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599B1 - 뷰파인더를 통해서 관찰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 Google Patents

뷰파인더를 통해서 관찰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599B1
KR101371599B1 KR1020110032482A KR20110032482A KR101371599B1 KR 101371599 B1 KR101371599 B1 KR 101371599B1 KR 1020110032482 A KR1020110032482 A KR 1020110032482A KR 20110032482 A KR20110032482 A KR 20110032482A KR 101371599 B1 KR101371599 B1 KR 1013715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type
unit
housing
display o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324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113150A (ko
Inventor
키요카즈 추레이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101131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1131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5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5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02Viewfind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2213/02Viewfinders
    • G03B2213/025Sightline de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 Exposure Control For Cameras (AREA)
  • Details Of Cameras Including Film Mechanisms (AREA)
  • Camera Bodies And Camera Details Or Accessories (AREA)
  • Indication In Cameras, And Counting Of Exposur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뷰파인더를 통해 보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 끝으로 표시 화면에 대하여 조작을 행할 때, 사용자의 손 끝을 오검지할 가능성을 경감시켜, 이 오검지에 기인하는 오동작이 일어나기 어려워지는 촬상장치. 접안 센서가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표시부의 발광 휘도를 저감시키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소등시킨다. 접안 센서가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지 않으면, 터치 조작에 따라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터치되는 경우에도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지 않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도,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에 상기 접안 센서로부터 먼 위치에 표시한다.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 중 임의의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면,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한다.

Description

뷰파인더를 통해서 관찰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IMAGE PICKUP APPARATUS THAT SHOOTS SUBJECT VIEWED THROUGH VIEWFINDER,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본 발명은, 뷰파인더를 통해서 관찰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장치, 그 제어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및 기억매체에 관한 것이다.
최근, TFT액정 디스플레이로 대표되는 정보표시장치를 갖는 다수의 카메라는, 그 카메라의 상태를 표시시키도록 상기 카메라의 배면에 탑재되었다. 이러한 카메라 중에는, 사용자가 뷰파인더를 통해 보았을 때에 정보표시장치의 표시면이 눈부시기 때문에, 정보표시장치의 표시를 자동으로 소등시키기 위한 접안 센서를 탑재한 것이 있다. 이 접안 센서는, 단순히 물체가 가까이 간 것인가 아닌가를 검지하는 것이며, 접안 센서로서, 일반적으로 적외선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정보표시장치의 표시면에 사용자의 조작을 검지하는 터치패널을 탑재한 카메라가 시판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뷰파인더, 접안 센서 및 정보표시장치는, 카메라의 배면측에 설치된다. 이 때문에, 접안 센서와 터치패널을 병용해서 조작되는 카메라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뷰파인더를 통해 보았을 때, 사용자의 코끝이 터치패널에 접촉해버리는 것에 의한 오조작이 발생하는 경우도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059984호에는, 카메라에 있어서, 접안 센서로부터의 검지 출력에 따라 터치패널의 조작을 금지하고,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165934호에는, 촬상장치에 있어서, 터치패널의 조작을, 보통의 경우와는 다른 조작으로 바꾸어, 정보표시장치에 표시된 내용으로부터 떼어버리는 것에 의해 오조작을 방지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그렇지만, 상기 종래의 촬상장치는, 이후 설명된 문제들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059984호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165934호에 기재된 기술은, 사용자가 뷰파인더를 통해 보았을 때의 터치패널의 오조작 방지에 관한 것이지만, 접안 센서의 오검지에 기인하는 카메라의 오동작에 대하여 조금도 기여하지 않았다.
구체적으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1-059984호에 의하면, 사용자가 뷰파인더를 통해 보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손 끝으로 터치패널을 조작할 때, 접안 센서가 사용자의 손 끝을 얼굴이라고 판단해버리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해서 정보표시장치가 소등된다.
또한,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 2004-165934호에 의하면, 사용자가 뷰파인더를 통해 보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손 끝으로 터치패널을 조작할 때, 접안 센서가 사용자의 손 끝을 얼굴이라고 판단해버리면, 사용자의 의도에 반해서 정보표시장치의 표시 내용이 바뀌어버린다. 이에 따라, 원하는 조작을 행할 수 없다.
이 문제를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은 종래의 디지털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의 배면측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디지털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731)에 있어서, 터치패널을 갖는 TFT액정 디스플레이(732)에 표시된 조리개 값 "F8.0"의 표시 부위를 사용자가 접촉해서, 촬영 조건을 변경하려고 하면,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기도 한다. 상기 조리개 값 "F8.0"표시 부위가 접안 센서(734)에 가까우므로, 접안 센서(734)가 사용자의 손 끝을, 사용자가 뷰파인더(738)를 통해 본 것으로서 오검지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 오검지에 의해, 카메라(731)는, 사용자가 촬영을 행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TFT액정 디스플레이(732)의 표시를 소등시킨다. 즉, 사용자가 조리개 값 "F8.0"표시 부위를 터치하려고 하면, 표시가 사라져버려, 촬영 조건을 변경할 수 없다고 하는 오동작을 일으킨다.
본 발명은, 뷰파인더를 통해 보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 끝으로 표시 화면에 대하여 조작을 행할 때, 사용자의 손 끝을 오검지할 가능성을 경감시켜, 이 오검지에 기인하는 오동작이 일어나기 어려워지는 촬상장치, 그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 및 이 방법을 컴퓨터에게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1 국면은, 아이피스(eyepiece)를 갖는 파인더; 상기 아이피스에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접근 검지부; 터치패널식의 표시부; 상기 접근 검지부가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상기 표시부의 발광 휘도를 저감시키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소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접근 검지부에서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따라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터치되는 경우에도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지 않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도,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에 상기 접근 검지부로부터 먼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 중 임의의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면,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부를 구비하고, 상기 접근 검지부가 구비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표시부를 갖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에 의거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이 시인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닫힌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된 정보를,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경우에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국면은, 아이피스(eyepiece)를 갖는 파인더와, 상기 아이피스에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접근 검지부와, 터치패널식의 표시부를 구비한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접근 검지부가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상기 표시부의 발광 휘도를 저감시키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소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 상기 접근 검지부에서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따라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터치되는 경우에도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지 않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도,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에 상기 접근 검지부로부터 먼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단계; 및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 중 임의의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면,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접근 검지부가 구비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표시부를 갖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를 더 구비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으로, 상기 표시 제어단계는,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에 의거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이 시인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닫힌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된 정보를,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경우에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국면은, 상술한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을 촬상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비일시적 기억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뷰파인더를 통해 보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손 끝으로 표시 화면에 대하여 조작을 행할 때, 접근 검지부가 사용자의 손 끝을 오검지할 가능성을 경감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접근 검지부의 오검지에 기인하는 촬상장치의 오동작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 실시예들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카메라의 배면측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카메라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도 3a 및 도 3b는 카메라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도 4a 및 도 4b는 TFT에 표시된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카메라의 배면측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카메라의 배면측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종래의 디지털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의 배면측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인 카메라에 부착된 바리 앵글(vari-angle) 표시부의 자세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바리 앵글 표시부가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자세들에 있을 때의 TFT의 화면 표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제4 실시예에 따른 메뉴얼 촬영 모드의 처리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나타내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겠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인 디지털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이하, 카메라라고 약칭한다)(11)의 배면측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카메라(11)의 배면에는, 촬영 화상과, 카메라(11)의 설정, 동작 상태등을 표시하는 정보표시장치인 TFT액정표시장치(이하, 간단히 TFT라고 한다)(12)가 설치된다.
또한, TFT(12)의 표면에는, 투명한 투과형 터치패널(이하, 터치패널로 약칭한다)(13)이 설치되어 있다. 터치패널(13)은, 사용자의 손 끝의 TFT(12)에의 접촉의 유무뿐만 아니라, TFT(12)의 어느 부분에 손 끝이 접촉했는지(접촉 위치)도 검지한다. 이에 따라, TFT(12)의 표시 내용과 접촉 위치를 서로 비교함으로써 사용자가 TFT(12)의 어느 표시 부위를 접촉했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11)에는, 전원 스위치 레버(17), 모드 다이얼(16), 메뉴 버튼(15) 및 셔터 버튼(61)(도 2 참조)등의 조작 스위치가 다수 장착되어 있다. 셔터 버튼(61)은 촬영 지시를 행한다. 모드 다이얼(모드 전환 스위치)(16)은 모드를 바꾼다. 메뉴 버튼(15)은, 사용자의 조작을 접수하고, 카메라(11)의 각종 기능의 설정을 구성한다. 세트(SET)버튼(19a), 4방향 버튼(19b), 재생 버튼(19c), 콘트롤러 휠(73)등과 함께 후술하는 조작부(70)를 구성한다. 전원 스위치 레버(17)는 전원의 온 및 오프를 선택적으로 바꾼다.
카메라(11)는 뷰파인더(18)를 통해서 관찰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것이며, 뷰파인더(18)의 하방으로는, 접안 센서(14)가 설치되어 있다. 접안 센서(14)는, 그 접안 센서(14)의 전방면으로부터 소정 거리내에 있는 물체의 유무를 검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접안 센서(14)로서, 대상물로부터 방출된 적외선을 검지하는 일반적인 적외선 센서를 사용한다. 이 적외선 센서는, 사용자가 뷰파인더(18)를 통해 보기 위해서 얼굴을 가까이 한 것을 검지한다. 이때, 접안 센서(14)로서는, 적외선 센서뿐만 아니라, 발광부 및 수광부를 갖는 광센서, 초음파 센서등을 사용하여도 된다.
