시키는 동탄성분산부재; 상기 동탄성분산부재 상에 다수로 고정되고, 상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에 전달하는 상부지지유닛; 및 상기 다수의 상부지지유닛 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금속재 등의 동탄성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분산 및 감쇄시키도록 하여, 저주파의 소리를 상쇄하도록 이로 인해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통하여 발생되는 바닥 진동파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킬 수 있고, 이와 함께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함과 아울러, 자체하중, 추가하중, 이동하중 등을 균등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상부에 위치하는 모르타르층의 균열 발생을 억제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바닥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Interlayer noise reduction apparatus by impact absorption using dynamic elasticity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재 등의 동탄성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분산 및 감쇄시키도록 하면서도, 상부에 위치하는 시멘트 모르타르층의 균열 발생을 억제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바닥구조를 제공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층간의 바닥에는 충격으로 인한 진동과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데, 상부로부터 하부로 전달되는 진동이나 소음을 차폐하고 억제하기 위하여, 다층 구조물에는 층간 진동을 방지하기 위한 진동 방지 시설재가 시공된다.
또한 건축물의 바닥면에서 발생하는 진동은 떨림이나 소리로 전달된다. 즉, 진동은 한 물체가 충격을 받았을 때 생긴 파장대에 의해서 생기는 현상으로 떨림이나 소리로 나타나는데, 모든 건축물에서는 이러한 진동과 소음을 해결하기 위하여 밀도가 낮은 저밀도의 소재 또는 진동이나 소리 전달 파장대가 완만한 시설재를 바닥면에 깔거나 붙여서 진동을 줄이고 있다.
한편, 아파트 등의 거주용 건축물에 권장되는 진동 및 소음은 중량충격에서 50db 이하, 경량충격에서 58db 이하이다. 진동 및 소음을 방지하거나 줄이기 위하여 다양한 층간 진동방지재 및 구조재료를 사용한 시설재들이 알려져 있는데, 공통적으로 콘크리트 슬라브 위에 밀도가 낮고 부드러운 연질성 진동방지용 시설재를 깔아, 진동이나 소리의 파장대가 전달되는 것을 방해하고, 분산시키도록 한다.
종래의 층간 소음을 저감하는 장치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351755호의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이는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의 바닥면에 설치되고, 개구 주위로 테두리를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을 상기 바닥면으로부터 이격시키도록 상기 프레임의 하면에 부착되고, 완충을 위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완충패드; 상기 개구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상기 프레임 상에 고정되고, 동탄성을 가지는 동탄성부재; 상기 동탄성부재 상에 설치되고, 상기 프레임의 테두리로부터 벗어나도록 상기 동탄성부재 상에 설치되고, 완충을 위한 층을 가지는 완충중간재; 및 상기 완충중간재 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마감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은 금속재 등의 동탄성을 이용하여, 고체 충격음을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도록 하는 반면,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하지 못함으로써, 상부에 마련되는 시멘트 모르타르층에 균열이 발생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한 종래 기술에 대한 문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금속재 등의 동탄성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분산 및 감쇄시키도록 함으로써, 저주파의 소리를 상쇄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통하여 발생되는 바닥 진동파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도록 하며,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함과 아울러, 자체하중, 추가하중, 이동하중 등을 균등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상부에 위치하는 시멘트 모르타르층의 균열 발생을 억제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바닥구조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의 바닥면에 다수로 분포하도록 설치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완충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하부지지유닛; 상기 다수의 하부지지유닛 상에 지지되도록 수평되게 고정되고, 동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의 망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하부지지유닛 각각으로 분산시키는 동탄성분산부재; 상기 동탄성분산부재 상에 다수로 고정되고, 상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에 전달하는 상부지지유닛; 및 상기 다수의 상부지지유닛 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지지판;을 포함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하부지지유닛 각각은, 직사각형 평면 구조를 가지고,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고정되고, 상기 상부지지유닛 각각은, 직사각형 평면 구조를 가지고,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고정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유닛 및 상부지지유닛 각각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분할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유닛은, 상기 바닥면에 면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완충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 상에 부착되고,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의 하면에 고정되며, 목재로 이루어지는 하부지지편;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유닛과 상기 상부지지유닛은,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에 수평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유닛은, 완충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의 제 1 및 제 2 와이어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도록 상면에 상기 교차부분이 끼워지는 "+"자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유닛은, 완충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의 제 1 및 제 2 와이어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도록 