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3556B1 -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 - Google Patents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3556B1
KR102073556B1 KR1020180117023A KR20180117023A KR102073556B1 KR 102073556 B1 KR102073556 B1 KR 102073556B1 KR 1020180117023 A KR1020180117023 A KR 1020180117023A KR 20180117023 A KR20180117023 A KR 20180117023A KR 102073556 B1 KR102073556 B1 KR 1020735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blower
thermoelectric element
inlet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70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141558A (ko
Inventor
임재훈
Original Assignee
임재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재훈 filed Critical 임재훈
Publication of KR201901415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5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35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35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02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characterized by details of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는 열전소자,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열전소자에 의해 온도가 변화된 공기를 시트부로 송풍시키고 상기 시트부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송풍부 및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송풍부의 동작 시 상기 열전소자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변화된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송풍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송풍부와 상기 제2 송풍부는 상기 열전소자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BLOWER AND SEAT COMBINED THEREWITH}
본 발명은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아용 시트에 사용되는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에 관한 것이다.
유아용 시트는 유아가 편안하게 앉을 수 있도록 안락감을 유아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이러한 유아용 시트는 카시트 또는 유모차의 좌석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유아를 데리고 이동할 때 유아가 안전하게 이동하는 수단으로 유모차가 있다. 유아가 앉는 시트가 편안함을 제공하지 않는 경우 유아가 투정을 부릴 수 있다. 이러한 유아의 투정을 낮추기 위해 유모차의 시트는 편안한 승차감 제공과 충격흡수를 위해 스펀지와 같은 소재를 사용한다.
그러나 이런 스펀지 소재는 단열성능을 가지고 있어 여름에는 접촉면에서 온도가 높아지게 된다. 또한, 여름철에 유모차가 이동하는 경우 야외의 뜨거운 햇살로 인해 유모차 안이 더워질 수 있다. 더워진 유모차 안에 앉은 아기는 바람 등이 차단되어 있어 더운 기운을 더 경험할 수 있다. 따라서 여름철 또는 겨울철에 아기에게 편안함과 쾌적함을 동시에 줄 수 있는 유아용 시트가 요구된다.
공개번호 제20-1998-0055479호, 유모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열전소자를 이용하여 시트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는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는 열전소자(110);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열전소자에 의해 온도가 변화된 공기를 시트부(200)로 송풍시키고 상기 시트부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송풍부(120); 및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송풍부의 동작 시 상기 열전소자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변화된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송풍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송풍부와 상기 제2 송풍부는 상기 열전소자를 공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술한 송풍 장치와 결합되는 시트는 시트부; 상가 시트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송풍부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시트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미리 정해진 경로로 유동되도록 하는 공기유로; 및 상기 공기유로를 유동한 공기가 상기 제1 송풍부의 유입구로 배출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트를 이용하는 유아의 상태와 주변 환경에 따라서 쾌적하고 편안하게 시트의 온도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겨울철 바람막이 커버가 적용된 유모차에 사용하는 경우, 바람막이 커버의 전면 투명창에 발생하는 습기를 제거하거나 습기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부(12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부(1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로(2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로(2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아용 시트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송풍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유아용 시트는 유아가 상온에서 쾌적함을 느끼도록 여름철에는 시원하게, 겨울철에는 따뜻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유아용 시트에는 유아가 앉을 때 다리 쪽에 송풍 장치(100)가 위치해서 시원한 바람 또는 따뜻한 바람을 유아 쪽으로 송풍시킬 수 있다.