도 2는 카메라(11)의 하드웨어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블럭도다. 카메라(11)는, 포커스 렌즈를 포함하는 촬영 렌즈(103), 조리개 기능을 갖는 셔터(101), 및 광학상을 전기신호로 변환하는 CCD, CMOS소자등으로 구성된 촬상부(22)를 가진다.
또한, 카메라(11)는, 촬상부(22)로부터 출력된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A/D변환기(23) 및 배리어(barrier)(102)를 가진다. 배리어(102)는, 카메라(11)의 촬영 렌즈(103)등을 덮는 것에 의해, 촬영 렌즈(103), 셔터(101) 및 촬상부(22)를 포함하는 촬상계가 더러워지고 파손되는 것을 방지한다.
화상처리부(24)는, A/D변환기(23)로부터의 데이터와 메모리 제어부(25)로부터의 데이터에 대하여, 소정의 화소보간, 축소등의 리사이즈(resizing) 처리, 색 변환처리를 행한다. 화상처리부(24)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시스템 제어부(50)는, 이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노광 제어와 측광 제어를 행한다. 이에 따라 TTL(스루 더(through-the-lens) 렌즈)방식의 AF(오토 포커스)처리, AE(자동노출)처리, 및 EF(플래쉬 사전 발광)처리가 행해진다. 한층 더, 화상처리부(24)는 촬상한 화상 데이터를 사용해서 소정의 연산 처리를 행하고, 시스템 제어부(50)는, 이 연산 결과에 근거하여, TTL방식의 AWB(오토 화이트 밸런스)처리도 행한다.
A/D변환기(23)로부터의 출력 데이터는, 화상처리부(24) 및 메모리 제어부(25)를 거쳐, 혹은 메모리 제어부(25)를 거쳐 메모리(32)에 직접 기록된다. 메모리(32)는, 촬상부(22)에 의해 얻어지고, A/D변환기(23)에 의해 디지털 데이터로 변환된 화상 데이터와, TFT(표시부)(12)에 표시하기 위한 화상 데이터를 격납한다. 메모리(32)는, 소정매수의 정지화상과 소정시간의 동화상 및 음성을 격납하는데 충분한 기억 용량을 가진다.
또한, 메모리(32)는 화상표시용의 메모리(video memory)의 역할을 한다. D/A변환기(26)는, 메모리(32)에 격납된 화상표시용의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TFT(12)에 공급한다. 이렇게, 메모리(32)에 기록된 표시용의 화상 데이터는, D/A변환기(26)를 거쳐 TFT(12)에 의해 표시된다.
TFT(12)는, 전술한 바와 같이, D/A변환기(26)로부터의 아날로그 신호에 따라 표시를 행한다. 이렇게, 아날로그 데이터를 디지털 데이터로 A/D변환기(23)에 의해 일단 변환하여 얻어져, 메모리(32)에 축적된 디지털 데이터를 D/A변환기(26)에서 아날로그 데이터로 변환하고, TFT(12)에 차차 전송해서 표시하여서, TFT(12)는 전자 뷰파인더(스루 화상 표시)로서 기능한다.
불휘발성 메모리(56)는 전기적으로 소거 및 기록가능한 메모리다. 불휘발성 메모리(56)로서, 예를 들면 EEPROM을 사용한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56)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 및 프로그램이 기억된다. 여기에서, 프로그램이란, 본 실시예에 있어서 후술하는 흐름도에 나타낸 프로그램이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카메라(11) 전체를 제어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시스템 메모리(52)로서 RAM을 사용하고, 여기에는 시스템 제어부(50)의 동작용의 정수 및 변수가 기억되고, 불휘발성 메모리(56)로부터 판독한 프로그램 등이 전개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모리(32), D/A변환기(26), TFT(12)등을 제어함으로써, TFT(12)의 표시를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로서도 기능한다.
시스템 타이머(53)는, 각종 제어에 필요한 시간과, 내장된 시계로 나타낸 시간을 계측한다. 모드 전환 스위치(16), 셔터 버튼(61) 및 조작부(70)는, 시스템 제어부(50)에 각종의 동작 지시를 입력한다.
모드 전환 스위치(16)는, 시스템 제어부(50)를, 선택적으로 정지 화상 기록 모드, 동영상 기록 모드, 재생 모드 등으로 바꾼다.
제1셔터 스위치(62)는, 카메라(11)에 설치된 셔터 버튼(61)이 눌려있는 도중일 때, 즉 반누름(촬영 준비 지시)에 따라 온(on)이 되어,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을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제1셔터 스위치 신호SW1에 응답하여, AF(오토 포커스)처리, AE(자동노출)처리, AWB(오토 화이트 밸런스)처리, EF(플래쉬 사전발광)처리 등의 동작을 시작한다.
제2셔터 스위치(64)는, 셔터 버튼(61)의 조작 완료, 즉 완전 누름(촬영 지시)에 따라 온이 되어,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을 발생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제2셔터 스위치 신호SW2에 응답하여, 촬상부(22)로부터의 신호 판독으로부터 기록 매체(200)에 화상 데이터를 기록할 때까지의 일련의 촬영 처리를 시작한다.
조작부(70)는, 메뉴 버튼(15), SET버튼(19a), 4방향 버튼(19b), 재생 버튼(19c), 콘트롤러 휠(73)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조작부(70)와는 별도로, TFT(12)의 표시 화면에 대한 접촉을 검지가능한 터치패널(13)이 설치된다. TFT(12)에 표시된 여러 가지의 기능 아이콘이 선택 및 조작되어 장면마다 적당하게 기능을 할당하여서, 터치패널(13)은 각종 기능 버튼으로서 작용한다.
기능 버튼의 예들로는, 종료 버튼, 뒤로 가기(back) 버튼, 화상단위(image-by-image) 이송 버튼, 점프 버튼, 리파인(refine) 버튼, 속성변경 버튼이 있다. 예를 들면, 메뉴 버튼(15)이 눌리면, 각종의 설정 구성이 가능한 메뉴 화면이 TFT(12)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TFT(12)에 표시된 메뉴 화면, 4방향 버튼(19b) 및 SET버튼(19a)을 사용하여, 직감적으로 각종의 설정을 구성할 수 있다.
콘트롤러 휠(73)은, 조작부(70)에 포함되고 회전 조작가능한 조작부 재이며, 4방향 버튼(19b)과 함께 선택 항목을 지시할 때에 사용된다. 콘트롤러 휠(73)이 회전 조작되면, 조작량에 따라 전기적 펄스 신호가 발생한다. 이 펄스 신호에 근거하여, 시스템 제어부(50)는 카메라(11)의 각부를 제어한다. 이 펄스 신호에 의거해, 콘트롤러 휠(73)이 회전 조작된 각도나, 콘트롤러 휠(73)에 의한 회전수 등을 판정할 수 있다. 이때, 콘트롤러 휠(73)은 회전 조작을 검지할 수 있는 조작부재이면 어떤 것이라도 좋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회전 조작에 따라 콘트롤러 휠(73) 자체가 회전해서 펄스 신호를 발생하는 다이얼 조작부재이어도 된다. 이와는 달리, 콘트롤러 휠(73)은, 터치 센서로 이루어진 조작부재이며, 콘트롤러 휠이 회전하지 않지만, 콘트롤러 휠상에서 사용자의 손가락의 회전 동작을 검출할 수도 있다(소위, 터치 휠).
전원제어부(80)는, 전지검출회로, DC-DC컨버터, 통전하는 블록을 바꾸는 스위치회로 등으로 구성되어, 전지의 장착의 유무, 전지의 종류 및 전지잔량의 검출을 행한다. 또한, 전원제어부(80)는, 그 검출 결과 및 시스템 제어부(50)의 지시에 근거하여, DC-DC컨버터를 제어하고, 필요한 전압을 필요한 기간, 기록 매체(200)를 포함하는 부품에 공급한다.
전원부(30)는, 알칼리 전지나 리튬 전지등의 1차전지, NiCd전지나 NiMH전지, Li전지등의 2차전지, 혹은 AC어댑터 등으로 이루어진다. 인터페이스(27)는, 메모리 카드나 하드 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200)를 연결하는 인터페이스다. 기록 매체(200)는, 메모리 카드 등의 기록 매체, 반도체메모리, 자기디스크 등으로 구성된다.
이제, 조작부(70)와는 별도로 설치된 터치패널(13)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TFT(12)의 표시화면에는, 그 TFT(12)의 표시면의 접촉을 검지가능한 터치패널(13)이 설치된다. 터치패널(13)과 TFT(12)는 일체로 구성된다. 예를 들면, 터치패널(13)은, TFT(12)의 표시화면의 상층에 부착되고, 터치패널(13)의 빛의 투과율이 TFT(12)의 표시를 방해하지 않도록 설정된다. 터치패널(13)에 있어서의 입력 좌표와 TFT(12)의 표시 좌표는 서로 연관된다. 이에 따라, 마치, 사용자가 TFT(12)에 표시된 화면을 직접적으로 조작가능한 것처럼 보이는 GUI가 제공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다음의 조작: 터치패널(13)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접촉하는 조작(이하, "터치 다운"이라고 칭한다), 터치패널(13)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접촉하고 있는 상태의 조작(이하, "터치 온(on)"이라고 칭한다), 터치패널(13)을 손가락이나 펜으로 접촉한 채 이동하고 있는 조작(이하, "무브(move)"라고 칭한다), 터치패널(13)로부터 손가락이나 펜을 떼어 놓는 조작(이하, "터치 업"이라고 칭한다), 및 터치패널(13)에 손가락이나 펜을 접촉하지 않고 있는 상태의 조작(이하, "터치 오프"라고 칭한다)을 검출한다.
