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71119B1 -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71119B1
KR101471119B1 KR1020130159793A KR20130159793A KR101471119B1 KR 101471119 B1 KR101471119 B1 KR 101471119B1 KR 1020130159793 A KR1020130159793 A KR 1020130159793A KR 20130159793 A KR20130159793 A KR 20130159793A KR 101471119 B1 KR101471119 B1 KR 1014711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bracket
wire
seat cushion
hinge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97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두업
Original Assignee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일이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일이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1597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111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11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11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60N2/36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characterised by the locking dev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tiltable, e.g. to permit easy acc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02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 B60N2/3004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11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back-rest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back-rest being hinged on the cushion, e.g. "portefeuille mov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트쿠션; 상기 시트쿠션에 내설되며, 하나 이상의 셋팅브라켓이 마련되는 와이어프레임; 및 상기 셋팅브라켓에 볼팅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힌지브라켓과, 차체에 볼팅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힌지브라켓과, 상기 제 1 힌지브라켓 및 상기 제 2 힌지브라켓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팁-업 와이어를 구비하는 마운팅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힌지브라켓은, 노멀 상태시 상기 팁-업 와이어의 회동을 구속하도록 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 1 걸림돌기와, 상기 제 1 걸림돌기와 대향하는 제 2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걸림돌기와 함께 상기 팁-업 와이어의 회동을 구속하는 걸림브라켓을 구비하는,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TIP-UP SEAT ASSEMBLY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팁-업 상태로의 전환되어 시트백을 폴딩 가능하도록 하는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차량의 공간 활용을 위해 SUV(Sports Utility Vehicle), 해치백(hatch back) 차량 등의 일부 차량에서는 2열 시트를 폴딩(folding)시켜 2열 공간을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즉, 일부 차량의 경우, 평상시에는 2열 시트에 승객이 탑승 가능하나, 다량의 화물이 적재되는 등 필요시에는 2열 시트를 폴딩시켜 화물칸을 비롯한 2열 시트의 공간이 모두 적재 공간 등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2열 시트의 폴딩 기능은 2열 시트의 시트백(saet back)을 전방으로 폴딩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써 구현이 가능하나, 일부 차량의 경우 차량의 크기나 내부 공간 배치 등으로 인해 단순한 시트백의 폴딩에 더하여, 승객이 착좌하는 시트쿠션(seat cushion)의 이동이 필요할 때도 있다. 이는 폴딩된 2열 시트의 높이를 화물칸의 높이에 대응되도록 하여 적재 공간을 효율성을 도모하거나, 상대적으로 차량 크기가 작은 차량에 있어서 폴딩 기능을 제공하기 위함으로, 통상 시트쿠션을 전방으로 회동 및 세로로 세워 팁-업(tip-up) 상태로 전환하고, 시트백을 폴딩시키는 방식으로 구현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경우 상기와 같은 시트쿠션의 팁-업 전환을 가능케 하기 위해 상당히 복잡한 구조의 링크 등이 시트쿠션에 추가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나아가, 급정지 등 일부 상황에서 의도치 않게 시트쿠션이 팁-업 상태로 전환되어 사용상의 불편함으로 초래하고 안전 운행을 방해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었다.
