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17715B1 - 김 스낵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김 스낵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17715B1
KR101417715B1 KR1020140025823A KR20140025823A KR101417715B1 KR 101417715 B1 KR101417715 B1 KR 101417715B1 KR 1020140025823 A KR1020140025823 A KR 1020140025823A KR 20140025823 A KR20140025823 A KR 20140025823A KR 101417715 B1 KR101417715 B1 KR 1014177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kim
laver
snack
suppl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58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경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엔에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엔에스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엔에스테크
Priority to KR10201400258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77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77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77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7/00Food-from-the-sea products; Fish products; Fish meal; Fish-egg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7/60Edible seaweed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02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e or treatment of sweetmeats or confectionery;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3/00Sweetmeats; Confectionery; Marzipan; Coated or filled products
    • A23G3/34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 A23G3/36Sweetmeats, confectionery or marzipan; Processe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G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 A23G2200/00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 A23G2200/14COCOA; COCOA PRODUCTS, e.g. CHOCOLATE; SUBSTITUTES FOR COCOA OR COCOA PRODUCTS; CONFECTIONERY; CHEWING GUM; ICE-CREAM; PREPARATION THEREOF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e.g. synthetic flavouring agents containing fruits, nuts, e.g. almonds, seeds, plants, plant extracts, essential oil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02Algae extract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찬, 안주, 간식거리로 제공이 가능한 김 스낵을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김 스낵 제조장치에 관련되는 기술로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순차적 공정으로 김을 이동시키는 자동 이송 유닛; 적재된 김을 한 장씩 집어올린 후 상기 김을 상기 자동 이송 유닛에 공급하게 되는 제1김 공급유닛; 상기 제1김 공급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자동 이송 유닛의 동작으로 이동되어 온 상기 김의 상면에 액상의 조미액을 뿌리는 조미액 분사유닛; 상기 조미액 분사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조미액이 뿌려진 상기 김 위로 건조 첨가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 상기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적재된 김을 한 장씩 집어올린 후 상기 건조 첨가물을 덮도록 또 다른 김을 공급하는 제2김 공급유닛; 상기 건조 첨가물을 포함하는 김 스낵 원판을 가로방향으로 2등분하는 제1커터와 상기 제1커터의 하부에 마련되어 2등분된 후 하강되는 반원판을 세로방향으로 복수개로 자르는 제2커터로 이루어지는 커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김 스낵 제조장치{LAVER SNACK MANUFACT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반찬, 안주, 간식거리로 제공이 가능한 김 스낵을 대량 생산할 수 있도록 하는 김 스낵 제조장치에 관련되는 기술이다.
김에는 인체에 유익한 많은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으므로 대부분의 사람들이 좋아하며, 다양한 음식에 사용된다. 특히, 김은 반찬류, 안주류, 간식거리로 많이 활용된다.
한편, 김과 김 사이에 땅콩, 깨와 같은 건조 첨가물을 넣어서 먹기에 편하도록 제공되는 제품이 있다. 흔히, 김 스낵(김 부각이라 부르기도 함)이라고 불리기도 하는 김 가공 제품은 주로 수작업에 의해 만들어지고 있다.
김 자체가 얇아 다루기 어렵기 때문에 김 스낵 제조공정을 자동화시킬 수 없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종래기술에 대해 살펴보도록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7737호(2002년10월08일 등록)의 "김의 사이에 식품이 부착된 이중김 및 그 제조방법"이 있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김의 사시도이다.