하면에 상기 교차부분이 끼워지는 "+"자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부지지유닛과 상기 상부지지유닛은,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에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번갈아가면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동탄성분산부재는, 테두리를 이루는 테두리와이어; 상기 테두리와이어 내측에 다수개가 나란하도록 연결되는 제 1 와이어; 및 상기 제 1 와이어에 교차하도록 다수개가 나란하게 연결되어 상기 테두리와이어 내측에 설치되는 제 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와이어는, 상기 테두리와이어의 어느 한 변에 나란하거나 경사지도록 연결되고, 서로의 교차에 의해 이루어지는 메쉬가 정사각형, 직사각형 및 마름모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있어서, 일부 또는 전부가 완충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의 하부지지유닛 상에 동탄성분산부재가 지지되도록 수평되게 고정되고, 상기 동탄성분산부재가 동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의 망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하부지지유닛 각각으로 분산시키며, 상기 동탄성분산부재 상에 다수로 고정되는 상부지지유닛에 의해 상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에 전달하는 층간소음저감패널을 건축물의 바닥면 상에 다수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지지유닛 상에 지지판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지지판 상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층간소음저감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지지유닛이, 상기 바닥면에 면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완충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 상에 부착되고,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의 하면에 고정되며, 목재로 이루어지는 하부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유닛이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층간소음저감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지지유닛과 상기 상부지지유닛이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에 수평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층간소음저감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지지유닛이 완충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의 제 1 및 제 2 와이어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도록 상면에 상기 교차부분이 끼워지도록 "+"자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지지유닛이 완충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의 제 1 및 제 2 와이어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도록 하면에 상기 교차부분이 끼워지도록 "+"자 형태의 고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하부지지유닛과 상기 상부지지유닛이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에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번갈아가면서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의하면, 금속재 등의 동탄성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분산 및 감쇄시키도록 함으로써, 저주파의 소리를 상쇄할 수 있고, 이로 인해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통하여 발생되는 바닥 진동파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도록 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함과 아울러, 자체하중, 추가하중, 이동하중 등을 균등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상부에 위치하는 시멘트 모르타르층의 균열 발생을 억제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바닥구조를 제공하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적층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이용한 건축물의 바닥구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에서 다른 예에 따른 동탄성분산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에서 또 다른 예에 따른 동탄성분산부재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에 의하여 여러 가지의 실시례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례를 예로서 도면에 나타내어 설명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 실시례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례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 내지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하여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적층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는, 하부지지유닛(110), 동탄성분산부재(120), 상부지지유닛(130) 및 지지판(14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지지유닛(110)은 건축물의 바닥면에 다수로 분포하도록 설치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완충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한다. 여기서, 완충재질은 고무나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재를 비롯하여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도록 하는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하부지지유닛(110)은 타카핀이나 피스 또는 용융 글루(glue)를 비롯하여 다양한 고정 내지 접착 부재에 의해 동탄성분산부재(120)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지지유닛(110) 각각은 본 실시례에서처럼, 직사각형 평면 구조를 가지고, 동탄성분산부재(120)의 하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하부지지유닛(110)은 본 실시례에서처럼 예컨대, 건축물의 바닥면에 면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완충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편(111)과, 탄성편(111) 상에 부착되고, 동탄성분산부재(120)의 하면에 고정되며, 목재로 이루어지는 하부지지편(112)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하부지지편(112)은 동탄성분산부재(1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도 동탄성분산부재(120)로부터 진동이나 충격을 정확하게 전달받아 탄성편(111)에 전달하여 흡수되도록 한다.
