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757B1 - 차량의 암레스트 - Google Patents

차량의 암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757B1
KR101371757B1 KR1020120150323A KR20120150323A KR101371757B1 KR 101371757 B1 KR101371757 B1 KR 101371757B1 KR 1020120150323 A KR1020120150323 A KR 1020120150323A KR 20120150323 A KR20120150323 A KR 20120150323A KR 101371757 B1 KR101371757 B1 KR 101371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mrest
duct
blower
vehicle
armrest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503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만주
김재웅
박재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
Priority to KR10201201503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757B1/ko
Priority to US13/840,410 priority patent/US9016777B2/en
Priority to DE102013206784.4A priority patent/DE102013206784B4/de
Priority to CN201310151792.8A priority patent/CN103879324B/zh
Priority to BR102013013272-1A priority patent/BR102013013272A2/pt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B60N2/5635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coming from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 B60N2/757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in a recess of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9Adaptations for additional use of the arm-re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1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 B60N3/104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receptacles for food or beverages, e.g. refrigerated with refrigerating or warming syste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3/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other passenger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assenger Equipment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암레스트바디 전단부의 전면에 형성된 흡기구 및 암레스트바디 후단부에 형성된 배기구; 상기 암레스트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흡기구와 흡기덕트로 연결된 블로워; 상기 흡기덕트 상방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컵홀더; 상기 블로워에서 연장되어 각각의 컵홀더를 지나가도록 분기된 후 배기구와 연결된 배기덕트; 및 상기 각각의 컵홀더에 마련되며 배기덕트에 밀착된 열전소자;를 포함하는 차량의 암레스트가 소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암레스트 {ARMREST FOR VEHICLE}
본 발명은 냉온장 컵홀더가 내장된 차량의 암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차량의 냉온장 컵홀더에 대한 연구가 일부 이루어지고, 실차에 일부 탑재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컵홀더의 경우 냉장과 온장의 두 가지 효과를 모두 이루기 위해 전기적인 에너지를 이용하는 열전소자가 사용되고 있는데, 이를 효과적으로 차량에 탑재하고, 공조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갖추고자 하는 기술은 아직 찾아볼 수 없다. 이는 아직까지는 실차에 냉온장이 모두 이루어지는 컵홀더를 실질적인 기능이 잘 구현되도록 탑재하고자 하는 노력이 없었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한 컵홀더의 냉온장용 수납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원 인가시 냉각되는 면과 따듯해지는 면이 발생하는 열전소자를 컵홀더 표면에 접촉하여 열전도 특성을 이용하여 음료수를 차갑게 하거나 따듯하게 만드는 컵홀더 수납장치에 있어서, 기존의 기술들은 실내의 고정물인 센터 콘솔이나 실내 고정 부위에 장착되도록 한 구조로 한정되어 있는바, 이를 후석의 암레스트에 장착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KR10-2012-0066212 A "자동차의 냉온장고"는 "본 발명은 냉장 및 온장효율이 향상되는 자동차의 냉온장고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열전소자를 이용하고 자동차의 실내에 장착되는 용기로 이루어진 자동차의 냉온장고에 있어서, 상기 용기의 바닥측 외주면에는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면이 접촉되도록 다수개가 장착되고,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 접하며 상기 열전소자가 작동되면서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면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방출하도록 덕트가 형성되고, 온장고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상기 열전소자를 병렬로 연결하고, 냉장고로 사용하고자 하는 각각의 상기 열전소자를 직렬로 연결하여 전원이 공급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됨으로써, 온장고로 사용할 경우와 냉장고로 사용할 경우에 냉온장효율이 향상되는 것이다."을 제시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기술에 의하더라도 후석의 암레스트에 최적화된 구조라고 할 수는 없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KR 10-2012-0066212 A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암레스트에 냉온장이 가능한 컵홀더를 장착함으로써 차량의 상품성을 높이고자 하고, 특히 냉온장 기능의 구현을 위해 열전소자의 배치와 공조라인의 배치를 효과적으로 하고, 암레스트의 특성상 수납되어 시트백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상품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폭이 좁은 사양의 암레스트에도 한 쌍의 컵홀더를 충분히 설치할 수 있는 폭을 설계상 확보할 수 있는 차량의 암레스트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암레스트는, 암레스트바디 전단부의 전면에 형성된 흡기구 및 암레스트바디 후단부에 형성된 배기구; 상기 암레스트바디에 내장되며 상기 흡기구와 흡기덕트로 연결된 블로워; 상기 흡기덕트 상방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컵홀더; 상기 블로워에서 연장되어 각각의 컵홀더를 지나가도록 분기된 후 배기구와 연결된 배기덕트; 및 상기 각각의 컵홀더에 마련되며 배기덕트에 밀착된 열전소자;를 포함한다.