종래기술의 제조방법은 먼저, 김을 180-250℃ 온도에서 전기구이하는 단계와, 솔비톨 8-10 중량%, 올리고당 80-85 중량%, 설탕 5 중량%, 덱스트린 2-5 중량%의 혼합물인 접착성 조성물 100중량%을 하부 김의 내면에 도포하고 바나나, 참깨, 호박씨, 해바라기씨, 땅콩, 편강, 쇠고기포, 오징어포, 살구, 북어포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부착하는 단계와, 상부에 김으로 덧씌우기 하여 40-60℃ 온도에서 10시간 건조한 후 절단하고 방습제를 넣어 포장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종래기술과 같은 수작업에 의한 이중김 제조방법은 생산성이 낮아 가격 경쟁력이 떨어지고, 제품의 품질이 균일하지 못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357737호(2002년10월08일 등록)
본 발명은 김 스낵을 제조하되, 전체 작업 공정의 대부분이 자동화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며, 동시에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김 스낵 제조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김 스낵 제조장치는,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순차적 공정으로 김을 이동시키는 자동 이송 유닛; 적재된 김을 한 장씩 집어올린 후 상기 김을 상기 자동 이송 유닛에 공급하게 되는 제1김 공급유닛; 상기 제1김 공급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자동 이송 유닛의 동작으로 이동되어 온 상기 김의 상면에 액상의 조미액을 뿌리는 조미액 분사유닛; 상기 조미액 분사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조미액이 뿌려진 상기 김 위로 건조 첨가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 상기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적재된 김을 한 장씩 집어올린 후 상기 건조 첨가물을 덮도록 또 다른 김을 공급하는 제2김 공급유닛; 상기 건조 첨가물을 포함하는 김 스낵 원판을 가로방향으로 2등분하는 제1커터와 상기 제1커터의 하부에 마련되어 2등분된 후 하강되는 반원판을 세로방향으로 복수개로 자르는 제2커터로 이루어지는 커팅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자동 이송 유닛은, 회전되는 테이블 형태이고, 테이블 상면에 상기 김이 올려지는 복수개의 흡착판이 마련되되, 상기 흡착판에는 복수의 흡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김 스낵 제조장치는, 상기 제2김 공급장치 다음에 압착유닛이 마련되어 상기 김 스낵 원판을 납작하게 눌러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압착유닛 다음에 이송되어 오는 상기 김 스낵 원판을 취출하기 위해 전후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김 스낵 원판을 배출 컨베어로 이송시키는 취출유닛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김 스낵 제조장치는, 상기 김 스낵 원판이 상기 커팅유닛으로 공급되기 직전에 상기 김 스낵 원판을 가열하여 건조하기 위한 건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과 상기 제2김 공급장치 사이에 상기 건조 첨가물 및 김 위로 액상의 조미액을 뿌리는 조미액 재분사유닛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김 스낵 제조장치는 김의 공급, 조미액 분사, 건조 첨가물 공급 등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각각의 공정들이 자동화됨으로써 대량생산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가격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고, 제품의 균일성을 이루어 품질을 높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해 제조되는 이중김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김 스낵 제조장치에 의한 작업 공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스낵 제조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
도 4는 김 스낵 제조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도 4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제거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자동 이송 유닛에 대한 구성도.
도 7은 김 공급장치에 대한 구성도.
도 8은 조미액 분사유닛에 대한 구성도.
도 9는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의 구성도.
도 10은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의 확대도.
도 11은 커팅유닛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12는 절단부의 평면도.
도 13은 제2커터를 이루는 한 쌍의 원형칼의 배치도.
도 14는 커팅유닛의 전체 사진.
도 15는 또 다른 방향에서 본 커팅유닛의 전체 사진.
도 16은 커팅유닛의 부분 확대 사진.
본 발명에 의한 김 스낵 제조장치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하도록 하며, 첨부되는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제시되는 도면들은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하나의 실시 가능한 구체적인 예를 보여주는 것이다. 즉, 제시되는 구체적인 실시예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첨부되는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김 스낵 제조장치에 의한 작업 공정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김 스낵 제조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4는 김 스낵 제조장치의 일부분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에서 일부 구성요소를 제거한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자동 이송 유닛에 대한 구성도이며, 도 7은 김 공급장치에 대한 구성도이며, 도 8은 조미액 분사유닛에 대한 구성도이며, 도 9는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10은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의 확대도이며, 도 11은 커팅유닛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며, 도 12는 절단부의 평면도이며, 도 13은 제2커터를 이루는 한 쌍의 원형칼의 배치도이며, 14는 커팅유닛의 전체 사진이며, 도 15는 또 다른 방향에서 본 커팅유닛의 전체 사진이고, 도 16은 커팅유닛의 부분 확대 사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김 스낵 제조장치는, 자동 이송 유닛(100), 제1김 공급유닛(200), 조미액 분사유닛(300),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400), 제2김 공급유닛(500), 커팅유닛(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은 깨나 땅콩 등 각종 건조 첨가물이 두 장의 김 사이에 공급되도록 한 후 먹기 쉽도록 김 스낵 원판(10)을 가로방향으로 이등분한 후 각각의 반원판(20)을 다시 세로방향으로 여러 조각으로 잘라 포장이 가능한 김 스낵(30)을 제조하는 김 스낵 제조장치이다.
자동 이송 유닛(100)은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순차적 공정을 위해 김(1)을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며, 본 실시예의 경우 자동 이송 유닛(100)은 회전되는 원형의 테이블(110)을 포함한다.
테이블(110)은 베드(B) 위에 마련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일정한 각도 만큼씩 회전하게 된다. 테이블(110)에서 이루어지는 공정의 갯수에 따라 테이블(110)의 1회 회전시의 회전각이 결정된다. 예를 들어 테이블(110)에서 6개의 공정이 1사이클을 이루면서 동작되는 경우라면 테이블의 1회 회전각은 60도가 될 것이다.
