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10087910A -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10087910A
KR20110087910A KR1020100007563A KR20100007563A KR20110087910A KR 20110087910 A KR20110087910 A KR 20110087910A KR 1020100007563 A KR1020100007563 A KR 1020100007563A KR 20100007563 A KR20100007563 A KR 20100007563A KR 20110087910 A KR20110087910 A KR 201100879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er
air
stroller
battery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75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075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10087910A/ko
Publication of KR201100879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879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Public Healt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실시 예는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일 측면에 따른 유모차는,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시트; 상기 시트의 하방에 위치되며, 열전소자에 의해서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장치; 상기 공기조화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공기조화장치에서 조화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포함된다.

Description

유모차{A stroller}
본 실시 예는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된 유모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유모차는, 유아를 태워서 밀거나 끌고 다리는 장치를 의미한다. 상기 유모차에는, 태양을 가리거나 차가운 공기를 막기 위한 덮개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덮개에 의해서 태양을 가릴 수는 있으나 더운 공기를 차단하지는 못하고, 겨울에 차가운 공기를 막더라도 완전하게 공기를 차단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본 실시 예의 목적은, 공기조화장치에 의해서 조화된 공기에 의해서 쾌적감이 증가되는 유모차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일 측면에 따른 유모차는,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시트; 상기 시트의 하방에 위치되며, 열전소자에 의해서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장치; 상기 공기조화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공기조화장치에서 조화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포함된다.
제안되는 실시 예에 의하면, 유모차의 냉방 또는 난방이 가능하게 되어 유아의 쾌적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로가 상기 시트에 접촉되므로 상기 시트가 간접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고, 유로 상의 공기가 시트로 토출되므로, 냉각 공기 또는 가열 공기에 의해서 시트가 직접 냉각 또는 가열되어 냉방 또는 난방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를 이용하여 공기조화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유모차를 사용하더라도 공기조화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및 공기조화장치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므로, 상기 배터리 및 공기조화장치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공기조화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7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로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
도 9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유모차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11은 제 5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블럭도.
도 12는 제 6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블럭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제 1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가 구비된 유모차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공기조화장치가 설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유모차(1)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에 의해서 지지되는 시트(20)가 포함된다.
상기 프레임(10)에는, 상기 시트(20)를 지지하기 위한 메인 프레임(11)과, 상기 메인 프레임(11)과 연결되며, 뒷바퀴(16)와 앞바퀴(17)가 결합되는 바퀴 프레임(13, 14)이 포함된다.
상기 메인 프레임(11)의 상측에는, 상기 유모차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파지하는 부분인 핸들(12)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1)에는, 한 쌍의 팔걸이(18)가 연결되고, 상기 한 쌍의 팔걸이(18)는 상기 시트(20)에 앉은 유아가 잡기 위한 안전 손잡이(19)에 의해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메인 프레임(11)에는 햇볕을 가지는 차양막(21)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시트(20)의 아랫쪽에는, 공기조화장치(30)가 구비되고, 상기 핸들(12)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30)의 작동을 위한 조작부(40)가 구비된다.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핸들(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공기조화장치(30)와 전선에 의해서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전선은 상기 프레임(10)의 내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0)가 상기 핸들(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면, 사용자에 따라 상기 조작부(40)의 위치를 가변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또한, 상기 조작부(40)가 상기 핸들(12)에 위치됨에 따라, 유아가 불필요하게 또는 부주의하게 상기 조작부(40)를 조작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40)는, 상기 공기조화장치(30)의 동작 상태가 디스플레이부(410)와, 상기 공기조화장치(30)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420)가 포함될 수 있다.
물론, 상기 디스플레이부(410)에 터치스크린이 구비된 경우에는, 별도의 입력부(420)가 구비되지 않고, 상기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30)의 작동을 선택 또는 조절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시트(20)는 유아의 엉덩이 부분을 지지하는 제 1 부분(210)과 상기 제 1 부분(210)에서 상방으로 절곡되며, 유아의 등 부분을 지지하는 제 2 부분(220)이 포함된다.
상기 시트(20)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다공성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제 1 부분(210)의 하측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30)를 지지하기 위한 케이스(230)가 포함된다.
