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7188B1 -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7188B1
KR101537188B1 KR1020140025830A KR20140025830A KR101537188B1 KR 101537188 B1 KR101537188 B1 KR 101537188B1 KR 1020140025830 A KR1020140025830 A KR 1020140025830A KR 20140025830 A KR20140025830 A KR 20140025830A KR 101537188 B1 KR101537188 B1 KR 101537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y additive
plate
pusher
pusher plate
d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8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경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푸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푸드
Priority to KR10201400258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7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7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7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5/00Food consisting mainly of nutmeat or seed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eds, Soups, And Other Foo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김 스낵과 같은 식품을 생산할 때 원료로 사용되는 건조 첨가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에 관한 기술로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이며, 일측면 하단 근처에 개구된 작동슬롯이 형성되는 건조 첨가물 저장소; 상기 건조 첨가물 저장소의 하단 근처 내부에 고정되며, 복수의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타공판; 상기 작동슬롯에 끼워져 전후진 동작되며, 상기 타공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푸셔판을 포함하는 제1푸셔 유닛; 상기 타공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전후진 동작되는 제2푸셔판을 포함하는 제2푸셔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푸셔판과 상기 제2푸셔판이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제1푸셔판을 후퇴시킴으로써 건조 첨가물이 상기 타공판의 배출구멍으로 유입되게 한 다음, 상기 제1푸셔판을 다시 전진시키고 상기 제2푸셔판은 후퇴되게 함으로써 상기 배출구멍을 통해 상기 건조 첨가물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DRIED ADDITIVE SUPPLYING APPARATUS}
본 발명은 김 스낵과 같은 식품을 생산할 때 원료로 사용되는 건조 첨가물을 자동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김에는 인체에 유익한 많은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좋아하며, 다양한 음식에 사용된다. 특히, 김은 반찬류, 안주류, 간식거리로 많이 활용된다.
한편, 김과 김 사이에 땅콩, 깨와 같은 건조 첨가물을 넣어서 먹기에 편하도록 제공되는 제품이 있다. 흔히, 김 스낵(김 부각이라 부르기도 함)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김 가공 제품은 주로 수작업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김 자체가 얇아 다루기 어렵기 때문에 김 스낵 제조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7737호(2002년10월08일 등록)의 "김의 사이에 식품이 부착된 이중김 및 그 제조방법"이 있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김의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의 제조방법은 먼저, 김을 180-250℃ 온도에서 전기구이하는 단계와, 솔비톨 8-10 중량%, 올리고당 80-85 중량%, 설탕 5 중량%, 덱스트린 2-5 중량%의 혼합물인 접착성 조성물 100중량%을 하부 김의 내면에 도포하고 바나나, 참깨, 호박씨, 해바라기씨, 땅콩, 편강, 쇠고기포, 오징어포, 살구, 북어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부에 김으로 덧씌우기 하여 40-60℃ 온도에서 10시간 건조한 후 절단하고 방습제를 넣어 포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종래기술과 같은 수작업에 의한 이중김 제조방법은 생산성이 낮아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제품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특히, 참깨나 아몬드 슬라이스 등과 같은 건조 첨가물을 수작업으로 공급하는 것은 작업 시간도 오래걸리고 공급되는 양도 일정치 않아 개선의 필요성이 크다고 할 것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7737호(2002년10월08일 등록)
본 발명은 김 스낵과 같은 식품을 제조할 때 첨가되는 건조 첨가물을 균일하면서도 일정한 양만큼 자동적으로 공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고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이며, 일측면 하단 근처에 개구된 작동슬롯이 형성되는 건조 첨가물 저장소; 상기 건조 첨가물 저장소의 하단 근처 내부에 고정되며, 복수의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타공판; 상기 작동슬롯에 끼워져 전후진 동작되며, 상기 타공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푸셔판을 포함하는 제1푸셔 유닛; 상기 타공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전후진 동작되는 제2푸셔판을 포함하는 제2푸셔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푸셔판과 상기 제2푸셔판이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제1푸셔판을 후퇴시킴으로써 건조 첨가물이 상기 타공판의 배출구멍으로 유입되게 한 다음, 상기 제1푸셔판을 다시 전진시키고 상기 제2푸셔판은 후퇴되게 함으로써 상기 배출구멍을 통해 상기 건조 첨가물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는, 상기 작동슬롯이 형성되는 상기 건조 첨가물 저장소의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대가 마련되며, 상기 설치대는 베드 위에 고정되고, 상기 건조 첨가물 저장소는 매달린 상태가 되고, 상기 설치대의 후방측에 상기 제1푸셔판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푸셔판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2액츄에이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는 자동적으로 건조 첨가물을 공급할 수 있으며, 특히 균일하면서도 일정한 양 만큼의 건조 첨가물을 공급함으로써 제품의 품질을 높일 수 있고,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의 사용 상태도.