테이블(110) 상면에 등간격으로 복수개의 흡착판(120)이 마련되며, 각각의 흡착판(120)에는 복수의 흡기공(121)이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테이블(110)에 등간격으로 복수의 천공부(111)가 형성되며, 천공부(111)를 덮는 형태로 테이블(110)의 상면보다 높게 흡착판(120)이 결합된다. 바람직하게 흡착판(120)은 김의 사이즈보다 조금 큰 정사각형 형태가 됨이 좋다. 흡착판(120)의 상면은 테이블(110)의 상면과 단차를 두게 되며, 흡착판(120)의 두께에 의해 테이블(110) 상면과의 단차가 결정된다.
흡착판(120)에 상하 개구되게 형성되는 복수개의 흡기공(121)을 통해 공기를 흡입하여 흡착판(120) 위에 올려지는 김이 움직이지 않도록 하는 배기수단(130)이 마련된다. 본 발명의 김 스낵 제조장치가 최초 동작되는 경우 테이블(110) 상면에 결합되는 흡착판(120) 중 제1흡착판(120a) 위로 한 장의 김을 공급하게 된다.
김은 얇고 가볍기 때문에 흡착판(120) 위에 올려진 김이 움직이지 못하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배기수단(130)을 이용하여 흡착판(120) 위에 올려진 김을 적당한 힘으로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배기수단(130)은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팬이나 진공펌프와 같은 구동부(미도시)와 각각의 흡착판(120) 하부에 마련되는 흡기챔버(131) 및 각 흡기챔버(131)와 구동부를 연결하는 배관(132)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흡착판(120a) 위에 한 장의 김이 공급되면 배기수단(130)에 의해 제1흡착판(120a)에 형성되는 복수의 흡기공(121)을 통해 공기가 흡입되며, 이로 인해 제1흡착판(120a) 위에 올려진 김은 하방으로 당겨지면서 그 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흡착판(120)의 역할은 이에 그치지 않으며, 이어지는 타 공정에서 김의 오염을 방지하면서 테이블(110) 상면에 김이 붙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게 된다.
자동 이송 유닛(100)으로 한 장의 김을 공급하기 위한 제1김 공급유닛(200)이 마련되며, 제1김 공급유닛(200)은 적재된 김을 한 장씩 집어올린 후 자동 이송 유닛(100)의 제1흡착판(120a) 위에 내려 놓는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김 공급유닛(200)은 저장통(210), 승강기구(220), 흡착수단(230) 및 액추에이터(240)를 포함하게 된다.
상측이 개방된 사각 박스 형상의 저장통(210)이 자동 이송 유닛(100)의 근처에 마련되며, 저장통(210)에는 적층된 김이 소비됨에 따라 상승하는 승강기구(220)가 마련된다. 승강기구(220)는 저장통(210)의 하부면에 마련되는 모터(221)와, 상기 저장통(210)의 후방측에 수직 직립되게 배치되어 모터(221)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스크류축(222)과, 스크류축(222)에 연결되는 상하 이동되는 스크류부시(223)와, 스크류부시(223)와 일단이 결합되며 저장통(210) 내부에 위치되는 바닥판(2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저장통(210)에 저장되는 김은 바닥판(224)에서부터 일정 높이까지 적층되며, 김이 소비됨에 따라 센서(225)의 인식에 의해 조금씩 상승되어 최상층이 되는 김은 항상 일정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
저장통(210)의 상부에 흡착수단(230) 및 액츄에이터(240)가 마련되며, 액츄에이터(240)는 흡착수단(230)과 연결되어 흡착수단(230)을 상하전후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액츄에이터(240)는 저장통(210)의 후방면에서 상방으로 형성되는 지지대(250)에 결합되는데, 제1액츄에이터(240a)와 제2액츄에이터(240b)로 구분된다. 제1액츄에이터(240a)는 전후방향으로 동작되는 것이며, 제2액츄에이터(240b)는 상하방향으로 동작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액츄에이터(240a) 및 제2액츄에이터(240b)는 공압을 이용하여 동작되는 공압 실린더를 사용하는 것으로 하고 있다.
제1액츄에이터(240a)의 피스톤 단부에 제2액츄에이터(240b)가 직교되게 결합되며, 제2액츄에이터(240b)의 피스톤 단부에 흡착수단(230)이 결합된다.
흡착수단(230)은 복수의 흡입구(231)를 포함하게 되며, 흡입구(231)들이 적층된 최상층의 김과 접촉된 후 흡입구(231)를 통해 작용되는 흡입력으로 한 장의 김을 들어올려 이동시키게 된다. 흡착수단(230)은 흡입구(231)들의 설치를 위한 설치판(232)을 포함하며 설치판(232)에 복수의 흡입구(231)가 상하 수직방향으로 결합되며, 흡입구(231)의 하단에는 탄성이 있는 탄성튜브(233)가 결합될 수 있다. 탄성튜브(233)를 두게 됨으로써 김과 밀착이 보다 잘 이루어져 김을 들어올릴 때 보다 원활한 작동이 가능하게 된다.
