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81436A - 피봇팅 좌석 벨트 상부 앵커 지점 부착 - Google Patents

피봇팅 좌석 벨트 상부 앵커 지점 부착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1436A
KR20020081436A KR1020027011961A KR20027011961A KR20020081436A KR 20020081436 A KR20020081436 A KR 20020081436A KR 1020027011961 A KR1020027011961 A KR 1020027011961A KR 20027011961 A KR20027011961 A KR 20027011961A KR 20020081436 A KR20020081436 A KR 200200814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arm
belt
occupant
torso
anch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119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이비드 조셉 로미오
Original Assignee
시뮬라,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뮬라,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시뮬라,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200814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43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19Anchoring devices with means for reducing belt tension during use under normal cond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6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ea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탑승자 좌석용 3-점식 탑승자 고정 시스템은 랩 벨트 리트랙터에 연결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 랩 벨트(101)를 포함한다. 몸통 벨트(102)는 상기 랩 벨트의 제 2 단부에 연결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갖는다. 상기 몸통 벨트의 제 2 단부는 차량 측면 구조물 또는 탑승자 좌석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앵커 아암(140)에 부착되며, 상기 앵커 아암(140)은 회전 편향되어 몸통 벨트(102)로부터 느슨한 부분을 제거한다. 앵커 아암(140)은 회전되며, 그에 따라(1)3-점식 고정 시스템용 상부 높이 조절 앵커 지점으로서 기능하며, 그리고(2) 5번째 백분위수 여성으로부터 95번째 백분위수 남성까지의 탑승자 체격을 안락하게 수용하도록 벨트 길이를 조절하는 기능을 한다.

Description

피봇팅 좌석 벨트 상부 앵커 지점 부착{PIVOTING SEAT BELT UPPER ANCHOR POINT ATTACHMENT}
자동차, 트럭, 밴, 헬리콥터, 비행기 또는 기타 자력-추진식 차량과 같은 차량내의 탑승자 고정 시스템은 고가의 부품이고, 아직까지는 안전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인 고정 시스템은 제 1 및 제 2 지점에서 고정되는 랩 벨트(lap belt) 및 제 2 지점과 제 3 지점에서 고정되는 몸통 벨트를 포함하는 3-점식 시스템이다. 여러가지 디자인에서, 제 1 지점은 급정거시에 랩 벨트로부터 느슨한 부분을 제거하고 록킹(locks-up)되는 랩 벨트 관성 리트랙터(retractor)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제 2 지점은 설부(tongue) 및 버클(buckle) 장치이며, 상기 버클은 관성식 랩 벨트 리트랙터의 반대쪽에서 좌석의 측면에 고정되며 상기 설부는 상기 버클내로 고정되고 그 버클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랩 벨트 및 몸통 벨트의 각각의 단부들은 고정된 설부 장치내에서 또는 슬라이딩식 설부 장치내에서 설부에 고정되며, 랩 벨트 및 몸통 벨트는 설부내의 개구부를 통해 슬라이딩될 수 있는 연속적인 벨트를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3-점식 시스템의 제 3 지점은 B-필라(pillar) (예를 들어, 자동차의 경우에)의 하부 부분에 위치된 관성식 리트랙터를 포함하며, 상기 몸통 벨트는 통상적으로 B-필라의 상부에 부착되는 D-링을 통과한다. 일부 최근의 디자인에서, 몸통 벨트 리트랙터 및 D-링이 좌석 프레임에 부착된다.
최근의 수많은 고정 시스템 디자인은, 특정 개인을 수용하기 위하여 소정 양의 몸통 벨트 길이를 공급하거나 권취(take-up)하기 위해 사용되는 하나의 또는 두개의 관성식 리트랙터 외에, 다양한 체격의 탑승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수직방향으로 슬라이딩할 수 있는 D-링(높이 조절기)을 제공한다. 어떠한 경우에도, 상기 D-링을 통한 몸통 벨트의 계속적인 슬라이딩 운동에 의해 몸통 벨트 자체를 바람직하지 못하게 마모시키며, 그에 따라 몸통 벨트의 최종 강도를 감소시키고 바람직하지 못한 외관을 나타내게 된다. 또한, 고정식 설부 장치에서, 두개의 관성식 리트랙터를 구비하는 것은 비용이 많이 든다. 게다가, 수동식 또는 모터 구동식 D-링 높이 조절기도 고가이다.
