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71251B1 - 액티브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액티브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71251B1
KR101371251B1 KR1020120131449A KR20120131449A KR101371251B1 KR 101371251 B1 KR101371251 B1 KR 101371251B1 KR 1020120131449 A KR1020120131449 A KR 1020120131449A KR 20120131449 A KR20120131449 A KR 20120131449A KR 101371251 B1 KR101371251 B1 KR 1013712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link
assembly
active headres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314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성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314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12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12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12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7/00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chairs or stools
    • A47C7/36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 A47C7/38Support for the head or the back for the head

Landscapes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구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트 백 프레임 어셈블리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무빙 와이어 브라켓; 상기 무빙 와이어 브라켓의 이송 가이드홈에서 이송가능하게 놓여진 무빙 와이어; 상기 무빙 와이어가 이송되면 무빙 와이어에 의하여 이송 가능한 와이어 브라켓 및 상기 와이어 브라켓의 단부에 연결된 하부 와이어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블 조립체; 상기 하부 케이블 조립체의 하부 와이어 브라켓이 이송하면 회전하는 헤드레스트 스토퍼를 포함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구조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액티브 헤드레스트{ACTIVE HEADREST}
본 발명은 액티브 헤드레스트 구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부품 수를 축소하고 작동의 정확성을 가져오도록 한 액티브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충돌 사고 등에 의해 차량에 강한 충격이 가해졌을 때 탑승자의 머리 및 목 부분을 보호하기 위해 헤드레스트가 자동으로 상승하여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는 헤드레스트를 총칭한다.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차량의 후방 또는 전방에 강한 충격이 가해져 탑승자의 머리가 뒤로 젖혀지면서 머리 및 목 부분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와 연동하여 작동되며, 전방 및 상측 방향으로 이동하여 탑승자의 머리와 목 부분을 지지한다.
종래의 액티브 헤드레스트는 도 1와 같이 시트백 상부에 전후로 이동시키는 케리어를 포함한 헤드레스트를 설치하고 시트백 하부에 후방 추돌시 탑승자의 하중을 받는 링크 조합체를 설치하여 케이블로 연결해 작동하는 엑티브 헤드레스트로서 링크 조합체의 구조가 복잡하고, 후방추돌 외 일반 충격(사람의 힘에 의한 충격)에도 헤드레스트가 작동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은 액티드 헤드레스트를 구성하는 부품수를 줄여 제작비를 감소하고 고장의 우려를 감소 하였으며 후방 추돌 외 일반충격(예, 사람의 힘에 의한 충격)시에는 헤드레스트가 작동되어지지 않도록 구조를 세분화하여 작동정확성을 높이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구조는 시트 백 프레임 어셈블리(1)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무빙 와이어 브라켓(3); 상기 무빙 와이어 브라켓(3)의 이송 가이드홈(3A)에서 이송가능하게 놓여진 무빙 와이어(4); 상기 무빙 와이어(4)가 이송되면 무빙 와이어(4)에 의하여 이송 가능한 와이어 브라켓(8b) 및 상기 와이어 브라켓(8b)의 단부에 연결된 하부 와이어(8a)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블 조립체(8); 상기 하부 와이어(8a)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브라켓(8b)이 이송되면 함께 이송되는 상부 와이어(9a)를 구비한 상부 케이블 조립체(9); 및 상기 상부 와이어(9a)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와이어(9a)가 이송됨에 따라 회전되는 헤드레스트 스토퍼(15);를 포함한다.
삭제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무빙 와이어(4)는 외부의 충격량과 이송되는 거리가 비례하도록 무빙 와이어 브라켓(3)의 이송 가이드 홈(3A)에서 이송되도록 장착되어, 일정량 이상의 외부 충격량이 작용할 때만 무빙 와이어(4)가 와이어 브라켓(8b)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트 백 프레임 어셈블리(1)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리턴 스프링(6)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장착된 리턴 스프링(6)에 의해 무빙 와이어(4)의 단부가 당겨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 케이블 조립체(9) 및 하부 케이블 조립체(8)를 연결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연결 장치(1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작동 연결장치(10)는 헤드레스트 작동 연결장치 마운팅 브라켓(11)에 연결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11)은 상기 시트 백 프레임 조립체(1)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서포트 와이어(13)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케이블 조립체(9)의 상부 와이어(9a)의 단부에 연결된 액티브 헤드레스트 스토퍼(15)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15)는 상부 와이어(9a)가 하부로 당겨지면 회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가이드 홈(25c)를 포함하는 상부 링크 조립체(25), 상기 가이드 홈(25c)에서 이송가능한 중앙 링크(26a)를 포함하는 하부 링크 조립체(26) 및 상기 하부 링크 조립체의 중앙 링크(26a)에 미는 힘을 작용하는 액티브 스프링(27)을 추가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액티브 헤드레스트 스토퍼(15)가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15)의 하부의 홈(15a)에 고정된 하부 링크 조립체(26)의 중앙 링크(26a)가 해제되어 상부 링크 조립체(25)의 가이드 홈(25c)에서 이송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부 링크 조립체(25)는 하부에 회전축 링크(25a) 및 상부 링크(25b)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링크 조립체(26)는 하부 링크(26b)를 포함하며,상기 하부 링크 조립체(26)의 중앙 링크(26a)가 상부 링크 조립체(25)의 가이드 홈(25c)에서 이송되면, 상기 회전축 링크(25a)가 회전하여 상기 상부 링크(25b)와 상기 하부 링크(26b)가 전방으로 전진하여 액티브 헤드레스트(2)의 전방 커버(22)를 전방으로 전진시킨다.