제1김 공급유닛(200)에 인접하여 조미액 분사유닛(300)이 마련되며, 조미액 분사유닛(300)은 이동되어오는 김의 상면에 액상의 조미액을 뿌리는 기능을 한다.
제1김 공급유닛(200)이 자동 이송 유닛(100)의 제1흡착판(120a) 위에 한 장의 김을 내려놓게 되면, 자동 이송 유닛(100)은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며, 제1흡착판(120a)은 조미액 분사유닛(30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자동 이송 유닛(100)이 1회 동작하면 제1김 공급유닛(200) 하부에는 제2흡착판(120b)이 위치되어 또 다른 김을 제2흡착판(120b) 위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조미액 분사유닛(300)은 암(310), 챔버(320), 고정바(330), 노즐(340), 액츄에이터(350) 및 커넥터(3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암(310)의 일단은 베드(B)에 결합되며, 타단은 베드(B) 위로 높게 돌출된다. 암(310)의 상단 부근에 챔버(320)가 결합되어 매달린 상태가 되며, 챔버(32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이루어지고 상하로 개구되는 형태를 이룬다.
챔버(320)의 상측 내부에 좌우 방향으로 고정바(330)가 설치되며, 고정바(330)에 노즐(340)이 회동 가능한 구조로 연결된다. 노즐(340)의 하부 끝단을 통해서 조미액이 분사되며, 노즐(340)은 일정한 각도 범위내에서 회동 동작하게 된다.
챔버(320)의 후방면으로 액츄에이터(350)가 결합되며, 액츄에이터(350)는 공압을 이용하여 동작되는 것이며, 액츄에이터(350)의 피스톤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노즐(340)과 연결되는 커넥터(360)가 마련된다.
액츄에이터(350)가 동작하면 커넥터(360)를 통해 노즐(340)이 회동 동작되면서 노즐(340)을 통해 하방으로 액상의 조미액을 분사시키게 된다.
조미액 분사유닛(300)에 의해 제1흡착판(120a)의 김 상면에 조미액이 고르게 입혀지면, 자동 이송 유닛(100)은 다시 소정의 각도만큼 회전하게 되고, 제2흡착판(120b)에 올려진 김은 조미액 분사유닛(300) 하부로 이동되고, 제1흡착판(120a)의 김은 다음 공정으로 이동한다.
조미액 분사유닛(300) 다음에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400)이 마련되며,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400)은 조미액이 뿌려진 김(1) 위로 준비된 건조 첨가물(2)을 흩뿌리도록 하는 기능을 한다.
구체적으로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400)은, 건조 첨가물 저장소(410), 타공판(420), 제1푸셔 유닛(430), 제2푸셔 유닛(440)을 포함한다.
건조 첨가물 저장소(410)는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을 이루며 일측면 하단 근처에 개구된 작동슬롯(411)이 형성된다. 건조 첨가물 저장소(410)는 자동 이송 유닛(100)의 테이블(110) 상면으로부터 이격되게 위치되며, 이를 위해 작동슬롯(411)이 형성되는 건조 첨가물 저장소(410)의 후방측으로 설치대(450)가 돌출되게 연결되며, 설치대(450)는 베드(B) 위에 고정되고, 건조 첨가물 저장소(410)는 매달린 상태가 되어 테이블(110)로부터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건조 첨가물 저장소(410)의 하단 근처 내부에 타공판(420)이 설치되며, 타공판(420)에는 복수의 배출구멍(421)이 형성된다. 타공판(420)에 형성되는 배출구멍(421)은 사용될 건조 첨가물(2)에 따라 그 사이즈가 변경될 수 있다.
김 스낵 제조에 사용될 건조 첨가물(2)로는 크기가 작은 깨로부터 크기가 큰 아몬드 슬라이스 등이 있다. 건조 첨가물(2)은 인체에 유익한 다양한 것들이 선택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호두나 잣 같은 것들도 적용 가능하다.
그리고 이러한 건조 첨가물은 두 종류 이상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런 경우 연이어 2개의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400)을 배치하여, 어느 한 종류의 건조 첨가물을 먼저 공급한 후 다음 공정에서 또 한 종류의 건조 첨가물을 공급할 수 있다.
건조 첨가물 공급을 위해 작동슬롯(411)에 끼워지는 제1푸셔 유닛(430)과 제2푸셔 유닛(440)이 마련된다.
제1푸셔 유닛(430))은 제1푸셔판(431)과 상부 액츄에이터(432)로 이루어지고, 제2푸셔 유닛(440)은 제2푸셔판(441)과 하부 액츄에이터(442)로 이루어진다. 상.하부 액츄에이터(432,442)는 공압 실린더를 활용하는 것으로 한다.