상기 케이스(230)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30)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350)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유모차(1)는 무게 중심이 바닥에 인접할 수록 안전하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제 1 부분(210)의 하측에 상기 공기조화장치(30) 및 배터리(350)가 위치되므로, 상기 유모차(1)의 무게 중심이 바닥에 가까워지게 되어, 상기 유모차(1)의 이동 시 안전성이 확보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공기조화장치 및 배터리는 상기 유모차를 접을 때, 상기 프레임(10)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터리(350)는 일 례로 상기 유모차(1)의 전방에서 상기 케이스(230)에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50)로는, 리튬 폴리머 배터리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배터리(350)는 상기 케이스(230)에서 분리되어 별도의 충전 장치(미도시)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공기조화장치(30)에는 조화된 공기가 유동하기 위한 유로가 연결된다. 상기 유로는, 메인 유로(340)와 상기 메인 유로(340)에서 분지되는 하나 이상의 분지 유로(341, 342)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20)에는 상기 유로(340, 341, 342)를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232)가 형성된다. 상기 고정부(232)는 상기 유로(340, 341, 342)가 상기 시트(20)에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유로(340, 341, 342)는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유모차를 접을 때에 상기 유로(340, 341, 342)에 의해서 상기 유모차가 접히지 않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유로(340, 341, 342)는 상기 유모차가 접힐 때, 프레임(10)과 간섭되지 않는 위치에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각 유로(340, 341, 342)에는,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공기 토출홀(343, 344, 345)가 형성된다. 상기 각 유로(340, 341, 342)가 상기 시트(20)와 접촉하므로, 공기가 상기 각 유로(340, 341, 342)를 유동하게 되면, 상기 각 유로(340, 341, 342)와 상기 시트(20)가 열교환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20)는 간접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유로(340, 341, 342)의 공기는 상기 공기 토출홀(343, 344, 345)을 통해서 상기 시트(20)로 토출된다. 상기 공기 토출홀(343, 344, 345)을 통하여 토출되는 공기에 의해서 상기 시트(20)가 냉각 또는 가열되고, 상기 시트(20)의 구멍을 통한 공기는 상기 시트(20)에 앉은 유아로 전달된다.
상기 각 유로(340, 341, 342)는 상기 제 1 부분(210) 및 상기 제 2 부분(220)의 하측에 동시에 접촉된다. 따라서, 상기 시트(20) 전체적으로 가열된 공기 또는 냉각된 공기가 공급될 수 있고, 상기 시트(20)가 전체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30)는, 하우징(301)이 포함된다. 상기 하우징(301)의 내부에는, 상기 하우징(301)의 내부 공간을 두 개의 공간(304, 305)으로 구획하는 구획부(302)가 포함된다.
상기 두 개의 공간(304, 305)은 제 1 공간(304)과 제 2 공간(305)이 포함된다.
상기 구획부(302)에는 열전소자(310)가 구비된다. 상기 열전소자(310)는, 상하로 적층된 제 1 소자(311)와 제 2 소자(312)가 포함된다. 상기 제 1 소자(311)는 상기 제 1 공간(304)으로 노출되고, 상기 제 2 소자(312)는 상기 제 2 공간(304)으로 노출된다.
상기 열전소자는, 두 종류의 금속을 접촉시키고, 접합부로 전류를 흘려보내면, 전류 방향에 따라 한쪽 단자는 흡열하고, 다른 쪽 단자는 발열을 일으키는 현상인 펠티어 효과(Peltier effect)를 이용한다. 그리고, 상기 열전소자는 전류량을 적절히 조절하여 원하는 온도를 유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소자(311)와 제 2 소자(312)는 인가되는 전류의 흐름 방향에 따라 방열부 또는 냉각부의 역할을 각각 하게 된다.
일 례로 상기 열전소자(310)에 정방향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 1 소자(311)는 흡열하는 흡열부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 2 소자(312)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의 역할을 한다.
반대로, 상기 열전소자(310)에 역방향 전류가 흐르면, 상기 제 2 소자(312)는 흡열하는 흡열부의 역할을 하고, 상기 제 1 소자(311)는 열을 방출하는 방열부의 역할을 한다.
상기 제 1 공간(304)에는 상기 제 1 소자(311)와 접촉하는 제 1 열교환핀(314)이 구비되고, 상기 제 2 공간(305)에는 상기 제 2 소자(312)에 접촉하는 제 2 열교환핀(315)이 구비된다.
