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74687B1 -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74687B1
KR102074687B1 KR1020180159335A KR20180159335A KR102074687B1 KR 102074687 B1 KR102074687 B1 KR 102074687B1 KR 1020180159335 A KR1020180159335 A KR 1020180159335A KR 20180159335 A KR20180159335 A KR 20180159335A KR 102074687 B1 KR102074687 B1 KR 102074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troller
air
unit
baby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9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정화
Original Assignee
남정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정화 filed Critical 남정화
Priority to KR1020180159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7468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74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74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9/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s carriages or perambulators
    • B62B9/10Perambulator bodies; Equipment therefor
    • B62B9/14Equipment protecting from environmental influences, e.g. Hoods; Weather screens; Cat ne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3/1603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5/00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 F24F5/0042Air-conditioning systems or apparatus not covered by F24F1/00 or F24F3/00, e.g. using solar heat or combined with household units such as an oven or water heater characterised by the application of thermo-electric units or the Peltier effec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4/00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 B62B2204/02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comprising a heating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4/00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 B62B2204/04Ventilation; Heating; Cooling; Insulation comprising a cooling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10Temperat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20Humidit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4Airborne particle cont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Accommodation For Nursing Or Treatment Tabl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는,
케이스; 유모차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 측면에, 상기 케이스를 탈착시키는 장착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유모차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반도체;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유모차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상기 유모차 내부의 공기를 외부를 토출시키는 팬모터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유모차의 내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미세먼지농도 값을 받아서, 상기 팬모터부와 상기 열반도체를 제어하여, 상기 유모차 내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미세먼지농도 값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열반도체와 상기 팬모터부와 상기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유모차용 공기청정기{Air cleaner for stroller}
유모차용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국내외 대기 오염이 심각해지고 있는 현시점에서 해외 논문에 따르면 바닥에서 1m 정도의 높이에서 대기의 오염농도가 가장 높다고 보고되고 있다. (논문 - A review of factors surrounding the air pollution exposure to in-pram babies and mitigation strategies .Ashish Sharma, Prashant Kumar -Environment International. Volume 120, November 2018, Pages 262-278).
대기오염도가 높아짐에 따라서 성인이나 아동들은 미세먼지 마스크 등을 사용하여 호흡기를 보호할 수 있으나, 유모차에 탑승하고 있는 영유아의 경우는 폐활량의 부족과 낮은 통기율로 인한 호흡 불편과 착용상의 불편 등으로 인하여 마스크를 사용할 수 없어, 미세먼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별도의 공급 장치가 필요하다.
이에 다양한 유모차용 공기청정기가 개발되고 있으나, 실제 개발되고 있는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대부분은 기밀성이 유지되지 않은 유모차에서 작동되고 있어, 이로 인해 외부 공기와 정화된 공기가 섞여 공기 정화 효과가 현저하게 떨어지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한국공개특허(10-2018-0059403)는, 유모차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에 설치된 상태에서,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여 유모차 내 영유아에게 공급하는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역시, 별도의 온도 조절장치가 없어서 겨울철에는 차가운 공기가 그리고 여름철에는 뜨거운 공기가 그대로 유모차 내로 들어와, 영유아의 건강을 해치고 있다.
또한, 유모차 내부에서 유아의 호흡으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습기를 외부로 배출하지 않고, 일방적으로 외부 공기만을 정화하여 유모차 내부로 넣어주고 있다. 이로 인해, 내부에서 오염된 공기와 정화된 공기가 섞일 수밖에 없어, 유모차내 공기를 쾌적하게 유지시키는 데 한계에 있었다.
또한, 커버에 공기청정기를 나사로 고정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어, 공기청정기를 커버에 설치하기 어렵다.
