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20369A -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 Google Patents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20369A
KR20090020369A KR1020070085095A KR20070085095A KR20090020369A KR 20090020369 A KR20090020369 A KR 20090020369A KR 1020070085095 A KR1020070085095 A KR 1020070085095A KR 20070085095 A KR20070085095 A KR 20070085095A KR 20090020369 A KR20090020369 A KR 200900203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hermoelectric module
air
vehicle
rear sea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850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3441B1 (ko
Inventor
장길상
지용준
이대웅
Original Assignee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라공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라공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850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3441B1/ko
Publication of KR20090020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20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3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3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78Air-conditioning devices using the Peltier effec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85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vehicle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56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N2/5607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 B60N2/5621Heating or ventilating devices characterised by convection by air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N10/0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 H10N10/10Thermoelectric devices comprising a junction of dissimilar materials, i.e. devices exhibiting Seebeck or Peltier effects operating with only the Peltier or Seebeck eff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28Devices in the interior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0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 B60H1/00207Combined heating, ventilating, or cooling devices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HVAC devices with respect to the passenger compartment
    • B60H2001/00242Devices in the rear area of the passenger compart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후석측에 구비된 암레스트의 내부에 열전소자 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양측면에 방열핀을 설치하여 일측 방열핀과 열교환된 공기는 차실내로 공급하고 타측 방열핀과 열교환된 공기는 트렁크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가동시 폐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냉난방 효율 및 성능을 향상함과 아울러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양측 공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하여 열전달 효율이 최대화되고, 또한 상기 냉난방장치를 후석측 암레스트에 설치하므로 기존 장치를 제거하면서까지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승객의 불편을 최소화함은 물론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차량의 후석(101)측에 구비된 암레스트(110)의 내부를 양분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열전소자 모듈(120)과,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방열핀(130)(131)과,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을 기준으로 상기 암레스트(110) 내부의 공기공급통로(112)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차량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일측 방열핀(130)과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로 공급하는 제1송풍팬(113)과,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을 기준으로 상기 암레스트(110) 내부의 공기배출통로(115)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차량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타측 방열핀(131)과 열교환시킨 후 트렁크측으로 배출하는 제2송풍팬(11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열전소자 모듈, 후석측 냉난방장치, 방열핀, 송풍팬

Description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A cooling and heating device of rear seat for vehicles using thermoelectric element}
본 발명은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후석측에 구비된 암레스트의 내부에 열전소자 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양측면에 방열핀을 설치하여 일측 방열핀과 열교환된 공기는 차실내로 공급하고 타측 방열핀과 열교환된 공기는 트렁크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가동시 폐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냉난방 효율 및 성능을 향상함과 아울러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양측 공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하여 열전달 효율이 최대화되고, 또한 상기 냉난방장치를 후석측 암레스트에 설치하므로 기존 장치를 제거하면서까지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승객의 불편을 최소화함은 물론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는, 전석 공조장치 만으로는 차량 실내를 쾌적하게 냉,난방할 수 없을 정도로 실내용적이 큰 승합차나 RV차량 또는 SUV차량 등에 적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전석 공조장치와 연계하여 주로 차체 뒤쪽의 밀폐된 공간에 설치되어 듀얼 공조장치를 구성하게 된다.
이러한 차량용 후석 공조장치에는 크게 2가지의 형태가 있는데, 증발기만을 내장하여 냉방용으로만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것과, 증발기 및 히터코어를 내장하여 냉,난방용으로 사용하도록 이루어진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후석 공조장치의 경우 내부에 증발기나 히터코어를 내장해야하기 때문에 부피가 커지게 되고, 이에따라 차량의 기존 장치를 제거하여 설치공간을 확보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하여 전석이나 후석측 시트를 직접 냉난방하는 장치가 개발되었는데, 그 일예로 일본 공개특허 제2000-060681호에는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시트 냉난방장치(10)로써,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시트 냉난방장치(10)는, 시트(1)내에 열전소자 모듈(20)을 설치하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20)의 일측면에는 방열체(30)를 설치하고 타측면에는 히트파이프(40)를 설치한다.
