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6351B1 -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6351B1
KR101366351B1 KR1020120036927A KR20120036927A KR101366351B1 KR 101366351 B1 KR101366351 B1 KR 101366351B1 KR 1020120036927 A KR1020120036927 A KR 1020120036927A KR 20120036927 A KR20120036927 A KR 20120036927A KR 101366351 B1 KR101366351 B1 KR 101366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sun salt
sun
drying
was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36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14501A (ko
Inventor
박원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미니언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미니언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미니언코리아
Priority to KR102012003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6351B1/ko
Publication of KR20130114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14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6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6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0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 A23L3/40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e.g. pasteurising, sterilising, specially adapted for foods or foodstuffs by drying or kiln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L3/44Freeze-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20Removal of unwanted matter, e.g. deodorisation or detoxific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존 천일염의 특성을 가지면서 풍미가 뛰어난 편상 형태의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일염을 준비하는 천일염 준비 단계; 상기 천일염을 포화함수로 세척하는 포화함수 세척 단계; 세척된 천일염의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링 단계; 상기 필터링된 천일염을 포화함수에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 용해된 천일염의 중금속을 제거하는 중금속 필터링 단계; 및 필터링된 용해 천일염을 편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Method for maunfacturing of flake type salt using sun-dried salt}
본 발명은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천일염을 세척, 용해, 가열 등의 공정으로 가공하여 소금의 형태가 눈꽃과 유사한 편상으로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천일염은 미네랄이 풍부하여 모든 생명체가 생존과 번성함에 있어서 필수적이라 알려져 왔다. 소금은 사람의 세포외액의 중요한 양이온으로 체액의 삼투압을 조절하고 산염기 평형에 관여하며 신경자극 전달물질뿐만 아니라, 위산의 생성을 도와 소화액을 구성하, 효소활동에 관여하며, 가장 순수한 짠맛을 내기 때문에 식품의 맛을 내고 저장성을 높이기 위하여 조미료로 많이 이용된다.
우리나라의 천일염 미네랄이 풍부한 갯벌염전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이와 같은 생산기반으로 인하여 국내산 천일염은 몸에 좋은 알칼리성 소금으로 산화가 낮고 칼슘(Ca), 마그네슘(Mg), 칼륨(K) 등 다양한 양이온들을 함유하고 있어 연화방지 효과가 우수하여 우리의 전통식품 김치, 장류, 젓갈류 등 그 고유의 맛과 풍미를 유지 시켜왔다.
한편, 소금의 종류는 천일염, 암염, 기계염, 재제조염, 가공염으로서, 천일제염법으로 제조 생산하는 천일염과 제조된 천일염을 정제한 정제염으로 구분된다. 천일염의 순도는 80~88%이상이며 염도는 낮으나 불순물이 함유되어 있어 인체에 유해한 성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정제염은 95~99%이상 것으로 인체에 유해한 성분은 거의 없으나 인체에 유익한 미네랄 성분도 거의 없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일반 천일염전에서 생산하는 천일염의 경우, 생산 기반시설에서의 녹 모래알갱이 해충 풀씨 나뭇잎 보온덮개의 섬유가 혼입되고, 기상조건에 따라 해안의 갯벌에서와 저류지의 갯벌에서 불용분이 유입되며 또한 바닷물의 오염물을 차단하지 못하여 혼용되고 있으며, 기후를 반영하지 못해서 고질기(KCI, MgCI, MgSo₄)가 많아 품질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서 고혈압 등 국민건강에 문제가 제기되고, 중국에서 이동하는 황사 먼지의 환경 오염물을 차단하지 못하여 천일염에 대한 국민의 신뢰를 잃는 등 가격하락의 요인이 되고 있다. 채염에 있어서도 2∼4일의 기간으로 뷰렛 측정염도 30~33도로 고염도 채염함과 3월∼11월까지 생산한 소금을 한곳에 보관함으로서 품질저하의 원인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이 천일염은 인체에 대한 유효성과 일부 유해성을 가지고 있어, 향상된 소금을 제조하기 위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고, 최근에는 염생식물을 비롯하여 여러 분야에서 천일염에 관한 식물의 자원 활용에 대한 연구와 산업화가 진행되고 있다.