본 발며으이 실시예들은, 간소한 구조로 팁-업 동작이 가능하게 하면서도, 주행 중 시트쿠션의 회동이나 전환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시트쿠션; 상기 시트쿠션에 내설되며, 하나 이상의 셋팅브라켓이 마련되는 와이어프레임; 및 상기 셋팅브라켓에 볼팅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힌지브라켓과, 차체에 볼팅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힌지브라켓과, 상기 제 1 힌지브라켓 및 상기 제 2 힌지브라켓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팁-업 와이어를 구비하는 마운팅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힌지브라켓은, 노멀 상태시 상기 팁-업 와이어의 회동을 구속하도록 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 1 걸림돌기와, 상기 제 1 걸림돌기와 대향하는 제 2 걸림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걸림돌기와 함께 상기 팁-업 와이어의 회동을 구속하는 걸림브라켓을 구비하는,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는, 간소한 구조로 시트쿠션의 팁-업 동작을 가능케 하고, 시트백이 폴딩될 수 있도록 하여, 2열 시트의 공간을 필요에 따른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는, 제 1 걸림돌기를 통해 노멀 상태시 시트쿠션의 회동이나 팁-업 상태로의 전환을 방지하는 한편, 걸림브라켓 및 제 2 걸림돌기를 통해 제 1 걸림돌기의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수단을 갖추어, 급정거 등의 경우에 의도치 않게 시트쿠션이 회동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마운팅브라켓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4는 도 3의 (b)와 같이 시트쿠션이 팁-업 상태로 전환되고 시트백이 폴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1 힌지브라켓의 확대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의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알려둔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으로, 불필요하게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의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기술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 및 2를 참고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100)는, 시트쿠션(110), 시트쿠션(110)에 내설되는 와이어 프레임(120) 및 시트쿠션(110)을 차체 등에 장착시키기 위한 마운팅 브라켓(1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시트쿠션(seat cushion, 10)은 탑승자의 둔부 내지 허벅다리 부위를 지지하는 시트 부분으로, 통상 착좌감을 고려하여 쿠션 재질 등으로 이뤄질 수 있다.
와이어 프레임(120)은 시트쿠션(110) 내에 내설되어 시트쿠션(110)의 기본골격을 형성하는 한편, 시트쿠션(110)과 마운팅 브라켓(130) 등의 체결을 위한 지지점을 제공할 수 있다. 와이어 프레임(120)은 마운팅 브라켓(130)이 체결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셋팅브라켓(121)을 구비할 수 있으며, 마운팅 브라켓(130)은 이와 같은 셋팅브라켓(121)에 볼팅 결합되어 시트쿠션(110)과 조립될 수 있다.
마운팅 브라켓(130)은 시트쿠션(110)을 차체 등에 장착 지지하는 한편, 후술할 바와 같이 시트쿠션(110)의 팁-업(tip-up) 동작을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일측이 와이어 프레임(120)에 마련된 셋팅브라켓(121)에 볼팅 결합되어 시트쿠션(110)과 조립될 수 있다. 또한, 마운팅 브라켓(130)은 타측이 차체 등에 고정되어 시트쿠션(110)이 차실 내부 등에 장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운팅 브라켓(130)은, 와이어 프레임(120)의 셋팅브라켓(121)에 결합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힌지브라켓(131)과, 차체에 결합 고정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힌지브라켓(132)을 구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각각 2개씩의 제 1, 2 힌지브라켓(131, 132)이 각각 구비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각각의 제 1, 2 힌지브라켓(131, 132)은 셋팅브라켓(121) 또는 차체에 볼팅 결합되어 시트쿠션(110)을 차체에 조립시키게 된다.
또한, 마운팅 브라켓(130)은 제 1, 2 힌지브라켓(131, 13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팁-업 와이어(133)를 구비할 수 있다. 팁-업 와이어(133)는 강성을 가지는 바(bar) 또는 와이어(wire) 형태의 부재가 소정정도 절곡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팁-업 와이어(133)는 제 1, 2 힌지브라켓(131, 132)에 체결되되, 각각의 제 1, 2 힌지브라켓(131, 132)에 대해 소정정도 회동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팁-업 와이어(133)의 양 단은 각각 제 2 힌지브라켓(132)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으며, 중단 부위는 제 1 힌지브라켓(131)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따라서 팁-업 와이어(133)는 제 1 힌지브라켓(131)과 체결된 제 1 회동축(131a)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되거나, 제 2 힌지브라켓(132)과 체결된 제 2 회동축(132a)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팁-업 와이어(133)의 회동은 시트쿠션(110)의 팁-업 동작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도 1 및 2에 도시된 마운팅브라켓의 작동 상태도이다.
도 3의 (a)를 참고하면, 시트쿠션(110)은 시트백(seat back, B)과 대략 직각을 이루며 승객이 착석 가능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는 일반적인 사용 상태에 해당될 수 있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의 (a)와 같이 승객의 착석이 가능한 상태를 '노멀 상태'로 지칭하기로 한다.