이것들의 조작과 터치패널(13)에 손가락이나 펜이 접하고 있는 위치 좌표는, 시스템 제어부(50)에 통지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이 통지된 정보에 근거하여, 터치패널(13)에 대하여 어떤 조작이 행해졌는지를 판정한다.
무브에 대해서는, 터치패널(13) 위에서 이동하는 손가락이나 펜의 이동 방향도, 위치 좌표의 변화에 근거하여, 터치패널(13)상의 수직성분/수평성분마다 판정할 수 있다.
더욱이, 터치패널(13)에 대하여, 터치 다운 후 소정의 무브를 경과해서 터치 업을 행한 경우, 스트로크를 그린 것으로 판정할 수 있다. 재빠르게 스트로크를 그리는 조작을 플리킹(flicking)이라고 부른다. 이 플리킹은, 터치패널(13)에서 손가락을 어느 정도의 거리만 재빠르게 움직인 후 터치패널(13)로부터 그 손가락을 떼어 내는 조작, 달리 말하면, 마치 터치패널(13)을 가볍게 치는 것처럼 손가락을 터치패널(13) 위에서 재빠르게 움직이는 조작이다.
소정거리 이상 또 소정의 속도이상으로 무브를 행한 것이 검출되고나서 그대로 터치 업이 검출되었을 경우, 플리킹이 행해졌다고 판정할 수 있다. 소정거리이상 또 소정의 속도이하로 무브를 행한 것이 검출되었을 경우, 드래그가 행해졌다고 판정할 수 있다.
터치패널로서는, 저항막방식, 정전 용량 방식, 표면탄성파 방식, 적외선 방식, 전자기 유도방식, 화상 인식 방식 및 광센서 방식등의 여러 가지 방식 중 임의의 방식의 터치패널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카메라(11)의 동작에 관하여 설명한다. 도 3a 및 도 3b는 카메라(11)의 동작 순서를 나타내는 흐름도다. 이들의 흐름도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억되고 시스템 메모리(52)에 로딩된 프로그램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는 시스템 제어부(50)내의 CPU에 의해 실현된다.
카메라(11)의 전원 스위치 레버(17)가 조작되면, 시스템 제어부(50)는, 이 조작을 검출하고, 전원제어부(80)를 통해 부품들에 전원을 공급하여, 카메라(11)의 동작을 개시시킨다. 우선, 시스템 제어부(50)는, 카메라(11)의 모드로서 촬영 모드를 검출한다. 그 촬영 모드는, 모드 다이얼(16)의 포지션을 검출하여 검출된다(단계S1∼S5).
즉, 시스템 제어부(50)는, 모드 다이얼(16)의 포지션을 검출하여, 카메라(11)가 메뉴얼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S1). 카메라(11)가 메뉴얼 모드일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6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카메라(11)가 메뉴얼 모드가 아닐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카메라(11)가 조리개(aperture) 우선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S2).
조리개 우선 모드란, 조리개 값을 조정하는 조작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조리개 값, ISO감도, 피사체의 밝기등에 의거하여 프로그램 선도를 사용해서 자동적으로 셔터 스피드를 결정하는 모드다. 카메라(11)가 조리개 우선 모드일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6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카메라(11)가 조리개 우선 모드가 아닐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S3).
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란, 셔터 스피드를 조정하는 조작을 사용자로부터 접수하고,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설정된 셔터 스피드, ISO감도, 피사체의 밝기등에 의거하여 프로그램 선도를 사용해서 자동적으로 조리개 값을 결정하는 모드다. 카메라(11)가 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일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6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카메라(11)가 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가 아닐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카메라(11)가 프로그램 모드인지의 여부를 판별한다(단계S4).
카메라(11)가 프로그램 모드일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6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카메라(11)가 프로그램 모드가 아닐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카메라(11)가 오토 모드라고 판별해(단계S5), 단계S6의 처리로 진행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50)는,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뷰파인더(18)를 통해 보는 것을 고려하여, 접안 센서(14)를 온(유효)으로 해서 동작시킨다(단계S6). 이때, 단계S6의 처리는 접근 검지 전환부의 기능으로서 실현된다. 한층 더, 시스템 제어부(50)는, 이전에 검출된 모드 다이얼(16)의 포지션에 따라, 미리 정해진 내용의 데이터(Data1)를 TFT(12)에 표시하고, 터치패널(13)을 동작시킨다(단계S7). 이때, 이 단계S7의 처리는 입력검지 전환부의 기능으로서 실현된다.
도 4a 및 도 4b는 TFT(12)에 표시된 데이터를 도시한 도면이다. 데이터1 및 데이터2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억되어 있다. 단계S7에서 TFT(12)에 표시되는 데이터1로서, 메뉴얼 모드시, 조리개 우선 모드시, 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시, 프로그램 모드시 또는 오토 모드시용의 데이터가 준비되어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14)에 의해 대상물이 검지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8). 전술한 바와 같이, 접안 센서(14)로서 적외선 센서를 사용하고 사용자가 촬영을 위해 뷰파인더(18)를 통해 보는 경우, 접안 센서(14)에 의해 사용자의 얼굴 혹은 눈의 접근이 검지된다. 접안 센서(14)에 의한 검지에 응답하여, 시스템 제어부(50)는, TFT(12)를 소등하고, 터치패널(13)을 정지시킨다(단계S9). 이때, 이 단계S9의 처리는 입력 검지 전환부의 기능으로서 실현된다. 단계S9에서는, TFT(12)를 소등시키지 않고 휘도만을 저하시켜도 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사용자에 의해 셔터 버튼(61)이 눌려져, 촬영이 행해진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10). 촬영이 행해진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카메라(11)에 촬영 동작을 행하게 한다(단계S11). 이후, 시스템 제어부(50)는 본 처리를 종료한다.
한편, 단계S10에서 촬영이 행해지지 않은 경우, 사용자가 촬영을 정지하고 뷰파인더(18)로부터 얼굴을 떼어놓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14)에 의해 대상물이 검지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12). 접안 센서(14)에 의해 대상물이 검지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9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접안 센서(14)에 의해 대상물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7의 처리로 돌아가고, 다시 TFT(12)의 표시를 행하고, 터치패널(13)을 동작시킨다.
한편, 단계S8에 있어서, 사용자가 뷰파인더(18)를 통해 보지 않고, 셔터 스피드 등의 촬영 조건을 변경하거나, 메뉴 버튼(15)이나 재생 버튼(19c)을 조작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3이후의 처리를 행한다. 구체적으로, 단계S8에서 대상물이 검지되지 않았을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촬영 조건이 변경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13).
촬영 조건이 변경되었을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6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촬영 조건이 변경되지 않았을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뉴 버튼(15)이 눌린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14).
메뉴 버튼(15)이 눌린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6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메뉴 버튼(15)이 눌리지 않았을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재생 버튼(19c)이 눌린 것인가 아닌가를 판별한다(단계S15).
재생 버튼(19c)이 눌린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6의 처리로 진행된다. 한편, 재생 버튼(19c)이 눌리지 않았을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의 처리에 돌아간다.
사용자가 셔터 스피드 등의 촬영 조건을 변경하거나, 메뉴 버튼(15) 또는 재생 버튼(19c)을 조작하는 경우,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14)를 오프(무효)로 해서 동작을 정지시킨다(단계S16). 이때, 단계S16의 처리는 접근 검지 전환부의 기능으로서 실현된다. 이것은, 메뉴 버튼(15)이나 재생 버튼(19c)이 조작된 경우 사용자가 촬영이외의 조작을 행할 것이라고 판단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한층 더, 시스템 제어부(50)는, TFT(12)에 데이터가 표시되고 터치패널(13)이 동작중인 상태에서, 사용자에 의한 조작들에 따라, 미리 정해진 내용의 데이터(Data2)를 표시한다(단계S17). 도 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조작에 관한 데이터로서, 촬영 조건의 변경, 메뉴 및 재생의 데이터가 표시된다.
그리고, 시스템 제어부(50)는, 사용자에 의해 각종의 조작이 종료할 때까지 대기한다(단계S18). 사용자에 의한 각종의 조작이 종료하면, 그 시스템 제어부는, 단계S1의 처리로 돌아간다.
이하, TFT(12)의 표시에 관하여 설명하겠다. 경계선c보다 아래쪽의 표시 범위a에는, 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할 수 있는 각종 정보를 의미하는 표시 오브젝트(object)(이하,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라고 한다)가 표시되어 있다. 한편, 경계선c보다 위쪽의 표시 범위b에는, 사용자가 설정을 변경할 수 없는 각종 정보를 의미하는 표시 오브젝트(이하,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라고 한다)이 표시되어 있다.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란,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표시된 부위를 터치하여 표시 오브젝트들에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할 수 있는 표시 오브젝트다. 즉,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는 터치 조작 가능한 표시 오브젝트다(터치 오브젝트). 예를 들면, 도 1의 TFT(12)에 표시된 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를 나타내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 "Tv"는, 사용자가 모드 다이얼(16)을 조작해서 변경할 수 있는 정보다. 사용자는, 터치패널(13)의 표시 오브젝트 "Tv"의 표시 부위a1에 접촉한 후,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표시 가이던스(guidance)에 따라 터치패널(13)에 접촉해, 다른 촬영 모드로 바꿀 수도 있다.