제1푸셔판(431)은 타공판(420)의 상면에 위치되며, 상부 액츄에이터(432)를 구성하는 피스톤(P)과 연결되어 작동슬롯(411)을 통해 전후진 동작한다. 제2푸셔판(441)은 타공판(420)의 하부에 위치되어 작동슬롯(411)을 통해 전후진 동작한다.
최초에 제1푸셔판(431)과 제2푸셔판(441)은 전진된 상태이며, 제1푸셔판(431)이 후퇴 동작하면 타공판(420)의 배출구멍(421)으로 건조 첨가물(2)이 유입하게 된다. 이후 제1푸셔판(431)이 다시 전진하여 타공판(420)의 상면을 막게되고, 다음으로 제2푸셔판(441)이 후퇴되면 배출구멍(421)에 유입된 건조 첨가물이 하방으로 낙하하여 조미액이 뿌려진 김 위로 떨어진다.
또 다른 김 위로 건조 첨가물(2)을 뿌리기 위해 제2푸셔판(441)은 다시 전진하게 되고, 이후 제1푸셔판(431)은 다시 후퇴됨으로써 배출구멍(421)으로 건조 첨가물(2)이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제1푸셔판(431)과 제2푸셔판(441)의 이러한 반복적인 동작에 의해 효과적으로 건조 첨가물을 자동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바람직하게 제1푸셔판(431) 및 제2푸셔판(441)을 동작되게 하는 상부 액츄에이터(432)와 하부 액츄에이터(442)는 설치대(450)에 장착되도록 한다.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400)는 하나 이상 마련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의 경우 두 개의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400)가 연이어 마련되도록 하고, 깨와 아몬드 슬라이스를 차례대로 공급하도록 한다.
김(1) 위에 준비된 건조 첨가물(2)이 모두 공급되고 나면 건조 첨가물(2)을 덮어 두 장의 김 사이에 건조 첨가물이 삽입된 상태로 만들기 위해 또 다른 김을 공급하게 된다.
이를 위해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400)에 인접하여 제2김 공급유닛(500)을 마련하도록 한다.
제2김 공급유닛(500)은 제1김 공급유닛(200)과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적재된 김 한장을 집어 올린 후 건조 첨가물을 덮도록 내려 놓게 된다. 제2김 공급유닛(500)은 제1김 공급유닛(200)에 대한 설명을 참조하도록 한다.
한편, 바람직하게 건조 첨가물(2)이 김(1) 위에 공급된 후 곧바로 제2김 공급유닛(500)에서 한 장의 김을 더 공급할 수도 있지만, 건조 첨가물(2)과 김(1)의 접합력 향상 및 맛을 좋게 하기 위해 건조 첨가물 위에 조미액을 한번 더 분사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400)과 제2김 공급유닛(500) 사이에 제2조미액 분사유닛(300A)을 마련하여 조미액을 한번 더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제2조미액 분사유닛(300A)은 이미 언급된 조미액 분사유닛(300)과 동일한 바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두 장의 김 사이에 건조 첨가물이 들어간 상태의 반제품을 김 스낵 원판(10)이라 부르도록 하며, 김 스낵 원판(10)은 먹기에 크기가 지나치게 크므로 상품성을 높이고 먹기에 편하도록 적당한 크기로 절단할 필요가 있다.
이에 김 스낵 원판(10)을 복수개로 등분하기 위한 커팅유닛(600)이 마련된다.
커팅유닛(600)은 크게 제1커터(610)와 제2커터(620)로 이루어지며, 제1커터(610)는 김 스낵 원판(10)을 가로방향으로 2등분하며, 제2커터(620)는 제1커터(610)에 의해 이등분된 반원판(20)을 세로방향으로 복수개로 자르게 된다.
구체적으로 커팅유닛(600)은 투입구(630), 제1커터(610), 제2커터(620)를 포함하며, 제1커터(610)는 투입구(630)의 하부에 마련되고, 제1커터(610)의 하부에 제2커터(620)가 마련된다.
보다 상세하게 제1커터(610)는 브라켓(611), 액츄에이터(612), 절단부(613) 및 가압수단(614)을 포함하며, 투입구(630)의 정면에 브라켓(611)이 결합되고, 브라켓(611)에 액츄에이터(612)가 결합된다. 액츄에이터(612)의 피스톤 일단과 결합되며, 타단에는 연속적인 뾰족한 날이 형성되는 절단부(613)가 결합된다.
절단부(613)는 투입구(630) 내부까지 도달되며, 액츄에이터(612)의 동작에 의해 전진 및 후퇴되면서 김 스낵 원판(10)을 가로방향으로 이등분하게 된다.
그리고 절단부(613)를 이용하여 김 스낵 원판(10)을 자를때 보다 원활한 절단이 가능하도록 가압수단(614)이 마련된다. 가압수단(614)은 액츄에이터(612)의 좌우에 하나 이상씩 마련되며, 전진 또는 후퇴 동작하되 투입구(630)로 김 스낵 원판(10)이 낙하되면 김 스낵 원판(10)의 좌우를 눌러 고정시키게 된다.