한편, 도 3의 (b)를 참고하면, 필요에 따라 시트쿠션(110)은 소정정도 회동되어 세로로 세워진 상태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경우, 시트백(B)의 폴딩이 가능하게 된다. 이는 SUV(Sports Utility Vehicle), 해치백(hatch back) 차량 등에서 2열 시트를 폴딩시킴으로써, 2열의 탑승 공간을 화물 수납 등 필요에 따른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3의 (b)와 같이 시트쿠션(110)이 회동되어 세로로 세워진 상태를 '팁-업 상태'로 지칭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은 노멀 상태 및 팁-업 상태 간의 전환은 마운팅 브라켓(130)에 의해 이뤄질 수 있다. 즉, 도 3의 (a)와 같은 노멀 상태에서 팁-업 와이어(133)가 제 2 회동축(132a)을 중심으로 회동되고, 시트쿠션(110)이 제 1 회동축(131a)을 중심으로 소정정도 회동되면, 시트쿠션(110)은 도 3의 (b)와 같은 팁-업 상태로 전환되게 된다.
도 4는 도 3의 (b)와 같이 시트쿠션이 팁-업 상태로 전환되고 시트백이 폴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로, 이를 참고하면, 시트쿠션(110)은 세로로 세워지고, 시트백(B)이 전방으로 폴딩되면서 시트백(B)의 후면 등에 화물 적재공간 등이 형성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도 3의 (a)와 같은 노멀 상태에서, 시트쿠션(110)은 제 1 힌지브라켓(131)과 팁-업 와이어(133) 간의 걸림 결합에 의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3에 도시된 제 1 힌지브라켓 및 팁-업 와이어의 확대도이다.
도 5의 (a)는 제 1 힌지브라켓(131) 및 팁-업 와이어(133)의 사시도, 도 5의 (b)는 도 5의 (a)에 표시된 A-A'선 및 B-B'선을 따라 취한 개략적인 단면도임을 알려둔다.
도 5를 참고하면, 제 1 힌지브라켓(131)의 측면에는 제 1 걸림돌기(131b)가 마련될 수 있다. 팁-업 와이어(133)는 이와 같은 제 1 걸림돌기(131b)에 구속되어 노멀 상태시 시트쿠션(110)이 고정 지지될 수 있다. 즉, 노멀 상태시 팁-업 와이어(133)는 제 1 걸림돌기(131b)의 상단 위치(P1)에 배치되어 하부 측으로의 이동이 제한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노멀 상태에서 시트쿠션(110)의 회동이나 의도치 않은 팁-업 상태로의 전환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사용자 등이 외력을 가하여 팁-업 와이어(133)가 제 1 걸림돌기(131b) 하단 위치(P2)로 넘어가면, 팁-업 와이어(133)는 제 1 회동축(131a)을 중심으로 회동 가능한 상태가 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시트쿠션(110)의 회동이나 팁-업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다시 말하면, 도 5와 같이 팁-업 와이어(133)가 제 1 걸림돌기(131b) 상단 위치(P1)에 배치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외력을 가해 팁-업 와이어(133)를 제 1 걸림돌기(131b) 하단 위치(P2)로 이동시키게 되면, 도 3의 (b)와 같은 팁-업 상태로의 전환이 가능하게 된다.