동탄성분산부재(120)는 다수의 하부지지유닛(110) 상에 지지되도록 수평되게 고정되고, 동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의 망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하부지지유닛(110) 각각으로 분산시키도록 한다. 동탄성분산부재(120)는 동탄성, 예컨대 수직 방향에 대한 동탄성을 가지는 재질 내지 구조를 가지며, 수직 충격에 대하여 하방으로 변형을 유발하되, 복원력에 의해 변형이 회복되도록 하고, 세로와 가로의 강선에 해당하는 제 1 및 제 2 와이어(121,122)가 서로 90도 또는 비스듬하게 교차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동탄성분산부재(120)는 일례로 본 실시례에서처럼 사각형을 비롯한 다양한 형태의 테두리를 이루는 금속의 테두리와이어(123)와, 테두리와이어(123) 내측에 다수개가 나란하도록 연결되는 금속의 제 1 와이어(121)와, 제 1 와이어(121)에 교차하도록 다수개가 나란하게 연결되어 테두리와이어(123) 내측에 설치되는 금속의 제 2 와이어(122)를 포함할 수 있는데, 용접이나 접착물질을 이용한 접착 등을 비롯하여, 연결편에 의한 연결 등과 같은 다양한 방법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 1 및 제 2 와이어(121,122)는 테두리와이어(123)의 어느 한 변에 나란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서로의 교차에 의해 이루어지는 메쉬가 직사각형으로 이루어지나, 반드시 이에 한하지 않고, 정사각형이나 마름모 등의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동탄성분산부재(120)는 본 실시례와 달리, 제 1 및 제 2 와이어(121,122)로만 이루어질 수 있고, 이에 따라 테두리와이어(123)가 생략될 수 있는데, 본 실시례에서처럼 제 1 및 제 2 와이어(121,122)의 안정적인 연결 및 복원력 제공을 위하여 테두리와이어(123)가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상부지지유닛(130)은 동탄성분산부재(120) 상에 다수로 고정되고, 상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동탄성분산부재(120)에 전달하도록 한다. 상부지지유닛(130)은 타카핀이나 피스 또는 용융 글루(glue)를 비롯하여 다양한 고정 내지 접착 부재에 의해 동탄성분산부재(120)에 고정될 수 있다.
상부지지유닛(130) 각각은 직사각형 평면 구조를 가지고, 동탄성분산부재(120)의 상면에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고정될 수 있다.
하부지지유닛(110)과 상부지지유닛(130)은 동탄성분산부재(120)에 수평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를 이루도록 설치될 수 있다. 즉, 하부지지유닛(110)과 상부지지유닛(130)은 상하로 서로 비켜나도록 수평방향을 따라 하측과 상측에서 서로 지그재그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동탄성분산부재(120)에 의한 진동이나 충격의 분산 및 흡수 효율을 높이도록 할 수 있다.
지지판(140)은 다수의 상부지지유닛(130) 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도록 하는데, 일례로 합판을 비롯하여 하중에 견디기 위한 다양한 재질의 플레이트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는 상기한 하부지지유닛(110), 동탄성분산부재(120) 및 상부지지유닛(130)으로 이루어지는 층간소음저감패널(110,120,130)과, 그 위에 지지판(140)의 설치를 마치면, 지지판(140) 상에 온수파이프(150)가 배치될 수 있고, 온수파이프(150)를 덮도록 지지판(140) 상에 콘크리트의 타설에 의해 모르타르층(160)이 형성될 수 있으며, 모르타르층(160) 상에 기능적 또는 장식적으로 마감을 위한 마감재(17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200)은 건축물의 바닥면에 다수로 분포하도록 설치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완충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하부지지유닛(210)과, 다수의 하부지지유닛(210))상에 지지되도록 수평되게 고정되고, 동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의 망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하부지지유닛(210) 각각으로 분산시키는 동탄성분산부재(220)와, 동탄성분산부재(220) 상에 다수로 고정되고, 상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동탄성분산부재(220)에 전달하는 상부지지유닛(230)과, 다수의 상부지지유닛(230) 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지지판(24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200)는 이전 실시례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부지지유닛(210)과 상부지지유닛(230) 각각이 직사각형 평면 구조를 가지고, 동탄성분산부재(220)의 상면 및 하면 각각에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고정될 수 있는데, 하부지지유닛(210)과 상부지지유닛(230) 각각이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예컨대 3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분할되는 점에서 이전 실시례와 차이를 가지며, 이러한 차이점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100)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탄성분산부재(220)는 이전 실시례에서와 마찬가지로, 테두리를 이루는 테두리와이어(223)와, 테두리와이어(223) 내측에 다수개가 나란하도록 연결되는 제 1 와이어(221)와, 제 1 와이어(221)에 교차하도록 다수개가 나란하게 연결되어 테두리와이어(223) 내측에 설치되는 제 2 와이어(222)를 포함한다. 