또한, 셔터 스피드를 나타내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 "1/125"도,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설정 변경 다이얼을 조작해서 변경할 수 있는 정보다. 사용자는, 터치패널(13)의 "1/125"표시 부위a2를 접촉한 후, 도면에 나타나 있지 않은 표시 가이던스에 따라 터치패널(13)에 접촉하여서, 다른 셔터 스피드로 바꿀 수도 있다. 다른 표시 오브젝트에 있어서도 같다.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란, 제2 종별 표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부위가 터치될 때에도 카메라(11)의 조작이 입력되지 않는 정보를 나타낸다. 즉,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는, 터치 조작이 불가능한 표시 오브젝트다. 표시 범위b는 터치 무효(disable) 범위다. 예를 들면, 도 1의 TFT(12)에 표시된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인 조리개 값 "F8.0"은, 카메라(11)가 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시에, 사용자가 설정한 셔터 스피드, ISO감도(도 1에서는 ISO400)와, 피사체의 밝기에 의해 자동적으로 결정되는 숫자다. 따라서, 이것은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다. 또한, TFT(12)의 좌상측 모퉁이에 표시된 전지잔량표시도, 장착된 전지의 잔량에 의해 결정되며, 이것은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는 것이다. 다른 표시 예로서, 조리개 우선 모드시의 셔터 스피드, 프로그램 모드시의 셔터 스피드 및 조리개 값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는 것이다.
따라서, 조리개 우선 모드시의 셔터 스피드와, 프로그램 모드시의 셔터 스피드와 조리개 값을 의미하는 표시 오브젝트는, 터치 조작을 할 수 없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 범위b에 표시된다. 또한, 촬영 가능 매수, 버스트 프레임 수, 전파강도, LAN접속, USB접속, HDMI접속, AV-OUT접속, MIC/SP접속등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는 것이므로, 터치 조작을 할 수 없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 범위b에 표시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경계선c의 상방에,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표시 범위b가 위치하고, 경계선c의 하방에,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표시 범위a가 위치한다. 그렇지만, 그들이 경계선c의 상방 또는 하방의 여부는, 제1 및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의 수 등에 따라 임의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계선은 항상 수평이 아니고, 기울어지거나 만곡되어도 된다.
카메라(11)는, 적어도 접안 센서(14)가 유효한 상태에 있어서는, 도 4a의 데이터(Data1)에 근거하여,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도, 접안 센서(14)에 가까운 측의 TFT(12)의 화면에 표시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표시 범위b가 터치될 때에도 카메라(11)의 조작이 입력될 수 없는 변경 불가능 정보를 나타낸다. 한편,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표시 범위a를 터치하여 카메라(11)의 조작이 입력가능한 변경 가능 정보를 나타낸다.
상술한 것처럼, 사용자가 터치하려고 하는 제1 종별의 오브젝트는, 접안 센서(14)로부터 벗어난 먼 위치에 표시되기 때문에, 접안 센서(14)가 사용자의 손 끝을 오검지할 가능성이 감소될 수 있다. 즉, 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에 있어서의 조리개 값등이 표시되는 표시 부위b1은, 접안 센서(14)가 사용자의 손 끝을 오검지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안전영역일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11)가 오동작을 일으킬 가능성도 감소될 수 있다.
반대로, 접안 센서(14)가 무효 상태인 경우에는, 즉 단계S16∼S18의 처리인 경우에는, 이것만은 아니다. 달리 말하면, 카메라(11)는, 도 4b의 데이터(Data2)에 근거하여,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이여도 접안 센서(14)의 근방에 표시시키는 경우에도 특별히 문제는 생기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제1 실시예의 촬상장치에 의하면,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 접안 센서에 가까운 측의 TFT의 표시 범위에 표시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뷰파인더를 통해 보지 않고 있는 상태에서, 손 끝으로 터치패널을 조작할 때, 접안 센서가 사용자의 손 끝을 얼굴이라고 오검지할 가능성이 경감될 수 있어, 접안 센서의 오검지에 기인하는 카메라의 오동작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더욱이, 접안 센서에 의해 대상물이 검지되었을 경우, 터치패널은 무효상태로 바뀌므로, 예를 들면, 사용자가 뷰파인더를 통해 보는 동안 사용자의 코 등이 TFT의 화면에 접촉했을 경우에, 이것은 조작으로서 오검지되지 않는다. 접안 센서를 선택적으로 유효 또는 무효로 할 수 있기 때문에, 카메라의 조작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촬영 모드에서 사용자가 뷰파인더를 통해 보면, 이를 접안 센서가 검지하고, TFT의 화면이 소등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촬영시에 TFT의 화면의 눈부심을 느끼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카메라가 촬영 모드가 아닐 경우, 접안 센서가 무효상태로 전환되기 때문에, TFT의 화면의 표시 모드가 변경되지 않아, 카메라의 조작이 보다 용이해진다.
또한, 조리개 우선 모드시의 셔터 스피드 값의 표시 부위는, 접안 센서가 사용자의 손 끝을 오검지할 가능성이 낮아지는 안전영역일 수 있다. 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시의 조리개 값과, 프로그램 모드시의 셔터 스피드 값 및 조리개 값의 표시 부위에 있어서도 같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인 카메라(11)의 배면측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카메라(11)의 구성과 동작은, 상기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은 같은 참조기호로 나타내므로, 그것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들만 설명하겠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1)에서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하여 네가티브-포지티브 반전방식으로 표시한다. 이에 따라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와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시각적으로 명확하게 다르다.
사용자는, TFT(12)의 터치패널 조작시, 터치하려고 하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접안 센서(14)에 가까이 없는 것을 시각적으로 첫눈에서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 끝을 접안 센서(14)에 가까이 해버릴 가능성이 한층 낮아져,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보다 신뢰성 있게 얻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인 카메라(11)의 배면측의 외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카메라(11)의 구성과 동작은, 상기 제1 실시예와 거의 동일하다.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부품은 같은 참조기호로 나타내므로, 그것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서는 상기 제1 실시예와 다른 부분들만 설명하겠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11)에서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가깝게,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들을 사용자가 변경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표시(66)를 표시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TFT(12)의 터치패널 조작시, 터치하려고 하는 표시 범위가 접안 센서(14)에 가깝지 않은 것을 시각적으로 첫눈에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손 끝을 접안 센서(14)에 가까이 놓을 가능성이 한층 낮아져, 상기 제1 실시예와 동일한 효과를 보다 신뢰성이 있게 얻을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촬상장치로서의 카메라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40)는, 도 1의 카메라(11)의 본체(제1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또한, 개폐가능하도록 부착된 바리 앵글 표시부(제2 하우징)에 TFT(12)를 배치하고, 바리 앵글 표시부가 어떤 위치를 차지하는 경우에만 표시 범위 a 또는 b에 관계되지 않고 표시 오브젝트에의 터치 조작을 접수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40)의 하드웨어 구성(미도시됨)은, 도 2의 블럭도에 도시된 하드웨어 구성에, 시스템 제어부(50)와 통신가능하고 바리 앵글 표시부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과, 상기 조작부(70)에 포함된 다이얼(803)을 추가한 것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카메라(40)에 부착된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이동할 수 있는 자세, 카메라(40)에 부착된 바리 앵글 표시부(801)를 집을 수 있는 자세를 설명하는데 이용한 도면이다. 이때, 도 8a 내지 도 8d에서는, 도 1과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 동일한 참조기호로 나타낸다.
도 8a를 참조하면, 바리 앵글 표시부(801)는, 힌지부(802)를 거쳐 카메라(40)에 회전 가능하게 또한, 개폐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바리 앵글 표시부(801)에는, TFT(12) 및 터치패널(13)이 배치되어 있다.
도면에 기재된 단어 "위(UP)"는, 바리 앵글 표시부(801)의 방향을 나타내는 편의적인 기호다. 다이얼(803)은 회전 조작부재이며, 시계회전 및 반시계회전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다이얼(803)의 회전 방향과 다이얼(803)의 회전량에 따라 각종 설정 값을 증감시켜서 조정할 수 있다.
바리 앵글 표시부(801)의 자세는, 예를 들면, 힌지부(802)의 내부에 부착된 바리 앵글 표시부(801)의 자세 검출부재로서의 홀(hall) 소자나, 특정한 각도로 온(on)이 되는 스위치등에 의거하여 검출될 수 있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바리 앵글 표시부(801)의 자세로서 적어도 아래에 기재된 자세A 내지 D를 검출할 수 있다.
·자세A: 도 8a에 나타낸 자세
TFT(12)의 표시면이, 접안 센서(14)를 부착하는 면(카메라(40)의 배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카메라(40)의 본체에 대하여 닫힌(접어진) 자세다. 카메라(40)의 후방에서 TFT(12)의 표시면을 시인할 수 있다. 이 자세A로부터, 바리 앵글 표시부(801)를 축(804)(광축방향에 수직하고 카메라(40)의 세로방향에 평행한 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킬 수 있다(이 회전을, 이하 "개폐"라고 칭한다).