다만, 반복된 사용으로 인해, 제 1 걸림돌기(131b) 또는 팁-업 와이어(133)에 마모나 변형이 일어나게 되면, 노멀 상태에서 제 1 걸림돌기(131b)에 의한 적절한 구속력이 작용되지 않을 우려가 있을 수 있다. 즉, 노멀 상태에서 팁-업 상태로 전환시 사용자는 외력을 가하여 팁-업 와이어(133)를 제 1 걸림돌기(131b)의 상단 위치(P1)에서 하단 위치(P2)로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은 과정이 반복되면, 제 1 걸림돌기(131b)의 높이가 다소 낮아지거나 팁-업 와이어(133)가 일부 변형되는 등으로, 제 1 걸림돌기(131b)에 의한 팁-업 와이어(133)의 구속력이 다소 약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속력 저하는 사용자가 특별히 의도치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팁-업 와이어(133)가 이동되어 시트쿠션(110)이 불필요하게 회동되거나 팁-업 상태로 전환되는 등의 문제점을 야기할 수 있다. 특히, 주행 중 의도치 않은 시트쿠션(110)의 전황은 승객이나 운전자에게 안전사고를 일으킬 우려가 있다. 예컨대, 차량이 급정차하는 경우, 관성력으로 인한 외력이 시트쿠션(110)이나 팁-업 와이어(133)에 전달되어 팁-업 와이어(133)가 제 1 걸림돌기(131b)의 하단 위치(P2)로 의도치 않게 이동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시트쿠션(110)이 회동되어 앞 좌석에 충격을 가하거나 승객에서 상해를 입히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제 1 힌지브라켓(131)은 제 1 걸림돌기(131b)와 별개로 걸림브라켓(131c)을 구비할 수 있다. 걸림브라켓(131c)은 노멀 상태에서 팁-업 와이어(133)를 구속하기 위한 안전 수단 또는 제 1 걸림돌기(131b)의 오작동에 대한 안전 수단으로 기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브라켓(131c)은 제 1 힌지브라켓(131)의 측면 측으로 돌출되어 대략 'ㄱ'자 형태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며, 하단에는 제 2 걸림돌기(131d)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 2 걸림돌기(131d)는 전술한 제 1 걸림돌기(131b)와 대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 1 걸림돌기(131b)와 함께 노멀 상태에서 팁-업 와이어(133)의 이동을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팁-업 와이어(133)는 제 1 힌지브라켓(131)의 측면을 향하는 일측이 제 1 걸림돌기(131b)에 접촉되어 구속 지지될 수 있으며, 반대측은 제 2 걸림돌기(131d)에 접촉되어 구속 지지될 수 있다. 또한, 팁-업 와이어(133)가 구속되는 제 1 걸림돌기(131b)의 상단 위치(P1)는 제 2 걸림돌기(131d)의 상단 위치(S1)에 대응되며, 팁-업 와이어(133)의 구속이 해제되는 제 1 걸림돌기(131b)의 하단 위치(P2)는 걸림브라켓(131c) 하부 측 위치(S2)에 대응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경우, 팁-업 와이어(133)는 노멀 상태에서 제 1, 2 걸림돌기(131b, 131d)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게 되므로, 의도치 않은 시트쿠션(110)의 회동이나 팁-업 상태로의 전환이 보다 확실히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주행 중 시트쿠션(110)의 회동이나 전환 등으로 인한 각종 안전사고나 사용상의 불편함 또한 최소화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100)는, 간소한 구조로 시트쿠션(110)의 팁-업 동작을 가능케 하고, 시트백이 폴딩될 수 있도록 하여, 2열 시트의 공간을 필요에 따른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100)는, 제 1 걸림돌기(131b)를 통해 노멀 상태시 시트쿠션(110)의 회동이나 팁-업 상태로의 전환을 방지하는 한편, 걸림브라켓(131c) 및 제 2 걸림돌기(131d)를 통해 제 1 걸림돌기(131b)의 오작동으로 인한 안전수단을 갖추어, 급정거 등의 경우에 의도치 않게 시트쿠션(110)이 회동되어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것 또한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110: 시트쿠션
121: 셋팅브라켓 120: 와이어 프레임
130: 마운팅 브라켓 131: 제 1 힌지브라켓
132: 제 2 힌지브라켓 133: 팁-업 와이어

Claims (4)

  1. 시트쿠션(110);
    상기 시트쿠션(110)에 내설되며, 하나 이상의 셋팅브라켓(121)이 마련되는 와이어 프레임(120); 및
    상기 셋팅브라켓(121)에 볼팅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 1 힌지브라켓(131)과, 차체에 볼팅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제 2 힌지브라켓(132)과, 상기 제 1 힌지브라켓(131) 및 상기 제 2 힌지브라켓(132)에 각각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는 팁-업 와이어(133)를 구비하는 마운팅 브라켓(130);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힌지브라켓(131)은,
    노멀 상태시 상기 팁-업 와이어(133)의 회동을 구속하도록 측면에 돌출 형성된 제 1 걸림돌기(131b)와,
    상기 제 1 걸림돌기(131b)와 대향하는 제 2 걸림돌기(131d)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걸림돌기(131b)와 함께 상기 팁-업 와이어(133)의 회동을 구속하는 걸림브라켓(131c)을 구비하는,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팁-업 와이어(133)는,