하부지지유닛(210) 및 상부지지유닛(230)은 직사각형 평면 구조를 가지고, 서로의 사이에 제 1 와이어(221)가 위치하도록 제 2 와이어(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설치되고, 하부지지유닛(210) 각각은, 2개의 제 2 와이어(222)의 하측을 동시에 지지하면서, 제 2 와이어(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고정되며, 상부지지유닛(230) 각각은, 2개의 제 2 와이어(222) 상측을 동시에 지지하되, 하부지지유닛(210)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제 2 와이어(22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지지하면서, 제 2 와이어(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고정됨으로써, 하부지지유닛(210)과 함께 평면적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하부지지유닛(210)과 상부지지유닛(230) 각각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분할됨으로써, 동탄성분산부재(220)의 상하 복원력과 하중의 분산력 증대로 인해 진동이나 충격의 흡수 효과를 높이도록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의 요부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는 이전 실시례들과 마찬가지로, 하부지지유닛(310), 동탄성분산부재(320), 상부지지유닛(330) 및 지지판(미도시)을 포함하되, 동탄성분산부재(320)와 지지판(미도시)은 이전 실시례들의 해당 구성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하며, 이전 실시례들과 차이를 가지는 하부지지유닛(310) 및 상부지지유닛(330)을 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하부지지유닛(310)은 완충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탄성분산부재(320)의 제 1 및 제 2 와이어(321,322)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도록 상면에 교차부분이 끼워지는 "+"자 형태의 고정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지지유닛(330)은 완충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탄성분산부재(320)의 제 1 및 제 2 와이어(321,322)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도록 하면에 교차부분이 끼워지는 "+"자 형태의 고정홈(331)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지지유닛(310)과 상부지지유닛(330)은 상하 일치시 동탄성분산부재(320)에 고정을 위한 간섭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진동이나 충격의 흡수 및 분산 효율을 높이도록, 본 실시례에서처럼 동탄성분산부재(320)에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번갈아가면서 설치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동탄성부재(420)는 제 1 및 제 2 와이어(421,422)와, 테두리와이어(423)를 포함하되, 제 1 및 제 2 와이어(421,422)는 테두리와이어(423)의 어느 한 변에 나란하도록 연결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와이어(421,422) 서로의 교차에 의해 이루어지는 메쉬가 정사각형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메쉬 구조로 인해 전후 및 좌우방향의 분산력이 균일하도록 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동탄성부재(520)는 제 1 및 제 2 와이어(521,522)와, 테두리와이어(523)를 포함하되, 제 1 및 제 2 와이어(521,522)는 테두리와이어(523)의 어느 한 변에 경사지도록 연결될 수 있고, 제 1 및 제 2 와이어(521,522) 서로의 교차에 의해 이루어지는 메쉬가 마름모임을 나타낸다. 따라서, 이러한 메쉬 구조로 인해 진동이나 충격의 분산력을 필요에 따라 사선방향으로 분산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를 위주로 설명하면, 먼저 일부 또는 전부가 완충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의 하부지지유닛(110) 상에 동탄성분산부재(120)가 지지되도록 수평되게 고정되고, 동탄성분산부재(120)가 동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의 망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하부지지유닛(110) 각각으로 분산시키며, 동탄성분산부재(120) 상에 다수로 고정되는 상부지지유닛(130)에 의해 상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동탄성분산부재(120)에 전달하는 층간소음저감패널(110,120,130)을 건축물의 바닥면(1; 도 3에 도시) 상에 수평되도록 다수로 설치하고, 그런 다음, 상부지지유닛(130) 상에 지지판(140)을 설치함으로써, 지지판(140) 상에 콘트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도록 한다.