·자세B: 도 8b에 나타낸 자세
TFT(12)의 표시면이, 접안 센서(14)를 부착하는 면(카메라(40)의 배면)과 역방향측으로 대향하도록,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카메라(40)의 본체에 대하여 열린 자세. TFT(12)의 표시면은 카메라(40)의 전방면과 동일한 방향으로 대향하여, 카메라(40) 앞에 서는 피사체측에서 TFT(12)의 표시면을 시인할 수 있다. 즉, 그 자세B는, 바리 앵글 표시부(801)를 자세A로부터 축(804)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킨 후 열린 자세다. 이 자세B로부터, 바리 앵글 표시부(801)를 축(804)을 중심으로 해서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바리 앵글 표시부(801)를 축 805(축 804에 수직한 축)를 중심으로 해서 개폐시킬 수 있다.
·자세C: 도 8c에 나타낸 자세
TFT(12)의 표시면이 접안 센서(14)를 부착하는 면(카메라(40)의 배면)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카메라(40)의 본체에 대하여 열린 자세. 카메라(40)의 후방에서 TFT(12)의 표시면을 시인할 수 있다. 그 자세C는, 바리 앵글 표시부(801)를 자세B로부터 축(805)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킨 자세이며, 이 자세C에서, 바리 앵글 표시부(801)의 상하부는 자세A와 B에 있어서의 바리 앵글 표시부(801)의 상하부에 대하여 반전되어 있다. 이 자세C로부터, 바리 앵글 표시부(801)를, 축(804)을 중심으로 해서 개폐시킬 수 있다. 또한, 바리 앵글 표시부(801)를, 축(805)을 중심으로 해서 개폐시킬 수 있다.
·자세D: 도 8d에 나타낸 자세
TFT(12)의 표시면이 접안 센서(14)(카메라(40)의 배면)에 대향하도록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카메라(40)의 본체에 대하여 닫힌 자세다. TFT(12)의 표시면은 어느쪽의 방향에서도 시인 가능하지 않다. 그 자세D는, 자세C로부터 축(804)을 중심으로 해서 회동시킨 후 닫힌 바리 앵글 표시부(801)의 자세다. 이 자세D로부터, 바리 앵글 표시부(801)를 축(804)을 중심으로 해서 개폐시킬 수 있다.
도 9a 내지 도 9c는,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상기 설명한 자세들에 있는 경우의 TFT(12)에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다. 여기에서는, 메뉴얼 촬영 모드(셔터 스피드와 조리개 값 양쪽을 사용자가 조정할 수 있는 모드)에 있어서의 화면 표시 예를 설명한다.
도 9a는,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자세A일 때의 TFT(12)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다.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자세A에 있을 때, TFT(12)의 상부인 표시 범위b(접안 센서(14)에 가까운 범위)에 표시된 표시 오브젝트는 터치 조작되지 않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표시 범위b에 표시된 조리개 값(F값)을 나타내는 표시 오브젝트(도 9a에 있어서의 "F8.0"의 표시)는, 카메라(40)에 현재 설정되어 있는 촬상조건을 나타내지만, 이 표시 오브젝트를 터치할 때 아무것도 일어나지 않는다. 표시 범위b내에, 이 범위내의 표시 오브젝트를 터치 조작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가 표시된다. 한편, 표시 범위a(표시 범위b보다도 접안 센서(14)로부터 먼 거리가 되는 범위)에는, 터치 조작가능한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배치해서 표시한다. 예를 들면, 표시 범위a에 표시된 셔터 스피드(Tv값)를 나타내는 표시 오브젝트(도 9a에 있어서의 "1/125"의 표시)를 터치함으로써, 셔터 스피드를 변경하기 위한 표시가 행해지고, 더 터치 조작 함으로써 셔터 스피드를 변경할 수 있다.
이렇게, 표시 범위에 따라 표시 오브젝트의 조작의 가부를 변경하는 이유는 상기의 제1∼제3 실시예와 같아서, 자세A에서는 표시 범위b가 접안 센서(14)에 가까우므로, 이 범위에 터치 조작가능한 표시부재를 배치하지 않음으로써 사용자가 이 범위의 부근에 손가락을 놓을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손가락의 접근을 접안 센서(14)가 눈의 접근이라고 오검지하는 것으로 인해 갑자기 TFT(12)가 소등할 가능성이나 터치패널(13)의 조작이 불가능해질 가능성을 저감시킬 수 있다.
이때, 터치 조작을 접수하지 않는 표시 범위b에 표시된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나타낸 촬영 조건들은, 터치 조작에서는 변경불가능하지만, 터치패널(13)이외의 위치에 배치된 다른 조작부재의 조작에 의해 변경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자세A에 있어서 표시 범위b에 표시된 터치 조작불가능한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 "F8.0"가 나타낸 조리개 값은, 다이얼(803)의 조작을 거쳐 변경가능하다.
도 9b는,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자세B일 때의 TFT(12)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다. 상기 자세B에서는, TFT(12)의 표시면 및 터치패널(13)이 접안 센서(14)와는 반대방향으로 또 떨어진 위치로 대향한다. 이렇게, 터치패널(13)에 터치하려고 하는 손의 접근을 접안 센서(14)가 눈의 접근이라고 오검지할 가능성은 제거될 수 있다. 그 때문에, TFT(12)에 표시된 촬영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 오브젝트의 모두에 대하여 표시 범위에 관계 없이 터치 조작을 접수하도록 구성한다. 즉, 자세A에서는 터치 조작 불가능한 표시 범위b에 표시한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조작도 접수한다. 예를 들면, 조리개 값을 나타내는 표시 오브젝트 "F8.0"가 표시 범위b에 표시된 부분에 터치함으로써, 조리개 값을 변경하기 위한 표시가 행해지고, 더욱 터치 조작함으로써 그 조리개 값을 변경할 수 있다.
자세B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표시 범위b에 표시된 표시 오브젝트도 터치 조작가능하기 때문에, 표시 범위a에 표시된 표시 오브젝트와는 구별할 필요가 없고, 도 9a와 같은 표시 범위b를 나타내는 프레임 테두리나 가이던스는 표시되지 않는다.
도 9c는,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자세C일 때의 TFT(12)의 화면 표시 예를 나타낸다. 자세C에서는, TFT(12)의 표시면 및 터치패널(13)이 접안 센서(14)로부터 떨어져 있어, 터치패널(13)에 터치하려고 하는 손의 접근을 접안 센서(14)가 눈의 접근이라고 오검지할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자세B의 경우와 같이, TFT(12)에 표시된 촬영 조건들을 나타내는 표시 오브젝트의 모두에 대하여 터치 조작을 접수하도록 구성한다. 즉, 자세A에서는 터치 조작 불가능한 표시 범위b에 표시한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조작도 접수한다. 이때, 자세B와 자세C에서는 바리 앵글 표시부(801)의 상하부가 반전하므로, 그 상하부에 표시된 내용도 반전된다. 즉,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표시 범위a와 표시 범위b의 위치는, 도 9c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상하가 바뀐다.
상기 자세D에서는, TFT(12)의 표시면이 시인불가능하고, 터치패널(13)에의 터치 조작을 할 수 없다. 이렇게 하여, TFT(12)의 표시(발광)와 TFT(12)의 터치 검지를 오프로 해서 절전한다.
도 10a 내지 도 10d는, 전술한 본 제4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40)에서의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의 흐름도다. 이들의 흐름도는, 불휘발성 메모리(56)에 기억되어 시스템 메모리(52)에 로딩된 프로그램에 따른 방법을 시스템 제어부(50)내의 CPU가 실행하여서 실현된다.
카메라(40)에 있어서, 모드 다이얼(16)의 조작등에 의해, 메뉴얼 촬영 모드로 모드가 전환되면, 시스템 제어부(50)는, 도 10a 내지 도 10d의 처리를 시작한다. 이때, 이하의 흐름도에서는, 촬영 조작이 행해질 때마다, 이것을 접수하고, 인터럽트 처리로서 촬영을 행한다.
우선, 단계S100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자세 검출부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자세A인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자세A라고 판정하면 단계S1002에 진행되고, 자세A가 아니라고 판정하면 단계S1021에 진행된다.
단계S100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14)를 온(유효)으로 해서 동작시킨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TFT(12)의 표시와 백라이트의 발광을 온으로 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패널(13)에 대한 터치의 검출을 온으로 하여, 그 터치패널(13)을 동작시킨다. 이때, 터치패널(13)의 터치 검출을, 표시 범위a에서의 터치만을 검출할 수 있게 부분적으로 온으로 해도 된다. 예를 들면, 터치패널(13)이 정전 용량 방식등의 복수의 센서로 구성되는 경우에는, 표시 범위a에서의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온으로 하고, 표시 범위b에서의 터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는 오프로 하여 절전해도 된다.
다음의 단계S100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TFT(12)에 도 9a를 참조하여 상술한 자세A에 있어서의 화면 표시(표시A)를 행하게 한다.
다음 단계S1004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14)에 의해 눈의 접근을 검지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엄밀하게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눈이 접안 센서(14)에 접근하고 있는지의 여부의 판정이 아니고, 접안 센서(14)에 어떤 대상물이 접근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14)에 어떤 대상물이 접근하고 있다고 판정하면 단계S1005에 진행되고, 어떤 대상물이 접근하지 않고 있다고 판정하면 단계S1008에 진행된다.