    상기 제 1 힌지브라켓(131)의 측면을 향하는 일측이 상기 제 1 걸림돌기(131b)에 접촉되어, 노멀 상태시 상기 제 1 걸림돌기(131b)의 상단 위치(P1)로 구속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제 1 걸림돌기(131b)의 하단 위치(P2)로 이동되어, 상기 시트쿠션(110)의 회동이 가능한 팁-업 상태로 전환되는,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팁-업 와이어(133)는,
    노멀 상태시, 상기 제 1 걸림돌기(131b)에 접촉된 일측의 반대측이 상기 제 2 걸림돌기(131d)에 접촉 구속되며,
    팁-업 상태로 전환시, 상기 제 2 걸림돌기(131d)에서 이탈되어 상기 걸림브라켓(131c)의 하부측으로 이동되는,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브라켓(131c)은,
    상기 제 1 힌지브라켓(131)의 측면에서 'ㄱ'자 형태로 돌출되어 하단에 상기 제 2 걸림돌기(131d)가 형성된 것인,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KR1020130159793A 2013-12-20 2013-12-20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KR1014711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793A KR101471119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9793A KR101471119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1119B1 true KR101471119B1 (ko) 2014-12-11

Family

ID=52678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9793A KR101471119B1 (ko) 2013-12-20 2013-12-20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111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762072A (zh) * 2020-06-10 2020-10-13 江苏开沃汽车有限公司 一种低成本易安装易操作后排可翻转座垫
CN112498191A (zh) * 2019-09-16 2021-03-1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公共汽车的紧急出口座椅的折叠装置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315A (ko) * 1995-08-31 1997-03-27 김태구 자동차의 좌석 접이장치
KR20050106378A (ko) * 2005-10-20 2005-11-09 (주)동아이엔지 차량용 폴딩좌석의 평면시트
KR20080028568A (ko) * 2006-09-27 2008-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시트 쿠션 폴딩부 구조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0315A (ko) * 1995-08-31 1997-03-27 김태구 자동차의 좌석 접이장치
KR20050106378A (ko) * 2005-10-20 2005-11-09 (주)동아이엔지 차량용 폴딩좌석의 평면시트
KR20080028568A (ko) * 2006-09-27 2008-04-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시트 쿠션 폴딩부 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498191A (zh) * 2019-09-16 2021-03-16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公共汽车的紧急出口座椅的折叠装置
CN112498191B (zh) * 2019-09-16 2024-05-07 现代自动车株式会社 公共汽车的紧急出口座椅的折叠装置
CN111762072A (zh) * 2020-06-10 2020-10-13 江苏开沃汽车有限公司 一种低成本易安装易操作后排可翻转座垫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14204B2 (ja) シート装置
US8388054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8419126B2 (en) Seat-back frame and vehicle seat
JP4063863B1 (ja) ヘッドレスト
EP1582397B1 (en) Seat device for a vehicle and vehicle provided therewith
US20150090854A1 (en) Vehicle seat
EP2492158B1 (en) Seat belt assembly
JP2010179705A (ja) 車両のシートベルト装置
KR101864253B1 (ko) 차량용 시트의 워크인 및 폴딩 장치
WO2016038718A1 (ja) 自動車用シート
KR20020025029A (ko) 절첩 가능한 자동차용 시트
JP3619855B2 (ja) 自動車のサブマリン防止用パネル構造
US20050006920A1 (en) Seat apparatus
KR20050103345A (ko)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KR20020081436A (ko) 피봇팅 좌석 벨트 상부 앵커 지점 부착
KR101471119B1 (ko) 차량용 팁-업 시트 어셈블리
JP3406530B2 (ja) 車両用ヒンジ付きシートのシートバック構造
JP5910816B2 (ja) シート装置
JP2008265523A (ja) 車両用シートの分割式シートバック取付構造
JP2006192986A (ja) 車両用リフタ付きシート構造
JP2010162987A (ja) 車両のシート構造
JP2008273445A (ja) 車両用ヘッドレスト傾動装置
JP4024662B2 (ja) 車両用シート構造
KR100461110B1 (ko) 자동차용 시트백 록킹 장치
JP2005112192A (ja) 座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