본 발명은 차량 탑승자 고정(restraint)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석 벨트 상부 앵커(anchor) 지점으로서 작용하는 피봇팅 아암(pivoting arm)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
도 2a 내지 도 2d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의 운동 범위를 도시한 도면.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4a 및 4b 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아암/몸통 벨트 경계의 바람직한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개략적인 정면도.
본 발명은, 몸통 벨트의 한계내에서 다양한 체격의 탑승자를 안락하게 수용하면서도, 몸통 벨트 관성 리트랙터 및, D-링 특히, 고가의 수동식 또는 모터 구동식 D-링 높이 조절기에 대한 필요성을 제거함으로써 종래의 3-점식 탑승자 고정 시스템을 개선한 것이다.
본 발명은 두개의 단부들을 가지는 상부 앵커 아암을 제공한다. 제 1 단부는 좌석 후방부쪽 또는 차량 측면 구조부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몸통 벨트의 상단부는 상기 앵커 아암의 제 2 단부에 고정식으로 체결된다. 바람직하게, 몸통 벨트내의 느슨한 부분이 제거되도록, 앵커 아암은 회전식으로 편향된다. 동시에, 몸통 벨트의 상단부가 탑승자 높이에 관계 없이 탑승자의 어깨상에 안락하게 위치되도록, 상기 앵커 아암은 느슨한 부분을 제거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앵커 아암은 서로 약 90도 각도로 배치된 두개의 레그(leg)를 구비하고, 편심적으로(eccentrically) 형성될 수 있고 또는 실질적으로 사각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모든 실시예에서, 바람직하게, 앵커 아암은 적어도 5번째 백분위수(percentile) 여성으로부터 95번째 백분위수 남성까지의 체격을 가지는 탑승자를 안락하게 수용하도록 피봇운동할 수 있다. 이는 피봇 지점을 중심으로한 앵커 아암 회전에 의해 얻어진다. 또한, 바람직하게, 좌석에 탑승자가 없을 때 몸통 벨트가 실질적으로 저장(store)되는 "보관(park)" 위치 및, 탑승자가 전방으로 이동할 때 몸통 벨트가 탑승자의 상부 몸통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아 정상적인 이동을 허용하고 안락함을 제공하도록 탑승자와 함께 전방으로 이동될 수 있는 "안락" 위치를 포함하는 위치로 상기 앵커 아암이 충분히 뒤쪽으로 피봇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차량용 3-점식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3-점식 고정 시스템에서 몸통 벨트를 위한 높이 조절가능한 상부 앵커 지점으로서 작용하는 피봇식으로 장착된 앵커 아암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몸통 벨트 리트랙터 없이도 넓은 범위의 체격을 가지는 탑승자를 안락하게 수용하는 것이다.
D-링 조립체가 자가-조절식(탑승자 체격, 높이 및 안락성에 대한 조절) 부착 조립체에 의해 대체된 개선된 탑승자 고정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도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이러한 목적들 및 기타 목적들은 첨부 도면과 함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분명히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를 도시한 계략적인 도면이다. 좌석 팬(pan)(115) 및 좌석 후방부(120)는 자동차내의 또는 급정거나 충돌등의 경우에 탑승자를 고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기타 차량내의 통상적인 운전자 탑승용 좌측좌석을 포함한다. 승객은 랩 벨트(101) 및 몸통 벨트(102)에 의해 좌석 팬(115) 및 좌석 후방부(120)에 고정된다. 랩 벨트 리트랙터(118)는 랩 벨트(101)내의 느슨한 부분을 제거하는 작용을 하고, 랩 벨트(101)의 설부(도시 안함)가 슬립-형 설부인 경우에, 몸통 벨트(102)내의 느슨한 부분을 제거하는 것도 돕는다. 바람직하게, 랩 벨트 리트랙터(118)는 급정거 또는 충돌시에 록킹되는 관성형 리트랙터이다. 관성형 리트랙터는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1 실시예는 도 1 의 우측 상부에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몸통 벨트(102)는 그 상단부가 지점(185)에서 앵커 아암(140)에 부착되며, 상기 앵커 아암은 바람직하게 두개의 레그(140a, 140b)를 갖는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레그들은 서로 약 90도 각도로 정렬된다. 그러나, 레그(140a, 140b)들 사이의 다른 각도 즉, 예각 또는 둔각도 가능하다. 