단계S1005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TFT(12)의 표시, 백라이트의 발광, 터치패널(13)에 대한 터치의 검출을 오프로 한다. TFT(12)의 표시, 백라이트의 발광이 오프로 되는 이유는, 사용자가 뷰파인더(18)를 통해 볼 때 사용자가 눈부심을 느껴서 사용자의 관찰이 방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이와는 달리, TFT(12)에서의 표시를 오프시키지 않고, 백라이트의 발광만을 오프로 하거나, 혹은 감소(발광 휘도를 감소)하여도 된다. 터치패널(13)에 대한 터치의 검출을 오프로 하는 이유는, 사용자가 뷰파인더(18)를 통해 보았을 때에 터치패널(13)에 코가 접촉하는 것으로 인해 의도하지 않는 조작이 행해져버리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여기에서는, 터치패널(13)에 대한 터치의 검출이 전체적으로 오프(혹은 터치 자체는 접촉되지만, 그 검출 결과를 무시한다)된 것으로 가정하고, 코가 접촉할 가능성이 있는 부분만 부분적으로 터치 검출을 오프(터치 조작 무효)로 해도 된다.
다음의 단계S1006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14)에 의해 계속해서 눈의 접근을 검지하고 있는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눈의 접근이 계속해서 검지되고 있다고 판정되면,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06의 처리를 다시 시행하고, 눈의 접근이 검지되지 않았다고 판정되면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07에 진행된다.
단계S1007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TFT(12)의 표시, 백라이트의 발광, 터치패널(13)에 대한 터치의 검출을 온으로 하고, 그 TFT(12)를 단계S1003에서 행해진 화면표시(표시A)에 복귀시킨다.
그 다음에 단계S1008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다이얼(803)이 조작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다이얼(803)이 조작되었다고 판정하면, 시스템 제어부(50)는 S1009에 진행되고, 다이얼(803)이 조작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10에 진행된다.
단계S1009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다이얼(803)의 조작에 따라 조리개 값을 증감시켜서 조리개 값을 변경한다.
다음의 단계S1010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 범위a에 있어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표시 범위a에 있어서, 터치 조작이 있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11에 진행되고, 표시 범위a에 있어서 터치 조작이 없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12에 진행된다.
단계S1011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조작에 따라 촬영 조건을 포함하는 각종 설정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표시 범위a에 표시된 셔터 스피드(Tv값)를 나타내는 표시 오브젝트(도 9a에 있어서의 "1/125"의 표시)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50)는, 셔터 스피드를 변경한다.
다음의 단계S101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자세 검출부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바리 앵글 표시부(801)의 자세가 변화된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바리 앵글 표시부(801)의 자세가 변화되었다고 판정하면,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01에 진행되고, 바리 앵글 표시부(801)의 자세가 변화되지 않았다고 판정하면,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13에 진행된다.
단계S101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는, 예를 들면, 모드 다이얼(16)의 조작등에 의해 매뉴얼 촬영 모드를 다른 촬영 모드로 바꾸는 경우, 전원이 오프된 경우, 또는 매뉴얼 촬영 모드가 재생 버튼(19c)의 눌림에 의해 재생 모드로 바뀌는 경우에 종료된다.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 경우에,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하고,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04에 되돌아가서 그 처리를 다시 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자세A에 있는 경우의 단계S1002∼단계S1013에서는, 표시 범위b에서의 터치 조작은 접수되지 않는다.
다음에, 단계S102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상기 자세 검출부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자세B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자세B에 있다고 판정되는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22에 진행되고, 자세B에 있다고 판정되지 않는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41에 진행된다.
단계S102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14)를 온(유효)으로 해서 동작시킨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TFT(12)의 표시와, 백라이트의 발광을 온으로 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패널(13)에 대한 터치의 검출을 온으로 하고, 터치패널(13)을 동작시킨다. 여기에서는, 표시 범위b에서의 터치 조작도 검출할 수 있게 터치패널(13)에 대한 터치의 검출을 온으로 한다.
다음의 단계S102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TFT(12)에게, 도 9b를 참조하여 상술한 자세B에 있어서의 화면표시(표시B)를 행하게 한다.
그 이후의 단계S1024∼단계S1029의 처리는, 상기 단계S1004∼단계S1009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단계S1030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 오브젝트가 표시 범위a 또는 표시 범위b에 표시되든지에 상관없이 TFT(12)에 표시된 해당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던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그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조작이 있었다고 판정했을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31에 진행되고, 그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조작이 없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32에 진행된다.
단계S103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 조작에 따라 촬영 조건을 포함하는 각종 설정을 변경한다. 예를 들면, 표시 범위a에 표시된 셔터 스피드(Tv값)를 나타내는 표시 오브젝트(도 9a에 있어서의 "1/125"의 표시)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시스템 제어부(50)는 셔터 스피드를 변경한다. 시스템 제어부(50)는 표시 범위b에 조리개 값을 나타내는 표시 오브젝트 "F8.0"가 표시된 부분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조리개 값을 변경할 수도 있다.
그 이후의 단계S1032의 처리는, 전술한 단계S1012의 처리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단계S103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하고,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24에 돌아가서 상기 처리를 다시 시행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자세B에 있는 경우에 단계S1022∼단계S1033에서는, 표시 범위b에서의 터치 조작도 접수된다.
다음에, 단계S1041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자세 검출부로부터의 출력에 의거하여,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자세C에 있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자세C에 있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42에 진행되고,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자세C에 있지 않다고 판정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62에 진행된다.
단계S104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14)를 온(유효)으로 하여 동작시킨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TFT(12)의 표시와, 백라이트의 발광을 온으로 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터치패널(13)에 대한 터치의 검출을 온으로 하고, 터치패널(13)을 동작시킨다. 여기에서는, 표시 범위b에서의 터치 조작도 검출할 수 있게 터치패널(13)에 대한 터치의 검출을 온으로 한다.
다음의 단계S1043에서는, 시스템 제어부(50)는, TFT(12)에게, 도 9c를 참조하여 전술한 자세C에 있어서의 화면표시(표시C)를 행하게 한다.
그 이후의 단계S1044∼단계S1049의 처리는, 전술의 단계S1004∼단계S1009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그 이후의 단계S1050∼단계S1052의 처리는, 전술의 단계S1030∼단계S1032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어서, 단계S105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하고,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44에 돌아가서 그 처리를 다시 시행한다.
이어서, 단계S1062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접안 센서(14)를 오프(무효)로 한다. 또한, 시스템 제어부(50)는, TFT(12)의 표시, 백라이트의 발광, 및 터치패널(13)에 대한 터치의 검출을 오프로 한다. 그 이후의 단계S1068, 단계S1069, 및 단계S1072의 처리는, 단계S1008, 단계S1009, 및 단계S1012의 처리와 같으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단계S1073에 있어서,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할 것인가 아닌가를 판정한다.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한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하고, 메뉴얼 촬영 모드 처리를 종료하지 않는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시스템 제어부(50)는 단계S1068에 돌아가서, 그 처리를 다시 시행한다.
이때, 자세A에 있어서, 터치 조작을 접수하지 않는 표시 범위b에 복수의 촬영 조건을 나타내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표시될 경우에는, 터치패널(13)이외의 위치에 배치되고 각각의 표시 오브젝트들에 대응하는 조작부재에 대한 조작에 의해 그 표시 오브젝트들은 변경되어도 된다.
더욱이, 터치 조작을 접수하지 않는 표시 범위b에 표시된 복수의 촬영 조건을 나타내는 표시 오브젝트 중 어느 하나에 선택 프레임을 추가로 표시하여, 그 선택 프레임에서 선택된 표시 오브젝트가 나타낸 촬영 조건을 다이얼(803)의 조작에 의해 변경할 수 있다. 그 선택 프레임은, 예를 들면, 4방향 버튼(19b)의 조작에 의해 이동된다.
또한, 자세A로부터 자세B 혹은 자세C로 변화되고 난 후의 소정기간동안에, 자세A에 있어서 터치 조작할 수 없었고 자세B 또는 C에서 터치 조작 가능해진 표시 오브젝트를 강조해서 표시하거나, 그 표시 오브젝트가 터치 조작 가능해진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를 자세의 변화 후에 새롭게 표시하여도 된다. 이에 따라 터치 조작이 가능해진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표시 오브젝트를 강조해서 표시하는 방법의 예로서는, 해당하는 표시 오브젝트 자체의 색이나 배경부분의 색을 다른 표시 오브젝트와 다르게 해서 표시하거나, 그 해당 오브젝트를 점멸해서 표시하는 방법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4 실시예의 촬상장치로서의 카메라(40)에 의하면, 바리 앵글 표시부(801)의 위치에 따라,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터치 조작을 행하는 손가락의 접근을 눈의 접근이라고 오검지할 가능성이 있는 자세에 있는 경우에 TFT(12)의 표시 범위 중 접안 센서(14)에 가까운 위치에 터치 조작가능한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배치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터치 조작을 행하는 손가락의 접근을 눈의 접근이라고 오검지할 가능성이 있는 자세일 경우에도, 터치 조작을 행하는 손가락의 접근을 눈의 접근이라고 오검지해버릴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게다가, 바리 앵글 표시부(801)가, 터치 조작을 행하는 손가락의 접근을 눈의 접근이라고 오검지할 가능성이 낮은 위치에 있으면, TFT(12)의 표시 범위에 있어서 어느 위치에서도 터치 조작가능한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실시예들에 있어서는,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접안 센서(14)를 오프(무효)로 하기 때문에, 터치 조작을 행하는 손가락의 접근을 눈의 접근이라고 오검지해서 TFT(12)를 오프로 해버릴 가능성을 제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재생 모드에서는, 표시 오브젝트들이 표시 범위a 또는 표시 범위b에 표시되는지의 여부에 상관없이 터치 조작가능한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배치한다. 이 때, 표시 범위b에 표시된 터치 조작가능한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는, 촬영 모드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기능을 할당한 표시 오브젝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하면, 재생 모드시의 습관의 힘으로 촬영 모드시에도, 표시 범위b에 표시된 표시 오브젝트를 터치하려고 해서 손가락이 접안 센서(14)에 접근할 가능성을 저감할 수 있다.