실시예로, 송풍 장치(100)는 열전소자(110), 열전소자(110)의 일측에 위치하며 열전소자(110)에 의해 온도가 변화된 공기를 시트부(200)로 송풍하는 제1 송풍부(120) 및 열전소자(110)의 타측에 위치하며 열전소자(110)와 외부 공기간에 열 교환하는 제2 송풍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송풍부(120)와 제2 송풍부(120)는 열전소자(110)를 공유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전소자(110)의 하면에 제1 송풍부(120)가, 열전소자(110)의 상면에 제2 송풍부(130)가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110)의 양면, 즉 제1 송풍부(120)가 위치하는 측과 제2 송풍부(130)가 위치하는 측에는 각각 방열핀(111, 112)이 형성될 수 있고, 열전소자(110)의 일측에는 열전소자(110)로 전원이 공급되는 전원 단자(113)가 형성될 수 있다.. 송풍 장치(100)에서 열전소자(110)를 공유하는 제1 송풍부(120)와 제2 송풍부(130)는 칸막이(140)에 의해 구획될 수 있으며 칸막이(140)에 대해서는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열전소자(110)는 열전방향의 역전에 의해 냉각과 가열의 변환이 가능하다. 만일 제1 송풍부(120)에서 열전소자(110)에 의해 온도가 일정 이하로 변화된 공기(이하 '시원한 공기'라 칭함)가 송풍되는 경우, 제2 송풍부(130)는 열전소자(110)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일정 이상으로 변화된 공기(이하 '따뜻한 공기'라 칭함)를 배출할 수 있다. 즉, 열전소자(110)의 한 쪽 면이 가열되는 경우 반대 쪽 면은 냉각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열전소자(110)를 공유하는 제1 송풍부(120)와 제2 송풍부(120)는 서로 다른 온도의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다.
열전소자(110)가 냉각되는 경우 해당 표면에 결로가 맺히는 결로를 제거하는 일 실시예로서 결로를 흡수할 수 있는 흡수 부재가 제1 송풍부(120) 또는 제2 송풍부(130)에 포함될 수 있고, 일 예로서 스펀지를 흡수 부재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열전소자(110)의 표면에 맺힌 결로를 제거하는 다른 실시예로서 열전소자(110)의 해당 표면이 발열되도록 하여 표면의 결로를 증발시켜 제거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열전소자(110)의 표면이 냉각되는 상태에서 발열되는 상태로 전환될 때에는 상온과 열전소자(110)의 표면 온도간 차이에 따라 그 전환되는 시간이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도 차이가 큰 경우 발열 상태로 동작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온도 차이가 작은 경우 발멸 상태로 동작하는 시간이 짧아지거나 없을 수 있다. 열전소자(110)가 발열 상태로 동작하는 시간은 상온과 열전소자(110)의 표면 온도간 차이에 따른 결로 발생 정도를 측정해서 실험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제1 송풍부(120)에서 시원한 공기를 시트부(200)로 송풍시키는 경우, 제2 송풍부(130)는 상대적으로 따뜻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고, 제1 송풍부(120)에서 따뜻한 공기를 시트(200)로 송풍시키는 경우, 제2 송풍부(130)는 상대적으로 시원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 때 제2 송풍부(130)로부터 배출되는 시원한 공기를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겨울철에 본 발명의 송풍 장치(100)와 시트(200)가 적용된 유아용 시트를 커버가 씌워진 유모차에 적용하는 경우, 제1 송풍부(120)에서 따뜻한 공기를 시트(200)로 송풍시키며 제2 송풍부(130)는 상대적으로 시원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는데, 외부로 배출되는 시원한 공기의 방향을 유모차의 커버 앞쪽에 위치하는 투명창으로 향하도록 하면 내부온도와 외부온도의 차이로 발생하는 투명창의 습기나 결로 등을 제거하거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100)는 열전소자(110)에 전류를 공급하는 전원 단자(140) 및 사용자의 열교환 제어 입력에 따라 열전소자(110)의 전류 공급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50)에 입력되는 열교환 제어 입력은 온도 버튼, 풍량 버튼을 통해 행해질 수 있다.