한편, 층간소음저감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100)에서와 마찬가지로, 하부지지유닛(110)이 바닥면(1)에 면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완충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편(111)과, 탄성편(111) 상에 부착되고, 동탄성분산부재(120)의 하면에 고정되며, 목재로 이루어지는 하부지지편(112)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지지유닛(130)이 목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하부지지유닛(110)과 상부지지유닛(130)이 동탄성분산부재(120)에 수평방향을 따라 지그재그를 이루도록 설치되는데, 그 밖에도 모든 구성에 대해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100)에서 자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층간소음저감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100)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200)를 사용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제 2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200)에 대해서는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차이점 위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층간소음저감패널을 설치하는 단계에서,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탄성분산부재(220)는 이전 실시례에서와 마찬가지로, 테두리를 이루는 테두리와이어(223)와, 테두리와이어(223) 내측에 다수개가 나란하도록 연결되는 제 1 와이어(221)와, 제 1 와이어(221)에 교차하도록 다수개가 나란하게 연결되어 테두리와이어(223) 내측에 설치되는 제 2 와이어(222)를 포함한다. 하부지지유닛(210) 및 상부지지유닛(230)은 직사각형 평면 구조를 가지고, 서로의 사이에 제 1 와이어(221)가 위치하도록 제 2 와이어(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설치되고, 하부지지유닛(210) 각각은, 2개의 제 2 와이어(222)의 하측을 동시에 지지하면서, 제 2 와이어(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고정되며, 상부지지유닛(230) 각각은, 2개의 제 2 와이어(222) 상측을 동시에 지지하되, 하부지지유닛(210)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제 2 와이어(222)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지지하면서, 제 2 와이어(222)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고정됨으로써, 하부지지유닛(210)과 함께 평면적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된다.
또한 층간소음저감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는 본 발명의 3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를 사용하여 실실할 수 있다 즉, 하부지지유닛(310)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지고, 동탄성분산부재(320)의 제 1 및 제 2 와이어(321,322)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도록 상면에 교차부분이 끼워지도록 "+"자 형태의 고정홈(311)이 형성될 수 있고, 상부지지유닛(330)은 탄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동탄성분산부재(320)의 제 1 및 제 2 와이어(321,322)의 교차부분에 설치되도록 하면에 교차부분이 끼워지도록 "+"자 형태의 고정홈(331)이 형성될 수 있으며, 하부지지유닛(310)과 상부지지유닛(330)이 동탄성분산부재(320)에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지그재그로 번갈아가면서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제 3 실시례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대해서는 이미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지지판(140)의 설치를 마치면, 일례로 이후 지지판(140)상에 온수의 순환 경로를 제공하는 온수파이프(150)를 배치한 다음, 온수파이프(150)를 덮도록 지지판(140)에 시멘트 모르타르의 타설에 의해 정해진 두께의 모르타르층(160)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고, 그 이후 모르타르층(160)에 대한 양생 내지 경화를 마치면, 경화된 모르타르층(160) 상에 기능적으로 장식적인 마감을 위하여 마감재(170)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따르면, 금속재 등의 동탄성을 이용하여, 공동주택 등과 같은 건축물의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분산 및 감쇄시키도록 함으로써, 저주파의 소리를 상쇄하도록 하고, 이로 인해 바닥에 가해지는 고체 충격파를 통하여 발생되는 바닥 진동파를 효과적으로 저감시키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안정적인 지지구조를 제공함과 아울러, 자체하중, 추가하중, 이동하중 등을 균등하게 분산시킴으로써, 상부에 위치하는 시멘트 모르타르층의 균열 발생을 억제하여 내구성이 뛰어난 바닥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되며, 특허청구범위, 그리고 이러한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10,210,310 : 하부지지유닛