가압수단(614)은 공압에 의해 작동되는 공압 실린더와 같은 것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액츄에이터(612)의 좌우 각각에 상하 2단으로 2개씩의 가압수단(614)이 마련되도록 하여 절단부(613)에 의해 김 스낵 원판(10)의 절단시 보다 안정적인 절단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1커터(61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2커터(620)는 메인 커터모듈(620a)과 보조 커터모듈(620b)로 이루어지며, 메인 커터모듈(620a)은 모터(621)에 연결되어 회전하게 되고 등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원형칼(K)로 이루어진다. 원형칼(K)의 간격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이 간격 조정을 통해 반원판(20)을 세로방향으로 등분할 갯수를 정하게 된다.
한편, 보조 커터모듈(620b)은 메인 커터모듈(620a)과 동일하게 복수의 원형칼(k)을 포함하며, 메인 커터모듈(620a)과 평행하게 배치되되, 메인 커터모듈(620a)의 원형칼(k)과 비접촉이면서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형태로 복수의 원형칼(k)이 구비된다.
반원판(20)이 제2커터(620)로 진입되면 메인 커터모듈(620a)과 보조 커터모듈(620b)의 원형칼(k) 사이에서 반원판(20)이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세로방향으로 여러 등분으로 절단된다.
커팅유닛(600)에 의해 김 스낵 원판(10)이 가로 및 세로방향으로 절단되면 먹기에 적당한 사이즈가 되며, 포장을 통해 최종적인 제품이 된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김 스낵 제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김 공급장치(500) 다음에 압착유닛(700)을 둘 수 있다.
압착유닛(700)은 김 스낵 원판(10)을 열과 압력으로 납작하게 눌러주도록 함으로써 김(1)과 건조 첨가물(2)이 서로 잘 붙게 하는 역할을 한다. 압착유닛(700)은 상하로 이동되는 압착판(710)과 열을 발생시키는 발열판(미도시)을 포함하게 된다. 발열판은 압착판(710) 내부에 마련될 수 있고, 압착판(710) 하면에는 복수의 구멍이 형성되어 열이 하방으로 배출될 수 있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 본 발명에 의한 김 스낵 제조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압착유닛(700) 다음에 이송되어 오는 김 스낵 원판을 취출하기 위한 취출유닛(800)이 마련될 수 있다.
김 스낵 원판(10)을 커팅유닛(600)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취출유닛(800)을 이용하여 배출 컨베어(900)로 김 스낵 원판을 이송하게 된다.
취출유닛(800)은 배출 컨베어(900)에 인접하여 마련되며, 전후 상하로 이동되면서 김 스낵 원판(10)을 집어올린 후 배출 컨베어(900)에 내려 놓게 된다.
취출유닛(800)은 두 개의 액츄에이터와 흡착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구조는 제1김 공급유닛의 흡착수단 및 액츄에이터와 동일하다. 즉, 공기를 흡입하는 방식으로 자동 이송 유닛의 흡착판 위에 놓인 김 스낵 원판을 집어올린 후 후퇴되고, 하강하여 배출 컨베어에 김 스낵 원판을 내려 놓게 된다.
또한, 김 스낵 원판(10)이 커팅유닛(600)으로 공급되기 전에 김 스낵 원판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유닛(미도시)을 더 마련할 수 있다.
건조유닛은 컨베어를 타고 김 스낵 원판이 이동되는 과정 중에 인공적으로 발생되는 열을 가하여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 건조유닛은 근적외선 램프와 같은 발열수단을 이용하여 구성되는 것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김 스낵 제조장치는 김의 공급부터 포장 직전 단계인 커팅까지의 전 공정을 하나의 라인으로 자동화할 수 있으므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고, 이를 통해 생산성을 높여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김 스낵 제조장치의 가동 중에는 자동 이송 유닛은 일정한 방향으로 정해진 각도만큼씩 회전하게 되며, 제1김 공급장치에 의해 김이 공급되는 것부터 시작하여 취출유닛에 의한 김 스낵 원판의 배출까지가 한 사이클이 되고, 배출된 김 스낵 원판은 커팅유닛으로 보내어져 절단이 된다.
최초 김 스낵 제조장치가 가동되어 한 사이클을 이루게 되면, 자동 이송 유닛이 정해진 각도만큼 1회 회전될 때마다 한 장의 김 스낵 원판이 만들어져 취출되므로 수초에 한 장씩의 김 스낵 원판이 제조된다.
본 발명에 의한 김 스낵 제조장치는 반찬, 안주거리, 간식용으로 제공될 수 있는 김 스낵을 대량으로 생산하기 위한 설비로 사용될 수 있다.