더불어, 풍량은 약풍, 강풍, 숨풍의 3단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숨풍은 절전기능이 있고, 청각 및 촉각을 통한 아이의 심리적 안정을 위해 송풍 팬을 엄마의 호흡 주기와 유사(예를 들어 16~20회)한 사인파 주기로 구동하도록 하여 유아의 심리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다. 풍량이 숨풍으로 설정되면 제1 송풍부(120) 또는 제2 송풍부(130)는 송풍 팬을16~20회의 사인파 주기로 강풍에서 약풍으로 약풍에서 강풍으로 바람을 조절할 수 있는데, 이는 송풍 팬에 공급되는 전기 세기를. 16~20회의 사인파 주기로 조절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전기 세기 조절은 스위치 소자를 이용한 온/오프 주기의 PWM 스위칭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송풍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스마트폰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를 이용하여 열전소자의 온도와 열교환(냉각/발열 상태의 전환) 그리고 풍량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차량 내에서 보호자와 유아가 앉은 위치가 다른 경우(운전석과 보조석 또는 운전석과 뒷 좌석 등), 유아용 시트의 온도를 유아에게 적합한 편안하고 쾌적한 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송풍부(120)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송풍부(120)는 열전소자(110)의 일측(도면에서는 하측)에 위치하며, 열전소자(110) 의해 온도가 변화된 공기를 시트(200)의 내부로 송풍시키고 시트(200)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유입되도록 하여 시트(200)가 시원하거나 따뜻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송풍부(120)는 송풍구(121), 유입구(122), 송풍팬(123), 제1 냉각핀(111) 및 칸막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송풍구(121)는 열전소자(110) 의해 온도가 변화된 공기를 시트(200)의 내부로 송풍시키기 위한 통로이고, 유입구(122)는 시트(200)의 내부로 송풍된 공기가 시트(200)의 내부를 유동하면서 열교환 된 후 다시 제1 송풍부(120)로 유입되기 위한 통로이다. 즉 열전소자(110) 의해 온도가 변화되어 송풍되는 공기는 송풍구(121)와 유입구(122)를 거쳐 시트(200)의 내부를 순환할 수 있다.
또한, 송풍팬(123)은 열전소자(110) 의해 온도가 변화된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으며, 송풍팬(123)의 송풍에 의해 송풍구(121) 측과 유입구(122) 측에는 압력 차가 발생하게 되어 시트(200)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유입구(122) 측으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또한, 제1 냉각핀(111)은 열전소자(110)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열전소자(110)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지만 제1 송풍부(120)와 제2 송풍부(130)는 열전소자(110)를 공유할 수 있다. 즉, 열전소자(110)의 일측면은 제1 송풍부(120)로 향하고 타측면은 제2 송풍부(130)로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참고로 제1 냉각핀(111)이 형성된 열전소자(110)의 반대 측면에는 제2 냉각핀(1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칸막이(140)는 송풍 장치(100) 내에서 제1 송풍부(120)와 제2 송풍부(130)를 구획할 수 있으며 열전소자(110)가 삽입될 수 있는 열전소자 삽입구(141)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열전소자 삽입구(141)는 제1 송풍부(120)와 제2 송풍부(130)가 열전소자(110)를 공유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다. 그리고 칸막이(140) 또한 제1 송풍부(120)와 제2 송풍부(130)가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칸막이(140)에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역류 방지 칸막이(142)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풍구(121)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122)를 통해 공기가 유입 시 제1 송풍부(120) 내에서 열전소자(110)를 거치지 않고 역류할 수 있는데, 제1 역류 방지 칸막이(142)는 유입구(122)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역류하지 않고 열전소자(110)를 거쳐 송풍구(210)측으로 송풍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송풍부(130)를 도시한 도면이다.
제2 송풍부(130)는 열전소자(110)의 타측(도면에서는 상측)에 위치하며 제1 송풍부(120)의 동작 시 열전소자(110)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변화되는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열전소자(110)의 열교환'은 제1 송풍부(120) 측의 열전소자(110)가 냉각되는 경우 제2 송풍부(130)측의 열전소자(110)는 그에 대응하여 발열되며, 그 반대로 제1 송풍부(120) 측의 열전소자(110)가 발열되는 경우 제2 송풍부(130)측의 열전소자(110)는 그에 대응하여 냉각되는 경우를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온도가 변화되는 공기'는 전술한 열전소자(110)의 열교환에 의해 열전소자(110)가 발열 또는 냉각됨으로써 제2 송풍부(130) 내부로 유입된 공기의 온도가 변화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송풍부(130)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131), 배출구(132), 송풍팬(133), 제2 냉각핀(112) 및 칸막이(14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를 설명하면, 흡입구(131)는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통로이고, 배출구(132)는 흡입구(131)를 통해 외부로부터 흡입된 후 열전소자(110)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변화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것이다. 배출구(132)는 일정 각도로 공기를 대기 중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지만, 배출구(132)로 배출되는 공기가 냉각 공기인 경우 해당 공기의 방향을 유모차의 커버 앞쪽에 위치하는 투명창으로 향하도록 하여 투명창의 습기나 결로 등을 제거하거나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송풍팬(133)은 열전소자(110)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변화된 공기를 송풍시킬 수 있으며, 제2 냉각핀(112)은 열전소자(110)의 타측면에 형성되어 제2 송풍부(130) 측에 위치하는 열전소자(110)의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칸막이(140)에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역류 방지 칸막이(142)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구(132)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이는 흡입구(131)를 통해 외부로부터 공기가 유입 시 제2 송풍부(130) 내에서 열전소자(110)를 거치지 않고 역류할 수 있다. 제2 역류 방지 칸막이(143)는 흡입구(131)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역류하지 않고 열전소자(110)를 거쳐 배출구(132) 측으로 송풍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200)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트(200)는 전술한 송풍 장치(1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시트부(210), 유입구(220), 공기유로(230) 및 배출구(240)를 포함할 수 있다.