예를 들면, 공개특허 제2006-0005215호 천일염의 생산방법은 물에 용해도가 낮은 CaCo₃,CaSo₄, 철분 등을 별도의 증발지에서 제거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또한, 공개특허 제2002-0090177호에서는 녹차, 다시마, 징꼬, 마늘 성분이 함유된 저염도 기능성소금의 제조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상기 특허에서는 녹차, 다시마, 징꼬 마늘이 함유된 소금을 녹차, 다시마, 징꼬, 마늘이 혈압에 관계한 효소에 작용하여 혈압강하 작용을 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소금과 녹차, 다시마, 징꼬, 마늘을 결합함으로서 녹차, 다시마, 징꼬, 마늘 성분을 함유하는 소금의 혈압 강화 기능성효과를, 녹차, 다시마, 징꼬, 마늘을 함유하는 기능성 소금은 항균력이 뛰어나고 물에 용해성이 우수하여 소금 치약으로 개발이 가능하고, 또한 녹차, 다시마, 징꼬, 마늘을 함유하는 기능성 소금의 항균력이 우수한 것을 이용하여 조미김 제조용 소금으로 이용이 가능하며, 녹차, 다시마, 징꼬, 마늘을 함유하는 소금에 살구 씨, 쑥, 당귀, 감초 등을 넣어 제조한 목욕용 미용소금은 기존의 목욕용 미용소금에 비해서 용해도가 뛰어나고 피로회복과 스트레스 해소기능이 있으며 사용 후 로션을 따로 쓰지 않아도 될 정도로 보습효과와 피부자극이 없는 효과와 특성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03-0008712호에서는 염생식물 추출액을 함침 시켜 제조한 신규한 소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상기 특허에서는 사전에 준비된 염생식물 추출액과 원료 소금을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염생식물 추출액이 원료 소금에 함침되도록 하고 이를 정제하여 얻어진 신규한 염생식물 추출액 함유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이 구체적으로 제시되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01-0083036호에서는 식물성 소금의 제조방법 및 식물성 소금을 제안하였으며, 상기 특허에서는 퉁퉁마디, 칠면초, 해홍나물, 갯개미취 등과 같은 염생식물을 수세하고 세절한 후 열수추출하여 열수추출액을 얻고, 이를 건조시키고 150∼250℃의 온도조건하에서 30분 이상 1차 회화시킨 것을 500℃ 이상의 온도조건하에서 2시간 이상 2차 회화시킨 다음, 700℃ 이상의 온도조건하에서 2시간 이상 3차 회화시키고 마쇄하여 균일한 식물성 소금을 얻는 방법이 제시되었으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염도는 낮으면서 미네랄 성분 함량이 높은 식물성 소금을 얻을수 있음은 물론, 풍미를 갖는 식물성 소금을 얻을 수 있는 효과 또한 제시하고 있다.
또한, 특허출원 제2004-0085300호에서는 비파성분이 함유된 소금의 제조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상기 특허에서는 천일염을 비파잎 추출액에 넣어 비파의 유용한 약효성분을 그대로 함유하면서 독성과 불순물은 제거되어, 인체에 매우 유익한 소금을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파의 독특한 맛과 향이 그대로 남아있어 미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공개특허 제2002-0030772호에서는 기능성 천일염의 제조방법을 제안하였으며, 상기 특허에서는 천일염의 가열시 기능성물질을 투입시켜 제조되는 기능성 정제염이 아닌 천일염의 제조공정에 기능성 물질을 투입시켜 천일염에 기능성 물질이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천일염을 제조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천일염 자체의 독성을 제거하고, 균일한 풍미와 새로운 기능을 첨가한 기술들은 지속적으로 제안되고 있으나, 소금 자체의 형태, 즉 결정의 형태를 달리하여 풍미와 특성을 증가시키는 기술은 제안되고 있지 않다.