1 : 김 2 : 건조 첨가물
10 : 김 스낵 원판 20 : 반원판
100 : 자동 이송 유닛 110 : 테이블
111 : 천공부 120 : 흡착판
121 : 흡기공 120a: 제1흡착판
120b: 제2흡착판 130 : 배기수단
131 : 흡기챔버 132 : 배관
200 : 제1김 공급유닛 210 : 저장통
220 : 승강기구 221 : 모터
222 : 스크류축 223 : 스크류부시
224 : 바닥판 225 : 센서
230 : 흡착수단 231 : 흡입구
232 : 설치판 233 : 탄성튜브
240 : 액츄에이터 240a: 제1액츄에이터
240b: 제2액츄에이터 250 : 지지대
300 : 조미액 분사유닛 300A: 제2조미액 분사유닛
310 : 암 320 : 챔버
330 : 고정바 340 : 노즐
350 : 액츄에이터 360 : 커넥터
400 :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 410 : 건조 첨가물 저장소
411 : 작동슬롯 420 : 타공판
421 : 배출구멍 430 : 제1푸셔유닛
431 : 제1푸셔판 432 : 상부 액츄에이터
440 : 제2푸셔유닛 441 : 제2푸셔판
442 : 하부 액츄에이터 450 : 설치대
500 : 제2김 공급유닛 600 : 커팅유닛
610 : 제1커터 611 : 브라켓
612 : 액츄에이터 613 : 절단부
614 : 가압수단 620 : 제2커터
620a: 메인커터모듈 620b: 제2커터모듈
621 : 모터 630 : 투입구
700 : 압착유닛 710 : 압착판
800 : 취출유닛 900 : 배출 컨베어
B : 베드 P : 피스톤
K : 원형칼

Claims (6)

  1. 김 스낵 제조장치에 있어서,
    연속적으로 이어지는 순차적 공정으로 김을 이동시키는 자동 이송 유닛;
    적재된 김을 한 장씩 집어올린 후 상기 김을 상기 자동 이송 유닛에 공급하게 되는 제1김 공급유닛;
    상기 제1김 공급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상기 자동 이송 유닛의 동작으로 이동되어 온 상기 김의 상면에 액상의 조미액을 뿌리는 조미액 분사유닛;
    상기 조미액 분사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조미액이 뿌려진 상기 김 위로 건조 첨가물이 공급되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
    상기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에 인접하여 배치되며, 적재된 김을 한 장씩 집어올린 후 상기 건조 첨가물을 덮도록 또 다른 김을 공급하는 제2김 공급유닛;
    상기 건조 첨가물을 포함하는 김 스낵 원판을 가로방향으로 2등분하는 제1커터와 상기 제1커터의 하부에 마련되어 2등분된 후 하강되는 반원판을 세로방향으로 복수개로 자르는 제2커터로 이루어지는 커팅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자동 이송 유닛은,
    회전되는 테이블 형태이며, 테이블 상면에 상기 김이 올려지는 복수개의 흡착판이 마련되고, 상기 흡착판에는 복수의 흡기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스낵 제조장치.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 스낵 제조장치는,
    상기 제2김 공급장치 다음에 압착유닛이 마련되어 상기 김 스낵 원판을 납작하게 눌러주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스낵 제조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유닛 다음에 이송되어 오는 상기 김 스낵 원판을 취출하기 위해 전후상하로 이동되면서 상기 김 스낵 원판을 배출 컨베어로 이송시키는 취출유닛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스낵 제조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김 스낵 제조장치는,
    상기 김 스낵 원판이 상기 커팅유닛으로 공급되기 직전에 상기 김 스낵 원판을 가열하여 건조하기 위한 건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스낵 제조장치.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 첨가물 공급유닛과 상기 제2김 공급장치 사이에 상기 건조 첨가물 및 김 위로 액상의 조미액을 뿌리는 조미액 재분사유닛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김 스낵 제조장치.