111,211 : 탄성편
112,212 : 하부지지편
120,220,320,420,520 : 동탄성분산부재
121,221,321,421,521 : 제 1 와이어
122,222,322,422,522 : 제 2 와이어
123,223,323,423,523 : 테두리와이어
130,230,330 : 상부지지유닛
140,240 : 지지판
150 : 온수파이프
160 : 모르타르층
170 : 마감재
311,331 : 고정홈

Claims (12)

  1. 층간소음 저감장치에 있어서,
    건축물의 바닥면에 다수로 분포하도록 설치되고, 일부 또는 전부가 완충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하부지지유닛;
    상기 다수의 하부지지유닛 상에 지지되도록 수평되게 고정되고, 동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의 망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하부지지유닛 각각으로 분산시키는 동탄성분산부재;
    상기 동탄성분산부재 상에 다수로 고정되고, 상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에 전달하는 상부지지유닛; 및
    상기 다수의 상부지지유닛 상에 설치되고, 상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는 지지판;을 포함하고,
    상기 동탄성분산부재는,
    테두리를 이루는 테두리와이어;
    상기 테두리와이어 내측에 다수개가 나란하도록 연결되는 제 1 와이어; 및
    상기 제 1 와이어에 교차하도록 다수개가 나란하게 연결되어 상기 테두리와이어 내측에 설치되는 제 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유닛 및 상기 상부지지유닛은,
    직사각형 평면 구조를 가지고, 서로의 사이에 상기 제 1 와이어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지지유닛 각각은,
    2개의 상기 제 2 와이어의 하측을 동시에 지지하면서, 상기 제 2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고정되며,
    상기 상부지지유닛 각각은,
    2개의 제 2 와이어 상측을 동시에 지지하되, 상기 하부지지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제 2 와이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지지하면서, 상기 제 2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부지지유닛과 함께 평면적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유닛 및 상부지지유닛 각각은,
    길이방향을 따라 다수개가 서로 이격되도록 분할되는,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하부지지유닛은,
    상기 바닥면에 면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완충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편; 및
    상기 탄성편 상에 부착되고,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의 하면에 고정되며, 목재로 이루어지는 하부지지편;
    을 포함하는,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층간소음 저감방법에 있어서,
    일부 또는 전부가 완충재질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는 다수의 하부지지유닛 상에 동탄성분산부재가 지지되도록 수평되게 고정되고, 상기 동탄성분산부재가 동탄성을 가지는 금속재의 망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가해지는 진동이나 충격을 흡수하여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상기 하부지지유닛 각각으로 분산시키며, 상기 동탄성분산부재 상에 다수로 고정되는 상부지지유닛에 의해 상측으로부터 인가되는 진동이나 충격을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에 전달하는 층간소음저감패널을 건축물의 바닥면 상에 다수로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상부지지유닛 상에 지지판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지지판 상에 콘크리트가 타설되기 위한 장소를 제공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층간소음저감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동탄성분산부재가, 테두리를 이루는 테두리와이어와, 상기 테두리와이어 내측에 다수개가 나란하도록 연결되는 제 1 와이어와, 상기 제 1 와이어에 교차하도록 다수개가 나란하게 연결되어 상기 테두리와이어 내측에 설치되는 제 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지지유닛 및 상기 상부지지유닛이, 직사각형 평면 구조를 가지고, 서로의 사이에 상기 제 1 와이어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 2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교대로 설치되고,
    상기 하부지지유닛 각각이, 2개의 상기 제 2 와이어의 하측을 동시에 지지하면서, 상기 제 2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고정되며,
