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9484B1 - 김부각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김부각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9484B1
KR101369484B1 KR1020120072955A KR20120072955A KR101369484B1 KR 101369484 B1 KR101369484 B1 KR 101369484B1 KR 1020120072955 A KR1020120072955 A KR 1020120072955A KR 20120072955 A KR20120072955 A KR 20120072955A KR 101369484 B1 KR101369484 B1 KR 1013694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arnish
roller
manufacturing apparatus
gimbuga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9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5513A (ko
Inventor
최영수
Original Assignee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729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9484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5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5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94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94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20Making of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e.g. by wrapping in preformed edible dough sheets or in edible food contai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05Coating with compositions containing vegetable or microbial fermentation gums, e.g. cellulose or derivatives; Coating with edible polymers, e.g. polyvinyalcohol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PSHAPING OR WORKING OF FOODSTUFFS, NOT FULLY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A23P20/00Coating of foodstuffs; Coatings therefor; Making laminated, multi-layered, stuffed or hollow foodstuffs
    • A23P20/10Coating with edible coatings, e.g. with oils or fats
    • A23P20/12Apparatus or processes for applying powders or particles to foodstuffs, e.g. for breading; Such apparatus combined with means for pre-moistening or batteri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Edible Seaweed (AREA)

Abstract

김부각(KIMBUGAK) 제조장치는, 김을 이송하는 이송유닛,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김의 상면에 풀칠을 수행하기 위한 풀칠유닛, 및 풀칠된 김의 상면에 고명을 살포하기 위한 고명살포유닛(garnish scattering unit)을 포함하고, 이송유닛에 의해 김이 이송되는 동안 풀칠 공정 및 고명 살포 공정이 자동화로 진행된다.

Description

김부각 제조장치{APPARATUS FOR MANUFACTURING KIMBUGAK}
본 발명은 김부각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김부각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김부각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전통식품의 산업화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전통식품 중 하나로서, 명절이나 혼례식에 주로 사용되는 우리나라 전통식품인 김부각(Kimbugak)은 생활수준의 향상과 더불어 그 수요가 점차 늘어가고 있다.
일반적으로 김부각은 한 장의 김에 풀칠을 한 후, 다른 한 장의 김을 덧붙인 다음, 그 위에 다시 풀칠을 하고, 고명을 뿌린 후 건조하는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김부각 제조에 필요한 거의 모든 공정이 재래방식인 수작업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어려워 표준화가 어렵고, 대량생산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김부각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하고, 제품의 균일성을 확보하기 위한 여러 가지 검토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미흡하여 이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김부각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김부각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특히, 본 발명은 김부각의 제조 공정인 풀칠 공정 및 고명 살포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는 김부각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김부각 제조에 필요한 노동력 및 시간을 절감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이 가능한 김부각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김부각 제품의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품질 균일성 및 식품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김부각 제조장치를 제공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김부각(KIMBUGAK) 제조장치는, 김을 이송하는 이송유닛,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김의 상면에 풀칠을 수행하기 위한 풀칠유닛, 및 풀칠된 김의 상면에 고명을 살포하기 위한 고명살포유닛(garnish scattering unit)을 포함하고, 이송유닛에 의해 김이 이송되는 동안 풀칠 공정 및 고명 살포 공정이 자동화로 진행된다.
이송유닛으로 공급되는 김으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김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이송유닛에는 단 한장으로 이루어진 건조김이 낱장 단위로 공급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 김부각 제조 방식으로 두장의 건조김이 별도의 풀칠 공정에 의해 덧붙혀진 상태로 이송유닛에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송유닛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김을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이송유닛은 일정 이송 경로를 순환하면서 김을 이송하는 이송와이어, 및 이송와이어의 순환 궤적을 정의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이송롤러의 회전에 의해 이송와이어가 순환함에 따라 김이 이송와이어에 실려진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이송유닛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직선 형태의 이송 경로 또는 경사지거나 곡선 형태의 이송 경로를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롤러의 외주면에는 수용홈에 형성될 수 있고, 이송와이어는 수용홈에 수용될 수 있다.