한국공개특허(10-2018-0059403)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모두 해결할 수 있는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는,
케이스;
유모차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 측면에, 상기 케이스를 탈착시키는 장착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유모차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는 열반도체;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유모차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상기 유모차 내부의 공기를 외부를 토출시키는 팬모터부;
상기 케이스에 설치되어, 상기 유모차의 내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미세먼지농도 값을 받아서, 상기 팬모터부와 상기 열반도체를 제어하여, 상기 유모차 내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미세먼지농도 값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열반도체와 상기 팬모터부와 상기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고 적정한 온도로 맞추어 유모차 내부로 공급한다. 이로 인해, 겨울철 차가운 공기가 그대로 영유아에게 전달하여 동절기 호흡기 질환을 일으키고, 여름철 바닥에서 올라오는 뜨거운 공기가 그대로 영유아에게 전달되어 온열 질환을 일으키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모차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킨다. 이로 인해, 영유아의 호흡에서 발생되는 이산화탄소, 습공기, 바이러스 등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유모차 내부의 정화되지 않은 공기와 유모차 내부로 정화되어 들어오는 공기가 섞이는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의 미세먼지, 유모차 내 공기 오염도에 따라, 유모차 내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미세먼지농도를 자동으로 조절한다. 이로 인해, 보호자가 주의를 기울이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유모차 내 환경을 쾌적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인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는, 커버를 가지고 있는 어떠한 유모차에도, 자력 결합 방식으로 간단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공기청정기가 유모차의 커버 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커버 측면에 설치된 공기청정기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를 커버에 설치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 3(a)는 제1연결대와 제2연결대가 결합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b)는 제1연결대와 제2연결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제1변형예에 따른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제2변형예에 따른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공기청정기가 유모차의 커버 측면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벨크로의 타단이 제2연결대에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공기청정기(100)는, 유모차(1)의 커버(10) 측면에 설치된다. 커버(10) 측면에는 공기청정기(100)가 설치될 수 있는 장착공(10a)이 구비된다. 커버(10)가 있는 유모차라면, 커버(10) 측면에 장착공(10a)을 뚫어서, 유모차용 공기청정기(100)를 쉽게 설치할 수 있다.
커버(10) 측면에 유모차용 공기청정기(100)를 설치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공기청정기(100)에 구비된 열반도체(140, 도 2참조)에 의해, 여름철에는 외부 공기보다 더 뜨거운 공기가 외부로 나오게 되고, 겨울철에는 외부공기 보다 더 차가운 공기가 외부로 나오게 된다. 따라서, 커버(10)의 측면이 아닌 상면에 유모차용 공기청정기(100)를 설치하게 되면, 유모차를 운전하는 사람의 손에 직접적으로 공기청정기(100)에서 뿜어져 나오는 뜨거운 공기 또는 차가운 공기가 닿게 되어 운전자가 불쾌감을 느끼게 된다.
또한, 커버(10) 상면에 유모차용 공기청정기(100)를 설치되면, 영유아의 얼굴로 바람이 직접 가게 되어, 콜드 드레프트(cold draft) 현상으로 인해, 영유아의 건강을 해칠 수 있다.
또한, 종래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는 기밀성을 유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정화된 공기를 영유아에게 보내려고 어쩔 수 없이 커버 상면에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를 설치할 수밖에 없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유모차 내부의 기밀성을 유지한 상태에서 공기 청정을 하므로, 영유아에게 정화된 공기를 직접 보내 필요가 없다.
이러한 이유로, 커버(10) 측면에 유모차용 공기청정기(100)를 설치하는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용 공기청정기(100)는, 케이스(110), 장착부(120), 필터부(130), 열반도체(140), 팬모터부(150), 센서부(160), 제어부(170), 전원부(180)로 구성된다.
케이스(110)는 유모차용 공기청정기의 외관을 형성한다. 케이스(110)의 형상은 다양할 수 있다. 케이스(110)의 외주면에는 전원스위치(110a), LED표시등(110b), 제어부(170)와 컴퓨터를 연결할 수 있게 USB단자(110c)가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110)는 사각박스 형상이지만, 원통형이나 삼각형상 등 다양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120)는 커버(10)에 케이스(110)를 탈착시킨다.
장착부(120)는 제1연결대(121)와 제2연결대(122)로 구성된다. 제1연결대(121)와 제2연결대(122)는 사각띠 형상을 가진다.