또한, 상기 방열체(30)가 설치되는 시트(1) 내부에는 방열통로(2)가 형성되고 상기 방열통로(2)에는 팬(3)이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열전소자 모듈(20)은 전류의 흐름방향에 따라 일측면에서는 흡열작용을 하고 타측면에는 방열작용을 하는 특성이 가지며, 전류의 극(+,-)전환을 통해 흡열과 방열이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히트파이프(40)를 가열하거나 냉각시킬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시트(1)를 냉방하고자 할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상기 열전소자 모듈(20)은 상기 히트파이프(40)에 대해 흡열작용으로 히트파이프(40)를 냉각시켜 시트(1)를 냉방하게 되고, 이에 반해 상기 방열체(30)에 대해서는 방열작용을 하게 되므로 상기 방열체(30)는 가열되게 된다.
이때, 상기 가열된 방열체(30)를 신속히 냉각시켜 줄수록 상기 흡열측 효율이 좋아지기 때문에 냉방성능 향상을 위해 상기 방열통로(2)에 설치된 팬(3)을 작동시켜 차실내 공기를 이용하여 상기 방열체(30)를 냉각시키게 된다. 이 과정에서 상기 방열체(30)와 열교환하면서 가열된 공기(폐열)는 차실내로 토출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상기 열전소자 모듈(20)의 냉난방시(가동시) 상기 방열체(30)와 열교환에 의해 발생하는 폐열이 상기 방열통로(2)를 통해 차실내로 토출되기 때문에 차실내의 냉난방 효율 및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 모듈(20)을 이용한 냉난방장치(10)의 설치공간을 위해 차량의 기존 장치를 제거하여 설치공간을 확보해야하는 문제도 있었다.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후석측에 구비된 암레스트의 내부에 열전소자 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양측면에 방열핀을 설치하여 일측 방열핀과 열교환된 공기는 차실내로 공급하고 타측 방열핀과 열교환된 공기는 트렁크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가동시 폐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냉난방 효율 및 성능을 향상함과 아울러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양측 공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하여 열전달 효율이 최대화되고, 또한 상기 냉난방장치를 후석측 암레스트에 설치하므로 기존 장치를 제거하면서까지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승객의 불편을 최소화함은 물론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한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의 후석측에 구비된 암레스트의 내부를 양분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열전소자 모듈과,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방열핀과, 상기 열전소자 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암레스트 내부의 공기공급통로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차량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일측 방열핀과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로 공급하는 제1송풍팬(113)과, 상기 열전소자 모듈을 기준으로 상기 암레스트 내부의 공기배출통로(115)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차량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타측 방열핀과 열교환시킨 후 트렁크측으로 배출하는 제2송풍팬(11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후석측에 구비된 암레스트의 내부에 열전소자 모듈을 설치하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양측면에 방열핀을 설치하여 일측 방열핀과 열교환된 공기는 차실내로 공급하고 타측 방열핀과 열교환된 공기는 트렁크로 배출함으로써, 상기 열전소자 모듈의 가동시 폐열을 외부로 방출하여 열전소자 모듈이 효율화 되고 냉난방 성능이 향상된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 모듈 양측면의 공기가 서로 반대방향으로 유동하도록 함으로써 열전소자 모듈의 효율이 향상되고 열전달 효율도 최대화된다.
그리고, 상기 냉난방장치를 후석측 암레스트에 설치함으로써 기존 장치를 제거하면서까지 별도의 설치공간을 확보할 필요가 없어 승객의 불편을 최소화함은 물론 냉난방장치를 선택적으로 탈부착이 가능하다.
또한, 간단한 구조의 냉난방장치로 후석의 냉난방을 실현할 수 있으며 냉난방의 전환도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에 있어서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3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100)는 차량의 후석(101)측에 구비된 암레스트(110)에 설치되는 것으로써, 크게 열전소자 모듈(120)과, 방열핀(130)(131)과, 제1송풍팬(113)과, 제2송풍팬(116)으로 이루어진다.
먼저, 상기 암레스트(110)는 차량의 후석(101) 중앙에 설치되며, 상기 암레스트(110)의 내부는 내부에 설치될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을 기준으로 양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암레스트(110)의 내부에는 상기 암레스트(110)의 내부를 양분하기 위해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외에도 분리벽(111)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분리벽(111)은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양단부측에 위치하지만,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크기나 위치에 따라 상기 분리벽(111)의 형성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과 분리벽(111)은 상기 암레스트(110)의 내부를 상,하로 양분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은 상기 암레스트(110)의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에 의해 상기 암레스트(110)의 내부는 상,하 로 분할된다.