특히, 약 45도까지의 예각 및 180도 까지의 둔각도 본 발명의 범위내에 포함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앵커 아암(140)은 적어도 특정 앵커 아암 위치에서 몸통 벨트(102)와 접촉하는 표면(144)도 포함하며, 이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바람직하게, 앵커 아암(140)은 좌석 후방부(120)의 측부상의 좌석 측면 개구부(145)에서 좌석 후방부(120)에 대해 피봇 지점(148)에서 피봇식으로 장착된다. 앵커 아암(140)의 타단부 즉, 레그(140a)상의 지점(185)이 몸통 벨트(102)를 위한 상부 앵커 지점으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이러한 연결 지점에서의 확실한 피봇 장착이 중요하다. 따라서, 강철 또는 복합 재료와 같은 강한 물질로 앵커 아암(140)을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요구되는 견고함을 얻기 위해, 앵커 아암(140)의 장착은 탑승자 충돌 하중을 좌석 프레임 또는 차량 구조물에 전달할 수 있는 기계적 부싱, 베어링, 액슬(axle) 또는 로드(load) 베어링 힌지 또는 피봇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 차량 충돌의 경우에, 피봇팅 기구는 통상적인 좌석 벨트 리트랙터와 같은 방식으로 록킹될 것이다. 또한, 어느 정도 이상의 응력에서는 앵커 아암(140)이 굽혀지거나 꼬여져서 좌석 탑승자에 대한 과도한 구속력을 경감하도록, 앵커 아암(140)용으로 선택된 재료가 구속력 제한 능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탑승자 구속력 제한은 또한 피봇부로 통합될 수도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앵커 아암(140)은 스프링 부하식이고 또는 피봇 지점(14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계속적으로 편향된다. 물론, 오른쪽 좌석에 대해서는, 반시계방향으로 편향될 것이다. 원하는 편향을 달성하기 위한 여러가지 기구는 소위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상세히 설명하지 않는다. 그러나, 좌석 벨트 리트랙터 디자인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과 관련된 기구 즉, 코일 스프링, 토션 바아(torsion bar) 등이 본 발명과 함께 사용되기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앵커 아암(140)은 3-점식 승객 고정 시스템에 대한 자동 높이 조절식 상부 앵커 지점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특히 일정 길이의 몸통 벨트(102)와 함께 작동하기에 적합하다. 즉, 본 발명에 따라, 앵커 아암(140)이 계속적으로 회전 편향되기 때문에, 몸통 벨트(102)에 있는 어떠한 느슨한 부분도 앵커 아암(140)의 피봇 작용에 의해 감겨질 수 있으며, 승객 높이 조정이 제공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이, 앵커 아암(140)은, 3-점식 승객 고정 시스템에서 일반적일 뿐만 아니라 일정 길이 몸통 벨트 및/또는 고정된 설부 고정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요구되는, 높이 조절기 및 몸통 벨트 리트랙터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두개의 비교적 고가인 부품(몸통 벨트 리트랙터 및 높이 조절기)을 제거하며, 결과적으로 전체적으로 저렴한 탑승자 고정 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앵커 아암(140)을 피봇팅하는 것은 급정거 또는 충돌시에 반시계방향 회전(좌측 좌석의 경우)을 방지하는 관성 정지 기구를 포함한다. 그러한 관성 정지 기구는 소위 당업자들에게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관성 정지 기구는 또한 임계치의 힘이 가해진 후에 이동을 허락함으로써 구속력 제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구속력 제한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고 또는 전술한 재료-기반 구속력 제한 기능과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앵커 아암(140)의 회전 특성으로 인해, 몸통 벨트(102)는 특히 아암이 보관 위치로 이동함에 따라 여러가지 상이한 각도로 표면(144)과 접할 것이다. 몸통 벨트(102)가 적절한 위치에서 유지되는 것을 보장하기 위해, 표면(144)의 적어도 일부는 레그(140a, 140b)의 엣지(edge)를 따라 연장하는 돌출부(150)에 의해 경계지어질 것이다(도 4a 참조). 바람직하게, 돌출부(150)는 1-10 mm 의 높이를 가지며, 몸통 벨트(102)를 "홈"내에 유지하는 역할을 한다.
앵커 아암(140)을 피봇팅시키는 것은 바람직하게 다양한 체격의 탑승자, 특히 바람직하게는 5번째 백분위수(percentile) 여성으로부터 95번째 백분위수 남성까지의 체격을 가지는 탑승자를 안락하게 수용할 수 있는 운동 범위를 가진다. 또한, 운동 범위는 바람직하게 "보관" 위치 및 "안락" 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보관및 안락 위치는 각각 5번째 내지 95번째 백분위수 탑승객을 수용하는 앵커 아암의 위치들을 지나 위치한다.