상기 각 열교환 핀(314, 315)는 다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다수의 열교환 핀(314, 315)은 상기 각 공간(304, 305) 내에서의 공기 유동 방향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케이스(301) 내부에는 팬 어셈블리(320)가 구비된다. 상기 팬 어셈블리(320)는 양축 모터(321)와, 상기 양축 모터(321)에 의해서 회전되는 제 1 팬(322) 및 제 2 팬(322)이 포함된다.
상기 구획부(302)에는 상기 양축 모터(321)가 설치된다. 상기 모터(320)의 일측에는 상기 제 1 팬(322)이 연결되고, 상기 모터(320)의 타측에는 상기 제 2 모터(323)가 연결된다. 상기 제 1 팬(322)은 상기 제 1 공간(304)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팬(323)은 상기 제 2 공간(305)에 위치된다.
본 실시 예에서 복수의 팬이 구비되는 이유는, 방열부로 작용하는 소자의 냉각이 원활히 이루어지고, 흡열부로 작용하는 소자의 흡열이 원활히 이루어져야, 각 소자의 성능이 향상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소자(311)가 흡열부로 작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소자(312)가 원활히 냉각되어야 상기 제 1 소자(311)의 흡열 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상기 하우징(301)에는, 상기 제 1 공간(304)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제 1 흡입구(306)와 상기 제 1 공간(304)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1 토출구(308)가 포함된다.
또한, 상기 하우징(301)에는 상기 제 2 공간(305)으로 공기가 흡입되도록 하기 위한 제 2 흡입구(307)와 상기 제 2 공간(305)에서 열교환된 공기가 토출되는 제 2 토출구(309)가 포함된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메인 유로(340)는 상기 제 1 토출구(308)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공간(304)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상기 메인 유로(340)로 토출되고, 상기 제 2 공간(305)에서 열교환된 공기는 외부로 토출된다.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열전소자(310)로 공급되는 전류의 방향을 조절하여, 모드에 따라 상기 제 1 소자(311)가 흡열부 또는 방열부의 역할을 하도록 하고, 상기 제 1 소자(311)가 위치한 상기 제 1 공간(304)과 상기 메인 유로(340)가 연통되도록 한다. 따라서, 공기조화장치(30)의 구조가 간단해지고, 제 2 공간(304)과 연통되는 유로가 불필요해지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케이스에 배터리가 장착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케이스(230)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30)가 장착되는 제 1 장착부(240)와, 상기 배터리(350)가 장착되는 제 2 장착부(250)가 형성된다. 상기 제 1 장착부(240)에는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상기 제 1 흡입구(306) 및 제 2 흡입구(307)와 각각 연통되는 다수의 홀이 형성된다.
상기 제 2 장착부(250)에는 상기 배터리(350)의 단자와 연결되는 연결부(254)가 형성된다. 상기 연결부(254)는 상기 공기조화장치(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 2 장착부(250)에는 상기 배터리(350)가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350)를 커버하는 커버(252)가 구비된다. 상기 커버(252)는 일 례로 회전 동작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350)를 커버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케이스(230)는 상기 공기조화장치 및 상기 배터리를 커버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상기 공기조화장치(30) 또는 상기 배터리(350)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252)를 회전시킨 상태에서 상기 배터리(350)를 상기 케이스(230)로부터 분리 또는 장착시킬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증진된다.
도 6은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조작부(40)로부터 입력된 신호는 제어부(50)로 전달되어 상기 열전소자(310)의 작동이 제어된다.
상세히, 상기 조작부(40)를 이용하여 냉방 또는 난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부(40)를 통하여 열교환된 공기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열전소자(310)로 정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소자(311)는 흡열부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제 2 소자(312)는 방열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공간(304)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공간(304)을 유동하면서 열을 빼앗기게 된다. 즉, 상기 제 1 공간(304)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공간(304)을 유동하면서 냉각된다. 냉각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구(308)를 통하여 상기 메인 유로(340)로 토출되고, 상기 메인 유로(340)에서 상기 각 분지 유로(341, 342)로 분지된다.
따라서, 상기 각 유로를 유동하는 저온의 공기에 의해서 상기 시트(20)가 전체적으로 간접 냉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홀(343, 344, 345)을 통하여 토출된 저온의 공기는 상기 시트(20)를 관통하여 유아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토출홀(343, 344, 345)을 통하여 토출되는 저온의 공기에 의해서 상기 시트(20)는 직접 냉각될 수 있다.