본 발명은 차량 추돌시에 발생할 수 있는 목상해 방지를 위한 헤드레스트를 전방 돌출시키기 위한 장치로서 차량의 후방추돌과 함께 승객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하였으며, 기존의 방식보다 부품 수의 축소 및 작동의 정확성 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의 충격 하중에 의해 액티브 헤드레스트가 작동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추돌사고 발생시 작동부가 전방 상향으로 돌출되어 승객의 머리를 받쳐줌으로서 승객의 목이 젖쳐짐을 방지하고 목부상을 방지 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힘에 의한 일반 충격에는 액티브 헤드레스트가 작동하지 않으며, 후방 추돌에 의한 인체의 충격하중에만 작동하도록 하였다. 또한,전개 후에 다시 원위치로 복원이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도 1은 본 발명의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작동전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시트 백 프레임 조립체와 액티브 헤드레스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a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b는 후방 추돌시의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c는 작동외력 이하의 힘이 무빙 와이어에 가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상부 케이블 조립체와 하부 케이블 조립체을 연결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연결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작동 전후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5의 액티브 헤드레스트가 작동하는 상태를 보다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형태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인체의 충격하중에 의해 액티브 헤드레스트(2)의 락킹장치가 풀리도록 하기 위하여 시트백(1)에 무빙 와이어(4)와 와이어 브라켓(3)을 장착하여 승객의 충격에 의해 무빙 와이어(4)가 뒤로 밀리도록 하였으며, 그와 동시에 케이블 조립체(8,9)의 와이어가 당겨지면서 헤드레스트(2)에 있는 스토퍼(15)의 락킹이 해제되어 액티브 헤드레스트(2)가 작동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 2 내지 7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구조를 구비하고 있는 시트 백 프레임 조립체(1)와 액티브 헤드레스트(2)를 도시하고 있다.
차량 후방 추돌시에는 인체의 몸통 하중은 후방으로 힘을 가하게 되는데 이러한 힘에 의하여 뒤로 움직이는 무빙 와이어(4)가 무빙 와이어 브라켓(3)에서 이송되도록 시트 백 프레임 조립체(1)에 장착되어 있다.
도 3a는 도 2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무빙 와이어(4)가 무빙 와이어 브라켓(3)에 평상시 장착된 상태를 보여준다.
무빙 와이어(4)의 단부는 무빙 와이어 브라켓(3)의 이송 가이드부(3A)에서 이송가능하게 연결되고, 시트 브라켓 프레임 조립체(1)에 장착된 스프링(6)은 무빙 와이어(4)를 이송 가이드부(3A)의 한쪽 단부 (3a)에 위치하도록 당기고 있다.
도 3b는 후방 추돌시의 상태를 보여주며, 후방 추돌시 인체가 무빙 와이어(4)에 가하는 힘은 무빙와이어(4)가 무빙 와이어 브라켓(3)의 이송가이드부(3A)의 단부(3c)로 이송되도록 하고, 이송된 무빙 와이어(4)는 하부 와이어 조립체(8)의 하부 와이어(8a)에 연결된 와이어 브라켓(8b)를 이송하게 하여 이와 연결된 상기 하부 와이어(8a)가 하부로 당겨진다.
하부 와이어(8a)가 당겨지면, 이와 연결된 상부 와이어 조립체(9)의 상부 와이어(9a)가 하부로 당겨지고 헤드레스트 스토퍼(15)가 뒤로 젖혀서 액티브 헤드레스트(2)가 작동되도록 한다.
도 3c는 후방 추돌이 아닌 일반적인 사람의 힘이 무빙 와이어(4)에 가해지는 상태를 보여주는 것으로 액티브 헤드레스트(2) 작동할 필요가 없는 힘이 가해지는 경우이다.