도 2a 내지 2d 는 앵커 아암(140)의 바람직한 전체 이동 범위를 도시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위치(도 2a 참조)에서 앵커 아암(140)은 피봇 지점(14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최대로 회전되어 있다. 좌석 후방부(120)의 두께에 따라, 앵커 아암(140)의 레그(140a)는 좌석 후방부(120)의 뒷면을 지나 연장할 수도 있다(도 1 참조). 그러나, 대부분의 다른 위치에서, 레그(140a)는 바람직하게 상기 뒷면의 전방에 위치한다.
앵커 아암(140)은 길이 및 높이에서 5번째 백분위수 여성으로부터 95번째 백분위수 남성까지 수용할 수 있는 위치들을 통해 반시계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회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몸통 벨트가 정위치에 정확하게 맞춰진 상태에서도 탑승자가 좌석 전방으로 용이하고도 안락하게 이동하게 할 수 있는 "안락" 위치(도 2d 참조)에서 완전히 정지된다. 도 2b 및 도 2c 는 5번째 및 95번째 백분위수 회전 위치를 각각 도시한다.
이하의 표 1 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라 경우별로 바람직한 몸통 벨트 길이 변화를 나열한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길이는 단지 예로서 제공되었으며, 좌석 디자인 및 레그(140a, 140b)의 크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95번째 백분위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을 때, 피봇 지점(148) 및 레그(140a)의 단부는 좌석 후방부(120)의 길이방향 중심선(170)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며, 다시 말해 중심선(170)과 10 도의 범위내에서 정렬된다.
길이 참조 번호 위치 쌍 길이(mm)
A 보관에서 5번째까지 100
B 5번째에서 95번째까지 175
C 50번째에서 안락까지 300
D 95번째에서 안락까지 175
E 5번째에서 50번째까지 50
F 보관에서 50번째까지 150
G 보관에서 안락까지 450
H 보관에서 95번째까지 275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 2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 경우에, 앵커 아암(140)은 분리된 레그들을 가지지 않고 전체적으로 긴 사각형상을 가진다. 피봇 지점(148)은 제 1 단부에 위치되고 몸통 벨트 앵커 지점은 제 2 단부에 위치된다. 이러한 비교적 간단한 앵커 아암 형상은 특정 차량 종류 및/또는 좌석 형상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또한, 보다 단순한 형상으로 인해 제조 비용이 저렴하다. 그러나, 이러한 형상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 비해 보관 위치에서의 벨트 권취를 약간 감소시킬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는 역시 상기 제 1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편향된 피봇팅, 록킹 및 구속력 제한 특징들을 포함한다.
도 4a 및 도 4b 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앵커 아암/몸통 벨트 경계에 대한 바람직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일면은 도 1 에 도시된 제 1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되나, 이는 제 2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 몸통 벨트(102)는 앵커 아암(140)의 레그(140a)를 바깥쪽에서 둘러싸는 커버(181)의 커버 개구부(180)를 통과한다. 그 후에, 도 6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몸통 벨트(102)는 바람직하게 앵커 핀(185)을 둘러싸며, 상기 앵커 핀(185)은레그(140a)에 구조적으로 고정되고 개구(180)를 통해 접근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몸통 벨트(102)는 영역(190)에서 서로 봉합되어 고정되며, 그에 따라 상기 벨트는 본 발명에 따른 상부 앵커 지점으로서 효과적으로 작용한다.
다른 실시예(도시 안됨)에서, 앵커 아암(140)의 위치는 전기 모터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모터는 승객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스위치를 통해 직접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또는 메모리를 채용하여 바람직한 앵커 아암 위치를 저장하고 예를 들어 중량등에 의해 특정 승객이 확인되었을 때 앵커 아암을 자동적으로 위치시킬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앵커 아암(140)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 구조물에 장착된다. 바람직하게, 앵커 아암(140)은 차량 측면 구조물(500)에 장착되며, 상기 측면 구조물은 예를 들어 차량의 지붕(505) 및 도어(도시 안됨)를 지지한다. 바람직하게, 앵커 아암(140)은 지지부(510)상에 장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앵커 아암의 회전축이 몸통 벨트의 길이방향에 실질적으로 수직이 되도록, 앵커 아암(140)을 경사지게 장착할 수도 있다.