특히 소금의 특성은 자체의 성분과 미네랄 함양 등이 중요한 요소이나, 결정 형태에 따라 미각이 좌우되는 특성 또한 무시하지 못하므로 적은 사용으로 높은 미감을 주는 새로운 결정 형태를 갖는 천일염 제조 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존 천일염의 특성을 가지면서 풍미가 뛰어난 편상 형태의 소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천일염을 준비하는 천일염 준비 단계; 상기 천일염을 포화함수로 세척하는 포화함수 세척 단계; 세척된 천일염의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링 단계; 상기 필터링된 천일염을 포화함수에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 용해된 천일염의 중금속을 제거하는 중금속 필터링 단계; 및 필터링된 용해 천일염을 편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 단계 이후에 천일염을 하부는 가열하고, 상부는 냉각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냉동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 단계에서 포화함수의 농도는 26%이며, 세척 시간은 50분 이상 1시간 10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필터링 단계에서 적용되는 필터는 세라믹 필터 또는 섬유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 단계에서는 건조 온도는 45℃이상 60℃이하이며, 건조 시간은 4시간 이상 6시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냉동 건조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45℃이상 60℃이하이며, 냉각 온도는 3℃이상 7℃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은 종래 천일염을 이용하여 편상을 소금을 제작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영양학적으로 우수한 천일염을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편상 형태에 따른 높은 흡수율과 낮은 수분함량을 갖는 우수한 소금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비교적 간단한 공정으로 편상 형태의 소금을 생산할 수 있어, 높은 가격 경쟁력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을 공정 단계를 설명하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동 건조 단계에서 적용되는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3 도 1의 방법으로 제조된 소금의 형상 사진이며,
도 4 일반적인 천일염의 형상 사진이며,
도 5는 도 3의 단일 입자의 확대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은 천일염 준비 단계(10), 포화함수 세척 단계(20), 필터링 단계(30), 포화함수를 이용해 용해하는 용해 단계(40), 중금속 필터링 단계(50), 가열 단계(60) 및 냉동 건조 단계(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 일부 단계(냉동건조 단계(60))는 높은 품질의 소금을 얻기 위해서 필요한 경우에는 추가되는 단계이며,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생략 가능하다.
상기 단계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천일염 준비 단계(10)는 별도로 추가 가공되지 않은 천일염을 준비하는 단계로 염전에서 생산된 천일염으로 바로 적용할 수 있다.
물론, 염전에서 바로 생산된 천일염의 경우에는 일부 불순물이나, 기타 인체에 유해한 성분이 포함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유해성분을 제거한 천일염도 적용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조 방법은 초기 준비된 천일염의 특성에 소금의 형상에 의한 특성을 부가하는 것으로 품질이 우수한 천일염을 기초로 하는 경우 더욱 우수한 편상(눈꽃 형상)의 소금을 제조할 수 있는 특성이 있다.
상기 천일염 준비 단계(10) 이후에는 포화함수 세척 단계(20)가 수행된다.
상기 단계는 준비된 천일염을 포화함수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공정으로 26% 농도의 포화함수를 이용하여 천일염을 세척한다.
이 단계에서 상기 천일염 표면에 부착된 일부 불순물 등이 제거되며, 전체 세척시간은 50분에서 1시간 10분 정도이면 적절하다.
상기 포화함수 세척 단계(20) 이후에는 필터링 단계(30)가 수행된다.
상기 단계에서는 상기 세척 단계(20)에서 걸러지지 않는 성분들을 제거하는 단계로 세라믹 필터나 일반 섬유 필터를 이용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다수의 단계를 적용하여 소금보다 큰 불순물들을 물리적으로 제거하는 역할을 하며, 통상의 필터를 사용한다.
상기 필터링 단계(30)에 적용되는 필터는 2개의 하부 단계로 구분되며, 제1단계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27종, 60메시의 필터이고, 제2단계는 부직포 섬유의 필터를 적용하였다. 따라서, 포화함수는 제1단계 및 제2단계의 필터를 순차적으로 통과하여 전체 필터링 단계(30)가 수행된다.
상기 필터링 단계(30)를 거친 소금은 소금의 특성에 반하는 모래 분진 등 음식물에 사용하기에 부적절한 게재물 등이 제거된 상태이다.
그러나 소금에 일부 중금속이 포함되어 있어, 상기 중금속을 제기를 위해서, 그리고 소금의 형태를 편상으로 변환시키기 위하여 포화함수를 이용하여 소금을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40)를 수행한다.
상기 용해 단계(40)는 역시 포화함수를 이용하여 소금을 용해시키며, 역시 26% 농도를 갖는 용해액이 생성된다.
상기 단계는 적절한 상온에서 수행되며, 전체 소금이 용해될 정도의 포화함수를 이용하여 수행되며, 용해 촉진을 위하여 필요한 경우 교반도 추가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30℃의 온도에서 강제로 교반시켜 용해한다.
상기 단계에서 용해된 소금은 중금속 성분을 분리하기 위하여 중금속 필터링 단계(50)가 수행된다.
상기 중금속 필터링 단계(50)는 회전식 분리기를 이용하며, 상기 회전식 분리기에 의하여 밀도가 높은 중금속 성분이 분리된다.
상기 회전식 분리기는800rpm 정도의 회전 속도로 30분정도 수행되는 경우 대부분의 중금속이 제거된다.