도 3c와 같이 액티브 헤드레스트(2)가 작동할 필요가 없는 힘이 무빙 와이어(4)에 가해지는 경우에는 리턴 스프링(6)에 의해 당겨지는 힘에 의하여 무빙 와이어(4)는 이송 가이드부(3A)의 중간 부분(3b)까지만 이송하게 된다.
상기 중간 부분(3b)까지 이송된 무빙 와이어(4)는 하부 케이블 조립체(8)의 하부 와이어(8a)의 단부에 연결된 와이어 브라켓(8b)과는 접촉하지 않거나 접촉하여도 상기 와이어 브라켓(8b)의 위치를 변경하지 않는 상태여서, 하부 와이어(8a)에는 변화가 없고 액티브 헤드레스트(2)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시트 백 프레임 조립체(1)에 장착된 리턴 스프링(6)은 무빙 와이어(4)의 단부 영역에 연결되어 무빙 와이어(4)를 적절한 힘으로 당기어, 일반 충격에는 무빙 와이어(4)가 와이어 브라켓(8b)의 위치를 변경시키지 않고(도 3C), 후방 추돌시와 같이 강한 충격이 발생하였을 때, 무빙 와이어(4)가 와이어 브라켓(8b)의 위치를 변경하여 와이어 브라켓(8b)에 연결된 하부 케이블 조립체(8)의 하부 와이어(8a) 및 상부 케이블 조립체(9)의 상부 와이어(9a)를 하부로 당겨서 액티브 헤드레스트(2)를 작동시킨다 (도 3B).
도 4는 상부 케이블 조립체(9)와 하부 케이블 조립체(8)을 연결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연결장치(10)를 보여주며, 상기 작동연결장치(10)는 헤드레스트 작동 연결장치 마운팅 브라켓(11)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마운팅 브라켓(11)은 도 1에 도시된 것과 같이 서포트 와이어(13)에 고정되어 있다.
도 4를 보면 좌측의 도면이 액티브 헤드레스트(2)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이고, 우측 도면이 액티브 헤드레스트(2)가 작동된 상태를 도시한 것으로 상부 케이블 조립체(9)의 상부 와이어(9a)가 당겨진 상태를 보여준다.
도 5의 좌측 도면은 액티브 헤드레스트(2)가 작동되기 전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고 우측 도면은 작동 후의 상태를 보여주는 것이다. 작동 후의 상태에서는 상부 와이어(9a)가 하부로 당겨지고, 헤드레스트 스토퍼(15)가 회전하여 액티브 헤드레스트(2)의 전방 커버(22)가 앞으로 전진하여 후방 추돌시 뒤로 젖혀지는 탑승자의 목을 지지하여 충격을 완화시키는 작용을 한다.
도 6은 도 5의 액티브 헤드레스트(2)가 작동하는 상태를 보다 세부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도 6에는 상부 링크 조립체(25)의 하부의 회전축 링크(25a)가 액티브 헤드레스트(2)의 중앙 커버(3)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상부 링크(25b)가 액티브 헤드레스트(2)의 전방 커버(22)와 연결되어 액티브 헤드레스트(2)의 작동 상태(도 5의 우측 상태 및 도 6의 우측 상태)에서 상부 링크(25b)가 전방 커버(22)를 전방으로 전진하도록 한다.
또한, 좌측의 작동 상태 전의 하부 링크 조립체(26)의 중앙 링크(26a)는 스토퍼(15)의 하부의 홈(15a)의해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상태이나, 우측의 작동 상태에서는 도 5의 상부 케이블 조립체(9)의 상부 와이어(9a)에 의해 아래로 당겨진 스토퍼(15)가 회전하면서 스토퍼의 하부 홈(15a)의 위치가 변경되어 중앙 링크(26a)는 스토퍼(15)로부터 해방되고 스프링(27)이 하부 링크 조립체(26)의 중앙 링크(26a)를 밀어 중앙 링크의 양쪽 단부쪽 영역(26aa)은 상부 링크 조립체(25)의 측면 가이드 홈(25c)에서 상부로 움직이며 하부 링크 조립체(26)의 하부 링크(26b)가 앞으로 전진한다.
또한, 스프링(27)이 중앙 링크(26a)가 상부 링크 조립체(25)의 가이드 홈(25c)에서 상부로 움직이도록 중앙 링크(26a)에 힘을 가하면, 상부 링크 조립체(25)는 하부의 회전축 링크(25)를 중심으로 회전하며 상부 링크(25b)가 전방으로 전진하며 이와 연결된 전방 커버(22)를 전방으로 전진시킨다.