시트부(210)는 사용자(유아)가 착석하여 신체가 접촉되는 구성요소이다. 시트부(210)는 다양한 소재로 구현될 수 있는데, 시트부(2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와 시트부(210)에 접촉된 사용자의 신체에 의한 열 또는 냉기가 용이하게 열교환 될 수 있는 소재로 구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시트부(2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누출이 최소화되는 것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더운 날씨를 가정하면, 제1 송풍부(120)에서 냉각된 공기가 시트부(210)로 송풍되는 경우, 시트부(2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차가운 공기이며, 시트부(210)에 착석한 유아의 몸에는 더운 날씨로 인해 열이 발생될 것이다. 이 때 시트부(210) 내부를 유동하는 차가운 공기는 시트부(210)에 전달되는 사용자로부터 발산되는 열과 열교환을 이루게 되며, 이로인해 사용자는 시원함을 느끼고 열교환이 이루어진 더워진 공기는 제1 송풍부(120)로 유입되어 냉각된 공기로서 다시 시트부(210)로 송풍될 수 있다. 만일 추운 날씨를 가정한다면 시트부(210)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는 따뜻한 공기이며 사용자는 전술한 과정을 통해 따뜻함을 느낄 수 있다.
한편 유입구(220)는 제1 송풍부(120)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통로이며, 공기유로(230)는 유입구(220)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시트부(210)의 내부를 유동하도록 형성되는 경로로서, 유입구(220)부터 후술하는 배출구(240)까지 공기가 유동하여 순환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유로(230)에 대해서는 도 6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배출구(240)는 공기유로(230)를 유동한 공기가 제1 송풍부(120)의 유입구(122)로 배출되는 통로이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송풍 장치(100)와 시트부(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은 홀더(160)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홀더(160)는 송풍 안내부(161)와 유입 안내부(16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송풍 장치(100)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송풍 안내부(161)는 제1 송풍부(120)의 송풍구(121)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가 시트부(200)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으며, 유입 안내부(162)는 시트부(200)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제1 송풍부(120)의 유입구(122)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송풍 안내부(161)와 유입 안내부(162)는 송풍 장치(100)와 시트부(200)의 결합 시 송풍구(121)와 유입구(122)가 삽입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측과 하측으로 돌출되는 커버부(163)가 형성될 수 있다.
참고로, 송풍 안내부(161)와 송풍구(121) 그리고 유입 안내부(162)와 유입구(122) 사이에는 파이프 형태의 연결 부재(미도시)가 삽입되어 공기의 누출을 방지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송풍 안내부(161)와 송풍구(121) 그리고 유입 안내부(162)와 유입구(122)의 지름 형태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는 파이프 형태의 연결 부재가 존재하고, 해당 연결 부재의 일측에는 송풍 안내부(161)가 결합되며 타측에는 송풍구(121)가 결합됨으로써, 송풍 안내부(161)와 송풍구(121) 간에 공기가 흐를 때 외부로 공기가 누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 유로(230)를 도시한 도면이다.