KR1020140025823A 2014-03-05 2014-03-05 김 스낵 제조장치 KR1014177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23A KR101417715B1 (ko) 2014-03-05 2014-03-05 김 스낵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25823A KR101417715B1 (ko) 2014-03-05 2014-03-05 김 스낵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7715B1 true KR101417715B1 (ko) 2014-07-09

Family

ID=51741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5823A KR101417715B1 (ko) 2014-03-05 2014-03-05 김 스낵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7715B1 (ko)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1646B1 (ko) * 2015-01-16 2015-11-24 김영석 비접촉방식에 의한 김 공급장치
KR20160012516A (ko) * 2014-07-24 2016-02-03 강신탁 김스넥 자동제조장치의 재료투입기
KR20160012520A (ko) * 2014-07-24 2016-02-03 강신탁 김스넥 제조장치용 회전식 겹침장치
KR101682032B1 (ko) 2016-02-25 2016-12-02 (주)천명푸드 김부각의 제조방법
KR20170026072A (ko) 2015-08-31 2017-03-08 김태선 김부각 및 그 제조방법
KR101743739B1 (ko) 2015-04-28 2017-06-05 이학송 김 구이장치
KR20170100400A (ko) 2016-10-24 2017-09-04 (주)천명푸드 김부각의 제조방법
KR20190030894A (ko) 2017-09-15 2019-03-25 김태선 롤 형상의 김부각 및 그 제조방법
CN109673978A (zh) * 2019-02-21 2019-04-26 晋江力绿食品有限公司 厚浆夹心海苔加工流水线
KR20190073721A (ko) 2017-12-19 2019-06-27 강신탁 김과 라이스 페이퍼 부착장치
KR102064830B1 (ko) * 2018-09-03 2020-01-10 이근흥 밥 시트 제조장치
WO2022145972A1 (ko) * 2020-12-29 2022-07-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재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재 공급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611Y1 (ko) * 1990-05-03 1993-04-08 주식회사 비락 식품 성형 로울러
KR20140005513A (ko) * 2012-07-04 2014-01-1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김부각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30001611Y1 (ko) * 1990-05-03 1993-04-08 주식회사 비락 식품 성형 로울러
KR20140005513A (ko) * 2012-07-04 2014-01-15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김부각 제조장치

Cited B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12516A (ko) * 2014-07-24 2016-02-03 강신탁 김스넥 자동제조장치의 재료투입기
KR20160012520A (ko) * 2014-07-24 2016-02-03 강신탁 김스넥 제조장치용 회전식 겹침장치
KR101672877B1 (ko) 2014-07-24 2016-11-04 강신탁 김스넥 제조장치용 회전식 겹침장치
KR101676825B1 (ko) 2014-07-24 2016-11-17 강신탁 김스넥 자동제조장치용 재료투입장치
KR101571646B1 (ko) * 2015-01-16 2015-11-24 김영석 비접촉방식에 의한 김 공급장치
KR101743739B1 (ko) 2015-04-28 2017-06-05 이학송 김 구이장치
KR20170026072A (ko) 2015-08-31 2017-03-08 김태선 김부각 및 그 제조방법
KR101682032B1 (ko) 2016-02-25 2016-12-02 (주)천명푸드 김부각의 제조방법
KR20170100400A (ko) 2016-10-24 2017-09-04 (주)천명푸드 김부각의 제조방법
KR20190030894A (ko) 2017-09-15 2019-03-25 김태선 롤 형상의 김부각 및 그 제조방법
KR20190073721A (ko) 2017-12-19 2019-06-27 강신탁 김과 라이스 페이퍼 부착장치
KR102007714B1 (ko) * 2017-12-19 2019-08-07 강신탁 김과 라이스 페이퍼 부착장치
KR102064830B1 (ko) * 2018-09-03 2020-01-10 이근흥 밥 시트 제조장치
CN109673978A (zh) * 2019-02-21 2019-04-26 晋江力绿食品有限公司 厚浆夹心海苔加工流水线
CN109673978B (zh) * 2019-02-21 2023-09-15 晋江力绿食品有限公司 厚浆夹心海苔加工流水线
WO2022145972A1 (ko) * 2020-12-29 2022-07-07 씨제이제일제당 (주) 식재 공급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재 공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7715B1 (ko) 김 스낵 제조장치
KR101774097B1 (ko) 식품 가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식품 제조 방법
CN106516229A (zh) 一种无人厨房
US244225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embling and handling confections or the like
CN112155226A (zh) 一种食品加工用花生辅助剥壳装置
CN106172690A (zh) 贝类切片加工装置
CN212058006U (zh) 一种新型笋干切烘一体设备
CN107646925B (zh) 饼排布机
KR101127442B1 (ko) 생분해성 일회용 용기의 코팅 및 성형 장치
KR20140137696A (ko) 김식품 제조장치
CN209097080U (zh) 一种面包加工用的稳定打包设备
JP2012240190A (ja) 食肉スライサー
CN112545038B (zh) 一种肉干的智能制造流水线及制造方法
CN106261466B (zh) 一种贝类干燥加工装置
KR101749911B1 (ko) 전병 제조 자동화 장치
CN212422315U (zh) 一种纸杯成型机扇形片上料装置
KR20150104290A (ko) 김 공급장치
JPH07223746A (ja) 乾燥海苔供給装置
CN207836636U (zh) 一种夹心食品生产加工设备
US2638868A (en) Sandwich machine for applying coatings to bakery goods
CN107581203B (zh) 饼成形机
JPH06141779A (ja) 巻菓子製造機
KR101537188B1 (ko) 건조 첨가물 공급장치
CN107668111B (zh) 烘烤装置
CN110604329A (zh) 一种食品加工设备及生产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