이와 같이, 상부 케이블 조립체(9)의 상부 와이어(9a)에 의해 스토퍼(15)가 아래로 당겨지면서 회전하면 하부 링크 조립체(26)의 중앙 링크(26a)가 스토퍼(15)로부터 해방되고 스프링(27)의 힘에 의해 중앙 링크(26a)가 상부 링크 조립체(25)의 가이트 홈(25c)에서 위로 이송되며 하부 링크 조립체(26)의 하부 링크(26b)와 상부 링크 조립체(25)의 상부 링크(25b)가 전방으로 전진하여 도 5의 우측 도면과 같이 전방 커버가 앞으로 전진하며 후방 추돌시 뒤로 젖혀지는 목을 지지하여 충격을 완화시킨다.
또한, 본 발명의 액티브 헤드레스트(2)가 작동된 후, 상부 링크 조립체(25)와 하부 링크 조립체(26)를 원래 상태 (도 6의 좌측 상태)와 같이 배치한 후, 회전된 스토퍼(15)를 원래 상태(도 6의 좌측 상태)로 회전시켜 하부 링크 조립체(26)의 중앙 링크(26)가 스토퍼(15)의 하부 홈(15a)에 고정되도록 하면, 간단하게 원래의 상태로 복구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인체의 충격 하중에 의해 액티브 헤드레스트가 작동되는 간단한 구조를 가지면서, 추돌사고 발생시 작동부가 전방 상향으로 돌출되어 승객의 머리를 받쳐줌으로서 승객의 목이 젖쳐짐을 방지하여 목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람의 힘에 의한 일반 충격에는 액티브 헤드레스트가 작동하지 않으며 후방 추돌에 의한 인체의 충격하중에만 작동하도록 하였으며, 전개 후에 다시 원위치로 복원이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1 : 시트 백 프레임 조립체 2 : 액티브 헤드레스트
3 : 우측 하부의 무빙 와이어 브라켓 4 : 무빙 와이어
5 : 하부 케이블 마운팅 브라켓 6 : 리턴 스프링
7 : 헤드레스트 스테이 8 : 하부 케이블 조립체
9 : 상부 케이블 조립체
10 :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연결장치
11 : 헤드레스트 작동연결장치 마운팅 브라켓
12 : 우측 하부 폴 가이드
13, 14 : 서포트 와이어 15 : 헤드레스트 스토퍼
21 : 헤드레스트 스테이 22 : 전방 커버
23 : 중앙 커버 24 : 후방 커버
25 : 상부 링크 조립체 26 : 하부 링크 조립체
27 : 액티브 스프링 28 : 헤드레스트 스토퍼
29 : 상부 케이블 조립체 30 : 폴 가이드

Claims (9)

  1. 시트 백 프레임 어셈블리(1)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무빙 와이어 브라켓(3);
    상기 무빙 와이어 브라켓(3)의 이송 가이드홈(3A)에서 이송가능하게 놓여진 무빙 와이어(4);
    상기 무빙 와이어(4)가 이송되면 무빙 와이어(4)에 의하여 이송 가능한 와이어 브라켓(8b) 및 상기 와이어 브라켓(8b)의 단부에 연결된 하부 와이어(8a)를 포함하는 하부 케이블 조립체(8);
    상기 하부 와이어(8a)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 브라켓(8b)이 이송되면 함께 이송되는 상부 와이어(9a)를 구비한 상부 케이블 조립체(9); 및
    상기 상부 와이어(9a)에 연결되어 상기 상부 와이어(9a)가 이송됨에 따라 회전되는 헤드레스트 스토퍼(15);를 포함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구조.
  2. 삭제
  3.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빙 와이어(4)는 외부의 충격량과 이송되는 거리가 비례하도록 무빙 와이어 브라켓(3)의 이송 가이드 홈(3A)에서 이송되도록 장착되어, 일정량 이상의 외부 충격량이 작용할 때만 무빙 와이어(4)가 와이어 브라켓(8b)을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구조.
  4. 청구항 제3항에 있어서,
    시트 백 프레임 어셈블리(1)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리턴 스프링(6)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장착된 리턴 스프링(6)에 의해 무빙 와이어(4)의 단부가 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구조.
  5. 청구항 제1항에 있어서,
    상부 케이블 조립체(9) 및 하부 케이블 조립체(8)를 연결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연결 장치(10)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작동 연결장치(10)는 헤드레스트 작동 연결장치 마운팅 브라켓(11)에 연결되고, 상기 마운팅 브라켓(11)은 상기 시트 백 프레임 조립체(1)에 고정적으로 장착된 서포트 와이어(13)에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구조.