도 3은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의 확대도.
도 4는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의 사진.
본 발명에 의한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가능한 구체적인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즉, 제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는 김 스낵(흔히 김 부각이라 함)과 같은 식품을 생산할 때 첨가되는 건조 첨가물을 자동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며, 건조 첨가물은 참깨로부터 땅콩, 각종 씨앗류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는 김 스낵을 제조하는 과정 중에 건조 첨가물을 공급하는 경우를 보여주는 것이나, 비단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식품 제조시 건조 첨가물을 자동 공급하는 경우에 모두 적용이 가능하다.
여기서 언급되는 김 스낵은 한 장의 김위에 건조 첨가물을 고르게 흩뿌린 후 그 위에 또 다른 한 장의 김을 덮어서 제공되는 것을 의미한다.
첨부되는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의 사용 상태도이며, 도 3은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의 확대도이고, 도 4는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의 사진을 보여준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한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는, 크게 건조 첨가물 저장소(100), 타공판(200), 제1푸셔 유닛(300), 제2푸셔 유닛(4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건조 첨가물 저장소(10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이루며 일측면 하단 근처에 개구된 작동슬롯(110)이 형성된다.
건조 첨가물 저장소(100)는 자동 이송 유닛의 테이블(10)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며, 이를 위해 작동슬롯(110)이 형성되는 건조 첨가물 저장소(100)의 후방측으로 설치대(500)가 돌출되게 연결되며, 설치대(500)는 베드(20) 위에 고정되고, 건조 첨가물 저장소(100)는 매달린 상태가 되어 테이블(1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건조 첨가물 저장소(100)의 하단 근처 내부에 타공판(200)이 설치되며, 타공판(200)에는 복수의 배출구멍(210)이 형성된다. 타공판(200)에 형성되는 배출구멍(210)은 사용될 건조 첨가물에 따라 그 사이즈가 변경될 수 있다.
김 스낵 제조에 사용될 건조 첨가물로는 크기가 작은 깨로부터 크기가 큰 아몬드 슬라이스 등이 있다. 건조 첨가물은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것들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호두나 잣 같은 것들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건조 첨가물은 두 종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연이어 2개의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을 배치하여, 어느 한 종류의 건조 첨가물을 먼저 공급한 후 다음 공정에서 또 한 종류의 건조 첨가물을 공급할 수 있다.
건조 첨가물 공급을 위해 작동슬롯(110)에 끼워지는 제1푸셔 유닛(300)과 제2푸셔 유닛(400)이 마련된다.
제1푸셔 유닛(300)은 제1푸셔판(310)과 상부 액츄에이터(320)로 이루어지고, 제2푸셔 유닛(400)은 제2푸셔판(410)과 하부 액츄에이터(420)로 이루어진다. 상.하부 액츄에이터(320,420)는 공압 실린더를 활용하는 것으로 한다.
제1푸셔판(310)은 타공판(200)의 상면에 위치되며, 상부 액츄에이터(320)를 구성하는 피스톤(P)과 연결되어 작동슬롯(110)을 통해 전후진 동작한다. 제2푸셔판(410)은 타공판(200)의 하부에 위치되어 작동슬롯(110)을 통해 전후진 동작한다.
최초에 제1푸셔판(310)과 제2푸셔판(410)은 전진된 상태이며, 제1푸셔판(310)이 후퇴 동작하면 타공판(200)의 배출구멍(210)으로 건조 첨가물이 유입하게 된다. 이후 제1푸셔판(310)이 다시 전진하여 타공판(200)의 상면을 막게되고, 다음으로 제2푸셔판(410)이 후퇴되면 배출구멍(210)에 유입된 건조 첨가물이 하방으로 낙하하여 조미액이 뿌려진 김 위로 떨어진다.
또 다른 김 위로 건조 첨가물을 뿌리기 위해 제2푸셔판(410)은 다시 전진하게 되고, 이후 제1푸셔판(310)은 다시 후퇴됨으로써 배출구멍(210)으로 건조 첨가물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푸셔판(310)과 제2푸셔판(410)의 이러한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효과적으로 건조 첨가물을 자동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제1푸셔판(310) 및 제2푸셔판(410)을 동작되게 하는 상부 액츄에이터(320)와 하부 액츄에이터(420)는 설치대(500)에 장착되도록 한다.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는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가 연이어 마련되도록 하고, 깨와 아몬드 슬라이스를 차례대로 공급하도록 한다.