공기 유로(230)는 시트부(200)에서 사용자의 신체 접촉면과 열교환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유입구(220)부터 배출구(240)까지 공기가 유동하여 순환되는 경로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서는 시트부(210)의 내부가 좌측 영역(211), 중앙 영역(212) 및 우측 영역(213)으로 구획되도록 격벽이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유입구(220)는 중앙 영역(212)의 하단에 형성되고 배출구(240)는 좌측 영역(211)과 우측 영역(213)의 하부 측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로로 공기유로(230)가 형성되는 경우, 유입구(220)로 유입되는 공기는 중앙 영역(212)을 경유하여 좌측 영역(211)과 우측 영역(213)으로 분산되어 배출구(240)를 통해 제1 송풍부(120)의 유입구(122)로 유입될 수 있다.
참고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영역(212)에 안전 벨트 등이 관통하는 부분(250)이 존재하는 경우, 중앙 영역(212)으로 유입되는 공기는 해당 부분(250)에 의해 좌측 영역(211)과 우측 영역(213)으로 분산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 중앙 영역(212)으로 유입되는 공기의 분산 방법은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공기유로(230)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실시예는 시트부(210)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유동 시간을 증가시키기 위한 구조로서, 공기의 유동 시간이 지연되는 경우 사용 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된 형태의 격벽(212a)과,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형태의 격벽(212b)이 교번으로 위치하여 공기유로(230)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격벽(212a, 212b)은 직각 형태로 배치될 수도 있고, 상부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90° 이상의 각도로 배치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러한 격벽은 중앙 영역(212)에만 형성될 수도 있고 실시예에 따라서는 좌측 영역(211)과 우측 영역(213)에도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격벽이 배치되는 각도는 하부로 공기의 유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90° 미만의 각도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송풍 장치
110 : 열전소자
111 : 제1 냉각핀, 112 : 제2 냉각핀, 113 : 전원 단자
120 : 제1 송풍부
121 : 송풍구
122 : 유입구
123 : 송풍팬
130 : 제2 송풍부
131 : 흡입구
132 : 배출구
133 : 송풍팬
140 : 칸막이
141 : 열전소자 삽입구
142 : 제1 역류 방지 칸막이
143 : 제2 역류 방지 칸막이
150 : 제어부
160 : 홀더
161 :송풍 안내부, 162 : 유입 안내부, 163 : 커버부
200 : 시트
210 : 시트부
211 : 좌측 영역, 212 : 중앙 영역, 213 : 우측 영역
212a, 212b : 격벽
220 : 유입구
230 : 공기유로
240 : 배출구

Claims (9)

  1. 열전소자(110);
    상기 열전소자의 일측에 위치하며 상기 열전소자에 의해 온도가 변화된 공기를 시트부(200)로 송풍시키고 상기 시트부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유입되는 제1 송풍부(120); 및
    상기 열전소자의 타측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송풍부의 동작 시 상기 열전소자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변화된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제2 송풍부(130);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송풍부와 상기 제2 송풍부는 상기 열전소자를 공유하며,
    상기 열전소자의 동작 모드가 미리 정해진 온도 이상으로 동작하는 난방 모드 또는 미리 정해진 온도 이하로 동작하는 냉방 모드로 설정되면,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서 상기 열전소자의 온도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온도 버튼, 풍량 버튼을 통해 온도 및 풍량을 제어하되, 상기 풍량은 약풍, 강풍, 숨풍의 3단계로 이루어지되,
    상기 숨풍은 상기 제어부를 통해 제1,2 송풍부에 공급되는 전기의 세기를 스위치 소자를 이용한 온/오프 주기의 PWM 스위칭을 이용해서, 사인파 주기로 조절함으로서, 제1 송풍부 또는 제2 송풍부에서 송풍 팬을 사인파 주기로 바람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부는
    상기 열전소자에 의해 온도가 변화된 공기를 상기 시트부로 송풍시키기 위한 송풍구;와 상기 시트부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송풍부는
    외부로부터 공기가 흡입되는 흡입구;와 상기 열전소자의 열교환에 의해 온도가 변화된 외부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송풍부와 상기 제2 송풍부를 구획하며 상기 제1 송풍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역류와 상기 제2 송풍부로 흡입되는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칸막이;
    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칸막이는
    상기 열전소자가 삽입되는 삽입구;
    상기 제1 송풍부의 송풍구 측에 형성되어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 역류 방지 칸막이; 및
    상기 제2 송풍부의 배출구 측에 형성되어 공기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 역류 방지 칸막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와 결합되어, 상기 제1 송풍부의 송풍구를 통해 송풍되는 공기가 상기 시트부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송풍 안내부; 및
    상기 시트부의 내부를 유동한 공기가 상기 제1 송풍부의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안내하는 유입 안내부;가 형성되는 홀더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풍 장치.