또한, 상기 암레스트(110)의 내부에는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과 분리벽(111)을 기준으로 상부측에는 차량 실내 공기를 순환시키기 위한 공기공급통로(112)가 형성되고 하부측에는 차량 실내 공기를 트렁크를 통해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공기배출통로(115)가 형성된다.
한편,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과 분리벽(111)은 상기 암레스트(110)의 내부를 좌,우로 양분하는 위치에 설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양측면에는 각각 방열핀(130)(131)이 설치된다. 이때,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상측면에 설치되는 방열핀(130)은 상기 공기공급통로(112)내에 위치하게 되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하측면에 설치되는 방열핀(131)은 상기 공기배출통로(115)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방열핀(130)(131)은 얇은 판재를 지그재그 형태로 절곡시켜 형성된다.
참고로,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은 전류의 흐름방향에 따라 한 쪽은 흡열작용을 하고 반대 쪽은 방열작용을 하게 된다.
이러한,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은 전류의 극(+,-)전환을 통해 흡열과 방열이 동시에 가능하기 때문에 상기 암레스트(110)의 공기공급통로(112)를 통과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냉각시켜 상기 후석(101)의 전방측과 상측으로 공급하므로 후석(101) 전체를 냉난방 시킬 수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에 인가되는 전류의 극성을 변경하면 상기 암레스트(110)의 공기공급통로(112)쪽에 위치한 방열핀(130)을 차갑게 또는 뜨겁게 할 수 있으므로 냉난방의 전환이 가능하다. 따라서, 탑승자는 냉난방 조절 스위치(미도시)에 의해 냉난방을 선택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일측인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에는 제1송풍팬(113)이 설치되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타측인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에는 제2송풍팬(116)이 설치된다.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의 내부에 설치된 제1송풍팬(113)은 차량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일측 방열핀((130))과 열교환시킨 후 다시 차량 실내로 공급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의 입구(112a)는 상기 암레스트(110)의 후방 단부에 상기 후석(101)의 등받이(101a)측과 인접하여 관통 형성되고, 출구(112b)는 상기 입구(112a)의 반대편측인 상기 암레스트(110)의 전방 단부에 관통 형성되되 상기 후석(101)의 전방측과 상측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1송풍팬(113)은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상에 위치한 상기 방열핀(130)의 상류 또는 하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송풍팬(113)을 상기 방열핀(130)의 상류측에 설치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1송풍팬(113)이 가동하게 되면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의 입구(112a)를 통해 차량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상에 위치한 상기 방열핀(130)을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냉각 또는 가열된 후,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의 출구(112b)를 통해 후석(101)의 전방측과 상측으로 토출되어 상기 후석(101) 전체를 냉난방 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의 내부에 설치된 제2송풍팬(116)은 차량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타측 방열핀(131)과 열교환시킨 후 트렁크측으로 배출하게 된다. 상기 트렁크로 배출된 공기는 상기 트렁크의 바닥에 형성된 홀(미도시)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의 입구(115a)는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의 출구(112b)와 같은 방향쪽인 상기 암레스트(110)의 전방 단부에 관통 형성되고, 출구(115b)는 상기 암레스트(110)의 후방 단부에 상기 트렁크와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제2송풍팬(116)은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상에 위치한 상기 방열핀(131)의 상류 또는 하류측에 설치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2송풍팬(116)을 상기 방열핀(131)의 하류측에 설치하였다.
따라서, 상기 제2송풍팬(116)이 가동하게 되면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의 입구(115a)를 통해 차량 실내공기가 흡입되고, 흡입된 공기는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상에 위치한 상기 방열핀(131)을 통과하면서 열교환되어 냉각 또는 가열된 후,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의 출구(115b)를 통해 트렁크로 배출된 후 트렁크에 형성된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상기 후석(101) 전체의 냉난방에 필요한 공기는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상에 위치한 열전소자 모듈(120)의 상측 방열핀(130)과 열교환한 후 공기공급통로(112)의 출구(112b)를 통해 차량 실내로 토출되지만,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상에 위치한 열전소자 모듈(120)의 하측 방열핀(131)과 열교환하여 냉난방 에 불필요한 공기(폐열)는 트렁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을 효율화하고 차량 실내의 냉난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방열핀(130)(131)을 통과하는 공기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들어, 냉방모드시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상측면에 설치된 방열핀(130)을 통과하는 공기는 열전소자 모듈(120)의 흡열작용에 의해 점차 온도가 하강하게 되고,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하측면에 설치된 방열핀(131)을 통과하는 공기는 열전소자 모듈(120)의 방열작용에 의해 점차 온도가 상승하게 되면서,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양측간 온도편차가 균일하게 된다. 이처럼 열전소자 모듈(120)의 양측간 온도차가 균일하게 됨으로써 열전소자 모듈(120)의 효율이 상승하게 된다.