제1연결대(121)는 케이스(110)의 외주면에 설치된다. 제1연결대(121)는 케이스(110)와 함께 형성된다. 제1연결대(121)는 고무띠(121a)와 자석(121b)들로 구성된다. 자석(121b)들은 일정간격으로 고무띠(121a) 내부에 위치된다. 자석(121b)은 강력한 자력을 가진 네오디움(Neodymium) 자석이다.
제2연결대(122)는 케이스(110)와 분리된 부재로, 제1연결대(121)와 자석결합한다. 제2연결대(122)는 고무띠(122a)와 자석(122b)들로 구성된다. 자석(122b)들은 일정간격으로 고무띠(122a) 내부에 위치된다. 자석(122b)은 강력한 자력을 가진 네오디움 자석이다.
서로 마주 보는 자석(121b)과 자석(122b)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다.
제1연결대(121)와 제2연결대(122)는 커버(10)를 사이에 두고, 자력으로 결합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공(10a, 도 1 참조)에 케이스(110)의 아래쪽을 넣으면, 제1연결대(121)에 의해, 케이스(110)가 장착공(10a)에 걸리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10)의 아래에서 제1연결대(121)를 케이스(110)의 위쪽으로 밀어넣는다. 그러면, 제1연결대(121)와 제1연결대(121)가 자력 결합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커버(10)에 공기청정기(100)를 장착할 수 있다.
제1연결대(121)와 제2연결대(122)가 자력 결합되면, 고무띠(121a)와 고무띠(122a)는 커버(10) 외주면에 밀착되어, 장착공(10a)과 케이스(110) 사이 틈을 없애준다.
한편, 공기청정기(100)를 커버(10)로부터 떼어내려면, 제2연결대(122)를 아래로 잡아당기면 된다. 그러면, 제1연결대(121)와 제2연결대(122)가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110)를 위로 잡아당기면, 공기청정기(100)가 장착공(10a)에서 분리된다.
이러한 장착부(120)를 사용함으로써, 공기청정기(100)를 커버(10)에 나사로 어렵게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터부(130)는 유모차(1)의 외부로 노출된 케이스(110) 부분의 상면에 설치된다. 필터부(130)는 외부 공기를 정화한다.
필터부(130)는 필터(131)와 필터지지대(132)로 구성된다. 필터(131)는 헤파필터(hefa filter)이다. 필터지지대(132)는 필터(131)를 지지한다. 필터지지대(132)는 케이스(110)의 상면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반도체(140)는 케이스(110)의 좌측면과 우측면에 각각 설치된다.
열반도체(140)는 서로 마주 붙은 한 쌍의 방열면(141)과 냉각면(142)으로 구성된다. 열반도체(140)에 전기를 공급하면, 방열면(141)은 열을 내고, 냉각면(142)은 냉각된다.
케이스(110) 좌측면에 설치된 열반도체(140)는 방열면(141)이 케이스(110)의 안쪽에 위치되고 냉각면(142)이 바깥에 위치된다. 케이스(110)의 안쪽에 위치된 방열면(141)은 정화된 공기와 접촉하여 정화된 공기를 가열한다.
케이스(110) 우측면에 설치된 열반도체(140)는 냉각면(142)이 케이스(110)의 안쪽에 위치되고 방열면(141)이 바깥에 위치된다. 케이스(110)의 안쪽에 위치된 냉각면(142)은 정화된 공기와 접촉하여 정화된 공기를 냉각한다.
물론, 정화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할 수 있다면, 열반도체(140)의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열반도체(140)로 유모차 내부의 온도를 높이고자 할 경우는, 케이스(110) 좌측면에 설치된 열반도체(140)에만 전원을 공급하면 된다. 반대로, 열반도체(140)로 유모차 내부의 온도를 낮추고자 할 경우는, 케이스(110) 우측면에 설치된 열반도체(140)에만 전원을 공급하면 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필터부(130)에 의해 정회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켜 유모차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열반도체(140)의 방열면(141)에서 발생된 열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하여, 케이스(110)에는 복수개의 방열공(110d)들이 뚫린다. 방열공(110d)들은 커버(10) 바깥 외부에 위치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10)의 내부에 격벽(111)들을 두고, 격벽(111)들 사이 상측에 위치된 케이스(110)의 상면 마다 열반도체(140) 한 쌍을 배치할 수도 있다.