반면, 난방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50)는 상기 열전소자(310)로 역방향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한다. 그러면, 상기 제 1 소자(311)는 방열부 역할을 하게 되고, 상기 제 2 소자(312)는 흡열부 역할을 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공간(304)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공간(304)을 유동하면서 열을 흡수하게 된다. 즉, 상기 제 1 공간(304)으로 흡입된 공기는 상기 제 1 공간(304)을 유동하면서 가열된다. 가열된 공기는 상기 제 1 토출구(308)를 통하여 상기 메인 유로(340)로 토출되고, 상기 메인 유로(340)에서 상기 각 분지 유로(341, 342)로 분지된다.
따라서, 상기 각 유로를 유동하는 가열 공기에 의해서 상기 시트(20)가 전체적으로 간접 가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기 토출홀(343, 344, 345)을 통하여 토출된 가열 공기는 상기 시트(20)를 관통하여 유아로 전달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공기 토출홀(343, 344, 345)을 통하여 토출되는 가열 공기에 의해서 상기 시트(20)는 직접 냉각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작부(40)에서 입력된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열전소자(310)로 인가되는 전류량을 조절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유모차의 냉방 또는 난방이 가능하게 되어 유아의 쾌적감이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유로가 상기 시트에 접촉되므로 상기 시트가 간접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고, 유로 상의 공기가 시트로 토출되므로, 냉각 공기 또는 가열 공기에 의해서 시트가 직접 냉각 또는 가열되어 냉방 또는 난방 성능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를 이용하여 공기조화장치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으므로, 외부에서 유모차를 사용하더라도 공기조화장치를 작동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터리 및 공기조화장치가 케이스 내부에 장착되므로, 상기 배터리 및 공기조화장치로 물이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도 7은 제 2 실시 예에 따른 유로가 배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를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유로의 배치 위치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메인 유로의 일부(340)는 상기 시트(20)의 내부에 삽입되고, 상기 분지 유로(341, 342)는 전부가 상기 시트(20)에 삽입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유로(340, 341, 342)가 상기 시트(20) 내부에 배치되므로, 상기 유로(340, 341, 342)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고, 상기 시트(20)를 보다 효과적으로 냉각 또는 가열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유모차의 사시도이고, 도 9는 제 3 실시 예에 따른 유모차에서의 공기 유동을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고, 다만, 공기조화장치에서 토출된 공기의 유동 및 공기가 시트와 이격된 위치에서 시트를 향하여 토출되는 것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프레임(10), 팔걸이(18) 및 안전 손잡이(19)는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안전 손잡이(19)에는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장치(70)가 구비된다.
상기 시트(20)의 하측에는 공기조화장치(60)가 구비된다. 다만, 상기 공기조화장치(60)에서 토출된 공기의 유로 길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배터리(350)는 상기 유모차의 후방에서 케이스(230)에 장착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토출장치(70)는 상기 안전 손잡이(19)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토출장치(70)는 다수의 토출홀(72)이 포함된다.
따라서, 상기 토출장치(70)의 회전 각도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토출장치(70)에서 토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시트에 앉은 유아로 공기가 직접 토출될 수 있으므로, 유아의 쾌적감은 증가될 수 있다.
도 10은 제 4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 있어서는 이전 실시 예들과 동일하고, 다만,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구조 및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는, 외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 센서(80)에서 감지된 온도와, 조화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2 온도 센서(82)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서 제어된다.
상세히, 상기 제 1 온도 센서(80)는 유모차의 일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온도 센서(82)는 공기 조화 장치를 구성하는 하우징(301) 내부 또는 유로(340, 341, 342) 또는 유모차의 외형을 형성하는 프레임(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사용자는 조작부(40)를 통하여 자동 모드 또는 수동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조작부(40)를 통하여 냉방 모드 또는 난방 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일 례로 냉방 모드에서의 작동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자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제 1 온도 센서(80)에서 감지된 외기 온도에 대응하여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여부가 판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제 1 온도 센서(80)에서 감지된 외기 온도가 제 1 기준 온도 이상이 되는 경우, 상기 공기조화장치가 냉방 모드로 자동으로 작동할 수 있다. 그리고, 외기 온도 변화에 따라 공기의 희망 목표 온도가 가변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기 온도가 증가되면, 조화된 공기의 목표 온도는 낮게 설정되고, 제어부(50)는 조화된 공기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도록 상기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한다.