이때, 상기의 실시예들에서는, 접안 센서(14)가 도 1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TFT(12)의 상부의 다소 우측에 배치되었지만, 접안 센서는 뷰파인더를 통해 보려고 하는 사용자의 눈의 접근을 검지할 수 있으면 다른 장소에 배치해도 좋다. 이 경우에도, 터치 됨으로써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는, 터치되는 경우에도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지 않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도, TFT(12)(터치패널(13))의 표시면의 접안 센서로부터 먼 위치에 있다.
게다가, 예를 들면,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는, 이후 설명된 수법에서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와 시각적으로 다르게 한다. 즉,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도 낮은 채도(옅은 색)로 표시될 수 있다.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하여 명도가 다른 (밝은 또는 어두운) 표시로 할 수 있다.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는 유채색(컬러)으로 표시하고,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는 무채색(흑백 또는 그레이)으로 표시한다.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그 배경에 대하여 마치 돌출해서 보이는 것처럼 표시할 수 있고,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도 적게 돌출하는 것처럼 보이도록, 혹은 전혀 돌출하지 않는 것처럼 표시할 수 있거나,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마치 오목한 것처럼 보이도록 표시할 수 있다.
전술한 표시 형태에 의해,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는 터치 조작 가능하지만,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는 터치 조작불가능한 것을 사용자에게 인식시킬 수 있다. 조작 금지를 나타내는 표시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 위에 중첩시키거나, 또는 그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의 근방과 이 오브젝트에 병렬로 하여도 된다.
이때, 시스템 제어부(50)의 제어는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행해도 되거나, 복수의 하드웨어에 의해 공유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예들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을 디지털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에 적용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은 아이피스(eyepiece) 파인더(광학 뷰파인더 또는 EVF파인더)와, 그 뷰파인더를 통해 보는 눈의 접근을 검지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한 어떠한 촬상장치에도 적용되어도 된다. 즉, 본 발명은 미러없는 디지털 일안 레플렉스 카메라, 뷰파인더를 갖는 컴팩트 디지털 카메라, 디지털 비디오카메라, 카메라 장착 PDA, 카메라 장착 휴대전화장치, 카메라 장착 음악 플레이어, 카메라 장착 게임기, 카메라 장착 전자 북 리더등에 적용되어도 된다.
게다가, 정보표시장치는, TFT액정표시장치에 한하지 않고, 유기 EL디스플레이,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플라즈마 디스플레이등을 사용해도 된다.
(기타 실시예들)
또한, 본 발명의 국면들은,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시스템 또는 장치(또는 CPU 또는 MPU 등의 디바이스들)의 컴퓨터에 의해서, 또한, 시스템 또는 장치의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 단계들, 예를 들면, 메모리 디바이스에 기록된 프로그램을 판독 및 실행하여 상기 실시예(들)의 기능들을 수행하는 방법에 의해, 실현될 수도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프로그램은, 예를 들면, 네트워크를 통해 또는, 여러 가지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의 기록매체(예를 들면,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로부터, 상기 컴퓨터에 제공된다.
본 발명을 예시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기재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개시된 예시적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는 것을 알 것이다. 아래의 청구항의 범위는, 모든 변형, 동등한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아주 넓게 해석해야 한다.
본 출원은, 여기서 전체적으로 참고로 포함된 2010년 4월 8일에 출원된 일본국 특허출원번호 2010-089409의 이점을 청구한다.

Claims (27)

  1. 아이피스(eyepiece)를 갖는 파인더;
    상기 아이피스에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접근 검지부;
    터치패널식의 표시부;
    상기 접근 검지부가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상기 표시부의 발광 휘도를 저감시키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소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접근 검지부에서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따라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터치되는 경우에도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지 않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도,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에 상기 접근 검지부로부터 먼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 중 임의의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면,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부;
    상기 접근 검지부가 구비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표시부를 갖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에 의거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이 시인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닫힌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된 정보를,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경우에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
  2. 아이피스(eyepiece)를 갖는 파인더;
    상기 아이피스에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접근 검지부;
    터치패널식의 표시부;
    상기 접근 검지부가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상기 표시부의 발광 휘도를 저감시키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소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접근 검지부에서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따라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터치되는 경우에도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지 않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도,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에 상기 접근 검지부로부터 먼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 중 임의의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면,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부;
    상기 접근 검지부가 구비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표시부가 구비된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를 구비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에 의거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이 시인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닫힌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하여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지 않는 한편,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경우에는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촬상장치.
  3. 아이피스(eyepiece)를 갖는 파인더;
    상기 아이피스에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접근 검지부;
    터치패널식의 표시부;
    상기 접근 검지부가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상기 표시부의 발광 휘도를 저감시키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소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접근 검지부에서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따라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터치되는 경우에도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지 않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도,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에 상기 접근 검지부로부터 먼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 및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 중 임의의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면,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부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표시 형태와 다른 표시 형태로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마치 해당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의 배경으로부터 돌출한 것처럼 보이게 하고,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 돌출 정도가 적게 보이게 하거나, 혹은 전혀 돌출되지 않게 하거나, 혹은 마치 오목한 것처럼 보이게 하는, 촬상장치.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검지부에 의해 상기 물체가 검지되었을 경우, 상기 표시부에 대한 터치 조작을 무효로 하도록 제어하는 입력 제어부를 더 구비한, 촬상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검지부를 선택적으로 유효 또는 무효로 바꾸는 접근 검지 전환부를 더 구비한, 촬상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촬영 모드에서, 상기 접근 검지 전환부는 상기 접근 검지부를 유효하게 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접근 검지부에 의해 상기 물체가 접근하는 것이 검지되지 않은 경우,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 및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접근 검지부에 의해 상기 물체가 접근하는 것이 검지되었을 경우, 상기 표시부의 발광 휘도를 저감시키거나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소등시키는, 촬상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촬영 모드이외의 모드에서, 상기 접근 검지 전환부는, 상기 접근 검지부를 무효로 바꾸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접근 검지부로부터의 거리에 상관 없이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는, 촬상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셔터 스피드 우선 모드시의 조리개 값을 나타내는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조리개 우선 모드시의 셔터 스피드 값을 나타내는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프로그램 모드시의 셔터 스피드 값 및 조리개 값을,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
  11.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표시 형태와 다른 표시 형태로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색농도, 명도 및 색과 다른 색농도, 명도 및 색 중 적어도 하나로 상기 표시부에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하여 네가티브-포지티브 반전 형태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마치 해당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의 배경으로부터 돌출한 것처럼 보이게 하고,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 돌출 정도가 적게 보이게 하거나, 혹은 전혀 돌출되지 않게 하거나, 혹은 마치 오목한 것처럼 보이게 하는, 촬상장치.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에 표시되는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의 표시 범위에는 터치 조작을 할 수 없는 것을 나타내는 가이던스(guidance)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
  1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검지부가 구비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표시부를 갖는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부는,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에 의거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이 시인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닫힌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된 정보를,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경우에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
  17.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근 검지부가 구비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표시부가 구비된 제2 하우징;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실행부는,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에 의거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이 시인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닫힌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하여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지 않는 한편,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경우에는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촬상장치.
  1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에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표시 범위에서는, 터치 조작의 검출을 행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터치 검출 제어부를 더 구비한, 촬상장치.
  1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제어부는, 재생 모드시에, 상기 접근 검지부로부터의 거리에 상관 없이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에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고, 또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에, 촬영 모드에 있어서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하는 표시 범위에는, 상기 촬영 모드에서 사용하지 않는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표시시키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
  2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 및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는 상기 촬상장치에 대해 설정된 촬영조건을 나타내는 표시 오브젝트인, 촬상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패널식의 표시부와는 다르고,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나타내는 촬영 조건의 설정 값을 변경하는 조작을 접수하는 조작부재를 더 구비한, 촬상장치.