여기서, 열반도체(140) 한 쌍이란, 방열면(141)이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냉각면(142)이 외부로 노출된 열반도체(140) 1개와, 냉각면(142)이 케이스(110)의 내부에 위치되고 방열면(141)이 외부로 노출된 열반도체(140) 1개를 말한다. 도 4에서 우측 확대도는 화살표 A, B 각각의 방향에서, 격벽(111)과 케이스(110)의 상면에 설치된 열반도체(140)를 바라본 도면이다.
격벽(111) 사이의 거리(L1,L2)는 달리한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격벽(111) 사이 거리(L1)가 가까우면 격벽(111) 사이를 공기가 빨리 통과하여 열반도체(140)에서 열전달이 잘 되지 않을 것이고, 격벽(111) 사이의 거리(L2)가 멀면 공기가 상대적으로 느리게 통과하여 열전달이 잘될 것이다.
이러한 차이점을 이용하여, 거리(L2)가 먼 격벽(111) 사이 상측에 위치된 열반도체(140)를 작동시켜 유모차 내부의 온도를 미세하게 조절한 다음, 거리(L1)가 가까운 격벽(111) 사이 상측에 위치된 열반도체(140)를 작동시켜 온도를 더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케이스(110) 측면에 설치된 열반도체(140)로 기본적인 온도조절을 하면서, 케이스(110) 상면에 설치된 열반도체(140)로 유모차 내부의 온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주보는 격벽(111) 안쪽 면에 돌기(111a)들을 형성할 수 있다. 이로 인해, 격벽(111) 사이를 통과하는 공기에 난류를 형성함으로써 열전달성을 높일 수도 있다. 이로 인해, 격벽(111) 사이 거리(L1,L2) 에 따른 열전달 차이를 더 벌릴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팬모터부(150)는 외부의 공기를 유모차 내부로 흡입하거나, 유모차 내부의 공기를 외부를 토출한다. 팬모터부(150)는 팬(151)과 모터(152)로 구성된다. 모터(152)는 팬(151)을 회전시킨다. 모터(152)는 팬(151)의 회전방향을 바꾸어, 외부의 공기를 케이스(110) 내부로 흡입하거나, 유모차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킨다. 도 2에 도시된 실선 화살표는 외부의 공기가 케이스(110) 내부로 흡입되는 상태를 나타내고, 점선 화살표는 유모차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토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센서부(160)는 유모차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161), 유모차 내부의 습도를 측정하는 습도센서(162), 유모차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센서(163), 유모차 내부의 미세먼지 농도를 측정하는 미세먼지 농도센서(164)로 구성된다. 이 밖에, 다양한 센서가 추가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센서부(160)로부터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미세먼지농도 값을 받아서, 팬모터부(150)와 열반도체(140)를 제어하여, 유모차 내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미세먼지농도 값을 제어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공기청정기의 작동을 자세히 설명한다. 도 2를 기본적으로 참조한다.
유모차 내부의 미세먼지농도값이 높으면, 제어부(170)는 팬모터부(150)에 지시하여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게 한다. 필터부(130)는 팬모터부(150)에 의해 흡입된 외부 공기를 정화한다.
유모차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의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높으면, 케이스(110)의 우측면 안쪽에 냉각면(142)이 위치된 열반도체(140)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정화된 공기의 온도를 낮춘다. 반대로, 유모차 내부로 흡입되는 외부 공기가 온도가 설정된 온도보다 낮으면, 케이스(110)의 좌측면 안쪽에 방열면(141)이 위치된 열반도체(140)에만 전원을 공급하여 공기의 온도를 높인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케이스(110)의 상면에 열반도체(140)가 추가하여, 유모차 내부의 온도를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유모차 내부의 이산화탄소농도가 높으면, 제어부(170)는 팬모터부(150)에 지시하여, 유모차 내부 공기를 외부로 토출시킨다.