상기 중금속 필터링 단계(50) 후의 용해액은 이후 건조 단계(60)를 통하여 편상의 소금 형태로 생성된다.
상기 단계는 미네랄 등 소금에서 유익한 성분들의 파괴를 방지하는 온도와 시간으로 수행된다.
이때, 건조 온도는 45℃이상 60℃이하가 바람직하다.
건조 온도가 45℃미만인 경우 건조 시간이 오래 걸려 연속적인 제조가 어려운 단점이 있으며,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유익한 성분인 미네랄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또한, 건조 시간은 4시간 이상 6시간 이하가 바람직하다.
건조 이 4시간 미만인 경우에는 소금에 수분 함량이 높아 풍미가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6시간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역시 유익한 미네랄 등의 성분들이 파괴될 우려가 있다.
상기 건조 단계(60)를 거친 소금은 그 형태가 편상으로 형성되나, 더욱더 그 특성을 강화시키기 위하여 필요한 경우 냉동 건조 단계(70)가 수행된다.
상기 냉동 건조 단계(70)는 소금의 하단은 가열하고 상단은 비교적 낮은 온도로의 냉풍을 인가하여 흡수하는 구조를 갖는 도 2에 도시된 냉동 건조기를 통하여 수행된다.
소금(1)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2)를 타고 이동하고, 상기 벨트(2) 하단은 40~60℃로 가열하고, 상단에는 냉동 건조기(3)를 통하여 3~7℃의 냉풍을 소금(1)에 가하고 바로 흡입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때, 체류 시간은 1시간 정도가 적절하다.
상기와 같이 소금(1)에 상하 온도 구배를 가하는 경우 상단에 위치하는 냉동 건조기(3)를 통하여 소금(1) 내부의 수분이 급격히 흡수되어 낮은 함수율의 소금(1)을 생산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온도 범위 내에서의 수분 증발률이 우수한 특성이 있다.
상기 냉동 건조 단계(70)를 거친 소금의 경우에는 극히 낮은 함수율을 나타내어 흡수력이 뛰어나 결과적으로 짠 맞을 적게 느끼는 장점이 있다.
또한, 편상 형태의 소금은 표면적인 통상의 소금보다 높아 역시 흡수력이 뛰어난 특성이 있으므로, 상기 냉동 건조 단계(70)는 편상 소금에 더욱더 뛰어난 풍미를 제공한다.
실시예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전라남도 신안군의 천연갯벌에서 2012년도에 생산된 천일염을 상기 단계들을 적용하여 편상의 소금으로 제조하였다.
여기서 포화함수 세척 단계는 1시간을 수행하고, 필터링 단계, 포화 함수 용해 단계, 중금속 필터링 단계, 50℃의 온도로 5시간 가열 단계를 거쳐, 최종 냉동 건조 단계(5℃냉기와 50℃의 가열)를 통하여 제조되었다.
시험예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제조된 소금은 통상의 분석법을 통하여 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종래 국내산 천일염의 성분과 대비하여 표 1에 도시하였다.
또한, 상기 실시예를 통하여 제조된 소금의 형상은 도 3에 도시하였으며, 도 4는 종래 방식으로 생산된 일반 천일염의 사진이다.
항목 실시예 국내 천일염
염화나트륨 97.60% 91.40%
수분 1.42% 6.92%
칼슘 0.2050% 0.2781%
칼륨 0.0499% 0.1880%
마그네슘 0.000% 0.0094%
수은 불검출 불검출
불검출 0.1420mg/kg
비소 불검출 불검출
카드뮴 불검출 0.005mg/kg
상기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소금은 종래 천일염이 갖는 유사한 미네랄 성분을 가지며, 그 형태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편상의 형태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또한, 중금속 필터링 단계(50)의 영향으로 중금속 성분이 검출되지 않았다. 그리고, 수분 함량이 일반 천일염에 비하여 극히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수분 함량은 실제 소금이 사용되는 경우 신속하게 흡수되는 장점이 있으며, 또한 짠맛을 덜 느끼게 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원 발명에 따라 제조된 소금은 천일염의 특성을 그대로 가지면서, 더 나은 풍미를 갖는 편상 형태로 제조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소금 2: 벨트
3: 냉동 건조기 10: 천일염 준비 단계
20: 포화함수 세척 단계 30: 필터링 단계
40: 용해 단계 50: 중금속 필터링 단계
60: 가열 단계 70: 냉동 건조 단계

Claims (6)

  1. 삭제
  2. 천일염을 준비하는 천일염 준비 단계;
    상기 천일염을 포화함수로 세척하는 포화함수 세척 단계;
    세척된 천일염의 불순물을 걸러내기 위한 필터링 단계;
    상기 필터링된 천일염을 포화함수에 용해시키는 용해 단계;
    용해된 천일염의 중금속을 제거하는 중금속 필터링 단계; 및