김 위에 준비된 건조 첨가물이 모두 공급되고 나면 건조 첨가물을 덮어 두 장의 김 사이에 건조 첨가물이 삽입된 상태로 만들기 위해 또 다른 김을 공급하게 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는 취급이 용이치 못한 김을 이용한 김 스낵 생산시 자동화를 위해서도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며, 건조 첨가물의 크기에 맞게 제작하면 다양한 건조 첨가물을 효과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는 김 스낵과 같은 제품의 생산시에 활용될 수 있다.
100 : 건조 첨가물 저장소 110 : 작동슬롯
200 : 타공판 210 : 배출구멍
300 : 제1푸셔유닛 310 : 제1푸셔판
320 : 상부 액츄에이터 400 : 제2푸셔유닛
410 : 제2푸셔판 420 : 하부 액츄에이터
500 : 설치대 10 : 테이블
20 : 베드 P : 피스톤

Claims (2)

  1. 김 스낵 제조장치에 사용되는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로서,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이며, 일측면 하단 근처에 개구된 작동슬롯이 형성되는 건조 첨가물 저장소;
    상기 건조 첨가물 저장소의 하단 근처 내부에 고정되며, 복수의 배출구멍이 형성되는 타공판;
    상기 작동슬롯에 끼워져 전후진 동작되며, 상기 타공판의 상부에 위치되는 제1푸셔판을 포함하는 제1푸셔 유닛;
    상기 타공판의 하부에 위치되어 전후진 동작되는 제2푸셔판을 포함하는 제2푸셔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제1푸셔판과 상기 제2푸셔판이 전진된 상태에서 상기 제1푸셔판을 후퇴시킴으로써 건조 첨가물이 상기 타공판의 배출구멍으로 유입되게 한 다음, 상기 제1푸셔판을 다시 전진시키고 상기 제2푸셔판은 후퇴되게 함으로써 상기 배출구멍을 통해 상기 건조 첨가물을 낙하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는,
    상기 작동슬롯이 형성되는 상기 건조 첨가물 저장소의 후방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대가 마련되며, 상기 설치대는 베드 위에 고정되고, 상기 건조 첨가물 저장소는 매달린 상태가 되고,
    상기 설치대의 후방측에 상기 제1푸셔판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1액츄에이터와 상기 제2푸셔판을 동작시키기 위한 제2액츄에이터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
KR1020140025830A 2014-03-05 2014-03-05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 KR101537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30A KR101537188B1 (ko) 2014-03-05 2014-03-05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30A KR101537188B1 (ko) 2014-03-05 2014-03-05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7188B1 true KR101537188B1 (ko) 2015-07-15

Family

ID=53793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830A KR101537188B1 (ko) 2014-03-05 2014-03-05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718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585Y1 (ko) * 2006-04-04 2006-06-22 (주)대명건해 건조 음식이 구비된 김과 그 제조장치
KR100665200B1 (ko) * 2006-06-05 2007-01-09 만전식품 주식회사 조미김의 토핑 파우더 공급장치
KR20140005513A (ko) * 2012-07-04 2014-01-1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김부각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9585Y1 (ko) * 2006-04-04 2006-06-22 (주)대명건해 건조 음식이 구비된 김과 그 제조장치
KR100665200B1 (ko) * 2006-06-05 2007-01-09 만전식품 주식회사 조미김의 토핑 파우더 공급장치
KR20140005513A (ko) * 2012-07-04 2014-01-1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김부각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715B1 (ko) 김 스낵 제조장치
US12071731B2 (en) Fibre moulding plant for producing moulded parts from environmentally degradable fibre material
CN106041770B (zh) 全自动回转式多工位砂轮成型机
CN207411399U (zh) 一种蛋糕自动制作机
KR20190112620A (ko) 만두의 제조 장치
CN205520389U (zh) 一种锁座螺丝组装工艺装置
KR101537188B1 (ko)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
CN203884866U (zh) 一种鞋子前衬及后套加工机器
DE2007936A1 (de) Automatische Schallplattenpresse
CN104057351A (zh) 自动进料机床
CN104084833A (zh) 一种组合式自动进料机床
US2814921A (en) Apparatus for packaging sausage patties
JP2011172527A (ja) 寿司の製造システムおよび寿司の製造方法
CN107042401A (zh) 一种锁座螺丝组装工艺装置
US2631381A (en) Apparatus for making wallboard
CN205922730U (zh) 用于面饼的扎孔机
CN204390897U (zh) 一种pq磁芯自动背胶机
JP6763041B2 (ja) 具材トッピング装置
CN106002446A (zh) 一种具有勾挂机构的组合型自动进料机床
US429145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installing wicking in candles
KR102170600B1 (ko) 핸들링로봇을 이용한 프레스장치
US3197811A (en) Apparatus for the manufacturing of composite articles
CN220140674U (zh) 一种食品加工用糕点压模设备
CN203993337U (zh) 一种组合式自动进料机床
JP6820712B2 (ja) 練り材料成型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