상술한 유모차용 공기청정기(100)의 작동으로 인해, 외부의 공기를 정화하고 적정한 온도로 맞추어 유모차 내부로 공급할 수 있고, 유모차 내부의 오염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공기청정기를 자세히 설명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공기청정기(200)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유모차용 공기청정기(100)에 벨크로(220)가 추가된 것을 제외하고는 모두 동일하다. 이하, 벨크로(220)에 대해서만 자세히 설명한다.
벨크로(220)는 한쪽면에 갈고리(221)가 있고 다른 면에 걸림고리(222)가 있어 서로 붙였다 떼었다 할 수 있다. 일명, “찍찍이 테이프로”라고 불린다.
벨크로(220)는 커버(10)의 재질이 약해 커버(10)가 찢어질 경우, 공기청정기(200)가 떨어지는 것을 막아 준다.
이를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크로(220)의 일단은 고리 형태로 구부러져 유모차(1‘)의 내부에 위치한 손잡이(11)에 걸리고, 벨크로(220)의 타단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연결대(122)에 연결된다.
벨크로(220)의 타단에는 자석(M)이 설치되고, 제2연결대(122)에는 자석(M)이 삽입되는 홈(122c)이 구비된다. 자석(M)은 강력한 자력을 가진 네오디움 자석이다.
자석(M)이 홈(122c)에 삽입되면, 자석(M)은 마주보는 제1연결대(121)의 자석(121b)과 자력 결합한다. 서로 마주 보는 자석(M)과 자석(121b)은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다.
벨크로(220)의 일단을 손잡이(11)에서 분리하고, 제1연결대(121)와 제2연결대(122)를 분리한 후, 자석(M)을 홈(122c)에서 빼내면, 벨크로(220)를 새 것으로 교체할 수 있다.
이러한 벨크로(220)에 의해, 커버(10)가 찢어져도, 공기청정기(200)는 떨어지지 않고, 손잡이(11)에 매달려 있게 된다.
1,2: 유모차 10: 커버
100: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110: 케이스
120: 장착부 130: 필터부
140: 열반도체 150: 팬모터부
160: 센서부 170: 제어부
180: 전원부 220: 벨크로

Claims (5)

  1. 유모차의 내부를 밀폐시키는 커버의 측면 장착공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케이스; 상기 케이스를 상기 장착공에 탈착시키는 장착부; 상기 유모차의 내부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를 정화시키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에 의해 정화된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키도록, 서로 마주 붙은 한 쌍의 방열면과 냉각면으로 구성되어, 상기 케이스의 양측면에 각각 설치된 열반도체; 상기 유모차 내부로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거나, 상기 유모차 내부의 공기를 외부를 토출시키는 팬모터부; 상기 유모차의 내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미세먼지농도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미세먼지농도 값을 받아서, 상기 팬모터부와 상기 열반도체를 제어하여, 상기 유모차 내부의 온도, 습도, 이산화탄소농도, 미세먼지농도 값을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열반도체와 상기 팬모터부와 상기 센서부와 상기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를 포함하는 유모차용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케이스의 외주면을 따라 설치된, 고무띠와 자석들로 구성된 제1연결대;
    상기 제1연결대와 상기 커버를 사이에 두고 자력 결합하는, 고무띠와 자석들로 구성된 제2연결대; 및
    한쪽면에 갈고리가 있고 다른면에 걸림고리가 있는 벨크로로 구성되며,
    상기 벨크로의 타끝단에는 자석이 설치되고, 상기 제2연결대에는 상기 벨크로의 타끝단에 설치된 자석이 삽입되는 홈이 구비되며,
    상기 케이스의 좌측면에 설치된 열반도체는 방열면이 상기 케이스의 안쪽에 위치되고 냉각면이 상기 케이스의 바깥쪽에 위치되고, 상기 케이스의 우측면에 설치된 열반도체는 냉각면이 상기 케이스의 안쪽에 위치되고 방열면이 상기 케이스의 바깥쪽에 위치되며,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는 격벽들이 상호 간격이 다르게 설치되고, 상기 상호 간격이 다른 격벽들 사이 상측에 위치된 케이스의 상면마다, 방열면이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냉각면이 외부로 노출된 열반도체 1개와, 냉각면이 케이스의 내부에 위치되고 방열면이 외부로 노출된 열반도체 1개가 한쌍을 이루며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159335A 2018-12-11 2018-12-11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KR102074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335A KR102074687B1 (ko) 2018-12-11 2018-12-11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9335A KR102074687B1 (ko) 2018-12-11 2018-12-11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74687B1 true KR102074687B1 (ko) 2020-03-02