상기 배기구는 암레스트바디의 후단부에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의 분기된 배기덕트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기구는 암레스트바디 전단부의 전면 중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흡기덕트는 흡기구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되, 암레스트바디의 하부를 길이방향으로 지나가 블로워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컵홀더는 흡기덕트의 상방에 암레스트바디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는 블로워에서 연장된 후 양측으로 갈라져 분기덕트를 이루고, 각각의 분기덕트는 컵홀더를 지나 후방으로 연장되어 배기구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흡기덕트는 블로워의 하부에 연결되고 배기덕트는 블로워에 수평으로 연결됨으로써, 블로워는 수직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수평으로 토출할 수 있다.
상기 컵홀더는 암레스트바디의 전단부에 위치되고 블로워는 암레스트바디의 후단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흡기구에는 그릴이 마련되어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는 차량의 실내공간 외부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의 공조면은 컵홀더에 밀착되고 방열면은 배기덕트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배기덕트의 내부에는 열전소자의 방열면에 밀착된 열교환부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암레스트바디의 내부에는 충진재가 충진되며, 충진재에는 흡기구 또는 배기구를 블로워와 연결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흡기덕트 또는 배기덕트를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는 암레스트바디 후단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암레스트바디의 하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기구에서부터 차량 실내공간의 외부로 연장된 자바라 형상의 외부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암레스트에 따르면, 암레스트에 냉온장이 가능한 컵홀더를 장착함으로써 고급형 차량의 상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특히 폭이 좁은 사양의 암레스트에도 한 쌍의 컵홀더를 충분히 설치할 수 있는 폭을 설계상 확보할 수 있어 상품성이 크게 개선된다.
또한, 냉온장 기능의 구현을 위해 열전소자의 배치와 공조라인의 배치를 효과적으로 함으로써 실질적인 냉온장이 잘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암레스트의 특성상 수납되어 시트백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기본적인 컴포트를 해치지 않고 충돌시 안정성을 구비함으로써 상품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암레스트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암레스트의 요부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암레스트의 작동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의 암레스트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암레스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암레스트의 요부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암레스트는, 암레스트바디(100) 전단부의 전면에 형성된 흡기구(101) 및 암레스트바디(100) 후단부에 형성된 배기구(102); 상기 암레스트바디(100)에 내장되며 상기 흡기구(101)와 흡기덕트(320)로 연결된 블로워(700); 상기 흡기덕트(320) 상방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컵홀더(500); 상기 블로워(700)에서 연장되어 각각의 컵홀더(500)를 지나가도록 분기된 후 배기구(102)와 연결된 배기덕트(340); 및 상기 각각의 컵홀더(500)에 마련되며 배기덕트(340)에 밀착된 열전소자(520);를 포함한다.
즉, 본 발명의 암레스트는 암레스트의 기본적인 기능인 팔걸이와 시트백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즉, 암레스트바디(100)는 후단부에 회전축이 마련되어 회전에 따라 시트에 접혀져 수납될 경우 시트백의 역할을 수행하고, 전개될 경우 암레스트의 역할을 수행하며 동시에 그곳에 냉온장 컵홀더(500)가 마련된 것이다.