또한,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은 한 개를 설치하는 것 보다는 복수개로 분할하여 상기 암레스트(110) 내부의 바람 방향을 따라 직렬로 배열하는 것이 효율적이다.
즉, 복수개로 분할된 열전소자 모듈(120)의 작동온도가 위치에 따라 달라지게 되므로 각 위치에 따라 작동온도조건 및 온도차에 맞춰 최적화된 열전소자 모듈(120)을 사용할 수 있다. 열전소자 모듈(120)은 작동온도 및 온도차에 따라 효율이 많이 변하기 때문에 각 위치에 따라 열전소자 모듈(120)을 최적화하면 열전소자 모듈(120)의 효율이 상승하고 고밀도로써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복수개로 분할된 각 열전소자 모듈(120)의 온도차가 일정하므로 열전소자 모듈(120)의 설계시에 안정성을 기할수 있게 되어 제작의 편의성이 증대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100)의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가. 냉방모드시,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상측면에 대해서는 흡열작용을 하여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상에 위치한 방열핀(130)을 냉각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하측면에 대해서는 방열작용을 하여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상에 위치한 방열핀(131)은 가열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공기공급통로(112) 및 공기배출통로(115)에 설치된 제1송풍팬(113)과 제2송풍팬(116)이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송풍팬(113)의 작동으로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의 입구(112a)를 통해 차량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열작용을 하는 열전소자 모듈(120)의 상측 방열핀(130)과 열교환에 의해 냉각된 후,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의 출구(112b)를 통해 후석(101)의 전방측과 상측으로 토출되어 후석(101) 전체를 냉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송풍팬(116)의 작동으로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의 입구(115a)를 통해 차량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방열작용을 하는 열전소자 모듈(120)의 하측 방열핀(131)과 열교환에 의해 가열되어 온도가 상승 된 후,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의 출구(115b)를 통해 트렁크로 배출되고, 상기 트렁크로 배출된 공기는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냉방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게 된다.
나. 난방 모드시,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상측면에 대해서는 방열작용을 하여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상에 위치한 방열핀(130)을 가열시키게 되며, 이때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하측면에 대해서는 흡열작용을 하여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상에 위치한 방열핀(131)을 냉각시키게 된다.
계속해서, 상기 공기공급통로(112) 및 공기배출통로(115)에 설치된 제1송풍팬(113)과 제2송풍팬(116)이 작동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제1송풍팬(113)의 작동으로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의 입구(112a)를 통해 차량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방열작용을 하는 열전소자 모듈(120)의 상측 방열핀(130)과 열교환에 의해 가열된 후,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의 출구(112b)를 통해 후석(101)의 전방측과 상측으로 토출되어 후석(101) 전체를 난방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제2송풍팬(116)의 작동으로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의 입구(115a)를 통해 차량 실내의 공기가 유입되고, 유입된 공기는 상기 흡열작용을 하는 열전소자 모듈(120)의 하측 방열핀(131)과 열교환에 의해 냉각되어 온도가 하락된 후,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의 출구(115b)를 통해 트렁크로 배출되고, 상기 트렁크로 배출된 공기는 홀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난방 성능의 저하를 방지하게 된 다.