Family

ID=698053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9335A KR102074687B1 (ko) 2018-12-11 2018-12-11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7468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01912A1 (en) * 2018-03-14 2021-01-07 Nicholas DAVIES Hood and cover
KR20220164173A (ko) * 2021-06-04 2022-12-13 김종욱 자유 절첩이 가능한 탈부착형 히팅 스크린
KR102618616B1 (ko) * 2023-07-05 2023-12-27 주식회사 옵티멀이노베이션 냉각수단이 구비된 유모차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910A (ko) * 2010-01-27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모차
KR101716710B1 (ko) * 2015-10-22 2017-03-16 김의웅 유모차용 덮개의 환기장치
KR20170098391A (ko) * 2016-02-19 2017-08-30 주식회사 프리텍 유모차 거치용 음이온 발생기
KR101838557B1 (ko) * 2017-07-07 2018-03-15 강대혁 냉난방 및 공기정화 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KR20180059403A (ko) 2018-05-15 2018-06-04 최서연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KR101872449B1 (ko) * 2016-12-14 2018-06-29 주식회사 프리텍 유모차용 음이온 발생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87910A (ko) * 2010-01-27 2011-08-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모차
KR101716710B1 (ko) * 2015-10-22 2017-03-16 김의웅 유모차용 덮개의 환기장치
KR20170098391A (ko) * 2016-02-19 2017-08-30 주식회사 프리텍 유모차 거치용 음이온 발생기
KR101872449B1 (ko) * 2016-12-14 2018-06-29 주식회사 프리텍 유모차용 음이온 발생기
KR101838557B1 (ko) * 2017-07-07 2018-03-15 강대혁 냉난방 및 공기정화 장치가 구비된 유모차
KR20180059403A (ko) 2018-05-15 2018-06-04 최서연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10001912A1 (en) * 2018-03-14 2021-01-07 Nicholas DAVIES Hood and cover
KR20220164173A (ko) * 2021-06-04 2022-12-13 김종욱 자유 절첩이 가능한 탈부착형 히팅 스크린
KR102506389B1 (ko) 2021-06-04 2023-03-03 김종욱 자유 절첩이 가능한 탈부착형 히팅 스크린
KR102618616B1 (ko) * 2023-07-05 2023-12-27 주식회사 옵티멀이노베이션 냉각수단이 구비된 유모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74687B1 (ko) 유모차용 공기청정기
JP3739989B2 (ja) 換気機能付空気清浄装置
JP2005219049A (ja) 分離型空気調和装置
JP2008075945A (ja) 局所清浄化装置
JP2007151998A (ja) 空気清浄機及び空気清浄方法
JP2014088964A (ja) 空気清浄機
US20130109292A1 (en) Air adjuster
JP2007296524A (ja) 空気調和機
KR20120018767A (ko) 이온 발생 장치 및 공기 청정 장치
JP5089424B2 (ja) 空気調和機
JP2003090571A (ja) 空気改質機器
KR20120094731A (ko) 공기청정기
JP4171769B1 (ja) 空気調和機
JP2008286497A (ja) ファンフィルタユニット
JPH1066817A (ja) 粉塵検知センサ付空気清浄機
JPH11201511A (ja) 空気浄化システム
JP2007152026A (ja) 空気浄化装置
JP2020076548A (ja) 外部空気の室内供給装置
JP2551923Y2 (ja) クリーンルーム
JP2005106363A (ja) 加湿機能付き水フィルター形空気清浄機
KR20090094527A (ko) 유해가스및 먼지 차단장치가 있는 웰빙 크린유모차
JP6179471B2 (ja) 空気清浄機
KR20190074396A (ko) 유모차용 공기정화기
JP4087170B2 (ja) 空気清浄装置
KR100556313B1 (ko) 환기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