따라서, 암레스트는 후석에서도 3인승의 시트의 경우에는 암레스트를 수납하여 가운데 탑승자의 시트백 역할을 수행해야 하는바, 그 내부의 공조라인의 시스템과 외부로 노출되는 구성들을 시트백의 기능을 저해하지 않도록 설계되어야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본적으로 암레스트에는 컵홀더(500)의 냉온장 공조를 위한 흡기구(101)와 배기구(102)가 형성되는데, 특히 흡기구(101)의 경우는 실내에서 공기를 흡입하는 통로이고, 배기구(102)는 열교환된 폐열이 포함된 공기를 버리는 곳으로써, 그 레이아웃이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경우에는 흡기구(101)를 암레스트바디(100) 전단부의 전면 또는 상면에 형성됨으로써 암레스트바디(100)의 수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한다. 즉, 암레스트의 전개시보다는 수납되고 나서 시트백의 역할을 수행할 때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에는 탑승자를 지지함에 있어 컴포트성을 저해하고, 충돌시에는 탑승자와 하드컨텍이 이루어짐으로써 안정상에도 매우 큰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비록 전개되어 암레스트의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노출되더라도, 시트백의 기능 수행시에 컴포트와 안전을 고려하여 내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가릴 수 있는 위치가 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흡기구(101)의 경우에는 암레스트바디(100) 전단부(120)의 하면이 아닌 전면(122) 또는 상면(124)에 형성함으로써 수납되어 시트백 기능시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한편, 배기구(102)의 경우에는 암레스트바디(100) 후단부(140)에 형성되는데, 그 중에서도 후면에 형성함으로써 배기구(102)는 차량의 실내공간 외부와 연통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그러한 배기구(102)에서부터 차량 실내공간의 외부로 연장된 자바라 형상의 외부덕트(800)가 마련된다. 이를 통하여 공조되고 난 후 열교환된 폐열이 포함된 공기는 실내공간의 외부로 버림으로써 실내의 공조효율을 보존하고, 특히 이를 차량의 하부나 트렁크로 버리도록 하기 위해 자바라 형상의 외부덕트(800)를 사용한다. 이를 통하여 암레스트가 수납되거나 전개될 때 유로가 막히지 않고 원활히 수납/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상기 배기구(102)는 암레스트바디(100) 후단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암레스트바디(100)의 하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암레스트의 수납시에도 외부덕트(800)가 막히거나 접혀져 영구적인 손상이 가해지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참고로,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차량의 암레스트의 작동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암레스트는 전개되어 암레스팅과 컵홀더의 기능을 구현하도록 하고, 수납시 접혀져 후석 중앙의 시트백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며, 열교환된 폐열은 외부덕트(800)를 통하여 트렁크 등으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암레스트의 경우에는 컵홀더의 냉온장을 위하여 내부의 공조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고 작동에 따른 소음이나 진동 등을 최대한 줄일 필요가 있다. 즉, 암레스트의 컵홀더가 냉온장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려면 기본적으로 덕트와 블로워 및 열전소자가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덕트나 블로워의 배치에 있어 유동저항이 심하다면, 소음과 진동이 크게 발생된다. 특히, 암레스트는 사용자가 팔을 거치하는 지점이기 때문에 작은 소음이나 진동에도 사용자는 바로 불쾌한 반응을 보일 수 있기에 내부의 시스템 레이아웃은 유동저항이 최소한으로 줄어들도록 설계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흡기구(101)는 암레스트바디(100) 전단부의 전면에 형성되어 실내공기를 흡입하고 공조 후의 폐열을 수거하고, 배기구(102)는 암레스트바디(100) 후단부에 형성되어 트렁트룸 등으로 폐열을 버리도록 한다.
복수의 컵홀더(500)는 암레스트바디(100)에 내장되며 상기 흡기덕트(320) 상방에 나란히 배치된다. 그리고 특히 열교환부를 후방에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컵홀더의 사이에는 비는 공간이 없고, 그에 따라 폭이 좁은 암레스트의 경우에도 한 쌍의 컵홀더를 나란히 배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블로워(700)는 상기 흡기구(101)와 흡기덕트(320)로 연결되어 공기의 흡입과 토출을 제어한다.
그리고 배기덕트(340)는 블로워(700)에서 연장되어 각각의 컵홀더(500)를 지나가도록 분기된 후 배기구(102)와 연결된다. 또한, 열전소자(520)는 상기 각각의 컵홀더(500)에 마련되며 배기덕트(340)에 밀착된다.
본 발명의 열전소자(520)로는 펠티어소자가 사용될 수 있는데, 기본적으로 펠티어소자는 공조면과 방열면으로 이루어져 전기의 인가시 일측에서 타측으로 열을 전달하는 히트펌프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따라서, 양측의 컵홀더의 열전소자는 이러한 열교환부를 각각 후방에 구비함으로써 폭이 좁은 암레스트에도 충분히 한 쌍의 컵홀더와 열전소자를 설치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배기구(102)는 암레스트바디(100)의 후단부에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의 분기된 배기덕트(340)와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흡기구(101)는 암레스트바디(100) 전단부의 전면 중 하부에 형성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조를 통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흡기덕트를 컵홀더의 하방에 배치하여 컵홀더의 확보 가능한 폭을 최대한 확보하였다. 그리고 블로워를 지나 배기덕트는 컵홀더의 후방에서 분기하며 접촉하고 다시 후방으로 연장되어 빠져나감으로써 최대한 좀은 암레스트에도 충분히 한 쌍의 컵홀더를 설치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흡기덕트(320)는 흡기구(10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되, 암레스트바디(100)의 하부를 길이방향으로 지나가 블로워(700)와 연결되도록 한다. 그리고 컵홀더(500)는 흡기덕트(320)의 상방에 암레스트바디(100)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된다.