  6. 청구항 제1항, 제3항, 제4항 또는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블 조립체(9)의 상부 와이어(9a)의 단부에 연결된 액티브 헤드레스트 스토퍼(15)를 포함하고,
    상기 스토퍼(15)는 상부 와이어(9a)가 하부로 당겨지면 회전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구조.
  7. 청구항 제6항에 있어서,
    가이드 홈(25c)를 포함하는 상부 링크 조립체(25), 상기 가이드 홈(25c)에서 이송가능한 중앙 링크(26a)를 포함하는 하부 링크 조립체(26) 및 상기 하부 링크 조립체의 중앙 링크(26a)에 미는 힘을 작용하는 액티브 스프링(27)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구조.
  8. 청구항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액티브 헤드레스트 스토퍼(15)가 회전하면 상기 스토퍼(15)의 하부의 홈(15a)에 고정된 하부 링크 조립체(26)의 중앙 링크(26a)가 해제되어 상부 링크 조립체(25)의 가이드 홈(25c)에서 이송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구조.
  9. 청구항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링크 조립체(25)는 하부에 회전축 링크(25a) 및 상부 링크(25b)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링크 조립체(26)는 하부 링크(26b)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링크 조립체(26)의 중앙 링크(26a)가 상부 링크 조립체(25)의 가이드 홈(25c)에서 이송되면, 상기 회전축 링크(25a)가 회전하여 상기 상부 링크(25b)와 상기 하부 링크(26b)가 전방으로 전진하여 액티브 헤드레스트(2)의 전방 커버(22)를 전방으로 전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티브 헤드레스트 작동 구조.
KR1020120131449A 2012-11-20 2012-11-20 액티브 헤드레스트 KR1013712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449A KR101371251B1 (ko) 2012-11-20 2012-11-20 액티브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31449A KR101371251B1 (ko) 2012-11-20 2012-11-20 액티브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1251B1 true KR101371251B1 (ko) 2014-03-07

Family

ID=50647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31449A KR101371251B1 (ko) 2012-11-20 2012-11-20 액티브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125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489A (ja) * 1997-04-30 1998-11-10 Tachi S Co Ltd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のリバウンド抑制方法および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JP2008006911A (ja) * 2006-06-28 2008-01-17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20080014257A (ko) * 2006-08-10 2008-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성능 개선 구조
KR101010898B1 (ko) * 2008-04-21 2011-01-25 정해일 충격반응형 시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5489A (ja) * 1997-04-30 1998-11-10 Tachi S Co Ltd 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のリバウンド抑制方法および車両用衝撃吸収シート
JP2008006911A (ja) * 2006-06-28 2008-01-17 Toyota Boshoku Corp 車両用シート
KR20080014257A (ko) * 2006-08-10 2008-02-14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성능 개선 구조
KR101010898B1 (ko) * 2008-04-21 2011-01-25 정해일 충격반응형 시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37910B1 (ko) 액티브 헤드 레스트의 높이 유지 장치
KR100737599B1 (ko) 펌핑레버와 일체로 형성된 리클라이너 레버
EP1757484A3 (en) Child car seat
US10343569B2 (en) Seat for vehicles
CN102975639B (zh) 安全座椅
JP5873186B2 (ja) 事故における車両座席の後方への変位を選択的に制御し、かつ削減するための装置
CN109843644B (zh) 儿童座椅
KR20110026180A (ko) 헤드레스트 이동장치
EP2428394B1 (fr) Siège de sécurité pour enfant destiné à être fixé de manière amovible dans un véhicule automobile
CN106043046A (zh) 中央扶手惯性锁紧机构
CN103158584A (zh) 车辆座椅的步入装置
US20060022497A1 (en) Trigger mechanism for impact response devices in a seat
KR101371251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
CN206067562U (zh) 机动车儿童乘员用安全座椅
KR20080099710A (ko) 차량의 승객 보호장치
EP2072325B1 (en) Misuse prevention apparatus
KR101144870B1 (ko) 헤드레스트 슬라이딩장치
CN104755329A (zh) 用于锁定儿童汽车座椅中的绑带的装置以及包括此种锁定装置的儿童汽车座椅
JP2009101934A (ja) アクティブヘッドレスト用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2006503746A (ja) 車両座席の、特に回動可能な要素のための、移動制限装置
KR101471119B1 (ko)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JP4011223B2 (ja) 車両用シート
JP2005112192A (ja) 座席
KR200420690Y1 (ko) 차량용 시트의 안전장치
KR100882487B1 (ko) 액티브 헤드레스트의 록킹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