    상기 상부지지유닛 각각이, 2개의 제 2 와이어 상측을 동시에 지지하되, 상기 하부지지유닛에 의해 지지되는 2개의 제 2 와이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지지하면서, 상기 제 2 와이어의 길이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도록 나란하게 고정됨으로써, 상기 하부지지유닛과 함께 평면적으로 지그재그로 배치되는,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층간소음저감패널을 설치하는 단계는,
    상기 하부지지유닛이, 상기 바닥면에 면접촉하도록 설치되고, 완충재질로 이루어지는 탄성편과, 상기 탄성편 상에 부착되고, 상기 동탄성분산부재의 하면에 고정되며, 목재로 이루어지는 하부지지편을 포함하고, 상기 상부지지유닛이 목재로 이루어지는,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11. 삭제
  12. 삭제
KR1020170084748A 2017-07-04 2017-07-04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20830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48A KR102083062B1 (ko) 2017-07-04 2017-07-04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4748A KR102083062B1 (ko) 2017-07-04 2017-07-04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80A KR20190004480A (ko) 2019-01-14
KR102083062B1 true KR102083062B1 (ko) 2020-02-28

Family

ID=6502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4748A KR102083062B1 (ko) 2017-07-04 2017-07-04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8306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9286B1 (ko) * 2021-01-29 2021-07-20 (주)유성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욕실 층간방음 구조물
KR102444112B1 (ko) * 2021-09-14 2022-09-19 (주)숨터솔루션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 시공방법
KR102520845B1 (ko) * 2022-05-17 2023-04-13 주식회사 신한씨에스 충격음 저감 바닥판 보강구조 시스템 및 그 보강방법
KR102598614B1 (ko) * 2022-05-25 2023-11-06 주식회사 민우티앤씨 탄성 마루 바닥 시스템
KR102629113B1 (ko) * 2022-05-25 2024-01-24 재단법인 한국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바닥충격음 저감을 위한 뜬바닥구조
KR102463295B1 (ko) * 2022-08-02 2022-11-07 (주)현주특수건설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바닥 시공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2769A (ko) * 2007-02-27 2007-03-22 김준 탄성재를 이용한 바닥충격음 완충재
KR20100052697A (ko) * 2008-11-11 2010-05-20 김석규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및 설치방법
KR20140042560A (ko) * 2012-09-28 2014-04-07 이화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축열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4480A (ko) 2019-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3062B1 (ko) 동탄성을 이용한 충격흡수에 의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0563097B1 (ko) 건물의 층간소음 저감재 및 그 시공방법
KR101477783B1 (ko) 복합자재를 이용한 뜬바닥구조용 층간차음재
KR20170087146A (ko) 건축용 층간 차음재
KR101683055B1 (ko) 충격음 완충부가 구비된 건물 바닥층 및 이를 시공하는 방법
KR101269110B1 (ko) 바닥충격음 저감 패널과 이의 제조 및 시공방법
KR101929628B1 (ko) 층간소음 차음재
KR101206929B1 (ko) 탄성체를 이용한 층간소음 완충재의 시공방법 및 그 시공구조
KR100977167B1 (ko) 소음 방지를 위한 건축물용 바닥재 및 그 제조방법
KR101828708B1 (ko) 층간소음 저감을 위한 시공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351755B1 (ko) 동탄성을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간소음 저감방법
KR100998282B1 (ko) 층간 소음이 저감되는 건축물의 층간 바닥구조
KR20030012958A (ko) 바닥충격음 저감용 뜬바닥층 구조 및 건축용 바닥재
KR20200018884A (ko) 주택 건축물의 층간소음 바닥패널 설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176496B1 (ko) 착좌 성능이 개선된 온돌 기능을 가지는 방진 방음 패널
KR100790468B1 (ko) 층간 진동방지판
JPH08105192A (ja) 床部の防振兼遮音装置
KR102077089B1 (ko) 층간소음 저감재
KR20140030513A (ko) 바닥충격음 전달방지용 차음재 및 그의 설치방법
KR100977168B1 (ko) 층간 소음 방지용 탄성 바닥재
JPH0355705Y2 (ko)
KR200475111Y1 (ko) 모서리 보강 구조를 갖는 건축물 슬래브
KR102500562B1 (ko) 층간 소음방지 구조체 및 그 시공방법
KR20100052697A (ko) 건축물의 층간소음 방지재 및 설치방법
KR200447815Y1 (ko) 건물 바닥용 복층 구조의 완충재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