한편, 배기덕트(340)는 블로워(700)에서 연장된 후 양측으로 갈라져 분기덕트(342)를 이루고, 각각의 분기덕트(342)는 컵홀더(500)를 지나 후방으로 연장되어 배기구(102)에 연결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흡기덕트(320)는 블로워(700)의 하부에 연결되고 배기덕트(340)는 블로워(700)에 수평으로 연결됨으로써, 블로워(700)는 수직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수평으로 토출하도록 한다. 즉, 블로워(700)를 기준으로 유로가 수직으로 꺾이도록 함으로써 블로워(700)의 흡입과 토출이 용이하도록 하고 흡입과 토출이 섞이면서 유동저항을 만드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기본적으로 차량의 실내와 외부의 압력이 다를 수 있게 때문에 흡입압과 토출압이 부자연스러울 경우 유동이 섞이며 블로워(700)의 저항이 증가되는 문제를 막을 수 있게 된다.
한편, 컵홀더(500)는 암레스트바디(100)의 전단부에 위치되고 블로워(700)는 암레스트바디(100)의 후단부에 위치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손으로 컵을 수납하고 팔꿈치를 암레스트에 지지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흡기구(101)에는 그릴(101')이 마련되어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배기구(102)는 차량의 실내공간 외부와 연통되도록 하고, 그리고 그러한 배기구(102)에서부터 차량 실내공간의 외부로 연장된 자바라 형상의 외부덕트(800)가 마련된다. 이를 통하여 공조되고 난 후 열교환된 폐열이 포함된 공기는 실내공간의 외부로 버림으로써 실내의 공조효율을 보존하고, 특히 이를 차량의 하부나 트렁크로 버리도록 하기 위해 자바라 형상의 외부덕트(800)를 사용한다. 이를 통하여 암레스트가 수납되거나 전개될 때 유로가 막히지 않고 원활히 수납/전개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기 열전소자(520)의 공조면은 컵홀더(500)에 밀착되고 방열면은 배기덕트(340)에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배기덕트(340)의 내부에는 열전소자(520)의 방열면에 밀착된 열교환부(600)가 마련되도록 함으로써, 폭이 좁은 암레스트에도 충분히 한 쌍의 컵홀더를 내장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암레스트바디(100)의 내부에는 충진재가 충진되며, 충진재에는 흡기구(101) 또는 배기구(102)를 블로워(700)와 연결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흡기덕트(320) 또는 배기덕트(340)를 구성하도록 한다. 이를 통하여 별도로 덕트를 만들어 내장함으로써 발생되는 중량증가, 암레스트 작동이질감, 충돌시 탑승자 타격, 차량 험로주행시 이음발생 등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배기구(102)는 암레스트바디(100) 후단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암레스트바디(100)의 하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되도록 하며, 상기 배기구(102)에서부터 차량 실내공간의 외부로 연장된 자바라 형상의 외부덕트(800);를 더 포함함은 앞서 살핀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진 차량의 암레스트에 따르면, 암레스트에 냉온장이 가능한 컵홀더를 장착함으로써 고급형 차량의 상품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
특히 폭이 좁은 사양의 암레스트에도 한 쌍의 컵홀더를 충분히 설치할 수 있는 폭을 설계상 확보할 수 있어 상품성이 크게 개선된다.
또한, 냉온장 기능의 구현을 위해 열전소자의 배치와 공조라인의 배치를 효과적으로 함으로써 실질적인 냉온장이 잘 일어날 수 있다.