풀칠유닛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풀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풀칠유닛은 풀을 공급하는 풀 공급부, 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풀을 김의 상면에 도포하는 도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풀로서는 김부각 제조에 사용 가능한 다양한 풀이 사용될 수 있으며, 풀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풀로서는 통상의 찹쌀풀이 사용될 수 있다.
도포부는 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풀을 김의 상면에 도포하도록 구성되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붓칠식, 분사식, 롤러식 등과 같은 방식으로 김의 상면에 풀을 도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도포부는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되는 김의 상면에 접촉 가능하게 제공되는 도포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풀은 도포롤러로 공급된 후, 도포롤러의 회전시 도포롤러에 공급된 풀이 김의 상면에 도포될 수 있다. 아울러, 도포롤러는 김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도포롤러는 복수개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으며, 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풀은 최상단에 제공되는 도포롤러에 공급된 후, 도포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다른 도포롤러로 균일하게 펴진 상태로 전달된 후 최종적으로 김이 도포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개의 도포롤러는 상호 마찰력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포롤러의 구동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도포부는 도포롤러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며 일정 경로를 순환하는 구동와이어, 및 구동와이어의 순환 궤적을 정의하는 구동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롤러에 의해 구동와이어가 순환함에 따라 구동와이어와 도포롤러간의 마찰에 의해 도포롤러가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포부는 도포롤러가 접촉되는 김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풀 공급부는 도포롤러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풀 배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풀은 낙하하여 도포롤러로 공급될 수 있다.
고명살포유닛은 고명을 살포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고명살포유닛은 통상의 점뿌림 또는 흩어뿌림 방식으로 고명을 살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점뿌림이라 함은 특정 부위에 집중적으로 고명이 뿌려지는 방식을 의미하고, 흩어뿌림이라 함은 전체 부위에 고르게 고명이 뿌려지는 방식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방식으로 고명을 살포할 수 있으며, 살포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고명(garnish)으로서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고명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고명으로서는 참깨, 잣, 호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명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고명살포유닛은 고명이 저장되는 고명저장부, 및 고명저장부로부터 고명을 일정 주기로 살포하는 살포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살포부는 고명저장부에 저장된 고명을 일정 주기로 살포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살포부는 고명저장부의 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외주면에 이격되게 복수개의 고명수용홈이 형성된 살포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이송유닛의 하부에는 김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고명을 수거하기 위한 고명수거부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김부각 제조장치는 상기 이송유닛을 따라 이송되는 김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감지센서에서 센싱된 신호는 풀칠유닛 또는 고명살포유닛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감지센서로서는 통상의 포토 센서, 빔 센서 및 접촉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풀칠유닛 및 고명살포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를 포함할 수 있으며, 타이머는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에 따르면, 김부각의 제조 공정을 자동화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르면 풀칠 공정 및 고명 살포 공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함으로써, 김부각 제조에 필요한 노동력,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대량생산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김부각 제품의 표준화에 기여할 수 있으며, 품질 균일성 및 식품 위생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김부각 제조 공정 중 하나인 김덧붙이기 공정을 배제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단 한번의 풀칠 공정만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김부각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으며,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로서, 이송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로서, 풀칠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로서, 고명살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에 의한 김부각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본 설명에서 동일한 번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요소를 지칭하며, 이러한 규칙 하에서 다른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인용하여 설명할 수 있고, 당업자에게 자명하다고 판단되거나 반복되는 내용은 생략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를 도시한 정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로서, 이송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로서, 풀칠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로서, 고명살포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에 의한 김부각 제조공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는 이송유닛, 풀칠유닛, 