따라서, 안전성을 제공하고 그리고 다양한 체격의 탑승자를 몸통 벨트를 가지는 탑승자 고정 시스템내로 안락하게 수용하면서도, 특히 종래의 몸통 벨트 리트랙터 및 D-링 높이 조절 조립체를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이 개선된 탑승자 구속 시스템을 제공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 및 본 발명을 나타내는 특정 실시예들에 대한 이상의 기재내용은 설명 및 묘사를 위한 것이다. 이는 본 발명을 개시된 특정 형태로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당업자들은 상술한 내용으로부터 이상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형 및 개량 실시예들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기계식 또는 모터 구동식의 종래 높이 조절기를 본 발명의 피봇 앵커 아암과 결합하여 높이 조절 및 안락한 전방 이동을 제공하는 것도 바람직하며, 그리고 마찬가지로 몸통 벨트 리트랙터를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 및 그 등가물에 의해서만 제한된다.

Claims (26)

  1. 탑승자 좌석용 3-점식 탑승자 고정 시스템으로서:
    랩 벨트 리트랙터에 연결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가지는 랩 벨트;
    상기 랩 벨트의 제 2 단부에 연결된 제 1 단부 및 제 2 단부를 가지는 몸통 벨트; 및
    탑승자 좌석 및 차량의 측면 구조물 중 하나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 앵커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몸통 벨트의 제 2 단부는 상기 앵커 아암에 부착되고, 상기 앵커 아암은 상기 몸통 벨트의 느슨한 부분을 제거하도록 회전 편향되는 탑승자 고정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은 두개의 레그를 포함하는 탑승자 고정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은 상기 두개의 레그의 접합부에서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몸통 벨트는 상기 두개의 레그 중 하나의 단부에 부착되는 탑승자 고정 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벨트의 제 2 단부는 핀을 통해 상기 앵커 아암에 부착되는 탑승자 고정 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은 하나 이상의 회전 위치에서 상기 몸통 벨트가 놓여지는 표면을 포함하는 탑승자 고정 시스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은 5번째 백분위수 여성으로부터 95번째 백분위수 남성까지의 체격 및 높이를 가지는 탑승자를 수용하는 탑승자 고정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은 보관 위치 및 안락 위치 각각을 향해 전후로 회전될 수 있는 탑승자 고정 시스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은 편심형 앵커 아암인 탑승자 고정 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은 급정거 또는 충돌시의 감지시에 록킹되는 탑승자 고정 시스템.
  10. 차량 탑승자 좌석용 고정 시스템으로서:
    탑승자 좌석 및 차량의 측면 구조물 중 하나에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 몸통벨트 앵커 아암;
    몸통 벨트의 느슨한 부분을 제거하는 방향으로 상기 앵커 아암을 회전 편향시키는 수단; 및
    상기 몸통 벨트와 일체인 랩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 아암은 상기 몸통 벨트에 대한 상부 앵커 지점으로서 작용하며, 상기 앵커 아암은 상기 몸통 벨트와 접하는 표면을 가지며, 상기 몸통 벨트는 돌출부들 사이의 표면상이 위치되는 고정 시스템.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랩 벨트의 일단부는 관성 리트랙터에 연결되는 고정 시스템.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은 두개의 레그를 포함하는 고정 시스템.
  13.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은 편심형 및 실질적인 사각형 중 하나 인 고정 시스템.
  14.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벨트는 핀을 사용하여 상기 앵커 아암에 부착되는 고정 시스템.
  15. 좌석 팬 및 좌석 후방부를 갖는 탑승자 좌석용 고정 시스템으로서:
    일단부가 상기 좌석에 고정되는 랩 벨트 및 몸통 벨트; 및
    앵커 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몸통 벨트의 일단부는 상기 앵커 아암에 고정되고, 상기 앵커 아암은 상기 차량의 측면 구조물 및 좌석 후방부의 측면 중 하나에 피봇식으로 장착되고, 상기 앵커 아암은 차량의 급정거가 감지되었을 때 록킹되는 고정 시스템.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은 5번째 백분위수 여성으로부터 95번째 백분위수 남성까지의 체격 및 높이를 벨트 길이가 수용하도록 몸통 벨트를 위치시킬 수 있는 고정 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이 95번째 백분위수 남성을 수용하는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앵커 아암의 피봇 지점 및 상기 앵커 아암에 고정된 몸통 벨트의 단부는 좌석 후방부의 중심선과 실질적으로 정렬되는 고정 시스템.