조화된 공기의 온도가 목표 온도에 도달하는 경우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일정 시간 정지한 후에 재작동되거나, 공기의 온도가 목표 온도를 유지하도록 연속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온/오프는 상기 조작부(40)에 의해서 선택되고, 외기 온도에 대응하여 자동으로 목표 온도가 가변될 수도 있다.
반면, 수동 모드가 선택된 경우에는, 사용자가 설정한 희망 온도를 맞추도록 상기 제어부가 상기 공기조화장치를 제어한다.
도 11은 제 5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배터리(360)는 태양전지(83)에 의해서 생성된 전력에 의해서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태양전지(83)에서 생성된 전기는 인터버(84)로 공급되고, 상기 배터리(350)는 상기 인버터(84)에 선택적으로 연결된다.
이와 같은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배터리(350)를 상기 유모차에서 분리시킨 상태에서 별도의 충전장치에서 충전을 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줄어들 수 있다.
보통 날씨가 좋을 때 유모차를 사용하게 되므로, 외부에서 유모차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상기 태양전지(83)에 의해서 생성된 전기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350)의 충전이 가능하다.
도 12는 제 6 실시 예에 따른 공기조화장치의 제어 블럭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서는 바퀴(16, 17)의 구름력을 이용하여 발전기를 돌려 발전기(86)에서 생성된 전기로 상기 배터리(350)를 충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상기 발전기(86)는 유모차의 무게 중심을 고려할 때, 시트의 하방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바퀴가 회전될 수 있는 상태라면, 외부 또는 내부에서도 발전기가 작동될 수 있기 때문에, 상기 배터리의 충전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1: 유모차 10: 프레임
20: 시트 30: 공기조화장치

Claims (16)

  1. 외형을 이루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지지되는 시트;
    상기 시트의 하방에 위치되며, 열전소자에 의해서 냉방 또는 난방을 수행하는 공기조화장치;
    상기 공기조화장치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및
    상기 공기조화장치에서 조화된 공기가 유동하는 유로가 포함되는 유모차.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유모차를 이동시키기 위하여 잡는 손잡이가 포함되며,
    상기 손잡이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를 조작하기 위한 조작부가 구비되는 유모차.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작동 조건을 입력하기 위한 입력부가 포함되는 유모차.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의 하측에는, 상기 배터리 및 상기 공기조화장치를 수용하기 위한 케이스가 포함되며,
    상기 배터리는 상기 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유모차.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조화장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을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구획부와,
    상기 구획부에 설치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복수의 공간 중 제 1 공간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 1 팬과,
    상기 복수의 공간 중 제 2 공간으로 공기를 유동시키기 위한 제 2 팬이 포함되는 유모차.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되고, 상기 제 2 공간은 외부와 연통되는 유모차.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시트의 외측에 접촉되는 유모차.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시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유모차.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플렉시블 재질로 형성되는 유모차.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는 상기 제 1 공간과 연통되며, 상기 프레임의 내부에 형성되는 유모차.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에는 상기 시트에 유아가 앉은 상태에서 잡기 위한 안전 손잡이가 연결되며,
    상기 안전 손잡이는, 상기 유로의 공기가 토출되기 위한 토출장치가 연결되는 유모차.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에는 하나 이상의 토출구가 포함되고, 상기 하나 이상의 토출구에서 토출된 공기는 상기 시트의 하측으로 토출되는 유모차.
  13. 제 1 항에 있어서,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제 1 온도 센서와, 공기조화장치에 의해서 조화된 공기의 온도를 감지하는 제 2 온도 센서가 더 포함되고,
    상기 제 1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외기 온도에 따라 조화된 공기의 목표 온도가 가변되는 유모차.
  14. 제 1 항에 있어서,
    외기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 센서가 더 포함되며,
    상기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외기 온도에 따라 상기 공기조화장치의 온/오프가 결정되는 유모차.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한 전기를 생성하는 태양전지와,
    상기 태양전지와 연결되는 인버터가 더 포함되는 유모차.
  16. 제 1 항에 있어서,
    이동을 위한 복수의 바퀴와,
    상기 바퀴의 구름에 의해서 동작되는 발전기가 더 포함되고,
    상기 발전기에서 생성된 전기에 의해서 상기 배터리가 충전되는 유모차.