고명살포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이송유닛(100)은 김을 일정 이송 경로를 따라 이송하기 위해 제공되며, 이송유닛(100)에 의해 김이 이송되는 동안 후술할 풀칠유닛(200) 및 고명살포유닛(300)에 의해 풀칠 공정 및 고명 살포 공정이 수행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이송유닛(100)으로의 김 공급은 통상의 김 공급기를 통해 자동 또는 반자동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김 공급기의 구조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해 이송유닛으로 김을 공급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아울러, 상기 이송유닛(100)으로 공급되는 김으로서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김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송유닛(100)에는 단 한장으로 이루어진 건조김이 낱장 단위로 공급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송유닛(100)에 21㎝ * 9㎝의 규격을 가지며, 1장당 2.5g 이상의 무게를 갖는 건조김이 낱장 단위로 공급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러한 건조김의 규격 및 무게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기존 김부각 제조 방식으로 두장의 건조김이 별도의 풀칠 공정에 의해 덧붙혀진 상태로 이송유닛에 공급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단 한장으로 이루어진 건조김을 이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식은 고명을 뿌리기 전에 단 한번만 풀칠 공정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기존 방식에 비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즉, 기존 김부각 제조 방식은 1차 풀칠 공정에 의해 두장의 건조김을 덧붙인후, 고명을 뿌리기전에 2차 풀칠 공정을 수행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능률을 향상시키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단 한장으로 이루어진 건조김을 이용하여 김부각을 제조하는 방식은 단 한번의 풀칠 공정을 수행하면 되기 때문에 제조 공정을 단순화하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유닛(10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김을 이송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이송유닛(100)은 일정 이송 경로를 순환하면서 김을 이송하는 이송와이어(110), 및 상기 이송와이어(110)의 순환 궤적을 정의하는 이송롤러(1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이송롤러(120)의 회전에 의해 이송와이어(110)가 순환함에 따라 김이 이송와이어(110)에 실려진 상태로 이송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송와이어(110) 및 이송롤러(120)로 이루어진 두개의 이송유닛(100)이 상호 협조적으로 직선 형태의 이송 경로를 정의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아울러, 각 이송유닛(100)의 서로 인접한 이송롤러에는 다른 이송와이어(미도시)가 연결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 하나의 이송유닛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송유닛의 개수 및 배치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이송와이어(110)가 직선 형태의 이송 경로를 정의하도록 구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송와이어가 경사지거나 곡선 형태의 이송 경로를 정의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이송와이어(110)는 이송롤러(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송롤러(12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4개의 이송와이어(110)가 배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이송와이어(110)로서는 우레탄 재질의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여타 다른 재질이 사용될 수도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복수개의 이송와이어(110)가 사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이송와이어 대신 컨베이어 벨트를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송와이어(110)의 배치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상기 이송롤러(120)의 외주면에는 수용홈(122)에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이송와이어(110)는 수용홈(12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풀칠유닛(200)은 이송유닛(100)에 의해 이송되는 김의 상면에 풀칠을 수행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풀칠유닛(200)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풀칠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풀칠유닛(200)은 풀을 공급하는 풀 공급부(210), 상기 풀 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된 풀을 김의 상면에 도포하는 도포부(2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참고로, 상기 풀로서는 김부각 제조에 사용 가능한 다양한 풀이 사용될 수 있으며, 풀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풀로서는 통상의 찹쌀풀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풀 공급부(210)는 풀이 저장되는 호퍼(미도시), 및 상기 호퍼로부터 풀을 일정 주기로 공급하기 위한 실린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실린더로서는 통상의 에어실린더(214)가 사용될 수 있으며, 상기 에어실린더(214)는 후술할 감지센서(400)에 센싱되는 신호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 공급부(210)는 후술할 도포롤러(222)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의 배출공(212a)이 형성된 풀 배출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실린더(214)를 통해 풀 배출부재(212)로 공급된 풀은 배출공(212a)을 통해 배출될 수 있으며, 상기 배출공(212a)으로부터 배출된 풀은 낙하하여 도포롤러(222)로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도포부(220)는 풀 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된 풀을 김의 상면에 도포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포부(220)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붓칠식, 분사식, 롤러식 등과 같은 방식으로 김의 상면에 풀을 도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포부(220)는 이송유닛(100)을 통해 이송되는 김의 상면에 접촉 가능하게 제공되는 도포롤러(2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풀 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된 풀은 도포롤러(222)로 공급된 후, 도포롤러(222)의 회전시 도포롤러(222)에 공급된 풀이 김의 상면에 도포될 수 있다.