    필터링된 용해 천일염을 편상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건조하는 건조 단계를 포함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 이후에 천일염을 하부는 가열하고, 상부는 냉각하여 수분을 제거하는 냉동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세척 단계에서 포화함수의 농도는 26%이며, 세척 시간은 50분 이상 1시간 10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터링 단계에서 적용되는 필터는 세라믹 필터 또는 섬유 필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건조 단계에서는 건조 온도는 45℃이상 60℃이하이며, 건조 시간은 4시간 이상 6시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동 건조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45℃이상 60℃이하이며, 냉각 온도는 3℃이상 7℃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
KR1020120036927A 2012-04-09 2012-04-09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 KR101366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927A KR101366351B1 (ko) 2012-04-09 2012-04-09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36927A KR101366351B1 (ko) 2012-04-09 2012-04-09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01A KR20130114501A (ko) 2013-10-18
KR101366351B1 true KR101366351B1 (ko) 2014-02-21

Family

ID=496345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6927A KR101366351B1 (ko) 2012-04-09 2012-04-09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635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957586B (zh) * 2015-07-10 2017-06-30 中盐榆林盐化有限公司 一种多植物纤维盐及其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823A (ja) * 1997-11-07 1999-05-25 Kagome Co Ltd 天然塩の製造方法
KR20030075595A (ko) * 2002-03-19 2003-09-26 김영생 무여염의 제조방법
KR20110013617A (ko) * 2009-08-03 2011-02-10 전현철 새콤달콤한 법제유황 소금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10039119A (ko) * 2009-10-09 2011-04-15 씨제이제일제당 (주) 천일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9823A (ja) * 1997-11-07 1999-05-25 Kagome Co Ltd 天然塩の製造方法
KR20030075595A (ko) * 2002-03-19 2003-09-26 김영생 무여염의 제조방법
KR20110013617A (ko) * 2009-08-03 2011-02-10 전현철 새콤달콤한 법제유황 소금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
KR20110039119A (ko) * 2009-10-09 2011-04-15 씨제이제일제당 (주) 천일염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14501A (ko) 201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80080465A (ko) 식물진액을 함유한 소금 및 그 제조방법
CN103238819B (zh) 一种植物盐及其制备方法
KR101016751B1 (ko) 다시마를 이용한 소금의 제조방법
CN106722503B (zh) 蓝莓粉的制备方法
KR20010083036A (ko) 식물성 소금의 제조방법 및 식물성 소금
CN103039937A (zh) 一种植物盐及其制备方法
US20010024676A1 (en) Liquid vegetable salt preparation method and liquid vegetable salt
KR20110078550A (ko) 생강 분말 및 생강정의 제조 방법
KR101299205B1 (ko) 천일염의 간수 제거방법과 이를 이용한 기능성 칼라 소금의 제조방법 및 기능성 칼라 함수의 제조방법
KR101169795B1 (ko) 수증기를 이용하여 간수와 불순물을 제거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705880B1 (ko) 착향소금 제조방법
KR20120119205A (ko) 삼채 장아찌의 제조방법
KR101704750B1 (ko) 천일염 및 함초를 이용한 함초소금 제조 방법
KR101478784B1 (ko) 편백을 이용한 기능성 소금의 제조방법
KR101366351B1 (ko) 천일염을 이용한 편상 소금의 제조 방법
KR100882271B1 (ko) 다공성 담체를 이용한 티백차 및 상기 티백차의 제조방법
KR101036325B1 (ko) 미네랄 강화 소금 및 그 제조방법
CN103039938A (zh) 一种植物盐及其制备方法
CN105266164A (zh) 一种高能量子富硒功能水的制作方法
KR101319835B1 (ko) 해양심층수와 소금제조용 여과포를 이용하여 미네랄 소금을 얻는 제조방법
KR20120093031A (ko) 식물성분이 함유된 천연 소금의 제조 방법
KR101652897B1 (ko) 해풍 쑥 분말의 제조방법
KR101762674B1 (ko) 웰빙간장의 제조방법
CN103053996A (zh) 一种植物盐及其制备方法
KR100839813B1 (ko) 천연조미료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31

Year of fee payment: 5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3

Year of fee payment: 7