KR1020100007563A 2010-01-27 2010-01-27 유모차 KR2011008791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563A KR20110087910A (ko) 2010-01-27 2010-01-27 유모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7563A KR20110087910A (ko) 2010-01-27 2010-01-27 유모차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87910A true KR20110087910A (ko) 2011-08-03

Family

ID=449265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7563A KR20110087910A (ko) 2010-01-27 2010-01-27 유모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10087910A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9654A (en) * 2012-02-24 2013-08-28 Asta Adomaitiene Pushchair with heated seat and dynamo
WO2016028071A1 (ko) * 2014-08-20 2016-02-25 (주)오르고코리아 유모차
WO2019009500A1 (ko) * 2017-07-07 2019-01-10 강대혁 냉난방 및 공기정화 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KR20190133345A (ko) 2018-05-23 2019-12-03 현대위아 주식회사 자동차용 유아 송풍장치
KR20190141558A (ko) * 2018-06-14 2019-12-24 임재훈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
KR102074687B1 (ko) * 2018-12-11 2020-03-02 남정화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KR102227553B1 (ko) * 2019-10-30 2021-03-12 주식회사 티엠아이 유아용 시트
CN116252843A (zh) * 2022-09-07 2023-06-13 昆山五虎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通风及加热功能的新型婴儿推车
KR102618616B1 (ko) * 2023-07-05 2023-12-27 주식회사 옵티멀이노베이션 냉각수단이 구비된 유모차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499654A (en) * 2012-02-24 2013-08-28 Asta Adomaitiene Pushchair with heated seat and dynamo
WO2016028071A1 (ko) * 2014-08-20 2016-02-25 (주)오르고코리아 유모차
WO2019009500A1 (ko) * 2017-07-07 2019-01-10 강대혁 냉난방 및 공기정화 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KR20190133345A (ko) 2018-05-23 2019-12-03 현대위아 주식회사 자동차용 유아 송풍장치
KR20190141558A (ko) * 2018-06-14 2019-12-24 임재훈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
KR102074687B1 (ko) * 2018-12-11 2020-03-02 남정화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KR102227553B1 (ko) * 2019-10-30 2021-03-12 주식회사 티엠아이 유아용 시트
CN116252843A (zh) * 2022-09-07 2023-06-13 昆山五虎婴童用品有限公司 一种具有通风及加热功能的新型婴儿推车
KR102618616B1 (ko) * 2023-07-05 2023-12-27 주식회사 옵티멀이노베이션 냉각수단이 구비된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87910A (ko) 유모차
CN105405995B (zh) 用于电动自行车的蓄电池箱
US9975394B2 (en) Airflow management system for vehicle seat
US20150048658A1 (en) Seat climate control system
KR101319434B1 (ko) 열전소자 모듈을 이용한 자동차 후석측 냉온장장치
KR100647499B1 (ko) 공기 조화가 가능한 차량 시트
US20110187165A1 (en) Vehicle seat
JP2005023506A (ja) 熱電モジュールを用いた機能性衣服
US10160354B2 (en) Vehicle air-conditioning seat
US20060279113A1 (en) Cooled air motorcycle seat system
JP7235896B2 (ja) 加熱式コンポーネントを有するレクリエーション用車両
KR101302842B1 (ko) 펠티에 소자를 이용한 차량용 냉난방 방석
JP2014026814A (ja) 電源温度調整装置
KR20170055686A (ko) 공기 조화기를 구비한 유모차 및 이를 이용한 유모차의 공기조화 방법
JP5857671B2 (ja) 車両
CN201002544Y (zh) 空调汽车座椅
KR20130058094A (ko) 차량용 냉온장 장치
JP2017154645A (ja) 二輪車用エアコン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エアコン付き二輪車
KR100822451B1 (ko) 다용도 의자
KR101270251B1 (ko) 태양광을 이용한 냉난방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CN214928818U (zh) 汽车座椅用多功能通风系统
CN108749508B (zh) 车辆环境智能控制系统
JPH07246131A (ja) シート用冷暖房装置
KR102073556B1 (ko) 송풍 장치 및 그와 결합되는 시트
KR20210065910A (ko) 차량시트의 냉난방 공급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