상기 도포롤러(222)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포롤러(222)가 김에 탄성적으로 접촉 가능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일 예로, 상기 도포롤러(222)는 일종의 스펀지와 같이 탄성 변형 가능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포롤러(222)에 공급된 풀은 도포롤러(222)에 의해 가압되며 균일하게 펴지도록 김에 도포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도포롤러(222)는 복수개가 서로 밀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2개의 도포롤러(222)가 상하 방향을 따라 서로 밀착되게 배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단 하나의 도포롤러가 사용되거나, 3개 이상의 도포롤러가 사용될 수 있으며, 도포롤러의 개수 및 배치구조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풀 공급부(210)로부터 공급된 풀은 최상단에 제공되는 도포롤러(222)에 공급된 후, 도포롤러(222)가 회전함에 따라 다른 도포롤러(222)로 균일하게 펴진 상태로 전달된 후 최종적으로 김이 도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개의 도포롤러(222)는 상호 마찰력에 의해 서로 연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도포롤러(222) 중 특정 도포롤러(222)가 회전함에 따라 인접한 다른 도포롤러(222)도 마찰력에 의해 연동되며 회전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는 복수개의 도포롤러가 각각 독립적으로 별도의 구동수단에 의해 회전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도포롤러(222)의 구동 방식은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도포부(220)는 도포롤러(222)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며 일정 경로를 순환하는 구동와이어(226), 및 상기 구동와이어(226)의 순환 궤적을 정의하는 구동롤러(228)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구동롤러(228)에 의해 구동와이어(226)가 순환함에 따라 구동와이어(226)와 도포롤러(222)간의 마찰에 의해 도포롤러(222)가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이송롤러(120) 및 이송와이어(110)와 유사한 방식으로, 구동롤러(228)의 외주면에는 수용홈(228a)에 형성될 수 있고, 구동와이어(226)는 수용홈(228a)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구동와이어(226)는 도포롤러(222)를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수단의 역할을 수행함과 동시에, 도포롤러(222)로부터 김을 분리시키기 위한 분리수단을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도포롤러(222)를 이용하여 김의 상면에 풀을 도포할 시, 풀에 의한 접착력에 의해 김이 도포롤러(222)의 표면에 들러붙을 수 있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도포롤러(222)에 의해 김의 상면에 풀이 도포된 후 김의 상면은 구동와이어(226)에 의해 지지될 수 있기 때문에, 풀칠 시 도포롤러(222)에 표면에 김이 들러붙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포부(220)는 도포롤러(222)가 접촉되는 김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224)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롤러(224)는 도포롤러(222)의 하부에 제공되어, 도포롤러(222)가 김의 상면에 접촉될 시 김의 저면이 지지될 수 함으로써, 풀이 보다 균일하게 도포될 수 있게 한다. 아울러, 상기 풀칫유닛에 의한 풀칠량은 김의 이송속도 및 도포롤러의 직경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상기 고명살포유닛(garnish scattering unit)(300)은 풀칠된 김의 상면에 고명을 살포하기 위해 제공된다. 상기 고명살포유닛(300)은 고명을 살포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명살포유닛(300)은 통상의 점뿌림 또는 흩어뿌림 방식으로 고명을 살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점뿌림이라 함은 특정 부위에 집중적으로 고명이 뿌려지는 방식을 의미하고, 흩어뿌림이라 함은 전체 부위에 고르게 고명이 뿌려지는 방식을 의미한다. 경우에 따라서는 여타 다른 방식으로 고명을 살포할 수 있으며, 살포 방식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참고로, 상기 고명(garnish)으로서는 요구되는 조건에 따라 다양한 고명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고명으로서는 참깨, 잣, 호두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고명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상기 고명살포유닛(300)은 고명이 저장되는 고명저장부(310), 및 상기 고명저장부(310)로부터 고명을 일정 주기로 살포하는 살포부(32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고명저장부(310)는 고명이 저장되는 호퍼를 포함할 수 있으며, 호퍼의 하단부에는 고명이 배출되기 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호퍼의 