  22. 아이피스(eyepiece)를 갖는 파인더와, 상기 아이피스에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접근 검지부와, 터치패널식의 표시부와, 상기 접근 검지부가 구비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표시부를 갖는 제2 하우징과,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를 구비한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접근 검지부가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상기 표시부의 발광 휘도를 저감시키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소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
    상기 접근 검지부에서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따라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터치되는 경우에도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지 않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도,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에 상기 접근 검지부로부터 먼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단계; 및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 중 임의의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면,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단계는,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에 의거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이 시인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닫힌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된 정보를,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경우에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로서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23. 청구항 22에 따른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을 촬상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24. 아이피스(eyepiece)를 갖는 파인더와, 상기 아이피스에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접근 검지부와, 터치패널식의 표시부와, 상기 접근 검지부가 구비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표시부를 갖는 제2 하우징과,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를 구비한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접근 검지부가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상기 표시부의 발광 휘도를 저감시키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소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
    상기 접근 검지부에서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따라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터치되는 경우에도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지 않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도,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에 상기 접근 검지부로부터 먼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단계; 및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 중 임의의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면,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실행단계는, 상기 자세 검출부에 의해 검출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에 의거하여,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이 시인 가능하게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닫힌 경우에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하여 터치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도,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지 않는 한편, 상기 제2 하우징이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열린 경우에는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 조작에 따라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25. 청구항 24에 따른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을 촬상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26. 아이피스(eyepiece)를 갖는 파인더와, 상기 아이피스에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는 접근 검지부와, 터치패널식의 표시부와, 상기 접근 검지부가 구비된 제1 하우징과,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게 부착되고 상기 표시부를 갖는 제2 하우징과, 및 상기 제1 하우징에 대한 상기 제2 하우징의 자세를 검출하는 자세 검출부를 구비한 촬상장치의 제어방법으로서,
    상기 접근 검지부가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면, 상기 표시부의 발광 휘도를 저감시키거나 또는 상기 표시부의 표시를 소등시키도록 제어하는 제어단계;
    상기 접근 검지부에서 물체가 접근한 것을 검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터치 조작에 따라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는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터치되는 경우에도 할당된 기능들을 실행하지 않는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도, 상기 표시부의 표시면에 상기 접근 검지부로부터 먼 위치에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단계; 및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 중 임의의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대한 터치가 검출되면,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에 할당된 기능을 실행하는 실행단계를 구비하고,
    상기 표시 제어단계는,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가 표시되는 표시 형태와 다른 표시 형태로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제어하고,
    상기 표시 제어단계는,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마치 해당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의 배경으로부터 돌출한 것처럼 보이게 하고, 상기 제2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를, 상기 제1 종별의 표시 오브젝트보다 돌출 정도가 적게 보이게 하거나, 혹은 전혀 돌출되지 않게 하거나, 혹은 마치 오목한 것처럼 보이게 하는, 촬상장치의 제어방법.
  27. 청구항 26에 따른 촬상장치의 제어 방법을 촬상장치에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격납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억매체.
KR1020110032482A 2010-04-08 2011-04-08 뷰파인더를 통해서 관찰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KR1013715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0-089409 2010-04-08
JP2010089409 2010-04-08
JP2011080212A JP5717510B2 (ja) 2010-04-08 2011-03-31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JP-P-2011-080212 2011-03-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113150A KR20110113150A (ko) 2011-10-14
KR101371599B1 true KR101371599B1 (ko) 2014-03-07

Family

ID=44746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32482A KR101371599B1 (ko) 2010-04-08 2011-04-08 뷰파인더를 통해서 관찰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547468B2 (ko)
JP (1) JP5717510B2 (ko)
KR (1) KR101371599B1 (ko)
CN (1) CN10221534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09714S1 (en) * 2007-03-22 2010-02-09 Fujifilm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JP2012032852A (ja) * 2010-07-28 2012-02-16 Sony Corp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3105272A (ja) * 2011-11-11 2013-05-30 Canon Inc 表示制御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5893359B2 (ja) * 2011-11-22 2016-03-23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影装置
JP2013174637A (ja) * 2012-02-23 2013-09-05 Nikon Corp 撮像装置
JP5907617B2 (ja) 2012-03-26 2016-04-26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JP5970937B2 (ja) * 2012-04-25 2016-08-17 ソニー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および表示制御方法
WO2014002659A1 (ja) * 2012-06-29 2014-01-0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3182125U (ja) * 2012-12-26 2013-03-07 オリンパス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影装置
JP6314645B2 (ja) 2014-05-08 2018-04-25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2254703B1 (ko) * 2014-09-05 2021-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촬영 방법
JP6390416B2 (ja) * 2014-12-24 2018-09-19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表示装置、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6436802B2 (ja) * 2015-01-30 2018-12-12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6548408B2 (ja) * 2015-02-27 2019-07-2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KR102400998B1 (ko) * 2015-07-15 2022-05-23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제스쳐를 이용하여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 및 촬영 장치.
WO2017085983A1 (ja) * 2015-11-17 2017-05-26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6742730B2 (ja) * 2016-01-05 2020-08-1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WO2017130698A1 (ja) * 2016-01-28 2017-08-03 日立マクセル株式会社 撮像装置
JP6091677B2 (ja) * 2016-03-15 2017-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DE112017003186B4 (de) * 2016-06-27 2020-06-25 Fujifilm Corporation Kamera und einstellverfahren für die kamera
JP2018013745A (ja) * 2016-07-23 2018-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360112B2 (ja) * 2016-07-27 2018-07-18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EP3919969A1 (en) * 2016-09-22 2021-12-08 Essilor International Health monitoring device and wearing detection module for spectacles frame
JP6881964B2 (ja) * 2016-12-14 2021-06-0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及び撮像装置
US10873695B2 (en) * 2016-12-27 2020-12-22 Canon Kabushiki Kaisha Display control apparatus,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6757268B2 (ja) * 2017-01-30 2020-09-1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7023621B2 (ja) * 2017-06-05 2022-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6910870B2 (ja) 2017-07-03 2021-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09096B2 (ja) * 2017-07-06 2022-01-25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210306569A1 (en) * 2018-03-28 2021-09-30 Sony Corporation Imaging apparatus, notification control method in imag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JP6676807B2 (ja) * 2018-06-29 2020-04-08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2020009413A (ja) * 2018-06-29 2020-01-16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JP7321786B2 (ja) * 2019-06-17 2023-08-07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
CN114600068A (zh) 2019-10-21 2022-06-07 富士胶片株式会社 电子设备、摄像装置、电子设备的动作方法及摄像装置的动作方法
JP7377088B2 (ja) * 2019-12-10 2023-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およ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JP2021069129A (ja) * 2021-01-20 2021-04-30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撮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532A (ko) * 2006-02-15 2007-08-2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표시장치를 구비한 촬상장치 및 표시장치에 대한표시제어방법
JP2009260681A (ja) * 2008-04-17 2009-11-05 Canon Inc 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22852A (ja) * 1994-10-19 1996-05-17 Canon Inc カメラ
JP4264574B2 (ja) * 1999-08-12 2009-05-20 ソニー株式会社 制御装置及び制御装置における制御方法
JP2001059984A (ja) 1999-08-23 2001-03-06 Olympus Optical Co Ltd カメラ
JP2004104594A (ja) * 2002-09-11 2004-04-02 Toshiba Corp デジタルスチルカメラ及びユーザ指示入力方法
JP4241007B2 (ja) * 2002-11-12 2009-03-1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憶媒体
JP4635477B2 (ja) * 2003-06-10 2011-02-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撮影装置、擬似3次元画像生成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058011B1 (ko) * 2004-10-01 2011-08-19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디지털 카메라 조작 방법
JP4510713B2 (ja) 2005-07-21 2010-07-28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デジタルカメラ
JP4785536B2 (ja) 2006-01-06 2011-10-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4845832B2 (ja) * 2007-08-07 2011-12-2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制御方法
JP5153354B2 (ja) * 2008-01-22 2013-02-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201109B2 (en) * 2008-03-04 2012-06-12 Apple Inc.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editing on a portable multifunction device
US8302015B2 (en) * 2008-09-04 2012-10-30 Qualcomm Incorporated Integrated display and management of data objects based on social, temporal and spatial parameters
JP5228858B2 (ja) * 2008-12-03 2013-07-0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装置
JP5137802B2 (ja) * 2008-12-05 2013-02-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82532A (ko) * 2006-02-15 2007-08-21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표시장치를 구비한 촬상장치 및 표시장치에 대한표시제어방법
JP2009260681A (ja) * 2008-04-17 2009-11-05 Canon Inc 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10249165A1 (en) 2011-10-13
KR20110113150A (ko) 2011-10-14
CN102215344B (zh) 2013-12-25
US8547468B2 (en) 2013-10-01
CN102215344A (zh) 2011-10-12
JP5717510B2 (ja) 2015-05-13
JP2011232741A (ja) 2011-11-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1599B1 (ko) 뷰파인더를 통해서 관찰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상장치, 그 제어 방법, 및 기억매체
US10623647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hanging a setting based on a touch operation on a display
CN112653838B (zh) 显示控制设备及其控制方法和存储介质
US9778767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of display control apparatus
KR102078063B1 (ko) 전자기기 및 그 제어 방법
JP6397454B2 (ja) 撮像制御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20210058562A1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US11240419B2 (en) Electronic device that can execut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line of sight of user,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US20210302804A1 (en) Image capture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JP2019016299A (ja) 異なる面に配置された操作部材を有する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憶媒体
US20230018866A1 (en) Electronic device that displays a plurality of display items on a display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JP2018125802A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11526208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US11496667B2 (en) Electronic apparatus,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JP2014067316A (ja) 表示制御装置
JP6708516B2 (ja) 電子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20021174A (ja) 電子機器、その制御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US11418715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JP2019054368A (ja) 電子機器
JP7451255B2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JP6855317B2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US20210037189A1 (en) Electronic device for receiving line of sight input,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7034601B2 (ja) 撮像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21068155A (ja) 電子機器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