  18.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은 두개의 레그를 포함하는 고정 시스템.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은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한 방향으로 회전 편향되는 고정 시스템.
  20. 제 15 항에 있어서, 구속력 제한 특성을 추가로 포함하는 고정 시스템.
  21. 탑승자 고정 시스템의 몸통 벨트용 앵커 아암으로서:
    돌출부들에 의해 경계지어지고 몸통 벨트가 놓여지는 접촉 표면을 통해 몸통 벨트 안내부를 제공하는 제 1 레그; 및
    상기 몸통 벨트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구비한 제 2 레그를 포함하는 앵커 아암.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레그는 서로 약 90도 각도로 배치된 앵커 아암.
  23.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레그는 몸통 벨트가 통과하는 개구부를 포함하는 앵커 아암.
  24.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몸통 벨트의 일단부를 고정하는 고정수단은 핀을 포함하는 앵커 아암.
  2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은 몸통 벨트 높이 조절을 제공하는 앵커 아암.
  2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 아암은 몸통 벨트를 리트랙트하도록 작동되는앵커 아암.
KR1020027011961A 2000-03-14 2000-07-24 피봇팅 좌석 벨트 상부 앵커 지점 부착 KR200200814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9/525,033 2000-03-14
US09/525,033 US6276721B1 (en) 2000-03-14 2000-03-14 Pivoting seat belt upper anchor point attachment
PCT/US2000/020072 WO2001068417A1 (en) 2000-03-14 2000-07-24 Pivoting seat belt upper anchor point attach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436A true KR20020081436A (ko) 2002-10-26

Family

ID=2409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11961A KR20020081436A (ko) 2000-03-14 2000-07-24 피봇팅 좌석 벨트 상부 앵커 지점 부착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276721B1 (ko)
EP (1) EP1263630A4 (ko)
JP (1) JP2003526566A (ko)
KR (1) KR20020081436A (ko)
AR (1) AR032746A1 (ko)
WO (1) WO200106841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6565A1 (en) * 2006-11-29 2008-06-05 Key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system for a motor vehicle
WO2011046304A3 (ko) * 2009-10-13 2011-09-15 Park Nam-Young 자동차용 안전벨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336656B1 (en) * 1997-03-31 2002-01-08 Simula, Inc. Inflatable tubular torso restraint system with pivoting upper anchor point attachment
US6446910B1 (en) * 2000-09-25 2002-09-10 East/West Industries, Inc. Seat with self-adjusting shoulder harness
US6869104B2 (en) 2003-02-06 2005-03-22 Daimlerchrysler Corporation Motorized adjustment of seat belt anchor position
JP4425065B2 (ja) * 2004-06-08 2010-03-03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バックルプリテンショナ装置
US7364200B2 (en) * 2005-09-12 2008-04-29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Vehicle seatbelt restraining apparatus
DE602008006366D1 (de) * 2008-05-14 2011-06-01 Ford Global Tech Llc Sicherheitsgurtsystem für ein Fahrzeug
US8371425B2 (en) * 2008-10-30 2013-02-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ynamic displacement energy management device
US8419127B1 (en) * 2009-12-11 2013-04-16 Armorworks Enterprises LLC. Moveable seatbelt support
JP5724862B2 (ja) * 2011-12-12 2015-05-27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シートベルト装置を備えた車両用シート
CN103879370A (zh) * 2012-12-22 2014-06-25 梁天宇 一种安全带辅助支架
US10604259B2 (en) 2016-01-20 2020-03-31 Amsafe, Inc. Occupant restraint systems having extending restraint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DE102016212010B4 (de) 2016-07-01 2021-03-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Kraftfahrzeug mit verbessertem Umlenkglied einer Dreipunktsicherheitsgurteinrichtung
JP6768829B2 (ja) * 2016-12-01 2020-10-14 オートリブ ディベロップメント エービー シートベルト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車両用シート
US10688959B2 (en) * 2018-07-26 2020-06-23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Vehicle occupant restraint system for wheelchair users and vehicle incorporating the system