형상 및 구조는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살포부(320)는 고명저장부(310)에 저장된 고명을 일정 주기로 살포 가능한 다양한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살포부(320)는 고명저장부(310)의 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외주면에 이격되게 복수개의 고명수용홈(322a)이 형성된 살포롤러(32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살포롤러(322)의 외주면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이격되게 12개의 고명수용홈(322a)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고명수용홈(322a)은 고명의 종류 및 특성에 따라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해, 상기 호퍼의 내부에 배치되는 고명수용홈(322a)에는 고명이 수용될 수 있고, 상기 살포롤러(322)가 회전함에 따라, 고명이 수용된 고명수용홈(322a)이 호퍼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외부로 노출되는 고명수용홈(322a)에 수용된 고명이 호퍼의 하부에서 이송되는 김의 상면에 살포될 수 있다. 상기 고명의 살포량은 김의 이송속도, 살포롤러(322)의 회전 속도 및 고명수용홈(322a)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제어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송유닛(100)의 하부에는 김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고명을 수거하기 위한 고명수거부(600)가 제공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김부각 제조장치는 상기 이송유닛(100)을 따라 이송되는 김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센서(4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센서(400)로서는 통상의 포토 센서, 빔 센서 및 접촉센서 등이 사용될 수 있으며, 센서의 종류 및 특성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에서는 상기 감지센서(400)로서 발광부(410) 및 수광부(420)를 포함하는 포토센서가 사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감지센서(400)에서 센싱된 신호는 풀칠유닛(200) 또는 고명살포유닛(300)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감지센서(400)를 이용하여 이송유닛(100)에 의해 이송되는 김의 통과 회수를 카운트할 수 있으며, 이 카운트 신호를 이용하여 풀 공급부(210)의 실린더의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센서(400)는 이송되는 김의 통과 여부를 감지하여 고명살포유닛(300)의 살포롤러(322)의 구동모터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풀칠유닛(200) 및 고명살포유닛(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50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타이머(500)는 감지센서(400)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연계되어 작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타이머(500)는 전술한 카운트 신호에 의한 풀 공급부(210)의 실린더의 구동모터의 작동이 설정된 시간만큼만 이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고, 상기 감지센서(400)가 이송되는 김의 통과 여부를 감지함에 따른 고명살포유닛(300)의 살포롤러(322)의 구동모터의 구동이 설정된 시간만큼만 이루어지도록 조절할 수 있다.
한편, 고명 살포 공정까지 완료된 김부각은 통상의 건조장치를 통해 건조될 수 있으며, 그 후 절단 및 포장 공정 등을 거쳐 출하될 수 있다.
전술 및 도시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풀 공급부의 호퍼로부터 풀을 일정 주기로 공급하기 위해 에어실린더가 사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요구되는 조건 및 설계 사양에 따라 여타 다른 공급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호퍼로부터 풀을 풀 배출부재(212)로 공급하기 위해 정량 펌프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량 펌프는 풀을 정량으로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풀의 도포량을 보다 균일하고 정확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이하에서는 정량펌프로서 튜브펌프(214')가 사용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튜브펌프(214')는 튜브(215) 및 펌핑부(2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펌핑부(216)는 원통형 내주벽을 갖는 펌프케이스(217), 모터의 회전축에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튜브(215)를 펌프케이스(217)의 내주벽으로 압착하는 롤러(218b)를 구비하는 로터(2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모터의 회전축이 회전함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지지판(218a)에 의해 롤러(218b)가 튜브(215)를 펌프케이스(217)의 내주벽으로 압착하는 상태로 회전하며 튜브(215) 상의 풀이 흡입, 포집, 배출과정을 통해 공급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튜브펌프(214')를 통해 풀 배출부재(212)로 공급된 후 도포롤러(222)로 낙하된 풀은, 3개의 도포롤러(222)를 통해 전달되면서 균일하게 펴진 상태로 김에 도포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이송유닛 200 : 풀칠유닛