그리고, 암레스트의 특성상 수납되어 시트백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기본적인 컴포트를 해치지 않고 충돌시 안정성을 구비함으로써 상품성이 저하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00 : 암레스트바디 101 : 흡기구
102 : 배기구 500 : 컵홀더
520 : 열전소자 700 : 블로워

Claims (15)

  1. 암레스트바디(100) 전단부의 전면에 형성된 흡기구(101) 및 암레스트바디(100) 후단부에 형성된 배기구(102);
    상기 암레스트바디(100)에 내장되며 상기 흡기구(101)와 흡기덕트(320)로 연결된 블로워(700);
    상기 흡기덕트(320) 상방에 나란히 배치된 복수의 컵홀더(500);
    상기 블로워(700)에서 연장되어 각각의 컵홀더(500)를 지나가도록 분기된 후 배기구(102)와 연결된 배기덕트(340); 및
    상기 각각의 컵홀더(500)에 마련되며 배기덕트(340)에 밀착된 열전소자(520);를 포함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02)는 암레스트바디(100)의 후단부에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의 분기된 배기덕트(340)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101)는 암레스트바디(100) 전단부의 전면 중 하부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320)는 흡기구(101)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되, 암레스트바디(100)의 하부를 길이방향으로 지나가 블로워(700)와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500)는 흡기덕트(320)의 상방에 암레스트바디(100)의 폭 방향으로 나란히 배치된 한 쌍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340)는 블로워(700)에서 연장된 후 양측으로 갈라져 분기덕트(342)를 이루고, 각각의 분기덕트(342)는 컵홀더(500)를 지나 후방으로 연장되어 배기구(102)에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기덕트(320)는 블로워(700)의 하부에 연결되고 배기덕트(340)는 블로워(700)에 수평으로 연결됨으로써, 블로워(700)는 수직으로 공기를 흡입하여 수평으로 토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컵홀더(500)는 암레스트바디(100)의 전단부에 위치되고 블로워(700)는 암레스트바디(100)의 후단부에 위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기구(101)에는 그릴(101')이 마련되어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02)는 차량의 실내공간 외부와 연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520)의 공조면은 컵홀더(500)에 밀착되고 방열면은 배기덕트(340)에 밀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배기덕트(340)의 내부에는 열전소자(520)의 방열면에 밀착된 열교환부(600)가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레스트바디(100)의 내부에는 충진재가 충진되며, 충진재에는 흡기구(101) 또는 배기구(102)를 블로워(700)와 연결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흡기덕트(320) 또는 배기덕트(340)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1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02)는 암레스트바디(100) 후단부의 후면에 형성되며 암레스트바디(100)의 하단에서 일정거리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1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102)에서부터 차량 실내공간의 외부로 연장된 자바라 형상의 외부덕트(8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암레스트.
KR1020120150323A 2012-12-21 2012-12-21 차량의 암레스트 KR101371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323A KR101371757B1 (ko) 2012-12-21 2012-12-21 차량의 암레스트
US13/840,410 US9016777B2 (en) 2012-12-21 2013-03-15 Armrest for vehicle
DE102013206784.4A DE102013206784B4 (de) 2012-12-21 2013-04-16 Armlehne für fahrzeug und fahrzeug
CN201310151792.8A CN103879324B (zh) 2012-12-21 2013-04-27 用于车辆的扶手
BR102013013272-1A BR102013013272A2 (pt) 2012-12-21 2013-05-28 Apoio de braço para veícul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50323A KR101371757B1 (ko) 2012-12-21 2012-12-21 차량의 암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757B1 true KR101371757B1 (ko) 2014-03-07

Family

ID=50647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50323A KR101371757B1 (ko) 2012-12-21 2012-12-21 차량의 암레스트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016777B2 (ko)
KR (1) KR101371757B1 (ko)
CN (1) CN103879324B (ko)
BR (1) BR102013013272A2 (ko)
DE (1) DE102013206784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40248827A1 (en) * 2013-03-04 2014-09-04 The Boeing Company Aircraft Circulation System for Passenger Cabins
EP3144180B1 (de) * 2015-09-08 2017-09-20 Denso Automotive Deutschland GmbH Belüftungseinrichtung und sitz mit einer solchen belüft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DE102015115025A1 (de) * 2015-09-08 2017-03-09 Denso Automotive Deutschland Gmbh Belüftungseinrichtung und Sitz mit einer solchen Belüftungseinrichtung, insbesondere für ein Fahrzeug
AU2018207133B2 (en) 2017-01-13 2022-09-15 Crown Equipment Corporation Industrial vehicle armrest