ES2799475B2 (es) * 2019-06-12 2021-06-18 Sumcab Inversiones S L Sistema de retencion confortabl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206329C2 (de) * 1972-02-10 1984-06-14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Kopfstütze für Kraftfahrzeugsitze
DE2360702B2 (de) * 1973-12-06 1976-05-20 Adam Opel AG, 6090 Rüsselsheim Sicherheitsgurtanordnung fuer fahrzeuge, insbesondere personenkraftfahrzeuge
DE2458549A1 (de) * 1974-12-11 1976-06-16 Volkswagenwerk Ag Sicherheitseinrichtung fuer fahrzeuge, insbesondere kraftfahrzeuge
JPS6025295B2 (ja) * 1981-01-30 1985-06-17 日産車体株式会社 パツシブシ−トベルト装置
US4416647A (en) * 1981-05-26 1983-11-22 Dayco Corporation Belt tensioner
US4549770A (en) * 1984-08-06 1985-10-29 General Motors Corporation Belt clamping guide loop
DE3432641A1 (de) * 1984-09-05 1991-09-12 Bayerische Motoren Werke Ag Gurtband-klemmeinrichtung fuer sicherheitsgurte in kraftfahrzeugen
SE458916B (sv) * 1988-05-04 1989-05-22 Gen Engineering Bv Spaerranordning vid foerstraeckare foer saekerhetsselen i fordon
DE68924308T2 (de) * 1988-07-11 1996-04-04 Akzo Nobel Nv Pyridazinon-Derivate.
DE3837170A1 (de) * 1988-11-02 1990-05-17 Opel Adam Ag Verstellbarer, mit einer feststellvorrichtung versehener kraftfahrzeugsitz
DE19540395C2 (de) * 1995-10-30 1998-06-04 Daimler Benz Ag Sitz für Fahrzeuge
SE506221C2 (sv) * 1996-03-11 1997-11-24 Volvo Ab Anordning vid säkerhetsbälten
DE19614730C1 (de) * 1996-04-15 1997-06-19 Daimler Benz Ag Gurtkraftbegrenzer für einen Fahrzeugsicherheitsgurt
US5743597A (en) * 1996-05-07 1998-04-28 Indiana Mills And Manufacturing, Inc. Pivotable laterally moveable belt mount
US5823627A (en) * 1997-04-11 1998-10-20 General Motors Corporation Vehicle seat with integral, load limiting belt system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8066565A1 (en) * 2006-11-29 2008-06-05 Key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system for a motor vehicle
US7703806B2 (en) 2006-11-29 2010-04-27 Key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system for a motor vehicle
WO2011046304A3 (ko) * 2009-10-13 2011-09-15 Park Nam-Young 자동차용 안전벨트
US8783782B2 (en) 2009-10-13 2014-07-22 Nam-Young Park Safety belt for a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276721B1 (en) 2001-08-21
EP1263630A1 (en) 2002-12-11
AR032746A1 (es) 2003-11-26
JP2003526566A (ja) 2003-09-09
WO2001068417A9 (en) 2002-02-21
EP1263630A4 (en) 2003-09-03
WO2001068417A1 (en) 2001-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20081436A (ko) 피봇팅 좌석 벨트 상부 앵커 지점 부착
EP1719671B1 (en) Buckle assembly
US5441332A (en) Seat integrated vehicle safety apparatus
EP0447364B1 (en) Seat integrated seat belt system
EP0597692B1 (en) Vehicle seat assembly with rotating seat back panel and integral child seat
US4655503A (en) Vehicular seat
US7472963B2 (en) Recliner lever assembly for a front seat of a vehicle
US6113191A (en) Storable seat assembly
US7364200B2 (en) Vehicle seatbelt restraining apparatus
WO2005102112A2 (en) Adjustable height vehicle seat bottom
US10543806B2 (en) Seatbelt assembly
US5590907A (en)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and system
EP0120844B1 (en) Seat belt positioning device
US5401072A (en) Tethered seat back for preventing rearward movement of a seat back during a vehicle rear-end collision
US6520588B1 (en) Seat belt guide
US20190263351A1 (en) Seatbelt assembly
CA2504464C (en) Seat assembly with tunable tie bar
US7497474B2 (en) Cross-car adjustable strap buckle
JPS6027714Y2 (ja) シ−トベルトリトラクタ−
JP2778401B2 (ja) シートベルト付きシート
JPH0434122Y2 (ko)
JP2727913B2 (ja) シートベルト付きシート
US4264091A (en) Anchorage system for restraint belt
JP3616486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H0724293Y2 (ja) 自動車の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