300 : 고명살포유닛 400 : 감지센서

Claims (16)

  1. 김부각(KIMBUGAK) 제조장치에 있어서,
    김을 이송하는 이송유닛;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김의 상면에 풀칠을 수행하기 위한 풀칠유닛;
    풀칠된 상기 김의 상면에 고명을 살포하기 위한 고명살포유닛(garnish scattering unit); 및
    상기 이송유닛을 따라 이송되는 상기 김을 감지하는 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센서에서 센싱되는 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풀칠유닛 및 상기 고명살포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제어 가능하며,
    상기 이송유닛에 의해 상기 김이 이송되는 동안 풀칠 공정 및 고명 살포 공정이 자동화로 진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유닛은,
    일정 이송 경로를 순환하면서 상기 김을 이송하는 이송와이어; 및
    상기 이송와이어의 순환 궤적을 정의하는 이송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롤러의 회전에 의해 상기 이송와이어가 순환함에 따라 상기 김이 이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롤러의 외주면에는 수용홈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와이어는 상기 수용홈에 수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칠유닛은;
    풀을 공급하는 풀 공급부; 및
    상기 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풀을 상기 김의 상면에 도포하는 도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풀 공급부는 정량펌프 및 에어실린더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풀을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이송유닛을 통해 이송되는 상기 김의 상면에 접촉 가능하게 제공되는 도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풀 공급부로부터 공급된 풀은 상기 도포롤러로 공급되고, 상기 도포롤러의 회전시 상기 도포롤러에 공급된 풀이 상기 김의 상면에 도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롤러는 서로 밀착된 상태로 회전 가능하게 복수개가 제공되며,
    복수개의 상기 도포롤러는 상호 마찰력에 의해 서로 연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롤러는 상기 김에 탄성 접촉 가능한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도포롤러가 접촉되는 상기 김의 저면을 지지하는 가이드롤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도포부는,
    상기 도포롤러에 밀착되도록 배치되며, 일정 경로를 순환하는 구동와이어; 및
    상기 구동와이어의 순환 궤적을 정의하는 구동롤러;를 더 포함하고,
    상기 구동와이어가 순환함에 따라 상기 구동와이어와 상기 도포롤러 간의 마찰에 의해 상기 도포롤러가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11.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풀 공급부는,
    상기 도포롤러와 나란하게 배치되며, 길이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복수개의 배출공이 형성된 풀 배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배출공으로부터 배출된 풀은 낙하하여 상기 도포롤러로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명살포유닛은,
    고명이 저장되는 고명저장부; 및
    상기 고명저장부로부터 상기 고명을 일정 주기로 살포하는 살포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살포부는,
    상기 고명저장부의 출구에 회전 가능하게 회전 가능하게 제공되며, 외주면에 이격되게 복수개의 고명수용홈이 형성된 살포롤러를 포함하고,
    상기 살포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상기 고명이 수용된 상기 고명수용홈이 상기 고명저장부의 외부로 노출되면, 상기 고명수용홈에 수용된 상기 고명이 상기 김에 살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14. 삭제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풀칠유닛 및 상기 고명살포유닛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타이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머는 상기 감지센서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김의 외측으로 낙하되는 고명을 수거하기 위한 고명수거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부각 제조장치.