도 1은 종래의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시트 냉난방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도 3에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냉난방장치 101: 후석
101a: 등받이 110: 암레스트
111: 분리벽 112: 공기공급통로
112a,115a: 입구 112b,115b: 출구
113: 제1송풍팬(113) 115: 공기배출통로(115)
116: 제2송풍팬(116) 120: 열전소자 모듈
130,131: 방열핀

Claims (4)

  1. 차량의 후석(101)측에 구비된 암레스트(110)의 내부를 양분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열전소자 모듈(120)과,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방열핀(130)(131)과,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을 기준으로 상기 암레스트(110) 내부의 공기공급통로(112)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차량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일측 방열핀(130)과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로 공급하는 제1송풍팬(113)과,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을 기준으로 상기 암레스트(110) 내부의 공기배출통로(115)측에 설치됨과 아울러 차량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타측 방열핀(131)과 열교환시킨 후 트렁크측으로 배출하는 제2송풍팬(116)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방열핀(130)(131)을 통과하는 공기의 방향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공급통로(112)의 입구(112a)는 상기 후석(101)의 등받이(101a)측과 인접하여 형성되고, 출구(112b)는 상기 입구(112a)의 반대편측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배출통로(115)의 입구(115a)는 공기공급통로(112)의 출구(112b)와 같은 방향쪽에 형성되고, 출구(115b)는 상기 트렁크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은 상기 암레스트(110)의 내부를 상,하로 양분하는 위치에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공기공급통로(112)는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상부측에 형성되고, 상기 공기배출통로(115)는 상기 열전소자 모듈(120)의 하부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KR1020070085095A 2007-08-23 2007-08-23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KR101403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095A KR101403441B1 (ko) 2007-08-23 2007-08-23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85095A KR101403441B1 (ko) 2007-08-23 2007-08-23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20369A true KR20090020369A (ko) 2009-02-26
KR101403441B1 KR101403441B1 (ko) 2014-06-03

Family

ID=406878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85095A KR101403441B1 (ko) 2007-08-23 2007-08-23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3441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757B1 (ko) * 2012-12-21 2014-03-07 현대자동차(주) 차량의 암레스트
KR101371758B1 (ko) * 2012-12-21 2014-03-10 갑을오토텍(주) 차량의 암레스트
KR20160052889A (ko) * 2014-10-29 2016-05-13 주식회사 시마스 에어 토출형 자동차 암레스트
US9862244B2 (en) 2015-10-06 2018-01-09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independent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555372B2 (en) * 2016-05-09 2020-02-04 Daechang Co., Ltd. Armrest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102073556B1 (ko) * 2018-06-14 2020-02-05 임재훈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5969B1 (ko) * 1999-09-21 2002-05-10 김범영 자동차용 냉난방 장치
KR100352437B1 (ko) * 2000-01-06 2002-09-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개인용 냉난방장치
JP2002248931A (ja) 2001-02-21 2002-09-03 Nissin Electric Co Ltd 空調装置及び該装置を装着した産業用車輌
JP2007126047A (ja) 2005-11-04 2007-05-24 Denso Corp 車両用シート空調装置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1757B1 (ko) * 2012-12-21 2014-03-07 현대자동차(주) 차량의 암레스트
KR101371758B1 (ko) * 2012-12-21 2014-03-10 갑을오토텍(주) 차량의 암레스트
US9016777B2 (en) 2012-12-21 2015-04-28 Hyundai Motor Company Armrest for vehicle
KR20160052889A (ko) * 2014-10-29 2016-05-13 주식회사 시마스 에어 토출형 자동차 암레스트
US9862244B2 (en) 2015-10-06 2018-01-09 Hyundai Motor Company Integrated independent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3441B1 (ko) 201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90031742A1 (en) Seat air conditioner for vehicle
KR101225660B1 (ko)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용 보조 냉난방장치 및 그제어방법
US20150101353A1 (en) Air conditioning system and method for high-voltage battery of vehicle
JP2011152907A (ja) 電気式加熱装置及び車両用空気調和装置
KR101605914B1 (ko) 전기자동차의 냉난방장치
JP2009184493A (ja) 車両用空気調和システム
KR20090020369A (ko)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JP2012117801A (ja) 空調用熱交換器及び空調装置
KR102512365B1 (ko) 차량용 피티씨 히터
US20120222429A1 (en) Vehicle air conditioner
KR101232451B1 (ko) 자동차 시트 냉난방 장치
KR20120027670A (ko) 차량용 공조장치
US11912102B2 (en) Perforated member and air conditioner for vehicle having same
KR101236712B1 (ko) 자동차 시트 공기조화장치
KR101715727B1 (ko) 열전소자 모듈을 구비한 차량용 공조장치
CN107953740B (zh) 空调单元
KR101876953B1 (ko) 열전소자를 이용한 자동차용 시트 냉온 모듈
EP3995774A1 (en) Air-conditioning unit, heat exchanger, and air conditioner
KR101403444B1 (ko) 차량용 공조장치
CN115788955A (zh) 离心风机、汽车座椅以及汽车
KR101746232B1 (ko) 차량용 공기조화장치
WO2019181627A1 (ja) 車両用空気調和装置
JP7228858B1 (ja) 空気調和装置
WO2022270594A1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2592456B1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