DE102019210084B4 (de) * 2019-07-09 2021-05-20 Audi Ag Fahrzeug mit einer Entlüftungsvorrichtung und einer Kühlboxeinrichtung
CN110254320B (zh) * 2019-07-09 2021-12-07 扬州丽丰内饰件有限公司 自动温度调节汽车杯架
CN111055740B (zh) * 2019-12-31 2020-12-15 东风汽车集团有限公司 一种集成杯托和扶手加热制冷的扶手结构
US11299079B1 (en) * 2021-03-10 2022-04-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rmrest with cushioned component having an integrated air channeling system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175B1 (ko) * 1996-06-27 1998-12-15 배순훈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동차용 냉온장장치
KR20070069058A (ko) * 2005-12-27 2007-07-02 한라공조주식회사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 후석측 냉온장장치
KR20090020369A (ko) * 2007-08-23 2009-02-26 한라공조주식회사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KR20120100574A (ko) * 2011-03-04 2012-09-12 한라공조주식회사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냉온장고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08465A (ja) 2000-01-31 2001-08-03 Pentel Corp 飲料用保温保冷器
EP1423760A2 (en) * 2000-11-02 2004-06-02 Tellurex Corporation Temperature-controlled storage system
US7862113B2 (en) * 2006-01-30 2011-01-04 Igb Automotive Ltd. Modular comfort assembly diffuser bag having integral air mover support
KR20090062181A (ko) 2007-12-12 2009-06-1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열전반도체를 이용한 차량용 냉각박스 및 그의 냉각방법
CN201160677Y (zh) * 2008-02-29 2008-12-10 林锡雷 一种活动杯托结构
KR101445554B1 (ko) 2008-03-05 2014-09-29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차량용 냉온장고
US8540297B2 (en) * 2008-09-15 2013-09-2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Manipulating center console components utilizing active material actuation
KR100993999B1 (ko) 2008-11-28 2010-11-11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후석용 쿨박스
US8272685B2 (en) * 2010-02-09 2012-09-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with air duct
KR20120066212A (ko) 2010-12-14 2012-06-22 갑을오토텍(주) 자동차의 냉온장고
CN202088948U (zh) * 2011-06-14 2011-12-28 上海延锋江森座椅有限公司 一种新型杯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64175B1 (ko) * 1996-06-27 1998-12-15 배순훈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동차용 냉온장장치
KR20070069058A (ko) * 2005-12-27 2007-07-02 한라공조주식회사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 후석측 냉온장장치
KR20090020369A (ko) * 2007-08-23 2009-02-26 한라공조주식회사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KR20120100574A (ko) * 2011-03-04 2012-09-12 한라공조주식회사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용 냉온장고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BR102013013272A2 (pt) 2014-08-19
CN103879324B (zh) 2017-09-05
US20140175845A1 (en) 2014-06-26
CN103879324A (zh) 2014-06-25
US9016777B2 (en) 2015-04-28
DE102013206784B4 (de) 2021-08-05
DE102013206784A1 (de) 2014-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757B1 (ko) 차량의 암레스트
KR101428300B1 (ko) 차량의 암레스트
KR101371758B1 (ko) 차량의 암레스트
KR101592708B1 (ko) 냉온장 컵홀더
US20160214514A1 (en) Heater fan, especially for use as a neck warmer in vehicle seats
JP6321184B2 (ja) 換気システム
US20160325655A1 (en) Vehicle seat with thermal device
JP5485027B2 (ja) 乗物用シート
US20090134677A1 (en) Motor Vehicle Seat with an Air Supply Device
CN104742772A (zh) 尤其用于交通运输工具座椅中的颈部加热装置的热风机
KR20110030196A (ko) 자동차 시트 냉난방 장치
KR101344526B1 (ko) 차량용 냉온장 장치
JP2004017855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KR20140141961A (ko) 차량의 수납기구
KR101500104B1 (ko) 차량의 후석 공조시스템
JP6128373B2 (ja) 車両用暖房装置及び暖房付き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モジュール
KR20100061172A (ko) 차량 후석용 쿨박스
RU2627226C2 (ru) Авто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с центральной консолью, содержащей систему кондиционирования воздуха
JP2008273404A (ja) シート空調装置
KR101345961B1 (ko) 실내공기 흡입형 차량용 통풍시트
KR20150025961A (ko) 열전소자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KR101154518B1 (ko) 차량용 냉난방 시트
KR20200119522A (ko) 암레스트 콘솔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
KR101684140B1 (ko) 쿠션형 냉난방장치
JP6975585B2 (ja) 車両の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