KR1020120072955A 2012-07-04 2012-07-04 김부각 제조장치 KR1013694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955A KR101369484B1 (ko) 2012-07-04 2012-07-04 김부각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955A KR101369484B1 (ko) 2012-07-04 2012-07-04 김부각 제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513A KR20140005513A (ko) 2014-01-15
KR101369484B1 true KR101369484B1 (ko) 2014-03-03

Family

ID=50140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955A KR101369484B1 (ko) 2012-07-04 2012-07-04 김부각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9484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466A (ko) 2017-06-23 2019-01-03 오성섭 김부각 제조장치
KR20200043745A (ko) 2018-10-18 2020-04-28 이혁렬 김부각 제조장치
KR20210014560A (ko) 2020-02-27 2021-02-09 이청석 김부각 제조장치
KR102215575B1 (ko) 2020-11-20 2021-02-15 (주)지씨에스 김부각 찹쌀풀 균일 도포 보조장치
KR20220075950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참코청하 김부각 제조기
KR20230128709A (ko) 2022-02-28 2023-09-05 양태용 김부각 제조 시스템
KR20230128761A (ko) 2022-02-28 2023-09-05 양태용 김부각 커팅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7188B1 (ko) * 2014-03-05 2015-07-15 주식회사 엔에스푸드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
KR101417715B1 (ko) * 2014-03-05 2014-07-09 주식회사 엔에스테크 김 스낵 제조장치
KR101676825B1 (ko) * 2014-07-24 2016-11-17 강신탁 김스넥 자동제조장치용 재료투입장치
KR101663872B1 (ko) * 2014-10-02 2016-10-10 김병문 김 스낵과 그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
KR101908636B1 (ko) * 2016-10-20 2018-10-17 손수현 김의 훼손방지가 가능한 김 제조장치의 전사롤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591Y1 (ko) 2002-05-28 2002-08-13 김기문 해태 조미기
KR200419585Y1 (ko) * 2006-04-04 2006-06-22 (주)대명건해 건조 음식이 구비된 김과 그 제조장치
JP2009284788A (ja) * 2008-05-28 2009-12-10 Makoto Suzuki 海苔の調味液塗布装置
KR100954434B1 (ko) 2010-01-26 2010-04-27 김기문 조미김 가공용 향유 도포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5591Y1 (ko) 2002-05-28 2002-08-13 김기문 해태 조미기
KR200419585Y1 (ko) * 2006-04-04 2006-06-22 (주)대명건해 건조 음식이 구비된 김과 그 제조장치
JP2009284788A (ja) * 2008-05-28 2009-12-10 Makoto Suzuki 海苔の調味液塗布装置
KR100954434B1 (ko) 2010-01-26 2010-04-27 김기문 조미김 가공용 향유 도포장치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00466A (ko) 2017-06-23 2019-01-03 오성섭 김부각 제조장치
KR20200043745A (ko) 2018-10-18 2020-04-28 이혁렬 김부각 제조장치
KR20210014560A (ko) 2020-02-27 2021-02-09 이청석 김부각 제조장치
KR102215575B1 (ko) 2020-11-20 2021-02-15 (주)지씨에스 김부각 찹쌀풀 균일 도포 보조장치
KR20220075950A (ko) 2020-11-30 2022-06-08 주식회사 참코청하 김부각 제조기
KR20230128709A (ko) 2022-02-28 2023-09-05 양태용 김부각 제조 시스템
KR20230128761A (ko) 2022-02-28 2023-09-05 양태용 김부각 커팅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513A (ko) 2014-0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9484B1 (ko) 김부각 제조장치
CN207238383U (zh) 圆柱电池盖帽外涂胶设备
US3048132A (en) Seed pellet dispenser and planter
CN104859892A (zh) 用于药片的配料装置和用于药片的配料的方法
CN209331074U (zh) 水果筛分和保鲜涂膜机
CN111232284B (zh) 一种面条分装称重系统
CN105361081A (zh) 花生生产线
CN107668110B (zh) 均布装置
CN204820755U (zh) 一种环保型纸制铅笔加工制造全自动设备生产线
CN110026331B (zh) 一种全自动马铃薯分级机
CN105241226B (zh) 一种禽类粪便的干燥系统
KR101836814B1 (ko) 멍게 자동 선별용 세척 및 정렬장치
KR101437294B1 (ko) 식품용 가루코팅장치
CN210682282U (zh) 一种种子定量运输装置
CN111011416B (zh) 一种面叶装箱前处理设备
KR100723933B1 (ko) 소보로 빵의 제조장치
RU2623468C1 (ru) Линия для дражирования опушенных семян
US3999650A (en) Apparatus for spreading comminuted material on a transport band
CN108482724B (zh) 盖体供料机构
CN110270505A (zh) 翻转式浙贝母分选机
CN210445543U (zh) 一种茶叶烘干筛选装置
JP4547057B2 (ja) 果菜選別装置における果菜送り出し機構
CN218231054U (zh) 一种自动传输机的自动上料机构
JPH0427345Y2 (ko)
CN218245567U (zh) 一种物料上糠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