  5. 삭제
  6. 상기 제1 항 내지 제4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송풍 장치와 결합되는 시트(200)에 있어서,
    시트부;
    상가 시트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1 송풍부로부터 송풍되는 공기가 유입되는 유입구;
    상기 시트부의 내부에 형성되며 상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공기가 미리 정해진 경로로 유동되도록 하는 공기유로; 및
    상기 공기유로를 유동한 공기가 상기 제1 송풍부의 유입구로 배출되는 배출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시트부에 착석하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공기유로의 경로는
    상기 유입구부터 상기 배출구까지 상기 유입된 공기가 유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유로는
    상기 시트부의 내부가 좌측 영역, 중앙 영역 및 우측 영역으로 구획되도록 격벽이 형성되어, 상기 유입구는 상기 중앙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배출구는 상기 좌측 영역과 상기 우측 영역에 각각 위치하며,
    상기 공기유로의 경로는
    상기 유입구로 유입되는 공기가 상기 중앙 영역을 경유하여 상기 좌측 영역과 상기 우측 영역으로 분산되어 유동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 영역은
    일측이 개방되고 타측이 폐쇄된 형태의 격벽과, 일측이 폐쇄되고 타측이 개방된 형태의 격벽이 교번으로 위치하여 상기 공기유로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
KR1020180117023A 2018-06-14 2018-10-01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 KR10207355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082 2018-06-14
KR20180068082 2018-06-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558A KR20190141558A (ko) 2019-12-24
KR102073556B1 true KR102073556B1 (ko) 2020-02-05

Family

ID=69006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023A KR102073556B1 (ko) 2018-06-14 2018-10-01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35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1451B1 (ko) * 2020-11-09 2021-02-02 시대성 통풍 벨트 모듈, 이를 포함하는 통풍 시팅 라이너 및 시팅 라이너의 제어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441B1 (ko) * 2007-08-23 2014-06-0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KR101851522B1 (ko) * 2017-06-01 2018-04-24 (주)엘아이티씨 쿨앤핫시트용 송풍모듈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55479U (ko) 1996-12-31 1998-10-07 신우섭 유모차
KR20110087910A (ko) * 2010-01-27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모차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3441B1 (ko) * 2007-08-23 2014-06-03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차량 후석측 냉난방장치
KR101851522B1 (ko) * 2017-06-01 2018-04-24 (주)엘아이티씨 쿨앤핫시트용 송풍모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558A (ko) 2019-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11693B2 (en) Thermoregulatory unit for small human transport system
US20110187165A1 (en) Vehicle seat
JP6183670B2 (ja) 乗物用暖房装置及び暖房付き乗物用シート
EP2930056B1 (en) Vehicular heating device and heated vehicle seat
KR101980175B1 (ko) 냉온방장치
JP2011189764A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70055686A (ko) 공기 조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및 이를 이용한 유모차의 공기조화 방법
KR102073556B1 (ko)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
JP2017030449A (ja) 温調シートおよび車両用温調シート
KR20110030281A (ko) 자동차 시트 냉난방 장치
JP7409095B2 (ja) 空調装置
JP2004142615A (ja) 空調式ハンドル
JP2005000547A (ja) ヘアドライヤ
KR101681924B1 (ko) 폐쇄형 의복에 적용되는 미세기후 조절기
US10823454B2 (en) Heater for an incubator for infants and incubator for infants
KR20130108705A (ko) 미세기후 조절기
JP2003252041A (ja) 温調装置
JP2012247117A (ja) 空調機能を有する机
KR20080063565A (ko) 환기 겸용 공기 조화기
CN206062461U (zh) 无叶风扇型纳米水离子吹风机
KR100878513B1 (ko) 자동차의 냉온장고
CN205273238U (zh) 一种多功能车垫
JP2002233431A (ja) 座席用空調装置
JP2002306276A (ja) 座席用空調装置
JP2017065462A (ja) インストルメントパネル用空気流通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